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188A -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188A
KR20140089188A KR1020130001116A KR20130001116A KR20140089188A KR 20140089188 A KR20140089188 A KR 20140089188A KR 1020130001116 A KR1020130001116 A KR 1020130001116A KR 20130001116 A KR20130001116 A KR 20130001116A KR 20140089188 A KR20140089188 A KR 20140089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image
unit
voice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816B1 (ko
Inventor
강봉협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8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6Discriminating between target movement or movement in an area of interest and other non-signicative movements, e.g. target movements induced by camera shake or movements of pets, falling leaves, rotating f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72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sonic detecting means, e.g. a microphone operating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어떠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해당 물체가 침입자인지 또는 애완용 동물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침입자인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고, 애완용 동물인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는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보 제공 장치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패턴 및 입력된 음성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음성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 여부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어떠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해당 물체가 침입자인지 또는 애완용 동물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침입자인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고, 애완용 동물인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는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은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영상을 전송하는 텔레비전 방식을 의미하는데, 영상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수신 대상 이외는 임의로 수신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라고 한다.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기본적으로 촬상장치, 전송장치 및 표시장치의 3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최근엔 여기에 기록장치를 부가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의 분야는 감시 대상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하 결합 소자(CCD) 또는 시모스(CMOS) 카메라와, 복수의 카메라 신호를 임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영상 신호 전환기(Matrix Switcher)류, 4대의 컬러 카메라 신호를 한 대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컬러 4화면 분할기(Quadratic Displayer) 등이 일반적인 제품군이다. 또한, 설치 시에도 자립(Stand Alone)형으로 빌딩 감시, 공장 외곽 감시, 주차장 감시 등의 감시 제어 등과 같은 용도로 이용되어 오고 있다.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카메라라고 불리는데, 폐쇄회로 카메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하 결합 소자 또는 시모스와 같은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로 입력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케이블을 이용하여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폐쇄회로 카메라가 방범 및 감시 등의 목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에 사용될 경우, 카메라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상호 보완을 통한 성능 향상을 위해 센서, 경보 장치 및 저장 장치 등과 연동하여 운용된다.
여기서, 방범 및 감시의 목적은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는 외부인의 침입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고, 둘째는 외부인의 신원을 확인하여, 외부인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폐쇄회로 카메라는 실내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폐쇄회로 카메라를 동작시켜 외부인의 침입 여부 및 외부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폐쇄회로 카메라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어떠한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지하고 경보 장치가 동작하게 되는데, 만일 애완용 동물이 실내에 있는 경우 이를 외부인으로 오인하여 경보 장치가 동작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보 시스템은 애완용 동물과 외부인을 구별하지 않고 단순히 어떠한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경보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경보 시스템의 오동작으로 판단되어 불필요한 경비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애완용 동물과 외부인을 구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 어떠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해당 물체가 침입자인지 또는 애완용 동물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침입자인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고, 애완용 동물인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보 제공 장치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패턴 및 입력된 음성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음성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 여부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보 제공 방법은 피사체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패턴 및 입력된 음성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음성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 여부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실내에서 어떠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영상 분석을 통해 해당 물체가 침입자인지 또는 애완용 동물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침입자인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고, 애완용 동물인 경우 비상 경보를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보안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높이가 감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움직임 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보안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카메라, 정보 관리 장치(120) 및 피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10)는 사전에 설정된 공간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정보 관리 장치(120)는 카메라(110)에 대한 제어 및 (110)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을 분석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110)에 의하여 촬영되는 장소는 실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경보를 출력할 수도 있는데, 피사체의 움직임 감지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움직임 감지를 위한 별도의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을 통해 감시되는 구역(이하, 보안 영역이라 한다)(300)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모드로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데, 경보 모드로 전환된 경우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외부인(101)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움직임 감지를 수행하게 된다.
즉, 외부인(101)이 침입하는 경우 이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그 결과에 따라 경보 음향을 출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침입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기르고 있던 애완용 동물(102)을 보안 영역(300)에 방치한 채로 해당 장소를 벗어나면서 경보 모드로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을 외부인(101)의 움직임으로 오인하여 경보 음향을 출력하거나 사용자에게 침입 사실을 통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외부인(101)과 애완용 동물(102)을 구별하여 경보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외부인(101)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는 경보를 출력하지만,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는 경보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외부인(101)과 애완용 동물(102)을 구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수단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외부인(101)과 애완용 동물(102)을 구별할 수도 있다. 외부인(101)과 애완용 동물(102)을 구별하는 자세한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정보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보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입력부(210), 분석부(220), 센서부(230), 저장부(240), 제어부(250), 녹화부(260), 출력부(270) 및 통신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보안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카메라(110) 및 정보 관리 장치(120)의 역할은 보안 정보 제공 장치(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보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전술한 각 요소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가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정보 제공 장치(200)와 입력부(21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보안 정보 제공 장치(200)와 입력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입력부(210)는 보안 영역(300)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210)는 영상 입력부(211) 및 음성 입력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21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카메라(110)가 영상 입력부(21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 입력부(211)에 구비된 영상 센서(미도시)는 물체에 대한 빛을 입력받아 이에 대한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영상 입력부(211)의 영상 센서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것으로서, 영상 신호을 입력 받기 위하여 영상 센서에는 촬상 소자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촬상 소자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센서는 입력된 영상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일정량만큼 증폭시킴으로써 이후 단계에서의 영상 신호 처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변환 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증폭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음성 입력부(212)는 주변의 음성을 입력받아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음성 입력부(212)는 음향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음성 입력부(21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2)는 음압을 이용하여 전기 저항을 변화시키는 전기 저항 변화형, 피에조 효과에 따라 음압을 이용하여 전압을 변화시키는 압전형, 얇은 금속박의 진동에 따라 전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자기를 변화시키는 자기 변화형, 원통형 자석의 둘레에 가동 코일을 놓고 이 코일을 진동판으로 동작시켜 코일에 발생하는 전류를 이용한 다이나믹형 및 금속박으로 만든 진동판을 고정 전극과 마주시켜 콘덴서를 형성하고, 소리에 의해 진동판이 움직이면서 콘덴서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정전 용량형 방식을 통하여 음성 신호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분석부(220)는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움직임 패턴 및 입력된 음성에 포함된 피사체의 음성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분석부(220)는 영상 분석부(221) 및 음성 분석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 또는 강아지와 같은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은 사람(101)의 움직임보다 빠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영상 분석부(221)는 만일 그 움직임의 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 움직임 속도보다 빠른 경우 해당 피사체를 애완용 동물(102)로 판단하고, 그 움직임의 속도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 움직임 속도보다 느린 경우 해당 피사체를 사람(101)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뱀 또는 악어와 같은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은 사람(101)의 움직임보다 느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영상 분석부(221)는 피사체의 움직임 속도와 임계 움직임 속도를 비교하여 사람(101) 또는 동물(102)임을 판단함에 있어서 전술한 경우와 반대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움직임 속도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자신의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적절한 임계 움직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임계 움직임 속도의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 속도에 대한 범위 또는 사람(101)의 움직임 속도에 대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만일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 속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람(101)으로 판단될 수 있고, 사람(101)의 움직임 속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애완용 동물(102)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 분석부(221)는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의 특징을 분석하여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의 특징으로는 전체적인 외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얼굴 모양, 꼬리 유무, 날개 유무 및 팔 다리의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동물(102)의 얼굴과 사람(101)의 얼굴은 그 형태가 매우 상이한데 이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꼬리 유무, 날개 유무 및 팔 다리의 위치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상 분석부(221)는 영상 내에서 피사체의 특징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영상 분석부(221)는 하나의 특징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석부(220)는 음성 분석부(222)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음성 분석부(222)는 발생된 음성을 분석하여 음성을 발생시킨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음성 분석부(222)에 의하여 분석되는 음성은 사람(101)의 목소리 및 동물(102)의 울음 소리뿐만 아니라 음성 입력부(212)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반적인 음성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음성 분석부(222)는 걸음 소리, 물체와 부딪히는 소리, 물체를 조작하는 소리 등 모든 소리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만일 발생된 음성이 서랍을 여는 소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이는 피사체가 사람(101)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분석부(220)는 보안 영역(300) 중 사전 설정 영역에서의 움직임, 피사체의 높이 및 피사체의 움직임 궤적을 참조하여 해당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부(230)는 초음파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입력부(211)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뿐만 아니라 센서부(230)에 의한 감지 결과가 참조되어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저장부(2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임계 움직임 속도(또는 범위), 입력부(210)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 또는 음성 및 센서부(230)에 의하여 감지된 감지 결과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임계 높이(또는 범위)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녹화부(260)는 입력부(210)에 의하여 입력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녹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녹화부(260)에 의한 녹화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녹화부(260)는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항상 녹화를 수행할 수 있고, 피사체의 종류(사람 또는 동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녹화를 수행할 수 있고, 특정 시간 구간 동안 무조건 녹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시간 구간 동안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녹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280)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전에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별도의 경보 메시지를 사전에 설정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한 상태에 외부인(101)의 침입이 감지된 경우, 통신부(280)는 영상, 음성 및 경보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출력부(270)는 분석부(220)에 의한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 여부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피사체가 사람(101)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력부(270)는 경보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경보는 영상일 수 있으며 음성일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270)는 입력부(210)가 입력받은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부(270)의 출력 결과를 참조하여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영상, 음성 및 경보를 출력하기 위하여 출력부(270)는 영상 출력부(271), 음성 출력부(272) 및 경보 출력부(273)를 구비할 수 있는데, 출력부(270)는 보안 정보 제공 장치(2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출력부(270)에 의한 출력 여부는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드는 일반 모드와 경보 모드로 구분되는데, 일반 모드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300)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대한 모드로서 이러한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 감지가 수행되지 않거나 움직임이 감지되더라도 경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경보 모드는 사용자가 보안 영역(300)을 벗어난 경우에 대한 모드로서 이러한 경우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움직임이 사람(101)의 움직임이면 경보가 발생한다.
모드 전환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행되는데, 사용자는 외출하기 전에 모드를 경보 모드로 전환하고 복귀하면 일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모드 전환을 위하여 보안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별도의 모드 전환 입력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10), 분석부(220), 센서부(230), 저장부(240), 녹화부(260), 출력부(270) 및 통신부(28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동 영역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사람(101) 또는 애완용 동물(102)에 의한 움직임이 발생할 것으로 사전에 설정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의 보안 영역(300)에는 금품 등이 보관되어 있어서 외부인(101)에 의한 관심을 받는 영역(이하, 제 1 활동 영역이라 한다)(310)이 있을 수 있고, 애완용 동물(102)을 위한 놀이 시설이 설치되어 있어서 애완용 동물(102)에 의한 관심을 받는 영역(이하, 제 2 활동 영역이라 한다)(320)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경보 모드인 상태에서 제 1 활동 영역(310)에서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이는 사람(101)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제 2 활동 영역(320)에서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이는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보안 영역(300)은 제 1 활동 영역(310)만이 설정되거나 제 2 활동 영역(320)만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활동 영역(310)만을 설정한 상태에서 제 1 활동 영역(310)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는 사람(101)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나머지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는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제 2 활동 영역(320)만을 설정한 상태에서 제 2 활동 영역(320)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는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나머지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는 사람(101)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보안 영역(300)은 제 1 활동 영역(310) 및 제 2 활동 영역(320) 모두가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활동 영역(310)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는 사람(101)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제 2 활동 영역(320)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는 애완용 동물(102)의 움직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나머지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는 사람(101) 또는 애완용 동물(102)의 판단에 있어서 활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3은 하나의 제 1 활동 영역(310) 및 하나의 제 2 활동 영역(32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 개의 제 1 활동 영역 및 복수 개의 제 2 활동 영역이 보안 영역(300)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높이가 감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피사체의 높이(410, 420)는 영상 입력부(211)에 의하여 생성된 영상을 통하여 감지될 수 있으나, 센서부(230)에 의하여 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230)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조사하고,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높이(410, 420)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230)에 의하여 감지된 피사체의 높이(410, 420)에 따라 사람(101) 또는 동물(102)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의 높이(410)가 임계 높이(미도시)보다 작은 경우 이는 동물(102)인 것으로 판단되고, 피사체의 높이(420)가 임계 높이보다 큰 경우 이는 사람(101)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임계 높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데, 사용자는 임계 높이의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애완용 동물(102)의 높이에 대한 범위 또는 사람(101)의 높이에 대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만일 애완용 동물(102)의 높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람(101)으로 판단될 수 있고, 사람(101)의 높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애완용 동물(102)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의 움직임 궤적(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람(101)과 동물(102)의 움직임 궤적은 상이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람(101)이 이동함에 따라 형성되는 궤적과 동물(102)이 이동함에 따라 형성되는 궤적은 그 패턴이 서로 상이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보안 영역(300)에 어떠한 물체가 있고 그 물체와 피사체가 겹쳐진다면 해당 피사체는 동물(102)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물체가 피사체가 겹쳐졌다는 것은 피사체가 물체 위로 올라가거나 물체 아래로 기어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사람(101)은 물체의 위로 올라가거나 아래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움직임 궤적의 패턴이 참조되어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우 작은 구간 사이를 수 차례 왕복하는 패턴이 형성되거나, 매우 불규칙한 작은 이동 패턴이 형성된다면 이는 동물(102)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는데, 하나의 방식만이 고려되어 피사체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방식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피사체에 대한 판단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활동 영역(310) 또는 제 2 활동 영역(320)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해당 활동 영역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 판단되고, 나머지 영역에서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피사체의 특징, 높이 및 움직임 궤적 중 적어도 하나가 고려되어 피사체가 사람(101)인지 동물(102)인지 판단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방식이 고려되는 경우 각 방식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용자에게 보안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외출한 사용자가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외부인 침입에 대한 경보를 전달받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610)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특정 장소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단말기일 수도 있다.
통신부(280)가 접속하는 네트워크(60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와 같은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더넷(Ethernet), 공중 교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무선 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WiBro(Wireless Broadband) 등의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통신망일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80)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및 음성뿐만 아니라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을 사용자의 단말기(61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인(101)이 침입한 경우 녹화부(260)는 이를 녹화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단말기(610)는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외부인(101)이 침입한 경우 통신부(280)가 경보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기(610)로 송신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610)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접속하고 저장부(240)에 녹화된 영상 및 음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10: 입력부 220: 분석부
230: 센서부 240: 저장부
250: 제어부 260: 녹화부
270: 출력부 280: 통신부

Claims (3)

  1. 피사체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패턴 및 입력된 음성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음성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 여부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보안 정보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피사체의 특징을 검출하고 분석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를 판단하는 보안 정보 제공 장치.
  3. 피사체에 대한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패턴 및 입력된 음성에 포함된 상기 피사체의 음성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피사체가 사람인지 동물인지 여부에 따라 경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정보 제공 방법.
KR1020130001116A 2013-01-04 2013-01-04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4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116A KR101840816B1 (ko) 2013-01-04 2013-01-04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116A KR101840816B1 (ko) 2013-01-04 2013-01-04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88A true KR20140089188A (ko) 2014-07-14
KR101840816B1 KR101840816B1 (ko) 2018-03-21

Family

ID=5173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116A KR101840816B1 (ko) 2013-01-04 2013-01-04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90A (ko) * 2014-10-20 2016-04-2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경보 발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4171B2 (ja) * 2002-01-21 2007-06-06 株式会社トーエネック 監視対象物を識別する監視装置
JP4507243B2 (ja) 2004-03-25 2010-07-21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行動分析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7000121A (ja) * 2005-06-27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小動物威嚇装置
JP2012230575A (ja) * 2011-04-27 2012-11-22 Carecom Co Ltd 人体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90A (ko) * 2014-10-20 2016-04-2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경보 발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816B1 (ko)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173B1 (ko) 가정용 홈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854356B1 (en) Configurable motion detection and alerts for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JP5043940B2 (ja) ビデオおよびオーディオ認識を組み合わせたビデオ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301080B2 (ja) 監視システム
US101229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larm
WO2015162645A1 (ja)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システム、及び音声処理方法
EP2636823A1 (en) Enhanced-security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EP284632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on of events
CN104184986A (zh) 一种视频监控方法、装置及系统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JP5636205B2 (ja) 画像記録制御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KR20180093596A (ko) 비명인식 기반 안전감지센서
KR100760209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EP4080467A1 (en) Electric monitoring system using video notification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0816B1 (ko) 보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48195B1 (ko) 영상 보안 시스템
KR101020670B1 (ko) 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JP2005309965A (ja) 宅内セキュリティ装置
KR102319687B1 (ko) 무선 음향 센서들을 채용한 감시 시스템
KR20200049189A (ko) 가전 기기
KR20150136226A (ko)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61946B1 (ko) 실시간 지능형 보안 감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060905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90140516A (ko)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소음, 충격 및 영상 분석을 통한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