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304A -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304A
KR20140087304A KR1020120157095A KR20120157095A KR20140087304A KR 20140087304 A KR20140087304 A KR 20140087304A KR 1020120157095 A KR1020120157095 A KR 1020120157095A KR 20120157095 A KR20120157095 A KR 20120157095A KR 20140087304 A KR20140087304 A KR 2014008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re
motor
fixing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김대성
이광현
배한경
신홍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304A/ko
Priority to JP2013268845A priority patent/JP2014131471A/ja
Priority to US14/141,893 priority patent/US20140183994A1/en
Publication of KR2014008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02Synchronous motors
    • H02K19/10Synchronous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2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suppress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사하여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암을 포함하는 다수의 판체가 모터의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의 저면에 적층되어 형성된 하우징 코어; 및 상기 하우징 코어의 다수의 암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그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Hausing core inductor and motor assembly}
본 발명은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는 150여 년이 넘는 오래된 전동기 설계 형태 중의 하나이다. 이런 전통적인 형태의 릴럭턴스 전동기가 전력용 반도체의 개발과 함께 가변 드라이브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로 알려지게 되었다.
"Switched Reluctance" 라는 명칭은 S.A. Nasar에 의해서 명명되었고, 이 명칭은 SRM의 두 가지 주요한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로 'Switched'라는 의미는 전동기가 항상 연속적인 스위칭 모드에서 동작되어야만 한다는 것으로 이는 새로운 형태의 전력용 반도체의 개발과 발달에 의해 이를 적용시킨 이후에 사용되었던 용어이다.
두 번째로 'Reluctance'는 회전자와 고정자가 릴럭턴스 자기회로(magnetic circuits)를 가변시킴으로서 동작하게 하는 이중 돌극형 구조를 의미한다.
Nasra, French, Koch, Lawrenson 등의 학자들은 1960년대 구조적으로 유사한 Stepping Motor와 다르게 전력용 반도체를 이용한 연속 모드 제어를 고안하게 된다.
그 당시에, 전력용 사이리스터 반도체가 유일하게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는 성능을 지녔으므로 이를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를 제어하는 데 적용하였다.
현대에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GTO, IGBT 그리고 전력용 MOSFET등이 개발되어 SRM 제어를 위한 정격전력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SRM은 구조면에서 매우 간단하다. 영구자석이나 브러시 그리고 정류자가 없고, 고정자는 돌극을 가진 강철의 적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직렬로 된 코일이 감겨진 권선이 각각의 상(phase)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권선이 고정자 극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회전자에는 권선이 없고, 강철의 적층구조로 되어 있으며 고정자와 마찬가지로 돌극형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자와 회전자가 모두 돌극형 구조를 가짐으로서 이중 돌극형(double salient)구조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심플한 구조는 신뢰성과 생산단가를 낮춤으로서 가변속 드라이브의 대안으로 그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점을 가진 SRM 모터는 현재 여러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진공 청소기 분야에서 사용이 실용화되고 있다.
한편, 최근 전 세계적으로 청소기 뿐만 아니라 모든 가전제품에서는 필수적으로 역률 보상 및 EMI/EMC 보호에 대한 회로가 추가되어야 하는 것이 여러 규약 단체에 의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역률 보상 및 EMI/EMC 보호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중 하나인 인덕터는 부피가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방열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필요로 하여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1995-877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터 하우징을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방열이 용이하도록 한 모터 하우징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사하여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암을 포함하는 다수의 판체가 모터의 하우징의 저면에 적층되어 형성된 하우징 코어; 및 상기 하우징 코어의 다수의 암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하우징 코어의 판체는 중앙부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에 의해 십자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하우징 코어의 판체는 중앙부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의 외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환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하우징은 일 측에서 상기 하우징 코어측으로 비아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코어는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고정부는 다수 개 형성되되 그 중 하나의 고정부 길이는 다른 고정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고정부에 장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재질의 댐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하우징 코어는 더스트 코어, 라미네이티드 코어, 또는 페라이트 코어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의 상기 코일은 상기 암에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권선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모터 회전중심을 이루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모터유닛; 상기 회전축 축방향 상부에서 커버에 형성된 흡입포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결합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모터 내부로 안내하는 디퓨저; 상기 모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사하여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암을 포함하는 다수의 판체가 모터의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의 저면에 적층되어 형성된 하우징 코어와, 상기 하우징 코어의 다수의 암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모터 유닛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인슐레이터; 및 상기 모터 유닛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하우징 코어의 판체는 중앙부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에 의해 십자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하우징 코어의 판체는 중앙부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의 외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환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하우징은 일 측에서 상기 하우징 코어측으로 비아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코어는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고정부는 다수 개 형성되되 그 중 하나의 고정부 길이는 다른 고정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고정부에 장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재질의 댐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하우징 코어는 더스트 코어, 라미네이티드 코어, 또는 페라이트 코어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상기 코일은 상기 암에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권선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모터 유닛의 하부 밸런싱 부재 저면에 설치되는 센서 마그넷; 및 상기 센서 마그넷 저면에 설치되는 홀 센서를 포함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터를 모터 하우징을 이용하여 제작함에 따라 모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배기가 인덕터의 코일과 코어를 직접 지나감으로 추가적인 방열 장치없이 충분할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어셈블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모터 유닛에 본 발명의 모터 하우징 인덕터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하우징의 고정부에 댐퍼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모터 하우징 인덕터의 평면도,
도 5는 모터 하우징 인덕터의 자속 흐름도,
도 6과 7은 모터 하우징 인덕터의 시뮬레이션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어셈블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어셈블리(100)는 커버(110)에 형성되는 흡입 포트(11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이송하는 임펠러(160) 및 디퓨져(170)와, 상기 임펠러(160)에 연동되는 샤프트(S)를 회전시키는 모터 유닛(140)이 내부에 장치되는 하우징(120)과, 상기 모터 유닛(140)에 설치되는 인슐레이터(150)와, 상기 하우징(12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인덕터 코어(210)와 상기 인덕터 코어(200)에 권선된 코일(220)로 이루어진 모터 하우징 인덕터(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임펠러(160)는 흡입 포트(111)가 상단에 형성된 커버(110)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110) 하단에 연결된 하우징(120) 내측에 샤프트(S)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디퓨져(170)는 상기 임펠러(160)와 모터 유닛(140) 사이에서 상기 임펠러(160)의 출구부를 통해 나온 공기를 압송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160)의 회전에 의해 공기가 상기 흡입 포트(111)를 통해 흡입되고, 상기 임펠러(16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디퓨저(170)에 의해 압송되면서 압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임펠러(160)와 디퓨저(170)는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흡입 포트(111)가 형성되는 커버(110)의 하단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이되 중앙에 샤프트(S)가 관통하는 관통공(122)이 형성되는 하우징 본체(121)와, 상기 하우징 본체(121) 일 측에서 상기 모터 하우징 인덕터(200) 측으로 비아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부(I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 인덕터(200)는 샤프트(S)가 관통하는 관통공(212)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211)와, 중앙부(211)에서 방사하여 코일(220)이 권선되는 다수의 공간부(214)를 형성하는 다수의 암(213)을 포함하는 다수의 판체(215a~215n)가 적층되어 형성된 하우징 코어(210)와, 상기 하우징 코어(210)에 권선된 코일(2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코어(210)는 철과 같은 강자성(ferromagnetic) 파우더를 압축 몰딩함으로써 형성되는 더스트 코어, 실리콘 스틸과 같은 철판을 라미네이팅함으로써 형성되는 라미네이티드 코어, 또는 페라이트 코어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코어(210)의 판체(215)는 중앙부(211)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213)에 의해 십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하우징 코어(210)는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IN)가 삽입되는 고정공(21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20)에서 도면상 하측 방향(모터 인덕터 코어)으로 연장되는 고정부(IN)가 상기 고정공(216)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20)과 모터 하우징 코어(210)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IN)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고정부(IN1,IN2,IN3,IN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공(216) 역시 이에 대응하여 4개의 고정공(216a,216b,216c,216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I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 형성되되 그 중 하나의 고정부 길이는 다른 고정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우징(120)와 하우징 코어(210)의 조립시 단차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다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길이가 긴 고정부를 먼저 고정공(216)에 삽입시키면 나머지 고정부는 나머지 고정공(216)에 자동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상 좌측 하단에 위치한 고정부(IN3)의 길이를 다른 고정부(IN1,IN2,IN4)보다 길게 형성한 후 상기 길이가 긴 고정부(IN3)를 먼저 고정공(216)에 삽입시킨 후 나머지 고정부(IN1,IN2,IN4)를 삽입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IN)에 장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재질의 댐퍼(B)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고정부(IN)에 각각 댐퍼(B1,B2,B3,B4)를 설치하여 상기 하우징(120)의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댐퍼(B)의 재질로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이때, 상기 댐퍼(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형상을 가져 상기 고정부(IN)가 관통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IN)가 삽입되는 면(도면상 상부면)만 개방되고 밑면은 개방되지 않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IN)가 댐퍼(B)내부에 삽입 수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코어(210)는 중앙부(211)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213)의 외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환(21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코일(220)은 상기 하우징 코어(210)의 암에 권선되는데 외부에서 중앙부(211)을 향하는 방향으로 권선되어 이웃하는 암에 권선될 때 최단거리를 경유하도록 한다.
즉, 하우징 코어 인덕터(200)의 평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 코어(210)의 외부에서 중앙부(211)를 향하여 코일(220)이 권선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자속 흐름도에서처럼 대향하는 2개의 암에서는 자속이 내부로 향하도록 권선되고, 다른 대향하는 2개의 암에서는 자속이 외부를 향하도록 권선되어 원활한 자속 흐름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유닛(140)에는 삽입되는 스테이터(141)에 권선된 코일과의 절연을 위한 인슐레이터(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150)는 상기 모터 유닛(140)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인슐레이터(151)와, 상기 모터 유닛(140)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인슐레이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유닛(140)의 절연 성능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유닛(14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이되 중앙에 샤프트(S)가 관통하는 관통공(152a)이 형성되는 하부 인슐레이터 본체(15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인슐레이터 본체(152c)에서 도면상 상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스테이터(141)의 공간부(141b)에 삽입되는 삽입 돌출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돌출부(15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형상이되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은 4개의 공간부(141b)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141)의 공간부(141b)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이웃하는 스테이터부에 권선되는 권선 코일(도시되지 않음)사이의 빈 공간으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100)는 상기 모터 유닛(140)의 하부 밸런싱 부재(132) 저면에 설치되는 센서 마그넷(181) 및 상기 센서 마그넷(181) 저면에 설치되는 홀 센서(182)로 구성되는 로터 전극 센싱 장치(18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로터(142)의 전극을 센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 마그넷(181)과 홀 센서(182)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어셈블리(100)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작용에 대해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유닛(140)에 의해 샤프트(S)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하는 샤프트(S)에 의해 임펠러(160)가 회전한다. 상기 회전하는 임펠러(160)에 의해 공기가 유입 포트(111)를 통해 유입되며 디퓨져(170)에 의해 이송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설치되는 베어링(190, 191, 19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유닛(140)의 상하부에는 밸런싱 부재(130, 131,132)가 설치되어 안정적인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유닛(140)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며,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펠러(160)의 회전 속도가 최적 상태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의 제어는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제어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인버터에 필요한 전류를 AC/DC 정류기를 통하여 직류로 변환되고 모터 하우징 인덕터(200)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한다.
이때, 모터 하우징 인덕터(200)는 하우징(1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임펠러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하우징을 이용하여 인덕터를 제작함에 따라 모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배기가 인덕터의 코일과 코어를 직접 지나감으로 추가적인 방열 장치없이 충분할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6과 7은 모터 하우징 인덕터의 자기 시뮬레이션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자속이 모터 하우징 인덕터의 암을 통하여 원활하게 흐르기 때문에 원하는 인덕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 커버                  111 : 유입 포트
120 : 하우징                130, 131, 132 : 밸런싱 부재
140 : 모터 유닛             141 : 스테이터
141b : 공간부               142 : 로터
150 : 인슐레이터            151 : 상부 인슐레이터
152 : 하부 인슐레이터       152a : 관통공
152b :  삽입 돌출부         152c : 하부 인슐레이터 본체
160 : 임펠러 170 : 디퓨져
180 : 로터 전극 센싱 장치 181 : 마그넷 센서
182 : 홀 센서 190 : 베어링
191 : 상부 베어링 192 : 하부 베어링
200 : 모터 하우징 인덕터 210 : 하우징 코어
220 : 코일

Claims (18)

  1.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사하여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암을 포함하는 다수의 판체가 모터의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의 저면에 적층되어 형성된 하우징 코어; 및
    상기 하우징 코어의 다수의 암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코어의 판체는 중앙부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에 의해 십자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코어의 판체는 중앙부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의 외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환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 측에서 상기 하우징 코어측으로 비아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코어는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다수 개 형성되되 그 중 하나의 고정부 길이는 다른 고정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하우징 코어 인덕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장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재질의 댐퍼를 더 포함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코어는 더스트 코어, 라미네이티드 코어, 또는 페라이트 코어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암에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권선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9. 모터 회전중심을 이루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모터유닛;
    상기 회전축 축방향 상부에서 커버에 형성된 흡입포트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결합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모터 내부로 안내하는 디퓨저;
    상기 모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샤프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방사하여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암을 포함하는 다수의 판체가 모터의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의 저면에 적층되어 형성된 하우징 코어와, 상기 하우징 코어의 다수의 암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닛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 인슐레이터; 및
    상기 모터 유닛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11.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코어의 판체는 중앙부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에 의해 십자 형상을 이루는 모터 어셈블리.
  12. 청구항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코어의 판체는 중앙부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암의 외곽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환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코어 인덕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 측에서 상기 하우징 코어측으로 비아 형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코어는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더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다수 개 형성되되 그 중 하나의 고정부 길이는 다른 고정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모터 어셈블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장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재질의 댐퍼를 더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코어는 더스트 코어, 라미네이티드 코어, 또는 페라이트 코어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모터 어셈블리.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암에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권선되는 모터 어셈블리.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모터 유닛의 하부 밸런싱 부재 저면에 설치되는 센서 마그넷 및
    상기 센서 마그넷 저면에 설치되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KR1020120157095A 2012-12-28 2012-12-28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 KR20140087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095A KR20140087304A (ko) 2012-12-28 2012-12-28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
JP2013268845A JP2014131471A (ja) 2012-12-28 2013-12-26 ハウジングコアインダクタ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アセンブリー
US14/141,893 US20140183994A1 (en) 2012-12-28 2013-12-27 Housing core inductor and motor assembl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095A KR20140087304A (ko) 2012-12-28 2012-12-28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304A true KR20140087304A (ko) 2014-07-09

Family

ID=5101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095A KR20140087304A (ko) 2012-12-28 2012-12-28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183994A1 (ko)
JP (1) JP2014131471A (ko)
KR (1) KR20140087304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45765A1 (de) * 1974-09-25 1976-04-08 Gesig En Technik Gmbh Elektrischer generator
US5093596A (en) * 1990-10-24 1992-03-03 Ibm Corporation Combined linear-rotary direct drive step motor
KR20080026872A (ko) * 2006-09-21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3994A1 (en) 2014-07-03
JP2014131471A (ja)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6679B2 (ja) 回転電機
JP5748869B2 (ja) 機電一体モジュール
JPH10322973A (ja) 電力変換装置搭載形電動機
JPWO2003007459A1 (ja) ハイブリッド同期電気機械
US9397525B2 (en) Electric motor
US20200312595A1 (en) Polyphase switching regulator
JP6818602B2 (ja) 制御装置付き回転電機
US7777388B2 (en) Distributed coil stator for external rotor three phase electric motors
JP4045923B2 (ja) 電動機
JP2008245362A (ja) 永久磁石モータおよび洗濯機
KR100647897B1 (ko) 구동회로부 일체형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JP2019522456A (ja) 電気モータ
US9729090B2 (e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and cleaner using the same
KR102327200B1 (ko) 모터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140087304A (ko) 하우징 코어 인덕터 및 이를 이용한 모터 어셈블리
JP2015512241A (ja) 電気機械
CN112889214A (zh) 旋转电机的控制装置和旋转电机的控制方法
WO2022222826A1 (zh) 电机及食物处理器
JP7304971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電気機器
JP2005176598A (ja) 永久磁石と組み合わされた巻線界磁コイルを使用する永久磁石ブラシタイプモータのための磁束変更装置
JP7434719B2 (ja) ステータ及び電動機
KR102189243B1 (ko)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정자 및 그를 포함하는 bldc 모터
JP6372970B2 (ja) 電動機
KR101414646B1 (ko) 비엘디씨 아우터 타입 모터
CN206712641U (zh) 一种无刷交流振荡微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