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004A - 조절 가능한 벙크를 가진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벙크를 가진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004A
KR20140087004A KR1020147012595A KR20147012595A KR20140087004A KR 20140087004 A KR20140087004 A KR 20140087004A KR 1020147012595 A KR1020147012595 A KR 1020147012595A KR 20147012595 A KR20147012595 A KR 20147012595A KR 20140087004 A KR20140087004 A KR 20140087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k
lift
bunks
rai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스틴 아이멜
아담 스트레인
커티스 다운스
댄 거쓰리
Original Assignee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8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longitudinal movement of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63B3/08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with detachably-connec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12Docks adapted for special vessels, e.g. submar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ubricant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Packag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Revetment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는 제거 가능한/교체 가능한 벙크(50,80)들을 가진다. 벙크들은 2 개의 레일(64,66;94a,94b)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레일(64)은 다른 레일(66) 보다 높다. 상이한 높이의 레일들을 가진 벙크는 어느 하나의 레일이 내측을 향하면서 리프트의 동체상에 위치될 수 있어서, 리프트는 상이한 크기의 워터크래프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벙크(80)가 리프트 동체에 장착될 때 벙크(80)는 리프트 동체의 뒷편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위치된 램프(84)를 가진다. 벙크 램프(84)는 워터크래프트와 리프트의 제 1 접촉에 희생 지점을 제공하고 워터크래프트가 리프트상으로 부드럽게 주행하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벙크를 가진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Drive-on watercraft lift with adjustable bunks}
본 출원은 2011 년 10 월 10 일자로 제출된 미국 출원 No. 61/645,395 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에는 종종 롤러 또는 신장된 미끄럼 부재들이 제공되어 워터크래프트가 리프트상에 위치될 때 그 위에 워터크래프트가 놓인다. 그러한 롤러/글라이더(roller/glider)의 예는 미국 특허 제 7,069,872 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여기에 개시된 롤러/글라이더들은 브래킷상에 장착되며, 브래킷은 롤러/글라이더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에 대하여 피봇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상이한 크기 또는 형상의 워터크래프트 선체를 수용한다. 그러나, 많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들에서, 롤러/글라이더들은 피봇 방식이 아니며, 따라서, 많은 유형의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에서, 롤러/글라이더 또는 벙크들은 상이한 크기의 워터크래프트를 수용하도록 조절되거나 변경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제거 가능한 벙크들이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를 위하여 제공된다. 워터크래프트 리프트는 상부 표면, 측벽, 전방벽 및 후방벽을 가진 동체를 포함한다. 워터크래프트 선체 수용 채널은 리프트상으로의 진입부를 형성하는 상부 표면내에 형성된다. 벙크들을 수용하도록, 벙크 수용 슬롯은 선체 수용 채널의 양측에 있는 상부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2 개의 벙크 수용 슬롯들이 있다). 벙크 수용 슬롯들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벙크는 벙크 수용 슬롯들 각각에 고정된다. 벙크들 각각은 저부 표면, 제 1 측벽, 제 1 측벽에 대향하는 제 2 측벽 및 상부 표면을 포함한다. 벙크의 상부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한정하며, 워터크래프트가 리프트상에 위치될 때 워터크래프트의 선체가 레일상에 놓일 것이다.
리프트 동체의 벙크 수용 슬롯들 및 벙크들은 벙크들이 벙크 수용 슬롯들 안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벙크들은 벙크 수용 슬롯들 안에 마찰로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벙크들은 벙크의 측벽들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부 플랜지를 구비한다; 측부 플랜지는 벙크 수용 슬롯의 폭과 대략 같은 전체적인 폭을 벙크에 부여한다. 측부 플랜지는 개별의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플랜지는 연속적이지 않다. 벙크 동체 및 벙크 플랜지(들)의 폭을 포함하는 벙크의 전체적인 폭은 벙크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벙크 수용 슬롯 안에 마찰로 수용되도록 하는 크기이다. 벙크를 벙크 수용 슬롯 안에 더욱 고정하도록, 벙크들에는 고정구 수용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어서, 고정구 수용 구멍들은 벙크가 벙크 수용 슬롯 안에 배치될 때 벙크 수용 슬롯에 있는 고정구 수용 구멍들과 정렬된다. 고정구들은 벙크들의 고정구 수용 구멍들을 통하여 동체의 고정구 수용 구멍들 안으로 연장되어 벙크들을 벙크 수용 슬롯들 안에 고정시킨다. 벙크들의 고정구 수용 슬롯들은 벙크의 대향하는 단부들로부터 연장된 탭(tab)들에 형성될 수 있거나 (벙크는 벙크 수용 슬롯보다 짧다), 또는 벙크의 동체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벙크들의 일 양상에 따르면, 벙크의 상부 표면은 전체적으로 오목하여 벙크는 제 1 측벽과 관련된 제 1 레일 및, 제 2 측벽과 관련된 제 2 레일을 형성한다. 벙크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측벽은 제 2 측벽보다 높아서, 제 1 레일은 제 2 레일보다 수직으로 위에 있다. 이러한 예에서, 벙크는 제 1 측벽 또는 제 2 측벽이 내측을 향하면서 벙크 수용 슬롯 안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벙크는 벙크의 길이로 연장되고 벙크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수직 평면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대칭적이며, 벙크의 2 개의 측벽들은 전체적으로 같은 높이이다.
벙크들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벙크들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후방 가장자리를 지나서 연장될 수 있고 벙크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램프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램프 부분은 경사 램프 표면, 대향하는 측벽들 및 전방 벽을 포함한다. 램프 부분 전방 벽은 리프트 동체의 후방 벽의 높이와 적어도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 은 조절 가능/교체 가능 벙크들을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 은 짧은 벙크들이 설치된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짧은 벙크들이 설치된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짧은 벙크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짧은 벙크의 단부를 나타낸다.
도 7 은 짧은 벙크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8 은 짧은 벙크의 저부 평면도이다.
도 9 는 제 1 측으로부터의 짧은 벙크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대향측으로부터의 짧은 벙크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긴 벙크가 설치된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긴 벙크들이 설치된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12a 는 도 11 의 선 12A-12A 를 따라서 취한 보트 리프트의 확대 부분 단면도로서, 리프트상에 위치된 긴 벙크를 도시한다.
도 13 은 긴 벙크를 가진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저부 평면도이다.
도 14 는 긴 벙크의 사시도이다.
도 15 는 긴 벙크의 후방 단부 입면도이다.
도 16 은 긴 벙크의 전방 단부 입면도이다.
도 17 은 긴 벙크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긴 벙크의 저면도이다.
도 19 는 긴 벙크의 측면도이다.
상응하는 참조 번호들이 몇개의 도면들에서 이용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제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청구된 발명을 명확하게 제조 및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청구된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최상의 태양이라고 믿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몇가지 실시예, 적합화예, 변형, 대안 및 청구된 발명의 이용예를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청구된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구조 및 구성들의 상세한 내용에 그것의 적용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청구된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들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및 표현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아니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 는 교체 가능한 벙크(bunk)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drive on watercraft lift, 10)를 도시한다.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는 상부 덱크 섹션(12)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덱크 섹션(12)은 전체적으로 상부 표면(level top surface, 14), 전방 벽(16) 및 측벽(18)들을 가진다. 전방 벽 및 측벽은 연결구 수용 슬롯(20)들을 구비하여 리프트(10)가 도크 시스템(dock system)에서 포함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미국 특허 US Pat. Nos. 5281055 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다른 연결 시스템들이 이용되어 리프트(10)를 도크 시스템 안에 포함되게 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추가적인 연결구 슬롯(21)이 제공되어 부착물을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에 연결시키거나 장착시킨다.
워터크래프트 수용 섹션(22)은 상부 덱크 섹션(1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워터크래프트 수용 섹션(22)은 상부 표면(24), 측벽(26) 및 후방 가장자리(28)를 구비한다. 워터크래프트 수용 섹션(22)은 하방향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경사짐으로써, 측벽(26)은 워터크래프트 수용 영역의 전방에서보다 후방 가장자리(28)에서 더 짧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6)은 상부 덱크 섹션(12)의 측벽(18)의 연속이다. 워터크래프트 수용 섹션(24) 및 상부 덱크 섹션(22)의 상부 표면(14,24)에 좁은 홈(27)이 형성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홈(27)들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물을 용이하게 제거하게 한다.
제 1 채널(30)은 리프트(10)로의 진입부(32)를 형성하며, 워터크래프트 수용 섹션(22)의 후방 가장자리(28)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체적으로 워터크래프트 수용 섹션(22)의 측벽(25)들 사이에 중심을 둔다. 제 1 채널(30)은 워터크래프트 수용 섹션(22)의 상부 표면(24)보다 가파른 경사를 가지며, 경사 측벽(34)들에 의해 형성된다. 롤러(36)들은 제 1 채널(30)을 따라서 이격되는데, 제 1 롤러(36)는 채널(30)로의 진입부에 위치된다. 제 2 채널(38)은 제 1 채널(30)로부터 전방으로 실질적으로 리프트 덱크 시스템(12)의 전방벽(16)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채널(38)은 제 1 채널(30) 만큼 넓지 않다.
벙크 수용 슬롯(38)은 제 1 채널(30)의 양측에 형성된다. 슬롯(38)들은 서로 평행하고 제 1 채널(30)에 대하여 평행하다. 벙크 수용 슬롯(38)들은 워터크래프트 수용 영역(22)의 후방 가장자리(28)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슬롯들이 후방 가장자리(28)에서 개방된다. 슬롯(38)들은 제 1 채널(30)의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진다. 고정구(fastener) 수용 구멍(40)은 채널(38)의 저부 표면(42)에 형성된다. 고정구 수용 구멍(40)은 쌍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며, 채널(38)을 따라서 이격된다.
도 3 및 도 4 는 슬롯(38) 안에 위치된 짧은 벙크(50)들을 도시한다. 도 3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벙크(50)는 채널(38) 보다 짧다. 도 3 에서, 하나의 벙크는 실질적으로 슬롯의 후방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반면에, 다른 벙크는 슬롯(38)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2 개의 벙크(50)들이 서로로부터 오프셋(offset)된 것으로 도시된다. 실제 사용예에서, 2 개의 벙크들은 각각 그들의 개별적인 슬롯들에서 동일한 상대적인 지점에 위치되어, 2 개의 벙크들의 단부들은 서로 고르게 된다. 도 3 은 벙크(50)들이 슬롯(38)들을 따라서 상이한 위치들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짧은 벙크(50)는 도 5 내지 도 10 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벙크(50)는 벙크의 저부 표면(54)으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위로 경사진 반대편 단부(52)들을 가진다. 부착 플랜지 또는 혀 부분(tongue, 56)은 각각의 단부(52)의 저부로부터 연장된다. 플랜지(56)는 개구(58)를 구비하고, 개구를 통하여 고정구가 연장되어 리프트의 벙크 수용 슬롯(38) 안에 벙크(50)를 고정시킨다. 개구(58)들이 리프트(10)의 슬롯(38) 안에서 고정구 수용 구멍(40)과 정렬되도록 벙크(50)는 (하나의 플랜지(56)의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플랜지의 단부로의) 전체 길이를 가진다. 벙크(50)는 제 1 측벽(60) 및 제 2 측벽(62)을 구비한다. 도 5 및 도 6 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벽(60)은 제 2 측벽(62)보다 높다. 측벽(60,62)들은 각각 반경을 가진 상부 표면(64,66)에서 끝난다. 내측 벽(68a,68b) 및 저부 표면(68c)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표면 또는 채널(68)은 2 개의 상부 표면(64,66)들 사이에서 형성된다. 2 개의 상부 표면(64,66)들은 각각 상부 레일 및 하부 레일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벙크(50)는 복수개의 이격된 측부 플랜지 또는 귀 부분(ear, 70)을 구비하며, 이것은 측벽(60,62)들의 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플랜지(56)의 저부측 뿐만 아니라) 플랜지(70)의 저부측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벙크(50)의 저부 표면(54)과 동일 평면에 있다. 플랜지(70)는 벙크 수용 슬롯(38)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전체 폭을 벙크(50)에 부여함으로써, 슬롯(38)에서 벙크는 빈틈없는 맞춤이 이루어진다. 비록 개별적인 플랜지들로서 도시되었을지라도, 플랜지(70)들은 벙크(5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속적인 플랜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벙크(50)들은 벙크(50)를 리프트의 각각의 슬롯(38)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에 고정된다. 부착 플랜지(56)들의 구멍(58)들은 슬롯(50) 안의 개구(40)들과 정렬되고,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구는 정렬된 개구들을 통해 구동되어 벙크(50)를 제위치에 고정시킨다. 비록 플랜지(70)들이 실질적으로 슬롯(38) 안에 벙크의 마찰 맞춤을 제공할지라도, 고정구의 이용이 여전히 선호되며, 따라서 슬롯 안의 벙크의 위치는 예를 들어 보트 리프트상에 워터크래프트를 반복적으로 장착하고 장착 분리하는 것에 의해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위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2 개의 벙크들이 바람직스럽게는 서로 정렬된다. 벙크(50)들은 슬롯들 안에 고정될 수 있는데, 제 1 (높은) 벽(60)은 내측으로 향하거나 또는 제 2 (낮은) 벽(62)이 내측으로 향한다. 다시, 바람직스럽게는, 양쪽 벙크들이 같은 방식으로 위치된다 (즉, 양쪽 벙크들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짧은 벽을 가지거나 또는 양쪽 벙크들이 내측으로 향하는 제 1 높은 벽을 가진다).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 3 은 제 1 벽이 내측으로 향하는 하나의 벙크 및 제 2 벽이 내측으로 향하는 다른 벙크를 도시한다.
워터크래프트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상으로 구동될 때, 워터크래프트의 중심(또는 용골(keel))은 리프트의 채널(30) 안에 수용될 것이고 워터크래프트의 선체는 롤러(36)들상에 놓일 것이다. 만약 벙크(50)들이, 제 1 (높은) 벽(60)이 내측으로 향하면서 위치된다면, 선체는 가장자리 또는 레일(64)상에 놓일 것이다. 만약 제 2 (짧은) 벽(62)이 내측을 향하면서 벙크(50)들이 위치된다면, 선체는 선체의 경사 및 폭에 따라서, 가장자리 또는 레일(66,64)의 양쪽 또는 한쪽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는 제 1 또는 제 2 측벽이 내측을 향하게 벙크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상이한 형상의 또는 크기의 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벙크(50)들은 교체 가능하다. 리프트가 이용되므로, 벙크(50)들은 마모될 것이다. 벙크(50)들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지점까지 벙크들이 마모될 때, 벙크들은 새로운 벙크들로 간단히 교체될 수 있어서,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11 내지 도 13 은 긴 벙크(80)에 설치된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를 도시한다. 벙크(80)들은 도 14 내지 도 19 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벙크(80)는 신장된 레일 부분(82) 및 램프 섹션(ramp section, 84)을 구비하는데, 신장된 레일 부분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의 슬롯(38) 안에 수용되고 그것의 전체 길이에서 연장되고, 램프 섹션은 리프트(10)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긴 벙크(80)의 레일 부분(82)은 측벽(86), 오목한 상부 표면(88), 저부 표면(90) 및 전방 벽(92)을 구비한다. 측벽(86)으로부터 오목한 상부 표면(88)으로의 천이는 둥글게 되어 있어서, 레일 부분(82)은 2 개의 대향하는 둥근 레일(94a,94b)을 형성한다. 구멍(96)들은 레일 상부 표면(88)을 따라서 별개의 위치에 위치되어 리프트 슬롯(38)들의 고정구 수용 개구(40)들과 정렬된다. (예를 들어, 스크류 또는 볼트들과 같은) 고정구들은 개구(96)들을 통해 개구(40) 안으로 통과되어 벙크(80)를 슬롯(38) 안에 고정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94a,94b)은 수직으로 구멍(96)의 위에 있다. 그러므로, 고정구들의 상부 표면은 레일(94a,94b)의 상부 아래에 있을 것이며, 따라서 고정구들은 벙크(80)들이 설치된 리프트상에 위치되어 있는 워터크래프트로부터 유효하게 "감춰질" 것이다. 이것은 고정구가 워터크래프트 선체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마지막으로, 레일 부분(82)은 플랜지(98)들을 구비하는데, 플랜지들은 측벽(86)의 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플랜지(98)는 짧은 벙크(50)의 플랜지(70)들과 마찬가지로 부유물(10)의 벙크 수용 홈(38)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은 전체 길이를 벙크(80)에 부여함으로써, 벙크(80)는 슬롯(38) 안에 마찰과 함께 수용된다.
긴 벙크(80)의 램프 부분(84)은 경사진 램프 표면(100), 전체적으로 수직의 전방 벽(102), 저부(104) 및 측벽(106)을 구비한다. 측벽(106)은 레일 부분(82)의 측벽(86)에 전체적으로 평행한 제 1 부분(106a) 및, 내측으로 그리고 하방향으로 경사진 부분(106b)을 가진다. 따라서, 전방벽(102)은 도 16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부등변 사각형으로서, 벽(102)의 저부 가장자리는 벽(102)의 상부 보다 폭이 짧으며, 전방 벽(102)은 램프 표면(100) 보다 측부로부터 측부로 전체적으로 좁다. 전방벽(102)은 적어도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의 뒷편 가장자리(28)만큼 큰 높이를 가져서, 벙크의 램프 부분(84)의 저부(104)는 워터크래프트 리프트(10)의 저부 표면에 있거나 저부 표면 아래에 있을 것이다. 이것은 도 12A 의 단면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벙크(50)와는 다르게, 벙크(80)는 워터크래프트가 리프트(10)와 접촉하기 전에 접촉하는 램프 표면을 제공하는데, 이것은 리프트(10)상으로 부드러운 (덜 갑작스러운) 주행을 제공한다. 따라서, 리프트의 후방 가장자리(28)에 대한 워터크래프트의 초기 충격은 리프트에 짧은 벙크(50)가 설치되어 있을 때 그러했을 만큼 거칠지 않을 것이다. 벙크((80)(특히, 램프 표면(100))는 희생적인(sacrificial)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벙크(80)는 워터크래프트로부터의 초기 충격을 지탱할 것이므로, 리프트(10)의 후방 가장자리는 만약 벙크(80)가 램프 표면을 제공하지 않았다면 그러했을 만큼 빠르게 열화되지 않을 것이다. 램프 표면(100)이 더 이상 유용하지 않을 때, 벙크(80)는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벙크(80)는 리프트(1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짧은 벙크(50)와는 다르게, 긴 벙크(80)는 벙크들의 길이를 통하고 벙크들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되는 수직 평면 둘레에서 대칭적이다. 따라서, 벙크(50)들과 다르게, 벙크(80)들은 상이한 크기의 워터크래프트를 수용하는 상이한 위치들에 장착될 수 없다.
실제에 있어서, 예를 들어 20' 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는 보트 또는 PWC 들과 같은 소형 워터크래프트가 리프트(10)상에 독킹(docking)될 때, 리프트(10)에는 짧은 벙크(5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대형의 (그리고 무거운) 워터크래프트가 리프트(10)상에 독킹될 때, 리프트(10)에는 긴 벙크(8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크고 무거운 워터크래프트로써 긴 벙크의 수명 연장 특성 (즉, 램프 표면(100)의 장점)이 더욱 현저해지기 때문이다.
청구된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상기 구조에 다양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거나 상기 설명에 포함된 모든 사항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10.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12. 상부 덱크 섹션
14. 상부 표면 16. 전방 벽
18. 측벽 20. 연결구 수용 슬롯

Claims (20)

  1. 상부 표면, 측벽, 전방벽 및, 후방벽을 구비하는 동체로서, 상기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리프트상으로의 진입부를 형성하는 선체 수용 채널(hull receiving channel); 및 상기 선체 수용 채널의 양측상에서 상기 상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벙크 수용 슬롯(bunk receiving slot)들을 구비하는, 동체; 및,
    상기 벙크 수용 슬롯들 각각에 고정된 벙크(bunk)로서, 상기 벙크들 각각은 저부 표면, 제 1 측벽, 상기 제 1 측벽에 대향하는 제 2 측벽 및,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면은 워터크래프트가 상기 리프트상에 위치될 때 상기 워터크래프트의 선체가 놓일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형성하는, 벙크;를 구비하고,
    상기 리프트 동체의 상기 벙크 수용 슬롯들 및 상기 벙크들은 상기 벙크들이 상기 벙크 수용 슬롯들 안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drive-on watercraft lift).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들은 상기 벙크 수용 슬롯 안에 마찰로 수용되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는 상기 벙크의 상기 측벽들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플랜지는 벙크 수용 슬롯의 폭과 대략 같은 전체 폭을 상기 벙크에 부여하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동체는 각각의 상기 벙크 수용 슬롯내에 고정구 수용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벙크들 각각은 복수개의 고정구 수용 구멍들을 포함하고, 상기 벙크들상의 각각의 고정구 수용 구멍은 상기 벙크가 상기 슬롯 안에 위치될 때 상기 리프트 동체상의 고정구 수용 구멍과 정렬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는 상기 벙크들의 고정구 수용 구멍들을 통하여 상기 동체의 고정구 수용 구멍들 안으로 연장된 고정구(fastener)들을 더 포함하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들은 상기 동체의 상기 벙크 수용 슬롯들보다 짧고; 상기 벙크들은 그것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벙크내의 상기 고정구 수용 개구들은 상기 전방 플랜지 및 후방 플랜지에 형성되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들의 상기 고정구 수용 개구들은 상기 벙크들의 상기 상부 표면으로 개방되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 상부 표면은 전체적으로 오목하여, 상기 벙크는 상기 제 1 측벽과 관련된 제 1 레일 및 상기 제 2 측벽과 관련된 제 2 레일을 한정하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제 2 측벽보다 높아서, 상기 제 1 레일은 상기 제 2 측 레일보다 수직으로 위에 있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들은 제 1 측벽 또는 제 2 측벽이 내측을 향하면서 상기 벙크 수용 슬롯들 안에 위치될 수 있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는, 상기 벙크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벙크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수직 평면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들 각각은 상기 레일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램프 부분(ramp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부분은 경사 램프 표면, 대향하는 측벽들 및 전방 벽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부분 전방 벽은 상기 리프트 동체의 상기 후방벽의 높이와 적어도 같은 높이를 가지는,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12.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를 위한 벙크로서,
    상기 벙크는 저부 표면, 제 1 측벽, 상기 제 1 측벽에 대향하는 제 2 측벽 및,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워터크래프트가 상기 리프트상에 위치될 때 워터크래프트의 선체가 놓일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한정하는, 벙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는 복수개의 고정구 수용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구 수용 구멍을 통해서 고정구들이 통과할 수 있어서 상기 벙크를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동체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벙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는 그것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된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벙크내의 상기 고정구 수용 개구들은 상기 전방 플랜지 및 후방 플랜지에 형성되는, 벙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의 상기 고정구 수용 개구들은 상기 벙크의 상기 상부 표면으로 개방되는, 벙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는 상기 벙크의 상기 측벽들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측부 플랜지를 구비하는, 벙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 상부 표면은 전체적으로 오목하여, 상기 벙크는 상기 제 1 측벽과 관련된 제 1 레일 및 상기 제 2 측벽과 관련된 제 2 레일을 한정하는, 벙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은 상기 제 2 측벽보다 높아서, 상기 제 1 레일은 상기 제 2 레일보다 수직으로 위에 있는, 벙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는, 상기 벙크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벙크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수직 평면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벙크.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벙크는 상기 레일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램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부분은 경사 램프 표면, 대향하는 측벽들, 저부 및 전방 벽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부분의 전방 벽은, 상기 벙크가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에 고정될 때, 상기 램프 부분의 저부를 워터크래프트 리프트의 저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크기인, 벙크.
KR1020147012595A 2011-10-10 2011-11-10 조절 가능한 벙크를 가진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KR201400870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5395P 2011-10-10 2011-10-10
US61/545,395 2011-10-10
PCT/US2011/060093 WO2013055378A1 (en) 2011-10-10 2011-11-10 Drive-on watercraft lift with adjustable bun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004A true KR20140087004A (ko) 2014-07-08

Family

ID=4808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595A KR20140087004A (ko) 2011-10-10 2011-11-10 조절 가능한 벙크를 가진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180944B2 (ko)
EP (1) EP2766255A4 (ko)
JP (1) JP2014532005A (ko)
KR (1) KR20140087004A (ko)
CN (1) CN103958342A (ko)
AR (1) AR085350A1 (ko)
AU (1) AU2011378788B2 (ko)
BR (1) BR112014008466A2 (ko)
CA (2) CA2851714C (ko)
CL (1) CL2014000890A1 (ko)
DO (1) DOP2014000217A (ko)
MX (1) MX342988B (ko)
RU (1) RU2014118740A (ko)
WO (1) WO20130553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385B1 (ko) * 2022-12-06 2023-09-04 스코트라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단위유닛 제작을 위한 부유식 수상작업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16770C1 (ru) * 2016-04-04 2017-04-18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е проект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Онега" Способ подъема судна на горизонтальную стапель-палубу
US10315738B2 (en) * 2016-11-30 2019-06-11 E-Z-Dock, Inc. Small watercraft launch
US10875612B1 (en) * 2017-11-27 2020-12-29 Crescent Equipment Company Dock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09356139B (zh) * 2018-11-16 2021-04-27 河海大学 一种连续运行的通航建筑物及其运行方法
CN111256655B (zh) * 2020-03-31 2022-03-18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驳岸与半潜驳高差测量装置及使用方法
US11904990B2 (en) 2020-09-02 2024-02-20 Innovative Outdoor Solutions, Inc. Floating drive-on pontoon port
US11535345B2 (en) * 2021-02-18 2022-12-27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rtable UUV launch and recover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1055C1 (en) 1992-07-17 2001-08-14 Marine Floats Inc Floating dock
US5695331A (en) * 1996-01-18 1997-12-09 Btu International Multiple width boat carrier for vertical ovens
US5875727A (en) 1997-07-23 1999-03-02 Hydrohist International, Inc. Lift for a personal watercraft
US6006687A (en) * 1998-01-21 1999-12-28 Marine Floats, Inc. Modular floating boat lift
US6422167B1 (en) * 2001-08-01 2002-07-23 Gary A. Bridges Apparatus and method for elevating a watercraft out of a body of water
US6526902B1 (en) * 2001-10-26 2003-03-04 Ocean Innovations, Inc. Drive-on dry dock
US7293522B1 (en) * 2003-10-29 2007-11-13 Hydrohoist International, Inc. Roller assembly for floating dock
US7055449B2 (en) * 2004-02-04 2006-06-06 Brown Curtis W Apparatuses and methods useful for centering watercraft
KR101298991B1 (ko) * 2004-02-06 2013-08-26 이-즈 덕, 인코포레이티드 부유식 드라이브 온 선박 도크
US7117809B2 (en) * 2004-03-31 2006-10-10 Candock Inc. Floating dry dock for light watercrafts
US7063033B1 (en) * 2005-12-15 2006-06-20 Jeffrey Jackson Stackable watercraft float system
US7918178B2 (en) * 2007-08-16 2011-04-05 E-Z-Dock, Inc. Modular floating watercraft port assembly
US7552495B1 (en) 2008-02-08 2009-06-30 Rogerson L Keith Adaptable inserts for jet ski ramp
US7856936B2 (en) * 2008-11-04 2010-12-28 Peter Nemethy Lift lock securit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385B1 (ko) * 2022-12-06 2023-09-04 스코트라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단위유닛 제작을 위한 부유식 수상작업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6255A4 (en) 2015-12-02
CL2014000890A1 (es) 2014-12-19
US9180944B2 (en) 2015-11-10
MX2014004315A (es) 2014-07-30
MX342988B (es) 2016-10-20
RU2014118740A (ru) 2015-11-20
WO2013055378A1 (en) 2013-04-18
AU2011378788A1 (en) 2014-04-24
AU2011378788B2 (en) 2016-11-17
CA2851714A1 (en) 2013-04-18
US20140248083A1 (en) 2014-09-04
CN103958342A (zh) 2014-07-30
JP2014532005A (ja) 2014-12-04
DOP2014000217A (es) 2014-10-15
BR112014008466A2 (pt) 2017-04-25
CA2851714C (en) 2017-05-16
EP2766255A1 (en) 2014-08-20
AR085350A1 (es) 2013-09-25
CA2957751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7004A (ko) 조절 가능한 벙크를 가진 드라이브-온 워터크래프트 리프트
US7918178B2 (en) Modular floating watercraft port assembly
CA2555270A1 (en) Floating drive-on watercraft dock
JP2010536634A5 (ko)
US7225751B2 (en) Connecting link assembly and socket arrangement for assembly of floating drive-on dry docks
US11828322B2 (en) Attachable loading ramp for modular floating vessel platforms
JP2000506814A (ja) 表面効果船体
US8025019B1 (en) Buoyant bumper apparatus for absorbing water vessel impact against pilings
US7117809B2 (en) Floating dry dock for light watercrafts
US10793237B2 (en) Small watercraft launch
CN215971993U (zh) 一种移动登乘平台及船舶
NZ535956A (en) A stabiliser device
CA2463306C (en) Floating dry dock for light watercrafts
US6895887B2 (en) Gunwale member for a boat
CN110104118A (zh) 一种分体式充气复合艇
US3418957A (en) Design and construction of hulls for marine craft
CN219056253U (zh) 矿用车辆复轨装置
KR20140107360A (ko) 플로팅 도크 시스템
CN113788113A (zh) 一种移动登乘平台及船舶
CN207712264U (zh) 一种摩托艇专用救援船
CN113401288A (zh) 船舶跳板舷侧支撑装置
US20060034674A1 (en) Drop deck bed design for vehicle recovery systems
CA2477040A1 (en) Combined boat hull and pickup truck bed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