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688A - 물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물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688A
KR20140076688A KR1020120144770A KR20120144770A KR20140076688A KR 20140076688 A KR20140076688 A KR 20140076688A KR 1020120144770 A KR1020120144770 A KR 1020120144770A KR 20120144770 A KR20120144770 A KR 20120144770A KR 20140076688 A KR20140076688 A KR 20140076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losing member
flow path
le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970B1 (ko
Inventor
김철호
최인두
엄주혁
주우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9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되어 유로가 개폐되도록 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의 선회시 장치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레버부재에 묻지 않도록 구성된 물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이 유동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200); 상기 장치본체(200)에 형성된 유로(210)를 개폐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310)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개폐부재(300); 및 상기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되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의 선회에 의해서 상기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300)를 이동시키는 레버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200)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레버부재(400)에 묻지 않는 소정 각도로 상기 레버부재(400)가 선회되어야만 상기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상기 레버부재(400)가 상기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배출장치{WATER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저장탱크 등의 물공급원에 연결관 등에 의해서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에 레버부재가 힌지연결되어 레버부재의 선회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본체로부터 배출된 물이 레버부재에 묻지 않는 소정 각도로 레버부재가 선회되어야만 유로가 개방되도록 레버부재가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된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배출장치는 물저장탱크에 연결관 등에 의해서 연결되어 물배출장치의 물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물배출장치에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고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도록 물배출장치에 구비된다. 또한, 개폐부재에는 레버부재가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가 레버부재에 외력을 작용하여 레버부재가 선회되면, 개폐부재가 유로를 개방하여 물배출장치로부터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레버부재에 외력을 작용하여 레버부재가 선회되고 개폐부재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한 후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부재는 유로를 폐쇄하도록 이동한다. 이에 따라, 물이 물배출장치로부터 일시적으로 배출된다.
또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개폐부재가 유로를 개방하도록 하는 위치에 계속하여 위치하도록 레버부재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물이 물배출장치로부터 외부로 연속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종래, 물배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위치로 레버부재를 선회시키는 경우 물배출장치의 물배출구 아래를 지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레버부재가 물배출장치의 물배출구 아래를 지날 때 물배출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물배출장치로부터 배출된 물이 레버부재에 묻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레버부재에 물이 묻게 되면 레버부재가 오염되어 세균이 발생됨으로써 위생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온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온수에 데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배출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된 레버부재를 물의 배출을 위해서 선회시키는 경우 레버부재에 물이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레버부재가 오염되어 세균이 발생됨으로써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온수에 데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되어 유로가 개폐되도록 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의 선회시 장치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레버부재에 묻지 않도록 레버부재가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이 유동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 장치본체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도록 장치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개폐부재; 및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되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의 선회에 의해서 유로가 개방되도록 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레버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장치본체로부터 배출된 물이 레버부재에 묻지 않는 소정 각도로 레버부재가 선회되어야만 유로가 개방되도록 레버부재가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부재는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를 포함하며, 힌지연결부에는 레버부재가 장치본체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지면과, 레버부재가 장치본체로부터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게 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속배출면 및, 레버부재가 소정 각도 선회되어야만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선회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면은 정지면과 연속배출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면과 선회면이 이루는 각도는 레버부재가 소정 각도 선회되어야만 유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면과 연속배출면이 이루는 각도는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레버부재가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게 하는 위치로부터 선회되지 않도록 하는 각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는 힌지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 연결되며 외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 작용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연결부와 개폐부재에는 힌지연결핀이 삽입되는 힌지연결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의 일측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는 일측은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개폐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용 구멍을 포함하고, 이동용 구멍의 개방된 타측에는 개폐부재의 일부가 관통되는 캡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캡부재와 개폐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탄성부재가 유로로부터 밀봉되도록 캡부재와 개폐부재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개폐부재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본체로부터 배출된 물이 레버부재에 묻지 않는 소정 각도로 레버부재가 선회되어야만 유로가 개방되도록 레버부재가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되어 레버부재에 물이 묻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부재가 오염되어 세균이 발생됨으로써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온수에 데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물의 일시배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물의 연속배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되어 유로가 개폐되도록 개폐부재를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의 선회시 장치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레버부재에 묻지 않도록 레버부재가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는 장치본체(200), 개폐부재(300) 및, 레버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물저장탱크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 등의 물공급원의 물이 연결관 등을 통해서 장치본체(20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200) 내부를 유동한 물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거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는 유로(210)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210)의 일측에는 유입구(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210)의 유입구(211)는 연결관 등에 의해서 물저장탱크 등의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 등의 물공급원의 물은 연결관을 유동한 후 유입구(211)를 통해 장치본체(200)의 유로(210)에 유입될 수 있다.
유로(210)의 타측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로(210)의 배출구(212)는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하고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10)의 유입구(211)에 유입된 물은 유로(210)를 유동한 후 유로(210)의 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로(210)의 유입구(211)에는 유입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부재(230)는 물공급원에 연결관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210)의 유입구(211)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로(210)의 배출구(212)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배출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재(240)에 의해서 유로(210)의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가이드되어 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유로(21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용 구멍(2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용 구멍(213)의 일측은 배출구(2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타측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30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용 구멍(213)의 개방된 타측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300)의 일부가 관통되는 캡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재(300)가 이동가능하면서도 이동용 구멍(213)의 개방된 타측이 막힐 수 있다.
개폐부재(300)는 장치본체(200)의 유로(210)를 개폐하도록 장치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재(300)는 유로(210)의 이동용 구멍(213)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3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330)에 의해서 탄성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330)는 유로(210)가 폐쇄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개폐부재(30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된 외력에 따른 후술할 레버부재(400)의 선회에 의해서 개폐부재(300)가 이동되어 장치본체(210)의 유로(210)를 개방함으로써 장치본체(200)로부터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고 하더라도, 레버부재(4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면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부재(300)가 유로(210)를 폐쇄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레버부재(400)에 작용되는 외력과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물의 일시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3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10)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310)는 코일스프링에 한정되지 않고, 개폐부재(30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라면 판스프링 등 주지의 어떠한 탄성부재라도 가능하다.
탄성부재(31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캡부재(220)와 개폐부재(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밀봉부재(320)가 캡부재(220)와 개폐부재(300)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부재(310)가 유로(210)로부터 밀봉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밀봉부재(32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3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30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30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부재(320)의 결합돌기(321)가 개폐부재(300)의 결합홈(300a)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300)의 이동에 따라 밀봉부재(320)도 같이 이동될 수 있다.
레버부재(4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재(30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측으로의 선회나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측으로의 선회에 의해서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개폐부재(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로부터 배출된 물이 레버부재(400)에 묻지 않는 소정 각도로 레버부재(400)가 선회되어야만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레버부재(400)가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장치본체(200)로부터 배출된 물이 레버부재(400), 즉 레버부재(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작용부(430)에 묻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부재(400)에 물이 묻지 않게 되므로, 레버부재(400)가 오염되지 않을 수 있고 세균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에 데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부재(400)는 힌지연결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연결부(410)는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힌지연결부(410)에는 힌지연결구멍(4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300)에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힌지연결구멍(300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연결부(410)와 개폐부재(300)의 힌지연결구멍(414)에 힌지연결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연결부(410)가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힌지연결부(410)가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힌지연결부(410)에는 정지면(411)과 연속배출면(412)과 선회면(413)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연결부(410)의 정지면(411)과 연속배출면(412) 및 선회면(413)은 장치본체(200)의 일면, 예컨대 도1과 도2 및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캡부재(22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410)의 정지면(411)은 장치본체(200)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410)의 정지면(411)이 장치본체(200)의 캡부재(22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레버부재(400)가 선회되면, 레버부재(4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레버부재(400)가 그 위치, 즉 레버부재(400)에 힌지연결된 개폐부재(300)가 유로(210)를 폐쇄하는 위치를 유지하여 장치본체(200)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힌지연결부(410)의 연속배출면(412)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로부터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게 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410)의 연속배출면(412)이 장치본체(200)의 캡부재(22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레버부재(400)가 선회되면, 레버부재(40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레버부재(400)가 그 위치, 즉 개폐부재(300)가 유로(210)를 개방하는 위치를 유지하여 장치본체(200)로부터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410)의 선회면(413)은 레버부재(400)가 소정 각도 선회되어야만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부(410)의 선회면(413)이 장치본체(200)의 캡부재(22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레버부재(400)가 선회되기까지 개폐부재(300)가 유로(210)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레버부재(400)가 더 선회되어 개폐부재(300)가 유로(210)를 개방한다고 하더라도, 레버부재(400), 즉 후술할 레버부재(400)의 작용부(430)에 물이 묻지 않을 수 있다.
힌지연결부(410)의 선회면(413)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힌지연결부(410)의 정지면(411)과 힌지연결부(410)의 연속배출면(4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방향으로 레버부재(400)를 선회시키면, 힌지연결부(410)의 정지면(411)이 접촉되었던 장치본체(200)의 캡부재(220)의 상면에는 힌지연결부(410)의 선회면(413)과 연속배출면(412)이 차례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레버부재(400)에 물이 묻지 않도록 하면서 장치본체(200)로부터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위치까지 레버부재(400)를 선회시킬 수 있다.
힌지연결부(410)의 정지면(411)과 선회면(413)이 이루는 각도(α)는 레버부재(400)가 소정 각도 선회되어야만 레버부재(400)에 힌지연결된 개폐부재(300)에 의해서 유로(410)가 개방되도록 하는 각도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α)는 특정되지 않으며, 힌지연결부(41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레버부재(400)가 소정 각도 선회되어야만 유로(410)가 개방되도록 하는 각도라면 어떠한 각도라도 가능하다.
또한, 힌지연결부(410)의 선회면(413)과 연속배출면(412)이 이루는 각도(β)는 탄성부재(31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레버부재(400)가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게 하는 위치로부터 선회되지 않도록 하는 각도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β)도 특정되지 않으며, 힌지연결부(41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탄성부재(31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레버부재(4000)가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게 하는 위치로부터 선회지 않도록 하는 각도라면 어떠한 각도라도 가능하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레버부재(400)는 연결부(420) 및 작용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힌지연결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연결부(410)와 연결부(420)가 일체로 되어 연결부(420)가 힌지연결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420)는 힌지연결부(4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양 연결부(420) 사이에 장치본체(200)가 위치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작용부(430)와 연결부(420)가 일체로 되어 작용부(430)가 연결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작용부(430)는 양 연결부(420)에 연결되어 장치본체(20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작용부(430)는 외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든 상태에서 작용부(430)에 외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작용부(430)는 판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을 더 잘 작용할 수 있도록 전술한 용기 등이 미끄러지지 않게 작용부(430)에는 고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판(431)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를 사용하면, 유로를 개폐하도록 이동하는 개폐부재에 힌지연결된 레버부재를 물의 배출을 위해서 선회시키는 경우 레버부재에 물이 묻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레버부재가 오염되어 세균이 발생됨으로써 위생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온수에 데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배출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유로 211 : 유입구
212 : 배출구 213 : 이동용 구멍
220 : 캡부재 230 : 유입부재
240 : 배출부재 300 : 개폐부재
300a : 결합홈 300b, 414 : 힌지연결구멍
310 : 탄성부재 320 : 밀봉부재
321 : 결합돌기 400 : 레버부재
410 : 힌지연결부 411 : 정지면
412 : 연속배출면 413 : 선회면
420 : 연결부 430 : 작용부
431 : 미끄럼방지판 α,β : 각
P : 힌지연결핀

Claims (11)

  1.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이 유동하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장치본체(200);
    상기 장치본체(200)에 형성된 유로(210)를 개폐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310)에 의해서 탄성지지되는 개폐부재(300); 및
    상기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되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의 선회에 의해서 상기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재(300)를 이동시키는 레버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치본체(200)로부터 배출된 물이 상기 레버부재(400)에 묻지 않는 소정 각도로 상기 레버부재(400)가 선회되어야만 상기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상기 레버부재(400)가 상기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400)는 상기 개폐부재(300)에 힌지연결되는 힌지연결부(410)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연결부(410)에는 상기 레버부재(400)가 상기 장치본체(200)로부터 물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정지면(411)과, 상기 레버부재(400)가 상기 장치본체(200)로부터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게 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속배출면(412) 및, 상기 레버부재(400)가 소정 각도 선회되어야만 상기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하는 선회면(4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면(413)은 상기 정지면(411)과 상기 연속배출면(41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411)과 상기 선회면(413)이 이루는 각도(α)는 상기 레버부재(400)가 소정 각도 선회되어야만 상기 유로(210)가 개방되도록 하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면(413)과 상기 연속배출면(412)이 이루는 각도(β)는 상기 탄성부재(31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레버부재(400)가 물이 연속으로 배출되게 하는 위치로부터 선회되지 않도록 하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400)는
    상기 힌지연결부(410)에 연결되는 연결부(420); 및
    상기 연결부(420)에 연결되며 외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 작용부(4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410)와 상기 개폐부재(300)에는 힌지연결핀(P)이 삽입되는 힌지연결구멍(414,30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210)의 일측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유입구(2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된 배출구(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210)는 일측은 상기 배출구(212)에 연결되고 타측은 개방되며 상기 개폐부재(30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용 구멍(213)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용 구멍(213)의 개방된 타측에는 상기 개폐부재(300)의 일부가 관통되는 캡부재(2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10)는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개폐부재(3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310)가 상기 유로(210)로부터 밀봉되도록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개폐부재(300) 사이에는 밀봉부재(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320)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321)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300)에는 상기 결합돌기(321)가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30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KR1020120144770A 2012-12-12 2012-12-12 물배출장치 KR10201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70A KR102010970B1 (ko) 2012-12-12 2012-12-12 물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770A KR102010970B1 (ko) 2012-12-12 2012-12-12 물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688A true KR20140076688A (ko) 2014-06-23
KR102010970B1 KR102010970B1 (ko) 2019-08-14

Family

ID=5112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770A KR102010970B1 (ko) 2012-12-12 2012-12-12 물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9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663A (ja) * 1995-12-30 1997-07-29 Samsung Electron Co Ltd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KR20100136797A (ko) * 2009-06-19 2010-12-29 (주)원봉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663A (ja) * 1995-12-30 1997-07-29 Samsung Electron Co Ltd 浄水器の選択的連続取水装置
KR20100136797A (ko) * 2009-06-19 2010-12-29 (주)원봉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용 취수 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970B1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880B (zh) 手持式喷头保持装置
KR200438541Y1 (ko)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소형 식품 저장용기
HK1090017A1 (en) Drink dispenser with dispensing line that can be hinged open
EP2092104B1 (en) Front-loading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washing agent dispenser in the door
BR112017028621B1 (pt) Dispositivo dispensador para um dispensador de fluido
KR101977030B1 (ko) 물배출장치
KR20140076688A (ko) 물배출장치
WO2009062616A3 (de) Zapfeinrichtung
KR20150001047A (ko) 물배출장치
KR200388434Y1 (ko) 핸들 스톱퍼가 구비된 개폐밸브
KR20150001046A (ko) 물배출장치
CN106759703B (zh) 排水栓装置
US730463A (en) Siphon-trap.
JP2007519871A (ja) 流量制御装置
JP5387608B2 (ja) 片開きボトル
KR101520923B1 (ko) 밴조니들밸브
KR102211118B1 (ko) 물배출장치
KR20120126671A (ko) 풋 밸브 구동형 절수장치
KR101193911B1 (ko) 디스펜서
KR20190000658U (ko) 직수형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102241147B1 (ko) 역류방지장치
KR20160017361A (ko) 물배출장치
JP3731880B2 (ja) 水抜栓
JP2012042043A (ja) 自動止水装置
ITMI20071777A1 (it) Gruppo di scarico d'acqua a montaggio rapido per sanitari e sanitari impieganti tale grupp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