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573Y1 -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 Google Patents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573Y1
KR200449573Y1 KR2020080006175U KR20080006175U KR200449573Y1 KR 200449573 Y1 KR200449573 Y1 KR 200449573Y1 KR 2020080006175 U KR2020080006175 U KR 2020080006175U KR 20080006175 U KR20080006175 U KR 20080006175U KR 200449573 Y1 KR200449573 Y1 KR 200449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pe
electrode
wire
terminal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622U (ko
Inventor
김정철
한동운
백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2020080006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573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2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cathodic; Selection of conditions, parameters or procedures for cathodic protection, e.g. of electrical conditions
    • C23F13/06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of cathodic-protection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2213/00Aspects of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2213/30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object
    • C23F2213/32Pip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전극의 상단 설치홈 속에 일부 매설된 단자파이프와, 상기 단자파이프에 삽입되어 통전가능한 상태로 놓이는 전선과, 이들 사이를 밀봉하도록 충전되는 납을 포함하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자파이프의 노출된 부분에는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자파이프의 형상을 변형시켜 용융된 납이 원활하면서도 균일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하여 전선과 전극간의 연결관계를 긴밀하고 완벽하게 하여 균일한 통전성을 갖도록 하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기방식, 전극, 단자파이프, 납, 전선, 충전

Description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PIPE TYPE TERMINAL OF ELECTRODE}
본 고안은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방식용으로 사용되는 전극과 외부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선의 연결시 전극내 단자파이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극과 전선의 전기적 연결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철구조물들은 필연적으로 부식이 발생되어 설계된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파손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물들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여 최초에 설계된 수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장을 비롯한 여러가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식방지 기술들중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부식방지법으로 외부전원을 이용한 전기방식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전원을 이용한 전기방식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은 예컨대, 지상에 설치된 정류기로부터 직류로 변환된 전원을 철구조물에는 음극을 연결하고, 전극에는 양극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철구조물을 계속적으로 음극으로 유지시켜 부식반응 즉, 산화반응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형태이다.
이때, 사용되는 전극으로는 고규소주철을 비롯하여 흑연, MMO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들 전극은 외부전원과 연결시 연결부가 지하에 매설되어야 하기 때문에 절연방법과 전극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부와의 전선연결이 전기방식의 품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가 된다.
이 경우, 도 1의 예시와 같이, 전선 연결을 위해 전극(10)의 상단에 홈(12)을 내고, 이 홈(12) 내부에 단자파이프(20)를 고정하여 이 단자파이프(20)와 전선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를 보편적으로 취하고 있다.
예컨대, 도 2의 (a)에는 단자파이프(20) 내에 피복을 벗긴 전선(30)을 삽입한 다음 테이퍼핀(40)을 단자파이프(20) 내부의 전선(30)과 사이에 형성된 협소한 공간으로 강제로 끼워 넣어 고정시키는 테이퍼핀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을 위해 상기 단자파이프(20) 주변의 공동부에는 수지(50)가 충전되는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은 전극(10)과 전선(30)의 연결이 테이퍼핀(40)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완벽한 방법이라 할 수는 없지만 조립이 간편하여 편리한 작업성을 갖기 때문에 많은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른 연결방법으로 도 2의 (b)에 도시된 납 주입 방식을 들 수 있다.
상기 납 주입 방식은 테이퍼핀(40)을 사용하는 대신에 피복을 벗긴 전선(30)이 삽입되어 있는 단자파이프(20) 내부와 그 주변을 용융된 납(60)을 주입하여 전기적으로 완벽하게 연결한 후 나머지 공간은 절연을 위해 수지(50)로 충진하는 방 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납 주입 방식은 테이퍼핀 방식보다 전극10)과 전선(30)간의 연결성(통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우수한 방법임에 틀림없으나 단자파이프(20)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용융된 납(60)이 단자파이프(20) 내부로 주입되어야 하는데 그 속에는 이미 피복이 벗겨진 전선(30)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또한 입구가 협소하여 용융된 납(60)이 균일하고 정확하게 충전될 수 없는 구조여서 불균일하게 충전될 확률이 높고, 나아가 불균질하게 충진될 경우 품질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선 연결을 위한 방법들이 갖는 장,단점을 고려하여 최상의 전선 연결을 위한 단자파이프를 제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전극 내부에 일체형으로 삽입고정되어 있는 단자파이프의 형상을 개선하여 용융된 납의 충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은 물론 우수하고 균일한 통전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한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극의 상단 설치홈 속에 일부 매설된 단자파이프와, 상기 단자파이프에 삽입되어 통전가능한 상태로 놓이는 전선과, 상기 단자파이프와 전선 사이를 밀봉하도록 충전되는 납을 포함하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자파이프의 노출된 부분에는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충전구멍은 상기 단자파이프의 지름방향으로 대칭되게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충전구멍은 상기 단자파이프의 노출길이 대비 1/3~2/3의 상하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단자파이프의 반경 대비 1/2~2/3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자파이프의 형상을 변형시켜 용융된 납이 원활하면서도 균일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하여 전선과 전극간의 연결관계를 긴밀하고 완벽하게 하여 균일한 통전성을 갖도록 하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파이프의 예시적인 사시도 및 그 조립상태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자파이프(200)는 기존과 같이 전극(100)의 상단 내부에 매립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극(100)의 상단에는 설치홈(110)이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파이프(200)는 상기 설치홈(1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전극(100) 몸체에 박히는 형태로 하단부가 매립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단자파이프(200)는 피복이 벗겨진 전선(300)을 전극(100)과 연결시켜 통전가능하게 하는 부재로서, 도시와 같이 원통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단자파이프(200)는 기존과 달리 그 상단 길이 일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구멍(210)을 갖는다.
이때, 상기 충전구멍(210)은 상기 단자파이프(200)의 상단 일부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일정크기로 절개되어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120°간격을 두고 3개 혹은 90°간격을 두고 4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서로 대향되게 한쌍이 형성된 경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상기 충전구멍(210)은 상기 단자파이프(200)의 지름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천공형성되고, 호형상을 이루면서 어느 정도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납(600)의 충전성을 높이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충전구멍(210)은 납(600)의 충전성 향상을 위해, 상기 설치홈(110)내 노출길이의 1/3~2/3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충전구멍(210)의 길이를 한정하는 이유는 적어도 노출길이의 1/3 이상은 되어야 충전성이 좋고, 2/3 이상을 넘게 되면 단자파이프(200)의 강성 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함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충전구멍(210)의 폭도 상기 단자파이프(200)의 반경 미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전구멍(210)이 지름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므로 반경이상으로는 형성할 수 없으며, 최대한 반경에 가깝게 형성할 수 있으나 강성유지의 관계를 고려하여 반경의 1/2~2/3 폭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관계는 다음과 같다.
전선(300) 연결을 위해, 먼저 전극(100)과 연결할 전선(300) 연결부위의 피복을 벗긴다.
이어, 피복이 벗겨진 전선(300)을 전극(100)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홈(110)내 매설되어 있는 단자파이프(200) 속으로 밀어 넣는다.
이 상태에서, 통전성 향상을 위해 납(600)을 충전하게 된다.
납(600)은 도시와 같이 상기 설치홈(110)의 대략 2/3 높이까지 채워지도록 충전하게 된다.
이때, 충전되던 납(600)의 일부는 단자파이프(200)의 개구된 상단은 물론 그 측면에 형성된 충전구멍(210)을 통해서 단자파이프(200) 내부로 충전되게 되므로 충전성이 기존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다.
다시 말해, 단자파이프(200)의 노출된 상단은 물론 그 측면을 통해 동시에 납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납(600)은 보다 원활하게 단자파이프(200) 속으로 채워지게 되는데, 특히 개구된 부위가 상단을 포함하여 충전구멍(210) 2개를 더 포함하고 있으므로 공기의 유통이 자유로워 보다 원활한 충전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납(600)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된 납(600)은 기존에 비해 월씬 균일하게 충전되게 된다.
충전이 완료되면 이어 수지(500)를 설치홈(110)에 채워넣어 전선(300)을 고정하게 된다.
이로써, 전극(100)과 전선(200)간의 완벽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보다 균일한 납 충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단자파이프의 예시적인 사시도 및 그 조립상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파이프의 예시적인 사시도 및 그 조립상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파이프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전극 110....설치홈
200....단자파이프 210....충전구멍
300....전선 500....수지
600....납

Claims (3)

  1. 전극의 상단 설치홈 속에 일부 매설된 단자파이프와, 상기 단자파이프에 삽입되어 통전가능한 상태로 놓이는 전선과, 상기 단자파이프와 전선 사이를 밀봉하도록 충전되는 납을 포함하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자파이프의 노출된 부분에는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멍은 상기 단자파이프의 지름방향으로 대칭되게 한쌍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구멍은 상기 단자파이프의 노출길이 대비 1/3~2/3의 상하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단자파이프의 반경 대비 1/2~2/3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KR2020080006175U 2008-05-13 2008-05-13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KR200449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175U KR200449573Y1 (ko) 2008-05-13 2008-05-13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175U KR200449573Y1 (ko) 2008-05-13 2008-05-13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22U KR20090011622U (ko) 2009-11-18
KR200449573Y1 true KR200449573Y1 (ko) 2010-07-21

Family

ID=44241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175U KR200449573Y1 (ko) 2008-05-13 2008-05-13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5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99B1 (ko) 2012-12-28 2015-0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케이블용 정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57Y1 (ko) * 2010-12-14 2013-01-25 주식회사 우진 조립식 단자 파이프를 갖는 전기 방식용 전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928Y1 (ko) * 1980-03-24 1980-06-28 도교 덴기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전기부식 방지용 전극
KR20040027282A (ko) * 2003-05-21 2004-04-01 주식회사 케이씨 방오 및 방식 시스템
KR20040084232A (ko) * 2003-03-27 2004-10-06 주식회사 우진 고규소주철 전극봉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928Y1 (ko) * 1980-03-24 1980-06-28 도교 덴기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전기부식 방지용 전극
KR20040084232A (ko) * 2003-03-27 2004-10-06 주식회사 우진 고규소주철 전극봉 제조방법
KR20040027282A (ko) * 2003-05-21 2004-04-01 주식회사 케이씨 방오 및 방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499B1 (ko) 2012-12-28 2015-02-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케이블용 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22U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48218A1 (en) Inverter built-i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CN204967491U (zh) 电机的防轴承电蚀结构
KR200449573Y1 (ko)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파이프
CN210272526U (zh) 二次电池极柱组件及其二次电池顶盖
JP2012146602A (ja) 二重成型品、二重成型品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101046400B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CA1221752A (en) Current leadthrough
KR200476198Y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구조
CN211719629U (zh) 动力电池盖板结构及具有其的电池
US20220172865A1 (en) Dry-type plug-in bushing,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high-voltage installation comprising same
KR200219181Y1 (ko) 산소,수소 복합가스 발생용 전해조
CN208337277U (zh) 电机接线结构及电机
CN202103252U (zh) 一种线缆连接器
KR101171059B1 (ko) 배전선 접지장치
JP2017130259A (ja) 止水構造
KR100755784B1 (ko) 전기자동차의 파워케이블 단자조립용 지그
KR200464956Y1 (ko) 전선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전기방식용 전극
RU129101U1 (ru) Анодный заземлитель
CN213652656U (zh) 线状阳极组件
JP4360586B2 (ja) 懸垂がいし
KR200456078Y1 (ko) 압축스프링 형태의 구조를 갖는 전기방식용 전극의 단자구조
KR200198490Y1 (ko) 방수구조를 갖는 단자 조립체
CN216015755U (zh) 精密防锡渗入的连接器端子
RU2574618C1 (ru) Анодный заземлитель
CN112195473B (zh) 管道内壁用通电保护装置、施工方法及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