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681A - 방향성 사용자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 확립 기법 - Google Patents

방향성 사용자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 확립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681A
KR20140075681A KR1020147006941A KR20147006941A KR20140075681A KR 20140075681 A KR20140075681 A KR 20140075681A KR 1020147006941 A KR1020147006941 A KR 1020147006941A KR 20147006941 A KR20147006941 A KR 20147006941A KR 20140075681 A KR20140075681 A KR 20140075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navigation
user input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리드 알모스니노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7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6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사용자에 의해 희망되거나 직관적인 제스처를 기초로 콘텐츠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의 확립과 관련된 기법. 한 가지 대표적 기법은 시퀀스로 배열된 표시되는 콘텐츠가 전진될 방향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내비게이션 방향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개시되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확립된다.

Description

방향성 사용자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 확립 기법{ESTABLISHING CONTENT NAVIGATION DIRECTION BASED ON DIRECTIONAL USER GESTURES}
오늘날 사회에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가 풍부하다. 메인프레임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팅 장치, 랩톱 및 그 밖의 다른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및 그 밖의 다른 핸드-헬드 장치, 개인 디지털 보조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그 밖의 다른 장치가 종종 문서, 이미지 및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로컬하게 저장될 수 있고, 많은 경우에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peer-to-peer network)에서 전역 네트워크(global network), 가령, 인터넷까지의 네트워크로부터 획득된다. 물리적 매체(가령, 책 또는 잡지)처럼, 종종, 전자 콘텐츠 아이템의 전체가 한 번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물리적 매체는 페이지 또는 그 밖의 다른 구별 가능한 부분들로 나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자 매체 역시 그렇다. 콘텐츠 자체 내에서 분할되는지 또는 표시 장치에 의해 분할되는지에 무관하게, 전자 문서는 표시 가능한(presentable)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소비 가능한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다.
전자 콘텐츠는 부분으로, 예컨대, 문서의 페이지로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문서에서 한 번에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스크롤링할 때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장치 상에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제공된 "다음" 또는 "앞으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문서에서 전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제공된 "뒤로" 또는 이와 유사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문서에서 후진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콘텐츠 내비게이션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콘텐츠 아이템 전체를 내비게이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전자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때때로 모호한 내비게이션 선택(navigation choice)을 표시할 수 있다. 종종 내비게이션 패턴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어를 기초로 레이아웃 방향성 배향(layout directional orientation)을 상속(inherit) 받는다. 예를 들어, 영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아웃은 좌에서 우 배향(left-to-right orient)된다. 그러나 운영 체제는 좌에서 우 배향되지 않는 그 밖의 다른 언어, 가령, 아라비아어, 히브리어,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양방향성 언어로 현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레이아웃은 우에서 좌 배향(right-to-left orient)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제어 레이아웃 배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언어의 방향성 배향에 속박(binding)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제한시킨다. 이러한 "속박(binding)"은 콘텐츠 내비게이션 패턴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향을 상속 받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향이 우에서 좌인 경우(가령, 아라비아어, 히브리어, 등),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은 우에서 좌 내비게이션을 물려 받는다. 따라서,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이템을 선택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문서의 앞쪽으로 이동할 것이며,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배향이 좌에서 우일 경우 사용자가 문서의 앞쪽으로 이동할 방식과 상이하다.
특정 환경 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향 및 내비게이션 제어 패턴 레이아웃 방향이 문서 자체가 배향되는 레이아웃과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문서를 포함하는, (가령, 영어로 현지화된 운영 체제를 이용하는) 영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내비게이션 패턴과 문서 콘텐츠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향된다. 이와 유사하게, 히브리어 문서를 갖는 히브리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내비게이션 패턴과 문서 콘텐츠 모두 우측에서 좌측으로 배향된다. 그러나 히브리어 문서를 갖는 영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내비게이션 패턴 레이아웃은 문서 레이아웃과 반대가 된다. 마찬가지로, 영어 문서를 갖는 히브리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내비게이션 패턴 레이아웃은 문서 레이아웃과 반대가 된다. 이들 불일치는, 특정 방향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이템이 선택될 때 문서에서 어떤 방향이 취해질 것인지 불명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불명확함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향이 표시된 문서 배향과 상이한 경우, 사용자가 "다음" 또는 우향 화살표(right arrow)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앞으로 내비게이션할 지 여부가 불명확할 수 있다. 이러한 불명확성은,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향(가령, 우에서 좌 배향)을 따를지 또는 문서 배향(가령, 좌에서 우 배향)을 따를지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야기될 수 있다. 이들 경우, 불명확성은, 사용자가 이러한 내비게이션 메커니즘이 사용될 때 취해질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내비게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커니즘의 가치를 제한적으로 만들 수 있다.
개요
방향상 바람직하고(directionally desired) 직관적인 사용자에 의한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의 확립과 관련된 기법. 하나의 대표적 기법에서, 컴퓨터 구현 방법이 시퀀스로 배열되는 표시되는 콘텐츠가 전진될 방향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내비게이션 방향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확립된다.
또 다른 대표적 실시예에서, 적어도 터치-기반 사용자 입력,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터치 기반 사용자 입력은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을 내비게이션식으로 전진(navigationally advance)시키기 위한 제 1 시도의 방향을 전달(convey)하는 초기 사용자 개시 제스처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개시 제스처의 전달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전달된 방향을 기초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결정하며 상기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상기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의 내비게이션 방향으로서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의 현재 부분이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대표적 실시예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한 명령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형 매체와 관련된다. 실행될 때, 명령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운영 체제의 언어에 대응하는 배향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페이지 문서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배향과 상이한 배향을 갖고 표시될 수 있다. 다중-페이지 콘텐츠에서 전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방향을 나타내는 초기 터치 제스처가 식별되고, 상기 초기 터치 제스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방향을 기초로 다중-페이지 콘텐츠에 대한 내비게이션 방향이 확립된다. 다중-페이지 콘텐츠에서의 전진 내비게이션은 초기 터치 제스처와 동일 방향으로 이뤄지는 다음 번 터치 제스처에 의해 이뤄질 수 있고, 상기 다중-페이지 콘텐츠 내 후진 내비게이션은 상기 초기 터치 제스처와 상이한 방향으로 이뤄지는 다음 번 터치 제스처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이 개요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 기재될 개념들의 모음을 단순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개요는 청구되는 본 발명의 핵심 특징 또는 필수 특징을 식별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도 아니다.
도 1은 사용자 입력 제스처를 기초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기 위한 대표적 방식을 일반적으로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추측되거나 희망되는 콘텐츠 패턴 방향을 식별하기 위한 제스처링의 대표적 방식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를 기초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기 위한 대표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사용자 입력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의 확립과 관련된 그 밖의 다른 대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5d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고, 내비게이션 방향의 확립된 후의 콘텐츠 내에서 다음 번 내비게이션하는 대표적 방식을 도시한다.
도 6은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에 의해 제안되는 배향의 유형을 기초로 하는 페이지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 부분의 대표적 제어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 7b, 및 7c는 대표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을 확립하는 대표적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대표적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다음의 기재에서, 대표적 구현 예시를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조적 및/또는 동작적 변화가 이뤄질 수 있으므로, 그 밖의 다른 실시예 및 구현예가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다. 일부 콘텐츠는 컴퓨팅 장치 상에 한 번에 하나의 부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문서, 달력, 사진 앨범 등이 있다. 여러 경우에서,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한 번에 전체가 보여지거나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표시되기엔 너무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페이지 문서가 한 번에 하나(또는 그 이상)의 페이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읽거나, 보거나,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소비할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전진(advance)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달력, 사진 앨범, 음악 재생목록, 전자 스케치 패드 및 그 밖의 다른 콘텐츠가 이들과 연관된 순서 또는 시퀀스를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가질 수 있으므로, 콘텐츠를 한 번에 더 작은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를 보는 것은 콘텐츠 부분(가령, 페이지,달력의 월, 등)들의 시퀀스에서 전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시퀀스에서 후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퀀스는 논리적 배열, 전자 문서의 연속적인 페이지들, 콘텐츠, 가령, 달력 및 사진 앨범의 연대순 배열(chronological arrangement), 랜덤 배열 등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임의의 이벤트에서, 모든 유형의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가 분할된 부분들로 보기 가능한(viewable)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이 드물지 않다.
사용자는, 콘텐츠의 추가 부분을 보기 위해 표시된 콘텐츠의 하나의 부분에서 또 다른 부분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앞으로" 또는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메커니즘을 선택하여, 시퀀스에서 콘텐츠의 다음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뒤로" 또는 이와 유사한 UI 메커니즘을 선택하여 바로 이전 콘텐츠 부분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들 그리고 그 밖의 다른 UI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문서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를 내비게이션할 수 있게 한다.
콘텐츠의 부분들의 내비게이션이 항상 직관적인 것은 아닐 수 있다. 장치 운영 체제가 복수 방향으로의 UI 배향, 콘텐츠 배향, 및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 "뒤로" 및/또는 그 밖의 다른 내비게이션 UI 메커니즘이 불명확해지거나 부정확하게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가 여러 언어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언어는 본질적으로, 콘텐츠가 좌에서 우(LTR: left-to-right)로 읽히고, UI가 LTR로 표시되며, 콘텐츠의 부분들의 내비게이션이 LTR로 진행되는 등의 좌에서 우(LTR: left-to-right) 배향을 포함한다. 영어는 전자 문서의 내비게이션이 사용자가 영어로 써진 물리적 책을 읽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즉, 좌측에서 우측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언어이다. 또 다른 언어, 가령, 히브리어 및 아라비아어가 우에서 좌(RTL: right-to-left) 배향으로 써지고, 일부 경우, RTL 텍스트가 동일 문단 또는 다른 세그먼트에서의 LTR 텍스트와 혼합되는 양방향(bi-di) 형태로 써진다. 이들 경우, 전자 문서의 내비게이션이 이러한 언어로 써진 물리적 책의 것, 가령, RTL에 대응한다.
적어도, 서로 다른 언어에 대한 서로 다른 내비게이션 방향 때문에,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문서가 LTR 또는 RTL/bi-di 언어 중 어느 하나와 연관되는 경우 전자 문서의 내비게이션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운영 체제는 문서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의 LTR 진행(LTR progression)을 촉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히브리어 문서에서는 실제로 "다음(next)" 페이지가 이전 페이지일 수 있기 때문에, 영어 운영 체제 상에서 히브리어 또는 아라비아어 문서를 보는 것은 혼란스러울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임의의 언어로부터 문서/콘텐츠를 빠르고 쉽게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이 전체에 걸쳐 일관되는 단일 언어로 써진 물리적 책과 상이하다. 컴퓨팅 시스템의 이러한 유연한 특성 및 네트워크 및 그 밖의 다른 소스를 통한 콘텐츠의 사실상 무한한 이용 가능성이 장치 사용자에게 이들 그리고 그 밖의 다른 새로운 도전과제를 만들어 낸다.
이들 그리고 그 밖의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시도되는 내비게이션 방향을 암시하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콘텐츠 내비게이션 패턴/방향을 동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기법은,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UI 제스처가 적어도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콘텐츠의 인스턴스에 대해 내비게이션 패턴을 확립하도록 활용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콘텐츠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초기 내비게이션 제스처(들)가 인식될 수 있고, 적어도 사용자에 의해 현재 소비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해 내비게이션 방향(navigational direction)을 확립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에게 내비게이션 패턴이 어떻게 확립되고 있는지 또는 확립되고 있다는 것조차 명확히 통지하지 않고, 콘텐츠 아이템의 섹션이 상기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일 것으로 결정된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지원되는 내비게이션 방향이 사용자에 대해 동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은 또한 잘못된 콘텐츠 내비게이션에 대해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을 생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법이 시퀀스에 의해 배열된 표시된 콘텐츠를 전진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촉진시킨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내비게이션 방향이 확립된다. 이들 그리고 그 밖의 다른 실시예가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재된다.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및 그 밖의 다른 터치-기반 UI 장치와 관련하여 기재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 상에서 손가락(들)을 "스와이프(swiping)"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문서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 아이템 내에서 전진(또는 후진)하기를 원하는 방향에 대한 지시(indic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리는 방향을 지시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UI 메커니즘, 가령, 조이스틱, UI 휠/볼, 키보드 화살표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특정 방향성 UI 메커니즘에 대한 지칭이 이러한 지칭되는 UI 메커니즘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덧붙여, 설명을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특정 언어(가령, 영어, 히브리어, 아라비아어 등)가 사용되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 목적으로만 언급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원리는, 다양한 인자들을 기초로(LTR 또는 RTL 언어가 이러한 인자들의 하나의 예를 나타냄) 둘 이상의 방향으로 전진될 수 있는 임의의 콘텐츠 아이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 입력 제스처를 기초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시에서, UI 배향(UI orientation)(100)은 예를 들어, 호스팅 장치 상에서 동작 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그 밖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이템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설명 목적으로 UI 배향(100)은 운영 체제에 의해 설정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운영 체제의 언어가 표시되는 UI의 레이아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버전의 운영 체제는 화살표(102)가 나타내는 것처럼 좌에서 우(LTR) 방식으로 UI를 표시할 수 있다. 히브리어 또는 아라비아어 버전의 운영 체제는 화살표(104)가 나타내는 것처럼 우에서 좌(RTL) 방식으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언어와 관련하여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또 다른 배향, 가령, 상향(106) 및 하향(108)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운영 체제의 언어에 따라서, 또는 UI 배향(10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요인들에 따라서, UI 컨트롤(가령, 시작 메뉴, 최소화/최대화 컨트롤 등)이 서로 다른 배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부 경우, 콘텐츠 패턴 방향(110)이 운영 체제에 의해 제공되는 UI 배향(100)을 상속(inherit) 받는다. 따라서 UI 배향(100)이 LTR(가령, 영어 운영 체제)인 경우, 영어 문서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전진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콘텐츠 패턴 방향(110)은 LTR로 콘텐츠를 전진시키는 것을 디폴트로 가질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LTR, RTL 및 양방향 언어의 소비를 가능하게 하도록 특정 운영 체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의 능력이, 일부 콘텐츠(120)의 경우, 상속된 콘텐츠 패턴 방향(110)을 부적합하게 만들거나 적어도 비-직관적으로 만들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콘텐츠(120)가 다양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영어 문서는 LTR 화살표(122)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좌에서 우로 써질 수 있다. 히브리어 또는 아라비아어 문서는 화살표(124)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우에서 좌로 써질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언어가 상에서 하(top-to-bottom)(128)로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배향될 수 있다. 언어 또는 그 밖의 다른 요인을 이유로, 콘텐츠(120)의 방향은 임의의 방향, 가령, LTR 화살표(122), RTL 화살표(124), 하에서 상(bottom-to-top) 화살표(126), 상에서 하(top-to-bottom) 화살표(128), 또는 이론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 외의 다른 방향일 수 있다.
화살표(122, 124, 126 또는 128)로 나타내어지는 특정 방향으로 배향된 문서를 읽을 때,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120)를 소비할 때, 일반적으로, 특정 콘텐츠 패턴 방향(110)이 해당 콘텐츠(120) 배향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R 화살표(122)로 나타나는 것처럼 좌에서 우로 써진 영어 문서의 경우, 콘텐츠 패턴 방향(110) 전진도 역시 좌에서 우로 일 수 있다(가령, 문서 페이지가 좌에서 우로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120)가 히브리어 문서이고, 콘텐츠 패턴 방향(110)이 영어 운영 체제의 UI 배향(100)을 상속한 경우, LTR 화살표(122)로 나타내어지는 LTR 내비게이션 방향은, RTL 화살표(124)로 도시되는 우에서 좌인 히브리어 콘텐츠(120)에 반-직관적(counter-intuitive)일 것이다. 본 발명은 방향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의 방향성 내비게이션과 연관된 이들 그리고 그 밖의 다른 불일치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사용자 입력(130)은 장치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방향성 제스처(들)을 촉진시키는 메커니즘(들)을 나타낸다. 사용자 입력(130)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조이스틱, 방향 키,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UI 버튼, UI 휠(wheel) 또는 볼(ball) 등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130)은 사용자가 방향을 가리키는 터치 제스처, 가령, 손가락을 특정 방향을 스와이프하는 제스처를 만들 수 있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UI 배향(100)이 RTL인 경우(가령, 히브리어 운영 체제로 설정된 경우), LTR로 써진 콘텐츠(120)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다. 가령, 콘텐츠(120)가 영어로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콘텐츠(120)의 부분을 LTR 콘텐츠 패턴 방향(110)으로 전진시키기를 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130)을 이용해, UI 배향(100)이 RTL로 설정되더라도(또는 이와 무관하게) 콘텐츠(120)가 LTR 화살표(122)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에서 우로 전진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좌에서 우로 배열된 콘텐츠(120)에서의 페이지 넘김을 시뮬레이트하여 우에서 좌로 손가락을 드래그할 수 있다.
이는 추측되는 또는 희망되는 콘텐츠 패턴 방향을 식별하기 위한 대표적인 제스처 방식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인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사용자 입력으로서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가정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200)을 스크린(202)의 우측에서 스크린(202)의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이는 LTR-배향 문서에서의 페이지 넘김을 모방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시뮬레이트한다. 이 초기 "제스처"는 소비되는 콘텐츠의 LTR 배향을 암시하며, 상기 콘텐츠의 다른 페이지 또는 부분의 표시를 위한 콘텐츠 패턴 방향을 확립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임의의 방향으로 콘텐츠 패턴 방향을 가리키도록 제스처를 할 수 있다.
도 1로 다시 돌아와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스처(들)이 만들어지고, 블록(132)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의 방향이 결정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방향 결정 블록(132)은 사용자의 제스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모듈, 가령, 사용자 입력(130)에 의해 인식되는 터치 포인트를 계산하도록 프로세서(들)을 통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모듈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130)은 X-Y 좌표 평면 상의 비교적 안정한 Y 좌표와 감소하는 X 좌표를 제시하여, 우에서 좌로의 터치 방향을 제시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134)에서,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또한 프로세서(들)를 통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블록(132)에서 결정되는 방향 정보를 고려해 콘텐츠 패턴 방향(110)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132)에서 사용자 입력 방향이 우에서 좌로 결정된 경우, 좌에서 우로의 콘텐츠 전진이 우에서 좌로의 손가락을 이용하는 "페이지 넘김"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134)에서의 상기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 결정에 의해, 이러한 제스처가 LTR 콘텐츠 패턴 방향(110)에 대응함이 결정될 수 있다.
블록(134)에서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이 결정될 때, 블록(136)에서, 콘텐츠의 해당 인스턴스에 상기 내비게이션 패턴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해당 콘텐츠(120)에 대해 사용자의 최초 UI 제스처와 관련하여 블록(132, 134)에서 결정을 하고, 그 결과로 블록(136)에서, 상기 해당 콘텐츠(12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내비게이션 패턴이 확립되거나 할당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블록(132)에서 결정된 우에서 좌 "스와이프"가 블록(134)에서 LTR 콘텐츠 패턴 방향(110)이 결정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우에서 좌 스와이프가 콘텐츠(120)를 이의 시퀀스에서 앞으로 전진시킬 것인데, 가령, 콘텐츠(120)의 다음 페이지 또는 세그먼트로 이동할 것이다. 반대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스와이프, 즉, 좌에서 우 스와이프에 의해, 콘텐츠(120)가 바로 이전 페이지 또는 세그먼트로 뒤로 이동할 수 있다. 블록(136)에서, 이러한 "앞으로" 및 "뒤로" 방향이 내비게이션 패턴 할당을 야기하는 사용자의 초기 제스처를 기초로 확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바라는 대로,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초기에 제스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콘텐츠 방향(110)이 다양한 방향 화살표(112, 114, 116, 118)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할당된다.
도 3은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를 기초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기 위한 대표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예시에서, 블록(300)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며, 여기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은 시퀀스로 배열된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는 방향을 나타낸다. 블록(302)에서,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내비게이션 방향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확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문서 방향에 정합되도록 내비게이션 패턴을 설정하거나, 문서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의 배향과 무관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내비게이션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입력 제스처를 기초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의 확립과 관련된 그 밖의 다른 대표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록(400)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400A), 터치패드(400B), 조이스틱(400C), UI 휠/볼(400D), 키보드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화살표(400E), 및/또는 그 밖의 다른 입력(400F)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블록(402)에, 콘텐츠를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최초 입력되는 방향이 인식된다. 예를 들어, 블록(400)에서의 사용자 입력이 터치스크린(400A) 또는 터치패드(400B)를 나타내는 경우, 블록(402)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함으로써 콘텐츠를 전진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방향이 인식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록(404)에서, 콘텐츠 내비게이션의 방향이 사용자의 UI 제스처에 의해 알려진 방향으로서 확립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404)에서의 상기 방향은, 특정 소비되는 콘텐츠에 대한 블록(400)에서의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사용자의 최초 제스처를 기초로 확립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블록(406)에서, 표시될 콘텐츠가 확립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이 알려지면, 전진이 다음 콘텐츠 부분으로 이동하고, 후진이 이전 콘텐츠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콘텐츠의 그 밖의 다른 부분(가령, 페이지)이 배열될 수 있다.
블록(408)에서,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다음 번 UI 제스처가 분석된다. 상기 콘텐츠의 내비게이션은 사용자의 제스처 및 확립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기초로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초기에 확립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행해진 사용자 제스처에 의해 콘텐츠 소비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블록(408A)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제스처가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기 위해 사용된 방향과 동일할 때 그 콘텐츠에서 앞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 제스처가 반대 방향일 때 또는 적어도 상이한 방향일 때 그 콘텐츠에서 뒤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블록(400)에서 블록(402)에서 결정된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기 위한 방향을 가리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그 후 블록(404)에서의 콘텐츠 내비게이션의 방향 확립에 응답하여, 블록(406)에서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가 배열된다.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는 동일 방향을 의미하는 추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는,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한 초기 사용자 입력의 방향과 반대인,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상이한 방향인 방향을 의미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의 배열된 시퀀스를 후진시키도록 배열된다.
도 5a-5d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고, 내비게이션 방향이 확립된 후 콘텐츠 내 다음 번 내비게이션이 확립되는 대표적 방식을 도시한다. 도 5a-5d에서, 유사한 도면부호가 유사한 아이템을 식별하도록 사용된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문서의 제 1 페이지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 아이템이 문서 페이지-1(300A)로서 도시된다. UI 배향과 무관하게, 또는 심지어 문서 배향과 무관하게, 사용자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가리키기 위한 UI 제스처를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UI 메커니즘은 터치 스크린인 것으로 가정되고,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문서의 다음 페이지로 전진시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최초 터치 제스처가 상기 문서의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한다. 도 5a에서, 최초 터치 제스처는 상기 문서에 대한 내비게이션 패턴을 확립하는 우에서 좌 터치 제스처(302)이다. 터치 제스처(302)(가령, 드래그, 스와이프 등)가 수행될 때, 도 5b에 문서 페이지-2(300B)로 도시된 것처럼 상기 문서는 문서의 다음 페이지로 전진된다. 동일한 방향으로의 또 다른 터치 제스처(302)는 페이지를 전진, 즉 페이지를 넘겨서, 도 5c의 문서 페이지-3(300C)를 도출한다. (우에서 좌 페이지 넘김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인한) LTR 문서에 따라 문서 "전진" 방향이 확립됐을 때, 반대 방향으로의 터치 제스처가 문서를 이전 페이지로 복귀하게 할 것이다. 이는 도 5c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좌에서 우 터치 제스처(304)가 수행되고, 상기 제스처는 이러한 제스처가 확립된 내비게이션 방향과 두드러지게 반대인 방향일 때 이전 페이지로 복귀하게 한다. 최종 문서 페이지가 도 5d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문서는 문서 페이지-2(300B)로 복귀된 것으로 나타난다.
페이지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 부분들의 배열이 도 6과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터치 제스처-기반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에 의해, 원하는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방향을 활용함으로써, 패턴-기반 내비게이션 컨트롤이 UI의 방향성 배향에 더 이상 속박되지 않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유형 컨트롤의 이전 구현예는 UI 배향/방향을 기초로 하는 수평 패턴 배향을 상속 받거나 설정한다. 내비게이션 컨트롤 레이아웃 배향을 UI 언어 방향성 배향에 속박시키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제한할 수 있다. 특정 조건 하에서, 상기 UI 및 내비게이션 컨트롤 패턴 레이아웃 방향이 콘텐츠 방향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이 컴퓨팅 장치 상에 표시되는 문서와 관련하여 기재되며, 여기서 UI 제스처가 터치 스크린 또는 그 밖의 다른 터치-기반 메커니즘을 이용해 수행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페이지 문서의 초기 디폴트 상태(600)의 제 1 페이지(602)가 내비게이션 시퀀스에서 표시된다. 상기 내비게이션 시퀀스의 제 2 페이지가 이러한 초기 디폴트 상태(600)에 포함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따라 달라지는 제 2 페이지에 대한 가능한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페이지(604A 및 604B)로 도시된다. 사용자 제스처가 RTL 내비게이션 방향을 가리키면 좌에서 우로의 페이지 넘김을 모방하는 경우, 제어 상태(610)가 사용된다. 이 경우, 다음 페이지는 604A이고, 그 다음 페이지는 606이다. 이 RTL 배향은 RTL 내비게이션 제스처를 기초로 확립되고, 그 후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한 초기 제스처에 대한 제스처의 방향을 기초로 문서의 전진 또는 후진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제스처가 LTR 내비게이션 방향을 가리키면서 우에서 좌로 페이지 넘김을 모방하는 경우, 제어 상태(620)가 사용된다. 이 경우, 다음 페이지는 604B이고, 그 다음 페이지는 606이다. 재개시되면, 가령, 새로운 문서 또는 그 밖의 다른 새로운 콘텐츠가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또는 그 밖의 다른 표시 영역으로 로딩되면, 제어 상태는 제어 상태(600)로 복귀된다.
사용자 장치의 맥락에서 도시되는 대표적 예시가 도 7a-7c와 관련해 기재된다. 도 7a-7c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아이템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유사한 아이템이, 유사하지만 끝 문자가 상이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스크린(700A)이 디스플레이, 가령, 터치-기반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표시된다. 대표적인 UI 기능(702A)으로 나타나는 UI 배향은 운영 체제의 언어를 기초로 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예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LTR 언어에 대해 구성된다. 이는 UI 방향(730A)의 좌에서 우 화살표로 나타내어진다. 대표적 UI 기능(702A)은, 예를 들어, 메뉴 아이템(704), 컨트롤 아이템(706)(가령, 최소화, 최대화 등), 명령어(708, 7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표적 GUI 스크린(700A)은 UI 기능, 가령, 인쇄 페이지 범위(712), 용지 배향(714), 인쇄 색상(716) 등을 불러오는 인쇄 미리보기 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GUI 스크린(700A)은, 도 7의 인쇄 미리보기 예시 내에서 인쇄되는 콘텐츠와 연관된 복수의 인쇄 이미지 중 초기 문서 페이지(720A)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 예시에서, 사용자가 인쇄될 페이지를 검토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상기 문서를 스크롤하거나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에서, 스크롤링 방향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최초 제스처가 인식되고, 상기 최초 제스처를 기초로 내비게이션 방향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7a의 예시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화살표(722)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미지 또는 문서 페이지(720A) 상의 하나의 위치에서 좌측으로 이동시켰다. 이는 좌에서 우로 배열된 문서 또는 그 밖의 다른 콘텐츠 내에서 "페이지 넘김"을 시도한 것을 나타내며, 따라서 LTR 내비게이션 방향을 나타낸다. 이 예시에서, 문서는 문서 방향(732A)으로 표시되는 것처럼 LTR 방식으로 써진 영어 문서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재량 내에서, LTR-배향된 문서 및 LTR-배향된 UI 기능(702A)을 이용해, 사용자는 다중 페이지 문서의 페이지/이미지를 좌에서 우 방식으로 직관적으로 매우 잘 전진시킬 수 있다. 그렇다면, 이는 좌에서 우 방식으로의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734A)을 확립하여, 동일 방향으로의 추가 사용자 제스처가 문서를 전진시킬 것이고, 대략적으로 반대 방향인 사용자 제스처가 문서 페이지를 후진시키게 할 것이다. 도 7a의 예시는 일치하는 패턴을 나타내며, 여기서 UI 방향(730A)가 문서 방향(732A)과 동일 방향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내비게이션은 동일 방향으로 전진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도 7b는 비-일치 패턴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UI 방향(730B)이 문서 방향(732B)과 상이한 방향으로 구성된다. 이 예시에서, GUI 스크린(700B)은 RTL 배향으로의 UI 기능(702B)을 포함하는데, 가령, 운영 체제가 히브리어 또는 아라비아어 운영 체제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문서 방향(732B)은 좌에서 우로 배열되는데, 예컨대, 영어 문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7b의 예시는 도시된 문서 페이지(720B)를 갖는 영어 또는 그 밖의 다른 LTR-배향된 문서를 보기 또는 이 경우 인쇄를 위해 미리보기하는 예시를 제공한다. RTL UI 방향(730B)을 이용해, 사용자는 화살표(724)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에서 우 방식으로 제스처함으로써(가령, RTL로 페이지를 넘김), LTR 문서를 전진시키기를 시도할 수 있다. 종래의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이러한 비일치로 인해 원하는 대로 전진기기보다는 후진될 수 있었다.
도 7c는 본 발명이 어떠한 기법에 따라 이러한 잠재적 비-일치 패턴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지를 나타낸다. 우선 이 예시는 UI 기능(702B)이 UI 방향(730B)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RTL 배향이고, 문서 방향(732B)이 LTR 배향으로 배열된다는 점에서 도 7b와 관련해 기재된 것과 동일한 환경을 가정한다. 그러나 이 예시에서 다중 방향 화살표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 어떠한 확립된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734C)도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제 1 문서 페이지(720B)가 표시되지만, 사용자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제스처하기 전까지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734C)이 확립되지 않을 것이다. 도 7c의 예시에서, 화살표(726)로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페이지 넘김 또는 그 밖의 다른 좌에서 우로의 문선 전진을 암시한다. 이 제스처를 기초로, 새로운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734C)이 확립된다. 추가로 좌측을 향한 사용자 제스처가 문서 페이지(720B)를 전진시킬 것이며 우측을 향한 제스처가 문서를 이전 페이지로 복귀시킬 것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대표적인 컴퓨팅 장치를(apparatus or device)(800)를 도시한다. 상기 대표적인 컴퓨팅 장치(800)는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800)는 데스크톱 컴퓨팅 장치, 랩톱 또는 그 밖의 다른 휴대용 컴퓨팅 장치, 스마트 폰 또는 그 밖의 다른 핸드-헬드 장치, 전자 리딩 장치(가령, e-북 리더), 개인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 동적 제스처-기반 내비게이션 방향 확립이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 제스처가 수신될 수 있는 어떠한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도 8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컴퓨팅 환경은 예시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다. 또한 도 8의 컴퓨팅 배열은,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장치(가령, 시스템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 제어기 등)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대표적 컴퓨팅 장치(800)는 시스템 버스(804)를 통해 복수의 모듈로 연결되는 프로세서(8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시스템 버스(804)는 컴퓨팅 환경의 다양한 구성요소 및 모듈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구조(들)일 수 있다. 리드 온리 메모리(ROM)(806)이 프로세서(802)에 의해 사용되는 펌웨어를 저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ROM(806)은 임의의 유형의 리드-온리 메모리, 가령, 프로그램 가능한 ROM(PROM), 소거 가능한 PROM(EPROM) 등일 수 있다.
호스트 또는 시스템 버스(804)가 메모리 제어기(814)로 연결될 수 있고, 사기 메모리 제어기는 다시 메모리 버스(816)를 통해 메모리(812)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비게이션 방향 확립 실시예는 임의의 저장장치, 가령, 휘발성 저장장치, 가령, 메모리(812)뿐 아닐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와 관련된다. 도 8은 애플리케이션, 모듈, 데이터 및 그 밖의 다른 정보가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다양한 대표적 저장 장치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버스(804)는 내부 저장 인터페이스(830)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저장 인터페이스는 다시 드라이브(들)(832), 가령, 하드 드라이브로 연결될 수 있다. 저장장치(834)는 드라이브와 연관 또는 그 밖의 다른 방식으로 함께 동작 가능하다. 이러한 저장장치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및 그 밖의 다른 자기 또는 광학 매체, 플래시 메모리 및 그 밖의 다른 솔리드-스테이트 장치 등이 있다. 내부 저장장치 인터페이스(830)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시 매체를 위한 인터페이스(836)가 버스(804)로 연결될 수 있다. 드라이브(838)는 이동식 저장장치 인터페이스(836)로 연결되어, 이동식 저장장치(840), 가령, 플로피 디스크, 컴팩트-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CE-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및 그 밖의 다른 광 디스크 또는 저장장치, 가입자 식별 모듈(SIM), 무선 식별 모듈(WIM), 메모리 카드, 플래시 메모리, 외부 하드 디스크 등을 수용하고 이에 대해 작용한다. 일부 경우, 호스트 어댑터(842)가 외부 저장장치(844)를 액세스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어댑터(842)는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광섬유 채널,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또는 eSATA 및/또는 외부 저장장치(844)로 연결할 수 있는 그 밖의 다른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렬 향상된 기법 외부 저장장치와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6)를 이용해, 또 다른 원격 저장장치가 컴퓨팅 장치(800)로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6)와 연관된 유선 및 무선 송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850)를 통한 저장장치(848)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저장장치(848)는 이산 저장 장치 또는 또 다른 컴퓨팅 시스템, 서버 등과 연관된 저장장치일 수 있다. 원격 저장장치 및 시스템과의 통신은 유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무선 LAN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가령, 글로벌 영역 네트워크(GAN), 가령 인터넷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외부 소스로부터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여, 가령, 운영 체제 언어 등의 표시, 코드 또는 업데이트를 위해 문서 및 그 밖의 다른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장치(800)와 그 밖의 다른 장치 간의 통신이 직접 배선, 피어-투-피어 네트워크, 로컬 인프라구조 기반 네트워크(가령, 유선 및/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오프-사이트 네트워크, 가령,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및 그 밖의 다른 광역 네트워크, 글로벌 영역 네트워크 등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이들 또는 그 밖의 다른 통신 방법들 중 임의의 것으로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대표적 컴퓨팅 장치의 구조적 능력을 도시하기 위해 송신기(852) 및 수신기(854)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송신기(852) 및/또는 수신기(854) 장치는 자립형 구성요소이거나, 송수신기로 일체화되거나 그 밖의 다른 통신 장치, 가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46) 등의 기존 부분으로 일체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812) 및/또는 저장장치(834, 840, 844, 848)가 초기 내비게이션 방향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동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장장치/메모리(860)는 메모리(812), 저장장치(834, 840, 844, 848) 및/또는 그 밖의 다른 데이터 보유 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대표적 장치의 저장/메모리(860)가 운영 체제(862)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체제는 장치 GUI를 표시하기 위한 코드/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표시 모듈(875)이 UI, 가령, 언어에 따라 배향될 수 있는 GUI의 표시를 담당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운영 체제(862)와 연관하여, 또는 이와 별개로, 본 명세서의 기재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방향 결정 모듈(870)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정 모듈(870)은 터치스크린(892) 상에서 또는 그 밖의 다른 사용자 입력(890)을 통해 사용자가 제스처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서 실행형 명령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방향 결정 모듈(872)이 사용자 입력 방향 결정 모듈(870)을 통해 결정되는 방향성 정보를 고려하여 콘텐츠 패턴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방향이 우에서 좌로 결정되는 경우, 내비게이션 방향 결정 모듈(872)은 이러한 제스처가 LTR 내비게이션 콘텐츠 패턴 방향에 대응한다고 확정할 수 있다. 덧붙여, 사용자의 초기 제스처로부터 결정된 내비게이션 방향에 대응하도록 내비게이션 패턴 확립/할당 모듈(874)이 제공될 수 있다. 이들 모듈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운영 체제(862)와 별도로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운영 체제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장치/메모리(860)가 데이터(86) 및 그 밖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868)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운영 체제가 아닌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868)을 통해, 어떠한 모듈(870, 872, 874)이라도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문서 및 그 밖의 다른 콘텐츠가 인터넷 또는 그 밖의 다른 외부 소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지만 콘텐츠(876)는 메모리(812)에 일시적으로 저장 및/또는 저장장치(834, 840, 844, 848) 중 임의의 것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876)는 복수의 부분, 가령, 문서의 페이지(1-20)로 표시되는 다중-페이지 또는 다중-세그먼트 콘텐츠일 수 있는데, 이들 부분은 원본 문서와 연관될 수도 있고 또는 컴퓨팅 장치(800)에서 재포맷팅될 수도 있다. 이들 모듈 및 데이터는 설명 목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모든 리스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기술되거나 본 명세서의 기술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저장장치/메모리(860)와 연관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는 사용자 제스처를 적어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890) 또는 터치-기반 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890) 메커니즘의 특정 예시가 프로세서(802)를 이용 및/또는 이의 고유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C(894)를 포함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892)으로 별도로 나타난다. 상기 컴퓨팅 장치(800)는 문서 또는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시각 메커니즘, 가령, 디스플레이(896)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8의 대표적 컴퓨팅 장치(800)는 예시 목적으로 제공되며, 프로세싱 능력을 갖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가 본 명세서의 설명을 이용해 본 명세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앞의 예시에서 사용될 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사용자의 방향성 입력 또는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내비게이션 패턴 방향을 확립하는 것을 촉진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가령, (하나 이상의 물리 프로세서 및/또는 논리 프로세서, 제어기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컴퓨팅 장치(들)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방법이 기재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를 통해 프로세싱되도록 정보를 준비하는 회로에 의해 액세스되고 읽힐 수 있는 컴퓨터 판독형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형 매체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기법, 가령, 메모리(812), 저장장치(834, 840, 844, 848) 및/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을 구현하는 임의의 적합한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이용형 매체 내에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형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행 가능한 기능의 저장이 수행되게 하는 컴퓨터 판독형 매체를 도출한다. 따라서 용어 "컴퓨터 판독형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덕트", "컴퓨터 판독형 저장장치, "컴퓨터 판독형 매체"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임의의 컴퓨터 이용형 매체 상에서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존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대로 명령이 컴퓨터 판독형 매체 상에 저장되는 것은 명령이 전파되거나 전송되는 것과 구별되는데, 명령을 저장하는 것과 비교해서 전파는 명령을 전송하는 것은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형 매체를 이용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저장된 명령을 갖는 컴퓨터 판독형 매체는, 이러한 또는 유사한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 또는 유지될 수 있는 유형의 매체(tangible media)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구조적 특징부 및/또는 방법적 동작에 특정된 언어로 기재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발명이 반드시 상기 특정 특징부 또는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앞서 기재된 특정 특징부 및 동작은 특허청구범위를 구현하는 대표적 형태로서 개시된 것이다.

Claims (10)

  1.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시퀀스로 배열되는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advance)시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한 내비게이션 방향(navigation direction)을 확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터치-기반 입력을 통해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와 관련된 제 1 방향성 터치 제스처로부터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는 방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성 터치 제스처로부터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는 방향을 수신하는 단계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에 적용되는 시뮬레이트된 페이지 넘김 모션으로부터 방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새로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해 상기 내비게이션 방향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새로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새로운 사용자 입력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상기 새로 표시되는 콘텐츠에 대해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는 방향을 나타내는 초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동일 방향을 의미하는 추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배열된 시퀀스에서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를 전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
  6.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을 내비게이션 전진시키기 위한 제 1 시도의 방향을 전달하는 초기 사용자-개시 제스처(initial user-initiated gesture)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터치-기반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개시 제스처의 전달되는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전달되는 방향을 기초로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결정하며, 상기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의 내비게이션 방향으로서 상기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상기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의 현재 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초기 사용자-개시 제스처와 동일 방향인 추가 사용자-개시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에서 전진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초기 사용자-개시 제스처에 일반적으로 반대 방향인 추가 사용자-개시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에서 후진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운영 체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상기 사용자-개시 제스처의 전달된 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결정하며, 다중-부분 콘텐츠 아이템의 내비게이션 방향으로서 상기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운영 체제와 연관된 명령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기반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에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장치.
KR1020147006941A 2011-09-14 2012-09-10 방향성 사용자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 확립 기법 KR201400756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31,962 US20130067366A1 (en) 2011-09-14 2011-09-14 Establishing content navigation direction based on directional user gestures
US13/231,962 2011-09-14
PCT/US2012/054396 WO2013039817A1 (en) 2011-09-14 2012-09-10 Establishing content navigation direction based on directional user ges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681A true KR20140075681A (ko) 2014-06-19

Family

ID=4783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941A KR20140075681A (ko) 2011-09-14 2012-09-10 방향성 사용자 제스처를 기초로 하는 콘텐츠 내비게이션 방향 확립 기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30067366A1 (ko)
EP (1) EP2756391A4 (ko)
JP (1) JP6038927B2 (ko)
KR (1) KR20140075681A (ko)
CN (1) CN102999293A (ko)
AU (1) AU2012308862B2 (ko)
BR (1) BR112014005819A2 (ko)
CA (1) CA2847550A1 (ko)
IN (1) IN2014CN01810A (ko)
MX (1) MX2014003188A (ko)
RU (1) RU2627108C2 (ko)
WO (1) WO20130398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8783B2 (ja) * 2009-10-01 2014-04-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11326B2 (ja) * 2012-02-10 2016-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97533A (ko) * 2012-02-24 201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전환 방법 및 장치
US20150160805A1 (en) * 2012-06-13 2015-06-11 Qatar Foundation Electronic Read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6064393B2 (ja) * 2012-07-02 2017-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出力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出力装置
US9591339B1 (en) 2012-11-27 2017-03-07 Apple Inc. Agnostic media delivery system
US9774917B1 (en) 2012-12-10 2017-09-26 Apple Inc. Channel bar user interface
US10200761B1 (en) 2012-12-13 2019-02-05 Apple Inc. TV side bar user interface
US20140172568A1 (en) * 2012-12-14 2014-06-19 Michael Alan Cunningham PI-TRAMPING Pages
US9532111B1 (en) 2012-12-18 2016-12-27 Apple Inc. Device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hints on a display
US10521188B1 (en) 2012-12-31 2019-12-31 Apple Inc. Multi-user TV user interface
US9785240B2 (en) * 2013-03-18 2017-10-10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aware selection
JP6278262B2 (ja) * 2014-03-12 2018-02-14 ヤマハ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
US9760275B2 (en) * 2014-04-11 2017-09-12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skipping through media content
EP3126953A1 (en) 2014-06-24 2017-02-08 Apple Inc. Column interface for navigating in a user interface
EP4242814A3 (en) 2014-06-24 2023-10-18 Apple Inc. Input device and user interface interactions
US10203865B2 (en) 2014-08-25 2019-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ument content reordering for assistive technologies by connecting traced paths through the content
CN105138263A (zh) * 2015-08-17 2015-12-0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在应用内跳转至特定页面的方法与装置
US10353564B2 (en) * 2015-12-21 2019-07-16 Sap Se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virtual extension areas
US10397632B2 (en) 2016-02-16 2019-08-27 Google Llc Touch gesture control of video playback
DK201670582A1 (en) 2016-06-12 2018-01-02 Apple Inc Identifying applications on which content is available
DK201670581A1 (en) 2016-06-12 2018-01-08 Apple Inc Device-level authorization for viewing content
US11966560B2 (en) 2016-10-26 2024-04-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browsing content from multiple content applications on an electronic device
WO2018132971A1 (zh) * 2017-01-18 2018-07-26 廖建强 一种交互控制方法和终端
US10379882B2 (en) * 2017-05-12 2019-08-13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iz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 personal device of a user
KR102000722B1 (ko) * 2017-09-12 2019-07-16 (주)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전기집진필터의 대전부 구조
DK201870354A1 (en) 2018-06-03 2019-12-20 Apple Inc. SETUP PROCEDURE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683565B2 (en) 2019-03-24 2023-06-2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channels that provide content that plays in a media browsing application
US11962836B2 (en) 2019-03-24 2024-04-1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 media browsing application
EP3928526A1 (en) 2019-03-24 2021-12-2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viewing and accessing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CN113711169A (zh) 2019-03-24 2021-11-26 苹果公司 包括内容项的可选表示的用户界面
US11863837B2 (en) 2019-05-31 2024-01-02 Apple Inc. Notifica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EP3977245A1 (en) 2019-05-31 2022-04-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 podcast browsing and playback application
US11843838B2 (en) 2020-03-24 2023-1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episodes of a content series
CN111580718A (zh) * 2020-04-30 2020-08-2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应用程序的页面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899895B2 (en) 2020-06-21 2024-02-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etting up an electronic device
US11720229B2 (en) 2020-12-07 2023-08-0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browsing and presenting content
US11934640B2 (en) 2021-01-29 2024-03-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record labels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5599A (ja) * 1984-12-19 1986-07-03 日本電気株式会社 連続音声認識装置
US5543590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JP3671259B2 (ja) * 1995-05-31 2005-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
US5874948A (en) * 1996-05-28 1999-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pointing device for touchscreens
WO1999028811A1 (en) * 1997-12-04 1999-06-10 Northern Telecom Limited Contextual gesture interface
US6037937A (en) * 1997-12-04 2000-03-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Navigation tool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US7840912B2 (en) * 2006-01-30 2010-11-23 Apple Inc. Multi-touch gesture dictionary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8220017B1 (en) * 1998-04-30 2012-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atic generation of continuous media presentations
US6639584B1 (en) * 1999-07-06 2003-10-28 Chuang Li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touchpad
JP2001265481A (ja) * 2000-03-21 2001-09-28 Nec Corp ページ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ページ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7009626B2 (en) * 2000-04-14 2006-03-07 Picsel Technologie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graphical data and digital document processing
US6907574B2 (en) * 2000-11-29 2005-06-14 Ictv, Inc. System and method of hyperlink navigation between frames
US7219309B2 (en) * 2001-05-02 2007-05-15 Bitstream Inc. Innovations for the display of web pages
US20030078965A1 (en) * 2001-08-22 2003-04-24 Cocotis Thomas A. Outpu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inting via wireless devices
US9164654B2 (en) * 2002-12-10 2015-10-20 Neonode Inc. User interface for mobile computer unit
US6990639B2 (en) * 2002-02-07 2006-01-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process for controlling electronic components in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using multimodal integration
US7193609B2 (en) * 2002-03-19 2007-03-20 America Online, Inc. Constraining display motion in display navigation
CN101673181A (zh) * 2002-11-29 2010-03-1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触摸区域的移动表示的用户界面
US7218779B2 (en) * 2003-01-21 2007-05-15 Microsoft Corporation Ink divider and associated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US7369102B2 (en) * 2003-03-04 2008-05-0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 smaller display
US7256773B2 (en) * 2003-06-09 2007-08-14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on of a dwell gesture by examining parameters associated with pen motion
US7406696B2 (en) * 2004-02-24 2008-07-29 Dialog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put information to multiple independent, concurrent applications
US8684839B2 (en) * 2004-06-18 2014-04-01 Igt Control of wager-based game using gesture recognition
US7761814B2 (en) * 2004-09-13 2010-07-20 Microsoft Corporation Flick gesture
US20060121939A1 (en) * 2004-12-03 2006-06-08 Picsel Research Limited Data processing devices and systems with enhanced user interfaces
US20060123360A1 (en) * 2004-12-03 2006-06-08 Picsel Research Limited User interfaces for data processing devices and systems
US7750893B2 (en) * 2005-04-06 2010-07-06 Nintendo Co., Ltd. Storage medium storing input posi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put position processing device
US8739052B2 (en) * 2005-07-27 2014-05-27 Microsoft Corporation Media user interface layers and overlays
US20070028268A1 (en) * 2005-07-27 2007-02-01 Microsoft Corporation Media user interface start menu
US7761812B2 (en) * 2005-07-27 2010-07-20 Microsoft Corporation Media user interface gallery control
US7810043B2 (en) * 2005-07-27 2010-10-05 Microsoft Corporation Media user interface left/right navigation
US7733329B2 (en) * 2005-10-19 2010-06-08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attern detection using an optical navigation device
US7783698B2 (en) * 2005-12-16 2010-08-24 Microsoft Corporation Generalized web-service
GB0611452D0 (en) * 2006-06-12 2006-07-19 Plastic Logic Ltd Page refreshing e-reader
US20080040692A1 (en) * 2006-06-29 2008-02-14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 input
US8564543B2 (en) * 2006-09-11 2013-10-22 Apple Inc.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US8736557B2 (en) * 2006-09-11 2014-05-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US20080104547A1 (en) * 2006-10-25 2008-05-01 General Electric Company Gesture-based communications
US20080177528A1 (en) * 2007-01-18 2008-07-24 William Drewes Method of enabling any-directional translation of selected languages
US20130219295A1 (en) * 2007-09-19 2013-08-22 Michael R. Feldman Multimedia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090100380A1 (en) * 2007-10-12 2009-04-16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ng through content
US8593408B2 (en) * 2008-03-20 2013-11-2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ocum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EP2291729B1 (en) * 2008-04-30 2013-06-05 N-Trig Ltd. Multi-touch detection
US8375336B2 (en) * 2008-05-23 2013-02-12 Microsoft Corporation Panning content utilizing a drag operation
US8423889B1 (en) * 2008-06-05 2013-04-16 Amazon Technologies, Inc. Device specific presentation control for electronic book reader devices
WO2010011728A2 (en) * 2008-07-25 2010-01-2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navigational views on a portable device
JP5246769B2 (ja) * 2008-12-03 2013-07-24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473467B2 (en) * 2009-01-02 2013-06-25 Apple Inc. Content profiling to dynamically configure content processing
US8704767B2 (en) * 2009-01-29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Environmental gesture recognition
JP5267229B2 (ja) * 2009-03-09 2013-08-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8572513B2 (en) * 2009-03-16 2013-10-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8677282B2 (en) * 2009-05-13 2014-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finger touch adaptations for medical imaging systems
US8407623B2 (en) * 2009-06-25 2013-03-26 Apple Inc. Playback control using a touch interface
US8347232B1 (en) * 2009-07-10 2013-01-01 Lexcycle, Inc Interactive user interface
JP5184463B2 (ja) * 2009-08-12 2013-04-1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そのページめくり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US8843849B2 (en) * 2009-11-09 2014-09-23 Blackberry Limited Directional navigation of page content
US8510677B2 (en) * 2010-01-06 2013-08-1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range of values
JP5752708B2 (ja) * 2010-01-11 2015-07-2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テキスト処理及び表示
US8957866B2 (en) * 2010-03-24 2015-02-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axis navigation
US8762893B2 (en) * 2010-05-14 2014-06-24 Google Inc. Automatic derivation of analogous touch gestures from a user-defined gesture
US20120089951A1 (en) * 2010-06-10 2012-04-12 Cricket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within a multi-level application
US9223475B1 (en) * 2010-06-30 2015-12-29 Amazon Technologies, Inc. Bookmark navigation user interface
US20120066591A1 (en) * 2010-09-10 2012-03-15 Tina Hackwell Virtual Page Turn and Page Flip via a Touch Sensitive Curved, Stepped, or Angled Surface Side Edge(s) of an Electronic Reading Device
CH703723A1 (de) * 2010-09-15 2012-03-15 Ferag Ag Verfahren zur konfiguration einer grafischen benutzerschnittstelle.
US8610668B2 (en) * 2010-09-30 2013-12-17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omputer keyboard with input device
EP2437151B1 (en) * 2010-10-01 202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KR20130124502A (ko) * 2010-10-01 2013-11-14 톰슨 라이센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CA2743154A1 (en) * 2010-12-16 2012-06-16 Exopc Method for simulating a page turn in an electronic document
US9436381B2 (en) * 2011-01-24 2016-09-0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annotating an electronic document
US9250798B2 (en) * 2011-01-24 2016-02-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a dynamic gesture disambiguation threshold
US8593420B1 (en) * 2011-03-04 2013-11-26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tactile output and interaction
EP2508972B1 (en) * 2011-04-05 2017-10-18 2236008 Ontario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20130055141A1 (en) * 2011-04-28 2013-02-28 Sony Network Entertainment International Llc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books
US20120289156A1 (en) * 2011-05-09 2012-11-15 Wesley Boudville Multiple uses of an e-book reader
US9274694B2 (en) * 2011-05-17 2016-03-01 Next Issue Medi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age-based content delivery
US8751971B2 (en) * 2011-06-05 2014-06-1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US20130227398A1 (en) * 2011-08-23 2013-08-29 Opera Software Asa Page based navigation and presentation of web content
US9996241B2 (en) * 2011-10-11 2018-06-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multiple software functionality content items
US20130179796A1 (en) * 2012-01-10 2013-07-11 Fanhattan Llc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a user interface using a touch-enabled input device
US20130257749A1 (en) * 2012-04-02 2013-10-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content on a user equipment having a multi-region touch sensitive display
US20140164923A1 (en) * 2012-12-12 2014-06-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Intelligent Adaptive Content Canvas
US9395898B2 (en) * 2012-12-14 2016-07-19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9817A1 (en) 2013-03-21
BR112014005819A2 (pt) 2017-03-28
AU2012308862B2 (en) 2017-04-20
CN102999293A (zh) 2013-03-27
JP2014527251A (ja) 2014-10-09
EP2756391A4 (en) 2015-05-06
MX2014003188A (es) 2015-04-13
US20130067366A1 (en) 2013-03-14
RU2014109754A (ru) 2015-09-20
RU2627108C2 (ru) 2017-08-03
CA2847550A1 (en) 2013-03-21
IN2014CN01810A (ko) 2015-05-29
EP2756391A1 (en) 2014-07-23
JP6038927B2 (ja) 2016-12-07
AU2012308862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8927B2 (ja) 指向的ユーザジェスチャに基づくコンテンツナビゲーション方向の確立
US8543941B2 (en) Electronic book contextual menu systems and methods
US20180275867A1 (en) Scrapbooking digital content in computing devices
US9552015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n electronic document
US10871893B2 (en) Using gestures to deliver content to predefined destinations
MX2013003562A (es) Vista previa de contenido.
KR20140000726A (ko) 데이터 스크랩을 이용한 메모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