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063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063A
KR20140085063A KR1020120155219A KR20120155219A KR20140085063A KR 20140085063 A KR20140085063 A KR 20140085063A KR 1020120155219 A KR1020120155219 A KR 1020120155219A KR 20120155219 A KR20120155219 A KR 20120155219A KR 20140085063 A KR20140085063 A KR 20140085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mage forming
print medium
rollers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5063A/ko
Publication of KR20140085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7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deskewing or alig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 급지 카세트로부터 화상 형성부까지 인쇄 매체가 이동하는 경로인 급지 경로; 상기 화상 형성부를 통과한 인쇄 매체가 이동하는 경로인 배지 경로; 상기 배지 경로상에 구비되는 디버터 및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지 경로는 제1 배지 경로와 제2 배지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디버터는 제1 배지 경로와 제2 배지 경로가 분지되는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배지 경로 또는 제2 배지 경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를 폐쇄하도록 회전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지 경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Apparatus for printing image}
본 발명은 인쇄 매체의 일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에 결합되어 호스트 장치에서 인가되는 인쇄 신호에 따라 호스트 장치에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종이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에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에서는, 급지 트레이에 수용된 종이 등의 인쇄 매체가 소정 경로를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인쇄 매체가 좌우로 비틀어지는 스큐(skew)가 발생할 경우, 인쇄 매체에 화상이 똑바로 인쇄되지 못하여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잼(jam)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쇄 매체의 틀어짐(스큐, skew)을 보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스큐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큐 방지부는, 상기 중심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축 결합부와; 상기 축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질량부와; 상기 축 결합부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는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질량부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는 회전 중심으로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질량부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결합되며, 복수개의 상기 롤러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스큐 방지부는 상기 롤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상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결합된 상기 중심축은 상하로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스큐 방지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중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구성의 추가로 인쇄 매체의 스큐(skew)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 변경 없이 간단히 부품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스큐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매체 이송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스큐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스큐 방지부가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인쇄 매체가 수납되는 급지 카세트(11)와,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8)와,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잉크를 포함하는 인쇄 물질을 공급하는 잉크 공급부(21)와, 상기 급지 카세트(11)에 수납된 인쇄 매체를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이송하는 급지 롤러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한 인쇄 매체를 이송하는 배지 롤러부와, 배지 롤러부체 의해 이송되는 인쇄 매체를 외부로 가이드하는 배지부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급지 롤러부는, 상기 급지 카세트(11)의 전면 상단에 위치하여 인쇄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제 1 픽업 롤러(31)와,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 매체를 이어받아 상기 화상 형성부(18) 쪽으로 이송하는 가속 롤러(32)와, 상기 가속 롤러(32)로부터 이어받은 인쇄 매체를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속 롤러(32)로부터 이송되는 인쇄 매체는 급지 가이드(12)에 의하여 상기 이송 롤러(34)로 안전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급지 가이드(12)의 단부 쪽에 연결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7)에 의하여, 인쇄 매체가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안전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배지 롤러부는,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한 인쇄 매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롤러(36), 버티컬 롤러(37), 및 배지 롤러(38)를 포함한다. 상기 배지 롤러(38)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아이들 롤러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아이들 롤러는 배지 아이들 롤러(381)와 전환 아이들 롤러(382)를 포함하며, 이들에 대한 기능은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롤러들 외에 인쇄 매체 이송을 위한 다수의 롤러에 대해서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지부는, 상기 버티컬 롤러(37)로 안내된 인쇄 매체가 상기 배지 롤러부로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가이드하는 배지 가이드(19)와, 배지 가이드 커버(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화상 형성부(18)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잉크를 고속으로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된 잉크젯 헤드(inkjet head)일 수 있고, 상기 잉크젯 헤드는 용지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PSA(Page Straight Array) 헤드 또는 PWP(Page Width Printer) 헤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로 좌우로 왕복하는 셔틀 방식 헤드(Shuttle-typed head)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기 급지 롤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메인 모터(13)와, 상기 메인 모터(13)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다수의 이송 롤러축들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어셈블리(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14)에 의하여 단일 구동원으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이 다수의 회전축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는, 배지 롤러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배지 모터(15)와, 양면 인쇄 모드에서 인쇄 매체를 역이송하기 위한 반전 롤러부(후술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듀플렉스 모터(Duplex motor)(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인쇄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인쇄 매체는 급지 롤러부에 의하여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이송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하면서 일 면에 화상이 인쇄된 인쇄 매체는 상기 배지 롤러부 및 배출부를 통하여 출력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인쇄 매체의 이송 경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매체 이송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급지 카세트(11)에 적재된 인쇄 매체를 이용하여 인쇄할 수도 있고, 다목적 트레이(Multi-Pulpose Tray) 또는 수동 트레이(Manual Paper Tray)를 이용하여 낱장 인쇄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기 급지 카세트(11)의 전면 상단에 제공되는 제 1 픽업 롤러(31)와, 상기 다목적 트레이 또는 수동 트레이의 전단에 제공되는 제 2 픽업 롤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및 제 2 픽업 롤러(31,32)의 전방에는 인쇄 매체를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롤러(34)와 제 1 픽업 롤러(31) 사이에는 가속 롤러(32)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 매체를 이어받아 빠른 속도로 이송시킨다. 즉,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의 선속도보다 상기 가속 롤러(32)의 선속도가 더 빠르게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의 선속도를 상기 가속 롤러(32)의 선속도에 가깝게 설정할 경우, 인쇄 매체가 픽업되지 않고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의 선속도를 가속 롤러(32)의 선속도보다 작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픽업 롤러(31)와 상기 이송 롤러(34) 간에는 높이 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픽업 롤러(31)에 의하여 픽업된 인쇄 매체의 선단이 상기 이송 롤러(34)에 안정적으로 물리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가속 롤러(32)가 제공된다. 상기 가속 롤러(32) 이후에 제공되는 롤러들의 선속도는 상기 가속 롤러(32)의 선속도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 롤러(34)는 제품의 규격에 따라서 다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롤러(34)의 전방에는 인입 롤러(3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입 롤러(35)는 상기 화상 형성부(18)의 직후방(용지의 인쇄 방향을 기준으로 함)에 위치하여, 인쇄 매체가 안정적으로 상기 화상 형성부(18)로 안내되도록 한다.상기 인입 롤러(35)에는 인쇄 매체의 스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큐 방지부(60)가 결합되는데, 상기 스큐 방지부(60)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 원리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화상 형성부(18)의 전방에는 배출 롤러(36)가 제공되어,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하면서 화상이 형성된 인쇄 매체가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벗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 롤러(36)의 전방에는 버티컬 롤러(37)가 구비되어,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벗어난 인쇄 매체를 배지 롤러(38)로 안내한다. 상기 배지 롤러(38)의 외주면 일측에는 배지 아이들 롤러(381)가 구비된다. 따라서, 인쇄를 마친 인쇄 매체가 상기 배지 롤러(38)와 배지 아이들 롤러(381) 사이를 통과하여, 인쇄된 용지가 적재되는 적재면(101)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양면 복사 기능이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10)의 경우, 상기 배지 롤러(38)의 외주면 타측에 반전 아이들 롤러(382)가 제공된다. 그리고, 인쇄를 마친 인쇄 매체가 상기 배지 롤러(38)와 반전 아이들 롤러(382) 사이로 통과하도록 한다. 즉, 상기 배지 롤러(38)는 배지 기능 및 용지 반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쇄 매체가 배지 롤러(38)와 반전 아이들 롤러(382)를 완전히 벗어나기 전에 상기 배지 롤러(38)는 일시 정지한 후 역회전하여, 인쇄 매체를 반전 경로로 역이송시킨다.
도면에서 A로 표시된 경로를 인쇄 경로로 정의할 수 있고, B로 표시된 경로를 반전 경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인쇄 경로(A)는 급지 경로 및 배지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급지 경로란 인쇄 매체가 화상 형성부(18)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말하며, 배지 경로란 인쇄 매체가 화상 형성부(18)를 통과한 이후의 경로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반전 경로(B)는 한쪽 면만 인쇄된 인쇄 매체를 반전시켜, 인쇄되지 않은 다른 면(제 2면)이 상기 화상 형성부(18)를 향하는 상태로 상기 인쇄 경로로 안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전 경로(B) 상에는 다수의 이송 롤러(39,40,41)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업 롤러들(31,33)과, 가속 롤러(32), 상기 이송 롤러(34)와, 인입 롤러(35)는 급지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롤러(36)와 버티컬 롤러(37) 및 배지 롤러(38)는 배지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인쇄 경로 상에서 급지 경로에 위치하는 롤러 들을 급지 롤러부라 하고, 배지 경로 상에 위치하는 롤러들을 배지 롤러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전 경로 상에 제공되는 이송 롤러들(30,40,41)은 반전 롤러부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를 이루는 롤러들 각각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롤러와, 상기 구동 롤러와 맞닿는 아이들 롤러가 하나의 유닛 또는 세트로 제공된다. 상기 아이들 롤러는 인쇄 매체가 통과할 때 인쇄 매체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이다.
또한, 상기 점선 M1으로 묶인 롤러들은 상기 메인 모터(13)로부터 기어 어셈블리(14)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점선 M2로 묶인 롤러는 배지 모터(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점선 M3로 묶인 롤러들은 상기 듀플렉스 모터(16)로부터 기어 어셈블리를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급지 롤러부는 메인 모터(1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배지 롤러부는 배지 모터(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출 롤러(36)와 버티컬 롤러(37)는 상기 메인 모터(13) 또는 배지 모터(15)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되는 스큐 방지부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스큐 방지부(60)가 인입 롤러(35)의 중심축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므로, 인입 롤러(35)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 후, 상기 인입 롤러(35)에 결합되는 스큐 방지부(6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인입 롤러(35)는 인쇄 매체를 가이드하는 매체 가이드(50)의 전방에 위하며,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 롤러(351)와 상기 구동 롤러(351)의 상부에 위치하는 아이들 롤러(35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롤러(351)는, 모터 등의 동력 발생 장치와 연결되는 중심축(3511)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 룰러(351)는 그 중심축과 일체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롤러(351)는 상기 동력 발생 장치의 작동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그 회전력을 인쇄 매체로 전달하여 인쇄 매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아이들 롤러(352)는 중심축(3521)에 결합되며, 중심축과 일체로 회전할 수도 있고, 중심축과의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들 롤러(352)의 중심축(3521)은 동력 발생 장치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이들 롤러(352)는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하지 않는다. 단, 인쇄 매체가 이동하는 경우, 인쇄 매체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며, 이 때 아이들 롤러(3521)의 선속과 인쇄 매체의 이동 속도는 대략 동일하다.
한편, 상기 스큐 방지부(60)는, 상기 구동 롤러(351)의 중심축(3511)에 상기 중심축(3511)과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큐 방지부(6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스큐 방지부(60)는 축 결합부(61)와, 스토퍼(62)와, 질량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축 결합부(61)는 상기 중심축(3511)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며 상기 중심축(3511)에 결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상기 축 결합부(61)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중심축(3511)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2)는 상기 축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스토퍼(62)는 축 결합부(61)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621)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소정 각도록 꺽여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622)를 포함한다.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621)는 후방쪽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연장부(622)는 상하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1 연장부(621) 및 제2 연장부(622)는 모두 전후 방향을 중심으로 후방쪽에 위치한다.
여기서 전방이란, 이동하는 인쇄 매체를 기준으로 할 때, 용지가 아직 진행하지 않은 쪽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용지가 지나온 쪽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3에서는 우측이 전방, 좌측이 후방이 된다.
상기 질량부(63)는 축 결합부(61)의 외측에 결합되며, 대략 상기 스토퍼(62)의 반대쪽에 구비된다. 상기 질량부(63)는 상기 스토퍼보다 무거운 질량을 갖는다. 따라서,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질량부(63)는 상시 회전 중심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62)는 회전 중심의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62)는 회전 중심보다 후방 쪽에 위치하며, 상기 질량부(63)의 질량 중심은 회전 중심보다 전방 쪽에 위치한다.
또한,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62)는 회전 중심으로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질량부(63)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큐 방지부(6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351)의 중심축(3511)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축(3511)에 구동 롤러(351)가 복수개 결합되며, 이 복수개의 구동 롤러(351)는 중심축(351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이격된 구동 롤러(351) 사이에 상기 스큐 방지부(60)가 결합된다.
상기 축 결합부(6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 롤러(351)의 중심축(3511)과 상기 스큐 방지부(60)의 결합은, 상기 스큐 방지부(60)의 축 결합부(61)의 절개부가 상기 중심축(3511) 외주면에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스큐 방지부를 상기 중심축(3511)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축 결합부(61)의 절개부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중심축(3511)의 외경보다 더 크게 벌어졌다가, 상기 중심축(3511)이 축 결합부의 중앙에 오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오무려짐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스큐 방지부(60)는 상기 중심축(3511)의 단부가 축 결합부(61) 중앙의 중공 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구동 롤러(351)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결합이 가능함으로 인해, 상기 스큐 방지부(60)는 다양한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롤러의 중심축에 결합 가능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변경하는 일 없이 매우 간단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큐 방지부(60)의 작용을 설명한다.
인쇄 매체의 이송 과정에서, 구동 롤러(351)의 중심축(3511)은 회전하고 있으나, 상기 스큐 방지부의 축 결합부(61)와 상기 중심축(3511) 사이에는 슬립이 발생하여, 상기 스큐 방지부(60)는 도3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스큐 방지부(60)의 축 결합부(61)의 내경이 상기 중심축(3511)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축 결합부와 중심축(3511)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큐 방지부(60)의 질량부(63)에 작용하는 하중이 스큐 방지부(60)의 회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한편, 인쇄 매체는, 도3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데, 만일 이 과정에서 스큐(skew)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인쇄 매체의 선단이 복수개의 스토퍼(62)와 동시에 접촉하게 되며, 스토퍼(62)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스큐 방지부(60)를 회전시킨다. 이때 인쇄 매체의 이송력에 의해 스토퍼(62)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중력에 의해 질량부(63)에 작용하는 모멘트보다 큰 경우 스큐 방지부(60)가 회전하게 된다.
스큐 방지부(60)가 회전하여, 스토퍼(62)가 전방쪽으로 밀리면, 인쇄 매체는 구동 롤러(351)와 아이들 롤러(352) 사이로 진입하고, 구동 롤러(351)의 구동력에 의해 더욱 전진하여 구동 롤러(351)와 아이들 롤러(352)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인쇄 매체가 스큐 방지부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큐(skew)가 발생한다면 먼저 도착한 인쇄 매체의 선단 일부가 어느 하나의 스큐 방지부(60)의 스토퍼(62)와 먼저 접촉 하게 된다.
이때는 인쇄 매체에 의해 스토퍼(62)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상기 질량부(63)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 보다 작기 때문에, 스큐 방지부(60)의 스토퍼(62)는 전방쪽으로 회전하지 않고 도3에 도시된 바와인쇄 같은 위치를 유지한다. 인쇄 매체의 비틀어짐에 의해 일부 미리 도착한 부분에 의해 작용하는 힘이 스큐 방지부를 회전시키기에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인쇄 매체가 계속 전방으로 이동하면, 먼저 이동한 쪽은 전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 있고, 나머지 부분만이 이동하므로, 자연스럽게 용지의 선단이 전체적으로 모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스큐 방지부(60)의 스토퍼(62)와 접촉하게 된다. 즉 인쇄 매체의 선단이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용지를 전진시키는 힘이 계속 작용하므로, 그 힘이 스토퍼(62)를 전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선단이 나란히 정렬된 인쇄 매체가 스토퍼(62)를 밀어, 스토퍼(62)가 전방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인쇄 매체는 스토퍼(62)를 구동 롤러(351)와 아이들 롤러(352) 사이에 물리게 되고, 구동 롤러(351)의 힘에 의해 계속 전진하여, 스큐 방지부(60)를 통과하게 된다.
인쇄 매체가 통과하고 나면, 스큐 방지부(60)는 질량부(63)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다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래 위치로 되돌아 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큐(skew)가 보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 롤러(351)가 하부에 위치하고 아이들 롤러(352)가 상부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구동 롤러(351)가 상부에 위치하고 아이들 롤러(352)가 하부에 위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스큐 방지부(60)는 하부에 위치하는 아이들 롤러의 중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큐 방지부(60)는 인입 롤러(35)가 아닌 다른 롤러에도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 롤러와 하나의 아이들 롤러가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구동 롤러 2개가 상하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큐 방지부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큐 방지부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동 롤러의 중심축에 결합될 수 잇다.
또한, 아이들 롤러 2개가 상하로 배치되는 롤러에도,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큐 방지부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큐 방지부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아이들 롤러의 중심축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쇄 매체의 이동에 관여하는 롤러의 중심축에만 결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롤러가 구비되지 않은 별도의 중심축, 예를 들면, 매체의 인쇄 방향에 수직한 임의의 중심축을 설치하고, 그 중심축에 상기 회전부를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화상 형성 장치 11: 급지 카세트
12: 급지 가이드 13: 메인 모터
14: 기어 어셈블리 15: 배지 모터
16: 듀플렉스 모터 17: 가이드 플레이트
18: 화상 형성부 19: 배지 가이드
20: 배지 가이드 커버 21: 잉크 공급부
30: 이송 롤러 31: 제1 픽업 롤러
32: 가속 롤러 33: 제2 픽업 롤러
34: 이송 롤러 35: 인입 롤러
36: 배출 롤러 37: 버티컬 롤러
38: 배지 롤러 381: 배지 아이들 롤러
382: 반전 아이들 롤러 39, 40, 41: 이송 롤러
50: 매체 가이드 60: 스큐 방지부
61: 축 결합부 62: 스토퍼
621: 제1 연장부 622: 제2 연장부
63: 질량부

Claims (8)

  1.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스큐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큐 방지부는,
    상기 중심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축 결합부와;
    상기 축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질량부와;
    상기 축 결합부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소정 각도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질량부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는 회전 중심으로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질량부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롤러가 결합되며,
    복수개의 상기 롤러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스큐 방지부는 상기 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상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결합된 상기 중심축은 상하로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스큐 방지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중심축에 결합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155219A 2012-12-27 2012-12-27 화상 형성 장치 KR20140085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19A KR20140085063A (ko) 2012-12-27 2012-12-27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19A KR20140085063A (ko) 2012-12-27 2012-12-27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063A true KR20140085063A (ko) 2014-07-07

Family

ID=5173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219A KR20140085063A (ko) 2012-12-27 2012-12-2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50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4126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200703856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130320616A1 (en) Printing medium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02174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20180056677A1 (en) Printer with different conveyance speeds of recording medium
JP2017065891A (ja)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US9180689B2 (en) Recording apparatus
JP5874346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6002375B2 (ja) 画像記録装置
JP5673126B2 (ja) 画像記録装置
KR20140085063A (ko) 화상 형성 장치
JP6176033B2 (ja) 記録装置
JP5751075B2 (ja) 画像記録装置
JP6372372B2 (ja) 画像記録装置
JP6369339B2 (ja) 画像記録装置
JP6372281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KR20140084985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1032066A (ja) 記録装置
US10526153B2 (en) Printing apparatus
JP2011051697A (ja) 画像記録装置
KR20140084764A (ko) 잉크젯 화상 형성 장치
JP2016187964A (ja) 画像記録装置
US20140092161A1 (en) Sheet-discharge device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heet-discharge device
KR20140084986A (ko) 문서 출력 장치 및 문서 출력 방법
KR20140084649A (ko) 문서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