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707A - 컴퓨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컴퓨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707A
KR20140094707A KR1020130006490A KR20130006490A KR20140094707A KR 20140094707 A KR20140094707 A KR 20140094707A KR 1020130006490 A KR1020130006490 A KR 1020130006490A KR 20130006490 A KR20130006490 A KR 20130006490A KR 20140094707 A KR20140094707 A KR 20140094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housing
opening
closing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965B1 (ko
Inventor
신성호
Original Assignee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965B1/ko
Priority to CN201410022606.5A priority patent/CN103941828A/zh
Publication of KR2014009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모듈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의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전력 소모 없이도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 케이스{Computer case}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모듈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의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전력 소모 없이도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컴퓨터 케이스'는,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의 외형을 이루는 것을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이라 하면, 보통 내부에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된 본체와 디스플레이 수단인인 모니터와 입력수단인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실장된 메인보드, 전원공급장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케이스는, 보통 금속의 판부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부분적으로는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6개의 판부재를 이용하여 6면체를 형성하고 있다.
종래 컴퓨터 케이스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통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호 이격되어 대면하는 2개의 판 부재와, 이들 2개의 판부재에 직각으로 결합하는 앞판, 뒷판,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컴퓨터 케이스는, 필요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 사용될 수 있고(이 경우, 2개의 판 부재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형태), 수평방향으로 누워져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컴퓨터 케이스에 있어서, 다른 판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2개의 판 부재의 중의 하나의 판 부재의 내측면에는 메인보드가 장착된다. 메인보드에는 컴퓨터의 각종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전자부품들이 실장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작동시 열을 발생시키는 부품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들 발열부품 들 중에, 특히 중앙처리장치는 작동시 많은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발생된 열을 내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기 위한 공냉식의 냉각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공냉식 냉각장치는 흡열부와 방열부 및 냉각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흡열부에서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방열핀으로 전달하고, 냉각팬에 의해 생성된 공기의 흐름(바람)은 이러한 방열핀들 사이를 통과하며 열교환되어, 결과적으로 중앙처리장치를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중앙처리장치의 냉각을 위한 공냉식 냉각장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각 냉각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기의 흐름의 방향도 냉각장치마다 다르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컴퓨터 케이스를 이루는 판부들에는 상기 발열부품으로 인해 더워진 내부의 공기가 환기되도록 다수의 환기구들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환기구들이 항상 개방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외부로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컴퓨터 케이스에는 개폐식 환풍구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 경우 별도의 센서와 컴퓨터 전원에 연결된 모터를 이용하여 환풍구를 개폐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그 구성과 제어가 복잡하며, 일반 컴퓨터 케이스에는 사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모듈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의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전력 소모 없이도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케이스의 본체를 이루며, 내부에는 전자 부품들이 수용되고, 적어도 일 면에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개폐식 환풍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폐식 환풍구의 일 측에 배치되며,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상기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되도록 하는 열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해진 열에너지에 의해 상기 열 액추에이터가 팽창하면, 상기 열 액추에이터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되고, 상기 열 액추에이터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 부재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 액추에이터는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만 열팽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으로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식 환풍구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 액추에이터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블레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전력 소모 없이도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개폐식 환풍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컴퓨터 케이스의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컴퓨터 케이스의 액추에이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액추에이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컴퓨터 케이스에서 개폐식 환풍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컴퓨터 케이스에서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의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개폐식 환풍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컴퓨터 케이스의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1)는, 컴퓨터 케이스(1)의 본체를 이루며 내부에는 전자 부품들이 수용되고 적어도 일 면에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개폐식 환풍구(210)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200)와, 케이스 본체(200)의 개폐식 환풍구(210)의 일 측에 배치되며,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개폐식 환풍구(210)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모듈(도 3의 100 참조)을 포함한다.
상세히, 케이스 본체(200)의 내부에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실장된 메인보드, 전원공급장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케이스 본체(200)는, 보통 금속의 판부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부분적으로는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6개의 판부재를 이용하여 6면체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 본체(200)의 적어도 일 면에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개폐식 환풍구(2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개폐식 환풍구(210)는 후술할 액추에이터 모듈(도 3의 100 참조)의 열팽창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개폐식 환풍구(210)가 케이스 본체(200)의 상면에 형성되며, 개폐식 환풍구(210)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211)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케이스 본체(200)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개폐식 환풍구(210)를 이루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211)는 케이스 본체(200)의 일면에 결합하여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면서 개폐식 환풍구(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케이스 본체(200)에 형성된 환풍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 모듈(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컴퓨터 케이스의 액추에이터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액추에이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 모듈(100)은 하우징(110), 슬라이딩 부재(120), 커버(130), 열 액추에이터(140), 탄성 부재(150)를 포함한다. 또한, 액추에이터 모듈(100)은 고정 부재(160), 스토퍼(170), 열전소자(180) 및 전원 단자(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하우징(110)은 액추에이터 모듈(100)의 본체를 이루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11)를 포함한다. 한편, 하우징 본체(111)의 대략 중심부에는 열 액추에이터(140)가 수용되는 액추에이터 홀(112)이 형성되고, 액추에이터 홀(112)의 양측으로는 후술할 슬라이딩 부재(120)의 가이드 핀(122)이 끼워지는 가이드 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20)는 하우징(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10)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슬라이딩 부재(120)는 대략 편평한 평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21)와, 베이스 플레이트(121)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핀(122)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핀(122)이 하우징(110)의 가이드 홀(113)에 끼워져서 가이드 홀(11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120)는 하우징(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21)는 슬라이딩 부재(120)의 작동 면적을 확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커버(130)는 고정 부재(160)에 의해 하우징(110)의 후면에 결합되며, 열전소자(180) 및 전원 단자(190)가 결합하는 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180) 및 전원 단자(19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열 액추에이터(140)는 하우징(110)의 액추에이터 홀(112)에 수용되며,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슬라이딩 부재(120)를 가압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120)가 하우징(110)에 대해 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열 액추에이터(140)는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는 열팽창 부재(141)와, 열팽창 부재(141)가 열팽창을 하면 열팽창 부재(141)에 의해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 부재(120)를 가압하는 가압 핀(142)을 포함한다.
상세히, 열 액추에이터(actuator)는 열이나 온도에 의한 현상의 변화를 이용한 소자의 총칭인 서머 엘레멘트(thermo element)의 일종으로써, 열 액추에이터(actuator)는 온도 변화를 변위나 힘으로 변환하여 구동력을 발생한다. 열 액추에이터(actuator)의 예로서, 온도 변화에 따르는 왁스(wax)(수지)의 용융/고화에 수반하는 체적 변화를 이용한 왁스 서머 엘레멘트(wax thermo element)가 알려져 있다. 즉, 열 액추에이터(140)에 소정의 열에너지가 가해지면, 왁스와 같은 열팽창 부재(141)가 열팽창 하게 되고, 열팽창 부재(141)가 열팽창을 하면 열팽창 부재(141)에 의해 가압 핀(142)이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 부재(120)를 밀어주게 되어, 결과적으로 슬라이딩 부재(120)도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열적 팽창을 이용한 열 액추에이터(thermal actuator)는 제작이 간편하며 상대적으로 강한 힘을 가지고 있어서 별도의 센서 및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도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열팽창 부재(141)의 물성치는 열팽창 부재(141)의 재질의 고유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로 다양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률(Young's modulus), 푸아송비(Poisson's ratio), 두께(Depth), 전기 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 대류 열전달 계수(Convection coefficient), 열팽창계수(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 액추에이터(140)는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만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열 액추에이터(140)는 컴퓨터의 작동 온도 범위인 대략 5℃ ~ 135℃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열팽창 하여 슬라이딩 부재(120)를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폐식 환풍구(210)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OFF) 되어 있을 때는 열 액추에이터(140)가 열팽창을 하지 않고 따라서 개폐식 환풍구(210)가 폐쇄되어 있다가, 컴퓨터의 전원이 온(ON) 되어 컴퓨터 내부의 전자 부품들이 작동하면서 소정의 열이 발생하여, 컴퓨터 케이스(1)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작동 범위(예를 들어, 5℃ ~ 135℃)가 되면, 열 액추에이터(140)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부재(12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폐식 환풍구(210)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탄성 부재(150)는 하우징(110)과 슬라이딩 부재(120)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 부재(120)가 하우징(110)에 대해 인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슬라이딩 부재(120)의 가이드 핀(122)은 하우징(110)의 가이드 홀(113)에 끼워지며, 이 가이드 핀(122)에 탄성 부재(150)가 더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토퍼(170)가 가이드 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탄성 부재(150)의 양단부는 각각 슬라이딩 부재(120)와 하우징(110)(및 하우징에 고정 결합된 스토퍼)에 고정 결합되며, 탄성 부재(150)는 도 4의 화살표 K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즉, 탄성 부재(150)는 슬라이딩 부재(120)가 하우징(110)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OFF) 되는 등과 같은 이유로 컴퓨터 케이스(1) 내부의 온도가 하강하여, 열 액추에이터(140)의 작동 온도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탄성 부재(15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120)는 도 4의 화살표 A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개폐식 환풍구(210)가 다시 폐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열전소자(18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소정의 열에너지를 발생하여 열 액추에이터(14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전원 단자(190)는 열전소자(18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컴퓨터의 메인 전원으로부터 발생한 전원을 열전소자(18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열전소자(180)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각종 효과를 이용한 소자의 총칭이다. 크게 전기저항의 온도 변화를 이용한 소자인 서미스터, 온도 차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인 제베크효과를 이용한 소자, 전류에 의해 열의 흡수(또는 발생)가 생기는 현상인 펠티에효과를 이용한 소자인 펠티에소자 등이 있다. 서미스터는 온도에 의해 전기저항이 크게 변화하는 일종의 반도체소자로서, 전기저항이 온도의 상승에 의해 감소되는 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온도 상승에 의해 저항이 증가하는 정온도계수 서미스터(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등을 사용한다. 서미스터는 몰리브데넘, 니켈, 코발트, 철 등 산화물을 복수 성분으로 배합하여 이것을 소결해서 만들며, 회로의 안정화와 열, 전력, 빛 검출 등에 사용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열전소자(180)에서 소정의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이 열에너지에 의해 열 액추에이터(140)가 가열되어 열 액추에이터(140)의 온도가 소정의 작동 범위(예를 들어, 5℃ ~ 135℃)가 되면, 열 액추에이터(140)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부재(12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폐식 환풍구(210)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으로 열전소자(18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개폐식 환풍구(210)가 개방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환풍구 개폐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환풍구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여 소정의 개폐식 환풍구 개방/폐쇄 신호가 입력되면, 열전소자(180)에 전원이 인가되어, 개폐식 환풍구(210)가 개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컴퓨터 케이스에서 개폐식 환풍구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컴퓨터 케이스에서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OFF) 되어 있을 때는 열 액추에이터(140)가 열팽창을 하지 않고 따라서 다수 개의 블레이드(211)들이 케이스 본체(200)와 밀착하여 개폐식 환풍구(210)가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1) 컴퓨터의 전원이 온(ON) 되어 컴퓨터 내부의 전자 부품들이 작동하면서 소정의 열이 발생하여, 컴퓨터 케이스(1) 내부의 온도가 소정의 작동 범위(예를 들어, 5℃ ~ 135℃)가 되거나, 2) 컴퓨터의 전원이 온(ON) 되면서 자동으로 열전소자(18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열전소자(180)에서 소정의 열에너지가 발생하여, 이 열에너지에 의해 열 액추에이터(140)가 가열되어 열 액추에이터(140)의 온도가 소정의 작동 범위(예를 들어, 5℃ ~ 135℃)가 되거나, 3) 별도의 환풍구 개폐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환풍구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여 소정의 개폐식 환풍구 개방/폐쇄 신호가 입력되어, 열전소자(180)에 전원이 인가되면, 열 액추에이터(140)가 작동하여 슬라이딩 부재(120)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개폐식 환풍구(210)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열 액추에이터(140)의 온도가 소정의 작동 범위(예를 들어, 5℃ ~ 135℃)가 되면, 열 액추에이터(140)는 열팽창 하여 슬라이딩 부재(120)를 도 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그러면, 슬라이딩 부재(120)는 직선 운동을 하면서 다수 개의 블레이드(211)들과 연결된 프레스를 이동시키고, 이동된 프레스 각 블레이드(211)들을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개폐식 환풍구(210)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먼지 유입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전력 소모 없이도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환풍구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센서, 모터 등이 불필요해짐에 따라,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고장의 확률이 감소하는 동시에 관리가 용이해지고, 모터 소음이 없으며, 작동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모듈의 단독 설치가 가능하므로 개폐를 필요로 하는 기타 부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작동 부위의 장착으로 인한 케이스 시스템의 차별화를 꾀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컴퓨터 케이스
100: 액추에이터 모듈
110: 하우징
120: 슬라이딩 부재
130: 커버
140: 열 액추에이터
150: 탄성 부재
200: 케이스 본체
210: 개폐식 환풍구

Claims (10)

  1. 컴퓨터 케이스의 본체를 이루며, 내부에는 전자 부품들이 수용되고, 적어도 일 면에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선택적으로 가능한 개폐식 환풍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폐식 환풍구의 일 측에 배치되며,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여 상기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는 액추에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열에너지에 의해 열팽창을 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되도록 하는 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끼워지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해진 열에너지에 의해 상기 열 액추에이터가 팽창하면, 상기 열 액추에이터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되고,
    상기 열 액추에이터가 수축되면, 상기 탄성 부재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액추에이터는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만 열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열전소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으로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개폐식 환풍구의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환풍구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 액추에이터가 상기 슬라이딩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인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블레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개폐식 환풍구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KR1020130006490A 2013-01-21 2013-01-21 컴퓨터 케이스 KR10144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490A KR101441965B1 (ko) 2013-01-21 2013-01-21 컴퓨터 케이스
CN201410022606.5A CN103941828A (zh) 2013-01-21 2014-01-17 计算机机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490A KR101441965B1 (ko) 2013-01-21 2013-01-21 컴퓨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707A true KR20140094707A (ko) 2014-07-31
KR101441965B1 KR101441965B1 (ko) 2014-09-25

Family

ID=5118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490A KR101441965B1 (ko) 2013-01-21 2013-01-21 컴퓨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1965B1 (ko)
CN (1) CN1039418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3396B (zh) * 2018-03-15 2021-09-21 重庆熊猫快收供应链管理有限公司 一种计算机机箱
CN108551097A (zh) * 2018-03-22 2018-09-18 刘丽霞 一种用于电力自动化柜
CN108539599A (zh) * 2018-03-22 2018-09-14 刘丽霞 一种电力电气柜
CN111451187B (zh) * 2020-04-08 2021-12-07 济南华诚恒信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热能重利用的计算机机箱清理装置
CN111522417B (zh) * 2020-05-06 2021-12-07 聊城八月瓜大数据服务有限公司 一种随温度变化而自动开放和关闭通道口的机箱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218487A (en) * 1986-12-13 1988-06-16 Uwatoko, I. A thermally responsive actuator
KR19990036964U (ko) * 1999-05-19 1999-10-05 김광근 컴퓨터용외장형방열팬
CN2612982Y (zh) * 2002-10-22 2004-04-21 联想(北京)有限公司 基于环境温度的系统风扇转速线性控制装置
CN101315573B (zh) * 2007-05-31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防尘装置及其组合
JP3136516U (ja) * 2007-07-23 2007-11-01 ギガ−バイト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コンピュータ用低騒音放熱装置
CN100573396C (zh) * 2008-03-21 2009-12-23 北京创毅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对电子设备进行温度控制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965B1 (ko) 2014-09-25
CN103941828A (zh)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965B1 (ko) 컴퓨터 케이스
CN103826426B (zh) 移动终端及移动终端散热方法
US821408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actable fan cooling of electronic enclosures
JP2006134329A (ja) コンピュータ放熱システム
JP5649369B2 (ja) 電子機器
US20190346893A1 (en) Mobile device temperature-regulating case
KR20190040213A (ko) 풀 디스플레이 미러를 냉각시키는 방법
JP7280678B2 (ja) 電子機器
CN114265475A (zh) 一种外壳结构及终端设备
CN104025371A (zh) 电源盒系统及其通风系统
CN206235991U (zh) 一种计算机散热器
EP2703942B1 (en) Heat dissipation device
TWI776730B (zh) 可攜式電子裝置
JP6609702B2 (ja) 保冷加温装置、及び分析装置
KR101534584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102108628B1 (ko) 공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조 방법
CN108770256B (zh) 调节散热型电力电气元件容纳体
CA2248518A1 (en) Enclosure for equipment which requires cooling
JP3185148U (ja) 放熱機構を備えたモータ駆動装置
WO2019182560A1 (en) Heat dissipating elements
JP7218942B2 (ja) 電子機器
KR100844201B1 (ko)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자동차 및 산업용 친환경공조시스템
KR19980063021U (ko) 통신기기 내장 캐비닛의 온도 조절 장치
JP7376117B2 (ja) 冷却手段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その冷却方法
JP2006331140A (ja) 電子機器の設計方法、電子機器設計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