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601A - 신경퇴행성 및 허혈성 뇌질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경퇴행성 및 허혈성 뇌질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601A
KR20140078601A KR1020147002552A KR20147002552A KR20140078601A KR 20140078601 A KR20140078601 A KR 20140078601A KR 1020147002552 A KR1020147002552 A KR 1020147002552A KR 20147002552 A KR20147002552 A KR 20147002552A KR 20140078601 A KR20140078601 A KR 20140078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ifn
peptide
seq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978B1 (ko
Inventor
가이셀 펜톤 롤
알렉시 로피즈 아르주아가
자바이얼 마린 프리다
에듀월도 펜톤 아리아스
에프레인 로드리게스 지메네스
알렉시스 무사치오 라사
블라디미르 아르만도 베사다 페레즈
길버토 라자로 파르도 앤드류
루이스 자비얼 곤잘레스 로페즈
낸시 파본 푼테스
제랄도 엔리큐 구일렌 니에토
페드로 안토니오 로페즈 사우라
Original Assignee
센트로 데 인제니에리아 제네티카 와이 바이오테크놀로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트로 데 인제니에리아 제네티카 와이 바이오테크놀로지아 filed Critical 센트로 데 인제니에리아 제네티카 와이 바이오테크놀로지아
Publication of KR2014007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having four such rings, e.g. porphine derivatives, bilirubin, biliver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16Erythropoietin [EP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13IL-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61K38/212IFN-alp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61K38/215IFN-b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5Growth hormone-releasing factor [GH-RF], i.e. somatolibe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lso a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i.e. the entire conjugate being a codrug, i.e. a dimer, oligomer or polymer of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8Tripeptides
    • C07K5/0802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0804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081Tr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O or S as heteroatoms, e.g. Cys, 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10Tetrapeptides
    • C07K5/1002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 C07K5/1005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 C07K5/1008Tetra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neutral and aliphatic the side chain containing 0 or 1 carbon atoms, i.e. Gly, Al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코시아노빌린 (PCB)를 포함하는 펩타이드, 또한 상기 펩타이드 및 PCB의 확인된 신경보호 및/또는 신경재생 효과를 이용하여 이를 의약으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발명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 및 PCB와 단백질들 또는 다른 펩타이드들의 약학적 조합이 상승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신경 퇴행성 및 허혈성 손상을 포함하는 중추 신경계 질병들의 치료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경퇴행성 및 허혈성 뇌질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and ischemic brain diseases}
본 발명은 생명과학, 약물학, 신경생물학, 생명공학 및 의과학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경학 및 내과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허혈성, 염증성 및/또는 신경퇴행성 손상으로부터 진전되거나 또는 유래하는 중추신경계 질환들에 대한 치료법들을 개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직 저산소증을 나타내고 염증성 및 신경퇴행성 특성들을 나타내는 뇌혈관 질환 치료를 위해서, 그 구조 내에 피롤 고리들을 갖는 C-파이코시아닌 (C-Phycocyanin: C-파이코) 유도체 또는 그 부분을 사용하는 사항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생분자들과 함께 상기 화합물이 조합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예방적 및 치료적으로 투여된다.
뇌혈관성, 탈수초성 (demyelinating) 및 신경퇴행성 질환들은 신경과학계에서 새로운 개척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뇌혈관성 사고들 (cerebrovascular accidents: CVA)은 65세 이상의 전세계 인구 중 대략 5%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을 받은 개인들에게는 심각한 물리적 장애를 야기할 수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90% 이상의 사망이 50세 이상의 환자들에게 발생되며, 생존 환자들 중 대략 15% 내지 30%는 몇몇 유형의 후유증을 겪는다 (Buergo-Zuaznabar M A, et al. Revista Electronica de las Ciencias Medicas en Cienfuegos: 2-22; Miranda Q J A. Cerebrovascular Diseases, 2004; 1: 17-21; Rosamond W, et al. Circulation. 2007:169-171).
세계 보건 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데이터에 따르면, 대략 80% 정도의 CVA는 허혈성 유형으로서, 혈전 (thrombus) 또는 색전 (embolus)에 의해서 주뇌 동맥들 중 하나가 급성 폐색됨으로써 발생하고 (World Health Organiz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해당 동맥에 의해서 관개되는 (irrigated) 영역의 관류 (perfusion)를 감소시킨다.
신경보호는 예방적이고 치유적인 치료 전략으로서, 허혈과 같은 CNS 질환들 중에 발생되는 병리적 뉴런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근본적 목표를 갖는다. 신경재생은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MS)과 같은 신경염증성 및 신경퇴행성 질환들에서 발생되는 손상을 회복시키기 위한 근본적 목표를 갖는다.
뇌 허혈의 치료의 주된 목표는: (1) 허혈 구역의 크기를 감소시켜서, 인접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제한하고; (2) 적절한 치료적 윈도우 내의 회복가능한 반음영 구역 (recoverable zone of penumbra)으로 세포 사멸이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Muhammad S H A S. Eur Neurol. 2008; 59:4-14).
신규 신경보호 및/또는 신경재생 치료제 후보물질은 허혈 과정 도중 및 이후에 점진적 뇌 손상으로 이어지는 세포 대사 생화학적 과정들을 차단 및/또는 약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물질들은 뇌 손상 병리 메카니즘 내의 가능한 약물학적 표적들에 대한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커버할 수 있어야 한다 (Ovbiagele B, et al. Curr Treat Options Cardiovasc Med. 2003; 5:441-449).
허혈성 유형의 질환들뿐만 아니라 신경퇴행성 질환들에서 신경보호제 및/또는 신경재생제로서의 효과를 갖는 천연 물질들로부터 추출된 화합물들이 보고된 바 있다. 몇몇 연구들은 천연 및 합성 카나비노이드류 (cannabinoids)가 뇌 허혈증 (Mauler F, el at. J Pharmacol Exp Ther. 2002; 302(1): 359-68; Iadecola C. Curr Opin Neurol. 2001; 14: 89-94; Sinor A D, et al. Neurosci Lett. 2000; 278(3): 157-60), 다발성 경화증 (Baker D, Pryce G, Croxford J L, Brown P, Pertwee RG, et al. Nature. 2000; 404(6773): 84-87), 헌팅턴병 (Lastres-Becker I, et al. Brain Res. 2002; 929(2): 236-42) 및 파킨슨병 (Lange J M, et al. DDT. 2005; 10(10): 693-702)에서, 아미노산 및 염증 매개체들의 방출을 감소 및 차단함으로써, 다른 항산화 메카니즘 및 흥분세포독성 (excitotoxicity) 억제에 의해서 신경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 각 투여에 있어서 카나비노이드류 화합물들의 농도에 의존하는 투여량 의존성에 따른 카나비노이드류와 관련된 중요한 부작용들이, 소비자의 경험 및 소비 시점에 따라서 존재한다.
급성 효과들이 보고된 바 있는데, 이는 상당 부분 카나비노이드류의 항콜린성 (anticholinergic)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서: 구강 건조, 안구 충혈, 시각 흐림, 혈압 감소, 심장 박동 증가, 반응 능력 감소, 인지 감각 증가, 조정능력 상실 및 정신운동 속도의 저하를 포함한다. 만성 효과 또한 보고된 바 있으며, 예를 들어: 암 발생 증가를 수반할 수도 있으며, 폐암의 경우에는 흡연자들의 발병률을 초과하는, 면역 체계 기능장애를 들 수 있다. 급성 심근경색의 위험성 증가, 불임, 간염 환자들에서 간 섬유증 및 간질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 증가는 카나비노이드 소비자들 사이에서 현재까지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카나비스 소비가 환각, 시공간 지각의 왜곡, 또는 이인증 (depersonalization) 및/또는 현실감 소실 (derealization) 현상과 같은 인지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일부 정신적 효과들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외에도, 단기 기억 상실 또는 사고 속도 저하와 같은 인지력 장애, 비가역적 인지력 변화, 기존 정신적 장애의 악화, 정신분열증 위험의 증가뿐만 아니라, 불안증, 정신적 유형의 급성 위기감, 도취감, 과도한 수다증도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약물들에 대한 소비를 유발하는 카나비스 의존증뿐만 아니라, 기분 변화 (우울 및/또는 광증), 사회적 주변성도 언급된 바 있다. 특히, 임신 중 카나비스 소비는 태어난 후손의 청소년기에 인지 및 정신병리학적 변화를 유도할 수도 있다.
C-파이코는 스피룰리나 플란테시스 (Spirulina platensis)와 같은 일부 청녹 조류에서 발견되는 빌리단백질 (biliprotein)이며, 입증된 영양 및 세포보호 특성들을 지니는 바, 세계 각국에서 식이보충제로서 종종 사용된다 (Bockow B I. United States Patent. No. 05709855 (1998); Kay, R.A. Crit. Rev. Food Sci. Nutr.1991; 30: 555-573; Gonzalez De R C, et al. Life Sci.1993; 53: 57-61).
C-파이코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그 항산화적 특성들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C-파이코 자유 라디칼 격리 작용 (C-Phyco free radical sequestrating action)이: (1) 화학-발광, 및 (2) 2-데옥시리보오스 손상의 저해에 대한 분석에 의해서 입증된 바 있다 (Romay C, et al. Inflamm. Res. 1998; 47:36-41; Bhat V B,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0; 275:20-25).
아스코르빅산 + Fe2 + 처리 이후 (Romay C, et al. Inflamm. Res. 1998; 47:36-41) 또는 2,2' 아조비스 2-아미노프로판 하이드로클로라이드 (HAAP)로 처리한 이후에, C-파이코가 쥐 간 마이크로좀의 지방 과산화물의 증가를 현저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증명된 바 있다. HAAP는 자유 라디칼 형성의 저해제이며 (Bhat V B,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0; 275:20-25),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이 지방 과산화 반응에 대한 훌륭한 저해제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반면에, C-파이코는 ONOO-에 의해서 매개되는 DNA에 대한 산화적 손상을 저해함으로써 항종양제로서 기능하며, 종양 번식을 억제한다 (Li B, et al. Biomed Pharmacother. 2005; 59: 551-60). 더욱이, 이러한 천연 화합물이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Hui-Fen Ch, et al.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06; 95: 435-440).
1-3 mg/mL 농도의 C-파이코는, 뇌 입상 세포들 (brain granulous cells)의 배양에 있어서, 칼륨 및 혈청 부존재로 인한 뉴런 사멸을 24시간 동안 방지할 수 있다 (Rimbau V, et al. Naunyn Schmiedebergs Arch Pharmacol. 2001; 364:96-104).
C-파이코 활성은 카이닌산 (kainic acid)에 의해서 유도된 쥐의 뇌 손상 모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Rimbau V, et al. Neuroscience Letters.1999; 276: 75-78). C-파이코를 1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함으로써 징후 및 변이를 감소시켰는데, 이는 미처리된 대조군 동물들 대비 처리된 동물들에서의 감소를 통해서 입증된다.
이에 더해서, C-파이코는 COX-2를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1) 분리된 효소의 분석 및 (2) 완전 혈액 분석 (Reddy C M,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0; 277:599-603)을 통해서 입증되었다.
C-파이코를, 마우스 및 쥐에서 카라지닌 (carragenin) 및 글루코오스 산화제에 의해서 유도된 부어오른 발 모델과 (Romay Ch, et al. Pharm. Pharmacol. 2000; 52: 367-368; Madhyastha HK, et al. J Cell Mol Med. 2008), 아라퀴돈산 (araquidonic acid)에 의해서 유도된 마우스-귀 염증 모델 (Romay Ch, et al. Pharm. Pharmacol. 2000; 52: 367-368)에 있어서, 100-200 mg/kg의 투여량으로 구강 경로에 의해서 투여하는 경우, 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파이코를 사용하여 다른 동물 모델들에 대해서 수행된 주된 연구들을 요약하는 검토 내용도 있다 (Curr Protein Pept Sci. 2003 Jun; 4(3):207-16). 대부분의 실험들에서 치료적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C-파이코를 투여하여야만 했다 (100 mg/kg 내지 300 mg/kg).
파이코시아노빌린 (phycocyanobilin: PCB)은 C-파이코의 발색단 (chromophore)으로서; 화학적 관점에서 보면, 단백질 단편 없이 피롤 고리들이 존재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인터페론 (IFNs)은 초기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가용성 단백질로서 발견되었으며: IFNs 타입 I (IFN 알파 및 베타) 및 타입 II (IFN 감마)로 분류될 수 있다. 비록, IFNs 알파 및 베타가 공통된 복합 수용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몇몇 연구들에 따르면 특정 생물학적 효과들을 유도하는데 있어서 IFN 알파 및 베타의 용량 면에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효과들에는, IFN-특이 유전자의 차별적 유도 (Rani MRS, et al. J Biol Chem 1996, 271: 22878- 22884; Platanias LC, et al. J Biol Chem 1994, 269:17761-17764), 다양한 성장 인자들의 저해 효과 (Rosenblum MG, et al. J Interferon Res 1990, 10: 141-151) 및 적혈구생성 효과 (Means RT, et al. Exp Hematol 1996, 24: 204-208)가 포함된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알파 IFN에 대해서 확인된 생물학적 효과가 베타 IFN에 대해서도 확인되어야 한다거나, 또는 그 역의 경우가 성립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추론할 수 있다.
알파 및 베타 IFNs 사이의 서로 다른 신호전달 현상에 대한 개연성 있는 설명은, 베타 IFN에 특이적인 수용체와 결합하는 인산화단백질의 존재이며, 이는 인산화 타이로신인 것으로 보이고, 알파 IFN (IFNAR1)의 수용체 1과 결합한다 (Croze E, et al. J Biol Chem. 1996: 271: 33165-33168; Platanias LC, et al. J Biol Chem. 1996, 271: 23630-23633).
알파 및 베타 IFN의 작용 메카니즘은 매우 복잡하다. 이러한 두 가지 사이토카인들은 서로 다른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서 작용한다. 후자는 실험적으로 입증되었다. JAK 키나아제 TYK2가 존재하지 않는 UIA 세포들에서 수행된 연구들로부터 (Velazquez L, et al. 1992. Cell 70: 313-322), 이러한 세포들이 알파 IFN에 결합할 수 없고, 또한 반응할 수 없지만, 베타 IFN과는 결합 및 반응이 가능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Pellegrini S, et al. 1989. Mol Cell Biol 9, 4605-4612). 이러한 사실은 알파 IFN에 대한 결합 부위가 TYK2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베타 IFN에 대한 결합 부위들의 경우, 이러한 부위들이 TYK2의 부존재 하에서 형성될 수 있다.
MS에서 알파 IFN으로 수행된 임상 실험들 (CT)의 경우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Gilhus EN, World Neurology 1995, 5: 10-12; Sheridan P (ed), Multiple Sclerosis Research in progress 1993-1994. Clinical Trials. International Federation of Multiple Sclerosis Societies, London, 1995, pp. 3-35; Trials with Alferon, human leukocyte interferon alpha. Clinical Trials Monitor, 1997; 4 (12): 4).
베타 IFN은 미국 식약청 (FDA)에 의해서 MS에 대해 승인된 약물들 중의 하나이지만, 그 효과가 좋지 않고, 약효를 위해서 고용량을 투여하여야 하는 의존성이 있다는 점이 보고된 바 있다 (Zaragoza Garcia F et al. Farm Hospit. 2002; 26:294-301).
이에 더해서, IFN 치료법의 경우, 투여량 및 투여 경로에 따라서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환자들이 각 주사 후 24-48 시간 사이에서 발열, 근육통, 떨림 및 일반적 불편함을 겪을 수도 있다. 환자들 중 5%에서는 주사 부위의 괴사가 발생된다.
한편, 인터루킨 2 (IL-2)의 주된 인 비보 작용들 중 하나는, 흉선 발달 및 조절 T 세포 (Treg) 말초 확장 (cTreg)을 촉진하는 것이다. IL-2 또는 IL-2R 베타 결핍 마우스에서 Treg 활성의 손실은 심각한 항원 의존성 임파선염에 이은 치명적 자가면역성을 야기한다. IL-2 의존성 Treg의 존재는 몇몇 양자 전이 (adoptive transfer) 및 유전적 실험들에 기초한다. 최근에, Treg가 후-허혈성 염증 뇌 손상 (post-ishcemic inflammatory brain damage)의 뇌 보호 조절자로서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이 밝혀진 바 있다 (Liesz A et al. Nat Med 200915, 192-199).
(MS와 같은) 자가면역 질환 및 뇌 허혈증은 Treg의 상대적 결핍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Treg 확장은 이러한 질병들을 개선할 수 있다. IL-2는 인 비보에서 Treg 확장을 야기함으로써, 이러한 치료 양상의 잠재적 임상 적용가능성을 열어준다 (Liu R. Eur J Immunol. 2010; 40:1577-89).
IL-2는 생물학적 반응 변형자로 간주되며, HIV 뿐만 아니라, 흑색종 및 신장 세포 종양과 같은 암 치료법에 사용되어 왔다. IL-2는 고용량으로 투여되는 경우들이 테스트된 바 있는데, 이는 저용량의 경우 원하는 치료적 효과를 달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용량 투여법은 IL-2를 정맥 내 경로를 통해서 매 8시간 간격으로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환자가 견뎌낼 수 있는 경우, 15회까지 투여된다. 이러한 투여 스케줄은 현저한 부작용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부작용은 대부분의 경우 치료를 중단하면 멈추는 가역적인 것들이지만, 일부 부작용들의 경우는 매우 심각해서, 환자들의 입원 치료를 요하고, 때로는 약물을 투여하는 동안 집중적인 간호를 필요로 한다.
특히 관심을 끄는 또 다른 물질은 GHRP-6로 알려진 펩타이드이다 ("Growth Hormone Releasing Peptide-6"). 이러한 펩타이드는, 원래는 창자 메타-엔케팔린 (bowel meta-encephalin)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이는 이후에 인간을 포함하는 다양한 포유류 종들에서 예기치 못한 성장 호르몬 (GH) 분비자극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Bowers CY, et al. Endocrinology. 1984, 114: 1537-45; Pandya N, et al. J Clin Endocrinol Metab. 1998, 83:1186-9). 상기 분자는 다양한 형태의 왜소증을 차별적으로 임상 진단하기 위한 분비자극성 시약으로서 인간에 정맥 내 투여되어 왔다 (Popovic V, et al. Lancet. 2000; 356:1137-42).
GHRP-6는 CNS에서 인슐린형 성장 인자 1 (IGF-1) 발현을 증가시킨다 (Frago L.M, et al. Endocrinology 2002, 143:4113-4122). IGF-1는: (1) 희돌기교세포 (oligodendrocyte) 성숙과 관련된 과정들의 증가 (Wilson H.C, et al. Glia 2003, 44:153-165), (2) TNF-알파 의존성 세포사멸 경로의 차단 및 (3) 주 조직적합성 복합체 (main histocompatibility complex)의 클래스 I 분자의 발현 감소 (Ito T, et al. Am. J. Pathol 2004, 164:623-634)와 같은 특정 과정들에 관여한다.
GH 및 IGF-1 분비 감소가, 노인들에서 더욱 빈번한, 뇌 허혈 과정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Frutos MG, et al.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7, 293:E1140-52).
GH/IGF-1 축의 노화는 GH 생산 및 분비를 자극하는 치료법들을 통해서 회복되어야만 한다. GHRP-6를 사용하여 성체 쥐들을 장기간에 걸쳐 전신적으로 치료하게 되면 시상하부 및 소뇌와 같은 몇몇 뇌 영역들에서 IGF-1 수준이 증가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항-세포사멸 작용과 관련된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는 이러한 영역들에서 활성화된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소듐 글루타메이트 농도는 뉴런 과흥분을 일으킴으로써 세포 손상 및/또는 사멸을 야기할 수 있다. GHRP-6는 카스파아제 7 및 9의 활성화를 감소시킴으로써 글루타메이트에 의해서 유도된 세포 사멸을 역전시킨다 (Delgado-Rubin de Celix A, et al. J Neurochem 2006, 99:839-49).
GH 분비자극성 합성 펩타이드들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여전한 문제점은 이러한 펩타이드들이 하루에도 여러 번씩 주사되어야 하고, 고가이며, 부작용을 나타내고, 아마도 신호전달 경로의 내부 수용체들을 조절한다는 점 (이는 그들의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서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다. GHRP-6 주사와 관련된 부작용들로는: 암, 저혈압, 울혈성 심장병, 미조절 출혈, 카피안 터널 신드롬 (carpian tunnel syndrome), 인슐린 감도 저하, 저혈당증, 여성형 유방, 부종, 어린이 백혈병, 케톤체 생성 및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
에리스로포에틴 (Erythropoietin: EPO)은 많은 숫자의 완전히 다른 뇌 질환들에 대한 심각도 또는 진전도를 결정하는 "최종 공통 경로 (final common cascade)"의 요소들에 비특이적인 방식으로 작용한다. EPO는 항-세포괴사, 항-염증, 항-산화, 신경영양, 신생혈관생성, 및 줄기 세포 조절 효과를 가지며, 따라서 뉴런 가소성 (neural plasticity)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EPO가 신경학적 및 정신적 질환들의 몇몇 동물 모델들에서 인지 기능의 개선뿐만 아니라, 보호 및 재생 특성들을 갖는다는 점들이 보고된 바 있다. "괴팅겐-EPO-뇌졸중 실험 (Gotingen-EPO-stroke trial)"은 인간 급성 뇌 질환들의 신경보호적 치료에서 EPO가 가능성 있음을 보여준 최초의 증거였다. 정신분열 환자들에서 인지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EPO를 처리한 상기 실험은 만성 뇌 질환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한다. 신경계의 염증성 질환에 대한 예로서, 만성 진행성 MS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운동 및 인지 기능들에 대한 EPO 처리 결과가 긍정적이라는 점을 최초로 밝혔다 (Ehrenreich H, et al. (2008) J Ren Nutr. 18:146-53). EPO는 뇌 및 다른 기관들에서 조혈 기능을 가지며, 특히 분화 동안 그러하다. 무시알로EPO (asyaloEPO) 또는 저시알릭산 EPO는 뉴런 배양물에서 뇌 손상의 인 비보 모델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실험들에서 신경영양적 및 신경보호적 제제로 확인된 바 있다. 무시알로EPO가 신경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메카니즘들이 알려져 있다: i) 소듐 글루타메이트 독성의 감소, ii) 항-세포괴사 뉴런 인자들의 유도, iii) 염증의 감소, iv) 질산 유도 손상의 감소 및, v) 직접 항산화 효과. 이러한 증거들은, 무시알로EPO가 성인 및 어린이들에서 다양한 CNS 질환들에 대한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고, 특히 주산기 가사 (perinatal asphyxia)에 대한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S Juul. (2002) Acta Paediatrica 91 s438: 36-42).
허혈성 뇌경색은 뉴런 및 뇌신경 교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병리-생리학적 변화들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말초혈관으로의 특정 단백질 방출로 이어진다. 뉴런 특이적 에놀라아제 단백질, S100B 단백질 및 특정 신경교세포 미소섬유 단백질 (glial fibrillar protein)은 경색 후 인간 뇌 손상의 가능한 마커들이다.
비록 EPO 및 무시알로EPO 단백질들이 뇌 허혈 및 신경퇴행성 질환들에 대한 치료를 위해서 사용되어 왔지만, 그 사용과 관련한 부작용들 역시 보고된 바 있다. EPO 치료 및 헤마토크리트 (hematocrit)의 증가는 고혈압 및 혈전등과 같은 부작용들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인 약물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이는 더 낮은 투여량, 다른 투여 경로들 및 부작용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높은 약물 투여량과 관련된 부작용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CNS 허혈 또는 신경퇴행성 손상 치료법을 위한 더욱 효능 있는 약물들 또는 조합된 분자들을 발견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첨부된 서열목록에 나타난 서열을 가지며, 테트라-피롤 구조를 갖는 발색성 (chromogenic) 펩타이드 (PCB-aa)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최초로, 이러한 화합물들이 조직 허혈 또는 퇴행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특성들을 갖는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들은 허혈 및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색성 (chromogenic) 또는 PCB-aa 펩타이드는 C-파이코의 알파 (α-C-파이코) 및 베타 (β-C-파이코) 사슬들을 효소적으로 소화시킴으로써 얻어진, 그들의 3-6 아미노산 서열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펩타이드들은:
서열번호 1: 79MAABLR84 (β-C-파이코);
서열번호 2: 84BAR86 (α-C-파이코);
서열번호 3: 80AABLR84 (β-C-파이코);
서열번호 4: 82BLR84 (β-C-파이코);
서열번호 5: 81ABLR84 (β-C-파이코)
상기 식에서 B는 파이코시아노빌린 (PCB)에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시스테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들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성은, C-파이코에 있어서, 발색성 펩타이드들 및 PCB의 신경보호 및 신경재생 효과보다도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점을 보이는데 있으며, 이는 소듐 글루타메이트에 의해서 유도되는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바, 상기 손상의 메카니즘은 뇌허혈증과 유사하고, 세포주 PC12에서 및 뇌허혈증 및 MS를 보유한 동물 모델들에서의 메카니즘과 유사한 것이다.
PCB-aa 및 PCB 펩타이드들은 PCB-aa의 경우 25배 더 낮은 몰농도, 또한 PCB의 경우 10배 더 낮은 농도에서 보호 효과를 나타낸 반면에 (2 μM의 PCB-aa 및 5 μM의 PCB가 손상된 세포들 중 100%를 보호), 대략 75% 정도의 세포들을 보호하는데 50 μM의 C-파이코가 필요하였다.
부가적으로, 특정 실시예를 통해서, 동물들을 PCB-aa 및 PCB로 처리한 경우에, 몽고 게르빌루스쥐 (Mongolian Gerbils)에서 뇌 허혈성 재관류 모델 I/R (brain ischemia reperfusion model I/R) 중 경색 부피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과는 PCB (43,1%)에 비해서 PCB-aa (49,2%)의 경우 더 높은 효율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즉 PCB-aa로 명명되는 펩타이드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PCB를 허혈증 또는 조직 퇴행증 치료에 유용한 약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허혈성, 염증성 또는 신경퇴행성의 손상 CNS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허혈증 또는 조직 퇴행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및 PC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증 또는 조직 퇴행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허혈증 또는 조직 퇴행증이 허혈성, 염증성 또는 신경퇴행성 손상과 함께 진전되는 CNS 질병들을 야기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제1 성분으로서,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및 PC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2 성분으로서, 알파 (타입 IFN-α) 및 베타 (IFN-β) 인터페론을 포함하는 타입 I 인터페론, 인터루킨-2 (IL-2), 에리스로포에틴 (EPO), 무시알로EPO 및 인간 GH의 분비자극성 펩타이드 (GHRP-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활성 성분들의 상승 효과는, 그들의 신경보호성 및/또는 신경재생성 특성들을 참조하면, 이들을 다양한 기원들을 갖는 뇌 허혈증 및 MS, 알츠하이머 질환, 루게릭병 (lateral amyotrophic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 실조증 (spinal-cerebellar ataxia),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및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해서 사용하는 것을 정당화한다.
비록 알파 및 베타 IFN들이 타입 I IFN들이며, 공통의 복합체 수용체를 사용하지만, 몇몇 연구들에 의하면, 알파 및 베타 IFN들이 특정 생물학적 효과들을 야기함에 있어서 특성 차이를 나타낸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PCB-aa/IFN-a 및 PCB/IFN-a 조합들에 대한 평가를,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experimental autoinmune encephalomyelitis; EAE) 모델 중 예방적 스케줄에서 수행하였으며, 질병 진전의 예방 면에서, 각각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에 비해서 상기 언급한 조합들에서 상승 효과가 나타났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PCB-aa 및 PCB와 IFN-a 및 IFN-b 조합을 그들 각각의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는 바, 3,375 mg/Kg 투여량의 PCB-aa, 750 ㎍/Kg 투여량의 PCB 및 500 ng/Kg 투여량의 2가지 IFNs에 대해서 평가한 결과, IFN-a와 PCB 및 PCB-aa의 조합에 대해서 각각 83,3% 및 89,3%; IFN-b와 PCB 및 PCB-aa의 조합에 대해서 각각 87,0% 및 93,6%의 뇌경색 부피의 감소 면에서의 상대적 효율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몽고 게르빌루스쥐에서 뇌 I/R 모델 중에서 각각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보다 더 높은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PCB-aa/IFN-b 및 PCB/IFN-b 조합들을 평가하였으며, 일일 투여량으로 3,375 mg/Kg의 PCB-aa/Kg, 750 ㎍/Kg의 PCB 및 6회 복용량의 500 ng/Kg의 IFN-b를 투여하였다. 결과들은 EAE 모델 중, 임상적 징후들의 감소에 있어서 각각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의 수치보다 더 큰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EAE 동물 모델에서의 치료적 효과 역시 검증되었다.
다른 실시예들은 EAE 모델 중에서, 다른 경로를 통해서 투여된 (복강, 비강, 구강 및 직장) 약학적 조성물로서 PCB-aa/IFN-b 및 PCB/IFN-b의 조합들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며, 임상적 징후들 면에서 유사한 약학적 효과가 나타났다. 전술한 약학 조성물의 일부를 구성하는 화합물들은 동일한 환자 내에서 단일 치료 과정 동안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된 약학 조성물들은 비구강, 비강 또는 직장 투여용일 수 있으며; 이러한 투여 경로를 위해서 적당한 부형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PCB-aa, PCB 및 IL-2의 뇌 허혈증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PCB-aa/IL-2 및 PCB/IL-2의 조합은 활성 성분들 독립적일 때에 비해서, 몽고 게르빌루스쥐의 뇌 허혈증 모델에서 뇌 경색 부피의 감소 면에서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PCB-aa에 대해서 49,2% 효율성, PCB에 대해서 43,1% 효율성, IL-2에 대해서 25,8% 효율성, PCB-aa/IL-2 조합에 대해서 84,3% 효율성 및 PCB/IL-2에 대해서 74,5% 효율성).
다른 한편으로, PCB/GHRP-6 조합 및 독립적인 활성 성분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는 바, 몽고 게르빌루스쥐 뇌 I/R 동물 모델 중에서 이들을 복강내 투여함으로써 수행하였다. 형태측정 (morphometric) 관점에서 볼 때, 조합의 경우 상승 효과가 관찰되었는 바, PCB에 대해서 35.8% 및 GHRP-6에 대해서 36.1%인 경우에 비해서 85%의 효율성이 관찰되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신규성은 PCB-aa/EPO 및 PCB-aa/무시알로EPO의 조합들에 있어서, 개별적인 성분들에 비해서 관찰되는 경색 부피 감소 면에서의 상승 효과이다 (PCB-aa에 대해서 49,2% 효율성, EPO에 대해서 36,9% 효율성, 무시알로EPO에 대해서 39.4% 효율성, PCB/EPO 조합에 대해서 87,7% 효율성, PCB/무시알로EPO 조합에 대해서 90.5% 효율성, PCB-aa/EPO 조합에 대해서 91,7% 효율성 및 PCB-aa/무시알로EPO 조합에 대해서 94,5%의 효율성). 전술한 내용은 허혈성 손상을 진전시키거나, 또는 그 결과물인 CNS 질병들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상기 조합들을 사용하는 것을 정당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적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의료적 치료 과정 도중에 동일한 환자에게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 성분으로서,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및 PC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2 성분으로서, 알파 (타입 IFN-α) 및 베타 (IFN-β) 인터페론을 포함하는 타입 I 인터페론, 인터루킨-2 (IL-2), 에리스로포에틴 (EPO), 무시알로EPO 및 인간 GH의 분비자극성 펩타이드 (GHRP-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허혈성, 염증성 또는 신경퇴행성 기원의 CNS 질환들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상기 의약은 급성 또는 만성 질병들의 결과로서 손상된 뇌 유조직 (brain parenchyma)을 보호한다.
본 발명은 또한 허혈성, 염증성 또는 신경퇴행성 기원의 CNS 질환들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성분으로서,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및 PC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2 성분으로서, 알파 (타입 IFN-α) 및 베타 (IFN-β) 인터페론을 포함하는 타입 I 인터페론, 인터루킨-2 (IL-2), 에리스로포에틴 (EPO), 무시알로EPO 및 인간 GH의 분비자극성 펩타이드 (GHRP-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의료 치료 과정에서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동일한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다양한 기원들을 갖는 뇌 허혈증, MS, 알츠하이머 질환, 루게릭병 (lateral amyotrophic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 실조증 (spinal-cerebellar ataxia),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및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에 적용된다.
도 1은 메탄올 처리 (A)에 의해서 얻어진 PCB 및 트립신 소화에 의해서 얻어진 발색성 펩타이드들 (총칭하여 PCB-aa) 중 서열번호 1 (B); 서열번호 2 (C); 서열번호 3-5 (D)에 대한 질량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신경 세포주 PC12에서 소듐 글루타메이트 (50 mM)에 의해서 유도된 손상에 대해서, C-파이코시아닌 (C-파이코) (A) 및 PCB 및 PCB-aa (B)가 갖는 신경보호 효과에 대한 인 비트로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들은 배양 배지 중에서 각 화합물들의 존재 (+), 부존재 (-) 또는 농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문자들은, ANOVA, 이어서 뉴먼-케울스 다중 비교 테스트 (Newman-Keuls multiple comparison test)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들을 나타낸다, p<0.05. 그래프에 도시된 수치들은 평균 ± 상기 평균의 표준 오차 (MSE)를 의미한다.
도 3은 몽고 게르빌루스 쥐 총경동맥 (common carotid arteries, CCA)을 일시적으로 폐쇄 (transient occlusion)하고 (10분),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PCB-aa (펩타이드 1 내지 5)가 뇌 경색 부피에 대해서 미치는 치료적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문자들은, ANOVA, 이어서 뉴먼-케울스 다중 비교 테스트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들을 나타낸다, p<0.05. 그래프에 도시된 수치들은 평균 ± MSE를 의미한다.
도 4는 몽고 게르빌루스 쥐 총경동맥을 일시적으로 폐쇄하고 (10분),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PCB, PCB-aa (펩타이드 1), lFN-a 및 IFN-b 및 PCB/IFN-a, PCB/IFN-b, PCB-aa/IFN-a 및 PCB-aa/IFN-b 조합들이 뇌 경색 부피에 대해서 미치는 치료적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문자들은, I/R + 식염수 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들을 나타낸다, p<0.05. 그래프에 도시된 수치들은 평균 ± MSE를 의미한다.
도 5는 C57BL6 마우스에서 EAE의 임상적 과정에 대한 PCB-aa (펩타이드 1)/IFN-b, PCB/IFN-b 조합들 및 그들의 개별적인 성분들의 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수치들은 각 군의 임상적 지수의 평균을 의미한다.
도 6은 다른 경로들에 의해서 투여된 PCB-aa (펩타이드 1)/IFN-b 조합의 효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병든 EAE C57BL6 마우스의 임상적 지수에 대한 복강, 비강, 구강 및 직장 투여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수치들은 각 군의 임상적 지수의 평균들을 의미한다.
도 7은 몽고 게르빌루스 쥐 총경동맥을 일시적으로 폐쇄하고 (10분),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PCB, PCB-aa (펩타이드 2), IL-2, 또는 PCB/IL-2 및 PCB-aa (펩타이드 2)/IL-2 조합들이 뇌 경색 부피에 대해서 미치는 치료적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문자들은, I/R + 식염수 군에 비해서, 유의미한 차이들을 나타낸다, p<0.05. 그래프에 도시된 수치들은 평균 ± MSE를 의미한다.
도 8은 쥐 총경동맥을 일시적으로 폐쇄한 (10분) 몽고 게르빌루스 쥐에서 PCB-aa (펩타이드 3), GHRP-6 펩타이드, 또는 그 조합의 치료적 효과를 형태측정 평가한 것으로서, A: 허혈 유발 이후에, 거짓 시술 (가짜)을 받거나, 30분, 3, 6 및 12시간 동안 식염수 용액으로 처리되거나, PCB-aa (펩타이드 3) 및 GHRP-6 (6,25 ㎍/kg, 복강내 경로)로 처리되거나, 또는 PCB-aa (펩타이드 3)/GHRP-6로 처리된 (대응 투여량 및 투여 경로는 유지) 동물들의 왼쪽 해마에 대한 대표 이미지들 (4x 확대)이고, B: 각 실험군에 대해서 양쪽 해마들의 C2, CA3 및 CA4 영역들에서 수행된 양방향 세포 계수 (bilateral cell count)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다른 문자들은, I/R + 식염수 군에 비해서, 유의미한 차이들을 나타낸다, *p<0.05. 그래프에 도시된 수치들은 평균 ± MSE를 의미한다.
도 9는 몽고 게르빌루스 쥐 총경동맥을 일시적으로 폐쇄하고 (10분), 2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PCB, PCB-aa (펩타이드 4), EPO, 무시알로EPO, 또는 그들 각각의 조합, PCB/EPO, PCB/무시알로EPO, PCB-aa (펩타이드 4)/EPO 및 PCB-aa (펩타이드 5)/무시알로EPO가 뇌 경색 부피에 미치는 치료적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문자들은, I/R + 식염수 군에 비해서, 유의미한 차이들을 나타낸다, p<0.05. 그래프에 도시된 수치들은 평균 ± MSE를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탄올 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파이코시아노빌린 (PCB) 및 발색성 펩타이드들 (PCB-aa)의 질량 스펙트럼
도 1A는 C-파이토 메탄올 추출물의 분별한외여과 (differential ultrafiltration)에 의해서 얻어진, 발색단 PCB에 해당하는 m/z 신호 587.26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 C 및 D는 C-파이코의 트립신 소화에 의해서 얻어진 PCB-aa의 질량 스펙트럼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2. PC12 세포주에서 소듐 글루타메이트에 의해서 유도된 손상에 대해서 C-파이코, PCB 및 PCB-aa가 갖는 신경보호 효과
PC12 세포들 (1,5x104 세포들/웰)을 24시간 동안 C-Phyco (25, 50 μM), PCB (0.5; 1; 5 μM) 또는 PCB-aa (0.25; 1; 2 μM)로 사전처리한 다음, 대응되는 산물 (다른 투여량)과 함께 50 μM 소듐 글루타메이트로 4시간 동안 공동배양하였다. 세포 생존도는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방법 (MTT)에 의해서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C-파이코의 세포 생존도와 유사한 세포 생존도를 얻기 위해서는 더 낮은 농도의 PCB 및 PCB-aa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PCB 및 C-파이코와 유사한 효과를 달성한 PCB-aa (펩타이드 1) 농도들은 상기 화합물들에 비해서 더 낮았다.
실시예 3. 몽고 게르빌루스 쥐 I/R 모델 중에서, 경색 부피 감소에 의해서 측정한 PCB-aa 펩타이드들의 신경보호 및/또는 신경재생 특성
허혈성 사건 후 30분, 3시간, 6시간 및 12시간 경과한 시점에, 동물들을 식염수 용액 또는 PCB-aa 펩타이드들의 축적량 (매회 3.375 mg/kg)으로 복강내 투여에 의해서 처리하였다.
매 처리 당 유효 백분율은 하기 식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유효 % = (1 - Vi / VI/R) x 100. Vi: 대응되는 산물로 처리한 허혈군의 경색 부피; VI/R: 식염수 용액으로 처리한 허혈군의 경색 부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구성되는 발색성 펩타이드들 (PCB-aa)로 처리된 동물들은 식염수 용액으로 처리된 허혈군에 비해서 경색 부피 면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4. 게르빌루스 쥐의 양방향 허혈-재관류 모델에서 PCB/ IFN-a, PCB-aa (펩타이드 1)/ IFN-a, PCB/IFN-b 및 PCB-aa (펩타이드 1)/IFN-b 조합의 효과
허혈성 사건 후 30분, 3시간, 6시간 및 12시간 경과한 시점에, 도 4에 도시된 투여량에 따라서, 동물들을 식염수 (복강내 투여) 또는 개별적인 화합물들로서 소정 투여량의 PCB (750 ㎍/Kg, 복강내 투여), 또는 PCB-aa (펩타이드 1) (3.375 mg/kg), IFN-a 및 IFN-b (500 ng/Kg, 피하 투여) 또는 PCB/IFN-a, PCB/IFN-b, PCB-aa (펩타이드 1)/IFN-a 및 PCB-aa (펩타이드 1)/IFN-b의 조합으로 처리하였다. 유효 백분율은 실시예 3에 서술된 바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각 군별로 뇌 경색 부피 감소는, 평가된 처리들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하며 (도 4), PCB로 처리된 군에서의 경색 지수 감소는 43.1%; PCB-aa (펩타이드 1)의 경우 49.2%; IFN-a의 경우 35,4%; IFN-b의 경우 37.0%; PCB/IFN-a의 경우 83.3%; PCB-aa (펩타이드 1)/IFN-a의 경우 89.3%; PCB/IFN-b의 경우 87.0%; PCB-aa (펩타이드 1)/IFN-b의 경우 93.6%의 효율로 나타났고; 이는 조합으로 처리된 동물들에서 두 가지 활성 성분들의 상승 효과가 나타남을 반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5. EAE 모델에서의 임상적 징후들을 참조한,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과 비교하였을 때 PCB/ IFN-a 및 PCB-aa (펩타이드 1)/IFN-a 조합들의 약학적 효과
반면에, PCB/ IFN-a 및 PCB-aa (펩타이드 1)/IFN-a 조합들의 평가를, EAE 모델 (표 1) 중에서 예방적 스케줄로 수행하였으며 (표 1), 그 결과, 상기 조성물들이 전술한 투여량에서, 질병들의 진전 예방 면에서 상승적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EAE 모델 (표 1) 중에서 예방적 스케줄로 수행하였을 때, PCB-aa (펩타이드 1)/IFN-a 및 PCB/ IFN-a 조합들 및 그들의 개별적 활성 성분들의 평가
발병 (%) 개시일
(평균±표준편차)
임상적 지수
임상 점수
(평균 ± 표준편차)
질병 일수
대조군 0 0 0 0
PCB-aa (펩타이드 1)
(3.375 mg/Kg)
75 9.5±0.2 1.23±1.1 7.2±0.3
PCB
(750 ㎍/Kg)
70 10.5±0.5 1.37±1.7 8.5±0.1
IFN-a
(500 ng/Kg)
60 10.7±0.3 1.5±1.6 7.3±0.7
PCB-aa (펩타이드 1) (3.375 mg/Kg) + IFN-a (500 ng/Kg) 0 0 0 0
PCB-aa (펩타이드 1) (0.9 mg/Kg) + IFN-a (5000 ng/Kg) 12 11.3±0.2 0.5±0.1 4.5±0.5
PCB (750 ㎍/Kg)
+ IFN-a (500 ng/Kg)
10 12.4±0.2 0.9±0.1 5.4±0.6
PCB (300 ㎍/Kg)
+ IFN-a (5000 ng/Kg)
15 12.8±0.3 1.12±0.5 6.6±0.2
EAE 100 10.2±0.7 2.7±0.4 15.2±1.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B/IFN-a 및 PCB-aa (펩타이드 1)/IFN-a를 다른 투여량들로 조합하였을 때, EAE가 진전되도록 유도된 동물들의 각각 85% 및 100%의 보호 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6. EAE 모델에서의 임상적 징후들을 참조한,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과 비교하였을 때 PCB/IFN-b 및 PCB-aa (펩타이드 1)/IFN-b 조합들의 약학적 효과
C57BL6 마우스에서의 임상적 징후들의 감소와 관련해서, 예방적 (표 2) 및 치료적 스케줄 (도 5) 하에서, PCB/IFN-b 및 PCB-aa (펩타이드 1)/IFN-b 조합들의 약학적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하기 개별적 화합물들을 사용하였다: PCB (750 ㎍/kg, 복강내 경로), PCB-aa (3.375 mg/kg, 복강내 경로)는 15일 동안 매일 투여하였고, IFN-b (500 ng/Kg, 피하 경로)는 일주일에 세 번 6회 투여량으로 투여하였으며, 이들의 조합들 역시 표 2에 나타낸 투여량에 따라서 사용하였다.
각 처리의 유효 백분율은 하기 식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유효 백분율 (%) = (1 - ACi / ACEAE) x 100. ACi: 대응되는 산물로 처리된 군의 곡선 하 영역; ACEAE: EAE 군의 곡선 하 영역.
예방적 스케줄에서는, EAE가 유도되기 15일 전에 처리를 수행하였으며, 치료적 스케줄에서는 임상적 징후가 개시된 때로부터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어떠한 치료도 받지 않은 건강한 동물들에 해당된다.
표 2는 예방적 스케줄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나타낸 것으로서, PCB/IFN-b 및 PCB-aa (펩타이드 1)/IFN-b 조합들은 각각 90% 내지 100%의 동물들을 보호하였다. 그러므로,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에 비해서 상승 효과가 관찰됨을 알 수 있다.
EAE 예방 모델 중, PCB-aa (펩타이드 1)/IFN-b 및 PCB/IFN-b, 및 그들의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의 평가
발병 (%) 개시일
(평균 ±표준편차)
임상적 지수
임상 점수
(평균 ± 표준편차)
질병 일수
대조군 0 0 0 0
PCB-aa (펩타이드 1)
(3,375 mg/Kg)
70 9.5±0.2 1.23±1.1 7.2±0.3
PCB
(750 ㎍/Kg)
60 12.3±0.1 1.55±0.3 7.3±0.4
IFN-b
(500 ng/Kg)
70 12.6±0.5 1.4±0.2 7.1±0.3
PCB-aa(펩타이드 1) (3.375 mg/Kg) + IFN-b (500 ng/Kg) 0 0 0 0
PCB-aa (펩타이드 1) (0.9 mg/Kg) + IFN-a (5000 ng/Kg) 10 12.1±0.1 0.4±0.1 4.2±0.2
PCB (750 ㎍/Kg)
+ IFN-b (500 ng/Kg)
5 12.5±0.1 1.1±0.1 4.4±0.3
PCB (300 ㎍/Kg)
+ IFN-b (5000 ng/Kg)
10 12.5±0.2 1.21±0.4 6.2±0.1
EAE 100 10.1±0.3 2.3±0.6 1.2±1.1
도 5는 PCB (750 ㎍/kg, 복강내 경로), PCB-aa (3.375 mg/kg, 복강내 경로), IFN-b (500 ng/Kg, 피하 경로)의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로부터 얻어진 감소치보다 더 큰 임상적 징후들의 감소를 도시한 것이며, 치료적 스케줄에서도, EAE 모델에서 PCB (750 ㎍/kg) / IFN-b (500 ng/Kg) 또는 PCB-aa (3.375 mg/kg) / IFN-b (500 ng/Kg) 조합들로 처리된 군에서 상승 효과가 나타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PCB/IFN-b 조합에 대해서 87.7%; PCB-aa/IFN-b 조합에 대해서 94.5%; PCB에 대해서 46.1%; PCB-aa에 대해서 53.9% 및 IFN 베타에 대해서 34.8%의 효율로 나타났다.
실시예 7. EAE 모델에서 다른 경로들에 의한 PCB-aa (펩타이드 1)/ IFNb 조합의 치료적 효과
EAE 군의 동물들에 대해서 복강내 경로에 의해서 식염수 용액을 매일 투여하였다. PCB-aa (펩타이드 1)/IFN-b (PCB-aa 3.375 mg/kg + 500 ng의 IFN-b/Kg) 조합으로 처리된 마우스들을 투여 경로에 따라서 다른 군들로 나누었다: 복강내, 구강, 비강 및 직장. 치료적 스케줄을 면역화 후 9일부터 24일까지, 15일 연속 준수하였다. 대조군은 어떠한 치료도 받지 않은 건강한 마우스에 해당된다. 임상적 평가는 면역화 후 27일째 수행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가된 다른 투여 경로들 (복강내, 비강, 구강 및 직장)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점들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며, 이러한 사실은 상기 경로들이 동일한 효율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8. 게르빌루스 쥐의 양방향 I/R 모델에서 PCB/IL-2 및 PCB-aa (펩타이드 2)/IL-2 조합의 신경보호 및/또는 신경재생 효과
동물들을 식염수 (복강내 경로) 또는, 허혈성 사건 이후 30분, 3, 6 및 12시간 동안 PCB (750 ㎍/Kg, 복강내 경로), PCB-aa (펩타이드 2) (3.375 mg/kg), IL-2 (100 ng/Kg, 피하 경로) 또는 PCB/IL-2 및 PCB-aa (펩타이드 2)/IL-2로 축적 투여량으로 처리하였다 (대응되는 투여량 및 투여 경로 유지). 도 7을 참조하면, 군 별로 경색 부피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다.
각 처리의 유효 백분율을 실시예 3에 서술된 바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이는 PCB에 대해서 43.1%; PCB-aa (peptide 2)에 대해서 49.2%; IL-2에 대해서 25.8% for IL-2; PCB/IL-2 조합에 대해서 74.5%; 및 PCB-aa (peptide 2)/IL-2)에 대해서 84.3%였으며, 이는 상기 조합으로 처리된 동물들에서 양 활성 성분들 사이에 상승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실시예 9. 게르빌루스 쥐의 양방향 I/R 모델에서 PCB/GHRP-6 조합 및 그 개별적 활성 성분들의 치료적 효과
PCB-aa (펩타이드 3), GHRP-6 펩타이드 또는 그 조합들의 치료적 처리에 대한 형태측정 평가를, 일시적 (10 분)으로 총경동맥이 폐색된 몽고 게르빌루스 쥐에서 수행하였다. 허혈성 사건 이후 30분, 3, 6 및 12시간 동안 PCB-aa (펩타이드 3) (750 ㎍/Kg, 복강내 경로), GHRP-6 (6,25 ㎍/kg, 복강내 경로), 또는 PCB-aa (펩타이드 3)/GHRP-6로 축적 투여량으로 처리한 다음 평가하였다 (대응되는 투여량 및 투여 경로 유지). 양방향 세포 계수를 각 실험군에 대해서 C2, CA3 및 CA4 영역들에서 수행하였으며, 가짜 (sham) (음성 또는 가짜 수술)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결과로부터, I/R 군의 동물들에서, 상기 세포주의 거의 완전한 소멸이 있었으며, 이는 실제적으로 모든 해마 영역들을 포함한다 (CA2, CA3, CA4).
개별적인 활성 성분들의 효율, 즉 PCB-aa (펩타이드 3)에 대해서 35.8% 및 GHRP-6에 대해서 36.1%와 비교할 때, PCB-aa (펩타이드 3)/GHRP-6 조합에서 상승 효과가 관찰되었다 (85% 효율).
실시예 10. 게르빌루스 쥐의 양방향 I/R 모델에서 PCB/EPO, PCB-aa (펩타이드 4)/EPO, PCB/무시알로EPO 및 PCB-aa (펩타이드 5)/무시알로EPO 조합 및 그 개별적 활성 성분들의 치료적 효과
동물들을 식염수 (복강내 경로) 또는, 허혈성 사건 이후 30분, 3, 6 및 12시간 동안 PCB (750 ㎍/Kg, 복강내 경로), PCB-aa (펩타이드 4) 3.375 mg/kg, EPO (500 U/Kg, 복강내 경로), 무시알로EPO (200 U/Kg, 비강 경로), 또는 PCB/EPO, PCB-aa (펩타이드 4)/EPO, PCB/무시알로EPO 및 PCB-aa (펩타이드 5)/무시알로EPO로 축적 투여량으로 처리하였다 (대응되는 투여량 및 투여 경로 유지).
상기 조합들 및 그 개별적인 성분들의 치료적 효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처리에 대한 유효 백분율을 실시예 3에 서술된 바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각 군 당 뇌 경색 부피의 감소를 관찰하였으며, 이로부터 평가된 처리들의 효율성을 입증할 수 있었는 바 (도 9), PCB로 처리된 군에서의 경색 부피 감소는 43.1% 효율; PCB-aa (펩타이드 4)의 경우 49.2%; EPO의 경우 36.9%; 무시알로EPO의 경우 39.4%였으며; PCB/EPO (87.7% 효율), PCB/무시알로EPO (90.5% 효율), PCB-aa (펩타이드 4)/EPO (91.7%) 및 PCB-aa (펩타이드 5)/무시알로EPO (94.5%)로 처리된 군들에서는 더욱 컸는 바, 조합들에서 활성 성분들의 상승 효과를 알 수 있다.
<110> Centro de Ingenieria Genetica y Biotecnologia <120> PHARMACEUTICAL COMPOUNDS AND COMBINATIONS FOR ISCHEMIC AND NEURODEGENERATIVE BRAIN DISEASE TREATMENT <130> Ischemia <150> CU 2011-146 <151> 2011-07-01 <160> 5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6 <212> PRT <213> Spirulina platensis <220> <221> PEPTIDE <222> (4) <223> Cysteine residue covalently attached to phycocyanobilin by a thioether linkage <400> 1 Met Ala Ala Cys Leu Arg 1 5 <210> 2 <211> 3 <212> PRT <213> Spirulina platensis <220> <221> PEPTIDE <222> (1) <223> Cysteine residue covalently attached to phycocyanobilin by a thioether linkage <400> 2 Cys Ala Arg 1 <210> 3 <211> 5 <212> PRT <213> Spirulina platensis <220> <221> PEPTIDE <222> (3) <223> Cysteine residue covalently attached to phycocyanobilin by a thioether linkage <400> 3 Ala Ala Cys Leu Arg 1 5 <210> 4 <211> 3 <212> PRT <213> Spirulina platensis <220> <221> PEPTIDE <222> (1) <223> Cysteine residue covalently attached to phycocyanobilin by a thioether linkage <400> 4 Cys Leu Arg 1 <210> 5 <211> 4 <212> PRT <213> Spirulina platensis <220> <221> PEPTIDE <222> (2) <223> Cysteine residue covalently attached to phycocyanobilin by a thioether linkage <400> 5 Ala Cys Leu Arg 1

Claims (16)

  1. 파이코시아노빌린 구조를 갖는, 3 내지 6개의 아미노산 서열의 발색성 펩타이드로서 (PCB-aa),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서열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발색성 펩타이드.
  2. 제1항에 따른 발색성 펩타이드 (PCB-aa) 중 적어도 하나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들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발색성 펩타이드 (PCB-aa) 0.9 내지 3.375 mg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들을 포함하고, 허혈성 및 신경퇴행성 질병들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제1항에 따른 펩타이드 및 파이코시아노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허혈증 및 뇌 퇴행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합물.
  5. 허혈성, 염증성 또는 신경퇴행성 손상에 따라서 진전되는 중추신경계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제4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6. 제4항에 따른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증 또는 조직 퇴행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증 또는 조직 퇴행증은 허혈성, 염증성 또는 신경퇴행성 손상에 따라서 진전되는 중추신경계 질환들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상승 효과를 갖는 성분들로서, 제1 성분으로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및 파이코시아노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4항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2 성분으로서, 타입 I 인터페론, 인터루킨-2 (IL-2), 에리스로포에틴 (EPO), 무시알로EPO 및 인간 성장 호르몬의 분비자극성 펩타이드 (GHRP-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이 인터페론 알파 또는 인터페론 베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중 어느 하나를 0.9 내지 3.375 mg/Kg 중량으로, 상기 파이코시아노빌린을 300 내지 750 ㎍/Kg 중량으로, 또한 상기 알파 또는 베타 인터페론을 500 내지 5000 ng/Kg 중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1. 제1 성분으로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및 파이코시아노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2 성분으로서, 알파 인터페론 (IFN-a) 및 베타 인터페론 (IFN-b)을 포함하는 타입 I 인터페론; 인터루킨-2 (IL-2); 에리스로포에틴 (EPO), 무시알로EPO 및 인간 성장 호르몬의 분비자극성 펩타이드 (GHRP-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허혈성, 염증성 또는 신경퇴행성 기원의 CNS 질환들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의약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은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의 결과로서 손상된 뇌 유조직 (brain parenchyma)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NS 질환들은 다양한 기원의 뇌 허혈증,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알츠하이머 질환 및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4. 허혈성, 염증성 또는 신경퇴행성 기원의 CNS 질환들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성분으로서,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들 및 파이코시아노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고, 제2 성분으로서, 인터페론 알파 (타입 IFN-a) 및 인터페론 베타 (IFN-b)를 포함하는 타입 I 인터페론; 인터루킨-2 (IL-2); 에리스로포에틴 (EPO), 무시알로EPO 및 인간 성장 호르몬의 분비자극성 펩타이드 (GHRP-6)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의 결과로서 손상된 뇌 유조직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을, 다양한 기원들을 갖는 뇌 허혈증, 다발성 경화증, 알츠하이머 질환, 루게릭병 (lateral amyotrophic sclerosis), 척수-소뇌성 운동 실조증 (spinal-cerebellar ataxia), 헌팅턴병 (Huntington's disease) 및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을 포함하는 CNS 질환의 의료 치료 과정에서 동일한 환자에게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7002552A 2011-07-01 2012-06-29 신경퇴행성 및 허혈성 뇌질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87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U2011000146A CU23963B1 (es) 2011-07-01 2011-07-01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a partir de derivados de la c-ficocianina y combinaciones con interferones del tipo i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cerebrales isquémicas y neurodegenerativas
CU2011/0146 2011-07-01
PCT/CU2012/000003 WO2013004203A1 (es) 2011-07-01 2012-06-29 Compuestos y combinaciones farmacéutica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cerebrales isquemicas y neurodegenerativ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601A true KR20140078601A (ko) 2014-06-25
KR101987978B1 KR101987978B1 (ko) 2019-06-11

Family

ID=4661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552A KR101987978B1 (ko) 2011-07-01 2012-06-29 신경퇴행성 및 허혈성 뇌질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9518085B2 (ko)
EP (1) EP2733149B9 (ko)
JP (1) JP6023803B2 (ko)
KR (1) KR101987978B1 (ko)
CN (1) CN103649106B (ko)
AR (1) AR087034A1 (ko)
AU (1) AU2012280776B2 (ko)
BR (1) BR112013033970B1 (ko)
CA (1) CA2838496C (ko)
CU (1) CU23963B1 (ko)
DK (1) DK2733149T3 (ko)
ES (1) ES2601887T3 (ko)
IN (1) IN2014CN00510A (ko)
MX (1) MX345534B (ko)
RU (1) RU2569302C2 (ko)
SI (1) SI2733149T1 (ko)
WO (1) WO2013004203A1 (ko)
ZA (1) ZA20130955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450A (ko) * 2019-02-26 2020-09-04 (주) 나우코스 스피루리나에서 유래한 파이코시아노블린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1664A (ko) 2020-01-14 2021-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소뇌성운동실조증의 치료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소뇌성운동실조증의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3355B1 (en) * 2013-06-25 2019-08-07 ICM - Institut du Cerveau et da la Moelle Epinière Il-2 for use in treating alzheimer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US9119832B2 (en) 2014-02-05 2015-09-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treating mild brain injury
RU2613765C1 (ru) * 2016-01-26 2017-03-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о-Восточ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М.К.Аммосова"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пиноцеребеллярной атаксии
CN108752445B (zh) * 2018-06-20 2021-04-30 广东药科大学 一种螺旋藻蛋白的制备工艺及其神经保护用途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855A (en) 1995-09-22 1998-01-20 Bockow; Barry I. Compositions of spirulina algae and omega fatty acids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pain
US20040110938A1 (en) * 2000-02-24 2004-06-10 Parekh Rajesh Bhikhu Proteins, genes and their us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schizophrenia
US7025965B1 (en) * 2003-02-12 2006-04-11 Pharma Chemie, Inc. Method of use and dosage composition of bluegreen algae extract for inflammation in animals
WO2004084933A1 (en) * 2003-03-28 2004-10-07 Faron Pharmaceuticals Oy Elevation of adenosine level by cytokine-induced expression of cd73
CU23581A1 (es) * 2005-10-28 2010-10-30 Ct Ingenieria Genetica Biotech Interferon alfa y c-ficocianina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autoinmunes, alérgicas y cáncer
CA2656154C (en) * 2006-06-27 2017-02-28 Nutratec S.R.L. Aphanizomenon flos aquae preparation, extracts and purified component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neurological, neurodegenerative and mood disorders
WO2008063514A1 (en) * 2006-11-13 2008-05-29 Mark Fredrick Mccarty Composition for inhibiting nadph oxidase activ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Biol. Chem. (1988) vol.263, no.34, p.18343-1834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450A (ko) * 2019-02-26 2020-09-04 (주) 나우코스 스피루리나에서 유래한 파이코시아노블린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1664A (ko) 2020-01-14 2021-07-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포함하는 소뇌성운동실조증의 치료 예후를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소뇌성운동실조증의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80776B2 (en) 2016-07-14
EP2733149B9 (en) 2019-05-15
DK2733149T3 (en) 2016-11-28
US9518085B2 (en) 2016-12-13
JP6023803B2 (ja) 2016-11-09
KR101987978B1 (ko) 2019-06-11
WO2013004203A1 (es) 2013-01-10
CU23963B1 (es) 2013-12-11
BR112013033970B1 (pt) 2022-10-18
AR087034A1 (es) 2014-02-05
RU2014103246A (ru) 2015-08-10
EP2733149B1 (en) 2016-09-28
ES2601887T3 (es) 2017-02-16
CU20110146A7 (es) 2013-02-26
EP2733149A1 (en) 2014-05-21
BR112013033970A2 (pt) 2017-02-14
MX345534B (es) 2017-02-03
IN2014CN00510A (ko) 2015-04-03
JP2014520764A (ja) 2014-08-25
AU2012280776A1 (en) 2014-01-23
RU2569302C2 (ru) 2015-11-20
CA2838496A1 (en) 2013-01-10
SI2733149T1 (sl) 2017-01-31
US20140356319A1 (en) 2014-12-04
ZA201309554B (en) 2014-08-27
CA2838496C (en) 2020-01-07
CN103649106A (zh) 2014-03-19
US20170119733A1 (en) 2017-05-04
CN103649106B (zh) 2016-01-20
MX2013015206A (es)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978B1 (ko) 신경퇴행성 및 허혈성 뇌질환 치료를 위한 화합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2345605B1 (ko) 에리스로포이에틴 유래 펩티드의 세포손상방지에 효과를 통한 활용
Castaneda-Arellano et al. From neurogenesis to neuroprotection in the epilepsy: signalling by erythropoietin
AU2010203446B2 (en)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with interleukin-22
KR102532557B1 (ko) Dsg2 유래 펩타이드
CA2235805C (en) Anti-cancer agent
JP2020509061A (ja) ポリペプチド、ポリペプチド断片及びその誘導体、並びに応用
US6855685B2 (en) Anti-cancer agent
US20150133388A1 (en) Acetylated crystallin polypeptides and mimetics thereof as therapeutic agents
KR101626526B1 (ko) hRheb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46156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опухолей у млекопитающих
WO2000024414A1 (fr) Agents preventifs/curatifs pour les maladies du fo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