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890A -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890A
KR20140091890A KR1020130003914A KR20130003914A KR20140091890A KR 20140091890 A KR20140091890 A KR 20140091890A KR 1020130003914 A KR1020130003914 A KR 1020130003914A KR 20130003914 A KR20130003914 A KR 20130003914A KR 20140091890 A KR20140091890 A KR 20140091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waste powder
foam
insole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401B1 (ko
Inventor
박은영
임성욱
김옥배
김동건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0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4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9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 C08J24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2Shape memor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러로써 커피 폐분말을 적용함에 따라, 소량만 첨가하여도 인솔용 발포체의 형상복원력 및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 폐분말에 의해 인솔용 발포체에 항균 및 탈취 성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종래 폐기되던 커피 폐분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COMPOSITION FOR INSOLE FOAM WITH EXCELLENT ANTIBIOSIS,DEODORIZING FUNCTION AND SHAPE―STABILITY AND RESIN COMPOSITION FOR INSOLE FOA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필러로써 커피 폐분말을 적용함에 따라, 소량만 첨가하여도 인솔용 발포체의 형상복원력 및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솔용 발포체에 항균 및 탈취 성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상 기억능을 가지는 발포체나 고무의 경우, 그 제반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카본블랙이나 실리카 등의 필러를 30 ~ 50phr 정도로 과량 첨가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필러를 과량 첨가하는 경우 중량이 크게 증가하고 가공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생산적인 측면에서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들어 상기 필러를 10phr 이내로 소량만 적용하여 물리적인 보강 효과를 얻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며, 관련 선행기술로써, 특허문헌 1 및 2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특허문헌 1은 저분자량의 폴리스티렌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층간으로 잘 흡수되는 용매에 녹인 후 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와 혼합하여 폴리스티렌/유기화된 몬모릴로나이트 마스터배치를 만들고, 이 마스터 배치를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와 혼합하여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유기화된 나노복합재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특허문헌 2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디올이 층간에 삽입되어 박리된 나노클레이-폴리올 복합체를 제조한 후, 상기 박리된 나노클레이-폴리올복합체, 디이소시아네이트, 정포제, 발포제 및 촉매를 발포시키는 공정으로 기계적 물성과 단열성의 향상 및 별도의 유기용매의 사용 없이도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그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며, 용융에 의한 혼합법을 적용하는 일반적인 인솔용 발포체의 제조 설비 외에 추가적인 장비가 도입되어야 하고, 용매사용에 따라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적용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형상 복원력 및 기계적인 물성의 향상 효과 역시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인솔용 발포체 등에 항균 및 탈취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항균성 필러와 같은 기능성 필러를 첨가하게 되는데, 항균성 등의 기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필러를 과량 첨가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 국내 특허등록 제10-0411863호 "스티렌계 블록공중합체의 나노복합재 제조방법" : 국내 특허등록 제10-0882307 "나노클레이 보강 폴리우레탄 단열폼의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러로써 커피 폐분말을 적용함에 따라, 소량만 첨가하여도 인솔용 발포체의 형상복원력 및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 폐분말에 의해 인솔용 발포체에 항균 및 탈취 성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종래 폐기되던 커피 폐분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피 폐분말을 첨가함에 있어, 커피 폐분말을 왁스 성분으로 코팅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커피 폐분말이 발포셀의 지지효과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소량만 첨가하여도 인솔용 발포체의 형상복원력 및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탈취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제조된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와 형상기억수지를 혼합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때, 상기 S100 단계는,
커피 폐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왁스 20 ~ 40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커피 폐분말의 표면에 왁스를 코팅하는 단계(S101); 및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왁스가 코팅된 커피 폐분말 90 ~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S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200 단계는, 형상기억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 3 ~ 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용 발포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아울러, 상기 왁스는, 파라핀왁스(paraffin wax), 하이드로겐화왁스(hydrogenated wax), 폴리에틸렌왁스(polyethylene wax), 왁스에스테르(wax ester)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형상기억수지에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러로써 커피 폐분말을 적용함에 따라, 소량만 첨가하여도 인솔용 발포체의 형상복원력 및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피 폐분말에 의해 인솔용 발포체에 항균 및 탈취 성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종래 폐기되던 커피 폐분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커피 폐분말을 첨가함에 있어, 커피 폐분말을 왁스 성분으로 코팅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커피 폐분말이 발포셀의 지지효과를 발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소량만 첨가하여도 인솔용 발포체의 형상복원력 및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탈취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항균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사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제조된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와 형상기억수지를 혼합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100 단계는, 커피 폐분말의 표면을 왁스로 코팅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로써, 커피 폐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왁스 20 ~ 40 중량부를 혼합하고 슈퍼믹서를 이용하여 20 ~ 30분간 교반하여 커피 폐분말의 표면에 왁스를 코팅(S101)한 후, 이축압출기에서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왁스가 코팅된 커피 폐분말 90 ~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S102)한다.
상기 커피 폐분말은 원두커피 등의 찌꺼기로써 커피가 탈취성능이 있음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며, 커피에 포함된 멜라노이딘 성분은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과 같은 균의 집단 형성을 억제하고 이 균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출처 : http://bit.ly/yApgKb).
따라서, 상기 커피 폐분말에 의해 인솔용 발포체에 항균 및 탈취성능이 부여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커피 폐분말을 왁스 성분으로 코팅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커피 폐분말이 발포셀의 지지효과를 발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량만 첨가하여도 인솔용 발포체의 형상복원력 및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왁스는 파라핀왁스(paraffin wax), 하이드로겐화왁스(hydrogenated wax), 폴리에틸렌왁스(polyethylene wax), 왁스에스테르(wax ester)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커피 폐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왁스 20 ~ 40 중량부를 사용하는데, 상기 왁스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커피 폐분말의 표면을 제대로 코팅되지 않아 분산성의 향상 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물리적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왁스가 코팅된 커피 폐분말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 110 중량부가 혼합되는데, 상기 왁스가 코팅된 커피 폐분말의 함량이 90 중량부 미만일 경우, 항균 및 탈취효과가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1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공성 저하의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바인더 수지는 인솔용 발포체에 적용될 수 있는 수지로써,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실리콘 수지 등 합성 수지 또는, 천연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부틸 고무 등의 합성고무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발포체용 수지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S200 단계는, 형상기억수지에 상기 제조된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를 혼합하는 단계로써, 형상기억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 3 ~ 5 중량부를 혼합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수지는, 일시적인 변형이 일어나도 온도 상승에 의해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가진 수지로써, 트랜스-폴리이소프렌(trans-polyisoprene), 폴리노보넨(polynorbonene),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메타크릴산 알킬(poly-alkylmethacrylate) 또는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발포체용 수지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수지로써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5311호에 따른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용 나노복합 발포체 조성물"에 사용된 수지 또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20089호에 따른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초저비중 형상기억 발포체 조성물"에 사용된 수지 등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지를 이용하여 인솔용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가소제, 발포제 및 각종 발포체용 첨가제(산화아연, 스테아린산) 등이 혼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인솔 발포체용 수지의 경우, 최종 성형하고자 하는 인솔 발포체의 종류, 형태 및 기능성 등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를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첨가제는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첨가제에 대한 종류 및 함량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S100)로써, 커피 폐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이왁스(Polyethylene wax) 왁스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슈퍼믹서를 이용하여 20분간 교반하여 커피 폐분말의 표면에 파라핀왁스(paraffin wax)를 코팅(S101)한 후, 이축압출기에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왁스가 코팅된 커피 폐분말 9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S102)하고, 상기 제조된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와 형상기억수지를 혼합하는 단계(S200)로써, 형상기억수지인 트랜스-폴리이소프렌(trans-polyisopr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S100)로써, 커피 폐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피이왁스(Polyethylene wax) 왁스 40 중량부를 혼합하고 슈퍼믹서를 이용하여 30분간 교반하여 커피 폐분말의 표면에 하이드로겐화왁스(hydrogenated wax)를 코팅(S101)한 후, 이축압출기에서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왁스가 코팅된 커피 폐분말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S102)하고, 상기 제조된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와 형상기억수지를 혼합하는 단계(S200)로써, 형상기억수지인 폴리노보넨(polynorbonene) 100 중량부에 대하여,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되, 커피 폐분말을 첨가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되, 커피 폐분말을 첨가하지 않았다.
2.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른 인솔 발포체용 수지에 대한 형상기억 및 회복특성, 항균 및 탈취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상기 수지를 이용하여 발포체를 성형하였으며, 발포체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른 인솔 발포체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유기과산화물 가교제 1 중량부, 유기발포제 5 중량부, 산화아연을 3 중량부, 스테아린산 2 중량부를 110℃의 밀폐식 혼합기에서 약 15분 동안 혼련한 후 상기 혼련물을 155℃, 120kg/cm2의 조건하에서 20분간 성형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가, 형상기억특성 및 형상회복률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른 인솔 발포체용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 발포체를 약 20mm 두께로 지름 25±0.5mm인 원기둥 형태로 제조하고, 만능시험기(규격 : Instron 5567)를 이용하여 50℃에서 50% 압축한 뒤 0℃에서 10분간 고정하고 압력을 제거한 뒤, 두께를 측정하여 형상기억률을 구하였다.
또한 다시 시편을 50℃까지 승온하여 10분간 방치 후 두께변화를 측정하여 형상회복률을 구하였다.
이때, 시험편은 3개로 하였으며 값은 평균치를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물리적 특성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형상기억특성 % 90 92 85 86
형상회복률 % 91 95 84 84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표면에 왁스가 코팅된 커피 폐분말이 첨가됨에 따라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형상기억특성 및 형상회복률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나, 항균성능 시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에 대한 항균력 시험을 KS J 4206 : 2008(항균가공제품, 항균성 시험방법, 항균효과)에 의거 실시하였으며, 각 시험균주를 각각의 시료에 도말한 후, 초기 상태와 24시간 후의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커피 폐분말이 첨가됨에 따라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다. 탈취성능 시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른 인솔 발포체용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 발포체에서 10 X 150mm의 시편을 채취하고 이를 용기에 각각 넣은 후, 암모니아가스 500ppm을 주입하여 탈취율을 시험(시험규격 : KFIA-FI-1004)하였다.
이때, 그 결과는 30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탈취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경과시간 농도(ppm) 탈취율(%)


실시예 1

초기 500 -
30 170 66
60 125 75
90 100 78
120 75 85


실시예 2

초기 500 -
30 190 61
60 130 72
90 100 78
120 90 80


비교예 1

초기 500 -
30 490 -
60 490 -
90 480 -
120 480 -


비교예 2

초기 500 -
30 490 -
60 480 -
90 480 -
120 480 -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커피 폐분말이 첨가됨에 따라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탈취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00 :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
S200 :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와 형상기억수지를 혼합하는 단계

Claims (5)

  1.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S100); 및
    상기 제조된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와 형상기억수지를 혼합하는 단계(S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100 단계는,
    커피 폐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왁스 20 ~ 40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커피 폐분말의 표면에 왁스를 코팅하는 단계(S101); 및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왁스가 코팅된 커피 폐분말 90 ~ 1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단계(S10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형상기억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 3 ~ 5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파라핀왁스(paraffin wax), 하이드로겐화왁스(hydrogenated wax), 폴리에틸렌왁스(polyethylene wax), 왁스에스테르(wax ester)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형상기억수지에 커피 폐분말 마스터 배치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KR1020130003914A 2013-01-14 2013-01-14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KR101473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14A KR101473401B1 (ko) 2013-01-14 2013-01-14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914A KR101473401B1 (ko) 2013-01-14 2013-01-14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90A true KR20140091890A (ko) 2014-07-23
KR101473401B1 KR101473401B1 (ko) 2014-12-16

Family

ID=5173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914A KR101473401B1 (ko) 2013-01-14 2013-01-14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4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98B1 (ko) * 2015-11-09 2017-03-10 주식회사 포이엔 커피 찌꺼기를 함유하는 용기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기
WO2022107917A1 (ko) * 2020-11-19 2022-05-27 (주)오투랩 친환경 업사이클링 가능한 신발용 부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신발용 부재
KR102629940B1 (ko) 2023-04-18 2024-01-26 이현석 합성수지재 슬리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슬리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6391B2 (ja) 2003-03-31 2009-07-15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ラテックス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0742286B1 (ko) * 2006-03-24 2007-07-24 주식회사 케이엠씨 온도유지와 형상기억 기능을 갖는 복합기능성 안창용발포체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98B1 (ko) * 2015-11-09 2017-03-10 주식회사 포이엔 커피 찌꺼기를 함유하는 용기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용기
WO2022107917A1 (ko) * 2020-11-19 2022-05-27 (주)오투랩 친환경 업사이클링 가능한 신발용 부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신발용 부재
KR102629940B1 (ko) 2023-04-18 2024-01-26 이현석 합성수지재 슬리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슬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401B1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3402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前記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及び発泡体
EP2853546B1 (en) Modified starch compositions, starch composite foam material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tarch composite foam material
CN110343336B (zh) 一种高表面质量聚丙烯微发泡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46824B1 (ko) 데브리스가 개선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KR101473401B1 (ko) 항균, 탈취성능 및 형상복원력이 우수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솔 발포체용 수지 조성물
KR20160086869A (ko) 극성 필러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의 혼합 및 가공의 개선
KR20120084447A (ko) 폴리락틱엑시드를 이용한 신발 중창용 생분해성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3354B1 (ko) 가역적 전기 거동성을 갖는 에폭시화 천연고무계 블렌드
US11396591B2 (en)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ightweight footwear having improved heat-resistance and lightweight footwea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037383B1 (ko) 고내열성 고무발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N102656024B (zh) 不渗透性橡胶层的生产方法
KR101465450B1 (ko) 고무악취가 없고 철강슬래그를 사용하여 내열성과 난연성을 향상시킨 친환경 항균 고무발포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29409A (ko) 열수축률 및 마모특성이 개선된 스폰지용 발포체 조성물
CN104204090A (zh) 生产pet泡沫体的方法和采用所述方法获得的pet泡沫体
CN105949616A (zh) 一种低气味耐刮擦聚丙烯材料的仪表板
KR101875883B1 (ko) 저밀도 수지 발포체 조성물
KR101756083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JP2007204539A (ja) 発泡ゴム組成物
KR20140148033A (ko) 생분해성 수지 및 목분을 포함하는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0472B1 (ko) 내구성 및 전도성이 우수한 인솔용 발포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9316B1 (ko) 저비중 발포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저비중 발포체
EP3037465B1 (en) Compositions made from plasticized thermoplastic polyurethanes
KR100702580B1 (ko) 합성수지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03292B1 (ko) 초임계 발포 사출용 저비중 동적 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발 겉창
JP5271055B2 (ja) 積層ゴムマットのソリを防止するための方法とその関連技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