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005A -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 Google Patents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005A
KR20140093005A KR1020130005235A KR20130005235A KR20140093005A KR 20140093005 A KR20140093005 A KR 20140093005A KR 1020130005235 A KR1020130005235 A KR 1020130005235A KR 20130005235 A KR20130005235 A KR 20130005235A KR 20140093005 A KR20140093005 A KR 2014009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ground
excavation
penetration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욱
유지훈
Original Assignee
(주)아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리터 filed Critical (주)아리터
Priority to KR1020130005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005A/ko
Publication of KR2014009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의 선단에 회전력을 통해 견고한 지반의 굴착과 관입을 원활하게 하는 굴착부를 구비하여 말뚝 시공시 지반 관입 저항을 줄이고 지지 성능과 시공속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나선형 회전날개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위치하는 굴착부로 이루어지는 강관 말뚝으로서, 외면 하부 측으로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의 원활한 상승 배출을 위해 절단된 개방부를 갖는 나선형 회전날개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밑면에 지반 관입시 저항 감소를 위한 토사수용구멍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하중 분산과 지반으로 원활하고 용이한 관입을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굴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는 상기 굴착부와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A piles with ground intrusive improvement functions}
본 발명은 말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의 선단에 회전력을 통해 견고한 지반의 굴착과 관입을 원활하게 하는 굴착부를 구비하여 말뚝 시공시 지반 관입 저항을 줄이고 지지 성능과 시공속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시공 시, 구조물을 지지하는 원 지반의 지지능력이 부족할 경우, 지반으로부터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지중(地中)에 말뚝(pile)이 관입 형성된다.
한편, 원통형의 말뚝은 관입시 외력, 지중의 토사나 자갈, 괴석 등과 같은 장애물의 저항에 기인하여 강관 선단 부분의 변형이나 파손을 유발하여 지지력을 떨어뜨리거나 시공속도를 방해하는 등의 주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원통형의 말뚝을 이용하여 지반으로 관입할 경우 발생 되는 강관 선단 부분의 변형이나 파손을 최소화함은 물론 시공속도를 높일 수 있는 말뚝이 요구되었고, 이에 부합하여 다양한 구성의 말뚝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말뚝은 단순히 강철 띠 형상의 슈(shoe : 케이싱파이프(casing pipe)의 끝 부분에 붙어 나사를 보호하는 동시에 케이싱파이프(casing pipe)가 구멍 내로 쉽게 들어가도록 끝이 뾰족한 공구를 말뚝의 선단 부분에 덧대어 부착함에 따라 강철 띠 두께만큼 강관 말뚝의 반지름이 커져 결과적으로 관입 되는 총 단면적이 증가하고, 또한 이러한 단면들이 각각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슈(shoe)와 말뚝 선단 부분 단면상의 모든 점들이 동시에 관입 되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관입 되는 말뚝과 토사 사이의 저항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강철 띠의 면적만큼 슈(shoe) 부분의 연 면적이 증가하므로, 말뚝 외면과 토사 사이의 마찰력도 증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관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말뚝의 선단을 폐색되도록 형성할 경우에는 관입 저항이 증대하여 효율적인 관입이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경의 말뚝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말뚝은 선단 부분에 관입을 용이하게 이루기 위해 형성되는 나선형 회전날개가 선단과 맞닿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견고한 지반 예컨대, 암석(巖石 :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단단한 물질로서,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으로 크게 나눈다.)이나, 암반(巖盤 : 다른 바위 속으로 돌입하여 불규칙하게 굳어진 큰 바위.)이 존재하는 지반으로는 회전날개와 암석 또는 암반과의 간섭에 의해 관입이 어렵고, 또 억지 관입시 회전날개가 파손되거나, 말뚝의 선단이 견고하게 지지 되지 못하여 지지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착부와 회전날개를 이격 형성시켜 견고한 지반으로 말뚝의 관입시 회전날개와 지반이나 지중에 존재하는 암석이나 암반과 같은 단단한 물체와의 간섭 없이 일정한 깊이로 말뚝의 선단을 용이하게 관입 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날개의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한 회전 관입을 통해 지지력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날개의 일 측으로 개방부를 형성하고, 굴착부 밑면에 토사수용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토사수용구멍으로 토사를 유입시켜 말뚝과 토사 사이의 저항력을 현저히 줄여 관입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날개 상부로 토사의 유동성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그 반작용에 의해 회전 추진력을 향상시켜 관입 저항을 증대시키는 일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관입시킬 수 있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선형 회전날개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위치하는 굴착부로 이루어지는 강관 말뚝으로서, 외면 하부 측으로 일 측에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의 원활한 상승 배출을 위해 절단된 개방부를 갖는 나선형 회전날개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밑면에 지반 관입시 저항 감소를 위한 토사수용구멍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하중 분산과 지반으로 원활하고 용이한 관입을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굴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는 상기 굴착부와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착부는 경사면에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 또는 나선형 커터가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착부의 토사수용구멍에는 말뚝의 설치시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선형 날개는 2개 이상 형성될 경우, 개방부의 형성위치가 상호 90°또는 18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스틸 재질 또는 콘크리트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와 굴착부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와 굴착부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될 경우, 몸체와 굴착부는 각각으로 회전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돌기는 원추형, 역삼각형, 역사다리꼴,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반 또는 지중의 암석이나 암반과 같은 단단한 물체를 회전력에 의해 강제로 절삭시키는 굴착부를 통해 견고한 지반 또는 지중으로 원활하고 신속히 관입 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지반에서의 연직 지지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굴착시 또는 상부 구조물 형성시 경사면을 형성한 굴착부에 의해 수직 하중을 분산되도록 하여 상부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지력 증대 및 침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의 배출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그 반력에 의한 관입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능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말뚝의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고 바른 관입을 이루어 품질 향상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 나선형 회전날개가 굴착부와 거리를 두고 이격 형성됨에 따라 회전날개 밑면의 저항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지지 돌기의 형성에 의해 회전 관입시 견고한 지반을 절삭으로 연약화시킴으로써, 저항을 최소화하므로 지반 관입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착부의 경사면에 나선형 커터를 부가함으로써, 견고한 지반에서 시공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말뚝으로서, 몸체와 굴착부가 일체로 동작가능한 상태로서, 굴착부의 경사면을 통해 하중분산이 이루어지는 것을 종래 말뚝과 대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굴착부에 지지 돌기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말뚝으로서, 몸체와 굴착부가 각각 회전 동작가능한 상태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제 2 실시 예로서, 경사면에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굴착부를 저면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와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제 3 실시 예로서, 경사면에 나선형 커터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의 나선형 커터를 각각 다른 형태로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나선형 회전날개(111)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선단에 형성되는 굴착부(12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개략 원통관 형태를 이루고, 외면 하부 측으로는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의 원활한 상승 배출을 위해 절단된 개방부(111a)를 갖는 나선형 회전날개(111)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111a)는 나선형 회전날개(111)의 일 측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양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111)가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각 개방부(111a)의 형성위치는 상호 90° 또는 180° 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111)가 몸체(110)에 2개만 형성될 경우에는 각 회전날개(111)의 개방부(111a) 형성 위치는 상호 180°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선형 회전날개(111)가 4개 이상 형성될 경우에는 각 개방부(111a)의 형성 위치는 상호 90°또는 180°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배치하는 이유는 말뚝(100)의 회전 관입시 발생하는 굴착 토사의 배출시 유동성을 좋게 하여 토사의 원활한 배출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나선형 날개(111)의 개방부(111a) 단면 결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111)가 형성되는 개수에 따라 개방부(111a)의 형성 위치를 균형 있게 배치함으로써, 굴착 되는 토사가 개방부(111a)를 통해 유동이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동시에 개방부(111a)가 어느 한 방향으로 몰려 형성되는 결손(缺損 어느 부분이 없거나 잘못되어서 불완전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굴착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밑면에는 지반 관입시 저항 감소를 위한 토사수용구멍(121)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하중 분산과 지반으로 원활하고 용이한 관입을 위한 경사면(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토사수용구멍(121)은 지반 관입시 굴착되는 토사를 원활하게 수용함으로써, 지반 관입 저항을 줄여 지반으로의 관입을 용이하게 하고 신속한 관입으로 시공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토사수용구멍(121)은 지름(직경)은 지반 조건에 따라 크기를 가감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연약지반에서는 토사수용구멍(121)의 지름을 다소 크게 형성하여 굴착 되는 토사를 수용하여 저항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견고한 지반에서는 토사수용구멍(121)의 지름을 다소 작게 형성하여 굴착 되는 토사가 지지 돌기(121a)를 제외한 조그만 공간으로 유입이 적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 경우에는 토사수용구멍(121)이 밀폐되어 있는 상태와 같은 지지 성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굴착부(120)의 토사수용구멍(121)에는 말뚝(100)의 설치시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돌기(121a)가 형성된다.
즉, 상기 토사수용구멍(121)의 중앙부에는 지름을 가로질러 개략 원추형 또는 역삼각형, 역사다리꼴, 직사각형 등의 지지 돌기(121a)가 일체로 성형 형성되거나 또는 용접 등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 돌기(121a)의 꼭지 점이 말뚝(100)의 설치 위치에 정확히 안착 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관입시 바른 관입을 안내함과 동시에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돌기(121a)는, 말뚝(100)의 회전 관입시 제일 먼저 지반과 접촉하면서 지반을 절삭으로 연약화시켜 굴착부(120)의 진입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굴착을 이루어지게 하므로 관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경사면(122)은 굴착부(120)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테이퍼(taper)지게 경사(傾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수직방향 하중 분산능력이 탁월하여 말뚝(100)의 관입을 바르게 함과 동시에 관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말뚝(100)의 굴착부(120)가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됨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말뚝과는 다르게 상부 구조물로부터 받는 수직방향 하중이 경사면(122)을 통해 지반으로 고루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상부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지지력 증대 및 침하를 방지하는 것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111)가 몸체(110)에 형성될 경우, 몸체(110)의 선단으로 형성되는 상기 굴착부(120)와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111)의 형성 위치를 상기 굴착부(120)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시킴으로써, 자갈이나 전석을 포함한 견고한 지반으로의 관입시 암석이나 암반 등과 같이 단단한 물체와 나선형 회전날개(111)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나선형 회전날개(111)의 훼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나선형 회전날개(111)와 떨어져 있는 몸체(110)의 선단 부분을 견고한 지반으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근입시킬 수 있어, 연직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말뚝(100)의 선단 지지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와 굴착부(120)는 도 1 내지, 도 2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스틸 재질이나 콘크리트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용해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몸체(110)와 굴착부(120)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용접 등에 의해 몸체(110)의 선단에 굴착부(120)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오거(auger) 설치 장비(미도시)에 의해 말뚝(100)의 설치시 일체로 회전 관입 동작하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몸체(110)와 굴착부(120)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상부 외면에 돌출 형성된 외경 키(110a)와 오거 설치장비의 회전체(200)의 내면에 형성된 키 홈(200a)을 결합함으로써,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관입과 인발을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굴착부(120)는 상부 외면에 돌출 형성된 외경 키(120a)와 오거 설치장비의 회전체(210)의 내면에 형성된 키 홈(210a)을 결합함으로써,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에 의해 관입과 인발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몸체(110)와 굴착부(120)는 각각으로 회전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몸체(110)만 회전 동작시키거나, 굴착부(120) 만 회전동작시키거나 몸체(110)와 굴착부(120)를 동시에 회전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암석이나 암반과 같이 단단한 물체가 존재하는 견고한 지반으로의 관입시 상기 굴착부(120) 만을 회전동작시켜 암석이나 암반과 같이 단단한 물체가 존재하는 견고한 지반으로 굴착부(120)를 먼저 관입시킨 후, 몸체(110)를 관입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관입을 이루어 시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말뚝(100)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견고한 지반으로도 원활하고 신속하며 용이한 관입을 이룰 수 있고, 선단, 굴착부에 의해 지지성능이 향상됨과 동시에 관입 저항을 줄여 시공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을 방지하여 품질 향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굴착부(120)의 경사면(122)에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122a)를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써, 지반 관입시 굴착 되는 토사를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122a)를 통해 나선형 회전날개(111)의 상부로 유동성을 좋게 하게 되는데, 이때 토사의 배출 반력으로 인해 말뚝(100)의 회전 추진력이 증대되어 관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122a)는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111)의 개방부(111a)에 대하여 개략 20°∼30°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부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굴착부(120)의 경사면(122)에 나선형의 커터(122b)를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써, 지반 관입시 암석이나 암반층과 같은 단단한 물체가 존재하는 견고한 지반에 대해 더욱더 높은 관입성을 도모하여 원활하고 신속하며 용이한 관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나선형의 커터(122b)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나선형 커터(122b)는 견고한 지반에 존재하는 암석이나 암반과 같은 단단한 물질을 용이하게 절삭 또는 절단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나선형 요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지반뿐만 아니라 암석이나 암반층과 같이 단단한 물체가 존재하는 견고한 지반에서도 절삭 관입을 용이하게 하여 강관 말뚝의 관입성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말뚝 110 : 몸체
110a : 외경키 111 : 회전날개
111a : 개방부 120 : 굴착부
120a : 외경키 121 : 토사수용구멍
121a : 지지 돌기 122 : 경사면
122a :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 122b : 나선형 커터
200, 210 : 회전체 200a, 210a : 키 홈

Claims (10)

  1. 나선형 회전날개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위치하는 굴착부로 이루어지는 말뚝으로서,
    외면 하부 측으로 굴착시 발생하는 토사의 원활한 상승 배출을 위해 절단된 개방부를 갖는 나선형 회전날개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밑면에 지반 관입시 저항 감소를 위한 토사수용구멍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하중 분산과 지반으로 원활하고 용이한 관입을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굴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형 회전날개는 상기 굴착부와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는 경사면에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 또는 나선형 커터가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부의 토사수용구멍에는 말뚝의 설치시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날개는 2개 이상 형성될 경우, 개방부의 형성위치가 상호 90°또는 18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굴착부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커터는 견고한 지반에 존재하는 암석이나 암반과 같은 단단한 물질을 용이하게 절삭 또는 절단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나선형 요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토 배출 안내부재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는 원추형, 역삼각형, 역사다리꼴,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굴착부가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될 경우, 몸체와 굴착부는 각각으로 회전 동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스틸 재질 또는 콘크리트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KR1020130005235A 2013-01-17 2013-01-17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KR20140093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235A KR20140093005A (ko) 2013-01-17 2013-01-17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235A KR20140093005A (ko) 2013-01-17 2013-01-17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038A Division KR101574695B1 (ko) 2014-10-23 2014-10-23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005A true KR20140093005A (ko) 2014-07-25

Family

ID=5173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235A KR20140093005A (ko) 2013-01-17 2013-01-17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0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819B1 (ko) 2018-01-15 2019-09-30 (주)썬트랙 태양광 발전구조물용 지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819B1 (ko) 2018-01-15 2019-09-30 (주)썬트랙 태양광 발전구조물용 지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475B2 (en) Rotary press-in steel pipe pile
JP3133466U (ja) 地盤改良コラム築造装置の掘削ヘッド
KR101574695B1 (ko)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CA3003476C (en) Helical pile with cutting tip
JP5053154B2 (ja) 回転圧入杭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851632B1 (ja) 既存杭の破砕除去装置および既存杭の破砕除去方法
JP4705506B2 (ja) 回転圧入鋼管杭及び鋼管杭を用いた圧入工法
JP5380064B2 (ja) 杭穴掘削方法及び杭穴掘削ヘッド
KR20140093005A (ko) 지반 관입 향상 기능을 갖는 말뚝
JP5193084B2 (ja) ドリリングバケット
JP4572291B2 (ja) 杭穴掘削ヘッド、杭穴掘削方法
JP5410205B2 (ja) シールド機及びそのシールド機の掘進工法
JP4121489B2 (ja) 回転貫入鋼管杭
JP6611153B1 (ja) 修正掘用バケット及び修正掘工法
KR101726256B1 (ko) 말뚝구멍 굴착 헤드 및 말뚝구멍 굴착 방법
JP7025986B2 (ja) 掘削バケットおよび場所打ち杭の構築方法
JP2003232035A (ja) 回転埋設鋼管杭用の拡底板、及びこの拡底板の回転埋設鋼管杭への取付け方法
JP7479187B2 (ja) 翼を備えた鋼管杭
JP6435077B1 (ja) 掘削ヘッド
JP7249701B1 (ja) ローラ型切削ビット
CN213952202U (zh) 前端带叶片的旋转贯入钢管桩
KR200387971Y1 (ko) 비틀린 철판을 이용한 굴착용 드릴날
JP5842201B2 (ja) 掘削刃及びバケット
JP2006207259A (ja) 回転貫入杭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00291366A (ja) 掘削ビ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