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327A -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327A
KR20140084327A KR1020147014728A KR20147014728A KR20140084327A KR 20140084327 A KR20140084327 A KR 20140084327A KR 1020147014728 A KR1020147014728 A KR 1020147014728A KR 20147014728 A KR20147014728 A KR 20147014728A KR 20140084327 A KR20140084327 A KR 20140084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access
data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869B1 (ko
Inventor
가즈마사 미야자와
히데끼 아까시까
요시또 나가누마
유따까 진노
Original Assignee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84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6Use of secure elements separate from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4Card activation or deactiv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itialising or reload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6Balancing accou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면서, 보증해야 할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7)에 의하면, 밸류 잔고를 기억하는 칩 기억부(18)에의 액세스의 제한을 설정하는 로크 기능의 유효화가 실행된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7)의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휴대 단말기(7)에 의하면, 로크 기능의 유효화가 완료되고 나서 그 로크 기능이 해제될 때까지 취득된 밸류 잔고가, 전자 화폐 서버(2)에 기억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이 판명된 시점에서 칩 기억부(18)에 기억되어 있었던 보증해야 할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PORTABLE TERMINAL, TERMINAL FUNCTION MANAGEMENT SYSTEM, TERMINAL FUNCTION MANAGEMENT METHOD, TERMINAL FUNCTION MANAGEMEN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PON WHICH SAID PROGRAM HAS BEEN RECORDE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화폐 대응 IC를 내장한 기기나 장치의 분실이나 도난이 발생했을 때, 전자 화폐 잔고를 보증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이 전자 화폐 카드를 사용 허가 상태로 설정하고 나서 소정의 사용 가능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적으로 사용 불허가 상태로 설정하는 휴대 전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742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예를 들어 전자 화폐 카드를 내장한 휴대 전화기에 적용하면, 휴대 전화기의 분실이나 도난이 판명된 시점에서 전자 화폐 카드가 사용 불허가 상태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점에서,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전자 화폐 카드 전체에 로크가 걸리므로, 전자 화폐 잔고를 확인할 수도 없게 된다. 그로 인해, 결제 단말기로부터 필요한 로그 데이터를 모두 취득하여 총계하지 않는 한, 보증해야 할 전자 화폐 잔고를 확정할 수 없다. 또한, 결제 단말기가 리얼타임의 온라인 접속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로그 데이터를 취득할 때까지 타임 래그가 발생한다. 또한, 로그 데이터를 참조하는 것만으로는, 정규 이용인지 부정 이용인지를 판별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면서, 보증해야 할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과,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과,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우선,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킨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로 인해,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는, 잔고 보존 수단은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그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잔고 보존 수단에 의해 취득된 잔고 데이터는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관리 서버에 송신되고, 그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을 더 구비해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는,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액세스 제한을 해제할 때에 잔고 데이터를 잔고 취득 수단에 취득시키고,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와,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켜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액세스 제한을 해제할 때에 잔고 데이터를 잔고 취득 수단에 취득시키고,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와,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는,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관리 서버로부터 해제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켜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관리 서버로부터 해제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은,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와, 그 휴대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관리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으로서, 휴대 단말기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과,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는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과,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잔고 송신 수단과,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수단과,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해제 정보를 송신하는 제한 해제 허가 수단을 구비하고,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한 소정의 해제 정보를 사용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우선,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킨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는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로 인해,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에서는, IC 모듈이 구비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은,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고, 휴대 단말기가 구비하는 잔고 취득 수단은,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액세스 제한을 해제할 때에 잔고 데이터를 잔고 취득 수단에 취득시키고,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관리 서버가 구비하는 제한 해제 허가 수단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와,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휴대 단말기에 해제 정보를 송신해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액세스 제한을 해제할 때에 잔고 데이터를 잔고 취득 수단에 취득시키고,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와,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휴대 단말기에 해제 정보를 송신한다. 이로 인해, 전자 화폐 잔고를, 보다 확실하게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에서는, 관리 서버는, IC 모듈이 탑재하는 전자 화폐 기능이 무효인지 아닌지를 판별 가능한 무효 정보를 기억하는 무효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관리 서버가 구비하는 제한 해제 허가 수단은, 무효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무효 정보를 참조하고, 해제 정보의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가능한 IC 모듈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 화폐 기능이 무효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그 휴대 단말기에 해제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관리 서버는, 전자 화폐 기능이 무효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에 해제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휴대 단말기의 전자 화폐 기능이 무효인 것을 무효 정보에 표시해 둠으로써,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구비하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해서 생성된 암호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고, 휴대 단말기가 구비하는 잔고 송신 수단은, 만들어 내어진 암호 정보를 또한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관리 서버가 구비하는 잔고 보존 수단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암호 정보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또한 기억시키고, 관리 서버가 구비하는 제한 해제 허가 수단은,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암호 정보를 해제 정보로서 송신해도 좋다.
이 형태에서는, 암호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고,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암호 정보를 해제 정보로서 송신한다. 이와 같이, 암호 정보를 사용한 액세스 제한 및 그 해제가 실행되므로,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은,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가 행하는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기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스텝과,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스텝과, 휴대 단말기가,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에 의하면, 우선,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킨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로 인해,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은,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와, 그 휴대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관리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이 행하는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으로서, 휴대 단말기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스텝과,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는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스텝과, 휴대 단말기가,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잔고 송신 스텝과, 관리 서버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스텝과, 관리 서버가,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해제 정보를 송신하는 제한 해제 허가 스텝과, 휴대 단말기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액세스 제한 해제 스텝을 갖고, 액세스 제한 해제 스텝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한 소정의 해제 정보를 사용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에 의하면, 우선,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킨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로 인해,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기능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의 기능과,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의 기능과,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수단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우선,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킨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로 인해,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휴대 단말기를,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과,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과,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하면, 우선,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킨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IC 모듈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로 인해,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은,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카드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점포 단말기와, 그 휴대 단말기 및 그 점포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관리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으로서, 휴대 단말기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과,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는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IC 카드의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과, 입력된 인증 정보 및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잔고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점포 단말기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 및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데이터 보존 수단과, 점포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가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점포 단말기에 해제 정보를 송신하는 제한 해제 허가 수단을 구비하고,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한 소정의 해제 정보를 사용해서,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우선,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액세스 제어 수단에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킨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관리 서버로부터 해제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한하여,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면서, 보증해야 할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 단말기의 실시 형태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전자 화폐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휴대 단말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휴대 단말기의 물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자 화폐 서버 및 점포 단말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자 화폐 서버 및 점포 단말기의 물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로크 기능의 유효화에 수반하는 밸류 잔고의 저장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1> 실시 형태의 개요
우선, 본 발명에 관한 휴대 단말기의 실시 형태 개요를,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이 휴대 단말기(7)의 실시 형태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7)는 스마트폰이라고 하는, 인터넷 통신 가능한 휴대형 전화 단말기이다. 휴대 단말기(7)는 내장된 비접촉형의 IC 칩(12)을 사용한 전자 화폐에 의한 결제 처리나 잔고의 증감 처리 등의 전자 화폐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7)는 IC 칩(12) 내의 특정한 영역에 액세스 제한을 설정하고, 그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 제어 기능(이하, 「로크 기능」이라고 함)도 갖고 있다. IC 칩(12)은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7)는 전자 화폐 서버(2)(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화폐 서버(2)와의 통신은 전자 화폐에 관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15)에 의해 행해진다.
우선, IC 칩(12)의 로크 기능이 무효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7)의 유저(U)가, 로크 기능을 유효로 하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인증 정보)을, 어플리케이션(15)을 사용해서 휴대 단말기(7)에 설정(입력)한다(수순 1). 어플리케이션(15)은 IC 칩(12)에 대한 로크 기능의 유효화를 완료시킨다(수순 2).
다음에,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면서 IC 칩(12)에 액세스하여, 현재의 밸류 잔고(잔고 데이터)를 요구한다(수순 3). 그리고, IC 칩(12)은 어플리케이션(15)으로부터의 요구에 대해, 어플리케이션(15)에 밸류 잔고를 송신한다(수순 4). 잔고가 취득되면, 어플리케이션(15)은 IC 칩(12)의 로크를 재설정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15)은 수신한 밸류 잔고를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하고(수순 5), 전자 화폐 서버(2)는 수신한 밸류 잔고를 소정의 기억 장치에 저장하고, 저장이 성공한 취지를 어플리케이션(15)에 통지한다(수순 6).
여기서, IC 칩(12)에 대한 로크 기능의 유효화가 완료되어 있으므로, IC 칩(12)에 의한 결제 처리는 허가되어 있지 않고, 밸류 잔고를 감소시켜 갱신하는 처리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점포 단말기(8)(통신 단말기)가 갖는 리더 라이터(9)가, IC 칩(12)에 대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결제 처리를 요구해도(수순 7), 반응은 없고(또는 에러인 취지가 출력되고), 결제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수순 8).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기 중 어느 하나의 로크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기 (a)의 로크 기능을 이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a) IC 칩 내의 소정의 영역을 「은폐」하기 위해, 은폐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즉, 전자 화폐 잔고를 기억하는 영역 또는 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차폐」한다. 이 경우, 은폐된 영역에 대한 액세스 커맨드를 받은 경우, IC 칩은 응답하지 않는다(또는 영역 없음을 나타내는 코드를 회신함).
(b) IC 칩 내에 기록되는 네거티브 플래그의 ON 지령을 제시함으로써, IC 칩의 네거티브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점포 단말기(8) 등의 결제 단말기가 결제 처리의 최초로 IC 칩(12) 내의 네거티브 플래그를 확인하고, ON이면 이후의 처리를 진행하지 않고 에러를 회신함으로써, 전자 화폐 기능을 정지한다(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함).
(c) IC 칩 내의 특정한 기억 영역(전자 화폐 잔고 영역 또는 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개별로 액세스 제한을 건다. 이 경우에도 액세스 제한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2> 실시 형태의 상세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7)의 실시 형태 상세를, 도 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전자 화폐 시스템(1)(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화폐 시스템(1)은 휴대 단말기(7), 전자 화폐 서버(2), 인터넷(4), 기지국(5), 가맹점(81)에 설치된 점포 단말기(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7)는 기지국(5)과 무선 통신함으로써, 인터넷(4)을 통한 전자 화폐 서버(2)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기(7)는 어플리케이션(15)(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 잔고 취득 수단 및 잔고 보존 수단) 및 IC 칩(12)을 내장하고 있다.
IC 칩(12)은 근거리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고, 점포 단말기(8)의 리더/라이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IC 칩(12)은 밸류 잔고를 기억할 수 있어, IC 칩(12)의 로크 기능이 무효인 상황에서, 점포 단말기(8)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결제를 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5)은 PIN의 입력을 접수하여, IC 칩(12)에 대한 로크의 설정(로크 기능의 유효화)이나 IC 칩(12)에 대한 로크의 해제(로크 기능의 무효화)를 행한다. 어플리케이션(15)은 IC 칩(12)에 대한 로크 기능의 유효화가 완료되는 소정 시간 전의 시점(예를 들어 수밀리초 내지 수초 전의 시점) 이후에 IC 칩(12)의 밸류 잔고를 취득하여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하고, 전자 화폐 서버(2)에 있어서의 저장이 성공한 것을 나타내는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
전자 화폐 서버(2)는 전자 화폐 시스템(1)에 있어서의 밸류의 유통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전자 화폐 서버(2)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점포 단말기(8)로부터 결제 이력을 기록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와 IC 칩(12)에 의한 결제 시의 로그 데이터를 합하여 총계하고, 밸류의 유통과 통화의 대응을 취하고 있다.
가맹점(81)은 소매 점포나 음식점 등의 유저로부터 대가를 취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이다. 가맹점(81)은 전자 화폐 시스템(1)이 제공하는 전자 화폐 서비스를 이용하는 연합체에 가맹하고 있고, 단수 또는 복수의, 점포 단말기(8)를 구비하고 있다.
점포 단말기(8)는 IC 칩(12)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고, IC 칩(12)의 로크 기능이 무효인 상황에서, IC 칩(12)에 커맨드를 송신하여 결제를 행한다. 점포 단말기(8)는 IC 칩(12)과의 처리 내용을 기재한 로그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한다.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7)의 구성을, 도 3 및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휴대 단말기(7)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휴대 단말기(7)의 물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된 물리적인 구성 요소로서 CPU(101)(Central Processing Unit), RAM(102)(Random Access Memory), ROM(103)(Read Only Memory), EEPROM(109)(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조작부(104), 무선 통신부(105),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06), 안테나(107, 111) 및 각종 칩(108)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소형의 컴퓨터 단말기이다. 이들의 구성 요소가 동작함으로써, 휴대 단말기(7)가 갖는 각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된 기능적인 구성 요소로서, 어플리케이션(15)(설정 수단), 어플리케이션(15)을 갖는 단말기 기능부(10)(접속 수단) 및 단말기 기능부(10)와 통신 접속 가능한 IC 칩(12)을 구비하고 있고, IC 칩(12)은 근거리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와 접속한 칩 처리부(17)(인증 기억 수단)와, 칩 처리부(17)에 의해 제어되는 칩 기억부(18)(데이터 기억 수단)를 갖고 있다.
IC 칩(12)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 기능부(10)도 컴퓨터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7)는 2개의 컴퓨터가 통신 접속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칩 기억부(18)는 어플리케이션(15)에 의한 통신 접속이 제한된 복수의 기억 영역을 갖고 있으며, 밸류 잔고, 로그 데이터 등의 전자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밸류 잔고는, 현재 기억하고 있는 전자 화폐의 금액이다. 로그 데이터는 결제, 잔고 참조 등의 전자 화폐에 관한 처리가 행해진 경우의 처리 내용을 기록한 로그 데이터이다.
단말기 기능부(10)는 CPU, ROM, RAM, EEPROM, 터치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항법 시스템) 측위 모듈 등을 구비한 컴퓨터이다. 단말기 기능부(10)는 IC 칩(12)의 칩 기억부(18)에 통신 접속(액세스)하여 밸류 잔고를 취득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기지국(5)(도 2 참조)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EEPROM에는 어플리케이션(15)이 인스톨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15)은 통신 접속이 제한된 기억 영역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증 정보로서의 PIN을 기억한다. PIN은 휴대 단말기(7)의 유저(U)에 의해 입력되어, 예를 들어 EEPROM(109)에 기억된다. 그리고, 단말기 기능부(10)는 EEPROM(109)으로부터 PIN을 취득하여 사용해서, IC 칩(12)의 로크 기능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칩 기억부(18)에 기억되어 있는 밸류 잔고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PIN을 사용한 액세스를 행하는 단말기 기능부(10)를 제외하고, 밸류 잔고의 취득(참조)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 기능을 유효로 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난수 데이터 등의 암호 정보를 사용해서 IC 칩(12)에 대한 로크 해제나 로크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15)은 난수 데이터 등의 암호 정보를 사용해서 로크 제어를 행한 경우, 이 암호 정보를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하여 기억시킨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 해제를 행하기 위한 암호 정보가 필요하게 된 경우, 이 암호 정보를 기억하는 전자 화폐 서버(2)에 대해, 암호 정보의 송신을 명령하는 명령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15)은 암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IC 칩(12)의 로크 기능이 유효인 상태에서, EEPROM(109)으로부터 취득한 PIN을 사용해서 일시적으로 로크 기능을 해제하고, 칩 처리부(17)를 통하여 칩 기억부(18)에 액세스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칩 기억부(18)에 액세스 가능한 상태에서, IC 칩(12)에 잔고 참조 커맨드를 입력하여 IC 칩(12)으로부터 밸류 잔고를 판독하거나, 로그 데이터 참조 커맨드를 입력하여 로그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하는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IC 칩(12)의 로크 기능이 무효인 상태에서, 단말기 기능부(10)에 의해 IC 칩(12)에 액세스하여, 칩 기억부(18)에의 액세스 제한을 설정하는 설정 처리를 행하고, IC 칩(12)의 로크 기능이 유효인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밸류 잔고를 사용한 결제 처리를 행하는 기능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 기능이 유효가 되는(즉, 설정 처리가 완료됨) 소정 시간 전의 시점(예를 들어 수밀리초 내지 수초 전의 시점) 이후에 판독된 밸류 잔고를, 휴대 단말기(7) 외에 존재하는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하여 기억시킨다. 또한, 판독된 밸류 잔고는 휴대 단말기(7) 내[예를 들어 단말기 기능부(10)]에 기억되어도 좋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이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하여 기억시키는 밸류 잔고는 로크 기능이 유효가 된 시점(즉, 설정 처리가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15)으로부터 칩 기억부(18)에의 액세스의 종료 시점까지 판독된 밸류 잔고이어도 좋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 기능이 무효가 되는(즉, 설정 처리가 완료됨) 소정 시간 전의 시점 이후에, 전자 화폐 서버(2)에 기억되어 있는 밸류 잔고를 취득해도 좋고, 취득한 밸류 잔고를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해도 좋다. 전자 화폐 서버(2)가 취득한 밸류 잔고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 기능이 유효가 되어 있는 사이에 판독된 밸류 잔고와, 전자 화폐 서버(2)에 기억된 밸류 잔고가 다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들이 다른 경우, 로크 기능을 계속해서 유효로 해도 좋다. 전자 화폐 서버(2)에 기억된 밸류 잔고의 어플리케이션(15)에 의한 취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 기능의 해제(무효화)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로크 기능을 계속해서 유효로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휴대 단말기(7)의 유저에 의한 입력에 기초해서, 해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구 정보를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휴대 단말기(7)의 유저에 의한 PIN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PIN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로크 기능이 유효료 되는 제한 모드에 휴대 단말기(7)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로크 기능이 해제된 후에, 소정 조건이 만족되면, 어플리케이션(15)은, 다시, 제한 모드에 휴대 단말기(7)를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소정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7)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에어리어 내에 속한 것이 GPS 측위 모듈에 의해 검지된 경우나, 로크 기능이 해제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나, 로크 기능이 해제되고 나서 휴대 단말기(7)가 소정 횟수 사용된 경우나, IC 칩(12)에 의한 소정액 이상의 결제 처리가 행해진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계속해서, 전자 화폐 서버(2) 및 점포 단말기(8)의 각각의 구성을, 도 5 및 도 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전자 화폐 서버(2) 및 점포 단말기(8)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전자 화폐 서버(2) 및 점포 단말기(8)의 물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화폐 서버(2) 및 점포 단말기(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된 물리적인 구성 요소로서 CPU(201)(Central Processing Unit), 주기억 장치인 RAM(202)(Random Access Memory), ROM(203)(Read Only Memory),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204)과 하드 디스크 등의 보조 기억 장치(205) 등의 하드웨어를 구비하는 컴퓨터로서 구성된다. 이들의 구성 요소가 동작함으로써, 전자 화폐 서버(2) 및 점포 단말기(8)의 각각이 갖는 각 기능이 발휘된다.
또한, 전자 화폐 서버(2)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된 기능적인 구성 요소로서, 서버 기능부(21)(수신 수단 및 송신 수단), 잔고 기억부(22)(잔고 기억 수단) 및 네가티브 기억부(23)(무효 기억 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 기능부(21)는 휴대 단말기(7)와의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서버 기능부(21)는 해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요구 정보를, 휴대 단말기(7)로부터도 점포 단말기(8)로부터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 기능부(21)는 휴대 단말기(7)의 유저에 의한 입력에 기초하는 휴대 단말기(7)로부터의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해제 정보를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서버 기능부(21)는 휴대 단말기(7)로부터 수신한 요구 정보와, 점포 단말기(8)로부터 수신한 요구 정보를 대조하는 인증 처리를 행해도 좋다. 그리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서버 기능부(21)는 해제 정보의 송신을 허가하는 허가 정보를 점포 단말기(8)에 송신해도 좋다. 허가 정보를 수신한 점포 단말기(8)의 리더 라이터(9)는 해제 정보를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하고, 이에 의해, 리더 라이터(9)에 의한 결제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서버 기능부(21)는 휴대 단말기(7)로부터 밸류 잔고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신한 밸류 잔고가 잔고 기억부(22)에 기억되면, 저장이 성공한 취지와 그 밸류 잔고를 통지하는 성공 정보를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한다.
또한, 서버 기능부(21)는 휴대 단말기(7)로부터 수신한 밸류 잔고와, 잔고 기억부(22)에 이미 기억된 밸류 잔고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동일한 경우에, 상술한 해제 정보를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네가티브 기억부(23)가 기억하는 후술하는 네가티브 정보(무효 정보)에, 칩 기억부(18)가 무효인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는 경우, 서버 기능부(21)는, 이 네가티브 기억부(23)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7)에의 해제 정보의 송신을 중지한다.
잔고 기억부(22)는 로크 기능이 유효가 되는(즉, 설정 처리가 완료됨) 소정 시간 전의 시점 이후에 판독된 밸류 잔고를 서버 기능부(21)가 수신하면, 이 밸류 잔고를 기억해서 저장한다. 밸류 잔고가 잔고 기억부(22)에 기억되면, 저장이 성공한 취지와 그 밸류 잔고를 통지하는 성공 정보가 서버 기능부(21)에 의해 휴대 단말기(7)에 송신된다.
네가티브 기억부(23)는 칩 기억부(18)가 무효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네가티브 정보를 미리 기억한다. 칩 기억부(18)가 무효이면 네가티브 정보에 나타내어져 있는 경우, 이 네가티브 기억부(23)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7)에의, 서버 기능부(21)에 의한 해제 정보의 송신이 중지된다. 네가티브 정보의 추가 변경은,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7)의 분실이나 도난이 발생한 경우에 그 연락을 받은 휴대 통신 사업자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네가티브 정보의 삭제 변경은, 예를 들어 이 휴대 단말기(7)가 발견된 경우에 그 연락을 받은 휴대 통신 사업자 등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점포 단말기(8)는 리더 라이터(9) 및 단말기 기능부(91)를 구비하고 있다. 리더 라이터(9)는 휴대 단말기(7)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여 밸류 잔고를 감액시킴으로써 결제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단말기 기능부(91)는 휴대 단말기(7)의 유저에 의한 요구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말기 기능부(91)는 요구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면, 입력된 요구 정보를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기 기능부(91)는 전자 화폐 서버(2)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3> 로크 기능의 유효화에 수반하는 밸류 잔고의 저장 처리의 수순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7)에 있어서 행해지는 로크 기능의 유효화에 수반하는 밸류 잔고의 저장 처리의 수순(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을, 도 7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로크 기능의 유효화에 수반하는 밸류 잔고의 저장 처리의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IC 칩(12)의 로크 기능이 무효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7)의 유저(U)가, 로크 기능을 유효로 하는 PIN을, 어플리케이션(15)을 사용해서 휴대 단말기(7)에 입력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15)은 PIN의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1). 이를 계기로서, 어플리케이션(15)은 IC 칩(12)에 대한 로크 기능의 유효화를 완료시킨다(스텝 S2, 설정 스텝).
다음에,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를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IC 칩(12)에 액세스하고, 현재의 밸류 잔고를 취득한다(스텝 S3, 접속 스텝). 그리고, 어플리케이션(15)은 취득한 밸류 잔고를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하고(스텝 S4, 제어 스텝), 전자 화폐 서버(2)는 수신한 밸류 잔고를 기억 영역에 저장하고, 저장이 성공한 취지와 그 밸류 잔고를 휴대 단말기(7)에 통지한다(스텝 S5).
여기서, IC 칩(12)에 대한 로크 기능의 유효화가 완료되어 있으므로, IC 칩(12)에 의한 결제 처리는 허가되어 있지 않고, 밸류 잔고를 감소시켜 갱신하는 처리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점포 단말기(8)(도 1 참조)가 갖는 리더 라이터(9)가, IC 칩(12)에 대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결제 처리를 요구해도, 반응은 없어, 결제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휴대 단말기(7)의 유저는 리더 라이터(9)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결제 처리를 원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15)에 대해 소정의 입력(예를 들어, PIN의 입력)을 행함으로써, 요구 정보가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된다(스텝 S6, 수신 스텝). 전자 화폐 서버(2)는 휴대 단말기(7)로부터의 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해제 정보를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한다(스텝 S7, 송신 스텝). 휴대 단말기(7)가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15)이 로크 기능의 무효화를 완료시킨다(스텝 S8).
다른 실시 형태로서, 스텝 S5 이후의 상황[즉, IC 칩(12)의 로크 기능이 유효인 상황]에서, 휴대 단말기(7)의 유저(U)가, 로크 기능을 무효로 하기 위한 PIN을, 어플리케이션(15)을 사용해서 휴대 단말기(7)에 입력하였다고 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15)은 PIN의 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11). 이를 계기로서,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 기능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IC 칩(12)에 액세스하고, 현재의 밸류 잔고를 취득함과 함께(스텝 S12), 취득한 밸류 잔고를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한다(스텝 S13). 잔고가 취득되면, 어플리케이션(15)은 IC 칩(12)의 로크를 재설정한다.
여기서, 전자 화폐 서버(2)는 스텝 S13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7)로부터 수신한 밸류 잔고와, 스텝 S4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7)로부터 수신하고 잔고 기억부(22)에 이미 기억된 밸류 잔고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동일한 경우에, 상술한 해제 정보를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한다(스텝 S14). 휴대 단말기(7)가 해제 정보를 수신하면, 어플리케이션(15)이 로크 기능의 무효화를 완료시킨다(스텝 S15).
<4>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
계속해서, 컴퓨터를 휴대 단말기(7)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에 대해 도 8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컴퓨터를 휴대 단말기(7)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1)의 모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듈 구성도이다.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모듈(P10), 설정 모듈(P11), 제어 모듈(P12) 및 기억 모듈(P1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접속 모듈(P10)은, 각종 정보의 연산 처리를 실행시키는 기능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이다. 접속 모듈(P10)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단말기 기능부(10)의 기능이 실현된다. 설정 모듈(P11)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은, 상술한 어플리케이션(15)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제어 모듈(P12)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은, 상술한 칩 처리부(17)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기억 모듈(P13)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은, 상술한 칩 기억부(18)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1)은, 예를 들어 CD-ROM이나 DVD-ROM 등의 기록 매체 또는 반도체 메모리에 고정적으로 기록된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1)은 반송파에 중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로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도 좋다.
<5>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
계속해서, 휴대 단말기(7) 및 전자 화폐 서버(2)를 동작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의 모듈 구성에 대해 도 9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9는 휴대 단말기(7) 및 전자 화폐 서버(2)를 동작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2)의 모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듈 구성도이다.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2)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 모듈(P20), 설정 모듈(P21), 제어 모듈(P22), 기억 모듈(P23), 수신 모듈(P24) 및 송신 모듈(P25)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기능 모듈(P20)은, 각종 정보의 연산 처리를 실행시키는 기능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이다. 기능 모듈(P20)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단말기 기능부(10)의 기능이 실현된다. 설정 모듈(P21), 제어 모듈(P22) 및 기억 모듈(P23)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은, 각각, 상술한 어플리케이션(15), 칩 처리부(17), 칩 기억부(18)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수신 모듈(P24) 및 송신 모듈(P25)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은, 상술한 전자 화폐 서버(2)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다.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2)은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1)과 마찬가지로, 기록 매체 또는 반도체 메모리에 고정적으로 기록된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P2)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어도 좋다.
<6> 본 발명에 의한 작용 및 효과
휴대 단말기(7)에 의하면, 밸류 잔고를 기억하는 칩 기억부(18)에의 액세스의 제한을 설정하는 설정 처리(로크 기능의 유효화)가 실행된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7)의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로크 기능의 유효화가 완료되는 소정 시간 전의 시점 및 그 시점 이후에 취득된 밸류 잔고가, 전자 화폐 서버(2)에 기억된다. 이로 인해, 잔고 보증 서비스에 있어서 보증해야 할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해서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로크 기능의 유효화의 완료 시점부터 상술한 액세스의 종료 시점까지 단말기 기능부(10)에 의해 취득된 밸류 잔고가, 전자 화폐 서버(2)에 기억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결제 기능의 부정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득된 밸류 잔고를 기억하는 전자 화폐 서버(2)는 휴대 단말기(7) 외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결제 기능의 부정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 기능의 유효화 중에 단말기 기능부(10)에 의해 취득된 밸류 잔고와, 전자 화폐 서버(2)에 기억된 밸류 잔고가 다른 경우, 로크 기능의 유효화를 계속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결제 기능의 부정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은 로크 기능의 해제를 지시하는 해제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로크 기능의 유효화를 계속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결제 기능의 부정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칩 기억부(18)가 기억하는 잔고의 취득이 불가능하게 되지만, 인증 정보를 취득한 단말기 기능부(10)에 의한 밸류 잔고의 취득만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칩 기억부(18)가 기억하는 밸류 잔고의 취득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결제 기능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증 정보를 취득한 단말기 기능부(10)에 의한 밸류 잔고의 취득만 가능하게 되므로, 단말기 기능부(10)에 의해 취득된 밸류 잔고를 상술한 결제 기능과는 무관계의 유저용 서비스를 위한 처리에 사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유저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휴대 단말기(7)는 인증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에 제한 모드로 전환되고, 이 제한 모드의 해제 후에 소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다시 제한 모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제한 모드의 해제 후에 다시 전환하는 것을, 휴대 단말기의 유저가 잊어버렸어도, 소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다시 제한 모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결제 기능의 부정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자 화폐 시스템(1)에 의하면, 전자 화폐 서버(2)는 요구 정보를 휴대 단말기(7)로부터 수신하면 해제 정보를 이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하므로, 로크 기능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7)의 유저 요구에 맞춰서 로크 기능이 해제되므로, 휴대 단말기(7)의 유저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5)에 의해 송신된 밸류 잔고와, 전자 화폐 서버(2)에 기억된 밸류 잔고가 동일한 경우, 전자 화폐 서버(2)에 의해 해제 정보가 휴대 단말기(7)에 송신된다. 이로 인해, 전자 화폐 잔고를, 보다 확실하게 보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자 화폐 서버(2)는 칩 기억부(18)가 무효이면 네가티브 정보에 나타내어져 있는 경우, 이 칩 기억부(18)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7)에의 해제 정보의 송신을 중지한다. 이로 인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휴대 단말기에 대응하는 칩 기억부(18)가 무효인 것을 네가티브 정보에 표시해 둠으로써, 타인에 의한 결제 기능의 부정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휴대 단말기(7)는 난수 데이터를 사용해서 로크 기능을 유효화하여 이 난수 데이터를 전자 화폐 서버(2)에 송신하고, 전자 화폐 서버(2)는 이 난수 데이터의 송신을 명령하는 명령 정보를 휴대 단말기(7)로부터 수신하면 해제 정보를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하여 로크 기능을 무효화시킨다. 이와 같이, 난수 데이터를 사용한 로크 기능의 유효화 및 무효화가 실행되므로,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결제 기능의 부정 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자 화폐 서버(2)는 휴대 단말기(7)로부터 수신한 요구 정보와, 점포 단말기(8)로부터 수신한 요구 정보를 대조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해제 정보의 송신을 허가하는 허가 정보를 점포 단말기(8)에 송신한다. 그리고, 점포 단말기(8)는 허가 정보를 전자 화폐 서버(2)로부터 수신하면, 해제 정보를 휴대 단말기(7)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기(7)로부터 수신한 요구 정보와, 점포 단말기(8)로부터 수신한 요구 정보를 대조하는 인증 처리를 행하고, 인증에 성공한 경우, 휴대 단말기(7)의 유저 요구에 맞춰서 로크 기능이 해제되므로, 휴대 단말기(7)의 유저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7> 변형예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서는, IC 칩(12)은 휴대 단말기(7)에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설명했지만, IC 칩(12)의 배치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IC 칩(12)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판 형상의 IC 카드(73)가, 휴대 단말기(71)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IC 카드(73)는 칩 처리부(17)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카드 처리부(74)와, 칩 기억부(18)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카드 기억부(75)를 갖고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71)가 갖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72)가, IC 카드(73)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함으로써, 유저의 입력을 접수한 어플리케이션(15)에 의한 IC 카드(73)의 로크 기능의 유효화 및 무효화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한 기술 사양에 기초해서, PIN의 입력에 의한 로크 기능의 유효화 및 무효화가 행해지는 형태 등을 예를 들어 설명했다. 본 발명은,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되는 결제 시스템의 기술 사양에 맞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실이나 도난 후의 타인에 의한 전자 화폐의 부정 이용을 방지하면서, 보증해야 할 전자 화폐 잔고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1 : 전자 화폐 시스템
2 : 전자 화폐 서버
4 : 인터넷
5 : 기지국
7, 71 : 휴대 단말기
8 : 점포 단말기
9 : 리더 라이터
10 : 단말기 기능부
12 : IC 칩
15 : 어플리케이션
17 : 칩 처리부
18 : 칩 기억부
21 : 서버 기능부
22 : 잔고 기억부
23 : 네가티브 기억부
72 : 근거리 무선 통신부
73 : IC 카드
74 : 카드 처리부
75 : 카드 기억부
81 : 가맹점
91 : 단말기 기능부
P1, P2 :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
P10 : 접속 모듈
P11 : 설정 모듈
P12 : 제어 모듈
P13 : 기억 모듈
P20 : 기능 모듈
P21 : 설정 모듈
P22 : 제어 모듈
P23 : 기억 모듈
P24 : 수신 모듈
P25 : 송신 모듈
U : 유저

Claims (14)

  1.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과,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상기 IC 모듈의 상기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수단
    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고 보존 수단은,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그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을 더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액세스 제한을 해제할 때에 잔고 데이터를 상기 잔고 취득 수단에 취득시키고,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와,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휴대 단말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관리 서버로부터 해제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휴대 단말기.
  6.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와, 그 휴대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관리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과,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는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IC 모듈의 상기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잔고 송신 수단과,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해제 정보를 송신하는 제한 해제 허가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한 소정의 해제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C 모듈이 구비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은,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구비하는 잔고 취득 수단은,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상기 IC 모듈의 상기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액세스 제한을 해제할 때에 잔고 데이터를 상기 잔고 취득 수단에 취득시키고,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구비하는 제한 해제 허가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와,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잔고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해제 정보를 송신하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IC 모듈이 탑재하는 전자 화폐 기능이 무효인지 아닌지를 판별 가능한 무효 정보를 기억하는 무효 정보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구비하는 상기 제한 해제 허가 수단은, 상기 무효 정보 기억 수단이 기억하는 무효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해제 정보의 요구원의 휴대 단말기가 액세스 가능한 IC 모듈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 화폐 기능이 무효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그 휴대 단말기에 상기 해제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구비하는 상기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은,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를 사용해서 생성된 암호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구비하는 잔고 송신 수단은, 상기 만들어 내어진 암호 정보를 또한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가 구비하는 상기 잔고 보존 수단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암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또한 기억시키고,
    상기 관리 서버가 구비하는 상기 제한 해제 허가 수단은,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암호 정보를 상기 해제 정보로서 송신하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10.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가 행하는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스텝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상기 IC 모듈의 상기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스텝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스텝
    을 갖는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11.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와, 그 휴대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관리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이 행하는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스텝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는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IC 모듈의 상기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스텝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잔고 송신 스텝과,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스텝과,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해제 정보를 송신하는 제한 해제 허가 스텝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액세스 제한 해제 스텝
    을 갖고,
    상기 액세스 제한 해제 스텝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한 소정의 해제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12. 컴퓨터를,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기능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에,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의 기능과,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상기 IC 모듈의 상기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의 기능과,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수단의 기능
    을 실현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
  13.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함과 함께, 상기 인증 정보가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모듈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동작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과,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고 나서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를 제시하여, 상기 IC 모듈의 상기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잔고 보존 수단
    으로서 기능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전자 화폐의 잔고를 나타내는 잔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회답하는 잔고 회답 수단과, 그 잔고 데이터가 나타내는 금액을 잔고 변경 정보에 기초해서 변경하는 금액 변경 수단과, 주어진 인증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액세스 제어 수단을 갖는 IC 카드에 액세스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점포 단말기와, 그 휴대 단말기 및 그 점포 단말기와 접속 가능한 관리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를 제한시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수단과,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가 제한되는 소정 시간 전으로부터 그 제한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IC 카드의 상기 잔고 회답 수단에 회답시킨 잔고 데이터를 취득하는 잔고 취득 수단과,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 및 상기 취득한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액세스 가능한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잔고 송신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점포 단말기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주어진 인증 정보로서, 상기 액세스 제어 수단에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 및 잔고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데이터 보존 수단과,
    상기 점포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가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있는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점포 단말기에 해제 정보를 송신하는 제한 해제 허가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액세스 제한 해제 수단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취득한 소정의 해제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잔고 데이터에의 액세스 제한을 해제시키는,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KR1020147014728A 2011-12-28 2012-12-26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KR101498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9810A JP5351953B2 (ja) 2011-12-28 2011-12-28 携帯端末、端末機能管理システム、端末機能管理方法、端末機能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JP-P-2011-289810 2011-12-28
PCT/JP2012/083677 WO2013099958A1 (ja) 2011-12-28 2012-12-26 携帯端末、端末機能管理システム、端末機能管理方法、端末機能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327A true KR20140084327A (ko) 2014-07-04
KR101498869B1 KR101498869B1 (ko) 2015-03-09

Family

ID=4869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728A KR101498869B1 (ko) 2011-12-28 2012-12-26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55696B2 (ko)
JP (1) JP5351953B2 (ko)
KR (1) KR101498869B1 (ko)
CN (1) CN104067304B (ko)
WO (1) WO2013099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0630B2 (ja) * 2011-12-28 2014-07-16 楽天株式会社 電子マネーサーバ、電子マネー処理方法及び電子マネー処理プログラム
JP5930218B2 (ja) * 2013-10-30 2016-06-0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ユーザの操作を制限する機能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52389A (ko) 2015-11-04 2017-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를 위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N108154361B (zh) * 2017-12-22 2020-08-14 恒宝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内嵌u盾的访问方法及移动终端
JP6985608B2 (ja) * 2018-03-29 2021-12-22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通信機器、通信機器の作動方法、通信機器の作動プログラム
EP3948629A4 (en) * 2019-03-27 2023-01-18 Xard Group Pty Ltd LOCKING AND UNLOCKING APPLICATIONS ON A DIGITAL TRANSACTION PROCESSING UNIT (DTPU)
CN112016125B (zh) * 2020-09-08 2023-10-10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针对记录仪的异常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5376252A (zh) * 2022-07-13 2022-11-22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卡片交互设备、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002A (en) * 1995-08-15 1997-06-17 Ruppert; Jonathan Paul Portable RF ID tag and barcode reader
CA2305249A1 (en) * 2000-04-14 2001-10-14 Branko Sarcanin Virtual safe
US7865431B2 (en) * 2000-11-08 2011-01-04 Panasonic Corporation Private electronic value bank system
JP4112170B2 (ja) 2000-12-27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電話機及び不正使用防止方法
JP2003132291A (ja) * 2001-10-26 2003-05-09 Sony Corp 携帯端末機および電子マネー残高回収方法
JP3617491B2 (ja) * 2001-10-31 2005-02-02 ソニー株式会社 Icチップ及び情報処理端末
JP5043442B2 (ja) * 2004-01-20 2012-10-10 金 富 黄 ロック付き銀行コンピュータ口座システム
US7849161B2 (en) * 2004-06-30 2010-12-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s for remotely recovering and purging data from a wireless devi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JP2007172576A (ja) * 2005-11-22 2007-07-05 Sharp Corp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08234168A (ja) * 2007-03-19 2008-10-02 Hitachi Software Eng Co Ltd 電子マネー機能をもつ端末装置
JP4403433B2 (ja) * 2007-08-23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財布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18339B2 (ja) * 2007-08-23 2012-09-05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286714B2 (ja) * 2007-08-23 2013-09-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財布装置、電子バリュー利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37740A1 (en) * 2009-12-04 2011-06-09 Ashmit Bhattacharya Processing value-ascertainable items
US8868458B1 (en) * 2010-02-12 2014-10-21 Jpmorgan Chase Bank, N.A. Remote account control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9958A1 (ja) 2013-07-04
US20150142652A1 (en) 2015-05-21
KR101498869B1 (ko) 2015-03-09
CN104067304A (zh) 2014-09-24
JP5351953B2 (ja) 2013-11-27
JP2013140429A (ja) 2013-07-18
US11055696B2 (en) 2021-07-06
CN104067304B (zh)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869B1 (ko)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US10805423B2 (en) Device profile data usage for state management in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US105153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verse secure data communication permissions to trusted applications o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10318944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secure payment and secure 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US201801741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e-time payment authorizatio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4182874B (zh) 多卡合一装置、系统和卡信息加载方法
US201201239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World Based Dynamic Contactless Data Emulatio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10885518B2 (en) Electronic money server, electronic money server program product, recording medium, and loss processing method
Alattar et al. Host-based card emulation: Development, security, and ecosystem impact analysis
US10074087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transaction between a portable data carrier and a terminal
JP4414679B2 (ja) 携帯電話端末
JP2016170672A (ja)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システム
JP2007041921A (ja) 非接触ic、情報処理装置、リーダライタおよび利用制限方法
KR102495688B1 (ko) 포터블 통신 디바이스의 동적 임시 결제 인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2103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said program
JP2002189966A (ja) 電子情報担体の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及び不正使用防止方法
US202300226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obile point-of-sales application
KR101672504B1 (ko)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