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836A - 입체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836A
KR20140090836A KR1020130002946A KR20130002946A KR20140090836A KR 20140090836 A KR20140090836 A KR 20140090836A KR 1020130002946 A KR1020130002946 A KR 1020130002946A KR 20130002946 A KR20130002946 A KR 20130002946A KR 20140090836 A KR20140090836 A KR 20140090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rtable multimedia
housing
hinge
multimedi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4310B1 (ko
Inventor
남성규
장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딜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딜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딜루션
Priority to KR102013000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3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측 전면에 디스플레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기울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으로 반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필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3D IMAG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는 스마트폰, PMP, 태블릿PC 등이 있는데, 이러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모두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며, 최근에는 휴대용 게임기로서의 활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은 약 4~10인치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TV, 동영상, 게임영상 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은 일반적으로 평면(2D) 영상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며, 입체(3D) 영상이 재생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로 특수 촬영된 영상을 3D 입체 렌즈가 구비된 안경으로 감상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56816호(발명의 명칭:휴대용 단말기)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케이스(101, 102)에 2개 이상의 카메라(121, 121')가 설치되어 동영상을 입체적으로 촬영하며, 이렇게 촬영된 입체 영상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로 재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2개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시청하기 위하여 3D 입체 렌즈가 구비된 안경이 필요하므로 별도로 3D 입체 렌즈가 구비된 안경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감나는 입체 영상의 제작을 하기 위한 카메라의 촬영각이 일정치 않으므로 단순한 입체 영상 촬영의 체험에 그치게 되는 정도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시야각 확보를 넓게 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편한 자세로 시청이 가능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반사필름과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사이의 공간에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반사방지 코팅된 필름과,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외관을 보고하는 연질의 하우징부로 구성되어 구성이 간편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측 전면에 디스플레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기울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으로 반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필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은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양면에 반사방지 코팅되되, 일측면은 투과율 100%, 반사율 0%로 코팅하며, 타측면은 투과율 50%, 반사율 50%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수용되며,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상기 필름에 의해 개폐되는 하우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 외부의 측면에는 힌지홈이 구비되는 힌지결합홈;과, 상기 필름에는 상기 힌지홈에 끼워지는 힌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결합홈에 결합되는 힌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홈에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과 맞닿아 상기 필름의 하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면;이 구비되며, 상기 필름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모서리에 의해 상방향 회전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의 상방향 회전시, 상기 필름과 하우징부가 이루는 각이 35~5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홈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이 힌지결합홈 사이인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는, 상기 필름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필름고정부;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내측모서리에는 상기 필름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단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측 전면에 디스플레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기울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으로 반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필름;과, 상부가 개구되되, 내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수용되며, 길이방향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필름이 결합되도록 힌지결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측 전면에 기울어진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각도유지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유지수단은 상기 하우징부 폭방향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필름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로 인출되며, 좌우회전이 확보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상부 인출시 상기 필름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며, 상기 필름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유지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의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상기 필름이 위치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상기 필름의 측면을 둘러싸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테두리를 덮는 커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길이방향의 측면 또는 배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필름 사이에 끼워지는 각도유지봉;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시야각 확보를 넓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를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편한 자세로 시청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반사필름과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사이의 공간에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반사방지 코팅된 필름과,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외관을 보고하는 연질의 하우징부로 구성되어 구성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하우징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보관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이 표현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하우징부가 개방된 상태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필름이 하우징부의 하부에 위치된 미사용 상태의 측면도 및 필름이 필름고정부에 끼워진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필름이 힌지를 매개로 회전되어 상부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 및 필름이 하우징부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필름이 하우징부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커버가 개방되고, 필름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측에 디스플레이 공간을 형성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커버가 개방되어 휴대용 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측에 디스플레이 공간을 형성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하우징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보관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이 표현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하우징부가 개방된 상태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필름이 하우징부의 하부에 위치된 미사용 상태의 측면도 및 필름이 필름고정부에 끼워진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표시장치의 필름이 힌지를 매개로 회전되어 상부에 위치된 상태의 측면도 및 필름이 하우징부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00)과 하우징부(200)가 포함된다.
먼저, 필름(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필름(100)은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양면에 반사방지(AR:Anti-Reflection) 코팅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반사방지 코팅은 광소자의 단면에서 급격한 굴절률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빛의 반사를 없애고 투과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전체 등의 물질들로 광소자 단면에 얇게 1~3겹으로 코팅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100)은 투명한 플라스틱 판의 양면에 반사방지 코팅을 하되, 각 면의 투과율과 반사율이 서로 다르도록 반사코팅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할 때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와 인접한 일측면은 투과율 50%, 반사율 50%가 되도록 코팅하고, 타측면은 투과율 100%, 반사율 0%가 되도록 코팅한다.
이에 따라, 반사방지 코팅된 필름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입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100)의 양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돌기(111)가 구비된 힌지부(11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힌지부(110)는 후술할 하우징부(200)의 힌지결합홈(210)에 결합되는 부재이며, 상기 힌지돌기(111)는 힌지결합홈(210)에 형성된 힌지홈(211)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힌지돌기(111)는 힌지홈(211)에 끼워져 힌지부(11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힌지부(110)가 회전되면, 이 힌지부(110)와 일체로 제작되는 필름(100)이 회전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필름(10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하우징부(200)의 측면의 두 곳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는데, 상기 필름(100)의 미사용 상태, 즉, 사용자가 동영상 시청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하우징부(20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동영상 시청을 하고자 할 때에는 하우징부(200)의 상부로 회전된다.
다음으로, 하우징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부(2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사각틀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이러한 하우징부(200)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가 보관되는데, 이에 따라 하우징부(200)의 내측면과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의 외측면이 밀착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보관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00)의 상부에는 이탈방지돌기(230)가 내측을 향하여 돌출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200)의 하부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2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00) 외부의 측면에는 힌지결합홈(210)이 형성되며, 힌지결합홈(210)에는 힌지홈(211)이 구비되는데, 상기 힌지결합홈(210)에는 상술한 필름(100)의 힌지부(110)가 결합되며, 상기 힌지홈(211)에는 상술한 필름(100)의 힌지돌기(111)가 끼워져 회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힌지결합홈(210)과 힌지홈(211)은 하우징부(200)의 측면 중 마주보는 2개의 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200)에는 필름(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부재들인 제어면(212)과 단턱(201)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어면(212)은 힌지결합홈(210)에 형성되며, 힌지부(110)의 측면과 맞닿아 필름(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어하고, 상기 단턱(201)은 하우징부(200)의 하부 내측모서리에 함몰형성되어 필름(100)과 맞닿아 필름(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필름(100)의 하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면(212)과 단턱(201)에 의해 필름(100)의 하방향 회전이 제어되면 필름(100)은 하우징부(200)의 하부와 수평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필름(100)이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됨과 동시에 필름(100)과 하우징부(200)의 하부가 수평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00)의 하부에는 필름고정부(240)가 도 5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 상기 필름(100)은 단턱(201)과 맞닿아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6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가 하우징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름(100)이 하부에 위치한 상태이먀, 이러한 상태를 편의상 미사용 상태라고 한다.
상기와 같이 미사용 상태에서는 필름(100)이 하우징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필름(100)과 지지면(220)가 수평하게 배치되어 하우징부(200)의 하부를 밀폐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부(200)의 하부가 밀폐된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표시장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의 외부를 감싸는 케이스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0)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가볍고 그립감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름(100)이 하우징부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우징부(200)의 하부 내측모서리에는 단턱(201)이 형성되며, 이 단턱(201)과 필름(100)이 맞닿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200)의 하부에는 필름고정부(240)가 내측을 향하여 돌출형성된다.
상기 단턱(20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220)와 힌지결합홈(2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름고정부(240)는 지지면(220)와 대향된 위치에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필름(100)의 단부를 살짝 휘어지게 한 상태에서 필름고정부(240)에 끼워넣으면 필름(100)은 하우징부(200)의 하부에 고정되며, 고정의 해제 또한 필름을 살짝 휘어지게 하면 필름고정부(240)에서 필름(100)이 손쉽게 빠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필름이 필름고정부(240)에서 빠지게 되면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필름(100)을 힌지돌기(111)를 회전중심으로 회전시켜 필름(100)이 하우징부(200)의 상부에 위치하게 하는데, 하우징부(200)의 상부까지 회전된 필름(100)의 일측면이 하우징부(200)의 상부와 맞닿는 위치에서 자연스럽게 회전이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필름(100)이 하우징부의 상부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 필름(100)과 하우징부(200)의 상부 또는 필름(100)과 하우징부(200)의 하부가 이루는 각이 35~55 사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5도일 경우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상태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름(100)이 하우징부(200)의 상부까지 회전된 상태, 즉, 필름(100)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 상측 전면에 디스플레이 공간(1)이 형성된 상태에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를 작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공간(1)에서 입체 영상이 연출된다.
이후, 동영상 시청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필름(100)을 회전시켜 초기상태로 복원시키며, 필요시 다시 필름(100)을 하우징부(200)의 상부로 회전시켜 입체 동영상을 시청하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필름(100)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내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수용되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삽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부(200)를 포함하며, 이러한 하우징부(200)의 길이방향 일측 모서리에는 필름(100)이 결합되도록 힌지결합부(H)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결합부(H)에 결합된 필름(100)은 하우징부(2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데, 평상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00)이 하우징부(200)의 상부를 닫아 케이스의 역할을 수행하고, 동영상 재생시에는 힌지결합부(H)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측 전면에 디스플레이 공간을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200)의 상부가 필름(100)에 의해 닫힌 경우,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힌지결합부(H)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부(200)의 상측 모서리에는 결합유지돌기(2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유지돌기(2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H)가 형성된 모서리와 대향된 위치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힌지결합부(H)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구비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우징부(200)의 상부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0)에 마련된 결합유지돌기(250)에 의해 필름(100)이 하우징부(20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힌지결합부에 결합된 필름이 일정한 각도(35~55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도유지수단(26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각도유지수단(260)은 가이드레일(261)과 이동부재(262) 및 회전축(263)과 지지돌기(264)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65)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6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0) 폭방향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가이드레일(261)에는 이동부재(262)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재(262)는 평상시 하향이동된 상태로 유지되며, 동영상 재생시 상향이동되는데, 이러한 이동부재(262)의 상측에는 지지부재(265)가 구비되어 필름(100)이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시킨다.
상기 지지부재(265)는 이동부재의 상부에서 상하로 길이가 조절되는 회전축(263)과, 이 회전축(263)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지지돌기(264)가 포함되는데, 상기 회전축(263)은 안테나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264)는 바(bar)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측으로 90도(또는 270도) 회전되어 필름(100)의 일측면을 지지하는데, 이동부재(262)가 상향이동된 상태에서는 회전축(263)에 의한 회전이 확보되되, 이동부재(262)가 하향이동된 상태에서는 하우징부(20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동영상 재생시 이동부재(262)와 회전축(263)을 상향이동시킨 후, 지지돌기(264)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필름(100)을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 제2실시예의 특징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필름(100)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하우징부(200) 대신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커버(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하면,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외부를 모두 덮지 아니하고, 디스플레이부만 커버(300)로 개폐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서는 필름(100)이 커버(300)에 힌지결합부(H)를 매개로 힌지결합되되, 상기 필름(100)은 커버(300)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필름(100)은 커버(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접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커버(300)는 평상시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동영상 재생시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고 필름(100)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이 제3실시예의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필름(100)을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공간의 형성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힌지결합부(H)에 결합된 필름(100)이 일정한 각도(35~55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각도유지봉(40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각도유지봉(4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와 필름(100)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각도유지봉(400)은 커버(300)에 탈착되어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와 필름(100) 사이에 끼울 수도 있으나,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펜 등 디스플레이부와 필름(100)의 각도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부재들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300)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부(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결합부(310)는 힌지결합부(H)가 형성된 커버(300)의 모서리에 연장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부(310)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측면과 하면의 일부에 걸쳐 결합되되, 자석을 이용하여 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300)는 결합부(31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덮는다.
또한, 상기 결합부(310)와 힌지결합부(H)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길이방향의 일측 모서리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폭방향의 일측 모서리에 결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필름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상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하우징부 대신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선택적으로 덮는 커버(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커버(300)는 상술한 제3실시예의 필름(100)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특징이며, 제3실시예의 힌지결합부(H)는 생략되되, 결합부(310)와 각도유지봉(400)은 동일하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 부분을 덮으며, 내측에는 필름(100)이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커버는 예컨대, 액자와 같은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는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 부분에는 카메라, 버튼 등이 기능성 부재들이 구비되는데, 커버(300)는 이러한 기능성 부재들을 덮는 역할을 하며, 필름(100)은 기능성 부재들을 제외한 액정부분을 덮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평상시 커버가 디스플레이부를 덮으며, 동영상 재생시 커버를 열어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디스플레이 공간
10-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100-필름 110-힌지부
111-힌지돌기
200-하우징부 201-단턱
210-힌지결합홈 211-힌지홈
212-제어면 220-지지면
230-이탈방지돌기 240-필름고정부
250-결합유지돌기 260-각도유지수단
261-가이드레일 262-이동부재
263-회전축 264-지지돌기
265-지지부재
300-커버 310-결합부
400-각도유지봉

Claims (18)

  1.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측 전면에 디스플레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기울어져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측으로 반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필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양면에 반사방지 코팅되되, 일측면은 투과율 100%, 반사율 0%로 코팅하며, 타측면은 투과율 50%, 반사율 50%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수용되며,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상기 필름에 의해 개폐되는 하우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외부의 측면에는 힌지홈이 구비되는 힌지결합홈;과
    상기 필름에는 상기 힌지홈에 끼워지는 힌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결합홈에 결합되는 힌지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홈에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과 맞닿아 상기 필름의 하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면;이 구비되며,
    상기 필름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모서리에 의해 상방향 회전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상방향 회전시, 상기 필름과 하우징부가 이루는 각이 35~5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홈은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이 힌지결합홈 사이인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는, 상기 필름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필름고정부;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내측모서리에는 상기 필름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단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되되, 내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수용되며, 길이방향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필름이 결합되도록 힌지결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측 전면에 기울어진 각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각도유지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수단은 상기 하우징부 폭방향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필름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로 인출되며, 좌우회전이 확보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상부 인출시 상기 필름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를 제외한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며, 상기 필름이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결합유지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의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커버 사이에 상기 필름이 위치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측면을 둘러싸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 테두리를 덮는 커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7. 청구항 15 또는 16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길이방향의 측면 또는 배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8. 청구항 15 또는 16에 있어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필름 사이에 끼워지는 각도유지봉;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0130002946A 2013-01-10 2013-01-10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964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46A KR101964310B1 (ko) 2013-01-10 2013-01-10 입체 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46A KR101964310B1 (ko) 2013-01-10 2013-01-10 입체 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36A true KR20140090836A (ko) 2014-07-18
KR101964310B1 KR101964310B1 (ko) 2019-04-01

Family

ID=5173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946A KR101964310B1 (ko) 2013-01-10 2013-01-10 입체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3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28B1 (ko) * 2014-11-17 2016-03-08 주식회사 헬로앱스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사 홀로그램의 표시 방법
KR20160127922A (ko) * 2015-04-28 2016-11-07 최혁재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커버조립체
KR20210113091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디바스 단말기케이스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vr콘텐츠출력 자동 전환 시스템
WO2021187952A1 (ko) * 2020-03-19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을 홀로그램으로 표시하는 거치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972A (ko) * 2004-10-25 2004-11-18 이정혜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3차원 영상의 구현방법
KR100470587B1 (ko) * 2002-11-07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JP2009276568A (ja) * 2008-05-14 2009-11-26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00005776U (ko) * 2008-11-28 2010-06-07 이병진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기
KR20110038980A (ko) * 2009-10-09 201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9778A (ko) * 2011-01-05 2012-07-13 주식회사 레드로버 삼차원 영상 관찰용 케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87B1 (ko) * 2002-11-07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겸용 충전기
KR20040097972A (ko) * 2004-10-25 2004-11-18 이정혜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3차원 영상의 구현방법
JP2009276568A (ja) * 2008-05-14 2009-11-26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00005776U (ko) * 2008-11-28 2010-06-07 이병진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기
KR20110038980A (ko) * 2009-10-09 201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9778A (ko) * 2011-01-05 2012-07-13 주식회사 레드로버 삼차원 영상 관찰용 케이스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28B1 (ko) * 2014-11-17 2016-03-08 주식회사 헬로앱스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사 홀로그램의 표시 방법
KR20160127922A (ko) * 2015-04-28 2016-11-07 최혁재 입체영상시청이 가능한 단말기커버조립체
KR20210113091A (ko) * 2020-03-06 2021-09-15 주식회사 디바스 단말기케이스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vr콘텐츠출력 자동 전환 시스템
WO2021187952A1 (ko) * 2020-03-19 2021-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을 홀로그램으로 표시하는 거치 장치
US11870928B2 (en) 2020-03-19 202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of electronic apparatus through hol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310B1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463B1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US89080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s for stereoscopic viewing
RU2689255C2 (ru) Компактная нашлемная система индикации, защищенная сверхтонкой структурой
KR101964310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728845B1 (ko) 표시 장치, 포장 박스 및 포장 장치
US9698849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case and video picture display device case
JP6173272B2 (ja) 拡張現実表示装置および拡張現実表示装置
JP2000330074A (ja) ハーフミラー可変装置
US770667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107250885A (zh) 头戴式显示设备
US8570651B1 (en) Both side screen for combined use of 2D/3D images
WO2013114717A1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EP3567414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nd display system
WO2013067332A1 (en) Stereoscopic viewer
JP5341162B2 (ja) 3次元映像表示装置
JP2013190451A (ja) ステレオビューア及び表示装置
KR100697343B1 (ko) 다시점 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재현장치
KR200496688Y1 (ko) 포터블 원격 증강현실용 3차원 입체 영상장치
CN216052596U (zh) 一种智慧展厅全息投影设备
DK170491B1 (da) 3-dimensionalt tv
KR101652579B1 (ko) 전자표시기기를 위한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573267B1 (ko) 포장 박스와 전자 표시 기기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6038450A (ja) 撮影装置
KR20150110251A (ko) 포장 박스를 이용한 전자표시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