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573A -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573A
KR20140080573A KR1020120144110A KR20120144110A KR20140080573A KR 20140080573 A KR20140080573 A KR 20140080573A KR 1020120144110 A KR1020120144110 A KR 1020120144110A KR 20120144110 A KR20120144110 A KR 20120144110A KR 20140080573 A KR20140080573 A KR 20140080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lip
opening
closing
slip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764B1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는, 구동모터의 제1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작동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로 이루어져 글로브박스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부에는, 상기 도어에서 발생되어 상기 개폐부를 통한 과부하 전달시에 슬립을 일으켜, 과부하가 상기 구동기어부로 전달되지 않고 소멸되도록 하기 위한 슬립발생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슬립발생수단은, 상기 구동기어부를 구성하는 제2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한쪽 면에는 제1 슬립기어이가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제1 슬립기어; 상기 제1 슬립기어이와 맞물리는 제2 슬립기어이가 상기 제1 슬립기어와 마주보는 한쪽 면에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슬립기어; 및 상기 도어로부터 발생된 과부하가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전달될 때에만 서로 맞물린 상기 제1,2 슬립기어이들이 슬립을 일으켜 상기 제2 슬립기어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슬립기어를 제1 슬립기어 쪽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브박스의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에 상관없이 외력에 대한 충격으로 자동개폐장치의 동력전달 기어나 개폐로드, 개폐링크 등이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DAMAGE PREVENT STRUCTUR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GLOVE BOX}
본 발명은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글로브 박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돌발적인 동작에 의해 닫힐 때, 자동개폐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박스(Glove Box)는 자동차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힌지 결합에 의해 회동하면서 개폐되는 차량용 보관박스를 지칭한다.
자동차 산업이 발전하면서 단순 물품 보관함으로만 사용되어 왔던 글로브박스가 근래에는 냉/온 기능이 부가되어 기능적인 면에서 사용자들에게 한층 더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브박스는 잠금장치와 개폐장치가 설치되는데, 잠금장치는 키(key)를 이용하여 타인이 함부로 개방하지 못하게 잠금 시킬 때 사용하며, 개폐장치는 글로브박스를 개방할 때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글로브박스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는 꾸준한 기술개발로 인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글로브박스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글로브박스의 자동개폐장치가 개발된바 있다.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24777호(공고일 : 2012.02.29)에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100)는 크래쉬 패드(미도시)의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에 힌지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부(120)와, 도어부(12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폐구동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글로브박스는 글로브박스의 개폐시에 요구되는 노브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품질에 효율적으로 부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글로브박스는 개방된 상태에서 돌발적인 동작, 즉 승객에 의해 강제로 닫힐 경우에, 글로브박스를 개폐 작동시키는 개폐구동부, 즉 기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설명하면, 자동개폐장치의 개폐구동부가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져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고 구동력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개폐구동부의 구동모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서 개폐로드를 직선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었으나, 개폐로드를 직접 당기거나 미는 동작으로 각 기어를 회전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개폐로드나 그 연결부위 또는 기어군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개폐로드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군이 다수개의 기어들로 이루어지고, 각 기어들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거나, 웜기어와 같이 회전축들이 교차하는 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피동측(개폐로드)의 회전력이 구동모터에 전달될 수 없었고, 따라서 개폐로드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개폐로드 또는 개폐로드 링크 연결부위나 기어들이 파손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자동개폐장치가 적용된 글로브박스에는 노브가 삭제되어 있었기 때문에, 하우징이 예기치 못한 돌발 상황에 의해 강제로 닫히면서 내부의 기어가 파손된 경우에는 하우징의 개방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24777호(공고일 : 2012.02.29)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개폐장치를 갖는 글로브 박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돌발적인 동작에 의해 닫힐 때, 자동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개폐로드, 링크나 기어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모터의 제1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작동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로 이루어져 글로브박스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부에는, 상기 도어에서 발생되어 상기 개폐부를 통한 과부하 전달시에 슬립을 일으켜, 과부하가 상기 구동기어부로 전달되지 않고 소멸되도록 하기 위한 슬립발생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슬립발생수단은, 상기 구동기어부를 구성하는 제2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한쪽 면에는 제1 슬립기어이가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제1 슬립기어; 상기 제1 슬립기어이와 맞물리는 제2 슬립기어이가 상기 제1 슬립기어와 마주보는 한쪽 면에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슬립기어; 및 상기 도어로부터 발생된 과부하가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전달될 때에만 서로 맞물린 상기 제1,2 슬립기어이들이 슬립을 일으켜 상기 제2 슬립기어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슬립기어를 제1 슬립기어 쪽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동모터의 제1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작동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로 이루어져 글로브박스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부에는, 상기 도어에서 발생되어 상기 개폐부를 통한 과부하 전달시에 슬립을 일으켜, 과부하가 상기 구동기어부로 전달되지 않고 소멸되도록 하기 위한 슬립발생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슬립발생수단은, 상기 구동기어부를 구성하는 제2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한쪽 면에는 제1 마찰판이 마련된 제1 슬립기어; 상기 제1 마찰판과 밀착되는 제2 마찰판이 상기 제1 슬립기어와 마주보는 한쪽 면에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슬립기어; 및 상기 도어로부터 발생된 과부하가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전달될 때에만 서로 맞물린 상기 제1,2 마찰판들이 슬립을 일으켜 상기 제2 슬립기어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슬립기어를 제1 슬립기어 쪽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슬립기어의 외주면의 기어이에 맞물리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개폐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슬립기어의 외주면의 기어이에 맞물리는 랙기어 또는 나사산이 한쪽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쪽 영역에는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 슬립기어이는 헬리컬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제2 슬립기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마주보는 상기 제2 슬립기어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글로브박스의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에 상관없이 외력에 대한 충격으로 자동개폐장치의 동력전달 기어나 개폐로드, 개폐링크 등이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글로브박스가 열린상태에서 차량 충돌 등의 돌발 상황으로 인하여 승객이 글로브박스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글로브박스가 파손되지 않고 닫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글로브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의 개략적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를 도시한 개략적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에 도시된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의 개략적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는 글로브박스(10)의 도어(12)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자동개폐장치에 마련되어 도어(12)로부터 과부하가 전달될 경우에만 동력전달 기어가 헛돌아 기어들이나 동력 전달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파손방지 구조물가 적용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는 구동모터(20)의 제1 구동기어(42)와 맞물리도록 케이스(30)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부(40)와, 구동기어부(40)와 맞물리도록 케이스(30)에 축(52) 결합되는 작동기어부(50)와, 작동기어부(50)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기어부(40)는 구동모터(20)의 축에 결합된 웜기어로 이루어진 제1 구동기어(42)와, 제1 구동기어(4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2단으로 형성된 제2 구동기어(44)로 구성된다. 제2 구동기어(44)는 축에 의해 케이스(30)에 결합된다.
작동기어부(50)는 제2 구동기어(44)와 맞물리는 기어들로 구성되어 구동기어부(40)의 구동력을 개폐부(6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작동기어부(50)는 슬립발생수단(70)을 이루는 제1 슬립기어(72) 및 제2 슬립기어(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슬립발생수단(70)과 공유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자동개폐장치의 개폐부(60)는 제2 슬립기어(74)에 맞물리는 피동기어(62)와, 피동기어(62)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재(64)와, 링크부재(64)의 타단과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12)와 결합되는 개폐로드(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개폐부(60)는 전술한 구조에만 국한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단이 제2 슬립기어(74)에 맞물리는 랙기어 또는 나사산이 한쪽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쪽 영역에는 도어와 결합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구조의 자동개폐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모터(20)의 구동력으로 개폐부(60)를 작동시키는 기어군들로 이루어진 구조의 자동개폐장치들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작동기어부(50)에는 도어(12)에서 발생되어 개폐부(60)를 통한 과부하 전달시에 슬립을 일으켜, 과부하가 구동기어부(40)로 전달되지 않고 소멸되도록 하기 위한 슬립발생수단(7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립발생수단(70)은 2단으로 된 제2 구동기어(44)와 맞물리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한쪽 면에는 제1 슬립기어이(72A)가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제1 슬립기어(72)와, 제1 슬립기어이(72A)와 맞물리는 제2 슬립기어이(74A)가 제1 슬립기어(72)와 마주보는 한쪽 면에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개폐부(60)의 피동기어(6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슬립기어(74)와, 도어(12)로부터 발생된 과부하가 개폐부(60)의 피동기어(62)를 통하여 제2 슬림기어(74)에 전달될 때에만 서로 맞물린 제1,2 슬립기어이(72A,74A)들이 슬립을 일으켜 제2 슬립기어(74)만 회전되도록 제2 슬립기어(74)를 제1 슬립기어(72) 쪽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2 슬립기어이(72A,74A)는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탄성부재(76)는 다양한 구조의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탄성부재(76)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케이스(30)의 내벽과 제2 슬립기어(74)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30)의 내벽과 마주보는 제2 슬립기어(74)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되는 설치홈(74B)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다른 부분은 케이스(30)의 내벽에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제2 슬립기어(74)의 다른 쪽 면의 축공(52)에 탄성부재(76)가 삽입되기 위한 설치홈(74B)이 단이지게 형성되어 탄성부재(76)의 일부가 삽입되고, 축(52)은 탄성부재(76)를 관통하여 축공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부재(76)의 일부는 설치홈(74B)에 삽입되고, 타단은 케이스(30)의 내벽에 지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파손방지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글로브박스(10)의 도어(12)를 자동 개폐하도록 된 자동개폐장치의 작동기어부(50)에 슬립발생수단(70)이 마련된 상태에서, 도어(12)의 개방신호가 발생되면, 구동모터(20)가 작동되고, 제1 구동기어(42)가 제2 구동기어(44)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 구동기어(42)는 웜기어로 이루어지므로,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감속된 상태로 2단형 제2 구동기어(44)에 전달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제2 구동기어(44)가 회전되면, 제2 구동기어(44)의 다른 부분과 맞물린 제1 슬립기어(72)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 슬립기어(72)와 맞물린 제2 슬립기어(74)가 회전하게 된다. 이는 탄성부재(76)가 제2 슬립기어(74)를 제1 슬립기어(72) 쪽으로 탄력지지 하여 제1 슬립기어이(72A)와 제2 슬립기어이(74A)가 맞물리도록 하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슬립기어이(72A)와 제2 슬립기어이(74A)의 맞물림은 탄성부재(76)가 제2 슬립기어(74)를 제1 슬립기어(72) 쪽으로 탄력지지 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때, 탄성부재(76)의 탄성력은 구동기어부(40)로부터 작동기어부(50)를 거쳐 개폐부(60)로 전달되는 구동력보다 큰 힘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 슬립기어(72)가 회전할 때, 제1 슬립기어이(72A)와 제2 슬립기어이(74A)가 어긋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구동모터(20)의 구동력은 구동기어부(40)와 슬립발생수단(70)을 포함하는 작동기어부(50)를 통하여 개폐부(60)로 전달되고, 개폐부(60)로 전달된 구동력은 링크부재(64)와 개폐로드(66)를 작동시켜 도어(12)가 개방되도록 한다.
도어(12)가 개방된 상태에서, 돌발적인 동작, 예를 들면 차량의 충돌이나 승객이 무릎으로 도어(12)를 닫힘방향으로 가격하게 되면, 도어(12)에는 닫힘방향으로 과부하가 발생된다.
도어(12)에서 발생된 과부하는, 개폐부재(66)와 링크부재(64) 및 피동기어(62)를 통하여 제2 슬립기어(74)에 전달된다. 그러나, 웜기어로 된 제1 구동기어(42)와 제2 구동기어(44)가 백러쉬 방지를 위하여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구조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탄성부재(76)가 압축되면서 제1 슬립기어이(72A)와 제2 슬립기어이(74A)가 어긋나게 된다.
즉, 제2 구동기어(44)와 맞물린 제1 슬립기어(72)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제2 슬립기어(74)에 과부하에 따른 회전력이 전달되면, 제2 슬립기어(74)를 제1 슬립기어(72) 쪽으로 탄력지지 하는 탄성부재(76)가 압축되고, 따라서, 제1 슬립기어이(72A)와 제2 슬립기어이(74A)는 서로 슬립되면서 제2 슬립기어(74)가 공회전을 하면서 과부하에 따른 회전력을 소멸시키기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과부하에 따른 회전력이 탄성부재(76)의 탄성력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돌발적인 상황으로 도어(12)에 닫힘방향으로 과부하가 발생하여 작동기어부(50)로 전달될 때, 작동기어부(50)에 구비된 슬립발생수단(70)이 과부하를 완충하면서 소멸시킴으로써, 도어(12)의 급격한 닫힘으로 인한 개폐부(60) 및 작동기어부(5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승객이 도어(12)를 닫힘방향으로 가격할 때, 도어(12)가 닫히면서 과부하를 흡수하게 되므로, 승객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12)가 열리거나 열린 상태에서 열린 방향으로 강제 개방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달되는 과부하가 슬립발생수단(70)에 의해 완충되어 소멸되므로, 자동개방장치의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를 도시한 개략적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는, 슬립발생수단(70)이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다.
즉, 제1 슬립기어(72)에 구비된 제1 슬립기어이(72A) 대신에 제1 마찰판(78A)이 구비되고, 제2 슬립기어(74)에 구비된 제2 슬립기어이(74A) 대신에 제2 마찰판(78B)이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제1,2 슬립기어(72,74)가 제1,2 마찰판(78A,78B)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고, 탄성부재(76)의 탄성력보다 더 큰 과부하의 전달시에는 제1,2 마찰판(78A,78B)이 슬립하면서 동력전달을 차단하게 되므로, 도어(12) 쪽에서 전달되는 과부하는 완충되면서 소멸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글로브박스 12 : 도어
20 : 구동모터 30 : 케이스
40 : 구동기어부 42 : 제1 구동기어
44 : 제2 구동기어 50 : 작동기어부
52 : 축 60 : 개폐부
62 : 피동기어 64 : 링크부재
66 : 개폐로드 70 : 슬립발생수단
72 : 제1 슬립기어 72A : 제1 슬립기어이
74 : 제2 슬립기어 74A : 제2 슬립기어이
76 : 탄성부재 78A : 제1 마찰판
78B : 제2 마찰판

Claims (7)

  1. 구동모터의 제1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작동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로 이루어져 글로브박스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부에는, 상기 도어에서 발생되어 상기 개폐부를 통한 과부하 전달시에 슬립을 일으켜, 과부하가 상기 구동기어부로 전달되지 않고 소멸되도록 하기 위한 슬립발생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슬립발생수단은,
    상기 구동기어부를 구성하는 제2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한쪽 면에는 제1 슬립기어이가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제1 슬립기어;
    상기 제1 슬립기어이와 맞물리는 제2 슬립기어이가 상기 제1 슬립기어와 마주보는 한쪽 면에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슬립기어; 및
    상기 도어로부터 발생된 과부하가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전달될 때에만 서로 맞물린 상기 제1,2 슬립기어이들이 슬립을 일으켜 상기 제2 슬립기어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슬립기어를 제1 슬립기어 쪽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2. 구동모터의 제1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부와, 상기 구동기어부와 맞물리도록 케이스에 축 결합되는 작동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로 이루어져 글로브박스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된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부에는, 상기 도어에서 발생되어 상기 개폐부를 통한 과부하 전달시에 슬립을 일으켜, 과부하가 상기 구동기어부로 전달되지 않고 소멸되도록 하기 위한 슬립발생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슬립발생수단은,
    상기 구동기어부를 구성하는 제2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이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한쪽 면에는 제1 마찰판이 마련된 제1 슬립기어;
    상기 제1 마찰판과 밀착되는 제2 마찰판이 상기 제1 슬립기어와 마주보는 한쪽 면에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슬립기어; 및
    상기 도어로부터 발생된 과부하가 상기 개폐부를 통하여 전달될 때에만 서로 맞물린 상기 제1,2 마찰판들이 슬립을 일으켜 상기 제2 슬립기어만 회전되도록 상기 제2 슬립기어를 제1 슬립기어 쪽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슬립기어의 외주면의 기어이에 맞물리는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과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개폐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제2 슬립기어의 외주면의 기어이에 맞물리는 랙기어 또는 나사산이 한쪽 영역에 형성되고, 다른쪽 영역에는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작동로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슬립기어이는 헬리컬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상기 제2 슬립기어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마주보는 상기 제2 슬립기어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KR1020120144110A 2012-12-12 2012-12-12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KR10143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10A KR101431764B1 (ko) 2012-12-12 2012-12-12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10A KR101431764B1 (ko) 2012-12-12 2012-12-12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573A true KR20140080573A (ko) 2014-07-01
KR101431764B1 KR101431764B1 (ko) 2014-08-20

Family

ID=5173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110A KR101431764B1 (ko) 2012-12-12 2012-12-12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284A (zh) * 2016-06-01 2017-12-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弹出电动dvd盘仓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2941B2 (ja) 1998-11-24 2004-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0342502Y1 (ko) * 2003-10-08 2004-02-18 테크맥스주식회사 차량용 모니터 자동 수납 장치
KR101124777B1 (ko) * 2010-07-05 2012-03-23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개폐장치를 구비한 글로브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4284A (zh) * 2016-06-01 2017-12-0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弹出电动dvd盘仓的装置
US9925929B2 (en) 2016-06-01 2018-03-2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ejecting electric dvd de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764B1 (ko)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965B2 (ja) 収納ボックスの開閉機構
EP3069938A1 (en) Seat belt device
JP6144512B2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
CN110785533A (zh) 车辆门闩锁装置
CN110053563B (zh) 储物箱
CN105531174A (zh) 具有至少一个弹簧体和至少一个分离形成的锁定部件的组件
KR20160025919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WO2010144914A2 (en) Power cinching striker
KR101431764B1 (ko) 글로브박스용 자동개폐장치의 파손방지 구조물
KR20170112924A (ko) 도어 구동 시스템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8322074B2 (en) Power unit for power slide apparatus
US11427135B2 (en) Rotating mechanism for display terminal and vehicle
KR101125016B1 (ko) 자동차용 트렁크 자동개폐장치
EP2080856A2 (en) Driving mechanism and door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306297B1 (ko) 자동차용 전동식 글로브박스의 수동 개방장치
KR20220076645A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RU12262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790775B1 (ko) 차량용 모니터 어셈블리
WO2017126321A1 (ja) 減速機および減速機付きモータ
JP2010083474A (ja) 変速レバーの衝撃低減装置
JP4642262B2 (ja) モータ装置
JP4911662B2 (ja) 動力スライド装置用動力ユニット
JP5569342B2 (ja) 車両用ドア駆動装置
JPH03212587A (ja) モータ式アクチュエータ
JP2007022215A (ja) 電動ドア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