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041A -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041A
KR20140088041A KR1020130169495A KR20130169495A KR20140088041A KR 20140088041 A KR20140088041 A KR 20140088041A KR 1020130169495 A KR1020130169495 A KR 1020130169495A KR 20130169495 A KR20130169495 A KR 20130169495A KR 20140088041 A KR20140088041 A KR 2014008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display
light
display device
transmittan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788B1 (ko
Inventor
유병천
서정훈
홍기표
김일호
이상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8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1Function characteristic transmissi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투명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발광 영역 및 배경을 투영하는 투과 영역으로 구성된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는 투명 표시부, 투명 표시부 일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하는 광 제어부, 및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영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여, 추출된 객체에 대응되는 광 제어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투과율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에 대한 광 간섭을 최소화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 표시 장치는 표시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보는 동안, 투명 디바이스의 뒤에 위치된 사물을 시인하도록 한다. 액정 표시 장치(LCD)로 투명 표시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된 2장의 편광판은 표시 디바이스를 통한 광 투과율을 크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LCD 기반 표시 디바이스를 갖는 투명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 것은 극도로 어렵다.
유기 발광 소자(OLED)를 채용하는 표시 디바이스는 LCD 표시 디바이스에서의 편광판을 요구하지 않는다. 때문에, OLED 기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투명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 유력한 구성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투명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투명 표시기를 통해 외부의 환경을 보게 하는 동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차량의 앞 유리나 집의 스마트 윈도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 투명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정보의 시인성은 환경의 밝기에 의존하는 특정 정도에 의해 때때로 저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표시 장치의 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이 표시 디바이스로부터 발광된 빛보다 지나치게 밝은 경우, 사용자가 영상을 표시 디바이스 상에서 보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투명 표시 장치 전체의 후면으로부터 입사하는 외광을 차폐함으로써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사용자가 표시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의 환경을 보는 것을 막아, 투명 표시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한하며, 투명 표시 장치의 목적을 상실시킨다.
따라서, 표시 디바이스의 투명성과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 모두를 유지할 수 있는 투명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은 투명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된 객체에 대응하는 영역에 의존하여 조정가능한 외광에 대한 투과율을 갖는 투명 표시 장치와 연관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투명 표시 장치는 영상의 표시를 위한 발광 영역 및 투명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광의 광량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 영역을 갖는 투명 표시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는 영상에서 객체를 식별하고,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에서 투명 표시부의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된 외광의 광량 조정을 제어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투명 표시 장치는 투명 표시부와 중첩하는 광 제어부를 포함한다. 광 제어부는 외광에 대해 조정가능한 투과율을 가지며, 제어 디바이스는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에서의 광 투과부의 조정가능한 투과율의 조정을 제어함으로써 투명 표시부의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되는 외광의 광량 조정을 제어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객체 영역에서의 광 제어부의 조정가능한 투과율의 조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특성은 객체의 크기, 객체의 휘도, 객체의 종류, 객체의 움직임 또는 객체의 색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투명 표시부는 발광 영역 및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고, 광 제어부는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화소와 복수의 제2 화소는 수와 크기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객체의 경계 내 객체 영역의 제1 부분에서 제1 투과율 수준으로 광 제어부의 조정가능한 투과율을 제어하고, 객체의 경계 외 객체 영역의 제2 부분에서 제1 투과율과는 상이한 제2 투과율로 광 제어부의 조정가능한 투과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2 투과율 수준은 제1 투과율 수준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의 크기는 객체의 크기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은 객체의 경계보다 모든 면 상(on all sides)에서 더 크고,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은 미리 결정된 화소의 수로 객체의 경계를 둘러싼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영상 매칭 알고리즘으로 영상에서 객체를 식별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객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에 기초하여 영상에서 객체를 식별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투명 표시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투명 표시 장치의 발광 영역 상에 표시되기 위한 영상에서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투명 표시 장치는 투명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광의 광량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영상은 투명 표시부의 발광 영역에서 표시된다.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에서 투명 표시부의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된 외광의 광량이 조정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b,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광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광 제어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율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 의한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장치의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 의한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투명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정보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들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는 투명 표시부(110) 및 광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투명 표시 장치(100)는 외부의 광이 투명 표시 장치(100)를 통해 전달되는 동안, 장치의 화소로부터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투명 표시 장치(100)를 통해 투과된 외광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과 표시 장치(100) 뒤의 뷰(view)를 동시에 인식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투명 표시기를 통해 투과되는 외광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와 표시기로부터 발광된 빛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받는다.
투명 표시기를 통한 외광과 표시기에 의해 발광된 빛은 블렌드된 영상이 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용어 “정보”는 사용자에게 보여질 영상 내에 포함된 정보를 의미한다. 용어 “시인성”은 정보의 인식의 특정 정도를 의미한다.
사용자에게 전달된 정보는 투명 표시 장치(100) 상에 표시된 정보와 투명 표시 장치(100)의 후면을 통한 뷰로부터의 정보로 나뉜다.
투명 표시 장치(100) 상의 블렌드된 영상의 전체적 시인성과 관련하여, 투명 표시 장치(100)에 의해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과 투명 표시 장치(100)를 통해 표시 장치(100) 뒤의 뷰의 시인성은 독립적으로 고려된다.
투명 표시 장치(100)는 투명 표시 장치(100)에 의해 표시된 영상의 우수한 시인성과 투명 표시 장치(100) 후면의 뷰의 시인성 모두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주변 환경의 조도는 표시 장치(100)에 의해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광량은 광 센서에 의해 lux단위로 측정된다. 예를 들어 사무실 실내 조도는 200~500lux 정도이며 대낮의 건물이나 숲 속의 그림자 아래에서는 20,000~30,000lux 정도이며 대낮의 태양 아래에서는 50,000~100,000lux 정도의 밝기를 가진다.
투명 표시부(110)는 발광 영역 및 발광 영역에 인접한 투과영역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의 최대 밝기는 투명 표시부(110)에 의해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발광 영역의 밝기는 태양광의 밝기보다 매우 낮다. 즉, 투과 영역을 통한 주변광은 주변 환경에 따라 발광 영역으로부터의 빛보다 더 밝을 수도 있다.
용어 “시인성”은 또한 “영상의 명암비”로 설명될 수 있다. 투과 영역이 발광 영역보다 더 밝은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투과 영역을 통한 빛은 이웃하는 발광 영여게 영향을 주어, 이웃하는 발광 영역이 빛의 분산 및/또는 회절에 의해 더 밝아지게 한다. 결과적으로, 발광 영역이 더 밝아져 명암비가 감소되고, 시인성이 영상과 뷰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워지도록 저감된다.
불-투명 표시 장치는 높은 조도 환경 하에서 표시 장치의 전면 반사를 억제하도록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표시 장치의 전면에 반사되는 빛만을 고려한 것이다. 투명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면에 반사되는 빛뿐만 아니라 후면으로 입사되는 빛을 고려한다. 또한, 투명 표시 장치(100)의 후면으로 입사되는 광은 단순한 노이즈가 아니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도 환경 안에서 투명 표시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의 휘도와 후면으로 입사되는 빛에 대한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일 실시 양태에서, 투명 표시 장치(100)는 투명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객체(115)에 대한 투과율을 제어하여 표시 영상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투명 표시 장치(100) 후면의 배경에 대한 시인성도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과율이란 투명 표시부(110)를 통과한 빛의 양을 광 제어부(120)의 후면에 조사된 빛의 양으로 나누어 획득된 값을 지칭한다.
본 개시에서, 용어 “객체”는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110) 상에 표시된 영상 내의 객체를 지칭한다. 객체(115)는 표시 장치 상에서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객체를 포함한다. 즉, 객체(115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이 그 주변과 구별될 수 있다면 어떠한 임의의 객체라도 본 명세서의 객체(115)로서 규정될 수 있다. 객체(115)의 특성은 적어도, 형태, 형상, 색상, 휘도, 명암, 크기, 위치, 윤곽, 중요도, 형식 및 움직임일 수 있다. 객체는 주변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다. 즉, 객체(115)는 투명 표시부(110)에 의해 표시된 영상 내에서의 모든 구별가능한 객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객체는 영상 내의 사물, 배경, 사람, 텍스트, 아이콘, 프로그램 창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 영상 내 객체(115)의 시인성이 떨어질 경우 사용자는 투명 표시 장치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객체(115)는 투명 표시 장치(100)의 투명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투명 표시부(110)는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에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이 발광하도록 하는 표시 장치이다.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을 사용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발광한다.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어도 캐소드, 유기 발광층, 애노드를 포함한다
광 제어부(120)는 외광에 대해 조정가능한 투과율를 가지며, 객체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투과율을 제어한다. 광 제어부(120)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25)의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투명 표시부(110) 상에 표시되는 객체(115)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객체(115)의 시인성이 향상됨으로써, 표시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25)이란 투명 표시부(110)가 표시하는 객체(115)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객체(115)의 경계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25)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객체(115)의 주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115)의 주변 영역은 객체(115)의 경계선으로부터 외부로 적어도 1 픽셀(pixel) 이상 확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객체의 주변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투명 표시 장치(100)는 객체의 경계선 영역에 인접한 투과 영역에서 입사되는 빛에 의한 시인성 저하 문제를 개선하거나 또는 객체를 임의로 강조할 수 있다.
광 제어부(120)는 광 제어부(120)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거나, 산란시키거나, 흡수하거나, 차폐하는 등,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거나 광 특성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투명 표시 장치(100)로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의 제어는, 입사되는 외광을 흡수되는지 또는 투명 표시 장치를 통해 투과되는지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광 제어부(120)의 광 반사도가 높은 경우, 후면으로부터의 광은 차단될 수 있어도, 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높은 반사도 때문에 반사되어, 투명 표시 장치(100)의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투명 표시 장치(100)의 광 제어부(120)는 투과율이 1% 내지 90%일 수 있으며, 광 제어부(120)의 반사율은 1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의 광 제어부(120)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소자일 수 있다. MEMS 소자는 기판, 박막필름층, 공기층, 반사막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MEMS 소자는 개방 상태(Open State)와 닫힌 상태(Collapsed State)라고 불리는 두 가지 상태에 따라 화면 표시가 수행된다. MEMS 소자는 전압이 흐르지 않을 때, 박막층이 분리되어 있으며 선택적인 반사를 할 수 있으며, 낮은 전압이 인가되면 정전기력이 발생하여 반사막층이 움직이면서 광을 모두 흡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의 광 제어부(120)는 일렉트로 웨팅 소자(electro wetting device), 일렉트로 크로믹 소자(electro chromic device) 등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투명 표시 장치(100)의 광 제어부(120)가 대전 입자에 의해 투과율이 결정되는 광 제어부(120)인 것으로 상정하고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투명 표시부(110)와 광 제어부(120)는 설명의 편의상 서로 이격 되도록 도시되나, 투명 표시부(110)와 광 제어부(120)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투명 표시 장치(100)로서 구동하기 위해 충분히 가까운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제어부(120)와 투명 표시부(110)의 해상도는 동일하여, 투명 표시부(110)가 표시하는 영역과 광 제어부(120)가 제어하는 영역이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또는, 투명 표시부(110)와 광 제어부(120)의 해상도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제어부(120)의 해상도는 투명 표시부(110)의 해상도 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투명 표시부(110)와 광 제어부(120)의 해상도 호환을 위한 구동 알고리즘이 추가 될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100)의 광 제어부(120)는 투명 표시부(110)의 구성 형식에 따라서 그 설계가 바뀔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표시 장치(100)의 투과 영역과 발광 영역의 면적 비율은 탑 이미션, 바텀 이미션 또는 양면 발광 구성인지 여부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광 제어부(120)의 구동 배선들은 투과율의 향상을 위해 투과 영역 보다는 발광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표시부(110)와 광 제어부(120)가 중첩되며, 가까이 또는 접하도록 배치되고, 투명 표시부(110) 상에 객체(115)가 표시된다. 광 제어부(120)에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25)의 투과율은 따라서 투명 표시부(110)를 통해 투과하는 외광의 광량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100)에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25)의 투과율은 투명 표시부(110)를 통해 투과하는 외광의 광량이 증가하도록 증가된다. 객체(115)에 대한 시인성은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25)의 투과율이 낮아짐으로써 향상되므로, 사용자는 표시되는 객체(115)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투명 표시 장치(100)의 후면의 배경에 대한 정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는 투명 표시부(210) 및 광 제어부(230)를 도시한다. 투명 표시부(210)는 영상이 표시되는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으며, 광 제어부(230)는 투과율이 제어되는 대전 입자 제어 장치일 수 있다.
투명 표시부(210)는 발광 영역(Emissive Area; EA) 및 투과 영역(Transmissive Area; TA)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EA)은 표시 광이 발광되는 영역이고, 투과 영역(TA)은 투명 표시 장치(200) 뒤의 뷰를 나타내는 광의 부분이 투과되는 영역이다. 투과 영역(TA)은 발광 영역(EA)와 인접하므로, 투과 영역(TA) 상에 입사되는 광이 너무 밝은 경우, 인접한 발광 영역(EA)에서의 광 세기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보인다.
따라서,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투과 영역(TA)을 통해 배경, 즉 투명 표시 장치(200) 후면의 사물을 시인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투명 표시 장치(200)가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는 발광 영역(EA)의 영상과 투과 영역(TA)을 통한 배경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a에서 화소 영역의 투과 영역(TA)이 발광 영역(EA) 보다 크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화소 영역에서 발광 영역(EA) 및 투과 영역(TA)의 면적 비는 시인성 및 투과율 측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투명 표시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투명 표시부(2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광 제어부(2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투명 표시부(210)는 제1 기판(211), 액티브층(212), 게이트 절연막(213), 게이트 전극(214), 층간 절연막(215), 소스 전극(216b), 드레인 전극 (216a), 오버 코팅층(217), 반사층(218), 애노드(219), 유기 발광층(220), 캐소드(221), 및 뱅크층(222)을 포함한다. 액티브층(212), 게이트 절연막(213), 게이트 전극(214), 층간 절연막(215), 소스 전극(216b) 및 드레인 전극 (216a)은 박막 트렌지스터를 구성하고, 애노드(219), 유기 발광층(220) 및 캐소드(221)는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한다. 유기 발광 소자 상에는 봉지부(223), 컬러 필터(224), 및 제2 기판(225)을 포함한다. 도 2a에서는 투명 표시부(210)가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를 도시한다.
아래에서는 광 제어부(2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광 제어부(230)는 제3 기판(231), 액티브층(232), 게이트 절연막(233), 게이트 전극(234), 층간절연막(235), 소스 전극(236b), 드레인 전극(236a), 오버 코팅층(237), 제1 전극(238), 제2 전극(240), 보호층(241, 242), 대전 입자(245)를 포함하는 유체(244), 및 격벽(243)을 포함한다.
광 제어부(230)는 투명 표시부(210)에 부착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투명 접착제 또는 투명 접착층에 의해 광 제어부(230) 상에 배치된다. 도 2a에서, 광 제어부(230)는 투명 표시부(21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도시되었지만, 투명 표시부(2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 표시 장치(200)의 광 제어부(230) 및 투명 표시부(210)는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입사되는 광을 제어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투명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광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b는 투명 표시 장치(200)의 후면의 하나의 수광 포인트로 입사되는 광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입사하는 광, 또는 입사되는 광”이란 특별히 제한하여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투명 표시 장치(200)의 일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의미한다. 투명 표시 장치(200)의 일면으로 입사되는 광은 투명 표시 장치(200)에서 발광하지 않는 영역에 포함된 조도센서나, 입사되는 광을 측정하기 위해 배치된 임의의 센서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투명 표시 장치(200)의 일 면으로 입사되는 광은 투명 표시 장치(200)와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뿐만 아니라 기판을 기준으로 0° 내지 180°의 각도로 입사되는 모든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투명 표시 장치(200)에 직각으로 입사되거나 투명 표시 장치(200) 내에서 굴절되어 직각 성분을 갖는 입사 광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직각 성분을 갖지 않는 입사 광도 직각으로 입사되는 광과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투명 표시 장치(200)로 입사되는 광을 광 제어부(230a, 230b, 230c)의 광 제어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투명 표시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 영역과 투과 영역을 포함하고, 발광 영역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광을 발광하며, 투과 영역은 투명 표시 장치(200) 후면으로부터의 광이 입사될 수 있다. 또한, 투명 표시 장치(200)는 광 제어부(230a, 230b, 230c)를 포함하며, 광 제어부(230a, 230b, 230c)는 전압의 인가 세기에 따라 투과율이 상이해지도록 구성된다.
도 2c의 (a), (b), (c)에서 발광부에서는 동일한 정도의 광이 발광되고, 투명 표시 장치(200)로 입사되는 광도 일정하다고 상정한다. 도 2c의 (a)에서 광 제어부(230a)는 입사되는 광이 모두 투과되도록 제어된다. 광 제어부(230a)가 입사되는 광을 모두 투과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는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 및 투명 표시 장치(200)의 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모두를 시인하게 된다.
도 2c의 (b)에서 광 제어부(230b)는 입사되는 광의 광량의 일부만 투과되도록 제어된다. 광 제어부(230b)가 입사되는 광량의 일부만이 투과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는 (a)와 비교할 때 발광되는 광을 보다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어 투명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상대적으로 향상된다.
도 2c의 (c)에서 광 제어부(230c)는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보다 낮추도록 제어된다. 광 제어부(230c)가 입사되는 광을 더욱 차폐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는 (a), (b)와 비교할 때 발광되는 광을 보다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어 투명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향상되나, 투명 표시 장치(200)의 후면의 사물은 시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200)에서 광 제어부(230a, 230b, 230c)의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투명 표시 장치(200)의 사용자 입장에서 시인성을 높이도록 투명 표시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투명 표시 장치의 광 제어부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의 (a), (b)에서 제3 기판(310), 제4 기판(320), 제1 전극(330), 제2 전극(340), 격벽(360), 보호층(350), 및 유체(380)는 도 2a에서 설명된 제3 기판(231), 제4 기판(239), 제1 전극(238), 제2 전극(240), 격벽(243), 보호층(241, 242), 및 유체(244)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의 (a)에서 광 제어부(300)로 입사되는 외광은 제3 기판(310)을 통과하여 흑색 대전 입자(370)에 도달되고, 도달된 광은 흑색 대전 입자들(370)에 의해 흡수된다. 흑색 대전 입자들(370)의 배열에 의해 입사된 광이 차폐되므로, 이러한 투명 표시 장치의 상태를 차폐상태라고 지칭한다.
도 3의 (b)에서 광 제어부(300)로 입사되는 외광은 제3 기판(310), 제2 전극(340), 제4 기판(320)을 차례로 통과하여 광 제어부(300)를 통과한다. 흑색 대전 입자들(375)의 배열에 의해 입사된 광이 투과되므로, 이러한 광 제어부(300)의 상태를 투과상태 또는 투명상태라고 지칭한다.
또는, 입사 광의 일부만이 흑색 대전 입자들의 사이로 투과된다. 투과된 일부의 광은 투과 영역 모두를 투과하여, 투명 표시 장치의 상부에서는 투명 표시 장치 후면의 사물을 시인할 수 있다. 입사 광의 나머지 일부는 흑색 대전 입자들에 도달하여 흡수된다. 흑색 대전 입자들(370, 375)의 퍼짐에 의해 입사된 광이 투과 또는 차폐되므로, 이러한 광 제어부(300)의 상태를 반투명상태라고 지칭한다.
입사 광의 일부만이 투과되는 반투명상태는, 광 제어부(300)의 제1 전극(330) 또는 제2 전극(340)에 인가되는 전압의 인가 시간이나 인가 세기에 따라 투과율이 가변적으로 제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투명 표시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투명 표시 장치(400)는 처리부(410), 투명 표시부 타이밍 컨트롤러(421), 투명 표시부 패널(420), 투명 표시부 데이터 구동부(422), 투명 표시부 스캔 구동부(423), 광 제어부 타이밍 컨트롤러(431), 광 제어부 패널(430), 광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432), 광 제어부 스캔 구동부(433)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21, 431)는 하나의 집적회로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패널 상에 패터닝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타이밍 컨트롤러(421, 431) 및 데이터 구동부(422, 432)는 COG(Chip on Glass), COF(Chip on Film), PCB, FPCB(Flexible Circuit Board)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처리부(410)는 투명 표시부 타이밍 컨트롤러(421)에 영상 데이터를, 광 제어부 타이밍 컨트롤러(431)에 광 제어 데이터를 제공한다. 광 제어 데이터는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처리부(410)는 투명 표시부와 광 제어부가 시간-동기화될 수 있도록,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투명 표시부 타이밍 컨트롤러(421) 및 광 제어부 타이밍 컨트롤러(431)에 제공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는 투명 표시부 및 광 제어부 중 응답속도가 느린 패널에 맞추도록 생성될 수 있다.
투명 표시부는 투명 표시부 타이밍 컨트롤러(421), 투명 표시부 패널(420), 투명 표시부 데이터 구동부(422), 투명 표시부 스캔 구동부(423), 및 전원 공급부(424)를 포함한다.
투명 표시부 타이밍 컨트롤러(421)는 투명 표시부 구동부로 지칭될 수 있으며, 투명 표시부 구동부는 영상에 기초하여 스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투명 표시부 스캔 구동부(423)를 제어하고,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투명 표시부 데이터 구동부(422)를 제어한다.
투명 표시부 데이터 구동부(422)는 투명 표시부 타이밍 컨트롤러(421)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입력 받는다. 투명 표시부 데이터 구동부(422)는 데이터 신호를 상응하는 감마 전압을 통해 변환하며, 유기 발광 소자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결정하여 해당 픽셀의 발광 정도를 제어한다.
투명 표시부 스캔 구동부(423)는 스캔 라인을 구동하여 각 주사 선에 대응되는 화소에 데이터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투명 표시부 스캔 구동부(423)는 전술한 하나, 또는 복수의 스캔 라인들을 선택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스캔 라인 신호를 투명 표시부 패널(42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24)는 투명 표시부 데이터 구동부(422)와 투명 표시부 스캔 구동부(423) 및 투명 표시부 패널(420)의 애노드와 캐소드에 필요한 다양한 전압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424)는 ELVDD, ELVSS, VDD, VSS 등을 공급한다. 투명 표시부 패널(420)은 복수의 스캔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투명 표시부 화소들을 포함한다.
입력된 데이터 신호의 영상 정보에 의해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기 위해,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400)에서 광 제어부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 제어부는 패시브 매트릭스로 구성되고 구동될 수 있다. 광 제어부는 액티브 매트릭스로 구동될 수도 있다. 광 제어부 타이밍 컨트롤러(4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부(410)로부터 광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광 제어 데이터는 투명 표시 장치(400)의 투과율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광 제어 데이터는 투명 표시 장치(400)의 처리부(410) 또는 광 제어부 타이밍 컨트롤러(431)에 의해 결정된다.
광 제어부 스캔 구동부(433)는 스캔 라인을 구동하여 각 주사 선에 대응되는 픽셀에 데이터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광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432)는 데이터 신호를 상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며, 광 제어부의 전압 및 펄스를 공급하여, 흑색 대전 입자의 퍼짐성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투명 표시 장치(400)는 광 제어 데이터를 통해 결국 광 제어부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펄스를 조절함으로써, 광 제어부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광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432)와 광 제어부 스캔 구동부(433)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3)는 스캔 배선으로부터 스캔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데이터 라인으로부터의 광 제어 데이터 신호를 광 제어부의 전극으로 전달하여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유체에 분산된 흑색 대전 입자의 이동이 제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투명 표시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투명 표시 장치(500)는 처리부(510), 제어부(515), 투명 표시부, 및 광 제어부를 포함하고, 투명 표시부는 투명 표시부 패널(540) 및 투명 표시부 패널 구동부(520)를 포함하며, 광 제어부는 광 제어부 패널(550) 및 광 제어부 패널 구동부(530)를 포함한다. 투명 표시부 패널(540) 및 광 제어부 패널(550)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제어부(515)는 투명 표시 장치(500)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15)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기 설정된 동작에 따라 시스템을 동작시킨다. 제어부(515)는 예를 들어, 처리부(510)로 하여금 투명 표시 장치(5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광센서로부터의 광 특성에 기초하여 투과율을 낮추도록 제어하며, 다양한 투명 표시 장치(500)의 모드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515)는 처리부(510)와 통합될 수 있다. 또한 투명 표시 장치(500)의 제어부(515)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OS(Operating system)를 포함한다. OS단에서는 사용자에게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모드들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모드들은 사용자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선택되며, 특히 제3 모드는 능동적으로 주변 환경에 적응하여 최적의 모드로 선택된다.
제1 모드는 광 제어부를 투과상태로 설정한다. 제1 모드는 투명 효과를 극대화 한다. 하지만 외부 환경에 대한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지는 않는다.
제2 모드는 광 제어부를 차폐상태로 설정한다. 제2 모드는 차폐의 효과를 극대화 한다. 시인성은 최대로 개선되지만 모든 화면의 투과 영역이 차폐되어 투명 표시의 효과를 누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3 모드는 입력 영상의 객체를 추출하여 투명 표시부에 표시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광 제어부 영역의투과율을 조절하는 모드이다. 제3 모드의 투명 표시 장치(500)는 외부 조도 환경 및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인성 저하를 최소화한다. 해당 모드에서는 투명 효과를 유지하면서 입력 영상의 시인성을 유지한다.
제4 모드는 광 제어 모드로 해당 모드는 투명 표시부 대신 광 제어부 상에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해당 모드는 아웃도어(outdoor) 환경에서 특화된 기능으로 외광이 상당히 밝을 경우 효과적이다. 제4 모드에서 유기 발광 소자의 전원은 유기 발광 소자가 저전원으로 동작하도록 막힌다. 영상은 광 제어부의 차광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제4 모드는 예를 들어, 조도가 상당히 밝은 환경일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제4 모드 진입 기준 조도를 설정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제어부(515)의 동작들은 시스템 상에서 입력부(560)를 통해 선택된다. 예를 들어, 투명 표시 장치(500)는 입력부(560)를 포함하고, 입력부(560)를 통해 입력 신호가 있을 때마다 복수의 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인 입력부(560)는 투명 표시 장치(500)의 시인성이 급격히 저하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시인성이 급격히 저하되면 사용자가 투명 표시부에 표시되는 메뉴를 시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필요한 모드를 선택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과율 제어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투과율 제어 장치(600)는 추출부(610) 및 투과율 결정부(620)를 포함한다.
투과율 제어 장치(600)란 광 제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연결되고, 투명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투과율을 결정한다. 투과율 제어 장치(600)는 따라서 광 제어부의 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투명 표시부를 투과하는 광의 부분을 조정한다.
객체를 식별하도록 추출부(610)는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분리한다. 추출부(610)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분리한다. 추출부(610)가 추출하는 객체는 영상에 있어서 현저성을 갖는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610)가 추출하는 객체는 영상에서 중심이 되는 사물이나 사람일 수 있다. 추출된 객체가 하나인 경우, 예를 들어 영상 내에 물체가 하나 있는 경우에는 영상은 물체와 배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물체와 배경은 각각 하나의 객체로 추출될 수 있다.
추출부(610)는 영상 분류를 통해 객체를 분리한다. 영상 분류는 주어진 영상을 유사한 특성 또는 균일성을 갖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과정을 의미한다. 영상 분류 과정에서는 명암도, 컬러 성분, 경계선, 질감, 움직임, 깊이 정보, 중요도, 템플릿 매칭(template matching) 등의 특징 요소가 균일성의 척도로 사용된다. 분류 알고리즘으로는 임계치 기반 알고리즘, 군집 기반 알고리즘, 템플릿 매칭 기반 알고리즘, 그리고 경계선 기반 알고리즘 등이 있다.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이란 영상 전체에서 템플릿과 영상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유사한 객체를 분류 또는 추출하는 것이다. 템플릿이란 사람의 얼굴, 아이콘, 문자 등 영상에서 출연 빈도가 높을 수 있는 객체이다. 추출부(610)는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에서 영상과 템플릿을 로드하고, 영상의 부분들과 템플릿과의 상관계수 맵을 작성한다. 추출부(610)는 상관계수 맵에서 최대값의 상관계수를 구함으로써, 템플릿에 대응되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은 아이콘, 프로그램의 창, 사람의 얼굴, 문자 등 정형화된 객체를 추출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추출부(610)는 또한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으로 추출된 객체를 기초로 다른 추출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객체의 윤곽선을 파악할 수 있으며, 반대로, 다른 알고리즘으로 객체를 추출하고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의 윤곽선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영상에서는 경계선 또는 에지를 이용하여 객체를 분리할 수 있다. 영상에서 경계선은 영상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영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영상에서 경계선은 영상을 구성하는 객체들의 윤곽정보를 제공해 줄 뿐 아니라, 객체를 분류하고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영상 처리의 관점에서, 경계선은 높은 신호의 변화율을 포함한다. 따라서 추출부(610)는 영상의 각 화소에서 신호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이 값의 크기로부터 경계선 화소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선 검출은 화소에서의 신호 율 변화에 대한 기울기를 계산하고 기울기의 크기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임계치 기반 알고리즘은 다수의 임계치를 설정하고 각 임계치에 의해서 나뉘어지는 명암값 영역별로 영상을 분할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때 사용되는 임계치가 하나인 경우를 이치화(bi-level) 임계치, 여러 개인 경우를 다치화(multilevel) 임계치라 한다. 이치화는 밝기 수준이 다른 전경 및 배경과 같이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영상에 대해 각각의 영역을 분할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추출부(610)는 영상에 포함된 텍스트, 아이콘, 프로그램 활성 창 등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추출부(610)는 영상의 명도 이미지 정보에 다양한 필터링을 수행하여 배경을 제거한 후 경계선을 획득하여, 텍스트, 아이콘 또는 프로그램 활성 창을 추출할 수도 있다. 텍스트, 아이콘, 프로그램 활성 창 등은 영상에서 일반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인터렉티브(interactive) 한 디바이스에서 선택될 수 있는 요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추출부(610)는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기 위해 현저성 맵을 생성하고, 현저성 맵에 기초하여 객체와 배경을 분리할 수 있다
현저성 맵은 특징맵 또는 특징 지도로 지칭될 수 있으며, 현저하거나 현저하지 않은 영역에 발생하는 주의(attention)의 집중도를 맵으로 표현한 것이다. 시인자의 시각 시스템은 눈에 시인된 영상을 모두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정보만 추출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현저한 영역이란 입력 영상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부분에 대한 시각적 선택 영역일 수 있다. 현저한 영역은 시각적 주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시각적 주의 특성에 의한 현저한 영역의 결정은 영상에서 의미 있는 특징만을 선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현저한 영역은 영상 내 정보의 공간적 분포에 의해 나타나는 현저함 단서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즉, 입력되는 영상의 다양한 특징들을 추출한 후, 이를 결합하여 영상 중에서 여러 영상의 중요도를 가리키는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현저한 영역을 선택될 수도 있다.
현저한 영역을 추출하고 그 중요도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추출부(610)는 영상의 색, 모양 등의 특징을 분석하고, 중요성 필터를 적용하여 이에 대응되는 중요도를 분석함으로써, 현저성 맵을 획득할 수 있다. 추출부(610)는 현저성 맵에 기초하여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가 투명 표시 장치의 추출부(610)로 전송됨으로써 객체가 추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직사각형의 프로그램 창에 대한 x, y축 좌표가 추출부(610)로 전송되는 경우, 추출부(610)는 표시되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추출부(610)가 표시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윤곽선 정보를 요청하고, 시스템이 추출부(610)에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시스템이 추출부(610)에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는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예를 들어 구조화된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투과율 결정부(620)는 분리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과율은 광 제어부 데이터 신호를 통해 투명 표시 장치의 광 제어부에서 제어된다. 즉, 결정된 투과율을 기초로 광 제어부 데이터 신호가 생성된다.
투과율 결정부(620)는 추출된 객체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낮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 표시부는 화소를 통해 적, 녹, 청색을 각각 표현할 수 있으며, 3 가지 색을 조합하여 자연색을 표현할 수 있다. 투명 표시부가 블랙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적, 녹, 청색이 발광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투명 표시부는 투과 영역 및 투과 영역에서 입사되는 광 때문에 간섭이 존재한다. 따라서, 투과율을 낮추게 되면 투과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 간섭을 저감할 수 있어,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과율 제어 장치(600)는 추출된 객체와 관련하여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낮추어, 객체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추출된 객체가 영상 내에서 이동되는 경우 객체에 대응되는 부분도 이동되며, 투과율 결정부(620)는 객체에 대응되는 부분에 대하여 시간-동기화되어 이동되도록 투과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투과율 결정부(620)는 복수의 객체가 표시되는 경우, 복수의 객체 각각이 상이한 투과율을 갖도록 투과율을 결정한다. 물체가 하나 있는 경우에는 영상은 물체와 배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물체와 배경을 각각 하나의 객체로 추출한다. 물체와 배경은 각각 상이한 투과율을 가지며, 물체에 대응하는 영역의 투과율은 배경에 대응하는 영역의 투과율 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투과율 결정부(620)는 복수의 객체가 겹쳐 있는 경우 복수의 객체 각각이 상이한 투과율을 갖도록 투과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객체에 대해 다른 하나의 객체 보다 투과율을 보다 낮게 함으로써, 하나의 객체에 대한 시인성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투과율 결정부(620)는 객체의 영상 특성에 기초하여 객체에 대응하는 영역의 투과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투과율 결정부(620)는 복수의 객체의 각각의 휘도에 따라 투과율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휘도가 낮은 객체의 투과율을 조정하는 것이 휘도가 높은 객체의 투과율을 조정하는 것보다 시인성 측면에서 뛰어날 수 있다.
또한, 투과율 결정부(620)는 객체의 종류에 따라 객체에 대응하는 영역의 투과율을 상이하게 결정한다. 예를 들어, 투과율 결정부(620)는 텍스트와 움직이는 영상에 대해서는 상이한 투과율을 갖도록 결정할 수 있다. 투과율 결정부(620)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객체는 중간 수준의 투과율로 투과율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객체는 낮은 수준의 투과율로 투과율을 결정할 수 있다, 템플릿 매칭에 의해 추출되는 문자와 같이 중요하다고 여겨질 수 있는 형식의 객체에 대해서는 보다 낮거나 또는 최저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텍스트는 텍스트의 색상에 따라서도 상이하게 투과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이트의 텍스트와 블랙의 텍스트가 상이한 투과율을 갖도록 투과율 결정부(620)는 투과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화이트 텍스트에 대해서는 텍스트의 경계선을 확장하여 텍스트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 대해 투과율을 낮추도록 할 수도 있다.
투과율 결정부(620)는 객체에 대응하는 영역의 투과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투과율을 포함하는 광 제어부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결정된 복수의 영역에 대한 투과율을 제어하도록, 투과율 제어 장치(600)는 광 제어부 제어 신호를 투명 표시 장치 또는 투명 표시 장치의 광 제어부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 의한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객체(710)를 문자 및 아이콘으로 표시하였으나, 객체(710)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서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710), 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720) 및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객체(730)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격자 모양은 복수의 광 제어부 및 투명 표시부가 화소로 구성됨을 의미하나, 실제 본 발명이 적용된 제품의 화소의 크기는 상당히 작고 단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임의로 크게 도시하였다.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710)는 투명 표시부의 발광 영역에서 발광되는 영상과 투과 영역에서 입사되는 광 간섭이 혼재된다. 따라서, 객체(710)의 시인성이 낮을 수 있으며, 객체(710) 내에서의 화소 간의 휘도 차도 인식되기 어렵다. 도 7을 참고하면, 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720)은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710)의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720)은 광 제어부에 의해 입사되는 광이 차광되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720)은 입사되는 광이 차광되어 불투명으로 또는 블랙에 가깝게 표시된다.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객체(730)는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710) 및 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720)이 조합된 것이다.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720)이 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광하므로, 사용자는 발광 영역으로부터 발광되는 객체(710)에 대한 광만을 인식할 수 있고, 입사되는 광으로 인한 간섭이 저감되어 객체(710)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서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810), 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820) 및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객체(830)를 도시한다.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810)는 도 7에서의 객체(71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다.
도 8을 참고하면,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820)은 객체(810)의 경계선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 및 객체(810)의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객체(810)의 주변 영역은 미리-결정된 수의 화소만큼 객체(810)의 경계선으로부터 외부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영역이다. 도 8에서 객체(810)의 주변 영역은 객체(810)의 경계선으로부터 외부로 5 픽셀(pixel) 확장된 영역이다. 광 제어부에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820)은 입사되는 광이 차광되도록 표시되어 블랙에 가깝게 표시된다.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객체(810)는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810) 및 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820)이 조합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820)이 투명 표시부에 표시되는 객체(810)의 영역보다 더 넓으므로, 그 주변 영역은 객체(810)와 동시에 시인된다.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객체(830)와 동시에 표시되는 주변 영역은 객체(810)의 경계를 더욱 명확하게 하여, 영상에서 객체를 더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서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910), 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920) 및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객체(930)를 도시한다.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910)는 도 7에서의 객체(71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다.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920)은 객체의 경계선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922) 및 객체의 주변 영역(924)을 포함한다. 객체의 경계선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922) 및 객체의 주변 영역(924)이 상이한 투과율을 가진다. 객체의 주변 영역(924)는 객체의 경계선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922)로부터 멀어질수록 투과율이 점진적으로 상승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객체의 주변 영역(924)이 객체의 경계선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922) 보다 높은 투과율을 가진다. 객체의 주변 영역(924)과 객체의 경계선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922)이 모두 낮은 투과율을 갖는 경우, 사용자에게 객체의 주변 영역(924)이 객체(910)에 대한 경계로서 너무 명확하게 표시되어 부자연스럽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객체의 주변 영역(924)에 대해서는 객체의 경계선에 의해 규정되는 영역(922) 보다 더 높은 투과율을 가진다. 또한 객체의 주변 영역(924)의 투과율은 객체(910) 주변 영상의 휘도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객체(930)는 투명 표시부가 표시하는 객체(910) 및 광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920)이 조합된 것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920)이 투명 표시부에 표시되는 객체(910)의 영역보다 더 넓으므로, 그 주변 영역(924)은 객체(910)와 동시에 시인될 수 있으며, 객체(910)와 동시에 표시되는 주변 영역(924)은 객체(910)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는 동시에 영상에 보다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투명 표시 장치는 투명 표시부(1010) 및 광 제어부(1020)를 포함하고, 투명 표시부(1010) 및 광 제어부(1020)는 복수의 투명 표시부 화소 및 복수의 광 제어부 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서 투명 표시부 화소 및 광 제어부 화소는 일대일로 대응될 수도 있으나, 도 10에서와 같이 복수의 투명 표시부 화소에 대해 하나의 광 제어부 화소가 대응될 수 있다. 즉, 투명 표시부(1010)와 광 제어부(1020)는 서로 다른 화소 개수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0에서와 같이 투명 표시부 화소의 개수는 광 제어부 화소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복수의 투명 표시부 화소는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는 하나의 광 제어부 화소(1022)에 대응된다. 도 10에서는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는 2X2의 4개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를 포함하나,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는 4X4, 16X16 타입이나 2X4 타입 등 NXM의 상이한 숫자의 투명 표시부 화소들일 수 있다.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가 하나의 광 제어부 화소(1022)에 대응되는 경우에, 객체의 경계가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 중 일부만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서는,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 중 한 화소만이라도 경계에 포함되는 경우,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1012) 전체를 객체의 일부로 인식하여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에서의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표시 영상(1100)은 객체(1110),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112) 및 배경(1120)을 포함한다. 객체(1110)는 도 6에서 전술된 객체 추출 알고리즘 중 하나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112)에 의해 투과율이 제어되어 낮은 투과율을 갖도록 표시된다. 배경(1120)에 대응되는 영역은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1112) 보다 높은 투과율을 갖도록 표시된다.
도 11은 투명 표시 장치의 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도시한다. 객체(1110)에 투과되는 광은 배경(1120)에서 입사되는 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객체(1110)에 대해 보다 적은 간섭 또는 노이즈가 있으며, 객체(1110)는 간섭 또는 노이즈가 더 많이 포함되는 배경(1120)에 비해 시인성이 높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투명 표시 장치의 처리부, 투명 표시부, 및 광 제어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단계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과정으로 설명한다.
처리부는 객체를 추출하기 위해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식별한다(S100). 처리부는 입력되는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분리하고,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를 식별한다. 식별된 객체는 영상에서 중심이 되는 사물이나 사람일 수 있으며, 영상에서 중요도를 갖는 텍스트나 아이콘일 수 있다.
처리부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결정한다(S110). 인식된 객체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은 낮춰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복수의 객체 각각이 상이한 투과율을 갖도록 투과율이 결정될 수 있다. 물체와 배경은 각각 상이한 투과율을 가지며, 물체에 대응하는 영역의 투과율은 배경에 대응하는 영역의 투과율 보다 낮을 수 있다.
투명 표시부는 객체를 표시하며, 투명 표시부의 일 면에 배치된 광 제어 부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한다(S120). 따라서, 광 제어부는 투명 표시부로 투과되는 외광의 광량을 제어한다.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의해 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차광되므로, 사용자는 발광 영역으로부터 발광되는 객체에 대한 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외광으로 인한 간섭이 저감되어 객체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투명 표시 장치의 처리부, 투명 표시부, 및 광 제어부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단계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과정으로 설명한다.
이상적인 투명 표시 장치는 패널에 입력되는 영상이 뚜렷하게 잘 보이는 것과 동시에 투명 표시 장치가 투명하여 배면으로 투과되어 보이는 주변 환경도 뚜렷하게 잘 보이는 장치이다.
투명 표시 장치의 화소는 투과부 및 발광부를 포함하고 있다. 투과부 또는 발광부 어느 한쪽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인접한 투과부나 발광부의 영상 또는 주변 환경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표시 장치의 입력 영상이 최적의 시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투과부를 통해서 투과되는 광량이 인접한 발광부의 광량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것이 요구된다.
반대로, 투과되어 비춰지는 주변 환경에 대한 최적의 시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발광부의 발광량이 인접한 투과부를 통해 투과되는 광량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것이 요구된다.
즉, 투과부와 발광부의 밝기는 서로 시인성 측면에서 이율 배반적인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투명 표시 장치는 투과부 및 발광부의 시인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을 구분하고, 영역 각각에 대한 광 제어부의 투과율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영상에 대한 시인성과 투과되어 비춰지는 주변 환경에 대한 시인성을 동시에 유지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처리부는 영상에서 정보가 있는 영역과 없는 영역을 구분하고, 정보가 있는 영역을 객체로 인식한다(S200). 영상은 정보와 비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의미하는 정보와 비 정보는, 입력 영상이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정보의 유/무 여부에 따라 판단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를 통한 문서 작업의 경우, 문서 내의 동영상, 문자, 이미지 소정의 형상 및 도형들 각각은 정보를 포함하지만, 문서 내의 백색 배경은 문자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한 도구로서, 주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수 있다. 물론 배경이 다양한 색상 밝기 및 질감 등의 디자인 요소를 가질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서는 주요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주요한 정보란 특정 내용을 포함하는 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 등의 아이콘, 특정 정보를 가진 이미지 등 해당 정보가 없을 경우 정보 전달의 문제가 발생되는 특징을 가진 요소들이다.
예를 들어, 흰색 배경에 검은색 글자의 문서의 경우 검은색 글자는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단되고, 흰색 배경은 특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대로, 검은색 배경에 흰색 글자의 문서일 경우 흰색 글자는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단되고, 검은색 배경은 특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부는 정보가 있는 영역으로 구분된 영역을 객체로 인식한다. 예를 들어 흰색 배경에 검은색 문자에서 검은색 문자의 영역이 객체로 인식된다. 또한 객체로 인식되는 정보가 있는 영역은 입력 영상의 문자, 아이콘, 이미지, 동영상, 프로그램 활성 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부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한다(S210). 처리부는 정보가 없는 영역인 비 정보 영역과 정보가 있는 영역인 정보 영역 또는 인식된 객체에 대한 투과율을 상이하게 설정한다. 처리부는 정보 영역에 대해서는 투과율을 낮추도록 설정한다. 처리부는 글자가 없는 비 정보 영역에 대해서는 투과율을 높이도록 설정한다. 비 정보 영역에 대해서 투과율을 높여 비 정보 영역에서 주변 환경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흰색 배경에 검은색 글자의 문서가 일 실시예의 투명 표시부에 표시되는 경우, 글자가 없는 영역의 대부분의 픽셀들은 흰색 배경을 표시하기 위해서 흰색 광을 발광하며, 해당 영역에 인접한 투과부를 통해 시인되는 주변 환경의 시인성은 흰색 광에 의해서 저하된다. 흰색 광에 의한 주변 환경의 시인성 유지를 위해, 처리부는 추가적으로 영상에 대한 보정을 할 수 있다.
처리부는 비 정보 영역에 대한 투명 표시부의 휘도를 낮추도록 영상을 보정한다(S220). 예를 들어, 흰색 광을 발광하는 배경 영역을 구분하여 해당 영역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흰색광 발광을 낮추거나 완전히 억제할 수 있다. 비 정보 영역에서 투명 표시부의 휘도가 낮아지면, 해당 영역이 어두워지므로 주변 환경을 더 잘 볼 수 있게 되면서 동시에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투명 표시 장치의 투명성과 개방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비 정보 영역이란 주요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투과부가 더욱 투명 하게 보이게 함으로써 투명 영역의 확장을 할 수 있는 영역이다.
투명 표시부는 객체를 표시하며, 투명 표시부의 일 면에 배치된 광 제어 부는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한다(S230). 정보가 있는 영역인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에 의해 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차광되므로, 사용자는 발광 영역으로부터 발광되는 객체에 대한 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외광으로 인한 간섭이 저감되어 객체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3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명 표시 장치 제어 방법에서는 비 정보 영역 및 정보 영역의 구분에 의해 영상과 투과부를 통해 비치는 배경에 대한 시인성을 모두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투명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른 정보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투명 표시 장치(1400)는 투명 표시부(1410) 및 광 제어부(1450)를 포함한다. 투명 표시부(1410)와 광 제어부(1450)는 밀착되어 형성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4에서는 이격된 것으로 도시된다.
투명 표시부(1410)에 표시된 영상은 정보 영역(1420)과 비 정보 영역(1430)으로 구분된다. 정보 영역(1420)은 예시적으로 워드 프로세서의 프로그램 활성창으로 도시된다. 정보 영역(1420)은 프로그램 활성창의 테두리(1428), 메뉴(1426), 아이콘(1424), 문자 영역(142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영역(1420)은 프로그램 활성창 전체로 인식될 수 있으며, 메뉴(1426), 아이콘(1424), 문자 영역(1422)이 각각의 정보 영역(1420)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문자 영역(1422)만 정보 영역(1420)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 문자 형식의 정보는 시인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광 제어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최저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 정보 영역(1430)은 영상의 배경 영역으로 도시된다. 비 정보 영역(1430)은 하나의 색의 배경일 수 있으나, 도 14에서와 같이 산이 표시된 이미지일 수 있다. 처리부는 이미지가 정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비 정보 영역(1430)으로 구분한다. 처리부는 휘도가 낮아지도록 비 정보 영역(1430)의 영상을 보정한다. 비 정보 영역(1430)의 휘도를 낮춤으로써, 투과되는 후면에 대한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광 제어부(1450)는 정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1460)과 비 정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1490)으로 구분되어 도시된다. 정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1460)에 대해서는 광 제어부(1450)의 투과율이 낮아지도록 제어되며, 비 정보 영역(1430)에 대응되는 영역(1490)에 대해서는 광 제어부(1450)의 투과율이 높아지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투명 표시 장치(1400)에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의 시인성이 개선되면서 동시에 정보가 없는 영역이 투명하게 되어 투명 표시 장치(1400)에 좀더 개방감이 있는 투명한 배경이 구현되는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5에서 (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투명 디바이스(3100)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투명 디바이스(3100)는 투명 표시 장치(3110), 제어 장치(3120), 입력부(3130)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3110)는 투명 표시 장치(3110)의 적어도 일 면이 베젤프리(bezel-free) 내지는 최소한의 배젤만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 디바이스(3100)는 제어 장치(3120)에 의해 투명 표시 장치(3110)를 통한 증강 현실이나 투명 표시 장치(3110)의 다른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 구현될 수도 있다. 투명 디바이스(3100)는 버튼과 같은 별도의 입력부(3130)를 이용하여, 투명 표시 장치(311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311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는 투과 모드, 차폐 모드, 이북 모드, 투과율 자동 제어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입력부(3130)는 주변의 조도 환경에 의해 투명 표시 장치(3110)의 시인성이 급격히 나빠져 투명 표시 장치(3110) 상에 표시되는 제어창을 선택하기 곤란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 15에서 (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투명 표시 디바이스(3200) 또는 스크린의 표시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투명 표시 디바이스(3200)는 투명 표시 장치(3210)를 통해 영상과 투명 표시 장치(3210) 후면의 사물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면 디스플레이로 활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3210)에 다른 표시 장치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표시 장치의 종류에 의해 투명 표시 장치의 설계가 일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표시 장치가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투명 표시 장치(3210)가 양면 표시 장치로 작동하기 위해, 투명 표시 장치(3210)는 복수의 영상이 입력되도록 구성되거나, 양면의 표시 장치가 구동될 때 광 제어부가 입사되는 광을 차광하도록 차광 모드로 동작되게 구동될 수 있다.
투명 표시 디바이스(3200)는 투명 표시 장치(321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창(3220)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321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는 투과 모드, 차폐 모드, 이북 모드, 객체 인식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표시 장치(321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적절히 선택하여, 투명 표시 장치(3210)의 이용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5에서 (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투명 모바일 디바이스(3300)의 표시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3310)는 (c)에서 투명 모바일 디바이스(3300)에 포함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스마트폰, 핸드폰,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소형화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소형화 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자체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한정된 배터리 용량에 알맞도록 투명 표시 장치(3310)의 엘리먼트들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투명 표시 장치(3310)가 투명 모바일 디바이스(3300)의 표시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투명 모바일 디바이스(3300)의 사용자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이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투명 표시 장치(3310) 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 셀(in-cell)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표시 장치(3310)의 후면이 인식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터치 스크린은 투명 표시 장치(3310)의 양면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330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나 사물들의 근접 여부나 근접 정도에 따라 그 동작이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 (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스마트 안경(3400)의 표시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스마트 안경(3400)은 투명 표시 장치(3410)와 제어 장치(3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3410)가 스마트 안경(3400)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절단되고 다양한 모양에 알맞도록 배선 및 구동장치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인 측과 투명 표시 장치(3410)가 가까워지므로, 이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3410) 상에 적절한 광 코팅을 하거나 영상의 구동 해상도 등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15에서 (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냉장고(3500)에 포함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투명 표시 장치(3510)는 냉장고의 도어(3520)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투명 표시 장치(3510)가 냉장고의 도어(3520)로 사용되는 경우에 투명 표시 장치(3510)는 광 또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소자가 아닌 에너지를 반사하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표시 장치(3510)의 광 제어부의 대전 입자는 흑색 대전 입자가 아닌 백색 대전 입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투명 표시 장치(3510)의 후면에 있는 냉장고(3500) 내의 사물이 잘 보이도록, 투명 표시 장치(3510)는 습기 저감 코팅이 될 수도 있다.
도 15에서 (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버스 정류장의 광고 노출 장치(3600)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3610)는 (f)에서 버스 정류장의 광고 노출 장치(3600)에 포함되도록 도시되었으나, 텔레비전, 전광판 등과 같은 대형화 장치 또는 고정 장치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이 공급되므로 안정적인 공급 전원 하에서 표시 장치가 보다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투명 표시 장치(3610)의 엘리먼트들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버스 정류장의 광고 노출 장치는 지나가는 행인과 인터렉션할 수 있도록 모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는 TOF(Time of Flight)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표시 장치가 스마트 윈도우로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스마트 윈도우로 사용되기 위한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체는 필름, 보호막, 보호필름 등 스마트 윈도우로 사용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필름 또는 막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윈도우의 설치 장소에 의해 투명 표시 장치의 설계가 일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표시 장치가 화장실, 세면대, 샤워실, 부엌 등 습기가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 광 제어 장치는 습기에 강한 엘리먼트들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윈도우가 건물 외벽, 건물 유리, 차량 유리 등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용이하게 노출되는 곳에 설치되는 경우, 투명 표시 장치는 충격을 쉽게 흡수하거나, 충격으로부터의 내성이 강한 엘리먼트들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윈도우로 사용되는 경우, 광 및/또는 물리적 특성을 보강하는 각종 광학필름들을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반사필름, 확산필름, 프리즘 필름, 랜즈패턴 복합필름, 이중 휘도 향상 필름, 무반사 코팅필름, 자외선 차단 필름, 적외선 차단 필름 등이 부착되어 광 및/또는 물리적 특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된 특성에 따라 투명 표시 장치가 부착된 스마트 윈도우는 자동차의 윈도우, 스마트 도어, 프로젝션 월, 스마트 미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하드웨어(hardware)로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알고리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블록들 또는 복수의 단계는 하나의 블록 또는 하나의 단계로 통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투명 표시 장치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다르면 투과율 제어 장치는, 형태, 형상, 색상, 휘도, 명암, 크기, 위치, 윤곽, 중요도, 형식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객체의 특성에 따라서 광 제어부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의 특성은 형식을 포함하고, 형식이 문자일 때, 투과율 제어 장치는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최저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의 특성은 크기를 포함하고, 크기가 미리 결정된 크기보다 작을 때, 투과율 제어 장치는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최저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의 특성은 복수의 객체 각각의 휘도를 포함하고, 투과율 제어 장치는 각각의 휘도에 따라,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 화소 및 복수의 제2 화소는 서로 다른 화소 개수 및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제1 화소 개수는 복수의 제2 화소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과율 제어 장치는, 영상을 분석하여 정보가 있는 영역과 정보가 없는 영역을 구분하여 정보가 있는 영역은 객체로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보가 있는 영역은, 문자, 이미지, 동영상, 프로그램 창, 및 소정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과율 제어 장치는,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확장되는 광 제어부의 주변 영역을 설정하고, 주변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변 영역은, 대응되는 영역의 경계선으로부터 외부로 광 제어부 화소 기준으로 1 내지 100 픽셀이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과율 제어 장치는, 대응되는 영역, 주변 영역, 및 대응되는 영역과 주변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되는 광 제어부의 나머지 영역의 투과율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과율 제어 장치는, 주변 영역의 투과율을, 주변 영역 내에서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상승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 제어부는 반사막층을 포함하고, 전기장의 인가에 따라 정전기력을 통해 반사막층을 이동하여 투과율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 제어부는 전기장의 인가에 따라 위치가 변동 가능한 흑색 대전 입자의 퍼짐성에 의해 투과율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과율 제어 장치는 탬플릿 매칭 (template matchinig) 알고리즘, 경계선 기반 알고리즘, 임계치 기반 알고리즘, 및 중요도 맵 기반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투명 표시 장치 제어 방법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객체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위해, 객체가 접하는 영역의 투과도 보다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도를 더 낮추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는 영상에서 정보가 있는 영역과 정보가 없는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정보가 있는 영역을 객체로 인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보가 없는 영역에 대한 휘도를 감소시키도록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투명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은 정보가 없는 영역에 대한 휘도가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보가 있는 영역은, 문자, 이미지, 동영상, 프로그램 창,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의 특성은 형태, 형상, 색상, 휘도, 명암, 크기, 위치, 윤곽, 중요도, 형식 및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객체의 특성에 기초하여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의 특성은 적어도 형식을 포함하고,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형식이 문자일 때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최저로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의 특성은 적어도 크기를 포함하고,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크기가 미리 결정된 크기보다 작을 때,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의 투과율을 최저로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영상에서의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윤곽선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는 위치 정보 및 윤곽선 정보에 기초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임계 계조값을 설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임계 계조값을 통해 객체의 위치 정보 및 윤곽선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 및 윤곽선 정보에 기초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확장되는 주변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주변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변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대응되는 영역, 주변 영역, 및 대응되는 영역과 주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투과율을 각각 다르게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변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는, 주변 영역 내에서 대응되는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투과율이 점진적으로 상승 또는 감소하도록 주변 영역의 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400, 500, 1400 : 투명 표시 장치
110, 210, 1410 : 투명 표시부
115, 710, 810, 910 : 객체
120, 230, 230a, 230b, 230c, 300, 1450 : 광 제어부
125, 720, 820, 920 :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
211 : 제1 기판
212, 232 : 액티브층
213, 233 : 게이트 절연막
214, 234 : 게이트 전극
215, 235 : 층간절연막
216a, 236a : 드레인 전극
216b, 236b : 소스 전극
217, 237 : 오버 코팅층
218 : 반사층
219 : 애노드
220 : 유기 발광층
221 : 캐소드
222 : 뱅크층
223 : 봉지부
224 : 컬러 필터
225 : 제2 기판
231, 310 : 제3 기판
238, 330 : 제1 전극
239, 320 : 제4 기판
240, 340: 제2 전극
241, 242, 350 : 보호층
243, 360 : 격벽
244, 380 : 유체
245, 370, 375 : 흑색 대전 입자
250 : 기판
410, 510 : 처리부
515 : 제어부
420, 540, 1010 : 투명 표시부 패널
520 : 투명 표시부 패널 구동부
430, 550, 1020 : 광 제어부 패널
530 : 광 제어부 패널 구동부
560 : 입력부
421 : 투명 표시부 타이밍 컨트롤러
422 : 투명 표시부 데이터 구동부
423 : 투명 표시부 스캔 구동부
431 : 광 제어부 타이밍 컨트롤러
432 : 광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
433 : 광 제어부 스캔 구동부
600 : 투과율 제어 장치
610 : 추출부
620 : 투과율 결정부
922 : 객체 경계선 규정 영역
924 : 객체 주변 영역
730, 830, 930 : 사용자가 시인하는 객체
1012 : 일 세트의 투명 표시부 화소
1022 : 하나의 광 제어부 화소
1100 : 표시 영상
1110 : 객체
1112 :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
1120 : 배경
1420 : 정보 영역
1422 : 문자 영역
1424 : 아이콘
1426 : 메뉴
1428 : 프로그램 활성창의 테두리
1430 : 비 정보 영역
1460 : 정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
1490 : 비 정보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
3100 : 투명 디바이스
3200 : 투명 표시 디바이스
3300 : 투명 모바일 디바이스
3400 : 스마트 안경
3500 : 냉장고
3520 : 냉장고 문
3600 : 광고 노출 장치
3110, 3210, 3310, 3410, 3520, 3610 : 투명 표시 장치.
3120, 3420 : 제어장치
3130 : 입력부
3220 : 제어창

Claims (20)

  1. 투명 표시 장치로서,
    영상의 표시를 위한 발광 영역 및 상기 투명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광의 광량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 영역을 갖는 투명 표시부; 및
    상기 영상에서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에서 상기 투명 표시부의 상기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된 상기 외광의 광량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에 대한 조정가능한 투과율을 갖는, 상기 투명 표시부와 중첩하는 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영역에서의 광 투과부의 상기 조정가능한 투과율의 조정함으로써 상기 투명 표시부의 상기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되는 상기 외광의 상기 광량 조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영역에서의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조정가능한 투과율의 조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영역에서의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제어가능한 투과율의 조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의 휘도(luminance) 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영역에서의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제어가능한 투과율의 조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영역에서의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제어가능한 투과율의 조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영역에서의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제어가능한 투과율의 조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색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영역에서의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제어가능한 투과율의 조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표시부는 상기 발광 영역 및 상기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광 제어부는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화소와 상기 복수의 제2 화소는 수와 크기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의 경계 내 상기 객체 영역의 제1 부분에서 제1 투과율 수준으로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조정가능한 투과율을 제어하고, 상기 객체의 경계 외 상기 객체 영역의 제2 부분에서 제1 투과율과는 상이한 제2 투과율로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조정가능한 투과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과율 수준은 상기 제1 투과율 수준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영역의 크기는 상기 객체의 크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영역은 상기 객체의 경계보다 모든 면 상(on all sides)에서 더 크고,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영역은 미리 결정된 화소의 수로 상기 객체의 경계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영상 매칭 알고리즘으로 상기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객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객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17. 투명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투명 표시 장치의 발광 영역 상에 표시되기 위한 영상에서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투명 표시 장치는 상기 투명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광의 광량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투명 표시부의 상기 발광 영역에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에서 상기 투명 표시부의 상기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된 상기 외광의 상기 광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표시 장치는 상기 투명 표시부와 중첩하는 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제어부는 상기 외광에 대한 조정가능한 투과율을 가지고,
    상기 외광의 상기 광량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영역에서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조정가능한 투과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부의 상기 조정가능한 투과율은 상기 객체의 적어도 하나의 특정에 기초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표시 장치 제어 방법.
  20. 투명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한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투명 표시 장치의 발광 영역 상에 표시되기 위한 영상에서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투명 표시 장치는 상기 투명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외광의 광량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객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투명 표시부의 상기 발광 영역에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에서 상기 투명 표시부의 상기 투과 영역을 통해 투과된 상기 외광의 상기 광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30169495A 2012-12-31 2013-12-31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4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92 2012-12-31
KR20120157792 2012-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041A true KR20140088041A (ko) 2014-07-09
KR102204788B1 KR102204788B1 (ko) 2021-01-19

Family

ID=5101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495A KR102204788B1 (ko) 2012-12-31 2013-12-31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94286B2 (ko)
KR (1) KR102204788B1 (ko)
WO (1) WO2014104802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972A (ko) * 2014-10-22 2016-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표시 장치
KR20160083247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9115A (ko) * 2015-05-26 2016-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65752A (ko) * 2015-12-04 2017-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72119A (ko) * 2015-12-16 2017-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36181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90073104A (ko) * 2017-12-18 2019-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65515B1 (ko) * 2018-11-02 2020-01-13 주식회사 라온텍 유효 영상만을 출력하기 위한 증강현실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증강현실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유효 영상만을 출력하는 방법
US11482581B2 (en) 2019-07-11 2022-10-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620884B1 (ko) * 2023-07-04 2024-01-04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Led 디지털 사이니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0692A (zh) * 2013-12-27 2014-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10554962B2 (en) 2014-02-0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high transparency display for light field generation
US10565925B2 (en) 2014-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US10453371B2 (en) * 2014-02-0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display with color and contrast enhancement
US10375365B2 (en) 2014-02-0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CN106104374B (zh) * 2014-03-18 2019-04-30 Nlt科技股份有限公司 光调制元件和智能玻璃
US9423665B2 (en) * 2014-03-24 2016-08-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mbient light adjustment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3955099B (zh) * 2014-04-28 2016-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102266468B1 (ko) * 2014-07-18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점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1976B1 (ko) * 2014-10-08 2021-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21010B1 (ko) * 2015-01-09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514706B1 (en) * 2015-05-28 2016-12-06 Chunghwa Picture Tubes,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image adjustment method thereof
EP3310607A4 (en) * 2015-06-22 2019-02-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TRANSPARENT SCREEN WITH ADJUSTABLE MASKING SCREEN
CN104965338A (zh) * 2015-07-20 2015-10-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362126B1 (ko) * 2015-08-31 2022-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CN106873209B (zh) * 2015-09-30 2021-05-11 乐金显示有限公司 光控制装置、包括其的透明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405312B1 (ko) * 2015-10-06 2022-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장치, 그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10048560B1 (en) 2015-12-01 2018-08-14 Apple Inc. Transparent structure with controllable lighting
KR102459413B1 (ko) * 2015-12-09 2022-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US9927606B1 (en) * 2015-12-17 2018-03-27 Amazon Technologies, Inc. Eletrowe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internal diffuser
JP6602950B2 (ja) 2016-03-03 2019-11-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システム
KR102520108B1 (ko) * 2016-06-07 2023-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이의 구동 방법, 및 이미지 취득 장치
KR20180050847A (ko) * 2016-11-07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672841B2 (en) * 2016-11-18 2020-06-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transmission and emission are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06120B1 (ko) * 2016-12-20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80077953A (ko) * 2016-12-29 201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장치
CN107632454B (zh) * 2017-11-10 2020-07-28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显示面板的制作方法及驱动方法
TWI660634B (zh) 2017-12-26 2019-05-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雙介質顯示面板之驅動方法及應用其之電子裝置及顯示系統
US20190313086A1 (en) * 2018-04-09 2019-10-10 Kristina Contrera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objects in a reflective augmented reality system
EP3636478B1 (en) * 2018-10-08 2021-01-13 Audi Ag A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EP3659847B1 (en) * 2018-11-30 2020-10-07 Audi Ag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of a motor vehicle, control module, and motor vehicle
CN113366554A (zh) * 2018-12-11 2021-09-07 Agc株式会社 具备透明显示器的透明玻璃
CN111952334B (zh) * 2019-05-17 2023-05-12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US20210054690A1 (en) * 2019-08-23 2021-02-25 Victor Ramirez Systems and methods for tintable car windows having display capabilities
JP2020004737A (ja) * 2019-10-09 2020-01-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DE102020126083A1 (de) * 2019-10-28 2021-04-29 Audi Aktiengesellschaft Anzeigevorrichtung mit einer transparenten Pixelmatrix zum Anzeigen von auswählbaren graphischen Objekten sowie Kraftfahrzeug und Betriebsverfahren für die Anzeigevorrichtung
US11758791B2 (en) * 2019-10-28 2023-09-12 Sage Electrochromics, Inc. Non-light-emitting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and a light-emitting device assembly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113132767A (zh) * 2019-12-30 2021-07-16 星络智能科技有限公司 存储介质、视频推送方法和系统
DE102020112221A1 (de) 2020-05-06 2021-11-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JP7481339B2 (ja) 2020-05-21 2024-05-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WO2021234981A1 (ja) * 2020-05-21 2021-11-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CN113113454A (zh) * 2021-03-26 2021-07-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6686409A (zh) * 2021-12-27 2023-09-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4501A1 (en) * 2003-09-11 2005-03-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parent display device
JP2005138801A (ja) * 2003-11-10 2005-06-02 Calsonic Kansei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56932A (ko) * 2006-12-19 2008-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237B1 (ko) * 2005-12-14 2013-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WO2008102332A1 (en) * 2007-02-25 2008-08-28 Micro Components Ltd. Optically monitoring an alox (tm) fabrication process
US8054391B2 (en) 2008-03-28 2011-11-08 Motorola Mobility, Inc. Semi-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JP5262869B2 (ja) * 2009-03-12 2013-08-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サーバ、mfp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334107B1 (ko) 2010-04-22 2013-12-16 주식회사 굿소프트웨어랩 차량용 멀티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2893321A (zh) 2010-05-12 2013-01-2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JP5309081B2 (ja) 2010-05-12 2013-10-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885698B1 (ko) * 2011-06-27 2018-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US9529197B2 (en) * 2012-03-21 2016-12-27 Google Inc.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4501A1 (en) * 2003-09-11 2005-03-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parent display device
JP2005138801A (ja) * 2003-11-10 2005-06-02 Calsonic Kansei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80056932A (ko) * 2006-12-19 2008-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972A (ko) * 2014-10-22 2016-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표시 장치
KR20160083247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9115A (ko) * 2015-05-26 2016-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893134B2 (en) 2015-05-26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KR20170065752A (ko) * 2015-12-04 2017-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72119A (ko) * 2015-12-16 2017-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36181A (ko) * 2016-09-30 2018-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90073104A (ko) * 2017-12-18 2019-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9994521A (zh) * 2017-12-18 2019-07-09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和有机发光显示面板
KR102065515B1 (ko) * 2018-11-02 2020-01-13 주식회사 라온텍 유효 영상만을 출력하기 위한 증강현실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증강현실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유효 영상만을 출력하는 방법
US11482581B2 (en) 2019-07-11 2022-10-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620884B1 (ko) * 2023-07-04 2024-01-04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Led 디지털 사이니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5129A1 (en) 2014-07-03
WO2014104802A1 (en) 2014-07-03
US9594286B2 (en) 2017-03-14
KR102204788B1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788B1 (ko)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7856B1 (ko) 투명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2675043C2 (ru) Прозр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US9551913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400732B2 (ja) 透明ディスプレイを備える透明ガラス、コントローラー、透明表示機器、及び透明ガラスの用法
EP3032525B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9916635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89515B2 (en) Organic light-enitting diode display panel for fingerprint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281670A1 (en) Display panel and terminal
US2018016498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1761543B1 (ko)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의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
CN109348011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US9170643B2 (en) Display system containing an adaptive semi-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ans for detecting the landscape viewed by the user
CN109327576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4919357A (zh) 透明显示设备的图像处理方法及其设备
US20170278443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splay system
CN109286704A (zh) 电子设备
CN111200672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09167861B (zh)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CN109361793B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JP2021059150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0145945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CN110969949A (zh) 复合型显示屏、复合型显示屏模块和其显示控制方法
CN109327574B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TWI689909B (zh) 透明顯示系統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