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708A -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708A
KR20140074708A KR1020120142969A KR20120142969A KR20140074708A KR 20140074708 A KR20140074708 A KR 20140074708A KR 1020120142969 A KR1020120142969 A KR 1020120142969A KR 20120142969 A KR20120142969 A KR 20120142969A KR 20140074708 A KR20140074708 A KR 20140074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ating layer
silver
polypodamine
silver nano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이정환
김효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708A/ko
Publication of KR20140074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재층의 일 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우수한 접착력을 갖도록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조공정이 매우 빠르고 단순하여 상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가 가능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Transparent electro-conductive film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제조시 은 함유 층을 효율적이고 우수한 접착력으로 기재층에 적층이 가능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은 진공 증착 금속 산화물(vacuum deposited metaloxide)은 글래스(glass)와 중합체 막(polymeric film)과 같은 유전체 표면들에 대해 광학적 투명성 및 전기적 도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산업 표준 물질이다. 그러나, 금속 산화막은 약하고 휨이나 다른 물리적인 스트레스들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또한, 이들은 높은 도전성 수준들을 달성하기 위해 높은 증착온도 및/또는 높은 어닐링(annealing) 온도를 요한다. 플라스틱 및 유기 기판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습기를 흡착하기 쉬운 기판들에게 급속 산화막의 접착력이 또한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flexible) 기판 상에 금속 산화막을 적용하는 것은 매우 제한된다. 또한, 진공 증착은 비용이 많이 드는 공정이고 특수한 장비를 요구한다. 더구나, 진공 증착 공정은 패턴 및 회로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는 전형적으로 포토리소그래피와 같이 비용이 많이 드는 패터닝 공정들로 귀결된다.
기존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낮은 전도율 값과 높은 광흡수성을 가지며, 화학적 및 장기적 안정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저비용, 고처리율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적절한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 등을 갖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최근 나노 크기의 입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나노 크기의 금속 물질에 대한 제조 및 응용 분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노 입자는 같은 화학적 조성을 갖는 벌크상의 재료들과 비교하여 독특한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성질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자재료, 센서, 흡착제, 크로마토그래피의 충진제, 촉매 담체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일차원적 구조(rods, wires, tubes, belts)를 가진 여러 금속 물질들은 나노 크기의 장치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대는 일차원적 구조를 지닌 물질들이 가지는 특별한 전기적, 기계적 물성에 기인하고, 일반적으로 나노 크기 금속 물질의 물성은 그것들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변화된다. 필요한 물성을 얻기 위한 방법은 나노 크기 물질의 형태를 어떻게 조절하는가에 따라 달라지며, 따라서 형태조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금속 나노입자는 최근 일차원 구조를 가진 물질 중 그것들의 제조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은(Ag)은 모든 금속 중에서 가장 높은 전기 및 열전도도를 가지는 특성으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은은 상업적으로 응용분야가 넓고, 이러한 은의 일차원적 구조로의 변화는 높은 종횡비(aspect ratio)와 잘 정제된 결정면의 조절을 통해 여러 응용분야로의 확대가 기대되고 있는 바이다.
이러한 금속 나노입자를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에 도입하기 위한 여러 연구 및 제품이 있으나, 금속 나노입자를 비금속인 기질층에 적용하기 위해 별도의 접착제 등의 접착 수단을 사용해왔으며, 이러한 접착 수단은 전기 전도성을 떨어뜨리고 접착력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또한 기질층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를 결합 또는 접착시키는 공정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서 상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유저(user)와의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며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어 사용 범위가 매우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의 전기적 신호는 투명 전극, 전도성 물질, 이방 전도성 접착제(ACA)를 통하여 연성회로기판으로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고분자 기판과 이방 전도성 접착제간의 접합력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제조시 은 나노입자층을 기재층에 형성할 때, 오랜 시간 걸리던 것을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도입하여 단시간에 은 나노입자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층과 은 나노입자 코팅층 사이에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도입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기재층; 폴리도파민 코팅층; 및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 폴리도파민 코팅층 및 은 나노입자 코팅층이 차례대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몰포스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세롤(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G), 변성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디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DCPD), 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CP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및 변성 에폭시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의 폴리도파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n은 중량평균분자량 10 ~ 2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상기 기재층은 평균두께 10 ㎛ ~ 1,000 ㎛일 수 있고,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은 평균두께 20 ~ 50 nm일 수 있으며,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은 평균두께 100 ~ 1,0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은 은 나노입자 코팅층 전체 중량 중 은 나노입자를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99.9%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UV스펙트로미터로 측정시, 흡수파장 380 ~ 420 nm 이며 ASTM D257 방법으로 측정시 표면저항 300 ~ 500 Ω/square 및 ASTM D1003 방법으로 측정시 투과도 85% 이상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앞서 설명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일표면에 폴리도파민 코팅제를 코팅시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은 나노입자(Ag nanoparticles) 용액에 상기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함침시킨 후, 환원제를 적하 및 교반시켜서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일표면에 폴리도파민 코팅제를 코팅시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은 나노시드(Ag nanoseed) 용액에 용액에 환원제를 적하 및 교반시켜서 은 나노입자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은 나노입자 용액을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세척, 건조 및 어닐링(anneal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폴리도파민 폴리머, 완충액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산 조절제 및 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pH 8~9.5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전체 중량 중 폴리도파민 폴리머를 2 mg/ml ~ 50 mg/ml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폴리도파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n은 중량평균분자량 10 ~ 2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완충액은 트리즈염기(Triz base),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TBE(Tris/Borate/EDTA), TBS (Tris-buffered saline),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은 나노시드 용액은 은 나노시드를 포함하며, 또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티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실란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은 나노시드 전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3는 에틸렌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디메틸 실록산기, 프로필렌기, 페닐렌기 또는 페닐렌 옥사이드기 이며,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3는 에틸렌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디메틸 실록산기, 프로필렌기, 페닐렌기 또는 페닐렌 옥사이드기이며, R4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에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은 나노와이어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의 상기 환원제는 C2 ~ C6의 글리콜,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히드라진, 글리세린, 글리세롤 및 글루코스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환원제는 은 나노입자 수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은 나노시드 용액에 상기 환원제를 분당 0.1 ~ 0.5 ㎖ 속도로 30분 ~ 1시간 동안 적하시켜서 환원시켜서 은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기재층의 일 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우수한 접착력을 갖도록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조공정이 매우 빠르고 단순하여 상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도 1에 개략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층과 은 나노입자 코팅층 사이에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도입한 것으로서, 상기 기재층, 폴리도파민 코팅층 및 은 나노입자 코팅층이 차례대로 적층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당업계에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기재층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고분자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몰포스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세롤(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G), 변성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디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DCPD), 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CP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및 변성 에폭시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DOPA(3,4-dihydroxy-L-phenylalanine)는 기판들과 강한 공유결합 또는 비공유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물질이며, DOPA의 이러한 특성은 DOPA의 카테콜(catechol) 그룹에서 오게 되며 이러한 특성을 향상시키는 라이신 아미노산의 특징은 아민 그룹에서 오게 된다. 따라서 DOPA의 카테콜 그룹 및 라이신 아미노산의 아민 그룹을 동시에 갖는 폴리도파민은 접착제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폴리도파민의 작용기에 의해 계면 접합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폴리도파민 물질을 코팅층으로 도입하였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의 폴리도파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n은 중량평균분자량 10 ~ 200을, 바람직하게는 100 ~ 2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그리고,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폴리도파민 코팅제 총 중량 중 폴리도파민 폴리머의 농도가 2 ~ 50 mg/ml으로, 바람직하게는 2 ~ 30 mg/ml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폴리도파민이 2 mg/ml 미만이면 전기전도성 물질과 고분자 수지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mg/ml를 초과하면 폴리도파민 폴리머의 양이 늘어남에 따른 효과 증대가 없기 때문에 비경제적이고, 폴리도파민 수지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전기전도성 수지의 다른 조성물과 혼합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폴리도파민 폴리머 외에 완충액, 용매 및 산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액은 pH 조절을 위한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을 하지 않으나 트리즈염기(Triz base),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TBE(Tris/Borate/EDTA), TBS (Tris-buffered saline),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매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증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 조절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HC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pH 8 ~ 9.5가 바람직하며, 폴리도파민 코팅제의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기재층 및/또는 은 나노입자 코팅층과의 박리접합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상기 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산화제는 반응 속도를 높이는 중요한 인자로서 산화력이 높을수록 반응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상기 산화제는 과요오드산나트륨(sodium perioate), 디메틸디옥시란(dimethyldioxirane), 과망간산칼륨(Potassium Permanganate),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트리플루오로퍼아세트산(trifluoroperacetic acid),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N-methylmorpholine N-oxide) 및 옥손(oxon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크린 프린터, 잉크젯 등을 이용한 패턴 프린팅법을 사용하거나 도는 함침법을 통해서 기재층의 일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은 폴리도파민 코팅층의 일 표면에 형성시키는데, 기재층에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형성시킨 필름을 은 나노시드 용액에 함침시킨 후, 환원제를 일정 속도로 적하 및 교반시켜서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거나, 또는 은 나노입자 용액을 먼저 제조한 다음 폴리도파민 코팅층의 일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코팅 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크린 프린터, 잉크젯 등을 이용한 패턴 프린팅법을 사용하거나 도는 함침법을 통해서 폴리도파민 코팅층의 일 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은 나노시드 용액은 은 나노시드 외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티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실란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은 나노시드 전구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티올 화합물 및 상기 실란 화합물은 균일한 은 나노입자 성장 및 제조를 위한 것으로서, 은 나노시드 표면에 유기분자사슬을 도입하여 비등방성 형태의 나노시드를 형성시킨 다음 이러한 비등방성 은 나노시드를 이용하여 은 나노입자를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좀 더 설명하면, 은 나노시드 표면에 유기분자사슬이 도입되면 은 나노시드 표면에 결합하지 않은 유기분자사슬의 반대쪽 끝(말단기) 또는 말단기 이전의 사슬 주성분과 용매와의 사용성 또는 용해성 차이로 동일 성분인 주위의 사슬들과 가까이 있는 것이 보다 안정한 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은 나노시드 하나 하나가 흩어져 있는 것 보다는 주위의 말단기 또는 사슬 성분과 응집이 되어 있는 것이 은 나노입자 형성에 유리한 것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3는 에틸렌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디메틸 실록산기, 프로필렌기, 페닐렌기 또는 페닐렌 옥사이드기 이며,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3는 에틸렌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디메틸 실록산기, 프로필렌기, 페닐렌기 또는 페닐렌 옥사이드기이며, R4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에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은 나노시드는 평균입경이 1 ~ 30 nm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2 ~ 25 nm인 것이 좋으며, 이는 상기 아민 말단 티올 화합물 및/또는 상기 아민 말단 실란 화합물 각각 화합물 길이의 1배 ~ 5배 정도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은 나노시드의 평균입경이 1 nm 미만이면 은 나노시드와 결합한 상기 아민 말단 티올 화합물 및/또는 상기 아민 말단 실란 화합물의 사슬이 랜던 코일(random coil)화 되어 나노시드 주위의 코일의 밀도가 높아져서 비등방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고, 은 나노시드의 평균입경이 30 nm를 초과하면 은 나노시드와 결합되는 화합물의 말단의 영향을 받아서 비등방성 발현을 위한 사슬간 응집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은 나노입자 코팅층 형성에 사용되는 상기 환원제는 은 나노시드를 폴리올 공정을 통해서 은 나노입자를 성장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폴리올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금속염이 액상 폴리올에 의해 용해되고 용해된 염이 폴리올에 의해 환원되고, 금속입자가 핵생성 및 나노입자로 성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환원제로는 C2 ~ C6의 글리콜,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히드라진, 글리세린, 글리세롤 및 글루코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2 ~ C6의 글리콜 및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원제는 은 나노입자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 30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4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은입자를 환원시키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은 입자가 너무 빠르게 환원이 일어나 뭉침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은 나노입자 코팅층의 은 나노입자는 평균입경 -10 ~ 100 nm를, 바람직하게는 10 ~ 30 nm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은 은 나노입자 코팅층 전체 중량 중 은 나노입자를 90중량%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90 ~ 99.9 중량%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98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은데, 90 중량% 미만이면 전기 전도성이 떨어지게 되고, 은 나노입자 코팅층의 함량이 높을수록 전기 전도성이 효과가 좋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평균두께 10 ㎛ ~ 1,00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 5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300 ㎛인 것이 필름의 박리화 측면에서 좋다.
그리고,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은 평균두께 20 ~ 50nm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20 ~ 30nm인 것이 좋으며, 20nm 미만이면 은 나노와이어 코팅층이 기재층으로부터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nm를 초과하면 코팅시간이 길어져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필름 박리화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은 평균두께 100 ~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100 ~ 300nm인 것이 좋으며, 100nm 미만이면 전기 전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00nm 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효율 증대가 없을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UV스펙트로미터로 측정시, 흡수파장 380 ~ 420 nm 이며, ASTM D257 방법으로 측정시 표면저항 300 ~ 500 Ω/sq, 바람직하게는 300 ~ 450 Ω/sq,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400 Ω/sq일 수 있다. 그리고, ASTM D1003 방법으로 측정시 투과도 85%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85% ~ 95%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기재층의 일표면에 폴리도파민 코팅제를 코팅시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은 나노시드(Ag nanoseed) 용액에 상기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함침시킨 후, 환원제를 적하 및 교반시켜서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기재층의 일표면에 폴리도파민 코팅제를 코팅시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은 나노시드 용액에 환원제를 적하 및 교반시켜서 은 나노입자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은 나노입자 용액을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세척, 건조 및 어닐링(anneal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크린 프린터, 잉크젯 등을 이용한 패턴 프린팅법을 사용하거나 도는 함침법을 통해서 기재층의 일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폴리도파민 외에 완충액, 증류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의 조성비, 조성물들의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은 나노시드 용액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은 나노시드 외에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티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실란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은 나노시드 전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3는 에틸렌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디메틸 실록산기, 프로필렌기, 페닐렌기 또는 페닐렌 옥사이드기 이며,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3는 에틸렌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디메틸 실록산기, 프로필렌기, 페닐렌기 또는 페닐렌 옥사이드기이며, R4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에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크린 프린터, 잉크젯 등을 이용한 패턴 프린팅법을 사용하거나 도는 함침법을 통해서 폴리도파민 코팅층의 일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은 나노입자 용액을 먼저 제조한 후에 폴리도파민 코팅층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은 나노시드로부터 은 나노입자 형성과 동시에 폴리도파민 코팅층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은 나노입자 용액을 먼저 제조하는 경우, 은 나노시드 용액에 상기 환원제를 분당 0.1 ~ 0.5 ㎖ 속도로 30분 ~ 1시간 동안 적하시켜서 환원시켜서 은 나노입자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은 나도시드 용액으로부터 은 나노입자 형성과 동시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경우 또한, 은 나노시드 용액에 환원제를 적하시에도 환원제를 분당 0.1 ~ 0.5 ㎖ 속도로 30분 ~ 1시간 동안 적하 및 환원시켜서 은 나노입자를 형성된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환원제를 분당 0.1 ㎖ 속도 미만으로 적하시 은 나노입자의 길이가 너무 짧게 성장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분당 0.5 ㎖ 속도를 초과하여 적하시 은 나노입자가 너무 빨리 성장하고 그 길이가 너무 길어서 성장한 은 나노입자간에 뭉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속도로 환원제를 적하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환원제의 적하 시간은 환원제의 투입 속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해지게 되며, 은 수용액 100 중량부에 대한 4 ~ 30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1) 은 나노시드 용액의 제조
평균입경 10 nm의 은 나노시드 0.18g을 용매 100 ㎖에 투입한 후, 하기 화학식 3-1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티올 화합물 0.25g을 투입, 교반 및 용해시켜서 은 나노시드 용액을 준비하였다.
[화학식 3-1]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3-1에서,R1 및 R2는 n-프로필기이고, R3는 에틸렌기이며, n은 2이다.
(2) 폴리도파민 용액의 제조
염산으로 pH 8.5로 조절된 트리즈 염기(Trizma base) 완충액 100 ㎖ 에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폴리머 10 mg/ ㎖의 농도가 되도록 투입한 다음, 과요오드산나트륨을 1 당량 첨가하여 용해시켜서 폴리도파민 수지(이하 DOPA 수지로 칭함)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1-1에서 n은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 100 ~ 11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3) 기재층 - 폴리도파민 코팅층 형성
기재층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제조사 : 웅진케미칼, 평균두께 125㎛)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일 표면에 상기 폴리도파민 용액을 교반과 함께 함침하는 방법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일 표면에 폴리도파민 코팅층(평균두께 20nm) 형성시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였다.
(4) 은 나노입자 코팅층 형성
상기 은 나노시드 용액 100 ㎖에 상기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함침시켰다.
다음으로, 여기에 수소화붕소나트륨(환원제)를 분당 0.15 ㎖ 속도로 30 동안 적하시키는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시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의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 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평균두께 300nm)을 형성시켰다. 이때, 은 나노입자 코팅층은 은 나노입자 코팅층 전제 중량 중 은 나노입자를 94 중량%로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80℃에서 5 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어닐링을 수행하여 폴리도파민 코팅층-은 나노입자 코팅층이 형성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은 나노시드 용액 100ml에 수소화붕소나트륨(환원제)를 분당 0.15 ㎖ 속도로 30분 동안 평균입경 60 nm 인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은 나노입자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액을 잉크젯으로 프린팅하여,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의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 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평균두께 300nm)을 형성시켰다. 이때, 은 나노입자 코팅층은 은 나노입자 코팅층 전제 중량 중 은 나노입자를 91 중량%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 건 및 어닐링을 수행하여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은 나노입자 코팅층이 형성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되, 은 나노입자 코팅층 전체 중량 중 은 나노입자가 97 중량% 되도록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되, 수소화붕소나트륨(환원제)를 분당 0.2 ㎖ 속도로 30 동안 적하시켜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도파민 코팅층을 평균두께 7nm 로 형성시켜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제조시 환원제인 수소화붕소나트륨을 분당 0.01 ㎖ 속도로 30분 동안 적하시켜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제조시 환원제인 수소화붕소나트륨을 분당 0.6 ㎖ 속도로 30분 동안 적하시켜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기존에는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 15 ~ 24 시간 정도 소요됐으나,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를 보면,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하는데 1 시간, 길게는 2시간 정도 밖에 걸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이 제시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이 매우 경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 필름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투과도, 표면저항률 및 접착력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투과도(헤이즈, %)
ASTM D1003에 준하여 측정하고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헤이즈미터(일본, TOYOSEIKI)를 사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필름의 헤이즈 및 빛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2) 표면 저항률
23℃, 60% RH 조건하에서 표면 저항률(Ω/sq)을 ASTM D257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3) 접착력(단위 gf/cm)
90°박리접합강도 시험(peel adhesion strength test)을 수행하여 은 나노와이어 코팅층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15
상기 표 1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과 실시예 2, 실시예3을 비교해보면 은 나노입자 코팅층에 은 나노입자 양 감소에 따른 표면저항률은 떨어지지만 투과도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 보다 환원제의 적하속도를 2배로 한 실시예 4의 경우, 표면저항률은 거의 비슷하지만 투과도가 다소 증가하였는데, 이는 환원제 적하로 인해 형성된 은 나노입자가 실시예 1 보다 다소 뭉치고, 은 나노입자 크기가 좀 더 크기 때문에 실시예 1 보다 은 나노입자 코팅층에 은 나노입자의 균질도가 다소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제시하는 범위 내의 발명인 실시예 1 ~ 4의 경우, 높은 투과도와 표면저항률 및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폴리도파민 코팅층의 두께가 10 nm 미만이었던 상기 비교예 1의 경우, 투과도와 표면저항률은 우수하나, 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접착력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은 나노입자 코팅층 형성시 환원제를 너무 천천히 그리고 양이 적게 들어갔던 비교예 2의 경우, 투과도는 조금 향상되었으나, 은 나노와이어 형성이 잘 되지 않아서 실시예와 비교할 때 표면저항률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환원제를 너무 빠른 속도로 적하한 비교예 3의 경우, 은 나노시드가 나노와이어를 잘 형성하지 못하고 응집된 형태가 많이 형성되어 은 나노와이어의 네트워크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표면저항률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이 우수한 투명도(또는 투과도), 접착력 및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은 터치스크린, 기능성 내외장 윈도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극, 투명전극, OLED 전극, 태양전지,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부품 및 다양한 분야에 폭 넓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00 : 기재층 200 : 폴리도파민 코팅층 300 : 은 나노입자 코팅층

Claims (14)

  1.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몰포스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세롤(PETG),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G), 변성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디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DCPD), 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CP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및 변성 에폭시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재층;
    폴리도파민 코팅층; 및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 폴리도파민 코팅층 및 은 나노입자 코팅층이 차례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은 평균두께 20 ~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은 평균두께 100 ~ 1,0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코팅층 전체 중량 중 은 나노입자를 90 중량% ~ 99.9%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
  5.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STM D257 방법으로 측정시 표면저항이 300 ~ 500 Ω/sq 및 ASTM D1003 방법으로 측정시 투과도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6. 기재층의 일표면에 폴리도파민 코팅제를 코팅시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은 나노시드(Ag nanoseed) 용액에 상기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함침시킨 후, 환원제를 적하 및 교반시켜서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7. 기재층의 일표면에 폴리도파민 코팅제를 코팅시켜서 기재층-폴리도파민 코팅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은 나노시드 용액에 환원제를 적하 및 교반시켜서 은 나노입자 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은 나노입자 용액을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층 일표면에 은 나노입자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세척, 건조 및 어닐링(annealing)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도파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폴리도파민 폴리머를 2 내지 50 mg/ml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16

    [화학식 2]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n은 중량평균분자량 10 ~ 200 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도파민 코팅제는
    과요오드산나트륨, 디메틸디옥시란, 과망간산칼륨, 과산화수소, 트리플루오로퍼아세트산, N-메틸모르폴린 N-옥사이드 및 옥손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산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시드 용액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티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민 말단 실란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은 나노시드 전구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3에서,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3는 에틸렌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디메틸 실록산기, 프로필렌기, 페닐렌기 또는 페닐렌 옥사이드기 이며,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고, R3는 에틸렌기, 에틸렌 옥사이드기, 프로필렌 옥사이드기, 디메틸 실록산기, 프로필렌기, 페닐렌기 또는 페닐렌 옥사이드기이며, R4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에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C2 ~ C6의 글리콜,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히드라진, 글리세린, 글리세롤 및 글루코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은 나노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은 나노입자 코팅제는
    은 나노시드 용액에 상기 환원제를 분당 0.1 ~ 0.5 ㎖ 속도로 30분 ~ 1시간 동안 적하시켜서 환원시켜서 은 나노입자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20142969A 2012-12-10 2012-12-10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4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69A KR20140074708A (ko) 2012-12-10 2012-12-10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69A KR20140074708A (ko) 2012-12-10 2012-12-10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708A true KR20140074708A (ko) 2014-06-18

Family

ID=5112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969A KR20140074708A (ko) 2012-12-10 2012-12-10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4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0880A (zh) * 2022-05-26 2022-09-02 惠州学院 一种导电液晶聚芳酯纤维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0880A (zh) * 2022-05-26 2022-09-02 惠州学院 一种导电液晶聚芳酯纤维及其制备方法
CN114990880B (zh) * 2022-05-26 2024-05-07 惠州学院 一种导电液晶聚芳酯纤维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029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using carbon nanotube films
US863712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ontaining carbon nanotubes and binder,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manufactured thereby
JP2017063046A (ja) 金属ナノ構造体を含む信頼できる耐久性導電膜
KR101693774B1 (ko)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KR101263194B1 (ko) 금속 나노구조체와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혼합 도전층을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2412B1 (ko) 투명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412335A (zh) 利用银纳米线及石墨烯的混合电极及其制备方法
Lien et al. Electroless silver plating on tetraethoxy silane-bridged fiber glass
KR101982000B1 (ko)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수분산성 탄소나노튜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면상발열체
JP2019023274A (ja) 導電性コーティング液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製造された導電層を含む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13545222A (ja) 電極基板の製造方法
Sun et al. Flexible environment-tolerant electroluminescent devices based on nanocellulose-mediated transparent electrodes
KR20140074748A (ko)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Huang et al. A facile way for scalable fabrication of silver nanowire network electrodes for high-performance and foldable smart windows
KR101190206B1 (ko)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
TW201113907A (en) Preparing method of electrode substrate
Gao et al. Facile synthesis of Ag/carbon quantum dots/graphene composites for highly conductive water-based inks
TWI466140B (zh) 透明導電膜與其形成方法
KR20140074708A (ko)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198886A (zh) 一种柔性基底表面透明导电薄膜的制备方法
KR101514743B1 (ko) 패턴이 형성된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패턴이 형성된 금속 나노와이어 투명전극
JP2013152928A (ja) 透明導電膜
KR20110128584A (k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4749A (ko)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0033B1 (ko) 전도성 분산액 및 전도성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