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118B1 - 물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물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118B1
KR102211118B1 KR1020170179618A KR20170179618A KR102211118B1 KR 102211118 B1 KR102211118 B1 KR 102211118B1 KR 1020170179618 A KR1020170179618 A KR 1020170179618A KR 20170179618 A KR20170179618 A KR 20170179618A KR 102211118 B1 KR102211118 B1 KR 102211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assage
hol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989A (ko
Inventor
김근환
강우진
엄주혁
박시준
염창섭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118B1/ko
Priority to US16/232,753 priority patent/US10682654B2/en
Publication of KR20190077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05B1/163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by relative rotativ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8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sliding valve or cock and a lif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05B12/002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 B05B12/0024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to a sing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5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B67D1/1466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the valve shutter being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는, 제1유로, 제2유로 및 캡부재를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제1유로에 형성된 제1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개폐부재와, 상기 제2유로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제2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개폐부재와, 상기 제2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를 상기 제2유로 상에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와, 상기 제1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개폐부재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푸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개폐부재의 일부분과 힌지결합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정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부재의 제1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정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캡부재로부터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유로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개폐구멍이 개방되고 상기 푸시부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유로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개폐부재가 상기 제1유로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개폐구멍이 개방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상기 제1방향 회전을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개폐구멍과 제1개폐구멍이 폐쇄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배출장치{WATER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배출하는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공급원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물배출장치에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고 유로에는 개폐구멍이 형성되며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유로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개폐부재가 개폐구멍을 닫는 위치에서 여는 위치로 유로에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물공급원의 물이 물배출장치의 유로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의 물배출장치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개폐부재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개폐부재가 개폐구멍과의 여러번의 접촉에 의해서 개폐부재나 개폐구멍이 마모되면, 누수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제2개폐부재가 제2유로의 제2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제2유로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개폐부재가 제1유로를 이동하여 제1유로의 개폐구멍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로부터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 측에 대향하는 반대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 제2유로와, 상기 배출구 측에 대향하는 개방된 반대측을 덮는 캡부재를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제1유로에 형성된 제1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개폐부재와, 상기 제2유로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제2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개폐부재와, 상기 제2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를 상기 제2유로 상에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와, 상기 제1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제2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개폐부재에는 상기 제1개폐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2유로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상기 제2개폐구멍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유로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개폐구멍이 개방되도록 하는 푸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캡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제2개폐부재의 일부분과 힌지결합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개폐구멍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와 접촉하는 정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부재의 제1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정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캡부재로부터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유로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개폐구멍이 개방되고 상기 푸시부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유로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개폐부재가 상기 제1유로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개폐구멍이 개방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상기 제1방향 회전을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유로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정지면이 상기 캡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개폐구멍이 폐쇄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한 상기 푸시부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상기 제1 유로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개폐구멍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레버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개폐구멍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캡부재와 면접촉하는 연속배출면을 구비하며, 상기 연속배출면이 상기 캡부재와 면접촉하는 연속추출모드에서, 상기 제1개폐구멍과 상기 제2개폐구멍은 모두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한 연속추출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개폐구멍과 상기 제2개폐구멍 사이의 상기 제2유로의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2개폐구멍으로 갈수록 상기 제2유로의 내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바디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바디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바디에는 일측은 상기 제2개폐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와 캡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유로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개폐부재가 제2유로의 제2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제2유로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개폐부재가 제1유로를 이동하여 제1유로의 개폐구멍이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물배출장치에서의 누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바디(200)와 개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0)에는 제1유로(210)와 제2유로(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210)는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등의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유로(210)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급연결부재(250)가 구비되어,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연결부재(250)에는 연결관과 제1유로(210)에 연결되는 공급유로(2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연결부재(250)의 공급유로(251)를 통해 제1유로(210)에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연결부재(250)가 구비되는 제1유로(210)의 부분을 형성하는 바디(200)의 부분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1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유로(210)에는 개폐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1개폐부재(310)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1개폐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유로(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220)는 제1유로(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210)에 유입된 물은, 제1개폐부재(310)에 의해서 제1개폐구멍(211)이 닫히지 않으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10)를 유동하여 제2유로(220)에 유입될 수 있다.
제2유로(220)는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220)에는 개폐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2개폐부재(320)에 의해서 개폐되는 제2개폐구멍(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개폐부재(320)에 의해서 제2개폐구멍(221)이 닫히지 않으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220)에 유입된 물은 제2유로(220)를 유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유로(220)는 외부와 연결된 측과 그 반대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2유로(220)를 유동한 물은 제2유로(220)의 개방된 외부와 연결된 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유로(2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200)에는 제2유로(220)의 외부와 연결된 측의 반대측을 덮는 캡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캡부재(230)에는 관통구멍(231)이 형성되어 개폐부(300)의 제2개폐부재(320)의 일부가 관통할 수 있다. 캡부재(230)의 관통구멍(231)을 관통한 제2개폐부재(320)의 일부에는 개폐부(300)에 포함되는 레버부재(33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캡부재(230)에는 개폐부(3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제2탄성부재(350)가 구비되어 개폐부(300)의 제2개폐부재(32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바디(200)에는 유로밀봉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유로밀봉부재(240)의 일측은 제2개폐부재(320)에 연결되고 타측은 바디(200)와 캡부재(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유로(220)를 유동하는 물이 캡부재(230)의 관통구멍(23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유로(220)의 외부와 연결된 측의 바디(200)의 부분은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2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222)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보조부재(260)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보조부재(260)는 배출구(222)에, 예컨대 나사결합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보조부재(260)는 배출구(222)에 끼워맞춤으로 연결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으로도 배출구(222)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보조부재(260)에 의해서, 물이 제2유로(220)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때, 많이 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의 이물질이 제2유로(220)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개폐부(300)는 제1개폐부재(310)와 제2개폐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부재(310)는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개폐할 수 있다. 제1개폐부재(310)는 바디(200)의 제1유로(2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개폐할 수 있다.
제1개폐부재(310)는 제2개폐부재(320)가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개폐하도록 제2유로(220)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유로(210)에서 이동하여 제1개폐구멍(211)을 개폐할 수 있다.
제1개폐부재(310)에는 돌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제1개폐구멍(21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유로(22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300)는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3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공급연결부재(250)에 구비되어 제1개폐부재(3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1개폐부재(310)에는 밀봉부재(SL)가 구비되어 제1개폐구멍(211)이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320)가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열도록 이동하면, 제2개폐부재(320)에 형성된 후술할 푸시부(321)가 돌출부(311)를 밀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개폐부재(310)가 제1탄성부재(340)의 탄성력을 이기고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여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320)가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닫도록 이동하면, 제1개폐부재(310)는 제1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닫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2개폐부재(320)는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개폐할 수 있다. 제2개폐부재(320)는 바디(200)의 제2유로(22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개폐할 수 있다.
제2개폐부재(320)에는 레버부재(3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200)의 캡부재(230)를 관통한 제2개폐부재(320)의 일부에 레버부재(330)에 포함되는 회전연결부(33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300)는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탄성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탄성부재(3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캡부재(230)에 구비되어 제2개폐부재(3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부재(330), 예컨대 레버부재(330)의 회전연결부(331)에 연결되도록 레버부재(330)에 포함되는 외력작용부(332)에 외력을 가하여 레버부재(330)가 일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320)가 제2탄성부재(350)의 탄성력을 이기고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여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320)의 푸시부(321)가 제1개폐부재(310)의 돌출부(311)를 밀어서, 제1개폐부재(310)가 제1탄성부재(340)의 탄성력을 이기고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여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레버부재(330)의 외력작용부(332)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제2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320)가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닫도록 이동하고 레버부재(330)는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310)는 제1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닫도록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타측으로 회전한 레버부재(330)는 레버부재(330)의 회전연결부(331)에 형성된 정지면(331a)이 캡부재(230)에 접촉하여 정지할 수 있다.
제2개폐부재(320)에는 밀봉부재(SL)가 구비되어 제2개폐구멍(221)이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320)가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개폐하도록 제2유로(220)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개폐부재(310)가 바디(200)의 제1유로(210)를 이동하여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이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반복사용으로 인해서, 제1개폐구멍(211) 또는 제2개폐구멍(221)이 마모되어 누수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제2개폐구멍(221)이나 제1개폐구멍(211)에 의해서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물배출장치(100)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개폐부재(320)에는 푸시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푸시부(321)는 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320)가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여는 방향으로 이동시 제1개폐부재(310)의 돌출부(311)를 밀 수 있다.
푸시부(321)는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과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 사이의 제2유로(220)의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푸시부(321)는 제2개폐구멍(221)으로 갈수록 제2유로(220)의 내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320)가 레버부재(330)에 의해서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여는 방향으로 이동시 푸시부(321)가 제1개폐부재(310)의 돌출부(311)를 밀 수 있다. 또한, 제2개폐부재(320)가 제2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개폐구멍(221)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푸시부(321)는 제1개폐부재(310)의 돌출부(311)를 밀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개폐부재(310)가 제1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개폐부재(32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제2유로(220)에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330)가 연속배출위치로 회전하면, 레버부재(330)의 외력작용부(332)에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제2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320)가 바디(200)의 제2유로(220)의 제2개폐구멍(221)을 닫도록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제1개폐부재(310)도 제1탄성부재(340)의 탄성력에 의해서 바디(200)의 제1유로(210)의 제1개폐구멍(211)을 닫도록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레버부재(330)의 회전연결부(331)에는 캡부재(230)에 접촉하는 연속배출면(33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를 사용하면, 제2개폐부재가 제2유로의 제2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제2유로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개폐부재가 제1유로를 이동하여 제1유로의 개폐구멍이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물배출장치에서의 누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배출장치 200 : 바디
210 : 제1유로 211 : 제1개폐구멍
212 : 유입구 220 : 제2유로
221 : 제2개폐구멍 222 : 배출구
230 : 캡부재 231 : 관통구멍
240 : 유로밀봉부재 250 : 공급연결부재
251 : 공급유로 260 : 배출보조부재
300 : 개폐부 310 : 제1개폐부재
311 : 돌출부 320 : 제2개폐부재
321 : 푸시부 322 : 가이드부
330 : 레버부재 331 : 회전연결부
331a : 정지면 331b : 연속배출면
332 : 외력작용부 340 : 제1탄성부재
350 : 제2탄성부재 SL : 밀봉부재

Claims (8)

  1.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로부터 유입된 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 측에 대향하는 반대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 제2유로와, 상기 배출구 측에 대향하는 개방된 반대측을 덮는 캡부재를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제1유로에 형성된 제1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개폐부재와, 상기 제2유로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제2개폐구멍을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개폐부재와, 상기 제2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부재를 상기 제2유로 상에서 이동시키는 레버부재와, 상기 제1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개폐구멍을 닫는 방향으로 상기 제2개폐부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개폐부재에는 상기 제1개폐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제2유로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에는 상기 제2개폐구멍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유로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개폐구멍이 개방되도록 하는 푸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캡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제2개폐부재의 일부분과 힌지결합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개폐구멍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와 접촉하는 정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부재의 제1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정지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캡부재로부터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유로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개폐구멍이 개방되고 상기 푸시부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제1유로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개폐부재가 상기 제1유로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개폐구멍이 개방되고,
    상기 레버부재의 상기 제1방향 회전을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유로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정지면이 상기 캡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제2개폐구멍이 폐쇄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한 상기 푸시부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개폐부재가 상기 제1 유로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1개폐구멍이 폐쇄되는 물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레버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2개폐부재가 상기 제2개폐구멍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1방향에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캡부재와 면접촉하는 연속배출면을 구비하며,
    상기 연속배출면이 상기 캡부재와 면접촉하는 연속추출모드에서, 상기 제1개폐구멍과 상기 제2개폐구멍은 모두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한 연속추출이 수행되는 물배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1개폐구멍과 상기 제2개폐구멍 사이의 상기 제2유로의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푸시부는 상기 제2개폐구멍으로 갈수록 상기 제2유로의 내면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물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바디에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바디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물배출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일측은 상기 제2개폐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디와 캡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유로를 유동하는 물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유로밀봉부재가 구비되는 물배출장치.
KR1020170179618A 2017-12-26 2017-12-26 물배출장치 KR102211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618A KR102211118B1 (ko) 2017-12-26 2017-12-26 물배출장치
US16/232,753 US10682654B2 (en) 2017-12-26 2018-12-26 Water dis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618A KR102211118B1 (ko) 2017-12-26 2017-12-26 물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89A KR20190077989A (ko) 2019-07-04
KR102211118B1 true KR102211118B1 (ko) 2021-02-03

Family

ID=6694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618A KR102211118B1 (ko) 2017-12-26 2017-12-26 물배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82654B2 (ko)
KR (1) KR1022111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3015A (en) 1994-12-12 1997-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dispenser having a fillable storage vessel and adapted to be mounted in a refrigerator do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7084A (en) * 1938-01-26 1939-02-14 Pierre A Bouchard Valve
US2562212A (en) * 1948-05-10 1951-07-31 Harold E Rogers Liquid dispensing device
US3298571A (en) * 1963-02-14 1967-01-17 Joseph F Novak Automatically actuated fluid pressure triggering and discharge valve
US3502111A (en) * 1965-10-14 1970-03-24 Hansen Mfg Dispensing device
US3612354A (en) * 1970-02-18 1971-10-12 Robert E Sitton Container dispenser
DE2851182C2 (de) * 1978-11-27 1981-01-29 Carl Meinhard 4030 Ratingen Becker Zapfhahn zum Zapfen von Getränken
US4475566A (en) * 1981-03-30 1984-10-09 Waddington & Duval Holdings Limited Press taps
US4471807A (en) * 1981-05-12 1984-09-18 Waddington & Duval Limited Press taps
US4655374A (en) * 1985-03-19 1987-04-07 Controle Bvl Ltee Dispensing apparatus valve
GB2263693B (en) * 1992-01-30 1995-11-01 Waddington & Duval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ispensing taps
US5487493A (en) * 1994-05-23 1996-01-30 Mcnabb; Rex P. Froz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KR0141417B1 (ko) * 1994-12-12 1998-07-15 김은영 주기율표 iii-v족 화합물 반도체의 건식 에칭방법
WO1997005436A1 (en) * 1995-07-26 199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dispenser of refrigerator
KR100187284B1 (ko) * 1995-12-19 1999-05-01 김광호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FR2788326B1 (fr) * 1999-01-11 2001-03-23 Rene Erb Robinet de distribution de liquides
KR100436858B1 (ko) * 2001-07-18 2004-06-2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밸브 안전장치
WO2005095261A1 (en) * 2004-03-23 2005-10-13 The Meyer Company Vented valve
US7708164B2 (en) * 2006-11-06 2010-05-04 Fres-Co System Usa, Inc. Volumetric dispensing fitment and package including the same
US8113239B2 (en) * 2009-05-07 2012-02-14 David S. Smith America, Inc. Vented valve assembly
US8353428B2 (en) * 2009-07-21 2013-01-15 Fres-Co System Usa, Inc. Volumetric metering fitment and package including the same
KR20150001047A (ko) * 2013-06-26 2015-01-06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장치
KR20160017361A (ko) * 2014-08-05 2016-02-16 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장치
US10077145B1 (en) * 2017-05-09 2018-09-18 Scepter Manufacturing, LLC. Linked poppet valv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3015A (en) 1994-12-12 1997-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dispenser having a fillable storage vessel and adapted to be mounted in a refrigerator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989A (ko) 2019-07-04
US10682654B2 (en) 2020-06-16
US20190193092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6902T1 (de) Ueberdruckventil.
BRPI0616483B8 (pt) dispositivo de controle de pressão
DK3265716T3 (en) FILLS, CONTAINER AND PROCEDURE FOR FILLING, DRAINING AND DRAINING
TW200702579A (en) Valve assembly having improved pump-down performance
JP7434345B2 (ja) 任意方向タッチスイッチ
KR102211118B1 (ko) 물배출장치
US20190113151A1 (en) Safety faucet for hot water
CA2321681C (en) Sliding plate valve
KR20110073954A (ko) 체크밸브
RU2550717C2 (ru)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US10393275B2 (en) Self-cleaning double block and bleed valve
US20140239214A1 (en) Butterfly Valve
KR101269529B1 (ko) 양측에서 실링 조절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밸브
KR930006357A (ko) 개선된 유동 취급성을 구비한 더블 블록 및 벤트 밸브 장치
KR20150001047A (ko) 물배출장치
KR200400995Y1 (ko) 가스안전 이중밸브
KR102010970B1 (ko) 물배출장치
KR200413420Y1 (ko) 토출구 차단이 가능한 배출펌프
KR101159748B1 (ko) 치약 배출구
KR200484610Y1 (ko) 수도꼭지 연결구
KR20220084492A (ko) 원터치 절수형 수전카트리지
KR101934042B1 (ko) 스윙타입 디스크를 구비한 글로브 밸브
KR20150001046A (ko) 물배출장치
KR200273471Y1 (ko) 수도용 앵글밸브
KR20060108798A (ko) 체크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