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310A - 케이블용 정착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310A
KR20140087310A KR1020120157142A KR20120157142A KR20140087310A KR 20140087310 A KR20140087310 A KR 20140087310A KR 1020120157142 A KR1020120157142 A KR 1020120157142A KR 20120157142 A KR20120157142 A KR 20120157142A KR 20140087310 A KR20140087310 A KR 2014008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s
watertight member
watertight
guid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499B1 (ko
Inventor
김진국
성택룡
노명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2012015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4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16G11/05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by using conical plugs insertable between the str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영역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연선들이 통과하는 내부공간부가 구비되는 정착구전단부와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강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파이프와 가이드파이프 및 내부공간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강연선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며, 강연선들을 따라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수밀부재 및 내부공간부를 충진하는 충진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착전단부의 내부공간부에 강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파이프를 각각의 강연선마다 설치함으로써, 수밀구조가 정착장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용 정착장치{FIXING MECHANISM FOR THE CABLE }
본 발명은 구조용 케이블용 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용 케이블용 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용 케이블은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주요 요소에 사용되는 케이블로, 다수의 케이블 가닥들을 포함하고 그 끝단은 정착장치에 의해 건설 요소에 고정된다.
그리고, 구조용 케이블의 정착부와 정착구전단부에는, 연선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왁스와 같은 충진물이 주입된다.
종래에는 충진물 주입시 연선과 패킹부재 사이의 공극을 통해 충진물이 정착구전단부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나사를 돌려주어 가압플레이트를 가압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를 사이에 두고 가압플레이트에 밀착된 탄성부재가 압착되어 연선과 패킹부재 사이의 공극을 통해 누출되는 충진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발명은 수밀부재가 미리 설치되어 있고 강연선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설치하여 정착장치 내부로 수밀구조를 설치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밀구조를 통과한 강연선을 가이드 해주는 부재가 없어서, 강연선이 정착장치에 설치될 때 정착구전단부 내부에서 서로 엉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강연선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피복을 형성하는데, 정착장치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피복을 일부를 벗겨내야 하는데, 이 경우 강연선의 피복제거부위가 부식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밀부재에 강연선의 삽입시 강연선을 가이드하는 부분을 제공하여 강연선의 설치가 용이한 케이블용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착구전단부 내에서의 강연선의 꼬임현상을 방지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정착장치 내부에 설치된 강연선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용 정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영역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연선들이 통과하는 내부공간부가 구비되는 정착구전단부와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강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파이프와 가이드파이프 및 내부공간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강연선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며, 강연선들을 따라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수밀부재 및 내부공간부를 충진하는 충진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파이프는 내부공간부로 충진된 충진부재가 가이프파이프 내부로 주입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가이드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수밀부재는 정착구전단부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밀부재는 관통부로의 강연선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수밀부재는 강연선의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되어 수밀능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밀부재는 네오프렌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수밀부재는 물과 접촉시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착전단부의 내부공간부에 강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파이프를 각각의 강연선마다 설치함으로써, 수밀구조가 정착장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의하면, 가이드파이프는 내부공간부로 충진된 충진부재가 가이프파이프 내부로 주입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가이드슬롯을 구비하여 강연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밀부재는 정착구전단부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수밀부재를 정착구전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밀부재는 관통부로의 강연선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강연선이 정착장치 내부의 수밀구조를 용이하게 통과하여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밀부재는 강연선의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되어 수밀능력을 향상시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정착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밀부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밀부재와 강연선의 설치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정착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정착장치(100) 정착구전단부(200), 가이드파이프(300), 수밀부재(400), 충진부재(5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정착구전단부(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정착전단부는 내부공간부(210)를 포함한다.
정착구전단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영역의 일측, 즉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정착부(10)의 전단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연선(W)들이 통과하는 내부공간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정착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W)들이 정착되는 부분으로 정착구(12)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정착부(10)에는 다수의 정착구(12)가 설치되어 다수의 강연선(W)을 정착시킨다.
각각의 강연선(W)은 다수의 소선들이 꼬아진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정착부(10) 및 정착구전단부(200)에는 강연선(W)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왁스와 같은 충진물이 충진물 주입부를 통해 충진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가이드파이프(300)에 대하여 살펴본다. 가이드파이프(300)는 다수의 가이드 슬롯을 포함한다.
가이드파이프(300)는 정착전단부의 내부공간부(210)에 구비되어, 정착전단부를 통과하는 각각의 강연선(W)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은 가이드파이프(300)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다수의 가이드 슬롯이 형상될 수 있다.
가이드슬롯(310)은 가이드파이프(300)의 길이방향 또는 가이드파이프(30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슬롯(310)이 배치될 있고,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가이드슬롯(310)이 배치될 수 있다.
내부공간부(210)로 충진된 왁스 등의 충진부재(500)가 가이드슬롯(310)을 통하여 가이드파이프(300)의 내부로 주입되어 강연선(W)이 관통하는 가이드파이프(300)의 내부공간은 충진부재(500)에 의해 채워지게 되어, 강연선(W)의 부식은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수밀부재(4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수밀부재(400)는 강연선(W)들을 따라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부재이다.
수밀부재(400)는 슬리브의 형태로 형성되고, 수밀부재(400)의 관통부(410)에 강연선(W)이 끼워지며, 연선과 결합된다.
수밀부재(400)는 정착전단부로 삽입되고, 수밀부재(400)가 삽입되는 방향의 전면에는 내부공간부(210)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부재(400)는 정착구전단부(200)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4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420)는 수밀부재(400)의 정착구전단부(200)에 삽입방향에 형성되고, 삽입이 시작되는 부분의 단면적이 정착전단부의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어 정착구전단부(200)에 수밀부재(4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 가이드부(420)는 정착전단부(200) 방향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지만, 수밀부재(40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어서, 수밀부재(400)와 정착전단부(200)는 꽉 끼이는 형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정착전단부(200)와 수밀부재(400)의 사이로 수분이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부재(400)는 관통부(410)로 강연선(W)을 삽입시 강연선(W)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4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30)는 수밀부재(400)의 관통부(410)로 강연선(W)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또한, 제2 가이드부(430)는 수밀부재(400)의 관통부(410) 방향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지만, 수밀부재(40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어서, 강연선(W)과 수밀부재(400)는 꽉 끼이는 형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강연선(W)과 수밀부재(400)의 사이로 수분이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밀부재(400)를 강연선(W)의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단으로 배치되는 각각의 수밀부재(400)는 디스크형의 수밀부재(400)로 구성될 수 있다.
수밀부재(400)를 다단으로 배치함으로써, 물이 강연선(W)을 타고 최초의 수밀부재(400)를 관통하더라도, 다단으로 배치된 나머지 수밀부재(400)에 의해서 케이블용 정착장치(100)의 수밀성은 유지될 수 있다.
수밀부재(400)는 네오프렌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네오프렌판은 수밀성능이 우수하여 정착구전단부(200)와 수밀부재(400) 또는 강연선(W)과 수밀부재(400) 사이의 공간으로의 물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수밀부재(400)는 물과 접촉시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이경우 외부의 강연선(W)을 따라, 물이 유입될 때, 수밀부재(400)는 물과 접촉하여 부피가 팽창하게 되어 강연선(W)과 수밀부재(400) 사이는 더욱 견고하게 밀폐되어 물이 정착전단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충진부재(500)에 대하여 살펴본다.
충진부재(500)는 정착전단부의 내부공간부(210)에 채워지는 부재로서, 내부공간부(210)에 설치되는 강연선(W)의 부식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또한, 충진부재(500)는 왁스와 같은 충진물이 정착부(10)에 설치된 충진부재(500)주입홀(11)을 통하여 주입되는 방식으로 정착전단부의 내부공간부(210)에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충진되는 충진물은 대략 100℃~200℃ 정도의 고온 상태의 액상으로 정착전단부의 내부공간부(210)에 충진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식으면서 고형화 된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정착부 11: 충진부재주입홀
12: 정착구 100: 케이블용 정착장치
200: 정착구전단부 210: 내부공간부
300: 가이드파이프 310: 가이드슬롯
400: 수밀부재 410: 관통부
420: 제1 가이드부 430: 제2 가이드부
500: 충진부재 W: 강연선

Claims (7)

  1. 구조용 케이블의 단부영역 일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강연선들이 통과하는 내부공간부가 구비되는 정착구전단부;
    상기 내부공간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강연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파이프;
    상기 가이드파이프 및 상기 내부공간부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강연선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강연선들을 따라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수밀부재; 및
    상기 내부공간부를 충진하는 충진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내부공간부로 충진된 상기 충진부재가 상기 가이프파이프 내부로 주입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는 상기 정착구전단부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는 상기 관통부로의 강연선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는 상기 강연선의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배치되어 수밀능력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는 네오프렌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는 물과 접촉시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정착장치.
KR20120157142A 2012-12-28 2012-12-28 케이블용 정착장치 KR10149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7142A KR101491499B1 (ko) 2012-12-28 2012-12-28 케이블용 정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7142A KR101491499B1 (ko) 2012-12-28 2012-12-28 케이블용 정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310A true KR20140087310A (ko) 2014-07-09
KR101491499B1 KR101491499B1 (ko) 2015-02-11

Family

ID=5173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7142A KR101491499B1 (ko) 2012-12-28 2012-12-28 케이블용 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4973A (zh) * 2015-07-01 2015-09-09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 悬索桥主缆索夹环缝的密封方法
KR200482333Y1 (ko) 2016-08-22 2017-01-12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긴장재의 긴장에 의해 자동적으로 부식방지제의 밀봉구조가 형성되는 긴장재 정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4484B1 (fr) 1999-06-03 2001-08-03 Freyssinet Int Stup Dispositif d'ancrage d'un cable de structure
JP3827519B2 (ja) * 2000-10-27 2006-09-27 鹿島建設株式会社 アンカー頭部の止水方法
KR200449573Y1 (ko) 2008-05-13 2010-07-21 주식회사 우진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KR101222037B1 (ko) * 2010-12-27 2013-01-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구조용 케이블 정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4973A (zh) * 2015-07-01 2015-09-09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 悬索桥主缆索夹环缝的密封方法
CN104894973B (zh) * 2015-07-01 2016-09-07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 悬索桥主缆索夹环缝的密封方法
KR200482333Y1 (ko) 2016-08-22 2017-01-12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긴장재의 긴장에 의해 자동적으로 부식방지제의 밀봉구조가 형성되는 긴장재 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499B1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957B1 (ko) 케이블 정착 장치
KR101491499B1 (ko) 케이블용 정착장치
CN207116660U (zh) 天线出线口防水密封结构
KR102152330B1 (ko) 전기방식용 레바클립
KR101114956B1 (ko) 케이블 그랜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지상 설비 외함
DK2012390T3 (da) Jordklemme til potentialudligning af ledningsføringskanaler
KR20040601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방수클립
KR101222037B1 (ko) 구조용 케이블 정착장치
JP2016060289A (ja) 吊架線保護カバー
KR101380324B1 (ko) 설치가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접속기구
KR20160000135U (ko) 케이블의 방수 보호 커버
KR101538045B1 (ko) 건축물용 전선관 방수구
KR101257325B1 (ko) 물저장탱크 내의 도류벽 설치구조
JP4862174B2 (ja) 光ドロップ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200417301Y1 (ko) 수중 전선용 소켓
KR102295752B1 (ko) 공동주택 건축물 전기의 배선 연결과 이음장치
KR101822021B1 (ko) 지반 침하에 의한 누수 방지를 위한 지중 맨홀 구조물
KR100645370B1 (ko) 시스템 박스의 철근 고정장치
CN205066073U (zh) 护线元件及空调
KR101277730B1 (ko) 앵커용 일체형 정착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168600B1 (ko) 배관용 방수 고무링
KR100564998B1 (ko) 지중선 인입 연결 하우징
KR102544458B1 (ko) 밀봉 모듈 또는 전이 모듈
KR200494247Y1 (ko)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