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188A -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188A
KR20140082188A KR1020120151763A KR20120151763A KR20140082188A KR 20140082188 A KR20140082188 A KR 20140082188A KR 1020120151763 A KR1020120151763 A KR 1020120151763A KR 20120151763 A KR20120151763 A KR 20120151763A KR 20140082188 A KR20140082188 A KR 20140082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tortion
cradle
curvatur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혁
이원석
권구도
신동인
윤성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1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2188A/ko
Publication of KR20140082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왜곡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영상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Image)을 입력받는 렌즈에 의해 발생한 영상의 왜곡에 대한 왜곡 계수(Distortion Coefficient)를 측정하는 왜곡 계수 측정부 및 영상이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영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왜곡 계수로부터 역함수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곡률을 산출하는 거치대 곡률 산출부를 포함하는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a Image Distortion}
본 발명은 왜곡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영상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함으로써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이용한 응용분야는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며 그 응용분야는 조립라인의 로봇 제어, 상품의 품질 검사, 의료분야의 진단, 보안 시스템, 영상 시스템의 인식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통상적으로 대상체에 대한 정밀도 높은 영상을 얻으려 할 경우에는 협각의 렌즈를 카메라의 앞 부분에 장치하여 사용하고, 대상체의 크기가 커서 넓은 영역을 관찰하여야 할 경우에는 광각 렌즈(Wide Angle Lens)를 장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광각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렌즈의 중심부분은 해상도가 높고 렌즈의 외각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광각 렌즈는 외각부분의 해상도 저하와 함께 외각부분으로 갈수록 영상이 휘어지는 왜곡, 즉 방사 왜곡(Radial Distortion)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방사 왜곡은 해상도 저하의 주요 요인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왜곡된 영상을 보정하는 방식은 크게 측량적 왜곡 보정방법과 비측량적 왜곡 보정방법으로 나뉘어 진다.
상기 측량적 왜곡 보정방법은 다항식 모델(Polynomial Model)과 같이, 다수의 레퍼런스 영상을 이용하여 오류 범위를 최소화하는 다항식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라 할 수 있고, 상기 비측량적 왜곡 보정방법은 어안 렌즈와 FOV 모델 등 카메라 렌즈 모델을 기준으로 보정하는 방식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측량적 왜곡 보정방법 중 다항식 모델은 3차원 공간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표준 격자 배열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캘리브레이션 패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이들 사이의 대응관계로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특이점들을 인식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통하여 왜곡을 보정하므로 비측량적 왜곡 보정 방법보다 더욱 정확하지만 대응점들을 찾는 작업은 노이즈(noise)에 매우 민감하여 이로 인한 에러발생이 크고, 또한 광각 렌즈일수록 그 에러는 더욱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비측량적 왜곡 보정방법 중 FOV 모델은, 어안렌즈가 디자인되는 간단한 광학적 모델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각도의 해상도가 대략적으로 이미지의 직경에 따른 이미지 해상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가정으로 보정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측량적 왜곡 보정방법은, 3차원 공간에 대한 정보가 없이 직선이 렌즈를 통해 들어와 왜곡되어 나타난 곡선을 직선으로 옮기기 위해 다항식의 왜곡계수를 반복적으로 구하여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보정의 정밀함에 있어 매우 우수하지만 복잡한 다항식의 사용과 다항식의 반복적인 계산으로 인해 계산량이 많아 연산의 수행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측량적 및 비측량적 왜곡 보정방법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보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고, 노이즈에 강한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왜곡 영상 자체를 변형하지 아니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성질 및 거치대를 이용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왜곡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의 왜곡보정을 위한 연산이 간단하여 왜곡영상의 보정 시간이 단축되는 왜곡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영상(Image)을 입력받는 렌즈에 의해 발생한 영상의 왜곡에 대한 왜곡 계수(Distortion Coefficient)를 측정하는 왜곡 계수 측정부 및 영상이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영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왜곡 계수로부터 역함수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곡률을 산출하는 거치대 곡률 산출부를 포함하는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된 왜곡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왜곡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왜곡 계수는 R= f· tan θ 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R은 렌즈의 반지름, f는 초점거리, θ는 영상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왜곡계수의 역함수는, r= 2f· tan (θ/2), r = f·θ, r= 2f·sin(θ/2) 또는 r= f· sin 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r은 거치대의 반지름, f는 초점거리, θ는 영상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거치대 곡률 산출부의 곡률에 따라 제조되는 거치대에 매칭되도록 휘어져서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측면에 의하면, 렌즈를 통해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왜곡 계수 측정부가 상기 렌즈에 의해 발생한 영상 왜곡에 대한 왜곡 계수를 측정하는 단계; 거치대 곡률 산출부가 상기 왜곡 계수의 역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거치대 곡률 산출부가 상기 왜곡 계수의 역함수를 이용하여 거치대의 곡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거치대의 곡률을 갖도록 거치대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왜곡 영상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에 의하면, 왜곡보정을 위한 연산이 러프하고 간단하여 왜곡영상의 보정 시간이 단축되고,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을 통한 블러링(blurring)이 발생하지 않아 시각적 피드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왜곡 영상 자체를 변형하지 아니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거치되는 거치대의 곡률을 조정하여 영상을 보정하므로, 영상의 보정이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부리거나 휘도록 하여 고정시키므로,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고 시각적 심미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계수 및 그 역함수를 구하기 위한 렌즈 및 영상의 입사각 등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에 입력되는 원본 영상과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보정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거치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영상 보정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왜곡 영상을 수학적 공식만을 이용하여 보정을 해주는 방식에서 벗어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거치대(160)를 이용함으로써 영상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왜곡 영상 보정의 실시간 처리시에는 영상 왜곡 보정 연산을 전혀 수행 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flexible)한 성질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가 부착되어야 할 거치대(160)의 평면을 광각 렌즈의 왜곡에 대한 역공간적 형태로 구성해줌으로써 영상 왜곡 보정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는 왜곡영상 보정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은, 영상(Image)을 입력받는 렌즈(110)에 의해 발생한 영상의 왜곡에 대한 왜곡 계수(Distortion Coefficient)를 측정하는 왜곡 계수 측정부(120) 및 영상이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영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왜곡 계수로부터 역함수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60)의 곡률을 산출하는 거치대 곡률 산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110)를 통해 입력된 왜곡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왜곡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저장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광각 렌즈일 수 있으며 핀홀(pinhole) 카메라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왜곡 계수 측정부(120)는 상기 렌즈(110)에 의해 발생한 영상 왜곡에 대한 왜곡 계수를 선택하거나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왜곡 계수 및 그 역함수를 구하는 방식은 측량적 왜곡 보정 방법이 아닌 비측량적 왜곡 보정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채용되는 비측량적 왜곡 보정 방법은 영상의 일치점(correspondence)에 기반하지 않고, 외부 물체의 직선 성분들은 영상에 직선형태로 투사된다는 가정하에 영상이 획득되는 과정에서 렌즈 왜곡에 의한 곡선 성분들을 직선 형태로 보정하는 방식이라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왜곡 계수는 R=f· tan θ 일 수 있다(이 때, 상기 R은 렌즈의 반지름, f는 초점거리, θ는 영상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다만 상기 왜곡 계수는 R=f·tanθ 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발명의 필요에 따라 비측량적 왜곡 보정 방법에 관한 왜곡 계수라면 어떠한 계수라도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대 곡률 산출부(130)는 영상이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영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왜곡 계수로부터 역함수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160)의 곡률을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대로 상기 왜곡계수의 역함수는 비측량적 왜곡 보정방법에 관한 왜곡 계수의 역함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예컨대 본 발명에서 상기 왜곡계수의 역함수는, r= 2f· tan (θ/2), r=f·θ, r=2f· sin (θ/2) 또는 r=f· sin 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여기서 상기 r은 거치대의 반지름, f는 초점거리, θ는 영상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즉, 상기 왜곡계수가 r=f· tan θ 라면, 이로부터 파생되어 반지름에 대칭되는 모델인 왜곡계수의 역함수는, r=2f· tan (θ/2), r= f·θ, r=2f· sin (θ/2) 또는 r= f·sinθ 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왜곡계수의 역함수를 이용하여 거치대(160)의 반지름 및 곡률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 곡률산출부(130)가 거치대의 곡률을 산출하면, 이를 거치대 제조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거치대의 곡률에 매칭되도록 거치대(160)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 곡률 산출부(130)의 곡률에 따라 제조되는 거치대(160)에는 그 곡률에 매칭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를 휘거나 구부러뜨려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대 곡률 산출부(130)의 곡률에 따라 제조되는 거치대(160) 및 이에 장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에 의하면, 왜곡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보정되어 사용자에 현시되게 된다.
즉, 렌즈(110)를 통해 입력되는 왜곡 영상은 영상저장부(140)에 저장됨과 동시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로 전송되어 출력되는데, 이 때에는 영상왜곡 보정을 위한 연산이 불필요하여 왜곡영상의 보정 시간이 최소화되며, 이와 같은 영상 보정방식은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을 통해 발생한 블러링(blurring)이나 계단 현상이 나타날 문제도 없으므로 영상의 품질이 향상되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계수 및 그 역함수를 구하기 위한 렌즈 및 영상의 입사각 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렌즈 왜곡에 대한 보정 방식은, 메트릭(Metric) 방식과 비메트릭(Non-Metric)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i) 상기 메트릭 방식은 영상의 일치점에 기반하여 영상왜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카메라 모델의 내부 변수 및 외부 변수를 모두 측정하여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방식을 말하며, ii) 비메트릭 방식은 영상의 일치점에 기반하지 않고, 외부 물체의 직선 성분들은 영상에 직선형태로 투사되어야 한다는 가정하에 영상이 획득되는 과정에서 렌즈 왜곡에 의한 곡선 성분들을 직선 형태로 보정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메트릭 방식은 영상의 일치점에 기반하므로 일치점들이 많아질수록 더욱 정확한 왜곡 계수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일치점들을 추출하기 위한 여러 장의 패턴영상(pattern images)을 필요로 하며, 내부 변수와 외부변수를 모두 구하는 과정에서 측정오류(measurement error)에 의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메트릭 방식(비 측량적 왜곡 보정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왜곡이 있는 단일 영상에서도 왜곡계수(distortion coefficient)를 구할수 있으며 별도의 일치점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만, 영상에 직선 성분을 포함하는 물체가 존재해야 왜곡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자동 왜곡 보정 알고리즘들은 잡음(noise)에 매우 민감한 특성을 가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왜곡계수 및 그 역함수를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 대칭 모델(Radially Symmetric Model)에 따른 왜곡 계수 및 그 역함수를 이용하여 거치대의 곡률을 산정하게 되는데, 상기 왜곡 계수는 r=f· tan θ 일 수 있고(이 때, 상기 r은 렌즈의 반지름, f는 초점거리, θ는 영상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상기 왜곡계수의 역함수는, r= 2f· tan (θ/2), r=f·θ, r=2f·sin(θ/2) 또는 r=f· sin 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여기서 상기 r은 거치대의 반지름, f는 초점거리, θ는 영상의 입사각을 의미한다).
상기 왜곡계수의 역함수 중 상기 r= 2f· tan (θ/2) 스테레오투영(stereographic projection)에 의한 곡률을 산출하게 되고, 상기 r=f·θ 는 등거리 사영(equidistance projection)에 의한 곡률을 산출하게 되며, 상기 r=2f· sin (θ/2) 는 등입체각 사영(equisolid angle projection)에 의한 곡률을 산출하게 되고, 상기 r=f· sin θ 는 정투영(orthogonal projection)에 의한 곡률을 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렌즈(11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영상 왜곡 보정에 적절한 왜곡계수 및 그 역함수를 선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거치대(160)의 곡률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에 입력되는 원본 영상과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보정 영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거치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 곡률산출부(130)로부터 산출된 곡률에 의거하여 제조된 거치대(160)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를 장착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거치대(160)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가 장착되면, 렌즈(110)로부터 왜곡 영상이 입력되자 마자 영상저장부(140)로부터 왜곡 영상을 전송받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가 곧바로 영상을 출력하게 되는데, 이 때 미리 계산된 거치대의 곡률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가 휘어져서 장착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영상 보정을 수행할 필요없이 바로 보정된 영상을 현출할 수 있다.
도 4a는 영상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왜곡 영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영상 이미지가 굴곡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는 거치대(160)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현시되는 영상을 나타내고 있는데, 영상 이미지가 실시간 보정되어 굴곡된 모습이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왜곡 영상 보정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렌즈를 통해 영상을 입력받게 되는데(S11), 상기 영상은 왜곡 계수 측정부 및 영상 저장부에 전송되게 된다.
이어서 왜곡 계수 측정부가 상기 렌즈에 의해 발생한 영상 왜곡에 대한 왜곡 계수를 측정하는 단계를 거친다(S12).
즉, 렌즈의 화각에 맞는 비측량적 왜곡 보정방법 중 어느 한 가지를 택해서, 그 왜곡이 보정되는 계수를 설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거치대의 곡률을 조정하여 영상 왜곡을 보정하게 되므로, 왜곡 계수 및 그 역함의 정밀도는 그리 높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후, 거치대 곡률 산출부가 상기 왜곡 계수의 역함수를 산출하는 단계(S13) 및 상기 왜곡 계수의 역함수를 이용하여 거치대의 곡률을 산출하는 단계(S14)를 거친다.
이와 같이 거치대의 곡률이 산출되면, 상기 거치대의 곡률을 갖도록 거치대를 제작하는 단계(S15)를 거치게 되는데, 거치대 곡률 산출부로부터 거치대의 곡률을 전송받아 거치대 제조부(미도시)가 프레스 또는 성형기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제작하게 된다.
위와 같이 거치대가 제조되면, 상기 거치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게 된다(S16).
즉, 거치대의 곡률에 매칭되도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게 되면, 렌즈를 통한 왜곡 영상 입력시 곧바로 왜곡 영상을 출력하기만 하면 거치대의 곡률에 따라 왜곡 영상이 자동적으로 보정되어 사용자에 현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왜곡 보정을 위한 왜곡 계수 및 그 역함수의 계산에 소요되는 프로세스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로드를 줄이고, 보정된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켜 시각적인 피드백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렌즈
120: 왜곡계수 측정부
130: 거치대 곡률 산출부
140: 영상 저장부
15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60: 거치대

Claims (6)

  1. 영상(Image)을 입력받는 렌즈에 의해 발생한 영상의 왜곡에 대한 왜곡 계수(Distortion Coefficient)를 측정하는 왜곡 계수 측정부; 및
    영상이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영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왜곡 계수로부터 역함수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곡률을 산출하는 거치대 곡률 산출부;
    를 포함하는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된 왜곡 영상을 저장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왜곡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계수는,
    R = f· tan 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영상 보정시스템.
    (상기 R은 렌즈의 반지름, f는 초점거리, θ는 영상의 입사각이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계수의 역함수는,
    r= 2f· tan (θ/2), r = f·θ, r= 2f· sin (θ/2) 또는 r= f· sin 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영상 보정시스템.
    (상기 r은 거치대의 반지름, f는 초점거리, θ는 영상의 입사각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거치대 곡률 산출부의 곡률에 따라 제조되는 거치대에 매칭되도록 휘어져서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 영상 보정 시스템.
  6. 렌즈를 통해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왜곡 계수 측정부가 상기 렌즈에 의해 발생한 영상 왜곡에 대한 왜곡 계수를 측정하는 단계;
    거치대 곡률 산출부가 상기 왜곡 계수의 역함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거치대 곡률 산출부가 상기 왜곡 계수의 역함수를 이용하여 거치대의 곡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거치대의 곡률을 갖도록 거치대를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거치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왜곡 영상 보정 방법.
KR1020120151763A 2012-12-24 2012-12-24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KR20140082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763A KR20140082188A (ko) 2012-12-24 2012-12-24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763A KR20140082188A (ko) 2012-12-24 2012-12-24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188A true KR20140082188A (ko) 2014-07-02

Family

ID=5173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763A KR20140082188A (ko) 2012-12-24 2012-12-24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21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7758A (zh) * 2019-06-21 2021-11-02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校正柱状透镜失真的方法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7758A (zh) * 2019-06-21 2021-11-02 谷歌有限责任公司 用于校正柱状透镜失真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47220B (zh) 校准装置、校准方法、光学装置、摄影装置以及投影装置
CN104730802B (zh) 光轴夹角的校准、对焦方法和系统和双摄像头设备
CN108012147B (zh) Ar成像系统虚像距测试方法及装置
US8120755B2 (en) Method of correcting a volume imaging equation for more accurate determination of a velocity field of particles in a volume
CN110345921B (zh) 立体视场视觉测量及垂轴像差和轴向像差校正方法及系统
US10200629B2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image capturing
WO2011125937A1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データ選択装置、選択方法、及び選択プログラム、並びに三次元位置測定装置
WO2011160491A1 (zh) 一种基于摄像机坐标系位置自适应的显微视觉测量方法
Hanning High precision camera calibration
TW201340035A (zh) 結合影像之方法
Felipe-Sesé et al. Integrating fringe projection and digital image correlation for high-quality measurements of shape changes
Legarda et al. A new method for Scheimpflug camera calibration
JP2012198031A (ja) 画像補正方法及び画像補正装置
CN110971791A (zh) 一种摄像机变焦距光学系统光轴一致性调整方法及显示仪
Ayaz et al. Survey on zoom-lens calibration methods and techniques
CN109544642B (zh) 一种基于n型靶标的tdi-ccd相机参数标定方法
JP5487946B2 (ja) カメラ画像の補正方法およびカメラ装置および座標変換パラメータ決定装置
JP2012147281A (ja) 画像処理装置
Ueno et al. Compound-Eye Camera Module as Small as 8.5$\times $8.5$\times $6.0 mm for 26 k-Resolution Depth Map and 2-Mpix 2D Imaging
KR20140082188A (ko) 왜곡 영상 보정시스템 및 보정방법
Li et al. Spatial light path analysis and calibration of four-mirror-based monocular stereo vision
JP5901379B2 (ja) 撮像装置校正方法および画像合成装置
Chai et al. Epipolar constraint of single-camera mirror binocular stereo vision systems
JP2016066995A (ja) 像ズレ量算出装置、撮像装置、および像ズレ量算出方法
CN112927299B (zh) 标定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