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380A - 이액형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이액형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380A
KR20180067380A KR1020160169056A KR20160169056A KR20180067380A KR 20180067380 A KR20180067380 A KR 20180067380A KR 1020160169056 A KR1020160169056 A KR 1020160169056A KR 20160169056 A KR20160169056 A KR 20160169056A KR 20180067380 A KR20180067380 A KR 20180067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ver
case body
couple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범
Original Assignee
권순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범 filed Critical 권순범
Priority to KR1020160169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380A/ko
Publication of KR2018006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65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the materials to be mixed being directly submitted to a pulsating movement, e.g. by means of an oscillating piston or air column
    • B01F11/0071
    • B01F15/00922
    • B01F15/02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3/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이액형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커버가 구비된 케이스 부재; 상기 제2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피스톤 본체, 상기 제1 커버로 유입된 에어에 의해 상기 피스톤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스톤 본체의 선단에 고정되는 이동구, 상기 피스톤 본체가 복귀되도록 상기 피스톤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피스톤 부재;를 마련하여 이동구에 의해 피스톤 본체가 에어에 의해 이동되므로 피스톤 본체의 틀어짐을 방지하게 되고, 이액형 디스펜서가 에어에 의해 동작하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에어의 공급에 의해 이동된 피스톤 본체 및 이동구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귀시킬 수 있고, 피스톤 본체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조작이 필요없게 되며, 카트리지에 저장된 이액형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이액형 디스펜스{Liquid Type Dispenser}
본 발명은 이액형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압력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켜 자동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액형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액형 디스펜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서로 종류가 다른 액상물질인 이액(二液)을 정해진 유량과 압력 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장치이다.
고점도의 에폭시·우레탄·실리콘 등과 같은 주재의 수지물과 부재인 경화제들을 정확한 양으로 혼합 토출하는 공급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액형 디스펜서는 건축물, 구조물 등의 균열 보수 시 빔이나 철판 보강 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액체를 정확하게 혼합하고자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이액형 디스펜서는 주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펌프, 공급된 주재료를 보관하는 보관 탱크, 이를 다시 공급 펌프나 모터를 이용하여 혼합 건으로 이송하는 이송 동력 장치 및 최종 수지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혼합 믹서로 되어 있으며, 공급하는 방법에 따라 공압식, 유압식, 전동식, 기어식, 다이아프램식 및 PC(Progressive Cavity)로 나눌 수 있다.
아울러 치과에서 치아의 형상을 만들기 위해서도 이액형 디스펜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액행 디스펜서의 종류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수동으로 조작되는 이액형 디스펜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액형 물질을 밀어줌에 따라 원하는 정량으로 혼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전동으로 작동되는 이액형 디스펜서는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므로, 배터리 소모로 인하여 배터리의 충전시간 동안 이액형 디스펜서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작동방법이 복잡하고, 이액형 디스펜서의 가격이 고가이어서 치아의 보철물을 성형하는 데에서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액형 접착제의 디스펜서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례로 국내 등록특허 제10-915047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액형 접착제의 디스펜서는 각각의 덮개로 상면이 개폐되고 접착제와 경화제인 저장물들이 각각 저장되어 토출이 가능하도록 2조의 저장탱크, 이들 각 저장탱크들의 하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각 저장탱크들의 저장물인 접착제와 경화제들이 기어펌프를 이용하여 설정된 정량으로 공급되게 하는 정량공급수단이 마련된다.
또 정량공급수단으로부터 호스를 통해 접착제와 경화제들을 받아 혼합기로 혼합한 후 노즐을 통해 피 접착물의 판재에 이액형 접착제를 도포시키는 이액도포수단 및 그리고 정량공급수단을 통하여 저장탱크에서의 저장물인 접착제와 경화제들의 정량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탱크의 압력과 저장물의 양을 체크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이액형 접착제의 공급장치에서는 2조의 저장탱크들 각각에 저장물인 접착제와 경화제들을 분리 저장하고, 이들 각 저장탱크들의 각 저장물들은 각각의 덮개에서 구비되는 에어밸브로 공급되는 공압에 의한 압송방식으로 저면의 배출구를 통해 각 정량공급수단들로 공급된다.
이렇게 각 정량공급수단에서 공급된 각각의 저장물들은 기어펌프를 이용해 이액도포수단 측으로 압송과 동시 소정의 혼합비로 혼합기를 통과하면서 이액형 접착제화 된 후 노즐을 통해 토출시키어 소기의 도포작업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2조의 저장탱크들을 이용해 주제인 접착제와 부제인 경화제를 충전식으로 각각 분리 저장하고, 각 저장탱크에 분리 저장된 저장물들을 각 정량공급수단들을 이용해 이액도포수단으로 압송된다.
이러한 접착제의 공급장치에서는 연속적으로 충전되며 사용되는 저장탱크에서의 저장물 잔류, 다시 설명하면 장치의 정지 시 다 사용되지 못한 저장탱크 내에서의 저장 잔류물(접착제ㆍ 경화제)과 저장탱크로부터 정량공급수단 그리고 이액도포수단으로 연이어져 불필요하게 여러 단계를 거쳐 길어진 압송경로에서의 압송 잔류물(접착제ㆍ 경화제)로 인한 경화현상 방지를 위한 내부 청소 등 장치의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이액형 접착제의 디스펜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이액형 접착제의 디스펜서는 주 판재의 보강을 위해 덧대는 부 판재의 접합 또는 2개의 판재물들 접합공정 시 경화시간 단축을 위해 접착제에 부가적으로 경화제가 첨가되는 이액형 접착제의 디스펜서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종방향에서 전장 길이로 설치되고, 상부 측에 구비되는 서보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볼 스크류, 상기 볼 스크류를 타고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블록을 포함한다.
또 상기 이동블록에 하향으로 설치되는 제1 및 제2푸서들,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의 일방이 개방된 반구형으로 이룬 기저요소, 이 기저요소의 선단부에서 내외측으로 들락날락하면서 카트리지의 제1저장통을 결속·해제하는 결속놉으로 이룬 클램프를 이용해 탈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푸서들 각각에 대응 설치되어 각기 분리 저장시킨 접착제와 경화제들이 상기 제1 및 제2푸서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토출되게 하는 제1 및 제2저장통들로 이룬 카트리지가 구비된다.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서 암수의 형합구조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저장통들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제와 경화제를 나선형상의 혼합기로 이액형 접착제화하여 토출시키는 노즐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는 내부에 주제의 수용을 위한 제1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측 단부에 제1 토출구가 형성된 메인수용부재, 상기 메인수용부재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공간과 구획되는 경화제의 수용을 위한 제2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제1 토출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2 토출구가 형성된 보조수용부재; 상기 제2 수용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제1 밀봉부재, 상기 제1 수용공간의 타측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되는 제2 밀봉부재 및 상기 메인수용부재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밀봉부재에 가압력을 인가시키는 동시에 이동 시 상기 보조수용부재를 절개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04224호(2014년 6월 27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97884호(2014년 8월 7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1-0104427호(2001년 11월 26일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88297호(2002년 9월 10일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2개의 이액형 물질을 동일한 양으로 압출시키는 이액형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의 압력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한 이액형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 에어 배기로 인한 별도의 조작이 불필요한 이액형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는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커버가 구비된 케이스 부재; 상기 제2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피스톤 본체, 상기 제1 커버로 유입된 에어에 의해 상기 피스톤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스톤 본체의 선단에 고정되는 이동구, 상기 피스톤 본체가 복귀되도록 상기 피스톤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제1 커버를 통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구와 함께 전진한 다음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버가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 상기 제1 나사부의 내측에 오링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오링홈부; 상기 제2 커버가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 상기 제2 나사부의 내측에 오링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오링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커버는 일측에 공기유입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입공;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3 나사부; 상기 제3 나사부의 선단에 제2 오링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피스톤 본체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피스톤 구멍; 상기 피스톤 구멍의 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 상기 안착홈부에 카트리지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 구멍은 오링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오링홈부; 상기 피스톤 본체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 상기 피스톤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피스톤 머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머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구는 일면에 에어의 압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조절홈부;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본체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에 의하면, 이동구에 의해 피스톤 본체가 에어에 의해 이동되므로 피스톤 본체의 틀어짐을 방지하게 되고, 이액형 디스펜서가 에어에 의해 동작하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에어의 공급에 의해 이동된 피스톤 본체 및 이동구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귀시킬 수 있고, 피스톤 본체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조작이 필요없게 되며, 카트리지에 저장된 이액형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일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타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의 제2 커버를 도시한 일부 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일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타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는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케이스 본체(11),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14) 및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커버(23)가 구비된 케이스 부재(10), 상기 제2 커버(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피스톤 본체(31), 상기 제1 커버(14)로 유입된 에어에 의해 상기 피스톤 본체(31)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선단에 고정되는 이동구(34), 상기 피스톤 본체(31)가 복귀되도록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38)이 구비된 피스톤 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는 에어에 의해 피스톤 본체(31)를 이동시켜 카트리지(미도시)에 채워진 혼합대상물을 배출시킨 다음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카트리지에 수용된 이액형 물질을 동일하게 배출시켜 혼합시킴은 물론 에어의 공급 외에 별도의 조작 없이 동작이 완료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는 내측에 피스톤 부재(30)가 설치되는 케이스 부재(10)와 상기 케이스 부재(10)에 공급된 에어와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 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부재(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11),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14),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커버(23)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스톤 부재(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피스톤 본체(31),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일단에 고정되어 에어에 의해 이동시키는 이동구(34), 상기 피스톤 본체(31)를 원위치시키는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11),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14)와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커버(23) 및 상기 제1 커버(14)에 결합되는 공기유입관(17)을 포함한다.
상기 상기 케이스 본체(1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버(14)가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12), 상기 제1 나사부(12)의 내측에 오링(2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오링홈부(12a), 상기 제2 커버(23)가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13), 상기 제2 나사부(13)의 내측에 오링(22)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오링홈부(13a)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본체(11)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양단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일측에는 제1 커버(14)가 결합되도록 제1 나사부(12)가 형성되고, 제1 나사부(1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오링홈부(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나사부(12)에는 제1 커버(14)가 체결되고, 제1 오링홈부(12a)는 케이스 본체(11)와 제1 커버(14)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2 오링(21)이 결합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또 케이스 본체(11)의 타측에는 제2 커버(23)가 결합되도록 제2 나사부(13)가 형성되고, 제2 나사부(13)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 오링홈부(13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나사부(13)에는 제2 커버(23)가 체결되고, 제2 오링홈부(13a)는 케이스 본체(11)와 제2 커버(23) 사이를 밀폐시키는 제3 오링(22)이 결합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버(14)는 일측에 공기유입관(17)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입공(15), 상기 제1 커버(14)가 상기 케이스 본체(11)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3 나사부(16), 상기 제3 나사부(16)의 선단에 제2 오링(21)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단턱(16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14)는 제1 나사부(12)에 결합되어 케이스 본체(11)의 일측을 밀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 커버(14)는 단면상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버(14)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공기유입공(15)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나사부(12)에 체결되도록 제3 나사부(16)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3 나사부(16)에는 제2 오링(21)이 장착되도록 단턱(16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버(14)의 공기유입공(15)은 공기유입관(17)이 체결되도록 나사부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관(17)은 제1 커버(14)에 결합되어 케이스 본체(11)의 내측으로 에어가 공급되게 한다. 상기 공기유입관(17)에는 컴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일측에 니플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17)의 타측에는 제1 커버(14)에 결합되도록 제4 나사부(19)가 형성된다.
즉, 제1 커버(14)의 공기유입공(15)과 제4 나사부(19)는 암수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체결되게 한다. 아울러 케이스 본체(11)의 제1 오링홈부(12a)와 단턱(16a) 사이에는 케이스 본체(11)와 제1 커버(14)를 밀폐시키는 제2 오링(21)이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1)의 타측에는 케이스 본체(11)의 타측을 밀폐시키는 제2 커버(23)가 마련된다.
상기 제2 커버(23)는 상기 케이스 본체(11)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나사부(25), 상기 피스톤 본체(11)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피스톤 구멍(26), 상기 피스톤 구멍(26)의 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27), 상기 안착홈부(27)에 카트리지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28)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버(23)에는 일측에 단턱(24)이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1)의 제2 나사부(13)에 결합되도록 나사부(25)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24)은 케이스 본체(11)의 제2 오링홈부(13a) 사이에 제3 오링(22)을 설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커버(23)에는 한 쌍의 피스톤 본체(3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피스톤 구멍(26)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구멍(26)은 오링(4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오링홈부(26a), 상기 피스톤 본체(1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26b), 상기 피스톤 본체(11)의 일단에 형성된 피스톤 머리(33)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머리홈부(26c)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 구멍(26)은 오링(40)이 끼워져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오링홈부(26a)와 상기 피스톤 본체(31)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26b) 및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피스톤 머리(33)가 안착되는 머리홈부(26c)로 이루어진다.
한편 피스톤 구멍(26)은 2개의 피스톤 본체(31)가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링홈부(26a)는 오링(40)이 안착되도록 소정 깊이와 직경으로 형성되며, 오링홈부(26a)의 내측에는 피스톤 본체(3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결합구멍(26b)이 형성되고, 결합구멍(26b)의 내측에는 피스톤 본체(31)의 피스톤 머리(33)가 안착되는 머리홈부(26c)가 형성된다.
또 제2 커버(23)의 타측에는 서로 다른 2 종류의 혼합하고자 하는 카트리지(미도시)가 결합되는데, 상기 카트리지가 보다 안정되게 결합되는 안착홈부(27)가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가 안착홈부(27)로의 결합 시 카트리지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홈부(28)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부(27)는 2개의 피스톤 본체(31)에 대응되게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의 일단이 밀착되게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안내홈부(28)는 2개의 카트리지의 결합 시 카트리지를 밀착홈부(27)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부재(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피스톤 본체(31),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일단에 고정되는 이동구(34), 상기 피스톤 본체(3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 본체(31)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는 이동구(34)에 고정되도록 나사부(3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피스톤 머리(33)가 형성된다.
또 이동구(34)는 케이스 본체(11)의 내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에어의 압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구(34)의 일면에는 에어의 압력을 받도록 소정 깊이의 조절홈부(35)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구(34)의 타면에는 피스톤 본체(31)의 나사부(32)가 체결되도록 한 쌍의 고정구멍(36)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본체(31)에는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스프링(38)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38)의 일측에는 이동구(34)에 밀착되도록 제1 부시(37)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38)의 타측에는 제2 커버(23)에 밀착되도록 제2 부시(39)가 구비되며, 스프링 본체(31)와 제2 커버(23)의 오링홈부(26a)에 끼워져 결합되는 오링(40)이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의 제2 커버를 도시한 일부 확대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액형 디스펜서는 이동구(34)의 이동 시 원활하게 이동됨과 함께 피스톤 본체(31)의 이동이 흔들림 없이 이동되도록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멍(29)이 형성된다.
즉, 배출구멍(29)은 제2 커버(23)에 형성되는데, 도 5에서와 같이 피스톤 구멍(26)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는 일정 직경의 중공의 형상으로 케이스 본체(11)를 형성하며, 케이스 본체(11)의 양단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일측에는 제1 커버(14)와 결합되도록 제1 나사부(12)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제2 커버(23)와 결합되도록 제2 나사부(13)를 형성한다.
또 제1 나사부(12)에는 제2 오링(21)을 설치하도록 제1 오링홈부(12a)를 형성하고, 제2 나사부(13)에는 제3 오링(22)을 설치하도록 제2 오링홈부(13a)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커버(14)는 공기유입관(17)을 설치하도록 일측에 공기유입공(15)을 형성하고, 타측에 제3 나사부(16)를 형성한다. 상기 나사부(16)에는 제2 오링(21)을 설치하도록 단턱(16a)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커버(14)는 케이스 본체(11)의 제1 나사부(12)에 체결한다. 이때 케이스 본체(11)의 제1 오링홈부(12a)와 제1 커버(14)의 단턱(16a) 사이에는 제1 커버(17)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제2 오링(21)을 설치한다.
아울러 공기유입관(17)은 에어 컴프레셔(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니플부(18)를 형성하고, 니플부(18)의 타측에는 제1 커버(14)의 공기유입공(15)에 체결되는 제4 나사부(19)를 형성한다.
상기 제2 커버(23)는 제3 오링(22)을 설치하도록 일면에 단턱(24)을 형성하고, 단턱(24)의 내측에는 케이스 본체(11)의 제2 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나사부(25)를 형성한다.
또한 제2 커버(23)에는 한 쌍의 피스톤 본체(31)를 설치하도록 피스톤 구멍(26)을 형성한다. 상기 피스톤 구멍(26)은 오링(40)을 설치하는 오링홈부(26a)를 형성하고, 오링홈부(26a)에 연통되는 결합구멍(26b)을 형성하며, 오링홈부(26b)에 연통되는 머리홈부(26c)를 형성한다.
아울러 오링홈부(26a)와 머리홈부(26c)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며, 결합구멍(26b)은 오링홈부(26a) 및 머리홈부(26c)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다.
또 제2 커버(23)의 타면에는 카트리지(미도시)를 끼워 결합하도록 안착홈부(27)를 형성하고, 대략 'U'자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안내홈부(28)를 형성한다.
아울러 제2 커버(23)에는 피스톤 부재(30)의 이동구(34)와 피스톤 본체(31)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에어가 배출되는 배출구멍(29)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출구멍(29)은 이동구(34)가 제1 커버(14)의 공기유입공(15)을 통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이동될 때 반력을 제거시켜 줌으로써 이동구(34)와 피스톤 본체(31)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게 한다.
한편 피스톤 부재(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직경의 피스톤 본체(31)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일측에 나사부(32)를 형성하고, 피스톤 본체(31)의 타측에 피스톤 머리(33)를 형성한다.
상기 피스톤 본체(31)는 제1 커버(14)를 통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구(34)에 결합되는데, 상기 이동구(34)는 제1 커버(14)를 통해 유입된 에어의 압력을 받는 조절홈부(35)를 형성하며, 조절홈부(35)의 타면에는 피스톤 본체(31)의 나사부(32)가 체결되도록 고정구멍(36)을 형성한다.
아울러 이동구(34)의 외면에는 제1 오링(2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홈부(34a)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부(34a)에 설치되는 제1 오링(20)은 케이스 본체(11)의 내면과 이동구(34) 사이를 밀폐시켜 에어가 새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외측에는 피스톤 본체(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38)을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38)의 양단, 즉 이동구(34)와 제2 커버의 피스톤 구멍(26)에 밀착되는 제1 부시(37)와 제2 부시(39)를 설치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1)의 제1 나사부(12)에는 제1 커버(14)의 제3 나사부(16)를 체결하며, 케이스 본체(11)의 제1 오링홈부(12a)에는 제2 오링(21)을 결합하여 케이스 본체(11)와 제1 커버(14)를 밀폐된 상태로 결합한다.
아울러 제1 커버(14)의 공기유입공(15)에는 공기유입관(17)의 제4 나사부(19)를 체결하여 결합한다. 또 공기유입관(17)의 니플부(18)에는 에어 컴프레셔(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호스를 연결한다.
아울러 제2 커버(23)의 피스톤 구멍(26)에는 피스톤 본체(31)를 결합한다. 이때 피스톤 본체(31)의 피스톤 머리(33)는 피스톤 구멍(26)의 머리홈부(26c)에 안착되게 결합하고, 피스톤 본체(31)에 오링(40)을 끼워 결합하게 되는데, 오링(40)은 피스톤 구멍(26)의 오링홈부(26a)에 안착되게 결합한다.
또 피스톤 본체(31)에는 스프링(38)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부시(39)를 끼워 결합하고, 스프링(38)을 피스톤 본체(31)의 외측에 위치되게 결합한다.
또한 스프링(38)의 일측에는 스프링(38)을 지지하는 제1 부시(37)를 끼워 결합하며, 이들 피스톤 본체(31)의 나사부(32)에는 이동구(34)를 결합한다.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나사부(32)는 이동구(34)의 고정구멍(36)에 체결하여 고정하며, 이동구(34)의 고정홈부(34a)에는 제1 오링(20)을 끼워 결합한다.
이러한 피스톤 부재(30)는 제2 커버(23)에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11)의 내면에 끼워 결합하며, 케이스 본체(11)의 제2 오링홈부(13a)에 제3 오링(22)을 끼워 결합한다.
상기 제1 커버(14)의 공기유입공(15)에는 공기유입관(17)을 결합하며, 제1 커버(14)의 공기유입공(15)에는 공기유입관(17)의 제4 나사부(19)를 체결하여 결합한다.
한편 공기유입관(17)의 니플부(18)에는 에어호스를 연결하며, 상기 에어호스는 에어 컴프레셔(미도시)에 연결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액형 디스펜서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액형 디스펜서는 에어 컴프레셔에서 발생된 에어가 에어호스를 통해 제1 커버(14)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제1 커버(14)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는 이동구(34)의 조절홈부(35)에 집중되어 이동구(34)를 도 6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이동구(34)는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피스톤 본체(31)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도면상 이동구(34)의 오른쪽에 채워진 에어는 이동구(34)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출구멍(29)을 통해 케이스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본체(31)와 이동구(34)는 케이스 본체(11)의 내부에 채워진 에어가 배출됨에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뿐만 아니라 피스톤 본체(31)의 이동 시 직진성을 갖고 이동되어 카트리지에 채워진 조성물을 균일한 양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커버(23)의 안착홈부(27)에는 서로 다른 2 종류의 조성물이 저장된 카트리지(미도시)가 끼워져 결합되며, 이러한 카트리지는 피스톤 본체(31)의 피스톤 머리(33)에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 본체(31)는 도 6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카트리지의 내용물을 밀어주게 되고, 이때 이동구(34)는 에어에 의해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어 2개의 피스톤 본체(31)에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피스톤 본체(31)는 카트리지에 저장된 내용물을 균일한 압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카트리지의 선단에서 내용물을 균일한 양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 본체(31)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1 커버(14)를 통해 유입되는 에어는 정지되고, 상기 이동구(34)는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렇게 피스톤 본체(31)와 이동구(34)는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제2 커버(23)의 안착홈부(27)에 결합된 카트리지는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되고, 카트리지에 저장된 내용물을 한 쌍의 피스톤 본체(31)의 이동으로 동일한 압력에 의해 균일하게 배출시켜 혼합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케이스 부재 11: 케이스 본체
12: 제1 나사부 12a: 제1 오링홈부
13: 제2 나사부 13a:제2 오링홈부
14: 제1 커버 15: 공기유입공
16: 제3 나사부 17: 공기유입관
18: 니플부 19: 제4 나사부
20: 제1 오링 21: 제2 오링
22: 제3 오링 23: 제2 커버
24: 단턱 25: 나사부
26: 피스톤 구멍 26a: 오링홈부
26b: 결합구멍 26c: 머리홈부
27: 안착홈부 28: 안내홈부
30: 피스톤 부재 31: 피스톤 본체
32: 나사부 33: 피스톤 머리
34: 이동구 35: 조절홈부
36: 고정구멍 37: 제1 부시
38: 스프링 39: 제2 부시
40: 오링

Claims (6)

  1.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커버가 구비된 케이스 부재;
    상기 제2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피스톤 본체, 상기 제1 커버로 유입된 에어에 의해 상기 피스톤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스톤 본체의 선단에 고정되는 이동구, 상기 피스톤 본체가 복귀되도록 상기 피스톤 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제1 커버를 통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구와 함께 전진한 다음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커버가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
    상기 제1 나사부의 내측에 오링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오링홈부;
    상기 제2 커버가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
    상기 제2 나사부의 내측에 오링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오링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일측에 공기유입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입공;
    상기 제1 커버가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3 나사부;
    상기 제3 나사부의 선단에 제2 오링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피스톤 본체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피스톤 구멍;
    상기 피스톤 구멍의 일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
    상기 안착홈부에 카트리지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디스펜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구멍은 오링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오링홈부;
    상기 피스톤 본체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
    상기 피스톤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피스톤 머리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머리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는 일면에 에어의 압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조절홈부;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본체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액형 디스펜서.

KR1020160169056A 2016-12-12 2016-12-12 이액형 디스펜서 KR20180067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056A KR20180067380A (ko) 2016-12-12 2016-12-12 이액형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056A KR20180067380A (ko) 2016-12-12 2016-12-12 이액형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380A true KR20180067380A (ko) 2018-06-20

Family

ID=6276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056A KR20180067380A (ko) 2016-12-12 2016-12-12 이액형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3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82B1 (ko) * 2019-10-02 2021-03-03 장상훈 접힘식 실리콘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자동 투입기
CN113530572A (zh) * 2021-07-30 2021-10-22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速凝剂添加装置
KR20220071744A (ko) 2020-11-24 2022-05-31 (주)수 이액형 도료 분사기용 커플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27A (ko) 2000-04-27 2001-11-26 황병권 이액형 수지 토출기
KR200288297Y1 (ko) 2001-11-17 2002-09-10 황병권 균열부 보수 및 보강용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101404224B1 (ko) 2013-01-18 2014-06-27 오토이엠 주식회사 이액형 접착제의 디스펜서
KR20140097884A (ko) 2013-01-30 2014-08-07 신규철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27A (ko) 2000-04-27 2001-11-26 황병권 이액형 수지 토출기
KR200288297Y1 (ko) 2001-11-17 2002-09-10 황병권 균열부 보수 및 보강용 이액형 약액 주입기
KR101404224B1 (ko) 2013-01-18 2014-06-27 오토이엠 주식회사 이액형 접착제의 디스펜서
KR20140097884A (ko) 2013-01-30 2014-08-07 신규철 이액형 조성물의 혼합사용이 용이한 카트리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82B1 (ko) * 2019-10-02 2021-03-03 장상훈 접힘식 실리콘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실리콘 자동 투입기
KR20220071744A (ko) 2020-11-24 2022-05-31 (주)수 이액형 도료 분사기용 커플러
CN113530572A (zh) * 2021-07-30 2021-10-22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速凝剂添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4248B2 (en) Mixing and dispensing curable multi-component materials
US5893486A (en) Foam dispensing device
CN102556516B (zh) 带有并列式流体室的多组分分配料筒和方法
US6682601B1 (en) Electronic fluid dispenser
KR20200029337A (ko) 다액 혼합 도료의 공급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다액 혼합 도료의 공급 방법
KR20070050398A (ko) 비율이 동일하지 않은 유체를 저장하고 분배하기 위한 이중유체 카트리지
JP6190795B2 (ja) 充填材射出装置
KR20180067380A (ko) 이액형 디스펜서
US10399730B2 (en) Set of multicomponent cartridges
WO2002060594A2 (en) Liquid color pumping method and supply apparatus
CA2824744C (en) Two component fluid metering and mixing system
US5350084A (en) Mixing, metering and dispensing device
JP2011088672A (ja) 一体化された閉止キャップを有するカートリッジ
US11407176B2 (en) Pumping system and method for 3D printing
EP2193836B1 (en) Device for mixing a plastic material with a colouring substance
JP7449512B2 (ja) 液体吐出システム及び液体吐出システム用ホルダ
JP2020040068A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吐出方法並びに塗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10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28

Effective date: 2019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