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600B1 - 배관용 방수 고무링 - Google Patents

배관용 방수 고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600B1
KR101168600B1 KR1020110096075A KR20110096075A KR101168600B1 KR 101168600 B1 KR101168600 B1 KR 101168600B1 KR 1020110096075 A KR1020110096075 A KR 1020110096075A KR 20110096075 A KR20110096075 A KR 20110096075A KR 101168600 B1 KR101168600 B1 KR 10116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gap
pipe
ring body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민자
Original Assignee
(주)가사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사리개발 filed Critical (주)가사리개발
Priority to KR102011009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에 배치되어 상기 틈새를 기밀 유지시키는 고무링 몸체와, 상기 고무링 몸체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무링 몸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틈새 영역에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되는 탄성 날개부와, 상기 탄성 날개부의 양면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열된 다수의 탄성 돌기가 형성된 배관용 방수 고무링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 몸체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에 배치되어 상기 틈새를 기밀 유지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주머니가 형성되는 폐 루프 형상의 고무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를 탄성적으로 기밀 유지시킬 수 있어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의 흔들림을 방지시켜 배관이 파손되는 현상 또는 배관의 흔들림으로 인한 누수 및 진동 또는 소음 문제를 해소할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방수 고무링{Waterproof rubber ring for pipe}
본 발명은, 배관용 방수 고무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를 탄성적으로 기밀 유지시킬 수 있어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의 흔들림을 방지시켜 배관이 파손되는 현상 또는 배관의 흔들림으로 인한 진동 또는 소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배관용 방수 고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 천정, 또는 바닥을 관통하는 구멍에 배관이 많이 시공된다.
즉 콘크리트 벽체에 구멍을 미리 천공하고, 이 구멍을 통해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배관의 내부 공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배관이 전선 등의 통로로 활용될 수도 있고, 아니면 배관이 배수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주로 후자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의 직경이 항상 일치할 수는 없을 뿐만 아니라 일치하게 시공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에 배관을 시공하고 나면 콘크리트 벽체의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gap)를 통해 다양한 누수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배관의 흔들림이 발생되어 배관이 파손되는 등의 다양한 하자 발생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935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를 탄성적으로 기밀 유지시킬 수 있어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의 흔들림을 방지시켜 배관이 파손되는 현상 또는 배관의 흔들림으로 인한 진동 또는 소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배관용 방수 고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에 배치되어 상기 틈새를 기밀 유지시키는 고무링 몸체와, 상기 고무링 몸체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무링 몸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틈새 영역에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되는 탄성 날개부와, 상기 탄성 날개부의 양면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열된 다수의 탄성 돌기가 형성된 배관용 방수 고무링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 몸체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에 배치되어 상기 틈새를 기밀 유지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주머니가 형성되는 폐 루프 형상의 고무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방수 고무링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구멍과 배관 간의 틈새를 탄성적으로 기밀 유지시킬 수 있어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의 흔들림을 방지시켜 배관이 파손되는 현상 또는 배관의 흔들림으로 인한 누수 및 진동 또는 소음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방수 고무링의 설치 상태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배관용 방수 고무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방수 고무링의 설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배관용 방수 고무링을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관용 방수 고무링(100)은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구멍(H)과 배관(2) 간의 틈새를 탄성적으로 기밀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고무링 몸체(110)와 탄성 날개부(120)를 갖는다.
고무링 몸체(110)는 폐 루프 링(ring)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구멍(H)과 배관(2) 간의 틈새(G, Gap)에 배치되어 틈새(G)를 기밀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무링 몸체(110)가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무링 몸체(110)의 내부 직경은 적어도 배관(2)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다.
실제, 고무링 몸체(110)의 내부 직경이 배관(2)의 외부 직경보다 작은 것이 유리한데, 이러한 경우, 고무링 몸체(110)를 벌려 배관(2)에 끼우면 고무링 몸체(110)의 자체 탄성에 의해 고무링 몸체(110)가 배관(2)의 외벽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무링 몸체(110)의 내부에는 공기주머니(111)가 형성된다. 이처럼 고무링 몸체(110)의 내부에 공기주머니(111)가 형성됨으로써 도 2에서 도 3처럼 고무링 몸체(110)를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구멍(H)과 배관(2) 간의 틈새(G)에 끼워 넣게 되면 공기주머니(111)가 눌리면서 고무링 몸체(110)가 틈새(G)에 끼워질 수 있게 되어 기밀 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탄성 날개부(120)는 고무링 몸체(110)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틈새(G) 영역에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된다.
고무링 몸체(110)만 형성되더라도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구멍(H)과 배관(2) 간의 틈새(G)를 기밀 유지시킬 수 있지만, 본 실시예처럼 탄성 날개부(120)가 더 형성되면 일부분은 틈새(G) 영역에 끼이고 나머지는 틈새(G) 영역을 덮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방수에 유리하다.
이러한 탄성 날개부(120)는 고무링 몸체(11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 날개부(120)의 양면에는 다수의 탄성 돌기(121)가 형성된다. 탄성 돌기(121)는 원호 형상을 갖는데, 탄성 돌기(121)들 사이의 홈 부분이 물을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탄성 날개부(120)에 탄성 돌기(121)들이 형성되면 탄성 날개부(1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겸한다.
탄성 돌기(121)들은 탄성 날개부(120)의 양면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물론, 도면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탄성 돌기(121)들이 탄성 날개부(120)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관용 방수 고무링(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처럼 배관용 방수 고무링(100)을 배치한 후, 배관용 방수 고무링(100)의 고무링 몸체(110)를 벌려 배관(2)에 끼운다. 이때, 고무링 몸체(110)에 접착제를 바르는 것도 하나의 방안일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도 3처럼 고무링 몸체(110)를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구멍(H)과 배관(2) 간의 틈새(G) 영역으로 끼운다.
그러면 공기주머니(111)가 눌리면서 고무링 몸체(110)가 틈새(G)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 날개부(120)는 일부분은 틈새(G) 영역에 끼이고 나머지는 틈새(G) 영역을 덮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방수에 유리하여 기밀 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배관용 방수 고무링(100)을 설치가 완료되면 도 4처럼 그 상부로 몰타르(3)를 치거나 아니면 타일을 덮어 마무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구멍(H)과 배관(2) 간의 틈새(G)를 탄성적으로 기밀 유지시킬 수 있어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관(2)의 흔들림을 방지시켜 배관이 파손되는 현상 또는 배관(2)의 흔들림으로 인한 진동 또는 소음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콘크리트 벽체 2 : 배관
100 : 배관용 방수 고무링 110 : 고무링 몸체
111 : 공기주머니 120 : 탄성 날개부
121 : 탄성 돌기

Claims (2)

  1.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구멍(H)과 배관(2) 간의 틈새(G)에 배치되어 상기 틈새(G)를 기밀 유지시키는 고무링 몸체(110)와, 상기 고무링 몸체(110)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무링 몸체(11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틈새 영역에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되는 탄성 날개부(120)와, 상기 탄성 날개부(120)의 양면에서 상호 대칭되게 배열된 다수의 탄성 돌기(121)가 형성된 배관용 방수 고무링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 몸체는(110)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구멍(H)과 배관(2) 간의 틈새(G)에 배치되어 상기 틈새(G)를 기밀 유지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주머니(111)가 형성되는 폐 루프 형상의 고무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방수 고무링.








  2. 삭제
KR1020110096075A 2011-09-23 2011-09-23 배관용 방수 고무링 KR10116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075A KR101168600B1 (ko) 2011-09-23 2011-09-23 배관용 방수 고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075A KR101168600B1 (ko) 2011-09-23 2011-09-23 배관용 방수 고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600B1 true KR101168600B1 (ko) 2012-07-30

Family

ID=4671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075A KR101168600B1 (ko) 2011-09-23 2011-09-23 배관용 방수 고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5413A (zh) * 2018-12-25 2019-04-09 中铁十七局集团有限公司 一种自适应可检测的管道接头防水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7184U (ko) 1985-12-25 1987-07-08
US6581940B2 (en) 2001-07-30 2003-06-24 S&B Technical Products, Inc. Concrete manhole connector gas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7184U (ko) 1985-12-25 1987-07-08
US6581940B2 (en) 2001-07-30 2003-06-24 S&B Technical Products, Inc. Concrete manhole connector gask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5413A (zh) * 2018-12-25 2019-04-09 中铁十七局集团有限公司 一种自适应可检测的管道接头防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35421A1 (en) Modular waxless seal
KR100830884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JP2015222009A (ja) 基礎部の配管構造及び基礎部の配管工法
JP5261293B2 (ja) 建物の基礎構造
KR20150032434A (ko) 화염차단용 팽창패드 매립형 관통 슬리브
KR101168600B1 (ko) 배관용 방수 고무링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5330352B2 (ja) 中空壁の気密性ダクト構造
KR101828368B1 (ko) 천장 몰딩장치
KR200396618Y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US20140196271A1 (en) Method of installing elongate bodies in a building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CN208169710U (zh) 新型定位封堵水管钢套管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KR101199847B1 (ko) 선박용 도어의 패킹구조
KR200453858Y1 (ko) 배수관 연결구
JP5706659B2 (ja) 排水管路における掃除口用蓋
JP2015224729A (ja) 配管用密閉部材および配管配設構造
KR200467683Y1 (ko) 에어덕트 및 슬리브 직결형 연결관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JP4547303B2 (ja) 耐火二層管継手
CN103775749A (zh) 防火元件
JP6378663B2 (ja) マンホール周壁の継目構造
JP2020037795A (ja) 配管構造、集合継手の端部処理部材、及び集合継手の端部処理方法
JP6347481B2 (ja) 扉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