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087A -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087A
KR20140090087A KR1020137019145A KR20137019145A KR20140090087A KR 20140090087 A KR20140090087 A KR 20140090087A KR 1020137019145 A KR1020137019145 A KR 1020137019145A KR 20137019145 A KR20137019145 A KR 20137019145A KR 20140090087 A KR20140090087 A KR 20140090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unit
golf club
information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206B1 (ko
Inventor
강남욱
진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성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성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성기술
Publication of KR2014009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32Clubs or attachments on clubs, e.g. for measuring, alig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Visualisation of specific exercise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 클럽에 부착되어 있는 클럽 식별 회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골프 클럽 정보 식별 단계(S100), 상기 골프 클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윙 정보를 센싱하는 스윙 감지 단계(S200), 상기 골프 클럽 정보 식별 단계(S100)에서 식별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와 상기 스윙 감지 단계(S200)에서 센싱한 상기 스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윙 동작을 분석하는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 및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피드백 단계(S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REAL-TIME ANALYSIS OF GOLF SWING MOTION ON GOLF CLUB}
본 발명은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퍼가 사용하고 있는 골프 클럽을 자동으로 식별하기 위한 클럽 식별부 및 스윙 동작에서 발생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회전 방향, 각도 및 스피드의 데이터를 센싱하기 위한 스윙 감지부를 구비함으로써, 헤드 페이스의 앵글,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헤드 스피드를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골퍼의 스윙 동작을 피드백(feedback)하여 잘못된 스윙 동작을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정된 소수의 사람들만이 즐기는 고급 스포츠로 인식되던 골프가 신체 및 정신 건강에도 많은 도움을 주는 스포츠로 인식되면서, 점차 대중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고, 이에 따라서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골프는 경기 운영 방식에 따라 18홀을 3라운드 또는 4라운드로 치루고, 이를 종합하여 최저 타수를 기록한 골퍼가 승자가 되며, 일순간의 타격이 공의 방향과 비거리를 결정하는 스포츠로써, 집중력 및 타격의 정확도와 함께, 이를 뒷받침해주는 체력이 승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정확도는 골프 스윙 동작에 의해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바른 자세에서 정확한 타격을 해야만 원하는 정확도 및 비거리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골퍼들은 올바른 골프 스윙 동작을 가지기 위해서 골프 경기를 보며 프로 골퍼들의 동작을 유심히 관찰하거나 또는 골프 교습 방송 등을 시청하면서 정보를 얻기도 한다.
이러한 이론적인 학습으로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골프에 처음 입문하는 초급자의 경우, 전문가에게 정확한 스윙을 직접 지도받을 필요가 있으며, 숙련된 골퍼라 할지라도 이미 익힌 스윙을 토대로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공을 타격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훈련을 요하는 스포츠이다.
골프 스윙의 분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들은 골프 클럽 스윙에 따른 헤드 페이스의 앵글, 헤드 스피드,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을 반복 교정하여 자신에 맞는 스윙으로 교정하고, 실제 라운딩에서 항상 동일하게 스윙을 재현해내는 것이 골프 스윙 연습의 목표라 할 수 있다.
골프 스윙 연습에 있어서, 골프 스윙의 표준 동작인 어드레스(Address), 백 스윙(Back swing), 다운 스윙(Down swing), 임팩트(Impact) 및 피니쉬(Finish)가 있으며, 상기 각각의 표준 동작마다 정확한 교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전문가로부터의 직접 지도 등은 비용에 있어서 많은 부담이 따르며, 지도를 받기 위해서 전문가와 시간을 맞추거나 아니면,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하므로 큰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서, 최근들어 많은 골퍼들은 올바른 골프 스윙 자세를 학습하기 위해서, 영상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기록된 본인의 영상 정보를 재생하면서 본인의 골프 스윙 동작을 교정하는 것으로서, 골프 스윙 동작의 교정뿐만 아니라, 문제점을 인지하는데 유용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상기 영상 분석 시스템의 이용은 영상을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별도의 한정된 장소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스윙 또는 타격 후 문제점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확인하는 별도의 시간이 필요하고,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한 스윙 또는 타격의 분석을 위해서 더욱 더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반복 훈련에는 부적절하다.
이러한 영상 분석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골프 클럽, 골퍼의 손목 및 장갑 등에 관성 센서 소자를 부착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를 이용하여 스윙을 정확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골퍼의 손목이나 장갑에 관성 센서 소자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골프 클럽의 스윙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송받을 수 없으며, 골프 클럽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관성 센서 소자의 부착 위치에 따라서 골프 클럽 헤드의 속도 및 방향을 판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골프 클럽 헤드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관성 센서 소자의 무게로 인해 스윙 동작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서, 골프 클럽의 그립이나, 샤프트(shaft)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골프 클럽의 길이 편차로 인해 분석에 앞서서 별도로 해당하는 골프 클럽의 조건을 입력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95497호 (“골프 스윙의 자세 분석 시스템”,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골퍼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는 센서에 의해, 스윙 시 신체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할 뿐만 아니라, 센서에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윙 자세를 분석할 수 있는 골프 스윙의 자세 분석 시스템을 게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 1에는 상술한 문제점인 골프 클럽의 정확한 스윙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없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은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195497호 (공개일자 2012.10.2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퍼가 사용하고 있는 골프 클럽을 자동으로 식별하며, 스윙 동작에서 발생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회전 방향, 각도 및 스피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이에 따른 헤드 페이스의 앵글,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헤드 스피드를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골퍼의 스윙 동작을 피드백(feedback)하여 잘못된 스윙 동작을 올바르게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은, 다수 개의 골프 클럽의 정보를 식별하며, 상기 골프 클럽에 장착되는 클럽 식별부(100), 사용자의 스윙 동작에 따른 스윙 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골프 클럽에 장착되는 스윙 감지부(200) 및 상기 스윙 감지부(200)에서 전달받은 사용자의 상기 스윙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feedback)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럽 식별부(100)는 사용자가 직접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골프 클럽의 번호를 나타내는 클럽 번호 표시부(110)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클럽 식별 회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윙 감지부(200)는 상기 클럽 식별 회로부(120)에서 자동으로 식별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전달받는 클럽 정보 수신부(210), 상기 골프 클럽의 스윙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220), 상기 센서부(220)에서 센싱된 상기 스윙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230), 상기 클럽 정보 수신부(210)로 전달받은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와 상기 제어부(2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송신부(240) 및 상기 스윙 감지부(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럽 식별부(100) 및 상기 스윙 감지부(200)는 상기 골프 클럽의 그립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220)는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제 1 센서(221) 및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방향을 센싱하는 제 2 센서(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스윙 감지부(200)의 송신부(240)로부터 상기 스윙 정보 및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부(310), 전달받은 상기 스윙 정보 및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20),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상기 스윙 정보와,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윙 동작을 분석하는 스윙 분석부(330),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340) 및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표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안내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스윙 동작의 오차 범위를 입력 받는 사용자 설정부(341),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에서 입력 받은 상기 오차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을 비교하여 오차 정도를 분석하는 오차 분석부(342) 및 상기 오차 분석부(342)에서 분석한 결과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성 제공부(3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골프 클럽에 장착되어 있는 클럽 식별 회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골프 클럽 정보 식별 단계(S100), 상기 골프 클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윙 정보를 센싱하는 스윙 감지 단계(S200), 상기 골프 클럽 정보 식별 단계(S100)에서 식별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와 상기 스윙 감지 단계(S200)에서 센싱한 상기 스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윙 동작을 분석하는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 및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피드백 단계(S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드백 단계(S400)는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제공하는 음성 안내 단계(S410) 및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계(S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골퍼가 사용하고 있는 골프 클럽을 자동으로 식별하기 위한 클럽 식별부 및 스윙 동작에서 발생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회전 방향, 각도 및 스피드의 데이터를 센싱하기 위한 스윙 감지부를 골프 클럽에 장착함으로써, 골퍼가 사용하고 있는 골프 클럽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이를 고려하여 헤드 페이스의 앵글, 헤드 스피드,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더불어, 골프 클럽의 그립에 간편하게 부착될 수 있는 클럽 식별부 및 스윙 감지부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골퍼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또는 휴대 장치를 통하여, 음성 및 영상으로 피드백을 함으로써 실제 라운딩이나 실내·외 연습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실시간 피드백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저장부에 스윙 분석 데이터를 저장한 후, 이에 대한 그래프 등을 포함한 분석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레슨 효과를 증대하며 스코어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골프 클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이 구비된 골프 클럽의 일부분 및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식별부(1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30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 감지부(200)의 제 1 센서(221)에 의해서 센싱된 스윙 정보에 대한, 골프 클럽의 가속도 변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 전후의 골프 클럽의 헤드 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안내부(34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50)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의 그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의 그 동작 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의 그 동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골프채, 즉, 골프 클럽(Golf clu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는 골퍼가 손으로 잡는 그립(grip), 사람이 공을 던질 때 팔 부분에 해당하는 샤프트(shaft) 및 볼을 직접 가격하는 헤드(head) 로 이루어지며, 더욱 상세하게는 토(toe), 페이스(face), 호젤(hosel) 및 솔(sole) 등으로 세부적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토는 헤드의 바깥쪽 끝단, 즉 골퍼가 골프 클럽을 잡고 어드레스를 했을 때 헤드의 바깥 쪽 모서리 부분을 의미하며, 페이스는 헤드에서 공이 직접 닿는 면을 의미하며, 호젤(hosel)은 골프 클럽의 샤프트(shaft)와 골프 클럽 헤드를 연결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페이스를 지면에 수평으로 놓고 지면과 샤프트(shaft)가 이루는 각도를 라이 각(lie angle)이라 한다.
로프트 각(loft angle)은 샤프트(shaft)와 페이스가 이루는 각도, 즉,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가 누워있는 각도를 의미하며, 로프트가 크면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가 뒤로 많이 누워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볼을 맞추게 되면 볼이 앞으로 나아가기 보다는 공중으로 붕 뜨기 때문에, 공의 비거리가 짧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골프 클럽은 이러한 헤드의 모양과 재질에 따라서 우드(wood), 아이언(iron), 웨지(wedge) 및 퍼터(putter)로 구분하고 있으며, 각기 다른 용도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골퍼가 원하는 비거리와 골프 클럽의 각각의 특성에 따라서 용도가 다르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우드는 볼을 가능한 한 멀리 보내기 위한 골프 클럽이기 때문에, 샤프트(shaft)는 길고 헤드는 가벼우며 휘두르기 쉽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각각의 골프 클럽마다 고유의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1번으로 갈수록 샤프트(shaft)의 길이가 길어지고, 로프트 각이 작아지므로 비거리가 늘어난다.
아이언은 우드보다 비거리는 짧지만, 방향성 및 정확도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으므로 알맞은 거리에 따라서 골라 쓰는 골프 클럽이다. 아이언도 우드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골프 클럽마다 고유의 번호가 매겨져 있으며, 상기 우드와 마찬가지로, 작은 번호로 샤프트(shaft)의 길이가 길어지고, 로프트 각이 작아지므로 비거리가 늘어난다.
또한, 웨지는 아이언보다 더 짧은 거리를 정확하게 보내기 위한 골프 클럽이며, 4가지로 구별될 수 있다. 퍼터는 스코어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골프 클럽이라 할 수 있으며, 그린 위에 있는 볼을 홀컵에 넣기 위한 골프 클럽이다. 이 때문에 비거리보다는 정확성에만 초점을 맞춘 골프 클럽이다.
정규 라운드에서 골퍼가 가지고 다닐 수 있는 골프 클럽의 수는 14개 이하이기 때문에, 골프 클럽을 선택하는 것부터 게임에서 이기기 위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골프 클럽의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럽 식별부(100), 스윙 감지부(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럽 식별부(100)와 상기 스윙 감지부(200)는 상기 골프 클럽의 그립 상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클럽 식별부(100)는 상기 골프 클럽의 그립 상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삽입 또는 접착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클럽 식별부(100)는 다수 개의 상기 골프 클럽의 번호를 표시하여, 사용자(이하 ‘골퍼’라 함)가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럽 식별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럽 번호 표시부(110) 및 클럽 식별 회로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럽 번호 표시부(110)는 골퍼가 상기 골프 클럽의 번호를 통해서, 상기 골프 클럽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골프 클럽의 번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클럽 식별 회로부(120)는 상기 골프 클럽 종류 별로 각각의 아이디 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골프 클럽의 식별 정보를 상기 스윙 감지부(200)가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클럽 식별 회로부(120)를 포함하는 상기 클럽 식별부(100)는 사전에 각각의 상기 골프 클럽에 부착될 수 있으며, 골퍼가 특정 상기 골프 클럽을 선택할 경우, 상기 스윙 감지부(200)로 상기 골프 클럽의 식별 정보를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골퍼가 선택한 상기 골프 클럽의 식별 정보, 즉, 샤프트(shaft)의 길이, 라이 각(lie angle) 및 로프트 각(loft angle)는 상기 스윙 감지부(200)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달되며, 골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서, 골퍼가 선택한 상기 골프 클럽의 식별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골퍼의 설정에 따라서 상기 식별 정보를 더 추가하거나, 감축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윙 감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럽 식별부(100)와 결합하는 형태로 이 때, 상기 클럽 식별부(100)와 상기 스윙 감지부(200) 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 방법으로는, 나사선 구조를 나타내는 스크류 형태, 접착 형태, 자석을 이용한 형태 및 끼워 넣기 구조 등 다양한 체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클럽 식별부(100)와 상기 스윙 감지부(20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스윙 감지부(200)는 골퍼의 스윙 동작에 따른 스윙 정보를 감지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럽 정보 수신부(210), 센서부(220), 제어부(230), 송신부(240) 및 전원부(2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럽 정보 수신부(210)는 상기 클럽 식별 회로부(120)에서 자동으로 인식한 상기 골프 클럽의 식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센서부(220)는 상기 골프 클럽의 스윙 정보를 센싱하며, 제 1 센서(221) 및 제 2 센서(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221)는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221)이며, 상기 제 2 센서(222)는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방향을 센싱하는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22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센서부(220)에서 센싱된 상기 스윙 정보, 즉, 상기 가속도 센서(221) 및 상기 자이로 센서(222)를 통해서 센싱되는 상기 스윙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가속도 센서(221)로부터 센싱한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스윙 리듬 및 템포, 헤드 스피드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상기 자이로 센서(222)로부터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방향을 센싱하여, 헤드 페ㅣ스의 앵글 및 스윙 궤적을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가속도 센서(221)로부터 센싱한 상기 골프 클럽의 스윙 시 발생하는 가속도 변화 그래프이다. 상기 가속도 변화 그래프는 어드레스와 타격 시점을 기준으로 스윙 동작을 세분화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며, 이 때, 상기 가속도 센서(221)로부터 센싱된 값에 의한 가속도 변화 그래프는 X, Y 및 Z의 3축 그래프이다.
골퍼의 스윙 동작은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4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구간 ①은 백 스윙(back swing) 시간을 의미하며, 구간 ②는 백 스윙 탑(back swing top) 시간을 의미하며, 구간 ③은 다운 스윙(down swing) 시간을 의미하며, 구간 ④는 팔로우 스루(follow through) 시간를 의미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즉, 어드레스부터 백 스윙 탑 까지의 시간, 백 스윙 탑에서 다운 스윙 시간 전까지 멈춰있는 시간, 다운 스윙 시작에서 임팩트까지의 시간 및 임팩트(impact) 후 피니쉬(finish)까지의 시간을 상기 가속도 센서(221)로부터 센싱된 값에 의한 가속도 변화 그래프를 통해서 판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자이로 센서(222)는 타격 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페이스 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스윙 궤적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자이로 센서(222)에 의해서 센싱되는 샤프트(shaft)의 회전률을 이용하여,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임팩스시, 상기 골프 클럽 헤드 페이스의 앵글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샤프트(shaft)의 회전률을 상기 가속도 센서(221)에 의해서 센싱되는 가속도와 동기화시킴으로써, 스윙 궤적을 결정할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 1은 임팩스 시, 헤드 페이스의 앵글을 결정하는 공식이며, 백 스윙 시작 시간부터 다운 스윙 완료 시간까지의 시간에 대해, 샤프트(shaft) 회전률을 적분함으로써 헤드 페이스의 앵글을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가속도 센서(221) 및 상기 자이로 센서(222)를 통해서 센싱되는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이용하여, 스윙의 시작과 끝을 예측할 수 있으며, 더불어, 임팩트 순간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에 따른 좌우 편향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240)는 상기 클럽 정보 수신부(210)로 전달받은 상기 골프 클럽의 식별 정보, 즉, 상기 골프 클럽의 고유 번호와, 상기 제어부(230)에서 분석한 골퍼의 상기 스윙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은 무선으로 이루어지며, RF(Radio Frequency), WI-FI(Wireless-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50)는 상기 스윙 감지부(200)에 전원을 제공하며, 상기 스윙 감지부(200)가 상기 골프 클럽의 그립 상부에 부착되는 등의 크기의 제약 조건이 있으므로, 소형 1차전지 또는 충전식 2차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스윙 감지부(200)에서 전달받은 골퍼의 스윙 정보와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에 따른, 골퍼의 스윙 동작을 분석하여 골퍼에게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휴대하기 용이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기로 이용가능 하며, 예를 들자면,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도 5에 구비된 바와 같이, 수신부(310), 메모리부(320), 스윙 분석부(330), 음성 안내부(340) 및 표시부(3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부(310)는 상기 스윙 감지부(200)의 송신부(240)로부터 상기 골프 클럽의 스윙 정보 및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윙 감지부(200)의 송신부(24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수신부(310) 간의 통신은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RF(Radio Frequency), WI-FI(Wireless-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상기 수신부(310)로 전달받은 골퍼의 스윙 동작에 따른 상기 스윙 정보 및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각각의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 즉, 샤프트(shaft)의 길이, 라이 각(lie angle) 및 로프트 각(loft angle) 등을 사용자가 설정, 변경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윙 분석부(330)는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상기 스윙 정보와,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이용하여, 골퍼의 스윙 동작을 분석한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스윙 분석부(330)는 골퍼가 선택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인 상기 골프 클럽의 샤프트(shaft)의 길이, 라이 각(lie angle) 및 로프트 각(loft angle)과, 상기 스윙 정보인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자이로 센서를 통해서 센싱된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이용하여, 골퍼의 스윙에 따른,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헤드 스피트,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스윙 궤적이란, 지면을 기준으로 몸을 회전축으로 삼아 상기 골프 클럽을 회전시킬 때 스윙하는 동안 상기 골프 클럽의 샤프트(shaft)가 만들어 내는 면으로, 정확히 말하자면,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가 움직이는 궤도를 의미한다.
상기 헤드 스피드는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반경 및 상기 가속도 센서(221)로부터 센싱한 가속도의 함수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스피드는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스윙 반경 및 가속도의 곱이다.
상기 스윙 리듬 및 템포는 가속도가 0의 근사치에서 시작하는 어드레스에서부터 백 스윙 과 백 스윙 탑의 시간 대비 다운 스윙의 시간의 비율로 상기 리듬 및 템포를 산출할 수 있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스윙 리듬 및 템포를 적용할 수는 없지만,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일률적인 상기 스윙 리듬 및 템포를 유지 하는 게 중요하다.
도 7은 타격 전후의 골프 클럽 헤드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며, 궤적의 방향에 따라서 타격 후 볼의 좌우 비행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진입은 도 7에 표기된 바와 같이, out-in, in-square-in, in-out이 있고, 타격시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에 따라서, open, square 및 close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궤적과 헤드 페이스의 앵글의 조합에 의해서 다양한 볼의 비행 구질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비행 구질의 종류로는, straight, slice, hook, pull, pull slice, pull hook, push, push slice 및 push hook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상기 음성 안내부(340) 및 상기 표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골퍼의 특정 샷(shot)의 스윙 정보, 즉,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헤드 스피드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스윙 플랜(swing plane), 스윗 스팟(sweet spot) 및 캐리(carry) 등을 상기 음성 안내부(340) 및 상기 표시부(350)를 통해서 골퍼에게 실시간으로 피드백 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안내부(340)는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골퍼의 스윙 동작, 즉, 골퍼의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헤드 스피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음성 안내부(3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부(341), 오차 분석부(342) 및 음성 제공부(3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는 골퍼로부터 원하는 스윙 동작의 오차 범위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개개인마다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헤드 스피드가 모두 다를 뿐만 아니라, 초보의 스윙 동작과 프로의 스윙 동작 또한 확연히 다르기 때문에 분석 요소인 상기 헤드 페이스의 앵글,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헤드 스피드에 대한 개개인의 허용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오차 분석부(342)는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에서 골퍼로부터 입력받은 스윙 동작의 상기 허용 오차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을 비교하여 오차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실제 골퍼의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와,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로부터 골퍼가 원하는 스윙 동작을 비교하여, 그 오차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스윙 궤적의 오차 정도 분석은,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분석과 상기 골프 클럽의 스윙 궤적, 즉, 상기 골프 클럽의 진입, 진출 각의 경로 분석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분석은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를 통해서 골퍼가 원하는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허용 오차 앵글을 입력 받으며, 허용 오차 각을 토대로 open 각과 close 각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의 진입, 진출 각의 경로 분석은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를 통해서 골퍼가 원하는 임팩트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 상·하 거리를 입력 받으며, 이를 토대로 일종의 사각형의 허용 오차 존(zone)을 형성하여 상기 허용 오차 존을 지나가는 궤도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다.
상기 헤드 스피드의 허용 오차 정도 분석은,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를 통해서 상기 골프 클럽의 임팩트 시, 골퍼가 원하는 속도의 허용 오차를 설정하며, 이를 기준으로 임팩트 시, 정상 속도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윙 리듬 및 템포의 오차 정도 분석은,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를 통해서 백 스윙 시간과 백 스윙 탑 시간 대비 다운 스윙 시간의 비율을 % 단위로 허용 오차를 입력 받으며, 이를 토대로 골퍼의 실제 스윙 시 오차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제공부(343)는 상기 오차 분석부(342)에서 분석한 골퍼의 스윙 동작에 대한 상기 오차 정도를 실시간으로 TTS(Text to Speech) 엔진을 이용하여, 골퍼에게 음성으로 상기 오차 정도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TTS 엔진이란, 간단하게는 문자음성 자동변환 기술을 의미하며, 문자를 바로 음성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음성 제공부(343)는 상기 오차 분석부(342)에서 분석한 골퍼의 스윙 동작이 상기 허용 오차 정도의 적정 범위 안에 들어올 경우에는, 음성으로 적정 범위 내의 스윙 궤적이라고 안내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적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적정 범위를 벗어난 스윙 궤적이라고 안내하거나 또는 상세하게 단위까지 표현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골퍼는 실제 라운딩 시 실시간으로 본인의 스윙 동작을 교정할 수 있도록 정교하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피드백을 참고하여 실시간으로 스윙 교정을 할 수 있으며, 실내·외 연습장내에서의 반복적인 훈련에도 전문가의 도움 없이 스스로 스윙 교정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50)는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골퍼의 하나의 샷(shot)에 대한 스윙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되어 있는 특정 샷(shot)의 스윙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정보 표시부(351), 클럽 상태 표시부(352) 및 그래프 표시부(353)로 나뉘어져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표시부(350)에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정보 표시부(351), 클럽 상태 표시부(352) 및 그래프 표시부(353)를 통해서 골퍼의 특정 샷(shot)의 스윙 정보의 분석 정보, 즉,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헤드 스피드,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정보 표시부(351)는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하여 산출한 골퍼의 특정 샷(shot)의 스윙 정보의 분석 정보, 즉,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헤드 스피드,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등을 정량적 수치로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클럽 상태 표시부(352)는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하여 산출한 골퍼의 특정 샷(shot)의 임팩트 시,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을 클럽 모양으로 도시화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프 표시부(353)는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하여 산출한 골퍼의 특정 샷(shot)의 헤드 스피드,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등을 스윙 시간축에 대비하여 도식화 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정보 표시부(351), 클럽 상태 표시부(352) 및 그래프 표시부(353)를 통해서 골퍼의 스윙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골퍼의 제어 설정에 따라서 더 다양하게 세분화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정리하여 골퍼의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은 상기 클럽 식별부(100)에서 자동으로 식별되는 상기 골프 클럽의 식별 정보와, 상기 스윙 감지부(200)에서 센싱된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이용하여 골퍼의 스윙 동작에 따른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페이스의 앵글, 헤드 스피드,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등을 분석하여 산출할 수 있다. 더불어, 이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달하여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피드백 해줌으로써, 연습, 훈련 및 실제 라운딩 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 클럽의 정보 식별 단계(S100), 골퍼의 스윙 감지 단계(S200), 골퍼의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 및 분석한 스윙 동작에 대하여 피드백(feedback)하는 피드백 단계(S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 식별 단계(S100)는 상기 골프 클럽의 그립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골프 클럽 식별 회로를 이용하여, 골퍼가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클럽 식별부(100)의 클럽 식별 회로부(120)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 즉, 상기 골프 클럽의 고유 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스윙 감지 단계(S200)는 상기 골프 클럽의 움직임을 상기 스윙 감지부(200)의 가속도 센서(221) 및 상기 자이로 센서(222)를 이용하여, 상기 골프 클럽의 스윙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스윙 감지 단계(S200)는 상기 가속도 센서(221)로부터 센싱한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임팩트를 기준으로 스윙의 시작과 끝을 예측할 수 있으며, 상기 자이로 센서(222)로부터 센싱한 상기 골프 클럽의 방향을 이용하여, 임팩트 순간 헤드의 진입 각과 헤드 페이스의 앵글을 감지하여 좌우 편향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스윙 분석부(3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골프 클럽 정보 식별 단계(S100)에서 식별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와, 상기 스윙 감지 단계(S200)에서 센싱한 상기 스윙 정보를 이용하여, 골퍼의 스윙 동작을 분석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인 상기 골프 클럽의 샤프트(shaft)의 길이, 라이 각(lie angle) 및 로프트 각(loft angle)과, 상기 스윙 정보인 상기 가속도 센서(221) 및 상기 자이로 센서(222)를 통해서 센싱한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이용하여, 골퍼의 스윙 동작에 따른 헤드 페이스의 앵글, 헤드 스피드, 스윙 궤적, 스윙 리듬 및 템포 등을 분석하여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스윙 궤적이란, 지면을 기준으로 몸을 회전축으로 삼아 상기 골프 클럽을 회전시킬 때 스윙하는 동안 상기 골프 클럽의 샤프트(shaft)가 만들어 내는 면으로, 정확히 말하자면,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가 움직이는 궤도를 의미한다.
상기 헤드 스피드는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 반경 및 상기 가속도 센서(221)로부터 센싱한 가속도의 함수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골프 클럽의 헤드의 속도는 상기 골프 클럽 헤드의 스윙 반경과 가속도의 곱이다.
상기 스윙 리듬 및 템포는 가속도가 0의 근사치에서 시작하는 어드레스에서부터 백 스윙과 백 스윙 탑의 시간 대비 다운 스윙의 시간의 비율로 상기 스윙 리듬 및 템포를 산출할 수 있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스윙 리듬 및 템포를 적용할 수는 없지만,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일률적인 상기 스윙 리듬 및 템포를 유지 하는 게 중요하다.
상기 피드백 단계(S400)는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음성 안내부(340) 및 표시부(350)로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골퍼에게 실시간으로 피드백(feedback)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드백 단계(S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안내 단계(S410) 및 디스플레이 단계(S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성 안내 단계(S410)는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음성 안내부(34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골퍼에게 음성으로 스윙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S420)는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표시부(350)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는, 골퍼가 원할 시에는 특정 시간 및 특정 샷(shot)의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클럽 식별부
110 : 클럽 번호 표시부 120 : 클럽 식별 회로부
200 : 스윙 감지부
210 : 클럽 정보 수신부 220 : 센서부
221 : 제 1 센서 222 : 제 2 센서
230 : 제어부 240 : 송신부
250 : 전원부
300 : 사용자 단말기
310 : 수신부 320 : 메모리부
330 : 스윙 분석부 340 : 음성 안내부
341 : 사용자 설정부 342 : 오차 분석부
343 : 음성 제공부
350 : 표시부
351 : 스윙 정보 표시부 352 : 클럽 상태 표시부
353 : 그래프 표시부

Claims (9)

  1. 골프 클럽의 정보를 식별하며, 상기 골프 클럽에 장착되는 클럽 식별부(100);
    사용자의 스윙 동작에 따른 스윙 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골프 클럽에 장착되는 스윙 감지부(200); 및
    상기 스윙 감지부(200)에서 전달받은 사용자의 상기 스윙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feedback)하는 사용자 단말기(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럽 식별부(100)는
    사용자가 직접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골프 클럽의 번호를 나타내는 클럽 번호 표시부(110); 및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클럽 식별 회로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감지부(200)는
    상기 클럽 식별 회로부(120)에서 식별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전달받는 클럽 정보 수신부(210);
    상기 골프 클럽의 스윙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부(220);
    상기 센서부(220)에서 센싱된 상기 스윙 정보를 분석하는 제어부(230);
    상기 클럽 정보 수신부(210)로 전달받은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와 상기 제어부(2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송신부(240); 및
    상기 스윙 감지부(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럽 식별부(100) 및 상기 스윙 감지부(200)는 상기 골프 클럽의 그립 상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20)는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속도를 센싱하는 제 1 센서(221); 및
    상기 골프 클럽의 회전 방향을 센싱하는 제 2 센서(22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스윙 감지부(200)의 송신부(240)로부터 상기 스윙 정보 및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전달받는 수신부(310);
    전달받은 상기 스윙 정보 및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20);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상기 스윙 정보와,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윙 동작을 분석하는 스윙 분석부(330);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340); 및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표시부(3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스윙 동작의 허용 오차 범위를 입력받는 사용자 설정부(341);
    상기 사용자 설정부(341)에서 입력 받은 상기 허용 오차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스윙 분석부(33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을 비교하여 오차 정도를 분석하는 오차 분석부(342);
    상기 오차 분석부(342)에서 분석한 결과를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음성 제공부(34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8. 골프 클럽에 부착되어 있는 클럽 식별 회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를 자동으로 식별하는 골프 클럽 정보 식별 단계(S100);
    상기 골프 클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윙 정보를 센싱하는 스윙 감지 단계(S200);
    상기 골프 클럽 정보 식별 단계(S100)에서 식별한 상기 골프 클럽의 정보와 상기 스윙 감지 단계(S200)에서 센싱한 상기 스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윙 동작을 분석하는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 및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피드백 단계(S4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단계(S400)는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음성으로 제공하는 음성 안내 단계(S410); 및
    상기 스윙 동작 분석 단계(S300)에서 분석한 상기 스윙 동작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단계(S42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37019145A 2012-12-11 2012-12-11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532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10756 WO2014092213A1 (en) 2012-12-11 2012-12-11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real-time analysis of golf swing motion on golf clu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087A true KR20140090087A (ko) 2014-07-16
KR101532206B1 KR101532206B1 (ko) 2015-06-30

Family

ID=5093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145A KR101532206B1 (ko) 2012-12-11 2012-12-11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13382A1 (ko)
JP (1) JP2015502831A (ko)
KR (1) KR101532206B1 (ko)
CN (1) CN103987429A (ko)
WO (1) WO20140922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687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티틀테크 골프 클럽 종류를 자동적으로 인식하는 골프 스윙 분석기
KR20190111304A (ko) * 2018-03-22 2019-10-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술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KR102179420B1 (ko) * 2019-09-30 2020-11-18 (주)바인테크 골프장 골프코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6554B2 (en) 2010-08-26 2017-04-18 Blast Motion Inc. Motion capture system that combines sensors with different measurement ranges
US9607652B2 (en) 2010-08-26 2017-03-28 Blast Motion Inc. Multi-sensor event detection and tagging system
US9261526B2 (en) 2010-08-26 2016-02-16 Blast Motion Inc. Fitting system for sporting equipment
US9396385B2 (en) 2010-08-26 2016-07-19 Blast Motion Inc. Integrated sensor and video motion analysis method
JP6168276B2 (ja) * 2012-12-18 2017-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解析制御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運動解析方法
DE102012224321B4 (de) * 2012-12-21 2022-12-15 Applejack 199 L.P. Messvorrichtung zum Erfassen einer Schlagbewegung eines Schlägers, Traini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ining einer Schlagbewegung
US9805231B2 (en) * 2013-03-13 2017-10-31 Tag Golf, Llc Golf data collection system with RFID in golf club
US9943744B2 (en) * 2013-03-15 2018-04-17 Skyhawke Technologies, Llc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golf statistics
US9643092B2 (en) 2013-03-15 2017-05-09 Skyhawke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ed gameplay based on a geospatial position
JP6467766B2 (ja) * 2013-06-21 2019-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運動解析方法、運動解析装置および運動解析プログラム
JP2015192686A (ja) * 2014-03-31 2015-11-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特定装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88625B2 (ja) * 2014-10-08 2019-03-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イング評価装置、スイング評価方法、およびスイング評価プログラム
US20160144259A1 (en) * 2014-11-26 2016-05-26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itting golf club head weight
JP6696109B2 (ja) 2014-12-22 2020-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運動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26307A (zh) * 2015-05-22 2015-08-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高尔夫击球辅助方法、装置及智能手表
US10974121B2 (en) 2015-07-16 2021-04-13 Blast Motion Inc. Swing quality measurement system
US9694267B1 (en) 2016-07-19 2017-07-04 Blast Motion Inc. Swing analysis method using a swing plane reference frame
US11565163B2 (en) 2015-07-16 2023-01-31 Blast Motion Inc. Equipment fitting system that compares swing metrics
US11577142B2 (en) 2015-07-16 2023-02-14 Blast Motion Inc. Swing analysis system that calculates a rotational profile
US10124230B2 (en) * 2016-07-19 2018-11-13 Blast Motion Inc. Swing analysis method using a sweet spot trajectory
CN108369646B (zh) 2015-07-16 2021-10-15 博拉斯特运动有限公司 多传感器事件检测和标记系统
EP3139349B1 (fr) * 2015-09-03 2022-12-28 Swiss Timing Ltd. Procede et systeme de mesure ou de prediction d'un temps de course de haies
JP2017086164A (ja) * 2015-11-02 2017-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70120123A1 (en) * 2015-11-04 2017-05-04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695773B1 (ko) * 2016-04-28 2017-01-12 윤득중 골프 연습 보조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07688465A (zh) * 2016-08-04 2018-02-13 惠州学院 一种基于计算机视觉的挥杆动作分析系统
CN106422230A (zh) * 2016-11-09 2017-02-22 广州体育学院 智能化球拍
CN108201690A (zh) * 2016-12-17 2018-06-26 饶文艺 高尔夫球跟踪系统
US10786728B2 (en) 2017-05-23 2020-09-29 Blast Motion Inc. Motion mirroring system that incorporates virtual environment constraints
US20200094122A1 (en) * 2017-06-02 2020-03-2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943695B2 (en) 2017-06-02 2021-03-09 Suunto Oy Sensor module for personal performance monitoring and related arrangement and method
JP7071628B2 (ja) * 2018-05-25 2022-05-19 株式会社プロギア 試打データ取得方法及び試打データ取得システム
JP2019217150A (ja) * 2018-06-22 2019-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イング解析装置、スイング解析方法、およびスイング解析システム
KR20200124825A (ko) 2019-04-25 2020-11-04 김덕규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US11721027B2 (en) 2020-06-09 2023-08-08 Sony Group Corporation Transforming sports implement motion sensor data to two-dimensional image for analysis
JP7034514B2 (ja) 2021-01-19 2022-03-14 株式会社ユピテル 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1552B2 (en) * 1998-08-13 2006-01-31 Burke Thomas J Swing monitoring device
US6012988A (en) * 1998-08-13 2000-01-11 Burke; Thomas J. Golf club with overswing alerting mechanism
KR100481417B1 (ko) * 2000-08-07 2005-04-08 노아텍이엔지(주) 영상기술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KR100466368B1 (ko) * 2003-01-10 2005-01-13 김영순 골퍼의 플레이에 대한 정보 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정보 분석 방법
US20050054457A1 (en) * 2003-09-08 2005-03-10 Smartsw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golf swing analysis and training
US20060166738A1 (en) * 2003-09-08 2006-07-27 Smartsw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golf swing analysis and training for putters
US20060025229A1 (en) * 2003-12-19 2006-02-02 Satayan Mahajan Motion tracking and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and system implementations thereof
US7736242B2 (en) * 2004-03-23 2010-06-15 Nike, Inc. System for determin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golf swing
US20050261073A1 (en) * 2004-03-26 2005-11-24 Smartsw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urately measuring and modeling a sports instrument swinging motion
JP2008073210A (ja) * 2006-09-21 2008-04-03 Seiko Epson Corp ゴルフクラブ、そのスイング評価支援装置
US8337335B2 (en) * 2006-10-07 2012-12-25 Dugan Brian M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or analyzing swing information
KR100788003B1 (ko) * 2006-12-22 2007-12-21 주식회사 지오다이스 고유 타석 및 사용자 인증을 이용한 골프 레슨 장치 및서버
US8109816B1 (en) * 2007-05-31 2012-02-07 Yale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 golf swing
US20090032154A1 (en) * 2007-07-30 2009-02-05 Quartarone Iii Frank A Adjustable Club In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Manufacture Adjustable Club Indentification Systems
US8202148B2 (en) * 2007-12-03 2012-06-19 Julius Young Machine and method for caddying and golf instruction
JP4743292B2 (ja) * 2009-02-16 2011-08-10 美津濃株式会社 スイング分析装置および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選定システム
CA2751419C (en) * 2009-03-13 2014-05-20 Golfzon Co., Ltd.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me
TWI424865B (zh) * 2009-06-30 2014-02-01 Golfzon Co Ltd 高爾夫模擬裝置及該裝置之高爾夫模擬方法
JP5917404B2 (ja) * 2009-11-06 2016-05-11 スカイホーク・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ゴルフショット追跡システム
US8430762B2 (en) * 2009-12-16 2013-04-30 Callaway Golf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shot tracking
US20110224012A1 (en) * 2010-01-12 2011-09-15 Hashimoto Terry G Game Device Swing Detector
KR101166490B1 (ko) * 2010-03-09 2012-07-19 유인성 골프클럽용 스윙연습기를 이용한 학습용 스윙정보 제공시스템
US7883428B1 (en) * 2010-04-27 2011-02-08 Callaway Golf Company Shot tracking
JP5667390B2 (ja) * 2010-07-30 2015-02-12 エムアールシーコンポジット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センサシステム
US9622361B2 (en) * 2010-08-26 2017-04-11 Blast Motion Inc. Enclosure and mount for motion capture element
US9033810B2 (en) * 2010-08-26 2015-05-19 Blast Motion Inc. Motion capture element mount
US8840483B1 (en) * 2010-09-24 2014-09-23 Kinetek Sports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a swing of a piece of athletic equipment
US8715096B2 (en) * 2011-05-19 2014-05-06 Michael Robert CHERBINI Golf swing analyzer and analysis methods
JP5761505B2 (ja) * 2011-06-09 2015-08-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イング分析装置、スイング分析システム、スイング分析方法、スイング分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696450B2 (en) * 2011-07-27 2014-04-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for analyzing and providing feedback for improved power generation in a golf swing
CN202410082U (zh) * 2012-01-11 2012-09-05 幻音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具有该终端的高尔夫挥杆信息分析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687A (ko) * 2016-06-08 2017-12-18 주식회사 티틀테크 골프 클럽 종류를 자동적으로 인식하는 골프 스윙 분석기
KR20190111304A (ko) * 2018-03-22 2019-10-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술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KR102179420B1 (ko) * 2019-09-30 2020-11-18 (주)바인테크 골프장 골프코스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206B1 (ko) 2015-06-30
JP2015502831A (ja) 2015-01-29
WO2014092213A1 (en) 2014-06-19
CN103987429A (zh) 2014-08-13
US20140213382A1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206B1 (ko)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1077343B2 (en) Monitoring device for a piece of sports equipment
US9409073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9375624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10456650B2 (en) Bat for golf swing practice
US8715096B2 (en) Golf swing analyzer and analysis methods
US8956238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84195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delivery of game balls based on player-specific performance data analysis
US9433845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9409076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060029916A1 (en) Golf putter for, system and method of training a golf player
US9433844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150105173A1 (en) Golf ball and caddie system
JP2016529945A (ja) ゴルフ用データの収集システム
JP6097386B2 (ja) 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1515428B1 (ko) 스윙 분석 센서가 내장된 골프 그립 및 이를 이용한 스윙 분석 시스템
KR20150029094A (ko) 골프 스윙 분석 장치
KR101570007B1 (ko) 스윙 연습 장치
KR102452594B1 (ko) 스윙 정보를 표시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JP7058435B1 (ja) 9軸センサ内蔵型ゴルフクラブ及びそれを用いたスイング評価システム
JP2018089145A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用バ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