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502A -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502A
KR20140087502A KR1020120157865A KR20120157865A KR20140087502A KR 20140087502 A KR20140087502 A KR 20140087502A KR 1020120157865 A KR1020120157865 A KR 1020120157865A KR 20120157865 A KR20120157865 A KR 20120157865A KR 20140087502 A KR20140087502 A KR 20140087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meth
acryl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화
백인걸
임종철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502A/ko
Priority to PCT/KR2013/001723 priority patent/WO2014104471A1/ko
Publication of KR2014008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50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Abstract

본 발명은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B)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 (C) 무기충진재, (D) 백색안료, (E) 광안정제 및 (F) 소듐 포스페이트 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 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은 내열성, 반사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은 저하되지 않고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iscoloration in High Temperature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열성, 반사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은 저하되지 않고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서 폴리아미드(polyamide, PA) 수지의 역사는 이미 40년에 가깝지만 아직도 여전히 수요는 왕성하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PA6, PA66, PA610, PA612, PA11, PA12, PA6T, PA6I, PA9T 및 이들의 공중합체, 블렌드(blend) 등 기본적으로 종류가 많으며, 제각기 유용한 특징이 있고 다양한 성능을 창출할 수 있으므로 큰 수요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유리섬유와 같은 무기질 보강재를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성과 내열성이 크게 향상되어 구조재나 자동차의 내-외장재에 적용이 되고 있다.
저전력 소모, 장기간의 수명 및 기타 이점으로 인하여, 최근 발광다이오드(LED) 및 유기 전기발광(EL) 장치와 같은 신규 광원이 조명, 표시 장치 및 기타 요구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뛰어난 에너지 효율 및 수명으로 인하여, 최근 기존의 많은 광원을 급속히 대체하며 각광을 받고 있는 LED의 부속인 리플렉터(reflector), 리플렉터 컵(reflector cup), 스크램블러(scrambler) 또는 하우징(housing) 등에 사용되는 소재로써, 유리섬유가 보강되고, 주사슬에 벤젠고리를 포함하는 고내열성 변성-폴리아미드계 수지, 즉 PPA(polyphthalamide)계 수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수지가 LED의 제조 공정상에서 발생하는 높은 온도를 견뎌야 하고, 백색도가 높아 반사율이 뛰어나야 함과 동시에, 제품 사용시 지속적으로 조사되는 광원에 의한 황변화로 인해 백색도 저하를 최소화시켜야 하며, 또한 전기가 통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환경 규제로 인하여, 납이 없는 접합이 주요하게 되고, 납이 없는 접합으로 주석-은 합금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납이 없는 접합은 통상적인 납땜보다 더 높은 용융점(대략 260℃)을 가지며, 이에 적용될 수 있는 소재는 액정고분자(LCP),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및 PPA계 수지에 한정된다.
LED는 일반적으로 빛을 발하는 반도체 부분, 전선, 또한 하우징으로서 제공되는 반사판(reflector), 및 반도체 부분을 봉합하는 투명 봉합체로 구성된다. 이들 부분 중, 반사판은 다양한 소재, 예컨대 세라믹 또는 내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세라믹의 경우 생산성이 문제가 되고, 내열 플라스틱의 경우, 사출 성형 시, 봉합재의 열경화 시 또는 사용시 실제 환경 조건 하에서 색상 변화로 인한 광학 반사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69798호는 폴리아미드 수지에 무기충진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및 나노 충진재를 사용하여 낮은 열팽창계수 및 일정한 충격강도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자동차 외판에 사용되기 위한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에 해당한다.
본 발명자는 LED 반사판의 소재로 사용되어온 종래의 세라믹이나 내열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사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열성, 반사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은 저하되지 않고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B)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 (C) 무기충진재, (D) 백색안료, (E) 광안정제 및 (F) 소듐 포스페이트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10 내지 70 중량%,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5 내지 70 중량%, 무기충진재(C) 5 내지 30 중량% 및 백색안료(D)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안정제(E) 0.01 내지 2 중량부 및 소듐 포스페이스 염(F) 0.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10 내지 100 몰% 포함된 디카르복실산과 C4 내지 C2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을 포함하는 단량체들의 축중합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m은 4 내지 12, n은 50 내지 500의 정수임.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는 아크릴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선형 구조의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아릴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 (메타)아크릴산 아릴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또는 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아크릴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총량에 대하여 4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는 아크릴계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기충진재(C)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붕소섬유, 유리비드, 유리플레이크, 카본블랙, 활석, 클레이, 카올린,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티탄산칼륨 휘스카, 붕산알미늄 휘스카, 산화아연 휘스카, 칼슘 휘스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충진재(C)로 월라스토나이트가 있고, 상기 월라스토나이트는 평균길이가 0.1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안료(D)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연백, 황산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광안정제(E)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계 화합물,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은 인산 일수소 나트륨, 인산 이수소 나트륨, 인산 나트륨, 피로인산 나트륨, 산성 피로인산 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형광증백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색차계로 440nm 파장에서 측정한 초기 반사율이 92% 이상이고, 온도 85℃, 상대습도 85% 에서 150 시간 방치 전/후 440nm 파장에서 측정한 반사율 감소가 5% 미만이며, 온도 170℃ 에서 24 시간 방치 전/후 측정한 황색도 변화(△YI)가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ASTM D256에 준하여 1/8 inch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Izod 충격강도가 25 내지 40 kgf·cm/cm이고, ASTM D648에 준하여 18.6 kgf 하중 하에서 1/4 inch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200 내지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열성, 반사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은 저하되지 않고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내열성, 반사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은 저하되지 않고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B)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 (C) 무기충진재, (D) 백색안료, (E) 광안정제 및 (F) 소듐 포스페이트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10 내지 70 중량%,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5 내지 70 중량%, 무기충진재(C) 5 내지 30 중량%, 및 백색안료(D)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광안정제(E) 0.01 내지 2 중량부, 및 소듐 포스페이스 염(F) 0.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주사슬에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구조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aromatic dicarboxylic acid)이 10 내지 100 몰%(mole%)가 포함된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과 C4 내지 C2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aliphatic or alicyclic diamine)을 포함하는 단량체(monomer)들의 축중합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이 있으며, 이들은 하기 화학식 1 및 2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슬(main chain)에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TPA)
[화학식 2]
Figure pat00003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
대표적인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4
상기 식에서, m은 4 내지 12, n은 50 내지 50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3의 대표적인 예로는 PA6T(m=6), 및 PA10T(m=10)가 있다. PA6T(m=6)는 헥사메틸렌 디아민(hexamethylene diamine)과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의 축중합에 의해 제조되며, PA10T(m=10)는 1,10-데칸 디아민(1,10-decanediamine)과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과의 축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의 유용한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는 주사슬에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PA6T), 폴리카프로아미드/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공중합체(PA6/6T),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공중합체(PA66/6T),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폴리헥사메틸렌 이소프탈아미드 공중합체(PA66/6I),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헥사메틸렌 이소프탈아미드 공중합체(PA6T/6I),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도데카아미드 공중합체(PA6T/12),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파미드/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헥사메틸렌 이소프탈아미드 공중합체(PA66/6T/6I),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폴리 2-메틸펜타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공중합체(PA6T/M5T), 폴리노나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PA9T), 폴리데카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PA10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무기충진재(C) 및 백색안료(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한다.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도가 저하될 수 있고,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고온 내변색성이 저하될 수 있다.
(B)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
일반적으로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충격보강제로 사용되나, 본 발명의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는 고온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변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는 선형(linear) 구조를 갖기 때문에 충격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과는 구조가 상이하다.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는 아크릴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선형구조의 단량체 또는 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아릴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기이고, 아릴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의 아릴기이고, 사이클로알킬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의 사이클로알킬기이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 (메타)아크릴산 아릴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또는 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원료 단량체를 현탁중합법, 괴상중합법, 유화중합법 등의 공지의 중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크릴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총량에 대하여 4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 5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아크릴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상기 함량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고온 내변색성이 우수하다.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는 아크릴계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의 예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예로는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테로 고리 화합물의 예로는 무수말레인산,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계 화합물, 방향족 비닐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화합물 40 내지 99.8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0.1 내지 40 중량% 및 시안화 비닐 화합물 0.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함량범위 내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공중합체의 중합시 중합 안정성이 우수하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광택이 우수하다.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중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 내지 20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50,000 g/mol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120,000 g/mol이다.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질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및 내충격성의 우수한 물성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중량평균 분자량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진 적어도 2종의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종의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를 사용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및 내충격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무기충진재(C) 및 백색안료(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70 중량%를 포함한다.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고온 내변색성이 저하될 수 있고, 아크릴계 중합체(B)의 함량이 70 중량% 초과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C) 무기충진재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 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입자 형태가 다양한 무기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기충진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붕소섬유, 유리비드, 유리플레이크, 카본블랙, 활석, 클레이, 카올린,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및 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침상 무기충진재로서는 월라스토나이트, 티탄산칼륨 휘스카, 붕산알미늄 휘스카, 산화아연 휘스카, 칼슘 휘스카 및 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충진재(C)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밀착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당한 유기물질로 표면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기충진재(C)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굴곡탄성률 등의 기계적 특성 및 열변형 온도 등의 내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박막 성형과 같은 미세 성형 분야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상기 무기충진재 중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박막 성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월라스토나이트를 무기충진재로 사용할 수 있다. 두께 1 mm 이하의 박막 성형과 같은 미세 성형 분야에서 월라스토나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우수한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며, 성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월라스토나이트의 평균 길이는 0.1 내지 11 ㎛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월라스토나이트의 겉보기 밀도(bulk density, tapped)는 0.1 내지 2 g/cm3,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g/cm3 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월라스토나이트의 단면은 사각형 외에도 특수한 사용용도에 따라 단면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월라스토나이트의 형상은 어떠한 종류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충진재(C)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무기충진재(C) 및 백색안료(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무기충진재(C)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와 같은 기계적 특성 및 내열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무기충진재(C)의 함량이 30 중량% 초과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외관이 나빠질 수 있다.
(D) 백색안료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분한 반사율을 구현하기 위하여, 백색안료(D)를 필수 구성요소로서 사용하여야 한다.
사용하는 백색안료(D)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연백, 황산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백색안료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백색안료(D)는 실란 커플링제 또는 티탄 커플링제 등으로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비닐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 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실란계 화합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색안료(D)로 이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백색안료(D)로 이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반사율, 은폐성이라는 광학특성이 향상된다. 이산화티탄은 일반적인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조방법, 입경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산화티탄은 무기 표면처리제 또는 유기 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표면처리제로는 산화 알루미늄(알루미나, Al2O3), 이산화규소(실리카, SiO2), 이산화지르콘(지르코니아, ZrO2), 규산나트륨, 알루민산나트륨, 나트륨 규산알루미늄, 산화아연, 운모 등이 있다. 유기 표면처리제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트리메틸프로판(TMP), 펜타에리트리톨 등이 있다. 무기 또는 유기 표면처리제는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해서 약 2 중량부 이하로 표면처리된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 표면처리제인 알루미나(Al2O3)가 이산화티탄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중량부 미만으로 코팅된 이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나로 표면처리된 이산화티탄은 이산화규소, 이산화지르콘, 규산나트륨, 알루민산나트륨, 나트륨 규산알루미늄, 운모 등의 무기 표면처리제나 폴리디메틸실록산, 트리메틸프로판(TMP), 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유기 표면처리제로 더 개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색안료(D)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무기충진재(C) 및 백색안료(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백색안료(D)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황변성 및 반사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백색안료(D)의 함량이 50 중량% 초과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E)  광안정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변색을 방지하고, 반사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광안정제(E)를 사용할 수 있다. 
광안정제(E)로서는 벤조페논(benzophenone)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salicylate)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계 화합물, 그 밖의 공명구조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 효과가 있는 화합물,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계 화합물, 힌더드 페놀(hindered phenol)계 화합물 등의 라디칼(radical) 포착 능력이 있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 효과가 있는 화합물과 라디칼(radical) 포착능력이 있는 화합물을 병용하면 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안정제(E)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무기충진재(C) 및 백색안료(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한다. 광안정제(E)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변색성 및 반사성이 저하될 수 있고, 2 중량부 초과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고온 내변색성이 저하될 수 있다.
(F) 소듐 포스페이트
본 발명의 소듐 포스페이스 염(F)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분한 반사율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열변색 안정성, 가수분해 안정성 및 광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백색안료(D)와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을 동시에 적용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분한 백색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변색 안정성도 매우 우수해진다. 소듐 포스페이트 염은 그 자체로도 백색도가 높기 때문에, 이를 혼합하여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반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열변색 안정성 및 가수분해 안정성이 뛰어난 소듐 포스페이트 염을 포함하게 되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고온/고습 조건에서 방치 후에도 색상 변성도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반사율의 저하도 거의 일어나지 않는 열변색 안정성 및 가수분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산(acid)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열변색 안정성 및 가수분해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인산 이수소 나트륨, 인산 일수소 나트륨, 인산 나트륨, 피로인산 나트륨, 산성 피로인산 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는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소듐 포스페이트 염이라면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절하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은 일반적으로 제조방법, 입경이 한정되지 않으며,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 및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matrix) 내에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표면처리제로는 실란(silane), 에폭시 실란(epoxy silane) 등의 실란 커플링제, 티탄 커플링제, 유기산, 폴리올(polyol), 실리콘 등의 유기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무기충진재(C) 및 백색안료(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가 포함된다.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안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반사성이 저하될 수 있고,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의 함량이 2 중량부 초과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및 내황변성이 저하될 수 있다.
(G) 첨가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형광증백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염료 및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G)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무기충진재(C) 및 백색안료(D)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형광증백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4-(벤조옥사졸-2-일)-4'-(5-메틸벤조옥사졸-2-일)스틸벤 또는 4,4'-비스(벤조옥사졸-2-일)스틸벤 등과 같은 스틸벤-비스벤조옥사졸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린산의 금속염, 몬탄산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가 사용될 수 있고, 핵제로는 탈크 또는 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 또는 칩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성형품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성형품을 성형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압출, 사출, 중공, 압축 혹은 캐스팅 성형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색차계로 440 nm 파장에서 측정한 초기 반사율이 92% 이상이고, 온도 85℃, 상대습도 85%에서 150시간 방치 전/후 440 nm 파장에서 측정한 반사율 감소가 5% 미만이며, 온도 170℃에서 24시간 방치 전/후 측정한 황색도 변화(△YI)가 5 미만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ASTM D256에 준하여 1/8 inch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Izod 충격강도가 25 내지 40 kgf·cm/cm이고, ASTM D648에 준하여 18.6 kgf 하중 하에서 1/4 inch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200 내지 250℃ 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반사성, 내열성, 내충격성 및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제품의 성형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백색안료, 광안정제, 소듐 포스페이트 염을 동시에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하여 내열성, 반사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온/고습 조건에서 장시간 방치 후에도 반사율 및 황변도가 저하되지 않는 등 내변색성이 우수하므로, 고온/고습의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LED 반사판의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LED 반사판뿐만 아니라, 그 외 다른 광선을 반사하는 용도라면 그 어디에라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전기전자 부품, 실내 조명, 실외 조명, 자동차 조명, 표시 기기, 헤드 라이트 등의 발광 장치용 반사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사용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무기충진재(C), 백색안료(D), 광안정제(E),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A-1) 폴리아미드 수지(PA10T)
테레프탈산과 1,10-데칸 디아민과의 축중합에 의해 제조된 주사슬에 방향족 고리가 포함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인 PA10T를 사용하였다.
(A-2) 폴리아미드 수지(PA6T)
테레프탈산과 헥사메틸렌 디아민과의 축중합에 의해 제조된 주사슬에 방향족 고리가 포함된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인 PA6T를 사용하였다.
(B)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
(B-1)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페닐메타아크릴리에트 30 중량%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70 중량%를 포함하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20,000 g/mol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B-2)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g/mol 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C) 무기충진재
무기충진재로 평균 길이가 2.2 ㎛이고, 겉보기 밀도가 0.77 g/cm3 인 월라스토나이트로NYCO社의 NYAD 5000을 사용하였다.
(D) 백색안료
백색안료로 이산화티탄인 Kronos社의 KRONOS 2233을 사용하였다.
(E) 광안정제
광안정제로 BASF社의 CHIMASSORB 944를 사용하였다.
(F) 소듐 포스페이트 염
소듐 포스페이트 염으로 Innophos社의 산성 피로인산 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5
하기 표 1의 함량에 따라 각 구성 성분을 첨가하고 240 내지 350℃로 가열된 이축 용융압출기 내에서 용융/혼련시켜 펠렛(pellet) 상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펠렛을 130℃의 온도에서 5 시간 이상 건조시킨 다음, 240 내지 330℃로 가열된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물성 평가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1에서 (A), (B), (C) 및 (D)의 혼합비는 (A), (B), (C) 및 (D)의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중량%로 나타낸 것이고, (E) 및 (F)는 (A), (B), (C) 및 (D)의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량부로 나타낸 것이다.
구성 성분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 2 3 4 5
(A) (A-1)  50 55 50 - - - - - - 60 - 58 - 80
(A-2)  - - - 55 40 45 20 45 35 - 60 - - -
(B) (B-1) 10 5 - 5 - - - 20 50 - - - - -
(B-2) - - 10 - 15 20 50 - - - - 2 75 -
(C) 10 10 15 25 10 15 15 15 5 - 10 30 10 10
(D) 30 30 25 15 35 20 15 20 10 40 30 10 15 10
(E) 1 1 1 0.5 0.5 0.5 0.5 0.3 0.3 1 2 2 0.5 0.5
(F) 0.5 1 2 2 2 1 1 0.5 1 - 1 1 1 0.5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내열성(HDT): ASTM D648에 준하여 1/4 inch 두께의 시편을 18.6 kgf의 하중으로 열변형 온도(HDT)를 측정하였다.
(2) 반사성(반사율): Konica Minolta社 3600D CIE Lab. 색차계로 440 nm 파장에서의 초기 반사율(SCI, specular component included)을 측정하고, 온도 85℃, 상대습도 85%에서 150시간 방치 후 다시 반사율을 측정하여, 반사율의 감소를 평가하였다.
(3) 내황변성(황색도): Konica Minolta社 3600D CIE Lab. 색차계로 초기 황색도(yellow index, YI)를 측정하고, 온도 170℃에서 24시간 방치 후 다시 황색도를 측정하여, 황색도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4) 내충격성(Izod 충격강도): ASTM D256에 준하여 1/8 inch 두께의 unnotched 시편에 대해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 2 3 4 5
HDT(℃) 221 225 232 245 220 245 210 243 215 125 235 260 90 270

반사율(%)
항온/항습 전
93.4

93.2

94.5

92.9

94.5

93.2

93.1

93.4

93.1

94.8

90.5

84.2

89.4

93.1
항온/항습 후
92.2

91.2

92.3

91.2

90.8

91.1

91.3

92.0

91.4

90.5

80.2

73.0

85.4

89.2
반사율 차이 1.2 2.0 2.2 1.7 3.7 2.1 1.8 1.4 1.7 4.3 10.3 11.2 4.0 3.9

황색도(-)
항온 전 3.2 3.3 3.7 4.2 3.9 3.7 3.5 3.8 3.4 3.1 3.3 6.2 5.8 3.4
항온 후 7.4 8.2 7.8 8.8 8.2 7.4 7.2 7.9 7.3 11.8 16.5 14.9 8.4 11.8
황색도 차이 4.2 4.9 4.1 4.6 4.3 3.7 3.7 4.1 3.9 8.7 13.2 8.7 2.6 8.4
Izod 충격강도
(kgf·cm/cm)
28.4 33.2 31.2 31.5 29.5 29.4 26.5 28.4 26.8 14.5 28.8 31.2 5.4 28.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 내충격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항온/항습 평가에서 반사율 유지 특성 및 항온 평가에서 황색도 유지 특성이 뛰어나 고온 내변색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 실시예 2와 같이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를 사용하지 않거나, 비교 실시예 3과 같이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를 본 발명의 범위 밖으로 소량 사용한 경우, 우수한 황색도 유지 특성을 확보할 수 없어 고온 내변색성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무기충진재(C)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 실시예 1은 내열성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8)

  1. (A)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B)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
    (C) 무기충진재;
    (D) 백색안료;
    (E) 광안정제; 및
    (F) 소듐 포스페이트 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 10 내지 70 중량%;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5 내지 70 중량%; 상기 무기충진재(C) 5 내지 30 중량%; 및 상기 백색안료(D)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광안정제(E) 0.01 내지 2 중량부; 및 상기 소듐 포스페이스 염(F) 0.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10 내지 100 몰%가 포함된 디카르복실산과 C4 내지 C20의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아민을 포함하는 단량체들의 축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A)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m은 4 내지 12, n은 50 내지 500의 정수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는 아크릴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선형 구조의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아릴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폴리(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 (메타)아크릴산 아릴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사이클로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의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또는 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 총량에 대하여 40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중합체(B)는 아크릴계 화합물과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재(C)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붕소섬유, 유리비드, 유리플레이크, 카본블랙, 활석, 클레이, 카올린,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티탄산칼륨 휘스카, 붕산알미늄 휘스카, 산화아연 휘스카, 칼슘 휘스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재(C)는 월라스토나이트이고, 상기 월라스토나이트는 평균 길이가 0.1 내지 11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안료(D)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연백, 황산아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안정제(E)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아크릴로니트릴계 화합물,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포스페이트 염(F)은 인산 일수소 나트륨, 인산 이수소 나트륨, 인산 나트륨, 피로인산 나트륨, 산성 피로인산 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형광증백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보강재, 무기물 첨가제, 안료, 염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색차계로 440 nm 파장에서 측정한 초기 반사율이 92% 이상이고, 온도 85℃, 상대습도 85%에서 150 시간 방치 전/후 440 nm 파장에서 측정한 반사율 감소가 5% 미만이며, 온도 170℃에서 24 시간 방치 전/후 측정한 황색도 변화(△YI)가 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ASTM D256에 준하여 1/8 inch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Izod 충격강도가 25 내지 40 kgf·cm/cm이고, ASTM D648에 준하여 18.6 kgf 하중 하에서 1/4 inch 두께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200 내지 2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20157865A 2012-12-31 2012-12-31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40087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865A KR20140087502A (ko) 2012-12-31 2012-12-31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CT/KR2013/001723 WO2014104471A1 (ko) 2012-12-31 2013-03-05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865A KR20140087502A (ko) 2012-12-31 2012-12-31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502A true KR20140087502A (ko) 2014-07-09

Family

ID=5102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865A KR20140087502A (ko) 2012-12-31 2012-12-31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87502A (ko)
WO (1) WO20141044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248A (ko) * 2017-12-12 2019-06-20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5753A (zh) * 2019-03-22 2019-08-09 祥兴(福建)箱包集团有限公司 一种拉杆箱脚轮用碳纤增强尼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041697A (zh) * 2019-03-22 2019-07-23 祥兴(福建)箱包集团有限公司 一种拉杆箱脚轮用高磨低损尼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304909A (zh) * 2021-09-16 2022-11-08 苏州特莱恩塑胶技术有限公司 一种室外用新型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635B1 (ko) * 1997-01-21 1999-06-15 김인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7282535B2 (en) * 2001-05-14 2007-10-16 Kaneka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0602846B1 (ko) * 2003-12-19 2006-07-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10067483A (ko) * 2009-12-14 2011-06-22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8530571B2 (en) * 2009-12-21 2013-09-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mide compositions having high acid ends
KR101333587B1 (ko) * 2010-12-21 2013-11-28 제일모직주식회사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248A (ko) * 2017-12-12 2019-06-20 롯데첨단소재(주) 레이저 직접 구조화 공정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4471A1 (ko)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579B1 (ko) 반사성,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KR101566063B1 (ko) 표면광택도, 반사성, 내황변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9150704B2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EP2610313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thin-wall moldability
TWI445764B (zh) 具有良好反射率、耐衝擊強度、耐熱性、耐水性之聚醯胺樹脂組成物及其製造方法
KR20140099138A (ko) 광안정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566062B1 (ko) 발광장치 리플렉터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03390B1 (ko) 초기 반사성, 고온 및 고온/고습 내황변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5646120B1 (ja) 半芳香族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20140087502A (ko) 고온에서 내변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20110251330A1 (en) Nylon-Based Alloy Resin Compostion and Light Emitting Diode (LED) Reflector Using the Same
KR101581080B1 (ko) 박막 성형성을 비롯한 물성을 향상시킨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231020B1 (ko) 반사성,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9954B1 (ko) 발광장치 리플렉터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762484B1 (ko) 고온 광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436081B1 (ko) 표면 광택도 및 표면 반사율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