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225A -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225A
KR20140091225A KR1020130003209A KR20130003209A KR20140091225A KR 20140091225 A KR20140091225 A KR 20140091225A KR 1020130003209 A KR1020130003209 A KR 1020130003209A KR 20130003209 A KR20130003209 A KR 20130003209A KR 20140091225 A KR20140091225 A KR 20140091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psc
psc girder
steel formwork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범
노우현
Original Assignee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1225A/ko
Publication of KR20140091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거푸집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별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이들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강재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PSC거더를 제작함으로써, PSC거더의 형고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경우에 관계없이 PSC거더의 형고에 따라 탄력적으로 복부세그먼트를 제작하여 상부플랜지세그먼트 하면과 하부플랜지세그먼트 상면간에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은 통상의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푸집은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 별로 분리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 간을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을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은 PSC거더 제작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강재거푸집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의 하면과 복부세그먼트의 상ㆍ하면 및 하부플랜지세그먼트의 상면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강재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PSC거더를 제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PSC girders for height-adjustable steel formwork and using the PSC girder fabrication methods}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재거푸집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별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이들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강재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PSC거더를 제작하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SC거더 제작용 강재거푸집은 현장 작업장으로의 운반 편리성을 고려하여, 강재거푸집의 길이방향으로만 분리가 가능한 다수개의 강재거푸집으로 구성되고, 상하방향으로는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형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PSC거더 제작용 강재거푸집은 PSC거더의 동일한 형고를 기준으로 길이방향인 경간장에 대하여는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PSC거더의 형고가 동일한 조건하에서는 길이방향으로 강재거푸집을 추가하거나 감축하여 동일한 형고에서 경간장이 다른 다양한 PSC거더를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한 PSC 거더의 형고를 동일하게 제작하는 관계로 인하여 당해 PSC거더의 형고를 적용할 수 있는 일정범위 이내의 PSC거더의 경간장에서만 그 적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PSC거더의 형고를 달리하는 PSC거더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PSC거더의 형고를 기준으로 별도로 강재거푸집을 제작하여 사용한다.
PSC거더의 길이방향으로만 강재거푸집을 추가하거나, 감축하여 PSC거더를 연장하거나, 축소하는 등의 신축적용은 가능하나, PSC거더의 형고방향으로는 상부플랜지, 복부, 하부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PSC거더의 형고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는 기존의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은 상부플랜지, 복부, 하부플랜지가 일체화된 일정길이의 강재거푸집을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를 조립하여 PSC거더를 제작하기 때문이다.
이는 PSC거더의 형고가 상이할 경우에는 그 PSC거더의 형고에 맞는 강재거푸집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므로 PSC거더의 형고가 다양한 현장여건에 맞는 신축적인 수요에 대응하는 PSC거더에서는 강재거푸집의 불융통성 문제로 PSC거더의 형고마다 달리 적용하여야 할 강재거푸집의 소요가 많아 원가를 추가로 절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재거푸집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별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이들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강재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PSC거더를 제작함으로써, PSC거더의 형고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경우에 관계없이 PSC거더의 형고에 따라 탄력적으로 복부세그먼트를 제작하여 상부플랜지세그먼트 하면과 하부플랜지세그먼트 상면간에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은 통상의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푸집은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 별로 분리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 간을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을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은 PSC거더 제작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강재거푸집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 복부세그먼트, 하부플랜지세그먼트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의 하면과 복부세그먼트의 상ㆍ하면 및 하부플랜지세그먼트의 상면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강재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강재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PSC거더를 제작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형고가 다른 PSC거더별로 별도의 강재거푸집 제작에 따른 추가비용을 단순히 복부세그먼트만을 교체하여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PSC거더의 형고에 대응하여 강재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강재거푸집을 구성하는 상부플랜지세그먼트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 및 복부세그먼트를 별도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으므로, 소형 차량으로도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단위 강재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단위 강재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2,
도 3a∼3d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단위 거푸집을 조립하여 강재거푸집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단위 강재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1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은 통상의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푸집(F)은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별로 분리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간을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의 하면(110)과 복부세그먼트(200)의 상ㆍ하면 (210, 220) 및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의 상면(310)에 각각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는 강판(130, 230, 320)의 뒷면에 수직보강재(140, 240, 330), 경사방향보강재(340)를 덧대고,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를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의 상부(110)는 외측 길이방향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20)는 일측의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타측의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간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강재거푸집(F)은 PSC I형, PSC U형, PSC T형, PSC 박스형 거더중 어느 하나에 적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F)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통상의 강재거푸집에서 상기 강재거푸집(F)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별로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간 조립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강재거푸집(F)을 필요에 따라 형고가 다른 PSC거더를 제작할 경우에는 복부세그먼트(200)의 형고를 다르게 하여 제작한 후,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간에 형고가 다른 복부세그먼트(200)를 조립하여 제작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복부세그먼트(200)만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므로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나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를 별도로 제작함이 없이 기 제작된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SC거더용 단위 강재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2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은 통상의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푸집(F)은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별로 분리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간을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의 하면(110)과 복부세그먼트(200)의 상ㆍ하면 (210, 220) 및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의 상면(310)에 각각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에 수직방향 사보강재(510) 및 수평방향 사보강재(520)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는 강판(130, 230, 320)의 뒷면에 수직보강재(140, 240, 330), 경사방향보강재(340)를 덧대고,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를 설치한 후, 수직방향 사보강재(510) 및 수평방향 사보강재(520)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의 상부(110)는 외측 길이방향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20)는 일측의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타측의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간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강재거푸집(F)은 PSC I형, PSC U형, PSC T형, PSC 박스형 거더중 어느 하나에 적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F)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통상의 강재거푸집에서 상기 강재거푸집(F)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별로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간 조립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강재거푸집(F)을 필요에 따라 형고가 다른 PSC거더를 제작할 경우에는 복부세그먼트(200)의 형고를 다르게 하여 제작한 후,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간에 형고가 다른 복부세그먼트(200)를 조립하여 제작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복부세그먼트(200)만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므로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나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를 별도로 제작함이 없이 기 제작된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의 제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3d는 본 발명에 따른 PSC거더용 단위 거푸집을 조립하여 강재거푸집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을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은 PSC거더 제작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강재거푸집(F)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의 하면(110)과 복부세그먼트(200)의 상ㆍ하면(210, 230) 및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의 상면(310)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강재거푸집(F)을 제작하고, 상기 강재거푸집(F)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PSC거더를 제작한다.
또한, 상기 복부세그먼트(200)는 크기별로 제작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을 이용한 PSC 거더 제작방법은 통상의 PSC거더 제작방법에 있어서, 강재거푸집(F)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으로 구분하여 제작한 후, 각각의 상호간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를 설치한 후,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에서 볼트 및 너트로 연결 접합하여 단위 강재거푸집(F)을 제작하고, 상기 단위 강재거푸집(F)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및 조립하여 일정한 크기를 갖는 강재거푸집(F)을 제작하고, 상기 강재거푸집(F)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PSC거더를 제작한다.
또한, 상기 강재거푸집(F)의 형고를 필요에 따라 높일 경우에는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하고, 복부세그먼트(200)을 형고가 다른 복부세그먼트(200)로 제작한 후, 각각의 세그먼트 상호간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를 설치한 후,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에서 볼트 및 너트로 연결 접합하여 단위 강재거푸집(F)을 제작하고, 상기 단위 강재거푸집(F)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및 조립하여 일정한 크기를 갖는 강재거푸집(F)을 제작하면, 형고가 다른 강재거푸집(F)을 제작할 수 있고, 상기 형고가 다른 강재거푸집(F)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면 형고가 다른 PSC거더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은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가 일체화되어 경간장 방향으로만 분리되는 다수개의 단위 강재거푸집(F)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로 분리 및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형고가 다른 PSC 거더를 제작할 경우에는 상기 단위 강재거푸집(F)의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는 그대로 사용하고, 복부세그먼트(200)만을 높이가 다른 복부세그먼트(200)로 대체 제작하여 사용하면 형고가 다른 PSC거더 제작에서는 강재거푸집(F)의 추가비용은 복부세그먼트(200)의 강재거푸집(F) 비용만 추가하면 되므로 강재거푸집(F)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형고의 PSC거더의 제작에 있어서, 상기 단위 강재거푸집(F)의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를 계속하여 호환하여 사용하고, 복부세그먼트(200)만을 교환하여 적용하면 적은 수의 강재거푸집(F)으로도 다양한 PSC거더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PSC거더의 제작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은 강재거푸집(F)을 길이방향으로 조합하여 구성된 단위 강재거푸집(F)은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형고가 다른 PSC거더를 제작할 경우에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와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및 복부세그먼트(200)가 일체화된 단위 강재거푸집(F)의 경우에는 형고의 높이가 다른 PSC거더마다 단위 강재거푸집(F)을 신규로 제작하여야 하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복부세그먼트(200)의 형고를 달리하여 복부세그먼트(200)만을 제작하여 교체 및 조립하므로 형고가 다른 PSC거더 제작시 추가로 투입되는 강재거푸집(F) 비용은 복부세그먼트(200)만의 비용만 추가로 부담하면 되므로 강재거푸집(F)의 제작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100: 상부플랜지세그먼트 110: 상부플랜지세그먼트 하면
120: 돌출부 130: 강판
140: 수직보강재 200: 복부세그먼트
210: 복부세그먼트 상면 220: 복부세그먼트 하면
230: 강판 240: 수직보강재
3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 310: 하부플랜지세그먼트 상면
320: 강판 330: 수직보강재
340: 경사방향 보강재
500: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
510: 수직방향 사보강재 520: 수평방향 사보강재
F: 강재거푸집

Claims (7)

  1. 통상의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푸집(F)은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별로 분리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 간을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의 하면(110)과 복부세그먼트(200)의 상ㆍ하면 (210, 220) 및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의 상면(310)에 각각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에 수직방향 사보강재(510) 및 수평방향 사보강재(520)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의 상부(110)는 외측 길이방향으로 일정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거푸집(F)은 PSC I형, PSC U형, PSC T형, PSC 박스형 거더중 어느 하나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6. PSC거더 제작방법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기재의 강재거푸집(F)을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 복부세그먼트(200),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상기 상부플랜지세그먼트(100)의 하면(110)과 복부세그먼트(200)의 상ㆍ하면(210, 230) 및 하부플랜지세그먼트(300)의 상면(310)에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를 설치하고, 상기 횡방향 및 종방향 겸용 상하연결접합부 보강재(500)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ㆍ접합하여 강재거푸집(F)을 제작하고, 상기 강재거푸집(F)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PSC거더를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을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세그먼트(200)는 크기별로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PSC거더용 강재거푸집을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KR1020130003209A 2013-01-11 2013-01-11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KR20140091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09A KR20140091225A (ko) 2013-01-11 2013-01-11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09A KR20140091225A (ko) 2013-01-11 2013-01-11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225A true KR20140091225A (ko) 2014-07-21

Family

ID=5173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209A KR20140091225A (ko) 2013-01-11 2013-01-11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12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444A (zh) * 2017-03-24 2017-06-27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用于隧道模导墙的模板组件及安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444A (zh) * 2017-03-24 2017-06-27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用于隧道模导墙的模板组件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488B1 (ko) 슬래브 성형용 탈형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CA2814137C (en) Assemblable disposable shuttering for constructing modular formworks for making concrete foundations
CN203712840U (zh) 小箱梁混凝土浇筑模具
CN104878924A (zh) 楼梯踏步混凝土浇筑成型模板及楼梯现浇施工方法
KR101493767B1 (ko) 곡률 조정이 가능한 곡선형 psc거더 제작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psc거더 제작방법
CN104350206A (zh) 用于建造混凝土路面的预制模具
KR102153184B1 (ko) Pc 더블 벽체 세움 제작용 몰드 및 이를 이용한 벽체가 세워진 pc 더블 벽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004617B1 (ko) 임시 강재 보강리브와 영구 콘크리트 보강리브를 이용한 강재 슬래브저판 및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KR20160010783A (ko)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55012B1 (ko) 프리캐스트 격자형보 몰드의 탈형 장치
JP6774054B2 (ja) 分割式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分割式コンクリート製品
KR20140091225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psc거더용 강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sc거더 제작방법
KR101588115B1 (ko) 트러스 데크를 활용한 프리패브 중공벽 및 그 제작방법
CN101137537A (zh) 用于结构件的框架的制造方法以及由此获得的框架
KR101859398B1 (ko) 철근 노출콘크리트 벽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101347556B1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아이빔 제작용 거푸집
CN108843016B (zh) 剪力墙模板内撑条与拉结筋组合式构件及方法
KR101688440B1 (ko)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CN110863646A (zh) 叠合装配式建筑墙板狭窄处模板的支设方法
KR101759212B1 (ko) 블록 제작용 몰드
KR101203190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
KR101859408B1 (ko) 노출콘크리트 공법을 적용한 벽체 시공방법
JPH04194228A (ja) ケーソン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