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896A -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896A
KR20140094896A KR1020130007521A KR20130007521A KR20140094896A KR 20140094896 A KR20140094896 A KR 20140094896A KR 1020130007521 A KR1020130007521 A KR 1020130007521A KR 20130007521 A KR20130007521 A KR 20130007521A KR 20140094896 A KR20140094896 A KR 20140094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ry shaft
shaft
hinge
hing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725B1 (ko
Inventor
금동철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동광
김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 김병진 filed Critical (주)동광
Priority to KR2013000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7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2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radial friction, e.g. cylindr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중량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본체의 일측단에 힌지부재가 장착되어, 도어본체가 힌지부재 중심으로 회전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문틀에 구비되는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도어본체 일측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제1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축공과 상단 및 하단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베어링과,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축공에 관통하여 위치하는 상단 및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을 형성한 후, 상기 다수개의 결합공에 각각 삽입설치되어 회동축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로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힌지부재의 회동축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로드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중량 도어를 개폐시에 로드부의 작용에 따라 도어를 슬로우모션화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Hinge structure for heavy weight dooor}
본 발명은 고중량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일측면에 설치되는 힌지구조에 슬로우모션화가 가능하게 로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로드부와 회동축의 외주면이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보다 안전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도어를 제외한 특수문은, 차수문, 방폭도어 등과 같이 고중량 도어가 특수 목적에서 특정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고중량인 만큼 특수 설계가 이루어지며, 관리 또한 특별히 이루어지고 진다.
특수상황에 따라 고중량 도어에 적용되는 개폐장치는 잠금이 이루어지고, 통상적으로는 개방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여기서 도어의 개방은 개방후 통로상에서의 도어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기 위해 벽면측에 도어를 회동시켜 위치시키되,벽면으로부터는 함몰되게 시공된 안내홈부에 도어를 위치시켜 고정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중량 도어를 개폐시, 도어의 자체중량으로 인해 관성이 발생하여, 상기 관성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을 뿐더러, 도어의 움직임으로 인해 사람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에 측면에 힌지부재가 장착된 고중량 도어의 구조를 개선하여, 힌지부재에 로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로드부의 작용에 따라 도어를 개폐시, 도어의 움직임을 슬로우모션화함으로써, 도어의 자체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에 영향을 받아 도어를 개폐하는데 있어서, 도어를 조절하기 어려운 점을 극복함은 물론, 도어의 움직임을 조절하지 못함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본체의 일측단에 힌지부재가 장착되어, 도어본체가 힌지부재 중심으로 회전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문틀에 구비되는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도어본체 일측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제1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축공과 상단 및 하단에 안착홈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베어링과,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축공에 관통하여 위치하는 상단 및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나사부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을 형성한 후, 상기 다수개의 결합공에 각각 삽입설치되어 회동축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로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회동축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마련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회동축에 마찰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마련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2고정부재의 다수개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에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다수개의 마찰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에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다수개의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힌지부재의 회동축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로드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중량 도어를 개폐시에 로드부의 작용에 따라 도어를 슬로우모션화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 예로, 본 발명에 따른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에 작용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제 2 실시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마찰면이 형성된 회동축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제 3 실시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안착홈부가 형성된 회동축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어본체(100)의 일측단에 힌지부재(200)가 장착되어, 도어본체(100)가 힌지부재(200) 중심으로 회전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200)는 문틀(300)에 구비되는 축공(211)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와, 상기 도어본체(100) 일측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 사이에 위치하는 축공(231)과 상단 및 하단에 안착홈(232)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230)와, 상기 제2고정부재(230)의 안착홈(232)에 안착되는 베어링(240)과,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와 상기 제2고정부재(230)의 축공(211)(231)에 관통하여 위치하는 상단 및 하단에 나사부(221)가 형성된 회동축(220)과, 상기 회동축(220)의 나사부(221)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250)와,상기 제2고정부재(23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235)을 형성한 후, 상기 다수개의 결합공(235)에 각각 삽입설치되어 회동축(220)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로드부(260)로 구성된다.
그럼, 본 발명에 따른 힌지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 측 벽면에 문틀(300)을 설치하고,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닫기 위해 도어본체(100)가 마련되되, 도어본체(100)가 개폐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문틀(300)과 도어본체(100) 일측면에 힌지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부재(200)의 구성은 도어본체(100)를 고정하기 위해 문틀(300)에 축공(211)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가 다수개 수직배열되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중앙에 축공(231)과 상하단에 안착홈(232) 및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235)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230)가 위치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230)의 안착홈(232)에 회전운동을 자유롭게 해주는 베어링(240)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와 상기 제2고정부재(230)의 축공(211)(231)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상·하단에 나사부(221)가 형성된 회동축(220)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220)을 고정하기 위해 회동축(220)의 나사부(221)에 체결부재(250)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본체(100)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가압으로 인해 도어본체(100)가 회동축(220)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회동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제2고정부재(230)의 다수개의 결합공(235)에 로드부(260)가 삽입설치되는데,
상기 로드부(260)는 회동축(220)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마련된 로드(261)와, 상기 로드(261)가 회동축(220)에 마찰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마련된 탄성부재(262)와, 상기 탄성부재(262)를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2고정부재(230)의 다수개의 결합공(235)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6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힌지구조의 작용에 따른 제 1 실시 예를 설명하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본체(100)를 사용자가 밀게 되면, 도어본체(100)가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문이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축(220)의 외주면과 제2결합부재(263)의 결합공(235)에 설치된 로드부(260)의 로드(261)가 탄성부재(262)의 복원력으로 인해 마찰된 상태로 문이 열리게 되는 작용, 즉, 상기 회동축(220)의 외주면과 로드부(260)의 로드(261)가 마찰하여,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회동력이 저하됨으로 슬로우모션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어본체(100)의 자체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에 영향을 받은 상태에서의 도어본체(100)의 움직임을 느리게 함으로써, 빠르게 회동하는 도어본체(100)에 작용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제 2 실시 예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설명하면,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축(220)의 외주면에는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다수개의 마찰면(2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의 작용은
회동축(220)의 다수개의 마찰면(222)에 로드부(260)의 로드(261)가 탄성부재(262)의 복원력으로 인해 마찰된 상태에서 문이 열리게 되며, 상기 로드부(260)의 로드(261)가 회동축(220)의 형성된 각각의 마찰면(222)과 단계적으로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어본체(100)의 자체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에 영향을 받은 상태에서의 도어본체(100)의 움직임을 느리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3 실시 예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을 생략하고 설명하면,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220)의 외주면에는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다수개의 안착홈부(22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의 작용은
회동축(220)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착홈(232)에 로드부(260)의 로드(261)가 탄성부재(262)의 복원력으로 인해 안착된 상태에서 문이 열리게 되며, 상기 로드부(260)의 로드(261)가 회동축(220)의 형성된 각각의 안착홈부(223)에 단계적으로 안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도어본체(100)의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어본체(100)의 자체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관성에 영향을 받은 상태에서의 도어본체(100)의 움직임을 느리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회동축(220)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힌지부재(200)에 로드부(260)를 장착하여 작용시킴으로써, 차수문, 특수도어, 방폭도어 등의 고중량 도어를 개폐시에 로드부(260)의 작용에 따라 도어를 슬로우모션화함으로 보다 안전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도어본체 200: 힌지부재
210: 제1고정부재 220: 회동축
230: 제2고정부재 240: 베어링
250: 체결부재 260: 로드부
261: 로드 262: 탄성부재
263: 결합부재 300: 문틀

Claims (4)

  1. 도어본체(100)의 일측단에 힌지부재(200)가 장착되어, 도어본체(100)가 힌지부재(200) 중심으로 회전하여 출입구를 개폐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200)는 문틀(300)에 구비되는 축공(211)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와,
    상기 도어본체(100) 일측면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 사이에 위치하는 축공(231)과 상단 및 하단에 안착홈(232)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230)와,
    상기 제2고정부재(230)의 안착홈(232)에 안착되는 베어링(240)과,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부재(210)와 상기 제2고정부재(230)의 축공(211)(231)에 관통하여 위치하는 상단 및 하단에 나사부(221)가 형성된 회동축(220)과,
    상기 회동축(220)의 나사부(221)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체결부재(250)와,
    상기 제2고정부재(230)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결합공(235)을 형성한 후, 상기 다수개의 결합공(235)에 각각 삽입설치되어 회동축(220)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킴으로 슬로우모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로드부(2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260)는 회동축(220)과 마찰하여 회동력을 저하시키기 위해 마련된 로드(261)와, 상기 로드(261)가 회동축(220)에 마찰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마련된 탄성부재(262)와, 상기 탄성부재(262)를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2고정부재(230)의 다수개의 결합공(235)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20)의 외주면에는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다수개의 마찰면(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20)의 외주면에는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일정하게 다수개의 안착홈부(2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KR20130007521A 2013-01-23 2013-01-23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KR101482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521A KR101482725B1 (ko) 2013-01-23 2013-01-23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7521A KR101482725B1 (ko) 2013-01-23 2013-01-23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896A true KR20140094896A (ko) 2014-07-31
KR101482725B1 KR101482725B1 (ko) 2015-01-14

Family

ID=5174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7521A KR101482725B1 (ko) 2013-01-23 2013-01-23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7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9110B (el) * 2016-06-14 2017-09-08 Νικολαος Γεωργιου Πελεκος Μηχανισμος περιστρεφομενων πορτων ασφαλειας
CN108979385A (zh) * 2018-07-16 2018-12-11 佛山市远阳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可调阻尼的合页
CN110630123A (zh) * 2019-10-31 2019-12-31 湖南联诚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动车组司机室活动侧窗用带阻尼铰链
CN111800969A (zh) * 2020-07-08 2020-10-20 国网(天津)综合能源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和物联网的智慧能源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495B1 (ko) * 1996-10-24 1999-04-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힌지 조립체
KR200380539Y1 (ko) * 2005-01-17 2005-03-31 도경원 레이디얼 베어링이 삽입된 도어용 힌지
KR20050091625A (ko) * 2005-03-12 2005-09-15 임효빈 힌지장치
KR101291281B1 (ko) * 2010-11-09 2013-07-30 유광식 도어 힌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9110B (el) * 2016-06-14 2017-09-08 Νικολαος Γεωργιου Πελεκος Μηχανισμος περιστρεφομενων πορτων ασφαλειας
CN108979385A (zh) * 2018-07-16 2018-12-11 佛山市远阳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可调阻尼的合页
CN110630123A (zh) * 2019-10-31 2019-12-31 湖南联诚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动车组司机室活动侧窗用带阻尼铰链
CN111800969A (zh) * 2020-07-08 2020-10-20 国网(天津)综合能源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和物联网的智慧能源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725B1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7316C (en) Adjustable torque hinge
US10030427B2 (en) Compact hin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EA034304B1 (ru) Малогабаритная петля
KR1016098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909911B1 (ko) 도어용 힌지장치
KR200487213Y1 (ko) 문 급속 닫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기구
PT1266115E (pt) Unidade de ferragem para uma janela ou uma porta
JP2021031923A (ja) 開度制限蝶番及びその部品
KR102142066B1 (ko) 여닫이 문용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여닫이 문 설치 구조
KR20140105164A (ko) 욕실용 도어 힌지
KR20220167588A (ko) 멈춤 가능한 힌지 장치
JP2007056515A (ja) 二軸ヒンジ装置
KR101916534B1 (ko) 도어 체커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 힌지
JP4473549B2 (ja) 窓用開閉角度停止装置
KR20150085872A (ko) 힌지장치
KR101451819B1 (ko) 안전도어
KR101726287B1 (ko) 도어 힌지장치
KR101035119B1 (ko) 유압 브레이크 힌지
KR101902476B1 (ko) 도어용 경첩
KR101328429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자동 잠금 크리센트
TWM559929U (zh) 可提升使用安全性之防夾門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101152517B1 (ko) 안전 도어힌지
JP2971365B2 (ja) 中折りドア類の施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