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525A - 편광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525A
KR20140088525A KR1020147010780A KR20147010780A KR20140088525A KR 20140088525 A KR20140088525 A KR 20140088525A KR 1020147010780 A KR1020147010780 A KR 1020147010780A KR 20147010780 A KR20147010780 A KR 20147010780A KR 20140088525 A KR20140088525 A KR 2014008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
adhesive
polarizing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241B1 (ko
Inventor
준 후루카와
아즈사 히로이와
도모 이와타
야스마사 도미나가
히데노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4Velocity, e.g. feed sp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60In a particular environment
    • B32B2309/65Dust free, e.g. clean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continuous webs only
    • B32B37/20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 붕산 처리 및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공정과, 투명 필름의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하여,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이,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면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편광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SING PLAT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을 구성하는 광학 부품의 하나로서 유용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것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요오드를 2색성 색소로 하는 요오드계 편광 필름이나, 2색성 직접 염료를 2색성 색소로 하는 염료계 편광 필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편광 필름은, 통상 그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통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등의 투명 필름을 접합하여 편광판으로 된다.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투명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투명 필름의 표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한 후,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을 한 쌍의 접합 롤 사이에 끼움으로써 접합하고, 이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 경화시키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5925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34190호 공보(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1-95560호 공보(특허문헌 3) 등을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59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341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95560호 공보
편광 필름과,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 필름을 접합한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에 10 내지 50㎛ 전후의 미소 기포가 혼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기포는, 접합 롤을 회전하면서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을 끼울 때에, 접합 롤의 회전 속도 및 편광 필름 및 투명 필름의 반송 속도에 기인하여, 접합 롤의 바로 앞의,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에 접합 롤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겨, 해당 영역의 압력이 높아지고,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편광 필름과,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 필름을 접합한 편광판으로서,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운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 붕산 처리 및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공정과, 투명 필름의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하여,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이,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면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된 장해물에 의해서,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에서, 필름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송풍 또는 흡인함으로써,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편광 필름과,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가 도포된 투명 필름을 접합한 편광판으로서,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운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흡인 수단(7)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예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예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낸 예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낸 예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1〕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 붕산 처리 및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공정과, 〔2〕 투명 필름의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3〕 상기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하여,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4〕 상기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작하는 공정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3〕의 공정을,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는, 편광 필름(1)의 양면을,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한 투명 필름(2, 3)으로 접합 롤(5a, 5b) 사이에 끼워, 적층체(4)를 제작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접합 롤(5a, 5b)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1)과 상기 투명 필름(2, 3)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장해물(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해물(6)을 설치함으로써, 접합 롤의 바로 앞에서의,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2) 사이의 영역 및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3) 사이의 영역에서의, 접합 롤(5a, 5b)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어지럽힐 수 있어, 상기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접합시에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켜,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 장해물(6)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흐름을 어지럽힐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판 형상물, 막대 형상물 또는 끈 형상물을 접합 롤(5a, 5b)의 바로 앞의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에 개재되도록 설치하면 좋다. 이러한 판 형상물 또는 막대 형상물의 크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필름의 폭 방향(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 전체에 걸쳐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을 어지럽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필름의 폭 방향보다 큰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또는 직경이 0.1 내지 30mm의 범위 내이고, 길이가 600 내지 2500mm의 범위 내인 판 형상물, 막대 형상물 또는 끈 형상물이 예시된다. 또한, 판 형상물, 막대 형상물 또는 끈 형상물은 속이 빈 것, 속이 채워진 것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판 형상물 또는 막대 형상물의 재질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SUS304, SUS316, 알루미늄 등의 금속, 카본파이버, 또는 나일론, 테플론(등록상표), 나아가 PEEK, PES와 같은 액정 중합체(LCP) 등 강직한 수지로 형성된 판 형상물, 막대 형상물 또는 끈 형상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접합 롤(5a, 5b)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2, 3) 사이의 공기를 흡인 수단(7)으로 흡인함으로써, 접합되기 전의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2, 3)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예는, 장해물(6) 대신에 흡인 수단(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도 1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는, 접합 롤(5a, 5b)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필름이 편광 필름(1) 또는 편광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적층체(1')와 투명 필름(2)만이고, 흡인 수단(7)의 구체적인 예가 도시한 바와 같은 흡인 장치(감압 장치)인 것 이외에는 도 2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접합 롤의 바로 앞에서의,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2) 사이의 영역 또는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3) 사이의 영역에서의, 접합 롤(5a, 5b)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흡인 수단(7)을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흡인함으로써 상기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용되는 흡인 수단(7)으로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흡인 장치를 들 수 있고, 이 경우의 장치 내의 감압량(차압)으로서는 0.4k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kPa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kPa이다. 또한, 해당 감압량은 감압 펌프로 감압하여 장치 내의 압력을 차압계로 측정한 값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도, 접합시에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켜,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 이용되는 흡인 수단(7)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공지된 적절한 흡인 수단을 이용하면 되지만, 도 4의 구성의 장치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접합 롤(5)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2, 3)의 사이에 필름 반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바람을 들여보내거나 또는 흡인함으로써, 접합되기 전의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2, 3)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예는, 장해물(6) 대신에 송풍 또는 흡인 수단(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도 1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접합 롤의 바로 앞에서의,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2) 사이의 영역 및 편광 필름(1)과 투명 필름(3) 사이의 영역에서의, 접합 롤(5a, 5b) 사이로 유입되는 필름 반송 방향의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이것과 거의 직교 방향의 바람을 측면으로부터 들여보내거나 또는 흡인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어지럽혀, 상기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도 접합시에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의 사이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켜,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 이용되는 송풍 또는 흡인 수단(8)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종래 공지된 적절한 송풍 또는 흡인 수단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송풍 또는 흡인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한쪽의 측면만으로부터나 양측면으로부터이어도 된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5에는, 편광 필름(1)의 양면에 투명 필름(2, 3)을 접합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도 3과 같이 편광 필름(1) 중 어느 한쪽 면에 투명 필름(2)을 접합하는 구성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편광 필름의 투명 필름과 접합되지 않는 측에는 미리 투명 필름 또는 보호 필름이나 보강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라도 된다.
여기서,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예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예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3에 나타낸 예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5에 나타낸 예를 적용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 전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 전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공정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우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 붕산 처리 및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편광 필름은, 구체적으로는 일축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2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것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트산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그 외에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8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몰%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이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이 편광 필름의 원반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된 적절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원반 필름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0 내지 150㎛ 정도다. 통상, 롤상으로 공급되고, 두께가 20 내지 100㎛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의 범위 내이고, 또한 공업적으로 실용적인 폭이 1500 내지 6000mm의 범위 내이다.
시판되고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비닐론 VF-PS#7500, 쿠라레 제조/OPL 필름 M-7500, 닛본 고우세이 제조)의 원반 두께는 75㎛, (비닐론 VF-PS#6000, 쿠라레 제조, 비닐론 VF-PE#6000, 쿠라레 제조)의 원반 두께는 60㎛ 등이 있다.
편광 필름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2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염색 처리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붕산 처리 공정), 및 이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수세 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또한, 편광 필름의 제조시에,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일축 연신되는데, 이 일축 연신은 염색 처리 공정 전에 행할 수도 있고, 염색 처리 공정 중에 행할 수도 있고, 염색 처리 공정 후에 행할 수도 있다. 일축 연신을 염색 처리 공정 후에 행하는 경우에는, 이 일축 연신은 붕산 처리 공정 전에 행할 수도 있고, 붕산 처리 공정 중에 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복수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은, 주속(周涑)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도록 할 수도 있고, 열 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일 수도 있고, 용제로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일 수도 있다. 연신 배율은 통상 3 내지 8배 정도이다.
염색 처리 공정에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2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2색성 색소로서는, 예를 들면 요오드, 2색성 염료 등이 이용된다. 2색성 염료에는, 예를 들면 시. 아이. 다이렉트 레드(C. I. DIRECT RED) 39 등의 디스아조 화합물을 포함하는 2색성 직접 염료, 트리스아조, 테트라키스아조 등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2색성 직접 염료가 포함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염색 처리 전에 물에 대한 침지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중량부당 0.01 내지 1중량부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중량부당 0.5 내지 20중량부이다.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에 이용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40℃이고, 이 수용액에 대한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20 내지 1800초이다.
한편, 2색성 색소로서 2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수용액 2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 수용액에서의 2색성 염료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중량부당 1×10-4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3 내지 1중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3 내지 1×10- 2중량부이다. 이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보조제로서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2색성 색소로서 2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에 이용하는 염료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80℃이고, 또한 이 수용액에 대한 침지 시간(염색 시간)은 통상 10 내지 1800초이다.
붕산 처리 공정은, 2색성 색소에 의해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붕산의 양은, 물 100중량부당 통상 2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이다. 상술한 염색 처리 공정에서의 2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 붕산 처리 공정에 이용하는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요오드화칼륨의 양은, 물 100중량부당 통상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 대한 침지 시간은, 통상 60 내지 1200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초이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4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이다.
계속되는 수세 처리 공정에서는, 상술한 붕산 처리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예를 들면 물에 침지함으로써 수세 처리한다. 수세 처리에서의 물의 온도는 통상 4 내지 40℃이고, 침지 시간은 통상 1 내지 120초이다. 수세 처리 후에는, 통상 건조 처리가 실시되어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건조 처리는, 예를 들면 열풍 건조기, 원적외선 히터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하여 행해진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다. 건조 처리의 시간은, 통상 60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600초이다.
이렇게 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일축 연신, 2색성 색소에 의한 염색, 붕산 처리 및 수세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이 편광 필름의 두께는, 통상 5 내지 50㎛의 범위 내이다.
〔2〕 투명 필름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
(투명 필름)
본 발명에 이용되는 투명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 해당 분야에서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필름 재료를 들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란,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같은 환상 올레핀(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을 갖는 열가소성의 수지(열가소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라고도 함)이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상기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시클로올레핀을 이용한 개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일 수도 있고,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 등과의 부가 중합체일 수도 있다. 또한, 극성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도 유효하다.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 및/또는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쇄상 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 알킬 치환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에 있어서,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이 50몰% 이하(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몰%)일 수도 있다. 특히, 시클로올레핀과 쇄상 올레핀과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3원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적은 양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3원 공중합체에 있어서, 쇄상 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은 통상 5 내지 80몰%,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유닛은 통상 5 내지 80몰%이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적절한 시판품, 예를 들면 토파스(Topas)(티코나(Ticona)사 제조), 아톤(JSR(주) 제조), 제오노어(ZEONOR)(니혼 제온(주) 제조), 제오넥스(ZEONEX)(니혼 제온(주) 제조), 아펠(미쓰이 가가꾸(주) 제조), 옥시스(OXIS)(오쿠라고교사 제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제막하여 필름으로 할 때는, 용제 캐스팅법, 용융 압출법 등의 공지된 방법이 적절하게 이용된다. 또한, 예를 들면 에스시나(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 SCA40(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 제오노어 필름((주)옵테스 제조) 등의 미리 제막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제의 필름의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된 것일 수도 있다. 연신함으로써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임의의 위상차값을 부여할 수 있다. 연신은, 통상 필름 롤을 권출하면서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가열로에 의해 롤의 진행 방향(필름의 길이 방향), 그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필름의 폭 방향), 또는 그 양쪽으로 연신된다. 가열로의 온도는, 통상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근방에서 유리 전이온도+100℃의 범위가 채용된다. 연신의 배율은, 통상 1.1 내지 6배이고,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3.5배이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롤 권취 상태에 있으면 필름끼리 접착해서 블록킹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통상은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롤 권취가 된다. 또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은 일반적으로 표면 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편광 필름과 접착시키는 표면에는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프레임(화염)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 가능한 플라즈마 처리, 특히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다.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란, 셀룰로오스의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화물로서,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티르산에스테르, 이들의 혼합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필름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필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으로서는, 적절한 시판품, 예를 들면 후지태크 TD80(후지 필름(주) 제조), 후지태크 TD80UF(후지 필름(주) 제조), 후지태크 TD80UZ(후지 필름(주) 제조), KC8UX2M(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 KC8UY(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 후지태크 TD60UL(후지 필름(주) 제조), KC4UYW(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 KC6UAW(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필름으로서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도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위상차 특성이 부여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시판품으로서는, WV BZ 438(후지 필름(주) 제조), KC4FR-1(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 KC4CR-1(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 KC4AR-1(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셀룰로오스는 아세틸셀룰로오스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라고도 불린다.
이들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필름은 흡수하기 쉽고, 편광판의 수분율이 편광판의 단부 늘어짐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편광판 제조시의 수분율은 편광판의 보관 환경, 예를 들면 크린룸의 제조 라인이나 권취 롤 보관 창고에서의 평형 수분율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의 구성에도 의존하는데, 예를 들면 2.0 내지 3.5% 정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이다. 이 편광판의 수분율의 수치는 건조 중량법으로 측정된 것으로, 105℃/120분 후의 중량 변화이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 필름에,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의 기능, 반사 필름으로서의 기능, 반투과 반사 필름으로서의 기능, 확산 필름으로서의 기능,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의 기능 등, 광학적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투명 필름의 표면에,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확산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을 적층함으로써, 이러한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투명 필름 자체에 이러한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휘도 향상 필름의 기능을 가진 확산 필름 등과 같이 복수의 기능을 투명 필름에 갖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투명 필름에, 일본 특허 제2841377호 공보, 일본 특허 제3094113호 공보 등에 기재된 연신 처리를 실시하거나, 일본 특허 제3168850호 공보에 기재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에서의 위상차 특성은, 예를 들면 정면 위상차값이 5 내지 100nm, 두께 방향 위상차값이 40 내지 300nm의 범위 등,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투명 필름에,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69025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9030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미세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또는 선택 반사의 중심 파장이 서로 다른 2층 이상의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중첩함으로써,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한 투명 필름에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으로 금속 박막을 형성하면, 반사 필름 또는 반투과 반사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투명 필름에 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지 용액을 코팅함으로써, 확산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투명 필름에 디스코틱 액정성 화합물 등의 액정성 화합물을 코팅하여 배향시킴으로써,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투명 필름에 위상차를 발현하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적당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종 광학 기능성 필름을 편광 필름에 직접 접합할 수도 있다. 광학 기능성 필름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DBEF(3M사 제조, 일본에서는 스미또모 쓰리엠(주)에서 입수할 수 있음) 등의 휘도 향상 필름, WV 필름(후지 필름(주) 제조) 등의 시야각 개량 필름, 아톤 필름(JSR(주) 제조), 제오노어 필름((주)옵테스 제조), 에스시나(세키스이 가가꾸 고교(주) 제조), VA-TAC(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 스미카라이트(스미또모 가가꾸(주) 제조) 등의 위상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투명 필름의 두께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된다. 한편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적층 후에 필요한 양생 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투명 필름이 적당한 두께는, 예를 들면 5 내지 2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이다.
접착제와 편광 필름 및/또는 투명 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편광 필름 및/또는 투명 필름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필름에는, 방현 처리, 안티 리플렉션 처리, 하드 코팅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방오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필름 및/또는 투명 필름 표면 보호층은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나, 페닐포스페이트계 화합물, 프탈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가소제를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로서는, 내후성이나 굴절률, 양이온 중합성 등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에폭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부터 편광판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유기 용제계 접착제, 핫멜트계 접착제, 무용제형 접착제 등),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등이 채용 가능하다.
에폭시 수지란,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내후성, 굴절률, 양이온 중합성 등의 관점에서, 접착제인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에폭시 수지는 분자 내에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로서, 수소화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소화 에폭시 수지는, 방향족 에폭시 수지의 원료인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촉매의 존재 하에, 가압 하에서 선택적으로 핵수소화 반응하여 얻어지는 핵수소 첨가 폴리히드록시 화합물을 글리시딜에테르화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방향족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비스페놀 S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 에폭시 수지, 및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 에폭시 수지 등의 노볼락형의 에폭시 수지; 테트라히드록시페닐메탄의 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의 글리시딜에테르, 및 에폭시화폴리비닐페놀 등의 다관능형의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소화 에폭시 수지 중에서도 수소화한 비스페놀 A의 글리시딜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지환식 에폭시 수지란, 지환식 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를 분자 내에 1개 이상 갖는 에폭시 수지를 의미한다. 「지환식 환에 결합한 에폭시기」란, 다음의 식에 나타내는 구조에서의 가교 산소 원자 -O-를 의미한다. 다음의 식 중, m은 2 내지 5의 정수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의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 구조에 결합하고 있는 화합물이 지환식 에폭시 수지로 될 수 있다. (CH2)m 중의 1개 또는 복수 개의 수소 원자는 메틸기나 에틸기 등의 직쇄상 알킬기로 적절하게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지환식 에폭시 수지 중에서도, 옥사비시클로헥산환(상기 식에서 m=3인 것)이나 옥사비시클로헵탄환(상기 식에서 m=4인 것)을 갖는 에폭시 수지는,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하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지환식 에폭시 수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데, 이들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다음의 식 (I)로 표시되는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류:
Figure pct00002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냄)
(b) 다음의 식 (II)로 표시되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류:
Figure pct00003
(식 중,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냄)
(c) 다음의 식 (III)으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스테르류:
Figure pct00004
(식 중,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p는 2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냄)
(d) 다음의 식 (IV)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류:
Figure pct00005
(식 중,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2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냄)
(e) 다음의 식 (V)로 표시되는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류:
Figure pct00006
(식 중,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2 내지 20의 정수를 나타냄)
(f) 다음의 식 (VI)으로 표시되는 디에폭시트리스피로 화합물:
Figure pct00007
(식 중, R11 및 R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냄)
(g) 다음의 식 (VII)로 표시되는 디에폭시모노스피로 화합물:
Figure pct00008
(식 중, R13 및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냄)
(h) 다음의 식 (VIII)로 표시되는 비닐시클로헥센디에폭시드류:
Figure pct00009
(식 중, R1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냄)
(i) 다음의 식 (IX)로 표시되는 에폭시시클로펜틸에테르류:
Figure pct00010
(식 중, R16 및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냄)
(j) 다음의 식 (X)으로 표시되는 디에폭시트리시클로데칸류:
Figure pct00011
(식 중, R1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상 알킬기를 나타냄)
상기 예시한 지환식 에폭시 수지 중에서도, 다음의 지환식 에폭시 수지는 시판되고 있거나 또는 그의 유사물로서 입수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등의 이유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A) 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산과 (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의 에스테르화물[식 (I)에서, R1=R2=H인 화합물],
(B)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산과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의 에스테르화물[식 (I)에서, R1=4-CH3, R2=4-CH3인 화합물],
(C) 7-옥사비시클로[4.1.0]헵탄-3-카르복실산과 1,2-에탄디올의 에스테르화물[식 (II)에서, R3=R4=H, n=2인 화합물],
(D) (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과 아디프산의 에스테르화물[식 (III)에서, R5=R6=H, p=4인 화합물],
(E) (4-메틸-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과 아디프산의 에스테르화물[식 (III)에서, R5=4-CH3, R6=4-CH3, p=4인 화합물],
(F) (7-옥사비시클로[4.1.0]헵트-3-일)메탄올과 1,2-에탄디올의 에테르화물[식 (V)에서, R9=R10=H, r=2인 화합물].
또한, 지방족 에폭시 수지로서는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부탄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시드(에틸렌옥시드나 프로필렌옥시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구성하는 에폭시 수지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 조성물에 이용되는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통상 30 내지 3000g/당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0g/당량의 범위 내이다. 에폭시 당량이 30g/당량을 하회하면, 경화 후의 복합 편광판의 가요성이 저하되거나 접착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3000g/당량을 초과하면, 접착제에 함유되는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접착제에서는, 반응성의 관점에서, 에폭시 수지의 경화 반응으로서 양이온 중합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 때문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인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킨다. 이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여 에폭시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시키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라고 한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의 경화를 행하는 방법은, 상온에서의 경화가 가능해져 편광 필름의 내열성 또는 팽창에 의한 왜곡을 고려할 필요가 감소하고, 필름 사이를 양호하게 접착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광에 의해 촉매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에폭시 수지에 혼합해도 보존 안정성이나 작업성이 우수하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이나 방향족 술포늄염 등의 오늄염; 철-아렌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아조늄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젠디아조늄 헥사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향족 요오도늄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페닐요오도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4-노닐페닐)요오도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포늄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4'-비스(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4'-비스[디(β-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비스(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7-[디(p-톨루일)술포니오]-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4-페닐카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4-(p-tert-부틸페닐카르보닐)-4'-디페닐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p-tert-부틸페닐카르보닐)-4'-디(p-톨루일)술포니오-디페닐술피드 테트라키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철-아렌 착체로서는, 예를 들면 크실렌-시클로펜타디에닐철(II)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쿠멘-시클로펜타디에닐철(II)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크실렌-시클로펜타디에닐철(II)-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메타나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시판품은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각각 상품명으로 「카야래드 PCI-220」 및 「카야래드 PCI-620」(이상, 닛본 가야꾸(주) 제조), 「UVI-6990」(유니온카바이드사 제조), 「아데카 옵토머 SP-150」 및 「아데카 옵토머 SP-170」(이상, (주) 아데카(ADEKA) 제조), 「CI-5102」, 「CIT-1370」, 「CIT-1682」, 「CIP-1866S」, 「CIP-2048S」 및 「CIP-2064S」(이상, 니혼소다(주) 제조), 「DPI-101」, 「DPI-102」, 「DPI-103」, 「DPI-105」, 「MPI-103」, 「MPI-105」, 「BBI-101」, 「BBI-102」, 「BBI-103」, 「BBI-105」, 「TPS-101」, 「TPS-102」, 「TPS-103」, 「TPS-105」, 「MDS-103」, 「MDS-105」, 「DTS-102」 및 「DTS-103」(이상, 미도리 가가꾸(주) 제조), 「PI-2074」(로디아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술포늄염은 300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도 자외선 흡수 특성을 가지므로, 경화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기계적 강도나 접착 강도를 갖는 경화물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 내지 20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하이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를 하회하면, 경화가 불충분하게 되어 기계적 강도나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물 중의 이온성 물질이 증가함으로써 경화물의 흡습성이 높아져서, 내구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경우,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광 증감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광 증감제를 이용함으로써, 양이온 중합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경화물의 기계적 강도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 증감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황 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 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광 증감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및 α,α-디메톡시-α-페닐아세토페논 등의 벤조인 유도체; 벤조페논, 2,4-디클로로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및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2-클로로티오크산톤 및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 유도체; 2-클로로안트라퀴논 및 2-메틸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 유도체; N-메틸아크리돈 및 N-부틸아크리돈 등의 아크리돈 유도체; 기타, α,α-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 플루오레논, 크산톤, 우라닐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등이 있다. 광 증감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광 증감제는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 중 0.1 내지 20중량부의 범위 내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에 함유되는 에폭시 수지는 광 양이온 중합으로부터 경화되지만, 광 양이온 중합 및 열 양이온 중합 모두에 의해 경화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와 열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벤질술포늄염, 티오페늄염, 티오라늄염, 벤질암모늄, 피리디늄염, 히드라지늄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술폰산에스테르, 아민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시판품으로서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모두 상품명으로 「아데카 옵톤 CP77」 및 「아데카 옵톤 CP66」(이상, 가부시끼가이샤 아데카 제조), 「CI-2639」 및 「CI-2624」(이상, 니혼소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선에이드 SI-60L」, 「선에이드 SI-80L」 및 「선에이드 SI-100L」(이상, 산신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는 옥세탄류나 폴리올류 등, 양이온 중합을 촉진하는 화합물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옥세탄류는 분자 내에 4원환 에테르를 갖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디[(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페놀노볼락옥세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옥세탄류는 시판품으로서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모두 상품명으로 「아론옥세탄 OXT-101」, 「아론옥세탄 OXT-121」, 「아론옥세탄 OXT-211」, 「아론옥세탄 OXT-221」 및 「아론옥세탄 OXT-212」(이상, 도아 고세이(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옥세탄류는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중 통상 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의 비율로 함유된다.
폴리올류로서는, 페놀성 수산기 이외의 산성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수산기 이외의 관능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화합물,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화합물,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화합물,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류의 분자량은 통상 48 이상, 바람직하게는 6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이다. 이들 폴리올류는 경화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중 통상 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의 비율로 함유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에는,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레벨링제, 가소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더 배합할 수 있다. 이온 트랩제로서는 분말상의 비스무스계, 안티몬계, 마그네슘계, 알루미늄계, 칼슘계, 티탄계 및 이들의 혼합계 등의 무기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산화 방지제로서는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는, 용제 성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형 접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각 도공 방식에는 각각 최적의 점도 범위가 있기 때문에 점도 조정을 위해 용제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용제로서는, 편광 필름의 광학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에폭시 수지 조성물 등을 양호하게 용해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톨루엔으로 대표되는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로 대표되는 에스테르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의 점도는, 예를 들면 5 내지 1000mPa·s 정도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mPa·s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mPa·s이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롤 형상으로 권회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어내지는 투명 필름(2, 3)은, 접착제 도공 장치(11, 12)에 의해서 각각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가 도포된다. 투명 필름에 대한 접착제의 도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닥터 블레이드, 와이어바, 다이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여러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박막 도공, 패스 라인의 자유도, 광폭에 대한 대응 등을 고려하면, 접착제 도공 장치(11, 12)로서는 그라비아 롤이 바람직하다. 시판되고 있는 도공 장치로서는 후지 기까이사 제조의 MCD(마이크로챔버 닥터)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 도공 장치(11, 12)로서 그라비아 롤을 이용하여 접착제의 도포를 행하는 경우, 도포된 접착제의 두께(도포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이다. 접착제의 도포 두께는, 투명 필름의 라인 속도에 대한 그라비아 롤의 속도비인 드로우비에 따라서 조정한다. 일반적으로는, 드로우비(그라비아 롤의 속도/라인 속도)를 0.5 내지 10으로 조정함으로써,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약 0.1 내지 10㎛로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필름(2, 3)의 라인 속도를 10 내지 100m/분으로 하고, 그라비아 롤을 투명 필름(2, 3)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그라비아 롤의 속도를 5 내지 1000m/분으로 함으로써, 접착제의 도포 두께를 0.1 내지 10㎛로 조정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조 후, 통상은 15 내지 40℃의 범위 내의 소정 온도±5℃(예를 들면, 소정 온도가 30℃인 경우, 30℃±5℃), 바람직하게는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로 조정된 환경 하에서 도포된다.
〔3〕 접합 공정
다음으로, 본 발명의 큰 특징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투명 필름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하여, 적층체를 제작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투명 필름은 상술한 편광 필름 중 어느 한쪽 면에만 접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양면에 접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양면에 접합되는 경우, 각각의 투명 필름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일 수도 있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롤 형상으로 권회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풀어내지는 투명 필름(2, 3)은, 접착제 도공 장치(11, 12)에 의해서 각각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필름(2, 3)과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으로 풀어내진 편광 필름(1)의 양면에 각각 투명 필름(2, 3)이 접합 롤(5a, 5b)에 의해 상기 접착제를 통해 중첩되어 적층체(4)가 제작된다. 이때,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장해물(6)(도 6) 또는 흡인 수단(7)(도 7, 8) 또는 송풍 또는 흡인 수단(8)(도 9)을 설치하는 것은, 도 1,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편광 필름의 양면에 투명 필름이 접합되는 경우, 접합 롤의 가압 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3°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도록, 바람직하게는 ±1°의 범위 내의 각도를 이루도록,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압 방향에 수직인 면과 중첩되도록 하여 편광 필름을 접합 롤 사이에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이 접합 롤의 바로 앞에서 접촉하여 기포가 발생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투명 필름(2, 3)의 한쪽 면에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투명 필름(2, 3)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편광 필름(1)을 겹쳐서 접합 롤(5a, 5b)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지만, 편광 필름(1)의 양면에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편광 필름(1)의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투명 필름(3, 2)을 겹쳐서 접합 롤(5a, 5b)에 의해 접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접합 롤의 회전 속도는 라인 속도와 연동하고 있다. 라인 속도는 통상 10 내지 100m/분인데, 생산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20m/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m/분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접합되기 전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특히 라인 속도가 빠른 경우에 유효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접합 롤(5a, 5b)의 한쪽이, 중앙부에서부터 단부에 걸쳐 직경이 작아지는(즉, 중앙부의 반경이 단부의 반경보다 큰) 테이퍼상의 외주 형상을 갖는 크라운 롤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크라운 롤이 아닌 쪽의 접합 롤은 직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플랫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라운 롤의 형상은, 접합 공정에서 가압이 행하여진 상태에서, 크라운 롤과 플랫 롤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크라운 롤과 플랫 롤의 간격은, 상기 크라운 롤의 축 및 상기 플랫 롤의 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크라운 롤 및 상기 플랫 롤의 대향하는 외주의 간격이다. 또한, 통상 크라운 롤 및 플랫 롤은, 가압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크라운 롤의 축과 플랫 롤의 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합 롤(5a)이 금속제의 플랫 롤이고, 접합 롤(5b)이 고무제의 크라운 롤인 경우, 플랫 롤의 베어링 부재에 대하여 크라운 롤의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진다. 이 가압이 행하여진 상태에서 크라운 롤에는 휨이 발생하는데, 크라운 롤과 플랫 롤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되도록 크라운 롤의 형상을 설계해 두면, 적층체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크라운 롤에 대하여 플랫 롤의 방향으로 가압을 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랫 롤 및 크라운 롤의 양쪽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도 있다.
크라운 롤을 이용하는 경우, 그의 중앙부의 직경과 단부의 직경의 차의 비율이, 상기 크라운 롤의 길이(축 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0.0020 내지 0.0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0 내지 0.020%이다. 통상은, 이러한 비율 범위에서, 크라운 롤의 형상을, 접합 공정에서 가압이 행하여진 상태에서 크라운 롤과 플랫 롤의 간격이 균일해지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크라운 롤을 이용하는 경우, 그의 상기 테이퍼상의 외주 형상은 원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크라운 롤의 상기 테이퍼상의 외주 형상이 원호 형상이라는 것은, 상기 크라운 롤의 상기 테이퍼상의 외주 형상의 축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원호인 것을 의미한다. 접합 공정에서 플랫 롤의 축 부재가 가압된 경우, 플랫 롤은 외주 형상이 원호 형상이 되도록 휘는 경우가 많아, 대향하는 크라운 롤의 외주 형상을 그것과 동일 정도의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함으로써, 대향하는 접합 롤(크라운 롤과 플랫 롤)의 가압시의 간격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 편광 필름과 투명 필름을 균일한 압력으로 접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합 롤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플랫 롤의 경우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mm이다. 또한, 크라운 롤의 경우의 단부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mm이다. 또한, 한 쌍의 접합 롤의 각각의 직경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접합 롤의 폭은 300 내지 3000mm이다.
상기 가압의 압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제 롤과 고무제 롤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후지 필름제 투시트 타입 프레스 케이스(초저압용)에서의 순간압이 0.5 내지 3.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3MPa이다. 본 발명에서, 이 접합 롤에 대한 가압의 압력은 통상 접합 롤의 양끝의 베어링 부재에 가해진다.
접합 롤의 재질로서는 금속이나 고무를 들 수 있다. 한 쌍의 접합 롤의 한쪽이 금속제 롤이고, 다른 쪽이 고무제 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랫 롤이 금속제이고, 크라운 롤이 고무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종래의 접합 롤은, 통상 가압되는 상측의 접합 롤이 고무제이고, 하측의 접합 롤이 금속제였다. 이것은, 하측의 접합 롤에 구동 모터를 달아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하측의 접합 롤이 금속제인 것이, 가압시에 하측의 접합 롤이 변형되지 않고, 접합 롤의 주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경우, 컬링 조정을 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가압되는(상측의) 접합 롤이 금속제이고, 다른 쪽의(하측의) 접합 롤이 고무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제 롤의 모재(母材)로서는, 여러 공지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SUS304(18%의 Cr과 8%의 Ni를 포함하는 스테인리스강)이다. 금속제 롤의 표면에는 크롬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제 롤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NBR(니트릴고무), 타이탄, 우레탄, 실리콘,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BR, 타이탄, 우레탄이다. 고무 롤의 경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60 내지 100°이고,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이다. 또한, 고무 롤의 경도는 JIS K6253에 준거한 경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경도계로서는, 예를 들면 아스카사 제조의 고무 경도계 「Type-A」 등이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을 막대와 같은 것으로 압박했을 때의 고무 롤의 표면의 저항을 경도계로 측정한다.
또한,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는 한 쌍의 접합 롤로 접합하는 예를 도시했지만, 이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한 쌍의 접합 롤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한 쌍의 롤을 더 설치하도록 한 구성일 수도 있다.
〔4〕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공정
계속되는 공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편광판을 얻는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적층체(4)는 그 후 롤(13)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면서 반송된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해당 롤(13)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14, 15)와, 이것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된 제2 이후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16, 17, 18)와, 반송용 닙롤(19)이 반송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적층체(4)를 롤(13)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면서 반송하는 과정에서,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14, 15)로부터 롤(13)의 외주면을 향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중합 경화시킨다. 또한,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이후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16, 17, 18)는 접착제를 완전히 중합 경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필요에 따라서 추가·생략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적층체(4)는 반송용 닙롤(19)을 통과하여, 편광판으로서 권취 롤(20)에 권취된다.
롤(13)은 외주면이 경면 마무리된 볼록 곡면을 구성하고 있고, 그 표면에 적층체(4)를 밀착시키면서 반송하여, 그 과정에서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14, 15)에 의해 접착제를 중합 경화시킨다. 접착제를 중합 경화시켜 적층체(4)를 충분히 밀착시키는 데에 있어서, 롤(13)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롤(13)은 적층체(4)의 라인의 움직임에 종동 또는 회전 구동시켜도 좋고, 또는 고정시켜 표면을 적층체(4)가 미끄러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롤(13)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중합 경화시에, 적층체(4)에 생기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냉각 롤로서 작용시킬 수도 있다. 그 경우, 냉각 롤로서 작용시키는 롤(13)의 표면 온도는 4 내지 3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의 중합 경화를 행하기 위해 이용하는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nm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대한 광 조사 강도는, 접착제의 조성마다 결정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5000mW/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에 대한 광 조사 강도가 10mW/cm2 미만이면 반응 시간이 너무 길어지고, 5000mW/cm2를 초과하면 램프로부터 복사되는 열 및 조성물의 중합시의 발열에 의해, 접착제의 구성 재료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 등의 황변이나 편광 필름의 열화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조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에서의 강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400nm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의 강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장 280 내지 320nm의 파장 영역에서의 강도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시간은, 경화하는 조성물마다 제어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사 강도와 조사 시간의 곱으로서 표시되는 적산 광량이 55mJ/cm2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5000mJ/cm2가 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에 대한 적산 광량이 55mJ/cm2 미만이면, 개시제 유래의 활성종의 발생이 충분하지 않아 접착제의 경화가 불충분해질 뿐 아니라, 편광판의 양단부가 출렁이는 늘어짐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그 적산 광량이 5000mJ/cm2 초과이면, 조사 시간이 매우 길어져서 생산성 향상에는 불리한 것이 된다. 이때, 사용하는 필름이나 접착제종의 조합 등에 따라서, 어떤 파장 영역(UVA(320 내지 390nm)나 UVB(280 내지 320nm) 등)에서의 적산 광량이 필요할지는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중합 경화시키지만, 가열에 의한 중합 경화를 병용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이 자외선인 경우, 적층체(4)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공정에서는, 적층체(4)에 길이 방향(반송 방향)으로 100 내지 800N/m의 장력을 걸면서 조사 시간이 0.1초 이상이 되는 라인 속도로 적층체(4)가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의 조사 강도는 10mW/cm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14, 15)에 의한 활성 에너지선의 적산 광량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제2 이후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16, 17, 18)를 더 설치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추가 조사시켜서, 적층체(4)의 접착제의 경화를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전체 공정에서의 적산 광량이 55mJ/cm2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5000mJ/cm2가 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공정에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복수 회에 나눠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적층체) 단부의 접착제의 경화를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무전극 D 밸브 램프인 퓨젼(FUSION) 제조 「라이트 해머(Light Hammer) 10」을 필름 주행에 대하여 횡단하도록 배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가 경화한 비율, 즉 반응율은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편광판 권취 공정)
적층체(편광판)(4)를 권취하는 장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내지 150N/cm2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120N/cm2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체(4)를 권취하는 장력이 30N/cm2 미만인 경우에는 긴 권취 롤을 이송할 때 권취 어긋남이 일어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고, 150N/cm2보다 큰 경우에는 권취 조임이 강하여 늘어짐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권취 길이가 길어질수록 동일 장력으로는 권취 조임(풀어내었을 때에 평탄한 상태로 되돌아가기 어려워지는 현상)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편광판을 코어에 감으면서 장력을 연속적 또는 단계적으로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소위 테이퍼를 두어 장력을 낮추는 방법에서도, 그때의 장력은 150N/cm2 이하로 한다.
코어에 권취되는 편광판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0m이다.
원통형 코어의 직경은 6 내지 12인치가 바람직하다. 코어의 직경은 클수록 바람직하여, 11인치, 12인치 등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너무 큰 경우에는 이송이나 보관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원통형 코어의 재질은, 크린룸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그 자체가 발진(發塵)하기 어렵고, 넓은 폭의 편광판을 권취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FRP(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1장의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 적층체와 1장의 투명 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비닐론 VF-PS#7500」((주)쿠라레 제조)을 이용하여 제작한 편광 필름과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KC4UYW」(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가 수계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고, KC4UYW 면에 점착제층 구비 표면 보호 필름 「NBO-0424」(후지모리공업(주) 제조)가 적층되어, 총 두께 135㎛의 복합 필름 적층체를 준비하였다. 한편, 두께 40㎛의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KC4CR-1」(코니카 미놀타 옵토(주) 제조)을 준비하였다.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KC4CR-1」의 한쪽 면에, 자외선 경화형의 접착제인 에폭시 수지 조성물(양이온 중합 개시제 포함) 「KR 시리즈」(아데카사 제조, 점도: 44mPa·s)를 접착제 도공 장치를 이용하여 도공하였다. 이때, 접착제 도공 장치에서의 편광 필름 적층체의 라인 속도를 40m/분으로 하여, 그라비아 롤을 적층재의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착제층의 두께를 약 1.0㎛로 하였다.
다음으로, 라인 속도 40M/분의 상태에서, 복합 필름 적층체의 편광 필름면이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에 도공된 접착제와 접하도록 적층된 적층체를, 모두 직경 250mm의 한 쌍의 닙롤(접합 롤) 사이에 끼워, 약 1.5MPa의 닙압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을 접합시켰다.
상기한 한 쌍의 닙롤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과 편광 필름의 사이에 도 3의 흡인 장치를 설치하여 필름 사이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켰다. 이때의 장치 내의 감압량은 2.0kPa로 하였다.
상기 2종의 필름이 접합된 적층체를 라인 속도 40m/분으로 이송하여, 총 적산 광량(파장 280 내지 320nm의 파장 영역에서의 광 조사 강도의 적산량)이 약 100mJ/cm2(측정기: FusionUV사 제조 UV Power PuckII에 의한 측정치)인 자외선(UVB)을 조사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평가한 결과, 편광 필름과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과의 사이에 기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라인 속도를 25m/분으로 하고, 도 3의 흡인 장치 내의 감압량을 0.6kPa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평가한 결과, 편광 필름과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사이에 기포는 적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흡인 설비를 설치하지 않고, 흡인을 실시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평가한 결과, 편광 필름과 위상차 특성을 부여한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의 사이에서 기포가 전체 면에 많이 관찰되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2
이상의 결과로부터, 접합되기 전의 필름 사이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킴으로써, 편광판의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를 비롯한 각종 표시 장치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1 : 편광 필름 2, 3 : 투명 필름
4 : 적층체 5a, 5b : 접합 롤
6 : 장해물 7 : 흡인 수단
8 : 송풍 또는 흡인 수단 11, 12 : 접착제 도공 장치
13 : 롤
14, 15 : 제1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16, 17, 18 : 제2 이후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19 : 닙롤 20 : 권취 롤

Claims (2)

  1.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염색 처리, 붕산 처리 및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공정과, 투명 필름의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상기 투명 필름의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을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하여,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적층체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이,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면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접합 롤 사이에 끼워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접합되기 전의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투명 필름 사이의 영역의 풍압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147010780A 2011-09-26 2012-09-25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710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9005 2011-09-26
JPJP-P-2011-209005 2011-09-26
PCT/JP2012/074487 WO2013047480A1 (ja) 2011-09-26 2012-09-25 偏光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525A true KR20140088525A (ko) 2014-07-10
KR101710241B1 KR101710241B1 (ko) 2017-03-08

Family

ID=4799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780A KR101710241B1 (ko) 2011-09-26 2012-09-25 편광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87237B2 (ko)
KR (1) KR101710241B1 (ko)
CN (1) CN103842860B (ko)
TW (1) TWI575262B (ko)
WO (1) WO2013047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2193B2 (ja) * 2011-09-21 2014-08-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CN104428701B (zh) * 2012-07-12 2017-07-0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的制造方法
CN110066103A (zh) * 2014-06-26 2019-07-30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光隔离器用偏振玻璃板组以及光隔离器用光学元件的制造方法
JP6654371B2 (ja) * 2014-07-28 2020-02-26 住友化学株式会社 ロール状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CN107407761B (zh) * 2015-03-03 2021-01-05 住友化学株式会社 附带保护膜的偏振膜的制造方法
CN108603973B (zh) * 2016-02-08 2021-12-28 住友化学株式会社 层叠光学膜的制造方法
JP2022164140A (ja) * 2021-04-16 2022-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2022164139A (ja) * 2021-04-16 2022-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5925A (ja) 2003-02-12 2004-09-02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128490A (ja) * 2003-09-30 2005-05-19 Nitto Denko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134190A (ja) 2007-11-30 2009-06-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090104702A (ko) * 2008-03-31 2009-10-0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판 및 광학 적층체
JP2009237202A (ja) * 2008-03-27 2009-10-15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10006375A (ko) * 2009-07-14 2011-01-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의 제조방법
JP2011095560A (ja) 2009-10-30 2011-05-1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609A (en) * 1980-06-26 1982-01-22 Nitto Electric Ind Co Ltd Laminat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JP2737380B2 (ja) * 1990-09-18 1998-04-08 日立電線株式会社 テープ状体の貼付けおよび剥離方法
JPH05269857A (ja) * 1992-03-25 1993-10-19 Nippon Steel Corp ラミネート法
JPH07113068A (ja) * 1993-10-15 1995-05-02 Nitto Denko Corp 放射線硬化型粘着テ―プの製造法
JPH07214724A (ja) * 1994-01-28 1995-08-15 Nippon Steel Corp ラミネート気泡巻き込み防止法
JP4335773B2 (ja) * 2004-09-27 2009-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物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製造装置
JP2008122555A (ja) * 2006-11-10 2008-05-29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9075192A (ja) * 2007-09-19 2009-04-09 Jsr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5925A (ja) 2003-02-12 2004-09-02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128490A (ja) * 2003-09-30 2005-05-19 Nitto Denko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134190A (ja) 2007-11-30 2009-06-18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9237202A (ja) * 2008-03-27 2009-10-15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090104702A (ko) * 2008-03-31 2009-10-0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판 및 광학 적층체
KR20110006375A (ko) * 2009-07-14 2011-01-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의 제조방법
JP2011095560A (ja) 2009-10-30 2011-05-1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9638A (zh) 2013-05-16
KR101710241B1 (ko) 2017-03-08
CN103842860A (zh) 2014-06-04
WO2013047480A1 (ja) 2013-04-04
CN103842860B (zh) 2016-11-02
TWI575262B (zh) 2017-03-21
JP5887237B2 (ja) 2016-03-16
JP2013083962A (ja) 201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572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956953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710241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956413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815347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의 제조 장치
WO2013051554A1 (ja)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750147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WO2014007160A1 (ja)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6192785B2 (ja) 偏光板の製造装置
JP6154128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KR101935080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956412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6909270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