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458A -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458A
KR20140095458A KR1020147006955A KR20147006955A KR20140095458A KR 20140095458 A KR20140095458 A KR 20140095458A KR 1020147006955 A KR1020147006955 A KR 1020147006955A KR 20147006955 A KR20147006955 A KR 20147006955A KR 20140095458 A KR20140095458 A KR 20140095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ating
layer
pair
laminat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786B1 (ko
Inventor
히로토시 안도
가즈히로 오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05D1/38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with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Abstract

적층 필름은, 제 1 기재와 제 1 도포막과 제 2 도포막과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을 구비한다. 제 1 도포막은, 제 1 기재 상에 제 1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제 2 도포막은, 제 1 도포막 상에 제 2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은, 제 1 도포막 및 제 2 도포막의 폭방향 양측단부에 돌출되어 있다.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 중 어느 일방은 타방의 외측에 있다.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은 적층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의 필름면보다 적어도 1 ㎛ 높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얇고 투명한 적층 필름은 최근 광학 재료로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광학 재료로는, 자동차 및 건재의 창용 차열 부재의 광학 반사 부재, 액정 디스플레이의 편광판의 보호막, 위상차판 등의 광학 보상 필름, 플라스틱 기판, 사진용 지지체, 혹은 동영상용 셀이나 광학 필터, 나아가서는 OHP 필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적층 필름은, 지지체가 되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TAC)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필름 기재에 성막을 함으로써 얻어진다. 주된 성막 방법으로는, 스퍼터링이나 플라즈마 CVD 등의 진공 성막법이나, 용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 성막하는 도포 성막법 등이 알려져 있다. 도포 제막법 (製膜法) 의 용액은, 예를 들어 금속이나 고분자 등의 주성분에 용제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 것이다. 이들 성막법에 의해, 효율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여 성막을 실시하기 위해서, 장척 (長尺) 인 필름 기재에 연속적으로 성막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에너지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부터 에너지 절약에 관한 공업 제품에 대한 요구는 높고, 그 하나로서 주택 및 자동차 등의 창유리의 차열 (遮熱), 요컨대 일광에 의한 열부하를 감소시키는 데에 유효한 유리 및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리 및 필름은, 태양광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가시광 영역의 태양 광선을 투과하고, 적외 영역의 태양 광선의 투과를 방지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차열용 유리 및 필름의 특성을 얻는 방법으로서,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410991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근적외 ∼ 적외역에서 기능하는 동일 회전 방향의 원편광을 부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λ/2 판의 양면에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적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성막 방법을 실시하는 설비로서, 롤·투·롤 (Roll to Roll) 의 성막 장치가 알려져 있다. 롤·투·롤 (Roll to Roll) 의 성막 장치에서는, 공급롤과 권취롤로 하는 권취축을 사용한다. 공급롤은, 장척인 필름 기재를 롤상으로 권회하여 이루어진다. 권취축은, 성막이 끝난 필름 기재, 즉 적층 필름을 롤상으로 권회하여 권취롤로 한다. 이 롤·투·롤의 성막 장치는, 공급롤과 권취축 사이에 진공 성막법이나 도포 성막법에 의해 성막하는 성막실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성막실에 공급롤로부터 권취축으로 향하는 장척인 필름 기재를 삽통 (揷通) 하고, 공급롤로부터의 필름 기재의 송출과 권취축에 의한 성막이 끝난 필름 기재의 권취를 동기하여 실시하면서, 성막실에 있어서, 반송되는 필름 기재에 연속적으로 성막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성막한 경우에는, 롤상으로 감겨져 서로 중첩되는 필름면끼리가 과도하게 접촉하거나 밀착하는 경우가 있다. 혹은, 권취시에, 필름과 필름 사이에 먼지가 비집고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들에 의해, 권취 중이나 권취 후의 권취롤이 변형되고, 그 결과, 필름면에 상처가 나거나,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권취롤의 둘레면 상에 검은 띠가 시인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권취롤의 변형은, 필름면의 상처나 필름의 주름이 발생한 것의 결과로서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또 한편으로, 이러한 문제가 일어나지 않게 권취시의 장력을 낮게 하여 권취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권취시의 장력을 낮게 하면, 필름끼리의 유지력이 약하여 횡어긋남이 생겨, 제품으로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횡어긋남이란, 폭방향으로 필름이 어긋나는 현상이다.
그래서, 일본 특허 제3226190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1803호에는,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플라스틱제의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할 때, 널링이라고 불리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필름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미소 볼록부를 부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하면, 권취시의 횡어긋남 및 감아 조임이 방지되거나, 권취시에 필름의 이면과 표면 사이에 간극이 확보되어 접촉이나 밀착에 의한 문제의 발생이 저감된다.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널링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는, 도포막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막면의 높이보다 어느 정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널링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볼록부의 높이는, 필름 기재의 두께나 강성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이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널링의 볼록부의 높이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소기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널링으로 형성된 볼록부는, 권취 후의 압력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많고, 높이에 편차가 생겨 상기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널링을 형성하려면 새롭게 공정이 증가하는 점에서, 생산성의 저하나 제조 비용의 증가라는 문제점도 있다.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한 결과, 도포 성막법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기재 및 도포액에 어느 일정한 조건하에 있어서, 양단부에 돌조 (突條) 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돌조는 조건의 설정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널링을 실시하지 않고, 권취롤이 변형되지 않고, 횡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제 1 기재와, 제 1 도포막과, 제 2 도포막과,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을 구비한다. 제 1 기재는 웹상이다. 제 1 도포막은, 제 1 기재 상에 제 1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제 2 도포막은, 제 2 기재 상에 제 2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제 2 기재는, 제 1 기재와 제 1 도포막을 갖는다.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은, 제 1 도포막 및 제 2 도포막의 폭방향 양측단부에 형성된다.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은 적층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의 필름면보다 1 ㎛ 이상 높다.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 중 어느 일방은 타방보다 적층 필름의 측단측 (側端側) 에 있다.
제 1 도포액 및 제 2 도포액은,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각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포막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500 ㎚ 까지의 영역에 제 1 도포막에 함유되는 총 불소 함유량의 90 % 이상의 불소가 존재하고, 제 2 도포막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500 ㎚ 까지의 영역에 제 2 도포막에 함유되는 총 불소 함유량의 90 % 이상의 불소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의 높이의 차이는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의 간격은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포막과 제 2 도포막의 두께는 각각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포막과 제 2 도포막은 콜레스테릭상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의 각 표면 에너지는 40 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포액과 상기 제 2 도포액의 각 표면 장력은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포액과 제 2 도포액의 용제 휘발 후의 각 점도가 0.5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 1 도포 단계 (A 단계) 와, 제 1 건조 단계 (B 단계) 와, 제 1 경화 단계 (C 단계) 와, 제 2 도포 단계 (D 단계) 와, 제 2 건조 단계 (E 단계) 와, 제 2 경화 단계 (F 단계) 를 구비한다. A 단계는, 웹상의 제 1 기재 상의 제 1 도포 영역에 제 1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 1 습윤막을 형성한다. 제 1 기재의 표면 에너지는 40 mN/m 이하이다. 제 1 도포액의 표면 장력은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의 범위 내이다. B 단계는, 제 1 습윤막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켜 제 1 건조막으로 한다. C 단계는, 제 1 건조막을 경화시켜 제 1 도포막으로 한다. D 단계는, 제 2 기재 상의 제 1 도포 영역과 상이한 폭의 제 2 도포 영역에 제 2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 2 습윤막을 형성한다. 제 2 기재는, 제 1 기재와 제 1 도포막을 갖는다. 제 2 기재의 표면 에너지는 40 mN/m 이하이다. 제 2 도포액의 표면 장력은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의 범위 내이다. E 단계는, 제 2 습윤막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켜 제 2 건조막으로 한다. F 단계는, 제 2 건조막을 경화시켜 제 2 도포막으로 한다.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또한 제 1 배향 단계 (G 단계) 와 제 2 배향 단계 (H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 단계는, B 단계와 C 단계의 사이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킨다. 제 1 도포액은,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갖는다. H 단계는, E 단계와 F 단계의 사이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킨다. 제 2 도포액은,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갖는다.
제 1 도포막과 제 2 도포막은 콜레스테릭상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포액과 제 2 도포액의 용제 휘발 후의 각 점도는 0.5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포 영역과 제 2 도포 영역의 간격이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포막의 두께와 제 2 도포막의 두께는 각각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의하면, 널링이 실시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권취롤이 변형되지 않고, 또 횡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널링을 실시하지 않고, 권취롤이 변형되지 않고, 또 횡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적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 제조 설비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포 공정에 사용하는 도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IV-I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는 건조 공정에 사용하는 건조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고, 제 1 기재의 폭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b 는 도 5a 의 B-B' 선에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
도 6a 는 배향 공정에 사용하는 가열 장치의 개략도이고, 제 1 기재의 폭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b 는 도 6a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 는 경화 공정에 사용하는 UV 조사 장치의 개략도이고, 제 1 기재의 폭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b 는 도 7a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은 식 5 의 조건에 있어서의 도포액이 도포막이 될 때까지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9 는 식 6 의 조건에 있어서의 도포액이 도포막이 될 때까지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 은 식 7 의 조건에 있어서의 도포액이 도포막이 될 때까지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1 은 돌조쌍이 형성되는 조건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 2 도포막에 있어서의 불소를 ESCA 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A) 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 1 도포층과 제 2 도포층과 필름 기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B) 는 (A) 의 파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 (b) 의 표면 형상의 프로파일이다.
(적층 필름)
도 1 의 (A1) ∼ (A3), (B1) ∼ (B3), (C1) ∼ (C6) 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필름 (2) 은, 필름 기재 (10) 에 도포로부터 형성되는 제 1 도포층 (11) 과 제 2 도포층 (12) 과 제 3 도포층 (13) 이 이 순서로 중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는, 필름 기재 (10) 및 제 1 도포층 (11) ∼ 제 3 도포층 (13) 의 각각의 두께를 폭에 대해 크게 과장하여 묘사하고 있다. 적층 필름 (2) 은, 도 1 의 지면의 깊이 방향으로 늘어난 장척의 필름이다.
적층 필름 (2) 은, 일방의 필름면측에 제 1 돌조쌍 (16) 및 제 2 돌조쌍 (17) 을 가지고 있다.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은, 적층 필름 (2) 의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측단부 (이하, 간단히 「측단부」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의 양단부에,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중앙부 (이하, 간단히 「중앙부」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의 필름면보다 높게 돌출하여 형성된다.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중 어느 일방은 타방보다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외측에 있다. 이들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에 의해, 적층 필름 (2) 이 감겨질 때에 서로 중첩되는 적층 필름 사이에 간극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도 1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폭방향 측단부의 양단 부근에 제 1 돌조쌍 (16) 및 제 2 돌조쌍 (17) 을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형태여도 상관없다.
제 1 돌조쌍 (16) 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는 도포층을 제 1 도포막, 제 2 돌조쌍 (17) 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는 도포층을 제 2 도포막이라고 여기서는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돌조쌍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는 도포층이란, 이하의 (I) 과 (II) 를 의미한다.
(I) 돌조쌍 그 자체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층
(II) 돌조쌍의 표면은 다른 도포층에 덮여 있지만, 돌조쌍의 기초가 되는 단면각 (뿔)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층
상기 (II) 에 있어서의 돌조쌍의 기초가 되는 볼록부를 이하 기초부라고 칭하고, 제 1 돌조쌍 (16) 의 기초부에는 부호 16a, 제 2 돌조쌍 (17) 의 기초부에는 부호 17a 를 부여한다. 이상의 (II) 와 같이,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은, 다른 도포층을 함유하여 구성되지만, 그 돌출한 형상이 실질적으로는 기초부 (16a, 17a) 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 의 (A1), (A2), (A3)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이 제 1 도포막이고, 제 2 도포층 (12) 이 제 2 도포막이다. 도 1 의 (B1), (B2), (B3)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이 제 1 도포막이고, 제 3 도포층 (13) 이 제 2 도포막이다. 또, 도 1 의 (C1), (C2), (C3), (C4), (C5), (C6)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2 도포층 (12) 이 제 1 도포막이고, 제 3 도포층 (13) 이 제 2 도포막이다. 적층 필름 (2) 은, 그 폭방향 측단부의 양단 부근에 제 1 돌조쌍 (16) 및 제 2 돌조쌍 (17) 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어떠한 다른 도포층 및 다른 성막 수단에 의한 성막층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제 1 도포막의 원료가 되는 도포액을 제 1 도포액으로 하고, 제 2 도포막의 원료가 되는 도포액을 제 2 도포액으로 한다. 제 1 도포액과 제 2 도포액으로는, 표면 장력이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을 사용한다. 제 1 도포액이 도포되는 기재를 제 1 기재로 하고, 제 2 도포액이 도포되는 기재를 제 2 기재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 의 (A1), (A2), (A3)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의 제 1 기재는 필름 기재 (10) 이고, 제 2 기재는 두께 방향으로 중첩된 필름 기재 (10) 와 제 1 도포층 (11) 으로 구성된다. 도 1 의 (B1), (B2), (B3)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의 제 1 기재는 필름 기재 (10) 이고, 제 2 기재는 필름 기재 (10) 와 제 1 도포층 (11) 과 제 2 도포층 (12) 으로 구성된다. 도 1 의 (C1), (C2), (C3), (C4), (C5), (C6)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의 제 1 기재는 필름 기재 (10) 와 제 1 도포층 (11) 으로 구성되고, 제 2 기재는 필름 기재 (10) 와 제 1 도포층 (11) 과 제 2 도포층 (12) 으로 구성된다.
도 1 의 (A1) ∼ (A3), (B1) ∼ (B3), (C1) ∼ (C6) 중 어느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도,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은, 적층 필름 (2) 의 중앙부의 필름면보다 적어도 1 ㎛ 이상 높다. 제 1 돌조쌍의 높이 (H1) 와 제 2 돌조쌍의 높이 (H2) 는, 중앙부의 높이 (Hf) 보다 1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 내에서 큰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상 50 ㎛ 이하의 범위 내에서 큰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돌조쌍 (16) 의 높이 (H1) 와 제 2 돌조쌍 (17) 의 높이 (H2) 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어느 일방이 타방보다 높아도 된다. 또,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의 높이의 차이|H1 - H2| 는 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방의 측단부에 있어서의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의 간격 (D) 이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방의 측단부에 있어서의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의 간격 (D) 은, 제 1 돌조쌍 (16) 의 정상부와 제 2 돌조쌍 (17) 의 정상부의 거리이다.
도 1 의 (A1) ∼ (A3) 의 적층 필름 (2) 은,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가 필름 기재 (10)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 제 2 도포층 (12) 의 양측 가장자리가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인 점에서 공통된다. 단, 제 3 도포층 (13) 의 양측 가장자리는, (A1)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2 도포층 (12)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 (A2)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2 도포층 (12)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외측 또한 제 1 도포층 (11) 보다 내측, (A3)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보다 외측 또한 필름 기재 (10)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되어 있다.
도 1 의 (B1) ∼ (B3) 의 적층 필름 (2) 은,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가 필름 기재 (10)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 제 3 도포층 (13) 의 양측 가장자리가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인 점에서 공통된다. 단, 제 2 도포층 (12) 의 양측 가장자리는, (B1)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3 도포층 (13)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외측 또한 제 1 도포층 (11) 보다 내측, (B2)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3 도포층 (13) 과 폭방향 Y 에 있어서 대략 일치, (B3)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외측 또한 필름 기재 (10)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되어 있다.
도 1 의 (C1) ∼ (C6) 의 적층 필름 (2) 은,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가 필름 기재 (10)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인 점에서 공통된다. 또한, (C1) ∼ (C3) 의 적층 필름 (2) 은, 제 3 도포층 (13) 의 양측 가장자리가 제 2 도포층 (12)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인 점에서 공통된다. 단, 제 2 도포층 (12) 의 양측 가장자리는, (C1)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 (C2)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와 폭방향 Y 에 있어서 대략 일치, (C3)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외측 또한 필름 기재 (10)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되어 있다. 또, (C4) ∼ (C6) 의 적층 필름 (2) 은, 제 3 도포층 (13) 의 양측 가장자리가 제 2 도포층 (12)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인 점에서 공통된다. 단, 제 2 도포층 (12) 의 양측 가장자리는, (C4)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 (C5)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와 폭방향 Y 에 있어서 대략 일치, (C6) 의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외측 또한 필름 기재 (10) 의 양측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되어 있다.
제 1 도포층 (11) 을 제 1 도포막으로 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면 에너지가 40 mN/m 이하인 필름 기재 (10) 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1 의 (A1) ∼ (A3), (B1) ∼ (B3), (C6) 의 각 적층 필름 (2) 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표면 에너지가 40 mN/m 이하인 필름 기재 (10) 를 사용한다. 필름 기재 (10) 로서 표면 에너지가 40 mN/m 보다 큰 TAC 를 사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 의 (C1)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과 같이, 제 1 도포층 (11) 에 제 1 돌조쌍 (16) 은 형성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의 (C1)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에 대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기재하지만, 도 1 의 (C1) 이외의 적층 필름 (2) 에 대한 발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계 변경을 부가함으로써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의 (C1)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는, 제 1 도포층 (11) 은 제 1 돌조쌍 (16) 을 가지지 않는 층이고, 제 2 도포층 (12) 이 제 1 돌조쌍 (16) 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는 제 1 도포막이고, 제 3 도포층 (13) 이 제 2 돌조쌍 (17) 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는 제 2 도포막이다. 또, 필름 기재 (10) 에 제 1 도포층 (11) 을 형성한 것은 제 1 기재 (11A) (도 2 참조) 이다.
(적층 필름 제조 설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필름 제조 설비 (20) 는, 성막 장치 (22A, 22B, 22C) 를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가지고 있다. 성막 장치 (22A) 는, 도포 장치 (24A) 와, 건조 장치 (26A) 와, 가열 장치 (28A) 와, UV 조사 장치 (30A) 를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성막 장치 (22B) 와 성막 장치 (22C) 는, 성막 장치 (22A) 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성막 장치 (22B) 는, 도포 장치 (24B) 와, 건조 장치 (26B) 와, 가열 장치 (28B) 와, UV 조사 장치 (30B) 를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성막 장치 (22C) 는, 도포 장치 (24C) 와, 건조 장치 (26C) 와, 가열 장치 (28C) 와, UV 조사 장치 (30C) 를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구비한다. 도포 장치 (24A, 24B, 24C) 는,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필름 기재 (10) 에 도포하여 습윤층을 형성한다. 건조 장치 (26A, 26B, 26C) 는, 습윤층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켜 건조층을 형성한다. 가열 장치 (28A, 28B, 28C) 는, 건조층에 있어서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켜 배향층을 형성한다. UV 조사 장치 (30A, 30B, 30C) 는, 배향층에 UV 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도포층을 형성한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는, 필름 기재 (10) 의 반송 방향으로 화살표 X 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적층 필름 제조 설비 (20) 는, 롤·투·롤에 의해 도포에 의해 성막하는 장치이다. 띠상 (웹상) 의 필름 기재 (10) 는 공급축 (32) 에 공급롤 (34) 로서 장전되고, 길이 방향으로 반송되면서 도포에 의해 성막된다. 성막된 적층 필름 (2) 이 권취축 (36) 에 권취롤 (38) 로서 권취된다. 또, 필름이 성막 장치 (22A, 22B, 22C) 를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반송 롤러 (40) 가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장치 (24B) 는, 예를 들어, 도포 헤드 (42) 와, 도포액 공급 탱크 (44) 와, 도포액 공급 라인 (46) 을 갖는다. 도포 헤드 (42) 는, 제 1 도포액을 제 1 기재 (11A) 에 도포하여 제 1 습윤층 (12A) 을 형성한다. 도포액 공급 탱크 (44) 는, 도포액을 도포 헤드 (42) 에 공급한다. 도포액 공급 라인 (46) 은, 도포 헤드 (42) 와 도포액 공급 탱크 (44) 를 접속한다. 도포 헤드 (42) 에는, 도포용 공급구 (42A) 와, 도포 슬릿 (42B) 과, 도포용 포켓 (42C) 이 형성되어 있다. 도포용 공급구 (42A) 는, 도포액 공급 라인 (46) 으로 안내되어 오는 도포액을 도포 헤드 (42) 의 내부에 공급한다. 도포 슬릿 (42B) 은, 도포액을 제 1 기재 (11A) 의 제 1 도포 영역 (R1) 에 빠짐없이 도포하는 애로 (隘路) 인 유로이다. 도포용 포켓 (42C) 은, 도포용 공급구 (42A) 로부터 공급된 도포액을 도포 슬릿 (42B) 에 공급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도포 헤드 (42) 는, 도포 슬릿 (42B) 이 제 1 기재 (11A) 의 경로측을 향해 제 1 기재 (11A) 에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설치된다.
도포 장치 (24A, 24C) 는, 도포 장치 (24B) 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단, 도포 장치 (24A) 는, 제 1 도포층 (11) 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필름 기재 (10) 에 도포하는 것이고, 도포 장치 (24C) 는, 제 2 도포막인 제 3 도포층 (13) 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제 2 도포층 (12) 에 도포하는 것이다. 도 1 의 (C1)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은, 제 2 도포층 (12) 보다 폭넓은 제 1 도포층 (11) 을 구비하기 때문에, 도포 장치 (24A) 의 도포 헤드의 도포 슬릿 (도시 없음) 은 도포 슬릿 (42B) 보다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길이가 길다. 또, 도 1 의 (C1)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은, 제 2 도포층 (12) 보다 폭 좁은 제 3 도포층 (13) 을 구비하기 때문에, 도포 장치 (24C) 의 도포 헤드의 도포 슬릿 (도시 없음) 은 도포 슬릿 (42B) 보다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다.
도 5a,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장치 (26B) 는, 예를 들어, 챔버 (47) 와, 열풍기 (48) 와, 용제 회수기 (50) 를 구비한다. 챔버 (47) 는, 제 1 기재 (11A) 와 제 1 습윤층 (12A) 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습윤 필름 (12B) 의 경로를 덮는다. 열풍기 (48) 는, 제 1 습윤 필름 (12B) 의 제 1 도포액을 도포한 측에 배치되고, 제 1 습윤층 (12A) 에 열풍을 쐬게 한다. 용제 회수기 (50) 는, 챔버 (47) 의 하부에 형성되고, 용제를 회수한다. 또, 건조 장치 (26B) 의 챔버 (47) 내에는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을 조절하는 조절기 (도시 없음) 가 구비되어 있다. 이 조절기에 의해, 챔버 (47) 의 내부는, 제 1 습윤층 (12A) 을 건조시켜 제 1 건조층을 형성하는 데에 최적인 환경으로 조절되고 있다. 건조 장치 (26B) 로부터 제 1 건조 필름 (12C) 이 송출된다. 건조 장치 (26A, 26C) 는, 건조 장치 (26B) 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장치 (28B) 는, 예를 들어, 챔버 (51) 와, 히터 (52) 를 구비한다. 챔버 (51) 는, 제 1 건조 필름 (12C) 의 경로를 덮는다. 히터 (52) 는, 제 1 건조 필름 (12C) 의 각 필름면과 대향하도록 예를 들어 2 개 배치되어 있다. 각 히터 (52) 는, 제 1 건조 필름 (12C) 을 두께 방향으로부터 가열한다. 또, 가열 장치 (28B) 의 챔버 (51) 내에는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을 조절하는 조절기 (도시 없음) 가 구비되어 있다. 이 조절기에 의해, 챔버 (51) 의 내부는, 제 1 건조층에 있어서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켜 제 1 배향층을 형성하는 데에 최적인 환경으로 조절되고 있다. 가열 장치 (28B) 로부터 제 1 배향 필름 (12D) 이 송출된다. 가열 장치 (28A, 28C) 는, 가열 장치 (28B) 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V 조사 장치 (30B) 는, 예를 들어, 챔버 (53) 와, UV 조사 램프 (54) 를 구비한다. 챔버 (53) 는, 제 1 배향 필름 (12D) 의 경로를 덮는다. UV 조사 램프 (54) 는, 제 1 배향 필름 (12D) 의 제 1 도포액을 도포한 측에 대향하여 형성되고, 제 1 도포액을 도포한 측에 UV 를 조사한다. 또, UV 조사 장치 (30B) 의 챔버 (53) 내에는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을 조절하는 조절기 (도시 없음) 가 구비되어 있다. 이 조절기에 의해, 챔버 (53) 의 내부는, 제 1 배향층을 경화시켜 제 1 도포막을 형성하는 데에 최적인 환경으로 조절되고 있다. 가열 장치 (28B) 로부터 제 1 경화 필름 (12E) 이 송출된다. UV 조사 장치 (30A, 30C) 는, UV 조사 장치 (30B) 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포액)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도포층 (11) ∼ 제 3 도포층 (13) 을 형성하는 도포액은, 모두 1 종류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과, 배향 제어제와, 중합 개시제와, 키랄제와, 용매를 갖는다. 각각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는, 봉상 네마틱 액정 화합물 등과 같은 봉상의 경화성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조메틴류, 아족시류, 시아노비페닐류, 시아노페닐에스테르류, 벤조산에스테르류, 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페닐에스테르류, 시아노페닐시클로헥산류, 시아노 치환 페닐피리미딘류, 알콕시 치환 페닐피리미딘류, 페닐디옥산류, 톨란류 및 알케닐시클로헥실벤조니트릴류가 사용된다.
또, 중합성기를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에 도입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성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중합성기의 예에는, 불포화 중합성기, 에폭시기, 및 아지리디닐기가 함유되고, 그 중에서도 불포화 중합성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성 불포화 중합성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성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이 갖는 중합성기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1 ∼ 6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 개이다. 중합성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의 예는, Makromol. Chem., 190 권, 2255 페이지 (1989년), Advanced Materials 5 권, 107 페이지 (1993년), 미국 특허 제4683327호 명세서, 동 5622648호 명세서, 동 5770107호 명세서, 국제 공개 WO95/22586호, 동 95/24455호, 동 97/00600호, 동 98/23580호, 동 98/529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72551호, 동 6-16616호, 동 7-110469호, 동 11-8008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8973호 등에 기재된 화합물이 함유되고, 2 종류 이상의 중합성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이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콜레스테릭상이 되는 온도 범위는 20 ℃ 이상 150 ℃ 이하의 범위이다. 그 때문에, 건조 장치 (26A, 26B, 26C) 에 있어서의 온도가 이 콜레스테릭상이 되는 온도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지 않게 열풍기 (48) 등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를 85 ℃ 로 설정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향 제어제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99248호의 단락 0016 ∼ 단락 0050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화학식 1 에 기재된 화합물이 사용된다. 또한, 배향 제어제는, 이들 화합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이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을 진행시키는 양태에서는,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을 개시 가능한 광 중합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α-카르보닐 화합물 (미국 특허 제2367661호, 동 2367670호의 각 명세서 기재), 아실로인에테르 (미국 특허 제2448828호 명세서 기재), α-탄화수소 치환 방향족 아실로인 화합물 (미국 특허 제2722512호 명세서 기재), 다핵 퀴논 화합물 (미국 특허 제3046127호, 동 2951758호의 각 명세서 기재), 트리아릴이미다졸다이머와 p-아미노페닐케톤의 조합 (미국 특허 제3549367호 명세서 기재), 아크리딘 및 페나진 화합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105667호, 미국 특허 제4239850호 명세서 기재) 및 옥사디아졸 화합물 (미국 특허 제4212970호 명세서 기재) 등이 사용된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이들 화합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이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랄제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668호의 단락 0057 ∼ 단락 0096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평 배향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화학식 2 에 기재된 화합물이 사용된다. 또한, 키랄제는 이들 화합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이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용매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경화성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공지된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톤류 (아세톤, 2-부타논,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 (헥산 등), 지환식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자일렌, 트리메틸벤젠 등), 할로겐화탄소류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벤젠, 클로로톨루엔 등), 에스테르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물, 알코올류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 셀로솔브류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류, 술폭사이드류 (디메틸술폭사이드 등), 아미드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이 사용된다. 또한, 용매는, 이들 화합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 이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상관없다.
(돌조쌍 형성 메커니즘)
이하에, 제 1 기재 (11A) 상에 제 1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한 제 1 습윤층 (12A) 에 대해, 제 1 돌조쌍 (16) 의 형성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은, 식 1 로 표현되는 에너지 E 가 최소가 되도록 정해진다. 또한, 단위면적당 제 1 기재 (11A) 와 대기의 계면 에너지를 제 1 기재 (11A) 의 표면 에너지라고 칭하고, 단위면적당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계면 에너지를 제 1 습윤층 (12A) 의 표면 장력이라고 칭한다. 또, 표면 에너지 및 표면 장력이라는 말은, 이들과 동일하게 정의한다.
Figure pct00003
γSG : 단위면적당 제 1 기재 (11A) 와 대기의 계면 에너지
γSL : 단위면적당 제 1 기재 (11A) 와 제 1 습윤층 (12A) 의 계면 에너지
γLG : 단위면적당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계면 에너지
SSG : 제 1 기재 (11A) 와 대기의 접촉 면적
SSL : 제 1 기재 (11A) 와 제 1 습윤층 (12A) 의 접촉 면적
SLG :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접촉 면적
m(x) : 좌표 X 에 있는 분자의 질량
g : 중력 가속도
h(x) : 좌표 X 에 있어서의 높이
식 1 의 제 1 항은, 제 1 기재 (11A) 와 대기 사이에 있어서의 계면 에너지량을 나타낸다. 식 1 의 제 2 항은, 제 1 기재 (11A) 와 제 1 습윤층 (12A) 사이에 있어서의 계면 에너지량을 나타낸다. 식 1 의 제 3 항은,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 사이에 있어서의 계면 에너지를 나타낸다. 식 1 의 제 4 항은, 제 1 습윤층 (12A) 의 중력 위치 에너지를 나타내고 있다. 식 1 로부터, 계를 결정하는 인자는 3 개의 계면 에너지와 중력 위치 에너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제 1 기재 (11A) 와 대기가 접촉하는 면적과, 제 1 기재 (11A) 와 제 1 습윤층 (12A) 이 접촉하는 면적의 합계 (합) 는,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치이다. 즉, 식 2 가 성립한다.
Figure pct00004
또한, 에너지 E 는 다음과 같이 둘로 나누어 식 3, 식 4 로서 생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igure pct00005
식 2 를 고려하면, 식 3 에 대해서는 크게는 젖음각의 요소 등이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의 결정에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젖음각이 90 도보다 큰 계를 A, 90 도인 계를 B, 90 도보다 작은 계를 C 로서 경우에 따라 구분한다.
젖음각 이외의 다른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의 요소에 관해서는, 식 4 에 있어서의 E2 에 대해 고려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하의 식 5 ∼ 식 7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나누어,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의 결정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Figure pct00006
식 5 의 조건하에 있어서의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의 결정 프로세스를 도 8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식 5 의 조건으로부터, 제 1 습윤층 (12A) 의 도포 직후의 형상은,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계면 에너지를 최소로 하도록 결정된다. 요컨대, 제 1 습윤층 (12A) 의 도포 직후의 형상은,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접촉 면적을 최소로 하도록 결정된다.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접촉 면적을 최소로 하도록 결정된 제 1 습윤층 (12A) 의 도포 직후에 있어서의 형상은, 젖음각 θ 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 8 의 (A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젖음각 θ 가 90 도보다 큰 계에서는, 도 8 의 (B1) 에 나타내는 젖음각 θ 가 90 도인 계에 비해 제 1 기재 (11A) 와의 접촉 면적이 작음과 함께, 제 1 습윤층 (12A) 의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높이는 높다. 또, 도 8 의 (C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젖음각 θ 가 90 도보다 작은 계에서는, 도 8 의 (B1) 에 나타내는 젖음각 θ 가 90 도인 계에 비해 제 1 기재 (11A) 와의 접촉 면적이 큼과 함께, 제 1 습윤층 (12A) 의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양단부의 높이는 낮다.
제 1 습윤층 (12A) 의 폭방향 Y 에 있어서 바깥 공기에 접촉하고 있는 면적은, 양단부가 가장 크기 때문에 양단부의 용제가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용제에 비해 효율적으로 날아간다. 이와 같이, 제 1 습윤층 (12A) 에 있어서는 양단부가 건조되기 쉽다. 그 때문에, 도 8 의 (A2), (B2), (C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 C 중 어느 계에 있어서도,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에는 건조한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이 형성된다.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이 형성되면, 제 1 습윤층 (12A) 은, 제 1 기재 (11A) 뿐만이 아니라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에 대해서도 적절한 젖음각 θ 를 형성하도록, 또한 식 1 에 나타내는 에너지 E 가 최소가 되도록 형상을 더욱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식 5 의 조건하에 의하면,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접촉 면적을 최소로 하도록 결정되는 점에서, 도 8 (A3), 도 8 (B3), 도 8 (C3) 의 각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은 도 8 의 (A2), (B2), (C2) 의 형상인 채로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식 5 의 조건하에 있어서는, 제 1 돌조쌍 (16) 은 형성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식 6 의 조건하에 있어서의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의 결정 프로세스를 도 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식 6 의 조건으로부터, 제 1 습윤층 (12A) 의 도포 직후의 형상은, 제 1 습윤층 (12A) 의 중력 위치 에너지를 최소로 하도록 결정된다. 제 1 습윤층 (12A) 의 중력 위치 에너지를 최소로 하도록 결정된 제 1 습윤층 (12A) 의 도포 직후에 있어서의 형상은,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계면 에너지를 최소로 하도록 결정되는 식 5 의 조건하의 경우에 비해 두께가 작아져, 극단적으로 젖어 확산된 형상이 된다. 예를 들어, 젖음각 θ 가 90 도보다 큰 계에서는 도 9 의 (A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습윤층 (12A) 은, 도 8 의 (A1) 에 있어서의 제 1 습윤층 (12A) 보다 두께가 작아, 극단적으로 젖어 확산된 형상이 된다. 동일하게, 젖음각 θ 가 90 도인 도 9 의 (B1) 의 계에서는 도 8 의 (B1) 에 있어서 보다, 젖음각이 90 도보다 작은 도 9 의 (C1) 의 계에서는 도 8 의 (C1) 에 있어서 보다, 각각 두께가 작아, 극단적으로 젖어 확산된 형상의 제 1 습윤층 (12A) 이 된다.
식 6 의 조건하에서도, 식 5 의 조건하와 동일하게,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가 가장 바깥 공기에 접촉하고 있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용제가 날아가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가 건조되기 쉽다. 그 때문에, 도 9 의 (A2), (B2), (C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 C 중 어느 계에 있어서도,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에는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이 형성된다.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이 형성되면, 제 1 습윤층 (12A) 은, 제 1 기재 (11A) 뿐만 아니라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에 대해서도 적절한 젖음각을 형성하도록, 또한 식 1 에 나타내는 에너지 E 가 최소가 되도록 형상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식 6 의 조건하에 의하면, 제 1 습윤층 (12A) 의 중력 위치 에너지를 최소로 하도록 결정되는 점에서, 도 9 (A3), 도 9 (B3), 도 9 (C3) 의 각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은, 도 9 의 (A2), (B2), (C2) 의 형상인 채로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식 6 의 조건하에 있어서는, 제 1 돌조쌍 (16) 은 형성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식 7 의 조건하에 있어서의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의 결정 프로세스를 도 1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식 7 의 조건으로부터, 제 1 습윤층 (12A) 의 도포 직후의 형상은, 제 1 습윤층 (12A) 과 대기의 접촉 면적을 최소로 하려고 하는 경향과, 제 1 습윤층 (12A) 의 중력 위치 에너지를 최소로 하려고 하는 경향의 밸런스에 의해, 식 1 에 있어서의 에너지 E 를 최소로 하도록 결정된다. 그 때문에, 제 1 습윤층 (12A) 의 도포 직후의 형상은, 각각 젖음각 θ 가 90 도보다 큰 계, 90 도인 계, 90 도보다 작은 계에 있어서, 각각 도 10 (A1), 도 10 (B1), 도 10 (C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 5 의 조건과 식 6 의 조건의 중간의 형상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식 7 의 조건하에서는, 도포 직후에 있어서의 제 1 습윤층 (12A) 은, 두께가 식 5 의 조건하보다 작고 식 6 의 조건하보다 커지고, 젖어 확산되는 정도가 식 5 의 조건하보다 크고 식 6 의 조건하보다 작아진다.
식 7 의 조건하에서도, 식 5 및 식 6 의 조건하와 동일하게,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가 가장 바깥 공기에 접촉하고 있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용제가 날아가,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가 건조되기 쉽다. 그 때문에, 도 10 의 (A2), (B2), (C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 C 중 어느 계에 있어서도,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에는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이 형성된다.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이 형성되면, 제 1 습윤층 (12A) 은, 제 1 기재 (11A) 뿐만 아니라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에 대해서도 적절한 젖음각 θ 를 형성하도록, 또한 식 1 에 나타내는 에너지 E 가 최소가 되도록 형상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제 1 습윤층 (12A) 과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의 젖음각 θ 는 실질적으로 0 도인 점에서, 제 1 습윤층 (12A) 의 중력 위치 에너지를 최소로 하려고 하는 경향과의 밸런스에 의해 식 1 에 있어서의 에너지 E 를 최소로 하는 해 (解) 가 변화하기 때문에, 도 10 (A3), 도 10 (B3), 도 10 (C3) 의 각각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은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이 결과, 제 1 돌조쌍 (16) 이 형성된다. 요컨대, 식 7 의 조건하에 있어서만, 제 1 돌조쌍 (16) 은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도 10 의 (B1), (B2), (B3) 과 같이 젖음각 θ 가 90 도, 혹은 대략 90 도가 되는 조건이 제 1 돌조쌍 (16) 이 적층 필름 (2) 의 필름면에 대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조건이다. 또한, 제 2 돌조쌍 (17) 의 형성 메커니즘에 대해서도 제 1 돌조쌍 (16) 의 형성 메커니즘과 동일하다.
제 1 돌조쌍 (16) 이 형성되는 조건에 대해 도 1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돌조쌍 (16) 이 형성되는 조건으로는, 젖음각 θ 와 m(x)gh(x)/γLGSLG 를 들 수 있다. 도 11 의 세로축은 기재와 습윤층의 젖음각 θ 이다. 가로축은 m(x)gh(x)/γLGSLG 이고, m(x)gh(x)/γLGSLG 는 도 1 의 오른쪽으로 향할수록 크다. 도 11 에 있어서는, m(x)gh(x)/γLGSLG 에 관해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습윤층 (12A) 이 변형하는 영역에 부호 (A) 를 부여하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습윤층 (12A) 이 변형하는 영역에 부호 (B) 를 부여하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습윤층 (12A) 이 변형하는 영역에 부호 (C) 를 부여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고분자 액정 화합물, 불소계 배향 제어제, 및 용제를 사용한 계는, 대체로 영역 58 (도 11 의 사선 영역) 로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한다. 또, 대체로 영역 60 (도 11 의 크로스 해칭 영역) 으로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하면 돌조쌍이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도 10 (B1), (B2), (B3) 의 조건과 같이 젖음각 θ 가 90 도일 때가, 기재의 표면에 대해 거의 수직인 돌조쌍이 발생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영역 (58) 내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제 1 기재 (11A) 의 표면 에너지를 작게 설계함으로써 화살표 (62) 에 따라 조건이 이행하여, 제 1 돌조쌍 (16) 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동일하게, 가능한 한 제 1 습윤층 (12A) 의 표면 장력을 크게 설계함으로써, 화살표 (64) 에 따라 조건이 이행하여, 제 1 돌조쌍 (16) 이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제 1 습윤층 (12A) 의 막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제 1 돌조쌍 (16) 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재 (11A) 상에 있어서의 제 1 습윤층 (12A) 의 형상 결정의 메커니즘에 대해 여기서는 설명했지만, 이 메커니즘은 모든 기재 상에 있어서의 습윤층의 형상 결정에 적합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필름 제조 설비 (20) 에는, 필름 기재 (10) 가 공급축 (32) 에 감겨진 공급롤 (34) 이 세트된다. 공급롤 (34) 로부터 공급된 필름 기재 (10) 는, 성막 장치 (22A, 22B, 22C) 로 순차 안내된다. 성막 장치 (22A) 에 의해 제 1 도포층 (11), 성막 장치 (22B) 에 의해 제 2 도포층 (12), 성막 장치 (22C) 에 의해 제 3 도포층 (13) 이 각각 형성된다. 제 1 도포층 (11) ∼ 제 3 도포층 (13) 이 성막된 적층 필름 (2) 은, 권취축 (36) 에 권취롤 (38) 로서 권취된다.
필름 기재 (10) 는, 도포 장치 (24A) 에 안내되면, 제 1 도포층 (11) 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이 일방의 필름면에 도포된다. 도포액이 도포된 필름 기재 (10) 는, 건조 장치 (26A) 에 안내되어, 도포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된 습윤층 (도시 없음) 이 건조되어 건조층이 된다. 제 1 도포층 (11) 을 형성하는 도포액이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건조층이 형성된 필름 기재 (10) 는 가열 장치 (28B) 에 안내된다. 이 가열 장치 (28B) 에 의한 가열에 의해, 건조층은, 습윤층에 함유되는 고분자 액정 화합물이 배향한 배향층 (도시 없음) 이 된다. 배향층이 형성된 필름 기재 (10) 는, UV 조사 장치 (30A) 에 안내된다. 이 UV 조사 장치에 의한 UV 조사에 의해, 배향층은 경화되어 제 1 도포층 (11) 이 된다. 또한, 도포액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 장치 (28B) 에 의한 배향 공정과, UV 조사 장치 (30A) 에 의한 경화 공정은 없다. 그래서, 도포액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조 장치 (26A) 를 나온 필름 기재 (10) 를 가열 장치 (28A) 와 UV 조사 장치 (30A) 를 개재하지 않고, 성막 장치 (22B) 에 안내해도 된다.
성막 장치 (22A) 로 제 1 도포층 (11) 이 형성되어 얻어진 제 1 기재 (11A) 는, 성막 장치 (22B) 의 도포 장치 (24B) 에 안내된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장치 (24B) 는, 성막 장치 (22A) 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제 1 기재 (11A) 의 제 1 도포층 (11) 에 제 1 도포액을 도포함으로써 제 1 습윤층 (12A) 을 형성한다. 제 1 도포액은, 도포액 공급 탱크 (44) 로부터 도포액 공급 라인 (46) 을 거쳐 도포용 공급구 (42A) 로부터 도포 헤드 (42) 내에 공급되고, 도포용 포켓 (42C) 에 일단 체류한 후, 도포 슬릿 (42B) 으로부터 유출된다. 반송 중의 제 1 기재 (11A) 에 제 1 도포액이 연속해서 유출됨으로써, 제 1 기재 (11A) 상에 제 1 습윤층 (12A) 이 형성되어 제 1 습윤 필름 (12B) 이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돌조쌍 (17) 을 갖는 제 3 도포층 (13) 을 제 2 도포층 (12)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제 2 도포층 (12) 을 형성하는 제 1 도포액은, 표면 에너지가 40 mN/m 이하인 제 2 도포층 (12) 이 형성되는 처방으로 하고 있다.
제 1 습윤층 (12A) 의 각 측부 가장자리가 제 1 도포층 (11) 의 각 측부 가장자리보다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내측이 되도록 제 1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 1 도포층 (11) 보다 폭 좁은 제 1 습윤층 (12A) 을 제 1 도포층 (11) 상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 1 습윤층 (12A) 을 형성함으로써, 제 1 도포층 (11) 보다 폭 좁은 제 2 도포층 (12) 이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 의 (C2)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과 같이 제 1 도포층 (11) 과 대략 동등한 폭의 제 2 도포층 (12) 을 제 1 도포층 (11) 상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1 습윤층 (12A) 의 각 측부 가장자리가 제 1 도포층 (11) 의 대체로 각 측부 가장자리 상이 되도록 제 1 도포액을 도포하면 된다. 또, 예를 들어 도 1 의 (C3)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과 같이 제 1 도포층 (11) 보다 폭넓은 제 2 도포층 (12) 을 제 1 도포층 (11) 과 필름 기재 (10) 의 양측단에 걸쳐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1 습윤층 (12A) 의 각 측부 가장자리가 제 1 도포층 (11) 의 각 측부 가장자리보다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외측이 되도록 제 1 도포액을 도포한다.
도 5a,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재 (11A) 의 제 1 도포층 (11) 상에 직접 제 1 습윤층 (12A) 이 도포된 제 1 습윤 필름 (12B) 은, 건조 장치 (26B) 에 안내된다. 건조 장치 (26B) 에 구비된 열풍기 (48) 로부터 제 1 습윤층 (12A) 에 함유되는 용제가 증발하여, 제 1 습윤층 (12A) 이 제 1 건조층 (12F) 이 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기재 (11A) 의 제 1 도포층 (11) 에 제 1 건조층 (12F) 이 중첩되는 제 1 건조 필름 (12C) 이 얻어진다. 동시에, 증발한 용제는 용제 회수기 (50) 에 의해 회수되어 재이용된다.
건조 장치 (26B) 에 있어서는,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가 가장 바깥 공기에 접촉하고 있는 면적이 크므로 효율적으로 용제가 날아가기 때문에, 제 1 습윤층 (12A) 의 양단부가 건조되기 쉽다. 그 때문에, 식 7 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제 1 기재 (11A) 의 표면 에너지 및 제 1 습윤층 (12A) 의 표면 장력을 설계하고, 건조 장치 (26B) 의 건조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도 10 (B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돌조의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을 형성한다. 이로써, 제 1 돌조쌍 (16) 이 형성된 제 1 건조층 (12F) 을 갖는 제 1 건조 필름 (12C) 이 얻어진다.
고분자 액정 화합물, 불소계 배향 제어제, 및 용제를 갖는 도포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재의 표면 에너지가 40 mN/m 이하이고, 도포액의 표면 장력이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이기 때문에, 영역 60 내의 도 10 (B1), (B2), (B3) 의 조건을 만족하는 계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조쌍을 갖는 도포층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포막인 제 2 도포층 (12) 과 제 2 도포막인 제 3 도포층 (13)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조건으로 성막을 실시한다. 이것에 대해, 돌조쌍을 갖지 않는 도포층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도포층 (11)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만족하지 않는 조건으로 성막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갖는 도포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소계 배향 제어제에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이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다른 유기물보다 표면 장력이 낮다. 이 때문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갖는 도포액이 형성되는 도포막에 있어서는, 불소가 표면 부근에 편재한다. 이 때문에, 불소계 배향 제어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돌조쌍의 제어를 하기 쉬워진다. 또, 불소계 유기물이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유기물보다 부드럽다. 예를 들어, 로크웰 경도 시험을 스케일 R 의 시험 조건으로 실시했을 때, 폴리 4 불화에틸렌이 58 정도, 폴리불화에틸렌·프로필렌이 25 정도인데에 반해, 폴리프로필렌이 90 ∼ 95 정도이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돌조쌍 (16, 17) 은 필름 기재 (10) 의 뒤쪽보다 조금 부드러운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필름이 권취될 때, 권취시의 적층 필름 (2) 의 이면과 표면의 과도한 접촉이나 밀착, 먼지에 의해, 막면이나 필름에 상처나 주름 등의 데미지가 부여되어 버리거나, 필름의 원주 상에 검은 띠가 시인되지 않고, 또 권취할 때의 장력을 낮게 하지도 않고, 적층 필름 (2) 은 권취된다.
도 6a,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 장치 (26B) 를 통과한 제 1 건조 필름 (12C) 은, 가열 장치 (28B) 에 안내된다. 제 1 건조 필름 (12C) 은, 가열 장치 (28B) 에 구비된 히터 (52) 에 의해 제 1 건조층 (12F) 에 함유되는 고분자 액정 화합물이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되도록 배향된다. 가열 장치 (28B) 는 필름 폭방향 Y 에 있어서 온도차가 잘 발생하지 않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배향시키는 데에 적합하다. 이 배향 조건은, 각 재료에 따라 적외 영역의 태양 광선의 투과를 방지하는 특성을 갖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이 되도록 조정된다. 이로써, 원하는 특성을 갖는 제 1 배향층 (12G) 이 제 1 기재 (11A) 의 제 1 도포층 (11) 과 중첩되는 제 1 배향 필름 (12D) 을 얻는다. 또한, 도포액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 장치 (28B) 에 의한 이 배향 공정은 필요없다.
또, 제 1 도포액의 용제 휘발 후의 점도가 0.5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열 장치 (28B) 에 있어서의 온도하에서 점도가 저하되고, 제 1 기재 (11A) 에 대해 제 1 건조층 (12F) 이 미묘하게 튀기는 것처럼 유동하여, 제 1 돌조쌍 (16) 의 높이가 상승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7a,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 장치 (28B) 를 통과한 제 1 배향 필름 (12D) 은, UV 조사 장치 (30B) 에 안내된다. 제 1 배향 필름 (12D) 은 UV 조사 장치 (30B) 에 의해 필름 상부로부터 UV 조사되고, 제 1 배향층 (12G) 이 경화되어, 제 1 기재 (11A) 상에 제 2 도포층 (12) 이 형성된다. 이로써, 제 1 경화 필름 (12E) 을 얻는다.
제 1 경화 필름 (12E) 은, 성막 장치 (22C) 의 도포 장치 (24C) 에 안내되어 제 2 도포액이 도포된다. 제 2 도포액으로 형성되는 제 2 습윤층 (도시 없음) 의 각 측부 가장자리가 제 2 도포층 (12) 의 각 측부 가장자리보다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내측이 되도록 제 2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 2 도포층 (12) 보다 폭 좁은 제 2 습윤층을 제 2 도포층 (12) 상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 2 습윤층을 형성함으로써, 제 2 도포층 (12) 보다 폭 좁은 제 3 도포층 (13) 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습윤층이 제 1 돌조쌍 (16) 보다 내측에 형성되도록 제 2 도포막을 도포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 의 (B2)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과 같이 제 2 도포층 (12) 과 대략 동등한 폭의 제 3 도포층 (13) 을 제 2 도포층 (12) 상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2 습윤층의 각 측부 가장자리가 제 2 도포층 (12) 의 대체로 각 측부 가장자리 상이 되도록 제 2 도포액을 도포하면 된다. 또, 예를 들어 도 1 의 (C4) ∼ (C6) 에 나타내는 적층 필름 (2) 과 같이 제 2 도포층 (12) 보다 폭넓은 제 3 도포층 (13) 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2 습윤층의 각 측부 가장자리가 제 2 도포층 (12) 의 각 측부 가장자리보다 폭방향 Y 에 있어서의 외측이 되도록 제 2 도포액을 도포한다.
제 2 습윤층이 형성된 필름 기재 (10) 는, 건조 장치 (26C) 에 안내된다. 건조 장치 (26C) 에서는, 제 2 습윤층의 양단부가 건조되어 제 1 초기 건조 영역 (12AS) 과 동일한 돌조의 제 2 초기 건조 영역 (도시 없음) 이 형성된다. 이로써, 제 2 돌조쌍 (17) 이 형성된 제 2 건조층 (도시 없음) 을 갖는 제 2 건조 필름 (도시 없음) 이 얻어진다.
제 2 건조 필름은, 가열 장치 (28C) 에 안내된다. 이 가열 장치 (28C) 에 의한 가열에 의해, 제 2 건조층은, 제 2 건조층에 함유되어 있던 고분자 액정 화합물이 배향한 제 2 배향층 (도시 없음) 이 된다. 제 2 배향층이 형성된 필름 기재 (10) 는, UV 조사 장치 (30A) 에 안내된다. 이 UV 조사 장치에 의한 UV 조사에 의해, 제 2 배향층은 경화되어 제 3 도포층 (13) 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적층 필름 (2) 이 얻어진다. 또한, 제 3 도포층 (13) 을 형성하는 도포액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열 장치 (28C) 에 의한 배향 공정과, UV 조사 장치 (30C) 에 의한 경화 공정은 없다. 그래서, 도포액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조 장치 (26A) 에 의해 얻어진 제 2 건조 필름이 적층 필름 (2) 이다. 적층 필름 (2) 은, 권취축 (36) 에 안내되어 롤상으로 권취되어 적층 필름 (2) 의 권취롤 (38) 이 얻어진다.
제 1 도포층 (11), 제 2 도포층 (12), 제 3 도포층 (13) 은, 그 두께가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외 영역의 태양 광선의 투과를 방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의 높이의 차이|H1 - H2| 가 3 ㎛ 이하이고,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의 간격이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 1 돌조쌍 (16) 과 제 2 돌조쌍 (17) 에 의해, 권취시의 횡어긋남 및 감아 조임 방지나 권취시에 필름의 이면과 표면의 사이에 간극이 보다 확보된다. 그 때문에, 권취시의 필름의 이면과 막면의 접촉이나 밀착 및 필름에 부착된 먼지 및 횡어긋남이나 감아 조임에 의해, 막면이나 필름에 상처나 주름 등의 데미지가 부여되어 버리거나, 필름의 원주 상에 검은 띠가 시인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없도록 적층 필름 (2) 은 권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도 1 (C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 제 2 도포층 (12) 의 표면을 ESCA (Electron Spectroscopy for Chemical Analysis, X 선 광전자 분광) 에 의해 아르곤 이온으로 수 ㎚/min. 의 에칭 레이트로 두께 방향의 원소 분석을 실시하여 산출을 실시하면, 예를 들어 도 12 와 같은 불소의 분석 결과가 얻어진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도포층 (12) 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500 ㎚ 까지의 영역 (이하, 표층이라고도 한다) 에 총 불소 함유량의 90 % 이상의 불소가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도포층 (12) 에는 불소가 편석하고 있다. 또한, 제 2 도포층 (12) 에 한정되지 않고, 불소계 배향 제어제를 사용한 모든 도포층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불소의 편석의 경향이 관찰된다.
또, 동일한 적층 필름 (2) 에 있어서, 돌조쌍을 갖는 단부의 편측에 있어서, 막후계를 사용하여 그 형상을 측정하면, 예를 들어 도 1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도 13 의 (B) 로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세로축은, (A) 의 파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 (b) 의 하단으로부터의 높이 (단위 : ㎛) 이다. 가로축은, (A) 의 파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 (b) 의 우단으로부터의 거리이다. 도 10 의 (B) 의 그래프에 있어서는, 필름 기재 (10) 의 높이를 나타내는 영역에 부호 R10 을 부여하고, 제 1 도포층 (11) 의 높이를 나타내는 영역에 부호 R11 을 부여하고, 제 2 도포층 (12) 의 높이를 나타내는 영역에 부호 R12 를 부여하고, 제 1 돌조쌍 (16) 의 높이를 나타내는 영역에 부호 R16 을 부여하고 있다. (B) 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 1 돌조쌍 (16) 이 확실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 2 돌조쌍 (17) 에 대해서도,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확실하게 형성되는 것이 막후계에 의해 확인된다. 또한, 도 13 의 (A) 에 있어서는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제 1 도포층 (11) 이 돌조쌍을 가지지 않는 층이고, 제 2 도포층 (12) 이 제 1 돌조쌍 (16) 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는 제 1 도포막이고, 제 3 도포층 (13) 이 제 2 돌조쌍 (17) 을 형성하는 요인이 되는 제 2 도포막인 경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 의 (A1), (B1), (B2), (C2), (C3) 과 같이, 제 1 도포층 (11), 제 2 도포층 (12), 제 3 도포층 (13) 중 어느 두 개의 층에 돌조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여도 된다. 또는, 도 1 의 (A3) 과 같이, 제 1 도포층 (11), 제 2 도포층 (12), 제 3 도포층 (13) 중 어느 두 개의 층에 돌조쌍의 기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여도 된다. 또는, 도 1 의 (A2), (B3), (C4), (C5), (C6) 과 같이, 제 1 도포층 (11), 제 2 도포층 (12), 제 3 도포층 (13) 중 어느 하나의 층에 돌조쌍이 형성되고 다른 어느 하나의 층에 돌조쌍의 기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여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도포층 (11), 제 2 도포층 (12), 제 3 도포층 (13) 과 제 1 도포막, 제 2 도포막의 조합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조합이어도 상관없다. 단, 제 1 도포층 (11) 을 제 1 도포막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 1 기재가 되는 필름 기재 (10) 의 표면 에너지가 40 mN/m 이하의 것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 제 1 도포층 (11), 제 2 도포층 (12), 제 3 도포층 (13) 의 도포폭은, 예를 들어 도 1 (A1), (B1), (C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폭이 큰 순서대로 제 1 도포층 (11), 제 2 도포층 (12), 제 3 도포층 (13) 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돌조쌍 (16, 17) 의 제어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 기재 (10) 와 3 층의 도포층 (11, 12, 13) 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포층이 2 층만이어도 상관없고, 또, 돌조쌍을 형성하기 쉽게 기재의 표면 에너지의 조건을 유리하게 하기 위해서 도포층을 늘려 합계의 도포층을 4 층 이상으로 해도, 적층 필름 (2) 이 두 개의 돌조쌍을 폭방향 측단부에 갖는 구조이면 상관없다. 또, 예를 들어 도포층을 4 층 이상으로 하는 것과 동등한 목적으로, 필름 기재 (10) 상이나 각 도포층 상에 진공 성막 프로세스 등으로 형성되는 어떠한 층을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을 차열용의 적층 필름으로 하기 위해,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원 편광 반사층을 2 층과 좌원 편향 반사층을 1 층을 형성했지만, 반사 특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도포층을 적절히 추가해도 상관없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실시예와 비교예 (또한 비교예는 공지 기술이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를 들어 본 발명의 특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및 본 비교예는, 다양한 조건에 있어서, 필름 기재 (10) 상에 제 1 도포층 (11), 제 2 도포층 (12), 제 3 도포층 (13) 을 형성하여 적층 필름을 얻고, 그 적층 필름을 권취축 (36) 으로 권취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한 것이다. 또한, 권취 평가에 있어서의 하기의 「변형」 이란, 권취 완료 전, 즉 권취 중에 권취롤이 변형하는 경우와, 권취 완료 후의 권취롤이 후에 변형하는 경우의 양방을 포함한다.
1. 권취 평가
A : 권취 형상 변형 없음
B : 일부 권취 형상 변형 있음
C : 전체적으로 권취 형상 변형 있음
2. 횡어긋남 평가
A : 횡어긋남 없음
B : 일부 횡어긋남 있음
C : 전체적으로 횡어긋남 있음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필름 기재 (10) 에는 두께 7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ET, 후지 필름 주식회사 제조) 을 사용하였다. 또,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필름 기재 (10) 의 반송 속도는 10 m/min 으로 하고,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건조 시간은 30 초간으로 하고,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85 도로 하고, 가열 시간은 4 분간으로 하였다. 또, UV 조사 공정에서는, 장치 내의 분위기를 질소 치환하여 산소 농도를 300 ppm 으로 하고, 온도를 30 ℃ 로 설정하고, 아이그래픽 제조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출력을 조정하여 500 mJ/㎠ 로 UV 조사하여, 고분자 액정 화합물의 배향상을 경화시켰다.
또, 모든 도포층에 대해, 고분자 액정 화합물, 불소계 배향 제어제, 및 용제를 갖는 도포액 (A) 및 도포액 (B) 를 사용하였다. 도포액 (A) 및 도포액 (B) 의 조성은, 각각 표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이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또, 각 도포층의 형성에 사용한 도포액의 조합을 이하의 표 3 에 나타낸다. 표 3 에는 각 층의 반사 특성 및 반사 파장의 피크도 아울러 나타냈다.
Figure pct00009
본 실시예의 실시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4 에, 본 비교예의 실시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로 얻어진 적층 필름 (2) 에 대해, 일방의 측단부에 있어서의 돌조쌍의 수와, 각 돌조쌍의 적층 필름 (2) 의 중앙부의 필름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측단부의 단면 형상을, 표 4 의 「돌조쌍의 수 (높이) 형상」 란에 나타낸다. 비교예로 얻어진 적층 필름에 대해서는, 표 5 의 「돌조쌍의 수 (높이) 형상」 란에 나타낸다. 또한, 이들 란 내의 도에는, 중앙부의 필름면의 높이에는 파선을 부여하고 있다. 또, 표 4, 표 5 에서는 측단부의 단면 형상의 도시에 있어서 해칭을 생략한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가 1 ㎛ 이상이고 높이의 차이가 3 ㎛ 이하인 제 1 및 제 2 돌조쌍 (16, 17) 을 갖는 적층 필름 (2) 에 대해서는, 권취 평가와 횡어긋남 평가의 쌍방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가 1 ㎛ 이상의 제 1 돌조쌍만 갖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권취 평가와 횡어긋남 평가의 쌍방에 있어서 그런대로 결과가 얻어졌다. 높이가 1 ㎛ 이상의 돌조쌍을 갖지 않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권취 평가에 있어서 그런대로 결과가, 횡어긋남 평가에 있어서는 나쁜 결과가 얻어졌다.
이것으로부터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필름면보다 높이가 1 ㎛ 이상 있는 제 1 및 제 2 돌조쌍 (16, 17) 을 갖는 적층 필름 (2) 이 본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높이의 차이|H1 - H2| 가 3 ㎛ 이하인 제 1 및 제 2 돌조쌍 (16, 17) 을 갖는 적층 필름 (2) 이 본 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기재의 표면 에너지가 40 mN/m 이하이고, 도포액의 표면 장력이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인 경우에 돌조쌍이 형성되기 쉬운 것도 알 수 있었다.

Claims (16)

  1. 적층 필름은 이하를 구비한다 :
    웹상의 제 1 기재 ;
    상기 제 1 기재 상에 제 1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 1 도포막이고, 상기 제 1 도포액은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갖는다 ;
    제 2 기재 상에 제 2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 제 2 도포막이고, 상기 제 2 기재는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1 도포막을 갖고, 상기 제 2 도포액은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갖는다 :
    및,
    상기 제 1 도포막 및 상기 제 2 도포막의 폭방향 양측단부에 형성된 제 1 돌조쌍과 제 2 돌조쌍이고, 상기 제 1 돌조쌍과 상기 제 2 돌조쌍은 상기 적층 필름의 폭방향 중앙부의 필름면보다 1 ㎛ 이상 높고, 상기 제 1 돌조쌍과 상기 제 2 돌조쌍 중 어느 일방은 타방보다 상기 적층 필름의 측단측에 있다.
  2.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막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500 ㎚ 까지의 영역에 상기 제 1 도포막에 함유되는 총불소 함유량의 90 % 이상의 불소가 존재하고, 상기 제 2 도포막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500 ㎚ 까지의 영역에 상기 제 2 도포막에 함유되는 총불소 함유량의 90 % 이상의 불소가 존재한다.
  3.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조쌍과 상기 제 2 돌조쌍의 높이의 차이는 3 ㎛ 이하이다.
  4. 제 2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조쌍과 상기 제 2 돌조쌍의 높이의 차이는 3 ㎛ 이하이다.
  5.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조쌍과 상기 제 2 돌조쌍의 간격은 1 ㎜ 이상이다.
  6.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막과 상기 제 2 도포막의 두께는 각각 1 ㎛ 이상이다.
  7.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막과 상기 제 2 도포막은 콜레스테릭상을 각각 나타낸다.
  8.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의 각 표면 에너지는 40 mN/m 이하이다.
  9.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액과 상기 제 2 도포액의 각 표면 장력은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의 범위 내이다.
  10. 제 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액과 상기 제 2 도포액의 용제 휘발 후의 각 점도가 0.5 ㎩·s 이하이다.
  11.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구비한다 :
    (A) 웹상의 제 1 기재 상의 제 1 도포 영역에 제 1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 1 습윤막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제 1 기재의 표면 에너지는 40 mN/m 이하이고, 상기 제 1 도포액의 표면 장력은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의 범위 내이다 ;
    (B) 상기 제 1 습윤막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켜 제 1 건조막으로 하는 것 ;
    (C) 상기 제 1 건조막을 경화시켜 제 1 도포막으로 하는 것 ;
    (D) 제 2 기재 상의 상기 제 1 도포 영역과 상이한 폭의 제 2 도포 영역에 제 2 도포액을 도포하여 제 2 습윤막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기재는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1 도포막을 갖고, 상기 제 2 기재의 표면 에너지는 40 mN/m 이하이고, 상기 제 2 도포액의 표면 장력은 20 mN/m 이상 40 mN/m 이하의 범위 내이다 ;
    (E) 상기 제 2 습윤막으로부터 용제를 증발시켜 제 2 건조막으로 하는 것 ;
    및,
    (F) 상기 제 2 건조막을 경화시켜 제 2 도포막으로 하는 것.
  12. 제 1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추가로 이하의 단계를 구비한다 :
    (G)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의 사이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도포액은 상기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갖는다 ; 및,
    (H) 상기 E 단계와 상기 F 단계의 사이에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2 도포액은 상기 고분자 액정 화합물과 불소계 배향 제어제와 용제를 갖는다.
  13. 제 12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막과 상기 제 2 도포막은 콜레스테릭상을 각각 나타낸다.
  14. 제 1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액과 상기 제 2 도포액의 용제 휘발 후의 각 점도는 0.5 ㎩·s 이하이다.
  15. 제 1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 영역과 상기 제 2 도포 영역의 간격이 1 ㎜ 이상이다.
  16. 제 11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막의 두께와 상기 제 2 도포막의 두께는 각각 1 ㎛ 이상이다.
KR1020147006955A 2011-11-22 2012-11-20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968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5142A JP5774452B2 (ja) 2011-11-22 2011-11-22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1-255142 2011-11-22
PCT/JP2012/080059 WO2013077318A1 (ja) 2011-11-22 2012-11-20 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458A true KR20140095458A (ko) 2014-08-01
KR101968786B1 KR101968786B1 (ko) 2019-04-12

Family

ID=4846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955A KR101968786B1 (ko) 2011-11-22 2012-11-20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74452B2 (ko)
KR (1) KR101968786B1 (ko)
WO (1) WO2013077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8738A (zh) * 2018-04-23 2019-10-29 豪宗(海口)新材料节能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节能构件的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7314A (ja) * 2001-12-04 2003-06-13 Fuji Photo Film Co Ltd フィルム
KR20060093283A (ko) * 2005-02-21 2006-08-24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도포층을 갖는 롤형 필름의 제조 방법, 롤형 광학 필름,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1191582A (ja) * 2010-03-16 2011-09-29 Fujifilm Corp 積層膜の製造方法、積層膜、及び遮熱部材
JP2011248198A (ja) * 2010-05-28 2011-12-08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3129A (ja) * 2008-03-18 2009-10-01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7314A (ja) * 2001-12-04 2003-06-13 Fuji Photo Film Co Ltd フィルム
KR20060093283A (ko) * 2005-02-21 2006-08-24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도포층을 갖는 롤형 필름의 제조 방법, 롤형 광학 필름,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1191582A (ja) * 2010-03-16 2011-09-29 Fujifilm Corp 積層膜の製造方法、積層膜、及び遮熱部材
JP2011248198A (ja) * 2010-05-28 2011-12-08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74452B2 (ja) 2015-09-09
KR101968786B1 (ko) 2019-04-12
JP2013107333A (ja) 2013-06-06
WO2013077318A1 (ja)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5090B1 (en) Phase difference film manufacturing method, circular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film elongation device
KR101796851B1 (ko)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원편광판의 제조 방법
JP2020151960A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086310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8305529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ptical compensation film, optical compensation film, polarizer, and liquid-crystal display
US8109010B2 (en) Method for drying applied film and drying apparatus
US8025936B2 (en) Optical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70084312A (ko)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968786B1 (ko)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H0973081A (ja) 長尺状光学補償シートの製造方法
JP4968947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716036B2 (ja) 光学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905035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083244A (ja) 長尺状搬送物の加工方法及び装置
KR20200056410A (ko) 장척 액정 필름, 장척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장척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CN100542686C (zh) 涂布膜的干燥方法和光学薄膜
WO2016132607A1 (ja)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7096940B1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KR20060043568A (ko) 광학보상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9103981A (ja) 光学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光学補償フィルム
WO2019159973A1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装置
JP5221192B2 (ja) 多層膜の形成方法
JP2008058818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07142006A1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015396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