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504B1 -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504B1
KR101672504B1 KR1020120012486A KR20120012486A KR101672504B1 KR 101672504 B1 KR101672504 B1 KR 101672504B1 KR 1020120012486 A KR1020120012486 A KR 1020120012486A KR 20120012486 A KR20120012486 A KR 20120012486A KR 101672504 B1 KR101672504 B1 KR 10167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bscriber
pay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849A (ko
Inventor
이중윤
김태평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50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6Use of secure elements separate from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결제 관련 기술로서, 본 발명의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을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에 적합하고 안전한 인증 절차 및 다양한 결제 절차를 제공하여 카드 결제의 안전성 및 편이성 및 다양성을 증대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REDIT CARD PAY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을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에 적합하고 안전한 인증 절차 및 다양한 결제 절차를 제공하여 카드 결제의 안전성 및 편이성 및 다양성을 증대시키는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스마트폰, 휴대전화, 태블랫 PC와 같이 개인의 이동형 단말장치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개개인에게 이동형 단말장치가 보급/이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신용 카드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온라인 구매가 일반화되면서, 구매처의 직원이 이동형 카드결제장치를 소지하고 구매자에게 방문하여 구매자의 신용 카드를 이용하여 현장 카드 결제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현장 카드 결제 및 이동형 단말장치의 광범위한 보급에 힘입어, 기존과 같이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전용의 카드결제장치가 아닌 분리/장착이 가능한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을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이 도래하였다.
헌데, 이러한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에서는,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을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특이한 환경에 적합하고 안전한 새로운 인증 절차가 요구되지만 기존의 인증 절차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고, 더 나아가, 특이한 환경에 적합하고 다양한 결제 절차가 요구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4097호(2006.03.24.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을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에 적합하고 안전한 인증 절차 및 다양한 결제 절차를 제공하여 카드 결제의 안전성 및 편이성 및 다양성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은,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부;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및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입자정보저장부는,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2 이상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결제권한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그룹의 결제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는 결제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로부터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가 특정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상기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차단하는 등록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되는 모듈장착부; 및 상기 장착된 카드결제모듈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결제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저장단계;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단계; 및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입자정보 저장단계는,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2 이상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결제권한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그룹의 결제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는 결제 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로부터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가 특정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상기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차단하는 등록 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에 있어서,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장착단계; 및 상기 장착된 카드결제모듈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결제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카드결제모듈 및 이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 각각의 식별정보(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여러 가입자 중 주가입자와 다수의 부가입자를 구분/관리하여 카드 결제 발생 시 주가입자인지 부가입자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이한 결제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을 여러 가입자가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를 통해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특이한 카드 결제 환경에서 보다 적합하고 안전한 인증 절차 및 다양한 결제 절차를 제공하여 카드 결제의 안전성 및 편이성 및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과정을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의 제어 흐름을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은, 카드결제모듈(300)과, 다수의 단말장치(100,200...)와 카드결제관리시스템(4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은, 단말블랙리스트시스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드결제모듈(300)은, 다수의 단말장치(100,200...)에 대하여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한 형태의 분리형 카드결제 전용 모듈이다.
바람직하게는, 카드결제모듈(300)은, 마그네틱 리딩, IC신용카드 리딩, NFC 방식의 신용카드 리딩 등의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의 카드정보를 리드할 수 있는 리더기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결제모듈(300)은, 다수의 단말장치(100,200...) 중 하나의 단말장치(100)에 장착되어, 단말장치(100) 및 카드결제모듈(300) 간의 연동을 통해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예 : 신용카드, 직불카드, 기프트카드 등)에 대하여 카드 결제 승인, 취소 등의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스마트폰, 휴대전화, 태블랫 PC와 같이 개인의 이동형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다수의 단말장치(100,200...) 중 단말장치(100)와 카드결제모듈(300)이 상호 장착되는 것을 기본 실시예로 언급하도록 한다.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는, 카드 결제를 처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입자)의 조작에 의해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후술할 도 2의 결제제어부와 대응)이 실행되어 카드 결제를 위한 상태로 동작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장착된 카드결제모듈(300)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으로 제공하여,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카드 결제 발생 시는,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후술할 도 2의 결제제어부와 대응)이 실행되어 카드 결제를 위한 상태로 동작되는 경우, 또는 카드결제모듈(300)에 의해 대상카드의 카드정보를 리드하는 경우, 또는 단말장치(100)를 통해 수동 입력되는 카드정보를 획득한 경우, 또는 카드정보를 리드 혹은 획득한 후 사용자(가입자)의 조작에 의해 카드결제실행이 선택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를 설명하면,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즉,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가입자가 사용하게 될 카드결제모듈(300)의 시리얼번호, MAC 주소, 블루투스 주소 등을 포함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와, 전술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어 가입자가 사용하게 될 단말장치(100)에 대한 전화번호, 단말식별번호 등을 포함하는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다양한 방식을 통해 기 등록받아 저장함으로써, 각 가입자 별로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가입자 인증정보가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에 등록/저장되는 다양한 방식을 설명하면,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의 운영자에 의한 조작(예 : Admin 기능), 혹은 가입자에 의한 수동 등록(예 : 서비스 웹사이트의 관리 메뉴에서 가입자 인증정보 추가), 혹은 카드결제모듈(300)과 단말장치(100)이 상호 장착된 후 최초로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후술할 도 2의 결제제어부와 대응)이 실행될 시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신규한 정보인 경우 자동 등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이에 매핑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이에 매핑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가, 전술과 같이 기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는 각 가입자 별 가입자 인증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이 정당한 가입자에 의한 요청인지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에,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전술의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반면,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전술의 가입자 인증이 실패하면,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가 불가능함을 통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되는 모듈장착부(110)와, 상기 장착된 카드결제모듈(300)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으로 제공하여,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결제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모듈장착부(110)은, 전술과 같은 리더기기능을 포함하는 분리형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되는 기능부로서, 카드결제모듈(300)의 다양한 장착 및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채택 가능하다.
결제제어부(120)는, 전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결제모듈(300)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를 처리하는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다.
이러한 결제제어부(120)는, 장착된 카드결제모듈(300)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으로 제공하여,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카드 결제 발생 시는,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제어부(120)가 실행되어 카드 결제를 위한 상태로 동작되는 경우, 또는 카드결제모듈(300)에 의해 대상카드의 카드정보를 리드하는 경우, 또는 단말장치(100)를 통해 수동 입력되는 카드정보를 획득한 경우, 또는 카드정보를 리드 혹은 획득한 후 사용자(가입자)의 조작에 의해 카드결제실행이 선택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제제어부(120)는, 장착된 카드결제모듈(300)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으로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제요청은,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카드정보 및 결제금액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사업자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은, 단말장치(100)로부터의 결제요청을 기초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 인증을 수행할 것이다.
이후, 결제제어부(120)는,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에서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게 되면, 제공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예 : 승인 및 취소 등)를 처리할 수 있다.
반면, 결제제어부(120)는,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에서 가입자 인증이 실패하게 되면, 제공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가 불가능함을 통보받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부(410)와,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420)와,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결제처리부(440)와 등록제어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정보저장부(410)는,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즉, 가입자정보저장부(410)는, 가입자가 사용하게 될 카드결제모듈(300)의 시리얼번호, MAC 주소, 블루투스 주소 등을 포함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와, 전술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어 가입자가 사용하게 될 단말장치(100)에 대한 전화번호, 단말식별번호 등을 포함하는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다양한 방식을 통해 기 등록받아 저장함으로써, 각 가입자 별로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입자정보저장부(410)는,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2 이상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결제권한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100,200...)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에서 기인하므로, 따라서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여러 가입자가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특이한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가입자정보저장부(410)에서는, 하나의 동일한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등록되는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대하여 상이한 결제권한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2 개의 그룹, 예를 들면 주가입자 그룹, 주가입자에 종속되는 부가입자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가입자정보저장부(410)는,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하여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주가입자로 설정되는 제1 단말식별정보 및 부가입자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식별정보로 분류하여 그룹화할 수 있고, 주가입자에 대응하는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 및 부가입자에 대응하는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가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입자정보저장부(410)는, 각 가입자에 대응하는 가입유형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주가입자의 가입유형정보는, 주가입자임을 나타내는 주가입자식별자, 가입된 카드 결제 서비스 혹은 주가입자의 설정에 따라 결제 가능한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예 : 5만원 이하는 서명 없이 결제 가능, 수동 카드정보가 입력된 경우 결제 가능 등), 주가입자의 하위에 수용 가능한 부가입자의 수 정보, 자신의 부가입자에 대한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예 : 실물 카드정보가 리드된 경우만 결제 가능, 서명 있는 경우만 결제 가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입자의 가입유형정보는, 부가입자임을 나타내는 부가입자식별자, 및 어떤 주가입자에 대응되는 하위의 부가입자인지를 알기 위한 주가입자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수신부(420)는,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된 결제요청은,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카드정보 및 결제금액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사업자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430)는,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인증부(430)는,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가, 가입자정보저장부(410)에 저장된 각 가입자 별 가입자 인증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이 정당한 가입자에 의한 요청인지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에, 인증부(430)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와 동일한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로 저장된 가입자 정보가 존재하면,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이 정당한 가입자에 의한 요청인 것으로 판단하여 가입자 인증을 성공하게 되고, 가입자 인증 성공에 따라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를 처리 가능하도록 한다.
반면, 인증부(430)는, 전술의 가입자 인증이 실패하면,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가 불가능함을 통보할 수 있다.
결제처리부(440)는, 인증부(430)에서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그룹의 결제권한정보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즉, 전술한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결제처리부(440)는, 인증부(430)에서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주가입자인지 또는 부가입자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결제처리부(440)는,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제1 단말식별정보의 주가입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즉, 결제처리부(440)는, 주가입자라고 판단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며, 이때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예 : 5만원 이하는 서명 없이 결제 가능, 수동 카드정보가 입력된 경우 결제 가능 등)에 따라 카드 결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결제처리부(440)는,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제2 단말식별정보의 부가입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즉, 결제처리부(440)는, 부가입자라고 판단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며, 이때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예 : 실물 카드정보가 리드된 경우만 결제 가능, 서명 있는 경우만 결제 가능)에 따라 카드 결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단말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여러 가입자가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100,200...)을 통해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특이한 카드 결제 환경을 고려하여, 카드 결제 발생 시 카드결제모듈(300) 및 이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의 각각의 식별정보(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정당한 가입자에 의한 카드 결제인지를 판단하여 가입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보다 적합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단말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여러 가입자가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100,200...)을 통해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특이한 카드 결제 환경을 고려하여,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여러 가입자 중 주가입자와 다수의 부가입자를 구분/관리하고, 가입자 인증된 정당한 가입자에 의한 카드 결제 발생 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주가입자인지 부가입자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이한 결제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적합하고 다양한 카드 결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0)의 등록제어부(450)는,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특정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상기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차단한다.
도 1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입자정보저장부(410)에 가입자 인증정보가 등록/저장되는 다양한 방식은,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의 운영자에 의한 조작(예 : Admin 기능)에 의해 등록/저장되는 방식, 혹은 가입자에 의한 수동 등록/저장되는 방식(예 : 서비스 웹사이트의 관리 메뉴에서 가입자 인증정보 추가), 혹은 카드결제모듈(300)과 단말장치(100)이 상호 장착된 후 최초로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결제제어부(120))이 실행될 시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에 기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신규한 정보인 경우 자동 등록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자 혹은 가입자의 조작/수동에 의해 등록/저장되는 전술의 2가지 방식은 운영자 혹은 가입자에 의한 초기의 접속 인증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안상의 문제가 크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카드결제모듈(300)과 단말장치(100)이 상호 장착된 후 최초로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결제제어부(120))이 실행될 시 자동 등록되는 마지막 방식은 보안상의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기서, 카드결제모듈(300)과 단말장치(100)이 상호 장착된 후 최초로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즉 결제제어부(120)가 실행/활성화됨에 따라, 단말장치(100) 특히 결제제어부(120)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등록제어부(450)는,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단말블랙리스트시스템(500)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등록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특정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등록제어부(450)는, 판단 결과,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분실 혹은 도난 등의 이유로 정당하지 못한 단말장치라고 판단하여, 금번 수신된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차단한다.
물론, 등록제어부(450)는, 판단 결과,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정당한 단말장치라고 판단하여, 금번 수신된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정상적으로 가입자정보저장부(410)에 등록할 것이다.
한편, 등록제어부(450)는, 운영자 혹은 가입자의 조작/수동에 의해 등록되는 가입자 정보는 차단 없이 정상적으로 가입자정보저장부(410)에 등록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단말장치에 따르면, 카드결제모듈(300) 및 이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의 각각의 식별정보(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여러 가입자 중 주가입자와 다수의 부가입자를 구분/관리하여 카드 결제 발생 시 주가입자인지 부가입자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이한 결제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여러 가입자가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100,200...)을 통해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특이한 카드 결제 환경에서 보다 적합하고 안전한 인증 절차 및 다양한 결제 절차를 제공하여 카드 결제의 안전성 및 편이성 및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를 위한 결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카드결제모듈(300)은, 다수의 단말장치(100,200...) 중 하나의 단말장치(100)에 장착된다(S10).
한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장착된 카드결제모듈(300)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S30),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으로 제공하여(S40),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카드 결제 발생 시는,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후술할 도 2의 결제제어부와 대응)이 실행되어 카드 결제를 위한 상태로 동작되는 경우, 또는 카드결제모듈(300)에 의해 대상카드의 카드정보를 리드하는 경우, 또는 단말장치(100)를 통해 수동 입력되는 카드정보를 획득한 경우, 또는 카드정보를 리드 혹은 획득한 후 사용자(가입자)의 조작에 의해 카드결제실행이 선택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하면(S40),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S50).
즉,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가, 전술과 같이 기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는 각 가입자 별 가입자 인증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이 정당한 가입자에 의한 요청인지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에,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전술의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반면,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는, 전술의 가입자 인증이 실패하면,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가 불가능함을 통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은, 분리형의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다(S10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은, 장착된 카드결제모듈(300)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를 처리하는 단말장치(100) 내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카드 결제를 위한 상태로 동작된다(S11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은,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S120),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으로 제공하여(S130),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은, 장착된 카드결제모듈(300)과 연동하여, 결제금액을 부과하고자 하는 대상카드에 대한 카드 결제 발생 시,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요청을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으로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제요청은,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카드정보 및 결제금액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사업자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은, 단말장치(100)로부터의 결제요청을 기초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 인증을 수행할 것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은,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에서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게 되면, 제공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예 : 승인 및 취소 등)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으로로부터 부여되는 대응된 결제권한정보(예 : 전술의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 또는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에 따라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S140).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은,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400)에서 가입자 인증이 실패하게 되면, 제공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가 불가능함을 통보 받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한다(S200).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가입자가 사용하게 될 카드결제모듈(300)의 시리얼번호, MAC 주소, 블루투스 주소 등을 포함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와, 전술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가입자가 사용하게 될 단말장치(100)에 대한 전화번호, 단말식별번호 등을 포함하는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를 다양한 방식을 통해 기 등록받아 저장함으로써, 각 가입자 별로 가입자 인증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2 이상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결제권한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100,200...)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는 최신의 카드 결제 환경에서 기인하므로, 따라서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여러 가입자가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특이한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에서는, 하나의 동일한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등록되는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에 대하여 상이한 결제권한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되는 2 개의 그룹, 예를 들면 주가입자 그룹, 주가입자에 종속되는 부가입자 그룹으로 분류되는 경우를 실시예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주가입자로 설정되는 제1 단말식별정보 및 부가입자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식별정보로 분류하여 그룹화할 수 있고, 주가입자에 대응하는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 및 부가입자에 대응하는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가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각 가입자에 대응하는 가입유형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주가입자의 가입유형정보는, 주가입자임을 나타내는 주가입자식별자, 가입된 카드 결제 서비스 혹은 주가입자의 설정에 따라 결제 가능한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예 : 5만원 이하는 서명 없이 결제 가능, 수동 카드정보가 입력된 경우 결제 가능 등), 주가입자의 하위에 수용 가능한 부가입자의 수 정보, 자신의 부가입자에 대한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예 : 실물 카드정보가 리드된 경우만 결제 가능, 서명 있는 경우만 결제 가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가입자의 가입유형정보는, 부가입자임을 나타내는 부가입자식별자, 및 어떤 주가입자에 대응되는 하위의 부가입자인지를 알기 위한 주가입자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한다(S210, Yes).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S220).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수신된 상기 결제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가, 기 저장된 각 가입자 별 가입자 인증정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이 정당한 가입자에 의한 요청인지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카드결제모듈(300)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와 동일한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단말식별정보로 저장된 가입자 정보가 존재하면,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이 정당한 가입자에 의한 요청인 것으로 판단하여 가입자 인증을 성공하게 되고(S230, Yes), 가입자 인증 성공에 따라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를 처리 가능하도록 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전술의 가입자 인증이 실패하면(S230, No),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가 불가능함을 통보할 수 있다(S260).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그룹의 결제권한정보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즉, 전술한 실시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S230, Yes),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주가입자인지 또는 부가입자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제1 단말식별정보의 주가입자라고 판단되는 경우(S240, Yes), 기 설정된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에 따라 단말장치(100)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S250).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주가입자라고 판단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며, 이때 주가입자결제권한정보(예 : 5만원 이하는 서명 없이 결제 가능, 수동 카드정보가 입력된 경우 결제 가능 등)에 따라 카드 결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제2 단말식별정보의 부가입자라고 판단되는 경우(S240, No), 기 설정된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S255).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부가입자라고 판단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금번 수신된 결제요청에 대응하여 신용카드회사, VAN사 등 결제서버(600)와의 연동을 통해 이후의 정상적인 카드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며, 이때 부가입자결제권한정보(예 : 실물 카드정보가 리드된 경우만 결제 가능, 서명 있는 경우만 결제 가능)에 따라 카드 결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전술의 결제요청이 수신되지 않고(S210, No),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S270).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특정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90) 상기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상기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차단한다(S300).
즉,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로부터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단말블랙리스트시스템(500)과의 연동을 통해 단말블랙리스트를 확인하고(S280), 상기 등록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특정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90).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S290단계의 판단 결과,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분실 혹은 도난 등의 이유로 정당하지 못한 단말장치라고 판단하여, 금번 수신된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차단한다(S30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S290단계의 판단 결과,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지 않는 경우 단말장치(100)가 정당한 단말장치라고 판단하여, 금번 수신된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정상적으로 등록할 것이다(S31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은, 운영자 혹은 가입자의 조작/수동에 의해 등록되는 가입자 정보는 차단 없이 정상적으로 등록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방법 및 단말장치의 카드 결제 방법에 따르면, 카드결제모듈(300) 및 이 카드결제모듈(300)이 장착된 단말장치(100)의 각각의 식별정보(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여러 가입자 중 주가입자와 다수의 부가입자를 구분/관리하여 카드 결제 발생 시 주가입자인지 부가입자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이한 결제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카드결제모듈(300)을 여러 가입자가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100,200...)을 통해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특이한 카드 결제 환경에서 보다 적합하고 안전한 인증 절차 및 다양한 결제 절차를 제공하여 카드 결제의 안전성 및 편이성 및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을 여러 가입자가 여러 개의 이동형 단말장치를 통해 공유해서 이용할 수 있는 특이한 카드 결제 환경에서 보다 적합하고 안전한 인증 절차 및 다양한 결제 절차를 제공하여 카드 결제의 안전성 및 편이성 및 다양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400 :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410 : 가입자정보저장부 420 : 요청수신부
430 : 인증부 440 : 결제처리부
450 : 등록제어부

Claims (9)

  1.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는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와,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맵핑된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에서 분류한 2 이상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결제권한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저장부;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상기 결제요청에서 확인되는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그룹의 결제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여, 상기 카드결제모듈을 2 이상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발생하는 경우 상기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에 따라서 상이한 결제권한을 부여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로부터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가 특정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상기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차단하는 등록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5. 삭제
  6. 각 가입자에 대응하여,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되는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와, 하나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맵핑된 2 이상의 단말식별정보에서 분류한 2 이상의 그룹 각각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결제권한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 저장단계;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에서 발생하는 카드 결제에 따른 결제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단계;
    상기 결제요청에서 확인되는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 및 상기 카드결제모듈의 카드결제모듈식별정보에 매핑된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인증정보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행단계;
    상기 결제요청에 대한 가입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 가입자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결제요청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가 속한 그룹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그룹의 결제권한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된 상기 카드 결제를 처리하여, 상기 카드결제모듈을 2 이상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장착하여 카드 결제를 발생하는 경우 상기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에 따라서 상이한 결제권한을 부여하여 카드 결제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결제 처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카드결제모듈이 장착된 단말장치로부터 가입자 인증정보에 대한 등록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등록요청을 기초로 확인되는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가 특정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블랙리스트에 속하는 경우 상기 등록요청에 따른 가입자 인증정보 등록을 차단하는 등록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관리 방법.
KR1020120012486A 2012-02-07 2012-02-07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7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86A KR101672504B1 (ko) 2012-02-07 2012-02-07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86A KR101672504B1 (ko) 2012-02-07 2012-02-07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49A KR20130100849A (ko) 2013-09-12
KR101672504B1 true KR101672504B1 (ko) 2016-11-03

Family

ID=4945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486A KR101672504B1 (ko) 2012-02-07 2012-02-07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5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886A (ja) * 2003-09-30 2005-04-21 Fuji Photo Film Co Ltd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0564097B1 (ko) * 2003-10-04 2006-03-24 주식회사 모팩소프트 단말기에 장착되어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거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678B1 (ko) * 2008-07-18 2015-09-22 조현준 법인카드 한도변경 방법, 법인카드 거래 승인방법,법인카드의 소속그룹 변경방법 및 카드한도변경 신청시스템
KR20110069270A (ko) * 2009-12-17 2011-06-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신용카드 결제 승인 처리를 위한 지불 게이트웨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886A (ja) * 2003-09-30 2005-04-21 Fuji Photo Film Co Ltd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100564097B1 (ko) * 2003-10-04 2006-03-24 주식회사 모팩소프트 단말기에 장착되어 거래용으로 사용되는 통신장치 및 이를이용한 거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849A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99821A1 (en) Device profile data usage for state management in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KR101498869B1 (ko) 휴대 단말기, 단말기 기능 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기능 관리 방법
US115144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a payment instrument
KR20140007262A (ko) 페어장치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결제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CN103745353A (zh) 一种电子支付终端验证方法及系统
KR101542111B1 (ko) 카드를 이용한 결제방법, 이를 위한 디지털 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KR101459291B1 (ko) Nfc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선후불기반의 스마트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67242B1 (ko) 페어 본인인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시스템, 인증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110704A (ko) 모바일 결제수단 이용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서비스 시스템
KR101672504B1 (ko) 카드 결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6075B1 (ko) 모바일 결제 시스템,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결제방법
JP2019110452A (ja) 端末システム、端末及びモジュール
KR101464940B1 (ko) 사용자를 인증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0631A (ko) 해외결제 인증방법, 해외결제 인증 시스템 및 카드사 시스템
KR20130005635A (ko) 보안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60110706A (ko) 타인의 결제를 위한 모바일 결제수단 이용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서비스 시스템
KR101595009B1 (ko) 모바일 캐시 잔액 차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65749A (ko) 해외결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0705A (ko) 제3자 결제를 위한 모바일 결제수단 이용방법 및 이를 위한 결제서비스 시스템
KR102307250B1 (ko) 거래수단 제어 방법
KR20140117079A (ko) 모바일 결제 시스템,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결제방법
KR20150087983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처리 방법
CN115331331A (zh) 基于数字钥匙的数据处理方法、系统和终端设备
KR20150034042A (ko)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KR20150034041A (ko) 카드결제 인증방법, 카드결제 인증시스템 및 결제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