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825A -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 Google Patents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825A
KR20200124825A KR1020190048128A KR20190048128A KR20200124825A KR 20200124825 A KR20200124825 A KR 20200124825A KR 1020190048128 A KR1020190048128 A KR 1020190048128A KR 20190048128 A KR20190048128 A KR 20190048128A KR 20200124825 A KR20200124825 A KR 20200124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olf
force
swing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규
정문현
Original Assignee
김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규 filed Critical 김덕규
Priority to KR102019004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4825A/ko
Publication of KR2020012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2024/0003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63B2060/464Mean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the pressure on the grip
    • A63B2071/0619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은, 골프 선수의 정확하고 일관된 스윙 자세교정을 위해 골프그립을 잡는 선수의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을 각각 측정하고 개별적으로 표시하여 선수로 하여금 자신의 스윙을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고, 선수의 골프 스윙 시의 궤적도 감지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선수가 스윙궤적별로에 변화되는 악력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A golf grip that is displaying grasping power of golfer}
본 발명은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그립을 잡는 선수의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악력을 개별적으로 표시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선수로 하여금 스윙 자세의 부정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시, 스윙 궤적별 스윙 연습을 하는 선수의 악력 의 변화와 표준 악력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스윙 궤적별 스윙 자세의 부정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체육 분야는 21세기 들어 경제적 발전과 주5일근무제의 확대로 인해 엘리트 체육에서 생활체육으로 변화되고 있는데, 소수의 전문 운동선수를 중심으로 하는 엘리트 체육에 비해 생활체육은 일반인들이 건강과 건전한 여가 활동, 친목 도모 등의 목적으로 부담없이 운동을 즐기기 위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어 전국적으로 많은 운동 동호회들이 활동하고 있다.
한편, 골프는 우리나라에서 급속히 대중화되고 있는 운동 중의 하나로서, 과거에 활동했던 최경주, 박세리 선수부터 최근에 활동 중인 박인비 선수까지 세계적으로 우수한 선수들을 많이 배출한 우리나라답게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필드라 불리는 경기장 위에서 선수가 정지중인 골프공을 클럽이라 불리는 골프채로 타격하여 정해진 홀에 투입할 때까지 소요된 타수로 우열을 겨루는 경기로서, 필드에서 가장 공을 적게 친 선수가 승리하는 운동 경기이다.
특히, 골프는 일순간의 타격이 공의 방향과 비거리를 결정하기 때문에 선수의 집중력 및 타격의 정확도와 함께 든든한 체력이 승패를 좌우하며, 타격의 정확도는 선수의 골프 스윙 동작에 의해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바른 자세에서 정확한 타격을 해야만 원하는 정확도 및 비거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선수들은 정확한 골프 스윙 동작을 몸에 익히기 위해 골프 경기를 보며 프로 선수들의 동작을 관찰하거나 골프 교습 방송 등을 시청하면서 정보를 얻기도 하지만, 이론적인 학습만으로는 골프 실력 상승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골프에 처음 입문하는 초급자는 골프 코치에게 정확한 스윙을 직접 지도받을 필요가 있으며, 숙련된 선수라 할지라도 이미 익힌 스윙을 토대로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공을 타격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훈련을 해야 한다.
하지만, 부정확한 골프 스윙 동작을 익힌 경우에는 선수 스스로 인지하여 자세를 교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골프를 처음 입문하는 초급자들에게 손쉽게 자신의 스윙 자세를 교정하고 바로잡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428호 스윙 분석 센서가 내장된 골프그립 및 이를 이용한 스윙 분석 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2206호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1889호 골프그립용 센서모듈과 스마트 골프그립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골프그립을 잡는 선수의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악력을 개별적으로 표시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선수로 하여금 자신의 스윙자세의 부정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시, 스윙 궤적별 스윙 연습을 하는 선수의 악력 의 변화와 표준 악력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스윙 궤적별 자신의 스윙자세의 부정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은,
골프채 손잡이 부분에 삽입 방식으로 착탈 되고, 골프채 손잡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본체(100)와;
상기 그립본체(100) 일측에 형성되어, 골프 스윙 시 그립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악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0)로 제공하는 악력센서부(200)와;
상기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악력센서부(200)가 감지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와;
상기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악력센서부(200)가 제공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골프그립을 잡는 선수의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악력을 개별적으로 표시하여 스윙 연습을 하는 선수로 하여금 자신의 스윙이 정확한지 부정확한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골프 코치의 도움을 받거나 별도의 측정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선수 스스로 자신의 스윙자세의 정확, 부정확을 파악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프 스윙 시, 스윙 궤적별 스윙 연습을 하는 선수의 악력 의 변화와 표준 악력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선수 스스로 스윙 궤적별 자신의 스윙자세의 정확, 부정확을 파악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골프그립이 적용된 골프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골프그립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골프그립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골프 그립을 잡는 방법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골프그립의 디스플레이부에 측정된 악력이 표시되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의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인 골프그립의 디스플레이부에 측정된 악력이 스윙궤적별로 그래프로 표시되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골프그립의 디스플레이부에 스윙궤적별로 사용자의 악력변화와 표준악력변화가 그래프로 비교 표시되는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이하 '골프그립')은 정확하고 일관된 골프 스윙자세 교정을 위해 골프그립을 잡는 선수의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을 개별적으로 표시하여 선수로 하여금 골프 스윙 시 그립에 가해지는 악력을 정확히 파악하도록 하는 발명이다.
골프는 골프채의 그립을 제대로 잡는 것부터 시작한다고 말할 만큼 골프채의 그립 파지가 중요한다.
그립을 잡기 위해 선수는 양손을 사용하지만 왼손과 오른손에서 사용하는 악력(握力 : grip strength)은 각각 다르며, 도 4에는 오른손잡이의 경우 그립을 잡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왼손잡이의 경우는 도 4와는 반대(왼손이 오른손 위로 가게)로 그립을 잡는다.
즉, 그립을 파지할 때 악력은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손이 주손이 되고(왼손이 오른손보다 더 큰 악력으로 그립 파지) 오른손이 보조손(오른손이 왼손보다 더 작은 악력으로 그립 파지)이 된 상태로 스윙해야 자신이 원하는 방향과 비거리로 골프공이 날아가게 된다. 물론 왼손잡이의 경우는 상기와 반대로 그립을 파지한다.
한편, 그립을 잡는데 사용하는 악력이 일정하지 않으면, 선수 자신의 스윙자세도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게 되므로 경기력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실력 향상도 한계에 도달한다.
또한, 부정확한 그립 파지에 의한 부정확한 골프 스윙 동작을 익힌 경우에는 선수 스스로 인지하여 자세를 교정하기 어렵고, 골프 코치에게 지도를 받는 경우에는 교육비가 소비되고 교정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종래의 동작 교정을 위한 측정 장비는 영상 촬영을 통한 방식인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가급적 처음부터 정확하고 일관된 스윙자세를 습득하여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프그립(10)은 사용자가 그립 파지 시, 왼손과 오른손의 악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 코치의 도움을 받거나 별도의 측정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올바르고 정확한 스윙 자세를 습득하거나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은,
골프채 손잡이 부분에 삽입 방식으로 착탈 되고, 골프채 손잡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본체(100)와;
상기 그립본체(100) 일측에 형성되어, 골프 스윙 시 그립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악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0)로 제공하는 악력센서부(200)와;
상기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악력센서부(200)가 감지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와;
상기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악력센서부(200)가 제공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골프 채(골프 클럽)은 샤프트(30), 헤드(40)로 구성되며, 샤프트(30)의 손잡이 부분에 소모성인 고무 재질의 그립이 착탈식으로 끼워져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샤프트(30)의 손잡이 부분에 착탈식으로 끼워져 사용되는 골프그립(10)에 관한 것으로, 그립본체(100), 악력센서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제어부(4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립본체(100)는 골프채 손잡이 부분에 삽입 방식으로 착탈 되고, 골프채 손잡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그립본체(100)에 적용되는 재질은 사용자가 잡는 느낌이 좋으면서 가볍고 내구성이 있는 재질이 적용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합성고무, 엘라스토머, 천연고무, EVA발포성형(크록스) 재질 중에 어느 한 가지 이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3을 참조하면, 상기 악력센서부(200)는 그립본체(100) 일측에 형성되어, 골프 스윙 시 그립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을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악력센서(210)와 제2악력센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그립 잡는 방법1과 그립 잡는 방법2와 같이, 선수마다 골프그립을 잡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잡는 방법에 대응하여 양손의 악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악력센서부(200)는 그립본체(100) 일측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악력센서(210)와 제2악력센서(220)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분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악력센서(210)는 그립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왼손(오른손잡이 경우)이나 오른손(왼손잡이 경우) 파지 악력을 측정하고, 상기 제2악력센서(220)는 그립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오른손(오른손잡이 경우)이나 왼손(왼손잡이 경우)의 파지 악력을 각각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악력센서부(200)를 구성하는 제1악력센서(210)와 제2악력센서(220)는 공진형 압력센서, 필름형 압력센서, 압전형 압력센서(piezo sensor), 스트레인게이지형 압력센서, 정전용량형 압력센서 중에 어느 한 가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악력센서부(200)가 감지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구성으로, 제1디스플레이(310)와 제2디스플레이(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310)는 제1악력센서(210)에서 측정한 악력의 크기가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320)는 제2악력센서(220)에서 측정한 악력의 크기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310)에는 제1악력센서(210)에서 측정한 악력인 '33.4kg'이 표시되고, 제2디스플레이(320)에는 제2악력센서(220)에서 측정한 악력의 크기인 '41.1kg'이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측정한 악력의 크기 표시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지만 아날로그 방식(아날로그 바(bar))으로도 표시할 수 있다.
올바른 스윙을 위한 양손의 그립에 대한 파지 악력은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손이 주손이 되어야(왼손이 오른손보다 더 큰 악력으로 그립 파지)하고, 오른손이 보조손(오른손이 왼손보다 더 작은 악력으로 그립 파지)이 되어야 하며, 왼손잡이의 경우는 상기와 반대의 경우가 된다.
또한, 올바른 스윙을 위해서는 주손(오른손잡이 경우는 왼손, 왼손잡이 경우는 오른손)이 보조손(오른손잡이 경우는 오른손, 왼손잡이 경우는 왼손)보다 큰 크기의 악력으로 그립을 파지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윙 시, 제1디스플레이(310)와 제1악력센서(210)에 표시되는 각 손의 악력 크기를 비교하여 자신의 스윙이 올바른 악력에 의한 스윙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악력센서부(200)가 제공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악력표시 제어모듈(410), 전원모듈(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악력표시 제어모듈(410)은 악력센서부(200)의 제1악력센서(210)와 제2악력센서(2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이 디스플레이부(300)의 제1디스플레이(310)와 제2디스플레이(320)에 각각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원모듈(420)은 각 구성들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며, 배터리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골프그립(10)은 선수가 더 정확한 골프 스윙 동작을 몸에 익힐 수 있거나 교정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골프 스윙 시 스윙 궤적을 감지하는 스윙궤적감지센서(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2와 같이, 상기 스윙궤적감지센서(500)는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 경우, 제어부(400)는 스윙궤적별 악력표시모듈(4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윙궤적감지센서(500)는 사용자의 골프 스윙 시 스윙 궤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00)의 스윙궤적별 악력표시모듈(430)은 스윙궤적감지센서(500)가 감지한 스윙 궤적에 대한 정보와 악력센서부(200)가 감지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변화에 대한 악력변화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력변화정보가 그래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7에는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변화에 대한 악력변화정보가 그래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그래프에서 1은 스윙을 위해 골프 클럽을 들어 올린 시점을 의미하고, 2는 스윙 중 골프공에 골프헤드가 임팩트 되는 시점을 의미하고, 3은 스윙이 종료된 시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궤적별 악력비교모듈(4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윙궤적별 악력비교모듈(440)은 스윙궤적별 악력표시모듈(430)이 생성한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변화에 대한 악력변화정보와 사전 저장된 표준 악력변화정보를 이용하여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악력변화와 표준 악력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악력비교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력비교정보가 그래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8에는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악력변화와 표준 악력변화를 비교할 수 있는 악력비교정보가 그래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그래프에서 1은 스윙을 위해 골프 클럽을 들어 올린 시점을 의미하고, 2는 스윙 중 골프공에 골프헤드가 임팩트 되는 시점을 의미하고, 3은 스윙이 종료된 시점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의 스윙궤적별 악력비교모듈(440)에는 스윙 궤적별 표준 악력변화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스윙궤적별 악력비교모듈(440)은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악력변화와 표준 악력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악력비교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악력비교정보가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될 때,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변화에 대한 악력변화정보와 표준 악력변화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각각 색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는 악력변화정보와 악력비교정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악력이 스윙 궤적별로 어떻게 변화되는 것과 자신의 악력이 스윙 궤적별로 표준 악력변화정보에 비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골프 스윙에 필요한 그립 파지 악력을 몸에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골프채
10 : 골프그립
30 : 샤프트
40 : 헤드
100 : 그립본체
200 : 악력센서부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제어부
500 : 스윙궤적감지센서

Claims (4)

  1. 골프 스윙 자세 교정을 위한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에 있어서,
    골프채 손잡이 부분에 삽입 방식으로 착탈 되고, 골프채 손잡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하는 그립본체(100)와;
    상기 그립본체(100) 일측에 형성되어, 골프 스윙 시 그립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악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400)로 제공하는 악력센서부(200)와;
    상기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악력센서부(200)가 감지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와;
    상기 그립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악력센서부(200)가 제공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이 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력센서부(200)는,
    그립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양손 중 어느 한손의 악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악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1악력센서(210)와,
    그립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양손 중 또 다른 한손의 악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악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2악력센서(22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제1악력센서(210)에서 측정한 악력의 크기가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310)와,
    제2악력센서(220)에서 측정한 악력의 크기가 표시되는 제2디스플레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본체(100)는 스윙궤적감지센서(5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스윙궤적감지센서(500)는 사용자의 골프 스윙 시 스윙 궤적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스윙궤적감지센서(500)가 감지한 스윙 궤적에 대한 정보와 악력센서부(200)가 감지한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변화에 대한 악력변화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력변화정보가 디스플레이부(300)에 그래프 기반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에는 스윙 궤적별 표준 악력변화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부(400)는 생성된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파지 악력의 변화에 대한 악력변화정보와 저장된 표준 악력변화정보를 이용하여 스윙 궤적별 사용자 양손의 악력변화와 표준 악력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악력비교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악력비교정보가 디스플레이부(300)에 그래프 기반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KR1020190048128A 2019-04-25 2019-04-25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KR20200124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128A KR20200124825A (ko) 2019-04-25 2019-04-25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128A KR20200124825A (ko) 2019-04-25 2019-04-25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25A true KR20200124825A (ko) 2020-11-04

Family

ID=7357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128A KR20200124825A (ko) 2019-04-25 2019-04-25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48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323B1 (ko) * 2021-02-26 2021-12-08 조에디 골프 그립 압력 분석을 기반으로 한 골프 연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골프 연습 도구
KR102555583B1 (ko) * 2022-11-21 2023-07-18 에스지랩 주식회사 골프채 그립에서 압력을 탐지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골프 연습 장치
WO2024016722A1 (zh) * 2022-07-22 2024-01-25 魏杰 一种可显示击球前蓄力值的高尔夫推杆握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428B1 (ko) 2014-06-10 2015-05-04 주식회사 두성기술 스윙 분석 센서가 내장된 골프 그립 및 이를 이용한 스윙 분석 시스템
KR101532206B1 (ko) 2012-12-11 2015-06-30 주식회사 두성기술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61889A (ko) 2016-11-30 2018-06-08 (주)누리아이 골프 그립용 센서모듈과 스마트 골프 그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206B1 (ko) 2012-12-11 2015-06-30 주식회사 두성기술 클럽 부착형 골프 스윙 실시간 분석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515428B1 (ko) 2014-06-10 2015-05-04 주식회사 두성기술 스윙 분석 센서가 내장된 골프 그립 및 이를 이용한 스윙 분석 시스템
KR20180061889A (ko) 2016-11-30 2018-06-08 (주)누리아이 골프 그립용 센서모듈과 스마트 골프 그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323B1 (ko) * 2021-02-26 2021-12-08 조에디 골프 그립 압력 분석을 기반으로 한 골프 연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골프 연습 도구
WO2024016722A1 (zh) * 2022-07-22 2024-01-25 魏杰 一种可显示击球前蓄力值的高尔夫推杆握把
KR102555583B1 (ko) * 2022-11-21 2023-07-18 에스지랩 주식회사 골프채 그립에서 압력을 탐지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골프 연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6034B2 (en) Grip pressure detector assembly
US20060247070A1 (en) Swing position recognition and reinforcement
KR20200124825A (ko) 악력의 세기가 표시되는 골프그립
KR101166490B1 (ko) 골프클럽용 스윙연습기를 이용한 학습용 스윙정보 제공시스템
JP2008512165A (ja) ゴルフトレーニング装置
CN103987429A (zh) 用于实时分析高尔夫球杆上的高尔夫挥杆动作的系统和操作方法
US5524892A (en) Dual purpose golf training device
US9555303B1 (en) Golf swing lag training system
US20090181787A1 (en) Golf putting training system
KR102019760B1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US20190255401A1 (en) Putting training device
US7104897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20160236064A1 (en) Golf glove
US20170326427A1 (en) Golf swing teaching device
US8012033B2 (en) Golf swing trainer apparatus and method
KR102452594B1 (ko) 스윙 정보를 표시하는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KR102435892B1 (ko) 골프 스윙 정타 강도 체킹 연습장치
KR102259688B1 (ko) 스윙 연습 기기
KR20230097940A (ko) 골프 스윙 카운터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311966Y1 (ko) 골프 타점 확인장치
US20240115922A1 (en) Indoor and outdoor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and system
CN202892852U (zh) 一种高尔夫挥杆定位指示装置
KR100885258B1 (ko) 골프매트
US200802340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aching golf
AU2004100018A4 (en) Golf putting train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