KR20140097884A -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884A
KR20140097884A KR1020130010578A KR20130010578A KR20140097884A KR 20140097884 A KR20140097884 A KR 20140097884A KR 1020130010578 A KR1020130010578 A KR 1020130010578A KR 20130010578 A KR20130010578 A KR 20130010578A KR 20140097884 A KR20140097884 A KR 20140097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cartridge
sealing member
seal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476B1 (ko
Inventor
신규철
Original Assignee
신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규철 filed Critical 신규철
Priority to KR102013001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4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2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93Hand tools of the syring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96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a rigid removable cartridge having no active dispensing means, i.e. the cartridge requiring cooperation with means of the handtool to expel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제와 경화제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시에 적정비율로 간편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내부에 주제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 단부에 제1 토출구가 형성된 메인수용부재; 상기 메인수용부재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과 구획되는 경화제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제1 토출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2 토출구가 형성된 보조수용부재; 상기 제2 수용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제1 밀봉부재;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제2 밀봉부재; 및 상기 메인수용부재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밀봉부재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동시에 이동시 상기 보조수용부재를 절개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용기에 주제와 경화제를 분리, 저장하고 자동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볍고 부피가 작아서 취급과 사용이 간편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주제 및 경화제의 주입을 위한 2개의 용기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 절감되고, 사용 후의 폐기물의 배출수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통상적인 원통형 카트리지의 사용시 이용되는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 있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보관 및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CARTRIDGE INJECTION TYPE CHEMICAL ANCHOR}
본 발명은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제와 경화제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시에 적정비율로 간편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암반, 콘크리트 구조물 등과 같은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경우 삽입홀을 천공하고 묽은 시멘트 몰탈인 그라우팅재를 주입한 다음 앵커볼트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현장에서 그라우팅재를 혼합하여 조성하거나 레미콘 공급차량에 의해 그라우팅재를 공급받아야 하므로 작업시에 많은 불편함이 있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양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상기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케미컬 앵커(수지형 콘크리트(Resin concrete)나 중합체 콘크리트(Polymer concrete)라고도 호칭됨)가 개발되어 있다.
케미컬 앵커는 불포화 폴리에스텔수지, 에폭시수지, 불소수지, 폴리우레탄수지, 페놀수지, 탄산칼슘, 모래, 실리카질 등이 포함된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할 경우 신속하게 경화되면서 강력한 접착력과 고정강도를 갖게 되므로 앵커볼트를 고정하는 수단이나 구조물의 크랙 봉합, 구조물의 연결작업용,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 단열 방수처리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케미컬 앵커는 신속한 경화로 인해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지만 여전히 주제와 경화제를 현장에서 배합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구멍이나 홈 부위에 밀어넣어 삽입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0-00036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액형 경화제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액형 경화제 카트리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는 주제와 반응제가 독립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저장통(2)과 제 2 저장통(4)이 구비되고, 이 제 1 및 제 2 저장통(2)(4)에는 담겨진 주제 또는 반응제를 출구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피스톤(3)(4)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의 상단에는 출구부(6)가 형성되는데, 상기 출구부(6)에는 제 1 저장통(2) 및 제 2 저장통(4) 내부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출구(7)(8)가 형성되고, 상기 출구부(6)의 측면부에는 후설하는 결합구(13)가 나사조립되기 위한 나사결합부(9)가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65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의 토출구 및 개폐 보호켑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96507호에 개시된 케미컬 앵커 토출용 용기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G1')를 갖는 원주형 주재 토출용기(G1)와 개방부(G2')를 갖는 원주형 경화제용기(G2)사이에 고정부(G3)가 형성되어 있고 각 용기 상측부에 공동으로 숫나선(G4)을 구비한 하나의 토출부(G5)를 일체로 성형하고 토출부(G5)에는 각각의 용기와 연결되도록 반달형의 큰 토출구(G6) 및 원형의 적은 토출구(G6')를 형성하되 큰 토출구(G6)의 위치가 적은 토출구(G6')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토출구(G6), (G6')를 막는 보호켑(G7)을 별도로 성형하되 하나의 일체로 된 보호켑(G7)에서 각각의 마개(G8), (G8')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는 주제와 경화제를 별도로 혼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는 주제 및 경화제가 수용되는 용기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무겁고 부피가 커서 취급이 불편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주제 및 경화제의 주입을 위한 2개의 용기가 필요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사용 완료된 후 2 개의 용기를 모두 폐기하여야 하므로 폐기물의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는 2개의 용기에 피스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별도의 디스펜서를 갖추어야 하므로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시에 1개의 용기에 피스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통상적인 디스펜서 외에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므로 호환성 결여에 따른 휴대, 보관, 취급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제와 경화제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 저장할 수 있고, 사용시에 적정비율로 간편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내부에 주제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 단부에 제1 토출구가 형성된 메인수용부재; 상기 메인수용부재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과 구획되는 경화제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제1 토출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2 토출구가 형성된 보조수용부재; 상기 제2 수용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제1 밀봉부재;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제2 밀봉부재; 및 상기 메인수용부재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밀봉부재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동시에 이동시 상기 보조수용부재를 절개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밀봉부재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밀봉부재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에 형성되어 이동시에 상기 보조수용부재를 절개시키는 커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상기 제2 수용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돌부, 상기 밀폐돌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수용부재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는 링 형상의 제1 기밀링, 상기 밀폐돌부와 대응되는 후방에 돌출되는 가이드돌부, 상기 가이드돌부와 상기 제1 기밀링 사이에 요입, 형성되는 제1 끼움홈을 구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보조수용부재의 외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는 링 형상의 제2 기밀링, 상기 제2 기밀링의 둘레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메인수용부재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는 제3 기밀링, 상기 제2 및 제3 기밀링의 후방에 요입, 형성되는 제2 끼움홈을 구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원통 형상의 제1 가압몸체 전방에 상기 제1 끼움홈으로 삽입되는 가압돌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디스펜서의 밀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원통 형상의 제2 가압몸체가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제1 가압몸체의 둘레에 이격 틈새를 갖도록 배치되고 전방에 제2 끼움홈에 삽입되는 가압돌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터부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가압부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는 커팅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밀링 및 제3 기밀링은 기밀특성의 향상을 위해 중앙부의 외경보다 전후부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 밀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토출구에 체결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노즐바디와, 상기 노즐바디의 중공부에 내장되고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작용을 수행하는 혼합부재로 구성된 노즐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바디는 사각봉 형상의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봉 형상의 배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혼합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관통된 "I" 자 형상의 지주, 상기 통공을 구획하는 격리편, 상기 지주와 격리편에 연결되고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주제 및 경화제의 흐름을 유도하여 혼합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유도편이 구비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의하면, 하나의 용기에 주제와 경화제를 분리, 저장하고 자동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볍고 부피가 작아서 취급과 사용이 간편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는 주제 및 경화제의 주입을 위한 2개의 용기를 갖출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 절감되고, 사용후의 폐기물의 배출수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의하면 통상적인 원통형 카트리지의 사용시 이용되는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 있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휴대, 보관 및 취급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제1 밀봉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제2 밀봉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가압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노즐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9a, 도9b,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를 케미컬 앵커의 카트리지로 적용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적용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폭시, 우레탄 등의 다양한 이액 형 조성물의 카트리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는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케미컬 앵커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 저장하여 별도의 혼합작업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수용부재(1), 보조수용부재(2), 제1 밀봉부재(3), 제2 밀봉부재(4), 가압부재(5)를 구비한다.
메인수용부재(1)는 내부에 주제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공간(1a)이 마련된 원통형 구조로서 메인수용몸체(11)의 일측 단부(전방 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1 토출구(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토출구(12)의 내주면에는 후술되는 제2 토출구(22)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수용부재(1)의 제1 토출구(12)에는 제1 및 제2 수용공간(1a,2a) 내부에 수용된 주제 및 경화제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부재(13)가 체결되어 있다. 이 마개부재(13)는 미사용시 주제 및 경화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보조수용부재(2)는 제1 수용공간(1a)과 구획되는 경화제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공간(2a)이 마련되도록 메인수용부재(1)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구성으로, 메인수용부재(1)에 비해 직경이 작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보조수용몸체(21)의 전방에 제1 토출구(12)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제2 토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수용부재(2)는 가압부재(5)의 전진 이동시에 후술되는 커터부에 의해 쉽게 절개된 후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메인수용부재(1)의 소재에 비해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메인수용부재(1)가 딱딱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보조수용부재(2)는 가요성을 갖는 연질 합성수지나 실리콘계 수지 등으로 성형될 수 있다.
제2 토출구(22)는 보조수용몸체(21)의 선단부에 돌출되는 스트로 형태의 부재로서 복수의 리브(221)에 의해 지지되고, 그 외주면에는 제1 토출구(12)의 암나사산에 체결되는 나사부(22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토출구(12)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간격유지돌기(223)가 돌출되어 있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제1 밀봉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5a는 전면에서 도시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5b는 후면에서 도시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4, 도5a 및 도5b를 참조하면, 제1 밀봉부재(3)는 제2 수용공간(2a)의 후방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고 전체적인 외관 구조가 대략 원형 캡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펜서(미도시,통상적으로 카트리지 주입식 용기의 취급을 위한 도구로서 통상 주입건으로 호칭됨)의 밀판(p, 도9 참조)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이하, 케미컬 앵커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함)으로 이동되면서 경화제를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밀폐돌부(31), 제1 기밀링(32), 가이드돌부(33), 제1 끼움홈(34)을 구비한다.
밀폐돌부(31)는 제1 수용공간(1a)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진 이동시에 경화제를 제2 토출구(22)측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원형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기밀링(32)은 밀폐돌부(31)의 둘레에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부에 의해 밀폐돌부(31)와 연결, 형성된 것으로, 제1 밀봉부재(3)의 전진 이동시에 보조수용부재(2)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면서 이동된다. 그리고, 제1 기밀링(32)은 연질성 소재에 의해 길이가 짧은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기밀특성의 향상을 위해 중앙부의 외경보다 전후부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돌부(33)는 밀폐돌부(31)와 대응되는 후방에 제1 기밀링(32)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로서, 외경이 서로 다른 2개의 원통형 돌출부(331,332)가 다수의 보강핀(333)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끼움홈(34)은 가이드돌부(33)와 제1 기밀링(32) 사이에 요입, 형성되는 홈으로서 후술되는 가압부재(5)의 제1 가압부(51)가 삽입, 안착된다.
그리고, 밀폐돌부(31)와 제1 기밀링(32) 사이에는 텐션홈(35)이 요입, 형성되어 제1 기밀링(32)의 앞쪽 부분이 어느 정도 내외측으로 가요성 갖도록 함으로써 제1 기밀링(32)의 앞쪽 부분이 보조수용부재(2)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제2 밀봉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6a는 전면에서 도시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6b는 후면에서 도시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4,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제2 밀봉부재(4)는 제1 수용공간(1a)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고 전체적인 외관 구조가 중공부를 갖는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고, 디스펜서(미도시)의 밀판 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주제를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제2 기밀링(41), 제3 기밀링(42), 제2 끼움홈(43)을 구비한다.
제2 기밀링(41)은 보조수용부재(2)의 외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도록 중공부(44)를 갖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제2 밀봉부재(3)의 전진 이동시에 보조수용부재(2)의 외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면서 이동된다.
제3 기밀링(42)은 제2 기밀링(41)의 둘레에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부(45)에 의해 일체로 연결, 형성된 것으로, 제2 밀봉부재(4)의 전진 이동시에 메인수용부재(1)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면서 이동된다. 그리고, 제3 기밀링(42)은 연질성 소재에 의해 길이가 짧은 원통 구조로 형성되고 기밀특성의 향상을 위해 중앙부의 외경보다 전후부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끼움홈(43)은 제2 밀봉부재(4)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및 제3 기밀링(41,42) 사이에 요입, 형성되는 홈으로서 가압부재(5)의 제2 가압부(52)가 삽입, 안착된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가압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7a는 전면에서 도시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7b는 후면에서 도시되는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4,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가압부재(5)는 메인수용부재(1)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밀봉부재(3,4)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동시에 이동시 보조수용부재(2)를 절개시키는 부재로서, 제1 가압부(51), 제2 가압부(52) 및 커터부(53)가 구비되어 있다.
제1 가압부(51)는 가압부재(5)의 중심에 배치되어 제1 밀봉부재(3)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부분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1 가압몸체(511) 전방에 제1 밀봉부재(3)의 제1 끼움홈(34)으로 삽입되는 가압돌부(512)가 형성되고, 후방에 디스펜서의 밀판이 안착되는 안착부(5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가압부(51)는 디스펜서(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사용에 이용되는 주입건 형태의 도구)의 밀판이 정위치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돌기(514)가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돌기(514)는 제1 및 제2 가압부(51,52)를 연결하는 연결부(54)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로 형성된다.
또한, 제1 가압부(51)는 절개된 보조수용부재(2)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안착부(513)와 접한 제1 가압몸체(511)에 굴곡부(513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압부(52)는 제1 가압부(51)의 둘레에 배치되어 제2 밀봉부재(4)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부분으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가압몸체가 연결부(54)에 의해 제1 가압부(5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이때, 제2 가압부(52)는 그 내주면과 제1 가압몸체(511) 외주면과의 사이에 이격 틈새(5a)를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제2 가압부(52)의 외주면에는 제2 밀봉부재(4)의 전진 이동시에 마찰력을 최소화 하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522)가 등각도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커터부(53)는 이동시에 보조수용부재(2)를 절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 및 제2 밀봉부재(3,4)의 전진 이동시에 보조수용부재(2)가 인입되는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51,52) 사이의 이격 틈새(5a)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터부(53)는 보조수용부재(2)를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 개로 절개할 수 있는 구조라면 형태나 구조에 제한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압몸체(511)의 외주면과 제2 가압부(52)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커팅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커팅판은 선단부가 날카롭게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등각도로 4개의 커팅판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노즐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도8의 확대부 B는 혼합부재의 후방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메인수용부재(1)의 제1 토출구(12)에는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면서 배출시키는 노즐부재(6)가 체결되어 있다.
노즐부재(6)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노즐바디(61)와, 노즐바디(61)의 중공부에 내장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작용을 수행하는 혼합부재(62)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바디(61)는 사각봉 형상의 혼합부(61a)와, 이 혼합부(61a)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봉 형상의 배출부(61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바디(61)는 제1 토출구(12)에 체결되는 체결부(61c)와, 이 체결부(61c)와 접한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홈(6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홈(61d)는 노즐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8에서는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고 걸림홈(61d)의 형성됨에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만 도시되어 있다.
혼합부재(62)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통공(62b)이 관통된 "I" 자 형상의 지주(62a), 각 통공(62b)을 2개의 홀로 구획하도록 지주에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판 형상의 격리편(62c), 지주(62a)와 격리편(62c)에 연결되고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통공으로 주제 및 경화제의 흐름을 유도하여 혼합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유도편(62d,62e)으로 구성된다.
지주(62a)에는 혼합부재가 노즐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 정위치되어 고정되도록 걸림홈(61d)에 삽입되는 걸림돌부(62f)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편(62d,62e)은 대략 "ㄴ" 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유도편(62d)이 지주(62a)의 일측 및 타측으로 엇갈리게 돌출, 형성되되, 혼합효과의 향상을 위해 수 개의 제1 유도편(62d)이 배치된 후 대각방향으로 연결, 배치되는 제2 유도편(62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9a, 도9b,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9a는 제1 밀봉부재의 삽입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9b는 제2 밀봉부재의 삽입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9c는 가압부재의 삽입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수용부재(1)의 내부에 보조수용부재(2)를 삽입, 설치하고, 제1 토출구에 마개부재(7)를 체결하여 앞부분을 밀봉시킨 다음 보조수용부재(2)의 제2 수용공간(2a)에 경화제를 주입하고 메인수용부재(1)의 제1 수용공간(1a)에 주제를 주입한다.
이후,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밀봉부재(3)를 보조수용부재(2)의 후방 개구부에 삽입한 다음 제1 가압도구(7)를 이용하여 압입하여 제1 기밀링이 보조수용부재(2)의 후방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이때, 제1 가압도구(7)는 손잡이부(72)에 가이드돌부(33)의 외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는 조립부(71)가 형성된 봉상부재로 구성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밀봉부재(3)가 설치되면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밀봉부재(4)를 메인수용부재(1)와 보조수용부재(2) 사이에 해당되는 후방 개구부에 삽입한 다음 제2 가압도구(8)를 이용하여 제2 기밀링이 메인수용부재(1)의 내주면에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제2 가압도구(8)는 비교적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제1 조립부(81)와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2 조립부(82)로 이루어진 봉상부재로서 제1 조립부(82)를 이용하여 제2 밀봉부재(4)를 압입한다. 아울러, 제2 밀봉부재(4)의 압입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링(9)을 메인수용부재(1)의 외주면에 끼워넣은 다음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밀봉부재(3,4)가 설치되면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5)를 제1 및 제2 밀봉부재(3,4)의 후면에 결합한 다음 제2 가압도구(8)의 제2 조립부(82)를 밀착시켜 가압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가압부재(5)의 제1 가압부(51)가 제1 밀봉부재(3)의 제1 끼움홈(34)으로 삽입,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고 제2 가압부(52)가 제2 밀봉부재(4)의 제2 끼움홈(43)으로 삽입,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어 메인수용부재(1)의 후방에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의 사용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를 디스펜서에 설치하고 메인수용부재(1)의 제1 토출구(12)의 마개부재(7)를 제거한 다음 노즐부재(6)를 체결한다.
이후 디스펜서의 조작편(미도시)에 조작력을 인가하여 밀판(p)을 전진시키게 되면 가압부재(5)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 밀봉부재(3) 및 제2 밀봉부재(4)를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보조수용부재(2)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51,52) 사이에 형성된 이격 틈새(5a) 내부로 진입한 후 커터부(53)에 의해 컷팅되어 띠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조각(2b)으로 절개된다.
그리고, 제1 밀봉부재(3) 및 제2 밀봉부재(4)가 전진 이동되면 제1 및 제2 수용공간(1a,2a)에 수용된 주제 및 경화제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제1 및 제2 토출구(12,22)를 통해 주제 및 경화제가 토출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토출구(12,22)를 통해 배출되는 주제 및 경화제는 노즐바디(61)의 내부로 유입되고, 혼합부재(62)를 경유하여 이동되면서 서로 혼합된 후 노즐바디(61)의 배출공으로 배출된다. 이때, 주제 및 경화제는 I 자의 지주(62a)에 다수의 통공(62b)과 격리편(62c) 및 유도편(62d,62e)으로 이루어진 혼합부재(62)를 통과하게 되므로 혼합과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메인수용부재 1a:제1 수용공간
11:메인수용몸체 12:제1 토출구
2:보조수용부재 2a:제2 수용공간
21:보조수용몸체 22:제2 토출구
3:제1 밀봉부재 31:밀폐돌부
32:제1 기밀링 33:가이드돌부
34:제1 끼움홈 4:제2 밀봉부재
41:제2 기밀링 42:제3 기밀링
43:제2 끼움홈 5:가압부재
5a:이격 틈새 51:제1 가압부
511:제1 가압몸체 512:가압돌부
513:안착부 514:이탈방지돌기
52:제2 가압부 53:커터부
54:연결부 6:노즐부재
61:노즐바디 62:혼합부재

Claims (6)

  1.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내부에 주제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 단부에 제1 토출구가 형성된 메인수용부재;
    상기 메인수용부재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과 구획되는 경화제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제1 토출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2 토출구가 형성된 보조수용부재;
    상기 제2 수용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제1 밀봉부재;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제2 밀봉부재; 및
    상기 메인수용부재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밀봉부재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동시에 이동시 상기 보조수용부재를 절개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 밀봉부재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가압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밀봉부재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에 형성되어 이동시에 상기 보조수용부재를 절개시키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상기 제2 수용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폐돌부, 상기 밀폐돌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수용부재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는 링 형상의 제1 기밀링, 상기 밀폐돌부와 대응되는 후방에 돌출되는 가이드돌부, 상기 가이드돌부와 상기 제1 기밀링 사이에 요입, 형성되는 제1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보조수용부재의 외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는 링 형상의 제2 기밀링, 상기 제2 기밀링의 둘레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메인수용부재의 내주면에 기밀적으로 밀착되는 제3 기밀링, 상기 제2 및 제3 기밀링의 후방에 요입, 형성되는 제2 끼움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원통 형상의 제1 가압몸체 전방에 상기 제1 끼움홈으로 삽입되는 가압돌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디스펜서의 밀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가압부는 원통 형상의 제2 가압몸체가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제1 가압몸체의 둘레에 이격 틈새를 갖도록 배치되고 전방에 제2 끼움홈에 삽입되는 가압돌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터부는 상기 제1 가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가압부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는 커팅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밀링 및 제3 기밀링은 기밀특성의 향상을 위해 중앙부의 외경보다 전후부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 밀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구에 체결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노즐바디와, 상기 노즐바디의 중공부에 내장되고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작용을 수행하는 혼합부재로 구성된 노즐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노즐바디는 사각봉 형상의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의 선단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봉 형상의 배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혼합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공이 관통된 "I" 자 형상의 지주, 상기 통공을 구획하는 격리편, 상기 지주와 격리편에 연결되고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기 통공으로 주제 및 경화제의 흐름을 유도하여 혼합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유도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KR1020130010578A 2013-01-30 2013-01-30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KR10145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78A KR101458476B1 (ko) 2013-01-30 2013-01-30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578A KR101458476B1 (ko) 2013-01-30 2013-01-30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884A true KR20140097884A (ko) 2014-08-07
KR101458476B1 KR101458476B1 (ko) 2014-11-07

Family

ID=5174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578A KR101458476B1 (ko) 2013-01-30 2013-01-30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4587A (zh) * 2017-02-15 2017-06-13 刘奕泽 喷头
CN106912317A (zh) * 2017-04-27 2017-07-04 高双喜 园艺盆塔系统
KR20180067380A (ko) 2016-12-12 2018-06-20 권순범 이액형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281B1 (ko) * 2022-03-22 2022-07-15 주식회사 한성케이티아이 지반 그라우팅용 선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2012DN01429A (ko) * 2009-11-04 2015-06-05 Graco Minnesota Inc
KR101016412B1 (ko) * 2010-02-08 2011-02-21 주식회사 휴먼텍 이액 패키지 카트리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380A (ko) 2016-12-12 2018-06-20 권순범 이액형 디스펜서
CN106824587A (zh) * 2017-02-15 2017-06-13 刘奕泽 喷头
CN106912317A (zh) * 2017-04-27 2017-07-04 高双喜 园艺盆塔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476B1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476B1 (ko)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CN102556516B (zh) 带有并列式流体室的多组分分配料筒和方法
US8826627B2 (en) Joint method for reinforcing bar
KR940008752B1 (ko) 약액주입기
US8899446B2 (en) Apparatus for mixing and dispensing multiple flowable components
GB118419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dhesive Joints
US10105731B2 (en) Cartridg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ulticomponent cartridge
US20040188465A1 (en) Stabilizing cap for dual-compartment adhesive dispensing cartridge
US10399730B2 (en) Set of multicomponent cartridges
US20190091720A1 (en) Battery powered dispenser for one and two component foils and cartridges
KR20100070986A (ko) 2성분 용기
US20070129672A1 (en) Epoxy syringe storage clip
JP2023166595A (ja) 注入器
KR20180094358A (ko) 이액형 분사장치
EP3251756A1 (en) Housing and dispenser
KR101222177B1 (ko) 통합형 케미컬 앵커
JP2534939Y2 (ja) クラック充填剤の注入具
NZ571392A (en) Anchor bolt with internal hardenable substance and mixing element
KR20120028925A (ko) 일회용 다성분 카트리지
KR101590176B1 (ko) 튜브타입 일체형 주입식 케미컬 앵커
KR100573429B1 (ko) 주입식 케미컬 앵커
JP2020158160A (ja) 接着剤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接着剤カートリッジの使用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1131190B1 (ko) 일체형 케미컬 앵커 인젝션 카트리지
JP2015004205A (ja) 流動性補修材注入器
US11148872B2 (en) Two-component pressurized c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