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234A -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234A
KR20140083234A KR1020120152737A KR20120152737A KR20140083234A KR 20140083234 A KR20140083234 A KR 20140083234A KR 1020120152737 A KR1020120152737 A KR 1020120152737A KR 20120152737 A KR20120152737 A KR 20120152737A KR 20140083234 A KR20140083234 A KR 20140083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brown rice
weight
vegetabl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호
Original Assignee
최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호 filed Critical 최철호
Priority to KR102012015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3234A/ko
Publication of KR2014008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원은 음료용 분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몸에 유용한 특정 곡물을 섭취할 때 취식 거부감이 없을 뿐더러 맛의 풍미가 뛰어나고, 유통기간이 길며, 휴대성이 편리한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의하면, 웰빙을 추구는 바쁜 현대인의 건강을 지켜 줄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미, 서리태의 맛과 시금치, 청경채 등의 채소의 맛이 어우러져 남녀노소가 식취 거부감이 없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및 유통에도 뛰어나며, 물만 타서 즉석해서 음료로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POWDER COMPOSITION FOR BEVERAGES AND THE MANUFACTUING METHOD THEREOF}
본원은 음료용 분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몸에 유용한 특정 곡물을 섭취할 때 취식 거부감이 없을 뿐더러 맛의 풍미가 뛰어나고, 유통기간이 길며, 휴대성이 편리한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제조 또는 유통되는 미숫가루는 찹쌀, 멥쌀 도는 보리쌀을 쪄서 말린 다음 다시 볶아서 가루로 만든 식품으로, 이와 같이 가공된 미숫가루는 녹말이 날것의 상태에서 호화(糊化)된 상태로 되어 물에 분산되어 일반 가정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바쁜 일상 속에서의 현대인은 탄수화물의 기본 영양분의 보충으로는 부족하며, 미숫가루의 보관면에서의 불편함과 휴대의 불편함, 그리고 앞서 녹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 녹색채소 그 자체의 영양과 충분한 미네랄의 섭취에는 부족한 면이 많다.
예를 들어, 최근 제조 유통되고 있는 미숫가루는 1kg 봉지에 담아 판매하는데, 봉지를 개봉해 한번씩 먹다 보면 거미줄이나 좀벌레가 생기며 고소한 맛이 변질되어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음료로 마시기 위해서는 물의 양이 미숫가루의 양 보다 많아야 하는데 그렇게 되는 경우에는 미숫가루의 맛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그 맛이 밋밋한 경우가 많다.
한편, 시금치(spinach)는 다양한 비타민이 골고루 들어 있을 뿐 아니라 보혈강장 효과가 있어 발육기 어린이는 물로 임산부에게 좋은 알칼리성 식품이며, 섬유질이 풍부하여 변비 등에 효과적이며, 장의 열을 내려주는 약효가 있어 치질, 빈혈예방 등에 우수하나, 시금치를 집과 음식점 등에서 요리해서 섭취하는 경우 이외에는 편리하고 규칙적으로 시금치를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청경채는 칼슘, 나트륨 등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그리고 카로틴이 풍부하여 피부미용, 치아와 골격형성 등에 효과적이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맛의 풍미를 느끼면서 편리하고, 규칙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한편, 현미와 서리태를 이용한 다양한 곡물 가루의 가공식품은 단순한 가공 또는 앞서 언급한 보관의 어려움 등을 통해 즉석해서 음료로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을 항시 가지고 있다.
예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557503 호는,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녹차잎분말과 발효현미분말을 혼합하여 음료용 분말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조된 녹차잎을 에어클러셔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녹차잎분말 중에서 200mesh이상의 분말만을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녹차잎 분말을 발효현미분말과 3:7∼5: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잎과 현미를 원료로 하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발효발효현미분말의 단순한 제조방법을 녹차잎 분말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현미의 영양을 최대한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도 없으며, 녹차잎이 지니는 떫은 맛을 다른 성분들과의 조화를 통해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861907 호는, '음료 분말' 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입자의 크기가 350㎛ 미만인, β-글루칸을 함유하는 젤라틴화 시리얼 단편의 입자를 함유하는, 0.4 내지 1.5 중량% 농도의 β-글루칸을 함유하고, 실온에서 15 분후 액체가 350 mPa.s 미만의 점도를 가지나, 체온에서는 1000mPa.s 이상의 점도를 발생시키는 음료 제조용 음료 분말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를 용해시키는 경우 그 점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음료 분말에 관한 것이나, 이 기술은 당뇨병 환자가 영양학적으로 혈액내 인슐린 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가공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남녀노소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맛과 영양을 섭취하고자 하는 현대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 웰빙을 추구하는 많은 수요자들은 건강식을 위한 노력을 함과 동시에 친자연적인 제품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기대에 부합하는 간편한 가공식품의 제공이 필수적이며, 더불어 소비자의 입맛에 맞아 식취 거부감이 없이 남녀노소가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는 천연채소, 현미효소, 및 서리태 등을 이용한 즉석 음료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대안의 제시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웰빙을 추구는 바쁜 현대인의 건강을 지켜 줄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공하고, 현미, 서리태의 맛과 시금치, 청경채 등의 채소의 맛이 어우러져 남녀노소가 식취 거부감이 없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및 유통에도 뛰어나며, 즉석해서 음료로 이용할 수 있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발효발효현미분말 0.5 ∼ 1.5 중량부, 채소분말 1 ∼ 3 중량부, 서리태 분말 3 ∼ 7 중량부, 전지분유 3 ∼ 7 중량부, 및 바나나분말 3 ∼ 7 중량부:를 포함하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현미분말은, 물로 세척한 현미를 증자시키고 종균 접종 후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 시킨 뒤 분쇄하여 수득한 것이고, 상기 채소분말은 청경채 또는 시금치를 세척한 후 건조시켜 분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S1) 물로 세척한 현미를 증자시키고 종균 접종 후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 시킨 뒤 분쇄하여 발효발효현미분말을 수득하는, 발효현미분말제조단계; S2) 채소류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이를 분쇄하여 채소 분말을 수득하는, 채소분말제조단계; S3) 서리태를 볶은 후 이를 분쇄하여 서리태 분말을 수득하는, 서리태분말제조단계; S4) 상기 S1)단계에서 수득한 발효발효현미분말 0.5 ∼ 1.5 중량부, 상기 S2) 단계에서 수득한 채소분말 1 ∼ 3 중량부, 상기 S3) 단계에서 수득한 서리태 분말 3 ∼ 7 중량부, 전지분유 3 ∼ 7 중량부, 및 바나나분말 3 ∼ 7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사용하는 종균은 황국균종균이며, 배양은 불린 현미를 110 ∼ 130 ℃ 에서 20 ∼ 40 분간 증자시킨 현미를 25 ∼ 35 ℃로 냉각 후 황국균종균으로 접종하고 24 ∼ 28 ℃ 에서 42 ∼ 54 시간 배양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2) 채소분말제조단계에서의 채소류는 청경채 또는 시금치이며, 채소분말은 세척한 채소류를 40 ∼ 50 ℃ 분위기에서 60 ∼ 80 시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3) 서리태분말제조단계는, 서리태를 250 ∼ 350℃ 의 분위기에서 10 ∼ 30 분동안 볶은 후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분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의하면, 웰빙을 추구는 바쁜 현대인의 건강을 지켜 줄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미, 서리태의 맛과 시금치, 청경채 등의 채소의 맛이 어우러져 남녀노소가 식취 거부감이 없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고, 보관 및 유통에도 뛰어나며, 물만 타서 즉석해서 음료로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블록도
도 2는 본원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발효현미분말 제조과정 사진
도 3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채소(청경채)분말 제조과정 사진
도 4는 본원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채소(시금치)분말 제조과정 사진
도 5는 본원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서리태분말 제조과정 사진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완성 사진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 는 "∼를 위한 단계" 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구현예를 통해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은, 발효현미분말 0.5 ∼ 1.5 중량부, 채소분말 1 ∼ 3 중량부, 서리태 분말 3 ∼ 7 중량부, 전지분유 3 ∼ 7 중량부, 및 바나나분말 3 ∼ 7 중량부:를 포함하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현미분말은, 물로 세척한 현미를 증자시키고 종균 접종 후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 시킨 뒤 분쇄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종균은 황국균종균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발효현미분말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특유의 발효취에 식감이 떨어져 노약자나 어린이에게 식취거부감이 있을 수 있고,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된 현미분말이 지니는 영영소를 섭취하기에 부족한 문제점 또는 서리태 분말 함량과 대비하여 본원의 조성물을 물로 혼합하였을 때 점도가 높아 음용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채소분말은 다양한 채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원의 발효현미와 서리태 분말과의 맛의 조화를 이루고 특유의 맛과 향을 지니는 것으로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채소분말은 청경채 또는 시금치를 세척한 후 건조시켜 분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청경채 또는 시금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단독 또는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채소분말은 그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채소의 특유의 향과 비릿한 맛으로 섭취하는데 식취거부감이 있을 수 있으며,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채소가 지니는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하기 어려운 문제점 또는 서리태 분말 함량과 대비하여 본원의 조성물을 물로 혼합하였을 때 점도가 높아 음용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리태 분말은 서리태를 볶은 후 이를 분쇄하여 서리태 분말을 수득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서리태 분말은 세척한 서리태를 250 ∼ 350℃ 의 분위기에서 10 ∼ 30 분 동안 볶은 후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분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리태 분말이 7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원의 조성물이 전체적으로 뻣뻣해 지고, 물에 녹인 후에는 잘 풀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고소한 맛과 단백한 맛을 내지 못하고 상기 채소분말과 깊은 조화로운 맛을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지분유는 우유를 건조시킨 분말로서 시중에 유통되는 전지분유를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원유를 전지분유로 표준화시켜 균질화(3000psi)하여 90℃에서 3분간 살균한 뒤, 71 ℃에서 예열, 고압 펌프(2500psi)를 거쳐 분무 건조시켜 32℃에서 수분을 2∼4 %로 만들어 냉각하여 입자로 분쇄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지분유에는 다른 영양소 이외에 맛을 부드럽게 하는 유지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지분유가 7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서리태의 맛과 향을 거의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본원의 채소분말의 특유의 떫은 맛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본원에서 사용하는 채소분말은 증숙하지 않고, 세척 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상기 바나나분말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바나나분말 또는 농축바나나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나나분말이 7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서리태의 맛과 향을 거의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본원의 채소분말의 특유의 떫은 맛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있어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원을 설명하면, 본원의 제 2 측면은 S1) 물로 세척한 현미를 증자시키고 종균 접종 후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 시킨 뒤 분쇄하여 발효현미분말을 수득하는, 발효현미분말제조단계(100); S2) 채소류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이를 분쇄하여 채소 분말을 수득하는, 채소분말제조단계(200); S3) 서리태를 볶은 후 이를 분쇄하여 서리태 분말을 수득하는, 서리태분말제조단계(300); S4) 상기 S1)단계에서 수득한 발효현미분말 0.5 ∼ 1.5 중량부, 상기 S2) 단계에서 수득한 채소분말 1 ∼ 3 중량부, 상기 S3) 단계에서 수득한 서리태 분말 3 ∼ 7 중량부, 전지분유 3 ∼ 7 중량부, 및 바나나분말 3 ∼ 7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400):를 포함하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2측면에서의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본원의 제 1 측면에서의 음료용 분말 조성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반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사용하는 종균은 황국균종균이며, 배양은 불린 현미를 110 ∼ 130 ℃ 에서 20 ∼ 40 분간 증자시킨 현미를 25 ∼ 35 ℃로 냉각 후 황국균종균으로 접종하고 24 ∼ 28 ℃ 에서 42 ∼ 54 시간 배양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S1) 단계인 발효현미분말제조단계에서 사용하는 황국균 종균은 전분 분해효소( α-amylase)나 단백질 분해효소(aspartic proteinase), 지방산 분해효소(triglyceride lipase) 능을 같이 지니고 있으며, 본원에서 사용하는 전지분유와 바나나분말과 최종 혼합을 한 후에도 본원의 발효현미분말이 추가적인 숙성을 반영하여 전체적으로 본원의 제 1 측면의 음료용 분말 조성물이 깊은 맛을 지니게 하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본원에서 황국균종균을 사용하여 배양하기 전의 현미는 불린 현미를 110 ∼ 130 ℃ 의 온도 분위기에서 20 ∼ 40 분간 증자시킨 후 접종한 후 24 ∼ 28 ℃ 에서 42 ∼ 54 시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수치 범위 내에서 특유의 발효취를 최적으로 하여 식취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최적의 발효로 인해 발효된 현미의 영양이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2) 채소분말제조단계에서의 채소류는 청경채 또는 시금치이며, 채소분말은 세척한 채소류를 40 ∼ 50 ℃ 분위기에서 60 ∼ 80 시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의 청경채 또는 시금치의 분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증숙을 하지 않아, 고유의 영양소 파괴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의 온도와 시간 수치 범위 내에서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로 함과 동시에 증숙하지 않고 건조분말을 제조하여 이를 음료용으로 본원의 조성물을 혼합하는데 최적의 함수율을 지니기 때문이다.
한편,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3) 서리태분말제조단계는, 서리태를 250 ∼ 350℃ 의 분위기에서 10 ∼ 30 분 동안 볶은 후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분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50 ∼ 350℃의 온도에서 10 ∼ 30 분의 수치에서 서리태의 고소한 맛과 향이 잘 간직되면서 상기 채소분말과 함께 사용될 때 채소의 맛과 향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 S4) 첨가물 혼합단계는 상기 S1)단계에서 수득한 발효현미분말 0.5 ∼ 1.5 중량부, 상기 S2) 단계에서 수득한 채소분말 1 ∼ 3 중량부, 상기 S3) 단계에서 수득한 서리태 분말 3 ∼ 7 중량부, 전지분유 3 ∼ 7 중량부, 및 바나나분말 3 ∼ 7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성분 및 그 함량에 대한 수치의 의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 발효현미분말 제조
현미를 물로 세척하여 8시간 불린 후 물 빼기를 1시간 한 후, 불린 현미를 121℃에서 30분간 증자한 후 30℃로 냉각(도 2의 (a)참조)하였다.
냉각된 현미에 황국균종균을 무균적으로 접종하고 교반한 후, 접종된 배양물을 26℃ 배양기에 넣고 48 시간 배양하고, 배양물을 55℃ 열풍건조기에서 수분 6%가 되게 건조(도 2의 (b)참조)하였다.
건조된 배양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발효현미분말을 제조(도 2의 (c)참조)하였다.
2. 채소(청경채)분말 제조
청경채 12kg을 흐르는 물에 세척(도 3의 (a)참조)하였다.
세척한 청경채를 45℃에서 72시간 건조(도 3의 (b)참조) 하였다.
건조된 청경채를 핀밀분쇄기로 160목 망으로 분쇄하여, 청경채 채소분말을 제조(도 3의 (c)참조)하였다.
3. 채소(시금치)분말 제조
시금치를 흐르는 물에 세척(도 4의 (a)참조) 하였다.
세척한 시금치를 45℃에서 72시간 건조(도 4의 (b)참조) 하였다.
건조된 시금치를 핀밀분쇄기로 160목 망으로 분쇄(도 4의 (c)참조) 하였다.
4. 서리태분말 제조
서리태를 300℃에서 20분간 볶음(도 5의 (a)참조) 하였다.
볶은 서리태를 완전히 냉각(도 5의 (b)참조) 하였다.
볶음서리태를 핀밀분쇄기로 80목 망을 사용하여 분쇄(도 5의 (c)참조) 하였다.
5.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앞선 단계에서 제조된 발효현미분말 100g , 청경채 분말 100g , 시금치분말 100g , 서리태분말 500g , 전지분유 500g , 및 바나나분말 500g 을 잘 혼합한뒤, 음료용 분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에서 한 병에 100g을 채운 후(도 6 참조), 물 150ml를 혼입하여 음료용 분말 조성물을 음료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음료용 분말 조성물과,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음료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관능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시험예 1> : 관능테스트
표본 1 : 10 세 ∼ 15 세 어린이 5명,
표본 2 : 15세 ∼ 20세 청소년 5명,
표본 3 : 20 세 ∼ 50 세 성인 5명, 및
표본 4 : 50 세 ∼ 60 세 성인 5명을 표본으로 하여 향의 관능테스트, 맛의 테스트를 하였다. 시험방법은 본원의 음료용 분말 조성물(시험군)와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 미숫가루(대조군)에 대해 실시하였다. 향의 관능 테스트는 바로 냄새를 맡아 테스트를 하였고, 맛의 평가는 분말을 그대로 맛본 경우와 물에 희석시켜 맛을 본 경우로 나누어 평가 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 값은 각각의 만족도를 100을 기준으로 하여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본원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이 분말 또는 음료로 이용되는 경우에 그 맛의 평가가 탁월하였으며, 그 이유는 본원의 구성성분이 채소 등이 발효현미분말과 서래태분말과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음료로 이용되는 경우 물에 의해 골고루 분포되어 음료로 이용되기에 매우 적당한 점도를 구성하고 있고, 각 구성성분 들간의 맛의 조합에 의해 본원 특유의 고소하면서도 부드러운 맛, 그리고 특유의 청경채와 시금치 맛의 어우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Claims (6)

  1. 발효현미분말 0.5 ∼ 1.5 중량부, 채소분말 1 ∼ 3 중량부, 서리태 분말 3 ∼ 7 중량부, 전지분유 3 ∼ 7 중량부, 및 바나나분말 3 ∼ 7 중량부:를 포함하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현미분말은, 물로 세척한 현미를 증자시키고 종균 접종 후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 시킨 뒤 분쇄하여 수득한 것이고,
    상기 채소분말은 청경채 또는 시금치를 세척한 후 건조시켜 분쇄한 것인,
    음료용 분말 조성물.
  3. S1) 물로 세척한 현미를 증자시키고 종균 접종 후 배양한 배양물을 건조시킨 뒤 분쇄하여 발효현미분말을 수득하는, 발효현미분말제조단계;
    S2) 채소류를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이를 분쇄하여 채소 분말을 수득하는, 채소분말제조단계;
    S3) 서리태를 볶은 후 이를 분쇄하여 서리태 분말을 수득하는, 서리태분말제조단계;
    S4) 상기 S1)단계에서 수득한 발효현미분말 0.5 ∼ 1.5 중량부, 상기 S2) 단계에서 수득한 채소분말 1 ∼ 3 중량부, 상기 S3) 단계에서 수득한 서리태 분말 3 ∼ 7 중량부, 전지분유 3 ∼ 7 중량부, 및 바나나분말 3 ∼ 7 중량부를 혼합하는, 첨가물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사용하는 종균은 황국균종균이며, 배양은 불린 현미를 110 ∼ 130 ℃ 에서 20 ∼ 40 분간 증자시킨 현미를 25 ∼ 35 ℃로 냉각 후 황국균종균으로 접종하고 24 ∼ 28 ℃ 에서 42 ∼ 54 시간 배양하는 것인,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2) 채소분말제조단계에서의 채소류는 청경채 또는 시금치이며, 채소분말은 세척한 채소류를 40 ∼ 50 ℃ 분위기에서 60 ∼ 80 시간 건조하여 분쇄한 것인,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3) 서리태분말제조단계는, 서리태를 250 ∼ 350℃ 의 분위기에서 10 ∼ 30 분 동안 볶은 후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분쇄한 것인,
    음료용 분말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20152737A 2012-12-26 2012-12-26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83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37A KR20140083234A (ko) 2012-12-26 2012-12-26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737A KR20140083234A (ko) 2012-12-26 2012-12-26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234A true KR20140083234A (ko) 2014-07-04

Family

ID=5173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737A KR20140083234A (ko) 2012-12-26 2012-12-26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32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069A (ko) 2015-07-21 2017-02-02 김현정 시금치를 이용한 건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03604B1 (ko) * 2019-01-11 2020-04-22 전미자 죽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069A (ko) 2015-07-21 2017-02-02 김현정 시금치를 이용한 건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03604B1 (ko) * 2019-01-11 2020-04-22 전미자 죽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07292A (zh) 一种火龙果皮酱的制备方法
CN104146264A (zh) 利用苜蓿制备营养食品的生产方法
KR101461116B1 (ko) 가바 생성능을 지닌 유산균을 포함한 막걸리 키트의 제조방법
CN102578486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KR20170054361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커피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83234A (ko) 채소와 곡물을 이용한 음료용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578528A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KR20190083623A (ko) 청국장,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청국장 찌개용 소스 조성물
KR101890042B1 (ko) 홍삼커피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79266A1 (en) Glutinous millet nutrition mil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666301B1 (ko) 청국장을 주재료로 한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2578494A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CN102578488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豉及其生产工艺
KR20170127671A (ko) 초고압을 이용한 유색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국장 분말의 제조방법
KR20120083682A (ko) 뽕잎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뽕잎 고추장
CN102578491B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KR20080024778A (ko) 유기셀레늄 함유 곡물을 이용한 아이스크림의 제조 방법
KR100497657B1 (ko) 생청국장과 그 제조방법
KR20150112435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커피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0695B1 (ko) 돼지감자와 여주가 함유된 천연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CN102578487A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KR101461117B1 (ko) 막걸리 키트의 제조방법
CN102578536A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CN102578490A (zh) 一种含有中草药配方的保健黑豆豆鼓及其生产工艺
KR20220053175A (ko) 17곡 미분말 함유 속성 탁주제조용 양조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