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905B1 - 감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905B1
KR101060905B1 KR1020090084498A KR20090084498A KR101060905B1 KR 101060905 B1 KR101060905 B1 KR 101060905B1 KR 1020090084498 A KR1020090084498 A KR 1020090084498A KR 20090084498 A KR20090084498 A KR 20090084498A KR 101060905 B1 KR101060905 B1 KR 101060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us
sensors
camera module
detecte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731A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9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센서를 이용해 감시 영역 내에서 존재하는 자극원의 존재 유무와 방향을 초기에 검출할 수 있으며, 이 자극원의 방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외부의 자극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극의 크기를 검출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를 분석하여 상기 자극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자극원의 위치로 촬영 방향을 변경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을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 중 가장 큰 자극의 크기를 검출한 센서가 자극을 검출한 방향을 상기 자극원의 위치로 판단하며, 상기 자극원은, 소리, 열, 가스 및 냄새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을 방출하는 자극원일 수 있다.
Figure R1020090084498
감시 카메라, 카메라 모듈, 팬/틸트, 줌, 센서, 소리, 냄새, 열, 가스, 자극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시스템{MONITORING CAMERA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해 감시 영역 내에서 존재하는 자극원의 존재 유무와 방향을 초기에 검출할 수 있으며, 이 자극원의 방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안/감시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카메라 시장의 규모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안/감시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카메라의 중요성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보안/감시 네트워크 카메라에서는 흔히 카메라를 장시간 계속하여 동작시키는 게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이용자의 설정을 통해 24시간 이상 혹은 주기적으로 카메라를 동작시켜야 한다. 즉, 장시간 실시간으로 켜져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를 통해 원격지의 이용자는 실시간으로 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게 된다. 또는, 주기적으로 특정 시간 동안만 네트워크 카메라를 동작시켜 원격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보안/감시 네트워크 카메라는 네트워크 및 이메일 통신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원격지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보안 경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현재 보급이 일반화되어 있는 유선 인터넷 망 및 이동 통신망, 이메일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이용자에게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무단 침입 사실을 실시간으로 자동 경보한다. 자동 경보와 함께 보안/감시 대상 장소에 무단 칩입과 같은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녹화하여 카메라에 구비된 로컬 메모리 장치에 저장하거나 네트워크 카메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원하는 때에 저장 내용을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송하여 모니터 혹은 휴대폰과 같은 이동 통신 매체를 통해 원격지에서 발생한 상황을 파악하게 된다. 또한,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카메라는 촬영 내용을 압축/녹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이용자에게 실시간 자동 경보와 함께 이상 상황에 대한 비디오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상 상황의 발생 검출은 흔히 입력 영상으로부터 모션 검출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카메라는 크게 고정형 카메라 방식과 이동형 카메라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종래의 고정형 카메라 방식에서는 주어진 감시 범위 내의 피사체 움직임을 추적/검출하여 모니터링을 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 경우 줌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의 경우에는 대상 피사체를 확대해서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형 카메라의 감시 범위는 대개 광각으로 넓은 범위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감시 범위 외부에서 발생하는 상황은 검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고정형 카메 라 방식은 제한된 범위 내의 영역만을 감시하는 경우로 적용의 범위가 한정되며, 대상 피사체가 움직여서 FOV(Field Of View: 화각) 영역 밖으로 사라지는 경우 더 이상의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이동형 카메라 방식은 팬/틸트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 최초의 감시영역 내에서 피사체가 사라지더라도 팬/틸트 기능을 이용해 피사체를 계속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형 카메라의 경우에도, 첫 촬영시 카메라의 감시영역 내에 이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감시 영역 밖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이상 상황은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이용해 감시 영역 내에서 존재하는 자극원의 존재 유무와 방향을 초기에 검출할 수 있으며, 이 자극원의 방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의 자극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극의 크기를 검출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를 분석하여 상기 자극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자극원의 위치로 촬영 방향을 변경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을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 중 가장 큰 자극의 크기를 검출한 센서가 자극을 검출한 방향을 상기 자극원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용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이 상기 가장 큰 자극의 크기를 검출한 센서가 자극을 검출한 방향이 되도록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생성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생성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팬/틸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이며,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줌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자극원은, 소리, 열, 가스 및 냄새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자극을 방출하는 자극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에 의해서 검출할 수 없는 소리/열/가스/냄새 등 다양한 외부 자극을 검출하고 그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외부 자극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방향성을 갖도록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외부 자극이 발생한 방향을 정확하게 탐지하여 자극을 발생시키는 자극원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외부의 자극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극의 크기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10)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를 분석하여 상기 자극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20) 및 상기 제어부(20)에서 판단된 자극원의 위치로 촬영 방향을 변경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제어부(20)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10)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용 스피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카메라 모듈(40)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50)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생성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70) 및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생성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10)는, 다양한 외부 자극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10)는, 그 응용 분야에 따라 소리/열/가스/냄새 등 여러 종류의 외부 자극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10)는 한 종류의 외부 자극 원에 반응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예를 들 어 화재 발생이 우려되는 지역을 감시하는 경우 열/가스 등을 검출할 수 있는 2 종 이상의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하천 오염 등을 감시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센서(10)는 특정 냄새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복수의 센서(10)에서 검출된 자극의 크기를 분석하여 상기 자극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복수의 센서(10)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를 합산하고 자극의 크기의 합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외부 자극원을 감시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외부 자극원을 감시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10)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 중 가장 큰 자극의 크기를 검출한 센서가 자극을 검출한 방향을 상기 자극원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20)는 복수의 센서(1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자극의 세기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다중 채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21)와, 상기 다중 채널 ADC(22)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10)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를 합산하고 자극의 크기의 합을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 외부 자극원을 감시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수의 센서(10) 중 가장 큰 자극을 검출한 센서를 결정하는 센싱 처리부(22)와, 상기 센싱 처리부(22)에 의해 외부 자극원을 감시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 로 판단된 경우 청각적인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스피커 제어부(24)와, 상기 가장 큰 자극을 검출한 센서가 자극을 검출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40)의 촬영방향을 이동시키기 위해 카메라 모듈(40)의 이동방향 및 이동크기 등을 연산하는 카메라 이동 제어부(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40)은 외부 자극원이 존재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40)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최대 자극을 검출한 센서의 검출 방향이 결정되고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카메라 모듈의 이동량이 결정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40)은 해당 방향과 이동량으로 촬영방향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40)의 이동을 위해 카메라 모듈(40)에 물리적인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구동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40)은 촬영방향의 변경을 위해 카메라 모듈의 중심을 축으로 전방향 회전이 가능한 팬 기능과 상하로 촬영방향을 변경하는 틸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40) 외부 자극원을 확대 촬영할 수 있는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40)의 팬/틸트/줌 기능은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40)과 복수의 센서(10) 및/또는 스피커(80)는 하나의 어셈블리를 형성하여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카메라 모듈 및 복수의 센서를 결합한 어셈블리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40)을 중심축이 고정된 상태에서 360°의 회전이 가능한 팬 기능과 상하로 촬영방향을 방향을 이동할 수 있는 틸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40)의 하부에는 복수의 센서(11-18)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는 8 개의 개별 센서(11-18)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40)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카메라 모듈(40)을 중심으로 360°전 방향의 자극 검출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의 배치 구조는 팬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40)에서 전방향의 자극을 검출하는데 적합한 구조이다. 도 2의 (a) 및 (b)에서 도시된 센서 배치는 센서의 개수나 배치 간격, 배치 형태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40)의 하부에는 청각적인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80)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이 개시되면, 각각의 센서(11-18)에서 자극의 크기(S1-Sn)를 개시한다(S11-S1n). 카메라 시스템의 초기 기동시, 카메라 모듈(40)은 초기 설정된 위치의 촬영을 개시할 수도 있고, 센서(10, 11-18)에 의해 자극이 검출되기 이전에는 카메라 모듈(40)을 영상을 촬영하는 동작을 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각각의 센서에서 검출된 자극의 크기는 제어부(20)에 입력되고, 다중 채널 ADC(21)에 의해 디지털화 된 검출 자극 신호는 센싱 처리부(22)에서 합산 된다(S20). 센싱 처리부(22)는 전체 센서들에서 검출된 자극의 크기(S1-Sn)를 합산한 값과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고(S30), 자극의 크기(S1-Sn)를 합산한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감시가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극의 크기(S1-Sn) 중 가장 큰 최대 자극 크기(Sm)를 검출한 센서를 결정 한다(S40).
이어, 센싱 처리부(22)에서 최대 자극 크기(Sm)을 검출한 것으로 결정된 센서의 검출 방향으로 카메라 모듈(40)을 이동시키기 위한 카메라 모듈(40)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이 카메라 이동 제어부(23)에서 연산된다. 카메라 모듈(40)이 팬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인 경우, 상기 카메라 이동 제어부(23)는 카메라 모듈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연산할 수 있다. 이 카메라 모듈(40)의 이동량 및 이동방향에 따라 카메라 구동부(30)가 카메라 모듈(40)의 촬영방향을 이동시켜 카메라 모듈(S50)이 감시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동시에, 스피커 제어부(24)에서는 음성 경보 신호를 스피커(80)로 출력 하여 스피커(80)에서 청각적인 경보가 발생하게 한다(S6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을 도 4에 도시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외부 자극으로서 소리를 검출하는 경우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구비된 센서들(11-18)은 소리를 검출할 수 있는 마이크로 폰일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동작을 개시하면 각 센서(11-18)들은 각각이 자극을 검출할 수 있는 감시 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자극을 검출한다.
카메라 모듈(40)의 우측에서 침입자에 의한 소리가 외부 자극으로서 발생하면, 각 센서(11-18)는 침입자에 의한 소리를 검출하게 되고, 제어부(20)에 의해 전체 센서(11-18) 검출된 소리의 크기의 합이 사전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 카메라 모듈(40)의 팬기능을 이용하여 최대 크기의 소리가 검출된 방향으로 카메라 모듈(40)의 촬영 방향을 이동시킨다. 상기 센서들(11-18)을 각각이 갖는 감시영역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검출하는데, 도 4에서와 같이 우측에서 침입자가 침입한 경우, 센서(13)의 감시 영역 내에 자극이 가장 많이 존재하게 되므로 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소리의 크기가 가장 크게 되고 제어부는 센서(13)에 의한 검출방향으로 카메라 모듈(40)을 패닝하여 침입자를 촬영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한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에 의해서 검출할 수 없는 소리/열/가스/냄새 등 다양한 외부 자극을 검출하고 그 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자극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방향성을 갖도록 복수개 배치함으로써 외부 자극이 발생한 방향을 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카메라 모듈 및 복수의 센서를 결합한 어셈블리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복수의 센서 20: 제어부
21: 다중 채널 ADC 22: 센싱처리부
23: 팬/틸트 제어부 24: 스피커 제어부
30: 팬/틸트 구동부 40: 카메라 제어부
50: 영상 처리부 60: 영상 저장부
70: 디스플레이 수단(모니터)

Claims (9)

  1. 외부의 자극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자극의 크기를 검출하며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를 분석하여 상기 자극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된 자극원의 위치로 촬영 방향을 변경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을 사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 중 가장 큰 자극의 크기를 검출한 센서가 자극을 검출한 방향을 상기 자극원의 위치로 판단하며,
    상기 자극원은, 소리, 열, 가스 및 냄새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자극을 방출하는 자극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삭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검출된 자극의 크기의 합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용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이 상기 가장 큰 자극의 크기를 검출한 센서가 자극을 검출한 방향이 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생성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생성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신호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촬영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팬/틸트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이며,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9. 삭제
KR1020090084498A 2009-09-08 2009-09-08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060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98A KR101060905B1 (ko) 2009-09-08 2009-09-08 감시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498A KR101060905B1 (ko) 2009-09-08 2009-09-08 감시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31A KR20110026731A (ko) 2011-03-16
KR101060905B1 true KR101060905B1 (ko) 2011-08-30

Family

ID=4393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498A KR101060905B1 (ko) 2009-09-08 2009-09-08 감시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073B1 (ko) * 2012-12-07 2013-09-05 김병철 지능형 동체 추적 카메라 시스템
KR101399020B1 (ko) * 2013-01-24 2014-05-30 김학철 경계선 감시시스템
KR101452342B1 (ko) * 2013-04-04 2014-10-23 주식회사 이오씨 감시카메라 유닛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18B1 (ko) * 2006-01-14 2006-03-13 한국이미지시스템(주) 물체 감시를 위한 듀얼형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318B1 (ko) * 2006-01-14 2006-03-13 한국이미지시스템(주) 물체 감시를 위한 듀얼형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31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0169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RU266736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ывода изображения
KR20120140518A (ko)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67352B1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WO2017161880A1 (zh) 一种区域监控报警系统及报警方法
KR20120002801A (ko) 감시용 카메라와 그에 따른 음원 추적 방법
KR101111493B1 (ko) 지능형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 화재 인식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466004B1 (ko) 지능형 방범, 방재 및 사후처리 통합 트리플렉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6331388A (ja) 防犯システム
KR101060905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09015536A (ja) 不審者通報装置、不審者監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60130535A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0948195B1 (ko) 영상 보안 시스템
KR101524922B1 (ko) 비상 알림을 위한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8186283A (ja) 人体検出装置
CN113891050B (zh) 一种基于视频联网共享的监控设备管理系统
EP4080879A1 (en) Smart security camera system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activity zone and method
KR101028524B1 (ko) 입산 및 수영 금지구역 등의 출입금지 구역을 단속, 경고 및 홍보하는 cctv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07026126A (ja) 監視通知システム
KR100978101B1 (ko) 비상호출 신속 대응을 위한 인터라넷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씨씨티브이 통합 보안 시스템
CA2921670A1 (en) Method of restoring camera position for playing video scenario
KR101445361B1 (ko) 현장 모니터링 장치
KR20020010247A (ko) 다목적 경보 시스템
KR20100018645A (ko) 홈네트워크 솔루션을 탑재한 일체형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