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763A -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763A
KR20140097763A KR1020130010212A KR20130010212A KR20140097763A KR 20140097763 A KR20140097763 A KR 20140097763A KR 1020130010212 A KR1020130010212 A KR 1020130010212A KR 20130010212 A KR20130010212 A KR 20130010212A KR 20140097763 A KR20140097763 A KR 2014009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tube
plasma
quartz tub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644B1 (ko
Inventor
김선호
정장근
Original Assignee
김선호
정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정장근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102013001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6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using electrical dischar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발생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유전체관 내에 삽입되어 있는 방전극에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아크성 플라즈마의 발생을 억제하는 구조의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방전용 유전체관과, 상기 유전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전체관 내부에 삽입되는 도전성 방전극과, 상기 유전체관 외부의 수중에 설치되는 도전성 대향전극과, 상기 유전체관 상단에서 상기 유전체관 내부로 가압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구와, 상기 도전성 방전극과 상기 도전성 대향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유전체관 내부의 상기 도전성 방전극과 상기 도전성 대향전극 사이 공간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원인가장치를 포함하는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극은 상기 유전체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전체관 내부에서 상기 방전극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Underwater plasma gen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장치와 관련하여 방전극이 삽입되어 있는 석영관 내부에서 방전극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고 방전극의 아크성 플라즈마 발생을 방지하는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수처리 기술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 효과는 많은 연구자료들을 통해 입증되어 왔다. 그러한 기술은 수중 또는 수표면에서 고전압 펄스방전을 발생시키면 복잡한 물리ㆍ화학적 작용을 거쳐 자외선, 충격파, 오존, 활성라디컬 등이 생성되어 물에 용해되어 있는 오염물질의 분해 및 제거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 개발된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수중에서 일정한 규격의 직경을 가지고 긴 길이를 갖는 투명한 석영관(1)과, 상기 석영관(1) 내부에 삽입되어 석영관(1)의 내경과 방전 갭(discharge gap)을 확보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도전성 방전극(2)과, 석영관(1)의 외부에서 도전성 방전극에서의 최대전위경도를 집중시켜 고밀도 플라즈마 영역을 형성하는 도전성 대향전극(3)과, 석영관(1) 상단에 조립되어 도전성 방전극(3)을 석영관(1) 내부 중심축에 고정시켜 간극거리를 유지시키는 전극팁(4)과, 석영관(1) 내부로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시키기 위한 가스주입구(5)를 갖는다. 또한, 석영관(1)의 하단에는 소밀다공성 버블장치(6)가 설치된다.
그러한 장치는 상기 석영관(1) 내부의 도전성 방전극(2)과, 석영관 외표면에 감긴 상태로 수중에 설치된 도전성 대향전극(3) 사이에, 유전체로서 상기 투명한 석영관(1)이 존재하도록 구성되고 석영관(1)의 중심부에 도전성 방전극(2)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석영관(1)의 내부로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시키면, 그 공기 또는 가스의 압력으로 석영관(1) 내부의 물이 밀려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전로를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도전성 방전극(2)과 석영관(1)의 내주면 사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석영관(1) 내에서 플라즈마 발생영역을 통과한 공기 또는 가스는 플라즈마와의 반응에 의해 오존 및 고농도 활성종들이 생성된 상태로 하측의 소밀다공성 버블장치(6)를 통과한다.
상기 소밀다공성버블장치(6)를 통과한 공기 또는 가스는 수중에서 미소기포(8) 형태로 배출되면서 수중의 오염물질과 접촉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과 상기 오존 및 고농도 활성종 들의 반응은 오염물질의 산화반응 및 분해를 촉진시켜 수중에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석영관(1)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방전극(2)이 석영관(1)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뻗어있는 막대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의 설치오차와, 플라즈마 발생시에 동반되는 진동의 영향으로 인하여 양호한 상태의 플라즈마를 형성할 수 없다.
즉, 전극팁(4)에 의해 지지되는 방전극(2)을 석영관(1)의 중심부에 위치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므로 설치시 오차를 동반할 수밖에 없고, 석영관(1) 내에서 플라즈마의 발생은 진동을 동반하게 되므로 상단이 전극팁(4)에 고정된 방전극(1)이 그 진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리게 된다. 상기 방전극(2)의 설치오차는 편향된 방향으로의 플라즈마발생을 유도하고, 플라즈마발생시의 진동에 따른 흔들림은 석영관(1)의 내면과 방전극(2) 사이의 간격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플라즈마 발생상태를 불균일하게 하고, 아크성 플라즈마가 편향된 방향으로 발생하게 되어 방전극(2)의 소손과 석영관(1)의 피로파괴를 유발한다.
상기의 흔들림 또는 편심된 설치위치는 특히, 방전극의 하단 끝단부(2a)(침상끝단)에서 아크성 플라즈마가 불규칙적으로 발생되도록 하고, 방전극(2)의 소손 및 전원트랜스의 수명단축을 유발하며, 플라즈마 발생에 따른 반응효율도 저하시키고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발생에 따른 진동에 의해 유전체관 내에 삽입되어 있는 방전극에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아크성 플라즈마의 발생을 억제하는 구조의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있어서, 수중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방전용 유전체관과, 상기 유전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전체관 내부에 삽입되는 도전성 방전극과, 상기 투명 유전체관 외부의 수중에 설치되는 도전성 대향전극과, 상기 유전체관 상단에서 상기 유전체관 내부로 가압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구와, 상기 도전성 방전극과 상기 도전성 대향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도전성 방전극과 상기 도전성 대향전극 사이에 있는 상기 유전체관 내부의 공간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인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방전극은 상기 유전체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전극은 유전체관 내주면에 접촉하여 감아 도는 코일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유전체관은 상기 공기 또는 가스가 상기 유전체관의 상단에서 유입되어 하단에서 빠져나가도록 석영관, 유리관, 세라믹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것이다.
그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방전극의 하측 끝단은 상기 유전체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코일형상의 방전극이 유전체관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 인해 유전체관 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발생시 동반되는 진동에 의한 방전극의 흔들림이 없으므로 플라즈마의 안정적인 발생이 가능하고 편향된 위치로 인한 아크성 플라즈마 발생이 방지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전체관이 석영관, 유리관, 세라믹관 중의 어느 하나이고, 코일형상으로 유전체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설치된 방전극으로 인하여 유전체관의 내주면의 폭넓은 영역에서 연면방전이 발생하여 공기 또는 가스가 플라즈마와 보다 효과적이고 폭넓게 반응함으로써 오존, 활성라디컬, 자외선 등의 발생효율을 높여 수중에 효과적으로 플라즈마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방전극의 하측 끝단을 유전체관의 중심부에 위치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아크성 플라즈마의 발생을 제거 또는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종래 개발된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서 유전체관에 삽입되는 방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서 플라즈마 발생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서 도전성 방전극을 코일형태로 구성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서 플라즈마 발생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서 유전체관에 삽입되는 방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수중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방전용 유전체관(10)과, 상기 유전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전체관(10) 내부에 삽입되는 도전성 방전극(20)과, 상기 유전체관(10) 외부의 수중에 설치되는 도전성 대향전극(30)과, 상기 유전체관(10) 상단에서 유전체관(10) 내부로 가압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구(41)와, 상기 유전체관(10) 하단에서 유전체관(10)에 주입된 가스가 통과하여 수중에서 기포상태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다공성 버블발생기(60)와, 상기 도전성 방전극(20)과 상기 도전성 대향전극(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도전성 방전극(20)과 상기 도전성 대향전극(30) 사이에 있는 상기 유전체관(10) 내부의 공간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전원인가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관(10)은 방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관체의 벽이 방전극(20)과 대향전극(30)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가 되어 방전극(20)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구체적인 재질로서는 투명 석영관(10)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한 석영관(10)은 플라즈마에서 발생하는 자외선 등이 투과하여 수중에 있는 세균 등을 사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전극(20)은 석영관(10)이 내부에 설치되어 대향전극(30)과의 사이에서 플라즈마방전이 발생하는 전극이다. 상기 방전극(20)은 그 일부분이 상기 석영관(10)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석영관(10) 내부에서 상기 방전극(20)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전극(20)은 석영관(10) 내에서 방전극(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체(21)와, 상기 중심선체(21)의 소정지점(P)에서 상기 중심선체(21)를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각각 갈고리 모양으로 연장되어 상기 석영관(10)의 내주면과 접함으로서 상기 중심선체(21)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체(22)가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중심선체(21)는 석영관(10)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으로 선형으로 설치되고, 지지체(22)에 의해 석영관(10)의 내부에서 초기 설치된 위치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22)는 중심선체(21)와 일체로 형성된 도전성 재질로서 중심선체(21)의 소정지점(P)에서 중심선체(21)를 중심으로 복수의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지는 형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심선체(21)의 한 지점에서 다수의 갈고리 모양이 서로 동일하도록 사방으로 뻗어 나오면서 전부 상향으로 굴곡되어지는 형태이다.
하나의 지지체(22)는, 상기 중심선체(21)로부터 나오는 하측연장부(22a)와, 하측연장부(22a)에서 연장되어 상기 방전극(20)의 내면과 접하면서 상승하는 내면접촉부(22b)와, 상기 내면접촉부(22b)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중심선체(21)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의 상측굴곡부(22c)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측연장부(22a)는 중심선체(21)의 소정의 한 지점(P)에서 뻗어 나와 상향으로 굴곡이 시작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면접촉부(22b)는 석영관(1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하측연장부(22a)에서 연장되어 상측으로 뻗어 올라가는 부분이다. 방전극(20)이 도 3과 같이, 석영관(10) 내에 삽입되면 하측연장부(22a)와 내면접촉부(22b)의 탄성에 의해 중심선체(21) 방향으로 지지체(22)가 약간 수축하면서 내면접촉부(22b)가 석영관(10)의 내주면에 밀착할 수 있다.
상기 상측굴곡부(22c)는 지지체(22)의 끝단부가 중심선체(21) 부근에 위치하도록 내면접촉부(22b)의 상측 끝단에서 중심선체(21)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부분이다. 상측굴곡부(22c)가 구부러져 끝단(22d)이 중심선체(21)를 향해 중심선체(21)에 근접하여 위치함으로써 끝단(22d)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크성 플라즈마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체(22)가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하나의 소정지점(P)은 중심선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복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나의 소정지점(P)은 중심선체(21)의 하측 끝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중심선체(21)의 하측 끝단이 도 3의 “P1"지점과 같이, 다수의 지지체(22)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형상이고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돌출부에서 발생하는 아크성 플라즈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석영관(10)은 세라믹헤드(72)에 고정된 상태로 수조(70) 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대향전극(30)은 도전성 재질로서 대향전극고정헤드(32)에 고정되어 수조(70) 내에서 수중에 설치된다. 도전성 대향전극(30)은 수중에서 물이 하나의 대전체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석영관(10)에 인접하여 설치하면 석영관(10)에 접촉하여 설치된 것과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주입구(41)는 석영관(10) 내에 소정압력으로 공기 또는 가스를 유입시키는 부분으로, 기체공급부인 레귤레이터(42)와 연결되어 투명 석영관(10) 내주면과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도전성 방전극(20)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시키고 있다. 레귤레이터(42)에 의해 공기 또는 가스가 소정압력으로 주입됨으로써 석영관(1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이 하측으로 밀려나 유입되지 못하고 공기 또는 가스가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방전극(20)과 대향전극(30) 사이의 전로가 차단되어 석영관(10) 내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석영관은 유리관이나 세라믹관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버블발생기(60)는 석영관(10) 하단에 설치되어 석영관(10)에 주입된 가스가 버블발생기(60)를 통과하면서 수중으로 배출되면 공기 또는 가스의 덩어리가 다공구조를 통해 미세한 기포의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미세한 마이크로 사이즈의 기포를 발생시켜, 물과의 접촉표면적을 넓히고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기포발생기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인가장치(50)는 방전극(20) 및 대향전극(30)과 연결되어 그 사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으로서, 22.5 ~ 23 kHz 주파수로 고전압 펄스교류전원을 가지는 상용 전자식 네온트랜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서의 플라즈마의 발생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가스주입구(41)를 통해 레귤레이터(42)가 소정 압력으로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여 석영관(10) 내의 물을 하측으로 밀어내 유입을 차단하고, 공기 또는 가스가 하향유동하는 상태를 형성한다.
이후, 전원인가장치(50)에 의해 방전극(20)과 대향전극(30) 사이에 전원을 인가하여 석영관(10) 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방전극(20)과 석영관(10) 내주면에서는 스트리머 방전과 연면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지지체(22)가 없이 중심선체(21)가 석영관(10)의 내주면과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스트리머방전영역(점선표시된 A부분)이 형성되고, 지지체(22)가 석영관(10)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그 접촉부 주변으로 연면방전영역(점선표시된 B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스트리머방전은 부 전자상태의 배후에 남은 양이온이 주 전자상태에 의해 생긴 공간전하를 강화시켜 자기진전 스트리머(Streamer)로 되어 음극(대향전극(30))쪽을 향하여 진전되는 것이다. 전극사이를 가로질러 진전하는 스트리머(Streamer)는 전자와 양이온의 밀도가 거의 같은 밀도로 존재하는 플라즈마(도전성 기체)상태의 스트리머(Streamer)가 음극에 도달하여 플라즈마 채널(Plasma Channel)을 형성한다
상기 연면방전은 이종의 유전체가 서로 상접하고 있는 경우 그 경계면을 따라 생기는 방전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주입되는 공기 또는 가스와 낚시바늘 형태의 전극이 석영관(10)(고체유전체) 내부 표면에 상접하고, 석영관(10) 바깥표면의 물(대전체)로 구성되는 복합 유전체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리머방전과 연면방전이 동시에 발생하는 플라즈마영역을 형성하고 그 플라즈마의 발생영역이 방전극(20)의 고정으로 인해 매우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유동하는 공기 또는 가스가 플라즈마와 보다 효과적이고 폭넓게 반응함으로써 오존, 활성라디컬, 자외선 등의 발생효율을 높여 수중에 효과적으로 플라즈마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중심선체(21)가 다수의 지지체(22)에 의해 중심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더욱이 플라즈마의 발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흔들림이 없거나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편심된 방향으로의 아크성 플라즈마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전술한 실시예의 도전성 방전극(200)을 코일형태로 변경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비교하여 도전성 방전극(20)의 형상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코일형상(210)의 방전극(200)은 석영관(10)의 내주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형상(210)의 감기는 외경이 석영관(10)의 내주면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코일형상(210)의 외경이 석영관(10)의 내주면보다 미소하게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석영관(10)에 삽입시 탄성에 의해 코일형상(210)의 외경이 약간 줄어들면서 석영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일형상(210)으로 이루어지는 방전극(200)의 하측 끝단(220)은 도 6과 같이, 석영관(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코일형상(210)의 중심부에서 끝나도록 형성시킨다. 상기 석영관은 유리관이나 세라믹관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방전극(200)의 하측 끝단(220)이 석영관(1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코일형상(210)의 외주면이 석영관(10)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지지되고 있으므로, 플라즈마 발생시 동반되는 진동에 의해서도 방전극(200)의 끝단(220)의 흔들림이 거의 없이 석영관(10)의 중심부에서의 위치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침(針)단에 해당하는 하측 끝단(220)이 석영관(10)의 중심부에서 위치를 유지하여 편심된 상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향된 아크성 플라즈마의 발생도 현저히 억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전극(200)의 하측끝단이 석영관(1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도 6과 같이, 상측방향으로 꺾인 상태가 되는 것이 하측방향으로 꺾인 경우에 비하여 방전극의 다른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이므로 편향된 아크성 플라즈마의 발생이 보다 억제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방전극(200)의 주변에서 플라즈마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석영관(10)의 내주면과 방전극(200)이 접촉하고 있는 석영관(10)의 표면을 따라 퍼지면서 연면방전이 발생한다. 그 연면방전영역(점선으로 표시된 B부분)은 방전극(200)의 나선궤적을 따라 석영관(10)의 내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석영관(10) 내부를 하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 또는 가스는 연면방전영역을 따라 플라즈마와 반응하고 그 연면방전영역이 석영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광범위하게 연속됨으로써 석영관(10)을 통과하는 동안 폭넓은 플라즈마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전체관이 석영관, 유리관 또는 세라믹관으로 형성되어 공기 또는 가스가 유전체관의 상단에서 유입되어 하단에서 빠져나가고 있고 공기 또는 가스가 중간유출없이 유전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끝까지 진행하여야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광범위하게 발생하는 연면방전과 중첩적으로 접촉하여 반응효율이 높고, 발생한 연면방전도 유전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석영관 또는 유리관, 세라믹관의 내면 전체에서 누설되는 것없이 고르게 발생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플라즈마 발생시 동반되는 진동에 의해 방전극(200)이 흔들림으로써 편향된 아크성 플라즈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폭넓게 발생되는 연면방전영역에 의해 오존, 활성라디컬, 자외선 등의 발생효율을 높여 수중에 효과적으로 플라즈마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석영관 2,20,200; 방전극
2a; 끝단부 3,30; 대향전극
4; 전극팁 5,41; 가스주입구
6,60; 소밀다공성버블장치 7,70; 수조
8; 미소기포 10; 유전체관
21; 중심선체 22; 지지체
22a; 하측연장부 22b; 내면접촉부
22c; 상측굴곡부 22d,220; 끝단
32; 대향전극고정헤드 42; 레귤레이터
50; 전원인가장치 72; 고정팁
210; 코일형상

Claims (2)

  1.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에 있어서,
    수중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방전용 유전체관(10)과,
    상기 유전체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유전체관(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도전성 방전극(200)과,
    상기 유전체관(10) 외부의 수중에 설치되는 도전성 대향전극(30)과,
    상기 유전체관(10) 상단에서 상기 유전체관(10) 내부로 가압된 공기 또는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구(41)와,
    상기 도전성 방전극(200)과 상기 도전성 대향전극(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도전성 방전극(200)과 상기 도전성 대향전극(30) 사이에 있는 상기 유전체관(10) 내부의 공간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인가장치(50)를 포함하되,
    상기 방전극(200)은 상기 유전체관(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감아 도는 코일형상(210)으로 설치된 것이고,
    상기 유전체관(10)은 상기 공기 또는 가스가 상기 유전체관의 상단에서 유입되어 하단에서 빠져나가도록 석영관, 유리관, 세라믹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극(200)의 하측 끝단(220)은 상기 석영관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20130010212A 2013-01-30 2013-01-30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147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212A KR101476644B1 (ko) 2013-01-30 2013-01-30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212A KR101476644B1 (ko) 2013-01-30 2013-01-30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763A true KR20140097763A (ko) 2014-08-07
KR101476644B1 KR101476644B1 (ko) 2014-12-26

Family

ID=5174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212A KR101476644B1 (ko) 2013-01-30 2013-01-30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6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9545A (zh) * 2018-05-25 2018-08-24 中世清源(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用于水处理的电极套管式水下放电结构
EP3476809A4 (en) * 2016-06-22 2020-02-19 Ju Ho Han AUTONOMOUS BUBBLE-GENERATING PLASMA UNIT FOR WATER TREATMENT
KR20230064972A (ko) * 2021-11-04 2023-05-11 한국전기연구원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트론을 이용한 플라즈마 활성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69B1 (ko) * 2015-04-08 2015-10-20 김찬모 트위스트형상 방전극을 구비한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102136224B1 (ko) 2018-07-25 2020-07-21 주식회사 페스텐 격벽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생성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1858B2 (ja) * 2003-03-06 2008-07-02 正之 佐藤 水中放電プラズマ方法及び液体処理装置
KR101057453B1 (ko) * 2010-12-23 2011-08-17 미륭이씨오 주식회사 플라즈마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6809A4 (en) * 2016-06-22 2020-02-19 Ju Ho Han AUTONOMOUS BUBBLE-GENERATING PLASMA UNIT FOR WATER TREATMENT
US11014836B2 (en) 2016-06-22 2021-05-25 Ju Ho HAN Autonomous bubble generating plasma unit for water treatment
CN108439545A (zh) * 2018-05-25 2018-08-24 中世清源(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可用于水处理的电极套管式水下放电结构
KR20230064972A (ko) * 2021-11-04 2023-05-11 한국전기연구원 글라이딩 아크 플라즈마트론을 이용한 플라즈마 활성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644B1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644B1 (ko)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US9593030B2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and liquid treatment method
KR101891438B1 (ko) 수처리용 글로우 플라즈마 반응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2014892B1 (ko) 수처리장치 등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발생장치
JP6511440B2 (ja) プラズマ照射方法、およびプラズマ照射装置
KR101236202B1 (ko)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1280445B1 (ko) 물 정화를 위한 수중 방전 장치
JP6157764B1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692218B1 (ko) 휘발성 유기 화합물 제거용 유전체 장벽 플라즈마 반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방법
JP5185592B2 (ja) オゾン発生装置
KR100783793B1 (ko) 과불화탄소 가스 처리장치
KR102522689B1 (ko) 수중 플라즈마 발생 장치
JP2013180249A (ja) 水浄化装置
EP3122161B1 (en) Method for plasma generation in liquids using a jet system
JP2018149535A (ja) 液体処理装置
KR101575693B1 (ko) 플라즈마 수처리 장치
JP5879530B2 (ja) 液体処理装置
JPWO2019175997A1 (ja) 水処理装置
KR102322233B1 (ko) 수중 아크 방전 장치
JPH08138829A (ja) ストリーマコロナ発生用電極構造とその電極を用いたオゾン発生装置
KR20130028184A (ko) 수중 설치 플라즈마토치 구조
JP4342991B2 (ja) オゾン発生装置
JP2008137862A (ja) オゾン発生装置
KR101211861B1 (ko) 오존발생장치
KR100384373B1 (ko) 고농도 오존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