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946A - 부품함 - Google Patents

부품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946A
KR20140092946A KR1020120157707A KR20120157707A KR20140092946A KR 20140092946 A KR20140092946 A KR 20140092946A KR 1020120157707 A KR1020120157707 A KR 1020120157707A KR 20120157707 A KR20120157707 A KR 20120157707A KR 20140092946 A KR20140092946 A KR 20140092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ver
case
moun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2946A/ko
Publication of KR2014009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품함은 케이스(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커버(5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내부공간(12)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데, 상기 커버(50)의 내면에 부품장착부(70,70')가 형성되어 부품(46,48)이 장착되어 커버(50)의 개폐에 따라 부품(46,48)이 상기 내부공간(12)의 내외부로 함께 이동한다. 상기 커버(50)를 관통하여서는 부품체결공(62,62',66,66')이 형성되는데, 상기 부품체결공(62,62',66,66')은 상기 커버(50)의 선단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부품체결공(62,62',66,66')을 관통하여서는 고정구(80)가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되어 상기 부품(46,48)과 버스바(26,30,34)들을 서로 체결한다. 상기 고정구(80)는 상기 커버(50)를 상기 케이스(10)에 체결하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46,48)을 커버(50)의 내면에 장착한 상태로 커버(50)와 함께 내부공간(12)의 내외부로 이동시키므로 매우 좁은 공간에서도 부품(46,48)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부품함{Parts case}
본 발명은 부품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된 부품을 커버의 개방에 의해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부품함에 관한 것이다.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은 외부의 환경이 미치지 않도록 부품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좋다. 즉, 부품함의 내부공간에 부품을 설치하여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버스바나 전선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품함의 내부에 퓨즈나 릴레이와 같은 부품을 설치하게 되면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부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좋은 점이 있다.
이와 같은 부품함에는 부품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나 커버가 있는데, 반드시 도어나 커버를 열어야 상기 내부공간을 볼 수 있고, 내부공간에 있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최근에 생산되는 제품들은 경박단소화를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그 제품들에서 사용되는 부품들도 역시 경박단소화되고 있고,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도 최소화되도록 하고 주변부품과의 사이에도 최소한의 공간만을 두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 많은 부품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주변 부품과의 공간도 좁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부품함 내부의 부품을 확인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어나 커버를 연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의 부품을 작업자가 손으로 분리해내야 한다.
특히, 부품을 나사 등을 사용하여 부품함 내에 체결하는 구조에서는 나사를 조작하기 위한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즉, 좁은 공간에서 긴 공구를 사용할 수 없어 작업자가 매우 불편한 상태로 작업할 수 밖에 없고 긴 공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전용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좁은 공간에서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장착과 분리를 할 수 있는 부품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함의 커버를 개방하였을 때 내부의 부품이 커버와 함께 인출되어 부품함의 외부에서 부품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외부 및 부품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내면에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과 상기 케이스를 체결하기 위한 부품체결공이 상기 커버의 외부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부품의 연결부를 상기 케이스의 전기적 연결부재에 체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고정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구가 상기 부품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부품의 연결부와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를 체결한다.
상기 커버에 형성된 부품체결공은 상기 커버의 선단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품체결공은 상기 커버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공구채널의 내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 및 부품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내면에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품과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부품체결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부품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부품의 연결부를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에 체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가 케이스에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장착부는 일측으로 개방된 장착공이 형성된 한쌍의 장착리브로 구성된다.
상기 부품체결공은 상기 커버의 선단 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된다.
상기 부품체결공은 상기 커버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공구채널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장착커버부와, 상기 장착커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부품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커버부는 상기 장착커버부에 몰드힌지부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개폐커버부는 상기 고정구가 부품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부품의 연결부와 전기적 연결부재를 체결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함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부품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의 체결을 부품함의 외부에서 할 수 있도록 커버를 관통하여 부품체결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품의 체결과 해제를 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부품체결공의 개구방향이 커버의 측방향으로 되도록 하였으므로 공구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부품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체결은 케이스측에 설치된 버스바에 되지만 부품은 커버에 장착되어 있어 커버를 개방함에 의해 부품이 부품함의 내부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이동되므로 외부에서 작업자가 부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의 내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케이스에 구비되는 버스바와 부품 사이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부품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스(10)가 부품함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일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14)과 상기 바닥판(14)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 측벽(1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다수개의 구획벽(18)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공간(12)을 구획한다. 도면부호 16'는 상기 측벽(16)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상기 개구부(16')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5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장착편(20)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편(20)에는 각각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2)을 부품함을 고정하기 위한 부분에 체결되는 나사가 관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장착편(20)이 있는데, 상기 장착편(20)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케이스(10)의 외면인 측벽(16)에는 걸이턱(2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50)를 상기 케이스(10)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50)가 3군데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는 입력버스바(26)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버스바(26)를 관통하여서는 양 입력볼트(28)가 설치되어 전원측에서 온 외부단자가 체결된다. 상기 입력버스바(26)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으로 각각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또한 제1출력버스바(30)가 상기 입력버스바(26)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상기 제1출력버스바(30)를 관통하여서는 제1 양 출력볼트(32)가 설치되어 부하측에서 연장된 외부단자가 체결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또한 제2출력버스바(34)가 상기 입력버스바(26)의 반대쪽인 상기 제1출력버스바(30)와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제2출력버스바(34)를 관통하여서는 제2 양 출력볼트(36)가 설치되어 부하측에서 연장된 외부단자가 체결된다.
상기 구획벽(18)중 하나에 의해 구획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내부공간(12)에는 조인트버스바(38)가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버스바(38)에는 음 입력볼트(40), 제1음 출력볼트(42), 제2 음 출력볼트(44)가 각각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입력볼트(40)에는 전원측에서 온 외부단자가 체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음 출력볼트(42,44)에는 부하측에서 연장된 외부단자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는 제1부품(46)이 위치된다. 상기 제1부품(46)은 상기 입력버스바(26) 및 제1출력버스바(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부품(46)은 본 실시예에서는 퓨즈가 사용된다. 상기 제1부품(46)의 양단에는 상기 입력버스바(26) 및 제1출력버스바(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46')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는 또한 제2부품(48)이 설치된다. 상기 제2부품(48)은 상기 입력버스바(26) 및 제2출력버스바(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부품(48)도 본 실시예에서는 퓨즈가 사용된다. 상기제2부품(48)의 양단에도 상기 입력버스바(26) 및 제2출력버스바(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48')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을 외부와 차폐하도록 커버(5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50)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된 것으로, 장착커버부(52)와 개폐커버부(54)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커버부(52)와 개폐커버부(54)는 몰드힌지부(5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몰드힌지부(56)는 재질과 구성의 특성상 유연하게 만들어져 상기 장착커버부(52)에 대해 상기 개폐커버부(54)가 회전하면서 상기 내부공간(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커버부(52)의 측면을 둘러서는 걸이공(58)들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58)들에는 상기 케이스(10)의 걸이턱(24)이 걸어져 상기 장착커버부(52)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커버부(54)에는 제1공구채널(60,60')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1공구채널(60,60')은 상기 커버(50)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상기 커버(50), 보다 정확하게는 개폐커버부(54)의 선단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1공구채널(60,60')의 내측에는 제1부품체결공(62,6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부품체결공(62,62')은 상기 제1공구채널(60,6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커버부(54)의 선단 방향을 보도록 개구된다. 상기 제1부품체결공(62,62')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구(80)의 일부가 내부로 들어가 상기 제1부품(46)의 일측 연결부(46')를 상기 입력버스바(26)에 체결하고 타측 연결부(46')를 제1출력버스바(30)에 체결한다.
상기 커버(50)의 개폐커버부(54)에는 제2공구채널(64,64')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2공구채널(64,64')은 상기 커버(50)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상기 커버(50), 보다 정확하게는 개폐커버부(54)의 선단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2공구채널(64,64')의 내측에는 제2부품체결공(66,66')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커버부(54)의 선단 방향을 보도록 개구된다. 상기 제2부품체결공(66,66')을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구(80)의 일부가 내부로 들어가 상기 제2부품(48)의 일측 연결부(48')를 상기 입력버스바(26)에 체결하고 타측 연결부(46')를 제2출력버스바(34)에 체결한다.
한편, 상기 커버(50)의 내면에는 각각 제1부품장착부(70)와 제2부품장착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70)에는 상기 제1부품(46)이 장착된다. 상기 제1부품(46)은 상기 커버(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양단의 연결부(46')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된 입력버스바(26)와 제1출력버스바(30)에 고정구(80)에 의해 체결된다. 이는 상기 제2부품(48)도 같은 형태이다.
상기 제1퓨즈장착부(70)와 제2퓨즈장착부(70')는 모두 한 쌍의 장착리브(72)로 구성되는데, 상기 장착리브(72)에는 장착공(74)이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품(46)이나 제2부품(48)이 압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장착공(74)들은 장착되는 부품(46,48)들의 외경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고정구(80)는 나사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구(80)는 상기 개폐커버부(54)가 상기 케이스(10)에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80)의 일부는 상기 부품체결공(62,62',66,66')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 부품(46,48)들을 체결하는 역할 외에 상기 개폐커버부(54)를 상기 케이스(10)에 체결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함을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품함에는 상기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50)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부품(46,48)들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을 상기 부품함의 내부공간(12)에 장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상기 케이스(10)가 이미 특정 제품의 특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설명한다. 상기 커버(50)도 상기 걸이공(58)에 상기 걸이턱(24)이 걸어져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된 상태라고 본다.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된 상기 커버(50)는 상기 고정구(80)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몰드힌지부(56)를 중심으로 상기 장착커버부(52)에 대해 상기 개폐커버부(54)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폐커버부(54)를 회전시켜 상기 내부공간(12)을 개방한 후에는 상기 커버(50)의 내면에 형성된 제1부품장착부(70)와 제2부품장착부(70')에 각각 상기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을 끼운다. 즉, 상기 장착리브(72)의 장착공(74)에 상기 부품(46,48)들이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50)의 개폐커버부(54)를 몰드힌지부(56)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내부공간(12)을 상기 개폐커버부(54)가 차폐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커버(50) 내면의 부품장착부(70,70')에 장착된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은 상기 내부공간(12)내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부품체결공(62,62')을 통해 상기 고정구(80)를 내부공간(12)으로 넣어 상기 제1부품(46)의 연결부(46')를 각각 상기 입력버스바(26), 제1출력버스바(30)와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부품체결공(66,66')을 통해서는 고정구(80)를 삽입하여 상기 제2부품(48)의 연결부(48')가 상기 입력버스바(26), 제2출력버스바(34)와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구(80)를 체결함에 의해 상기 상기 개폐커버부(54)가 상기 케이스(10)에 체결되고, 상기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이 각각 상기 케이스(10) 측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부품함이 조립되어 사용되다가, 상기 부품(46,48)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역순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커버(50)의 개폐커버부(54)가 개방되는 쪽으로는 상기 개폐커버부(54)가 개방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50)의 개폐커버부(54)가 상기 케이스(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커버부(54)의 선단방향을 보도록 개구된 상기 부품체결공(62,66)에 체결된 고정구(80)에 공구를 상기 공구채널(60,64)을 통해 삽입하여 접근시킨다.
이는 상기 공구채널(60,64)도 상기 개폐커버부(54)의 선단까지 개구되게 상기 개폐커버부(54)의 외면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개폐커버부(54)의 선단 전방은 여유공간이 있으므로 공구를 상기 공구채널(60,64)을 통해 삽입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상기 고정구(80)들을 모두 풀게 되면 상기 개폐커버부(54)가 상기 몰드힌지부(56)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80)가 풀어졌다는 것은 또한 상기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이 상기 케이스(10)에 체결된 상태가 해제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커버부(54)를 개방하면 상기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이 상기 개폐커버부(54)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12)에서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서 외부로 나오면 작업자가 상기 제1부품(46)과 제2부품(48)을 취급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워진다. 이는 상기 개폐커버부(54)의 선단 전방에서 작업자가 상기 제1 및 제2 부품(46,48)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품(46,48), 즉 2개의 부품이 부품함에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부품의 갯수는 하나 이상이 부품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버(50)가 장착커버부(52)와 개폐커버부(54)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커버(50)가 몰드힌지 등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내부공간(12)을 개폐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조인트버스바(38)가 설치된 부분을 차폐하는 장착커버부(52)에 해당되는 부분까지 함께 회전하면서 내부공간(12)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품체결공(62,62',66,66')의 개구방향이 상기 커버(50)의 선단방향이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커버(50)의 외면 전방에 많은 공간이 있다면 커버(50)의 외면 전방으로 개구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커버(50)의 개폐동작시에 커버(50) 전방에 간섭되는 부분이 없어 공구를 사용하는 것도 어렵지 않기는 하나, 상기 커버(50)에 부품(46,48)이 장착되어 내부공간(12) 외부로 나오므로 작업자가 부품(46,48)을 쉽게 취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80)는 상기 케이스(10)측에 체결되면서 반드시 부품(46,48)의 연결부(46',48')를 버스바와 체결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50)에 부품(46,48)을 장착함에 의해 상기 커버(50)에 장착되어 내부공간(12)에 위치되는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80)는 상기 커버(50)와 케이스(10)를 체결하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80)가 없이 상기 커버(50)가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걸이공(58)과 걸이턱(24) 구조에 의해 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커버(50)의 부품장착부(70,70')에 부품(46,48)을 장착함에 의해 버스바들과의 전기적 연결이 되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12)에 버스바(26,30,34,38)들을 두었으나 이들 전부 또는 일부를 전선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즉, 다양한 전기적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할 수 있다.
10: 케이스 12: 내부공간
14: 바닥판 16: 측벽
16': 개구부 18: 구획벽
20: 장착편 22: 체결공
24: 걸이턱 26: 입력버스바
28: 양 입력볼트 30: 제1 출력버스바
32: 제1 양 출력볼트 34: 제2출력버스바
36: 제2 양 출력볼트 38: 조인트버스바
40: 음 입력볼트 42: 제2 음 출력볼트
44: 제2 음 출력볼트 46: 제1부품
46': 연결부 48: 제2부품
48': 연결부 50: 커버
52: 장착커버부 54: 개폐커버부
56: 몰드힌지부 58: 걸이공
60, 60': 제1공구채널 62,62': 제1부품체결공
64,64': 제2공구채넓 66,66': 제2부품체결공
70: 제1부품장착부 70': 제2부품장착부
72: 장착리브 74: 장착공
80: 고정구:

Claims (11)

  1. 일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외부 및 부품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내면에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가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부품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과 상기 케이스를 체결하기 위한 부품체결공이 상기 커버의 외부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부품의 연결부를 상기 케이스의 전기적 연결부재에 체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고정구가 더 구비되는 부품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구가 상기 부품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기 부품의 연결부와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를 체결하는 부품함.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형성된 부품체결공은 상기 커버의 선단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품체결공은 상기 커버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공구채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부품함.
  5. 일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 및 부품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전기적 연결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개폐하고 내면에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품과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부품체결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부품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부품의 연결부를 상기 전기적 연결부재에 체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가 케이스에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부품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장착부는 일측으로 개방된 장착공이 형성된 한쌍의 장착리브로 구성되는 부품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체결공은 상기 커버의 선단 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되는 부품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체결공은 상기 커버의 외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공구채널의 내측에 형성되는 부품함.
  9. 제 5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장착커버부와, 상기 장착커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부품장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커버부를 포함하는 부품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부는 상기 장착커버부에 몰드힌지부를 통해 연결되는 부품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부는 상기 고정구가 부품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에서 부품의 연결부와 전기적 연결부재를 체결함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부품함.
KR1020120157707A 2012-12-29 2012-12-29 부품함 KR20140092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07A KR20140092946A (ko) 2012-12-29 2012-12-29 부품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07A KR20140092946A (ko) 2012-12-29 2012-12-29 부품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946A true KR20140092946A (ko) 2014-07-25

Family

ID=5173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707A KR20140092946A (ko) 2012-12-29 2012-12-29 부품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29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1985A (zh) * 2016-04-26 2018-03-27 住友电装株式会社 电连接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1985A (zh) * 2016-04-26 2018-03-27 住友电装株式会社 电连接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355B2 (en) Fastening assembly for built-in refrigerator on a side wall of a furniture body
US9325158B2 (en) Electrical enclosure including an integrated dead front and door
JP2011171617A (ja) 鉄道車両の電線ケーブル導入部防水装置
KR200478412Y1 (ko) 분전반용 케이스 조립체
KR20130064961A (ko) 분전반 고정 케이스 및 내진 분전반
KR101524233B1 (ko) 배전반용 외함 조립체
KR101178898B1 (ko)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JP2004185965A (ja) バッテリ接続部材
ITTO20120606A1 (it) Dispositivo fermaporta con una porzione di fissaggio senza viti
EP2784884B1 (en) Electrical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fastener
US20200181952A1 (en) Motor vehicle handle assembly
KR20140092946A (ko) 부품함
US9755332B1 (en) Terminal blocks
JP2006294708A (ja) 機器収納用箱体
KR101282499B1 (ko) 전기 기기
WO2018004760A1 (en) A tool-less hinge mechanism
KR20170002387U (ko) 조인트 블럭
ITMI20010263A1 (it) Canale per cavi per un armadio di distribuzione elettrica con intelaiatura
JP3591276B2 (ja) 分電盤
KR100755030B1 (ko) 커버의 회전개폐구조
JP6507452B2 (ja) 絶縁セパレーター及び配線装置
KR20130009254A (ko) 전원분배장치
KR20090132974A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JP2015192588A (ja) 電気接続箱
KR20180091260A (ko) 자동차용 블럭의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