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774B1 -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774B1
KR101693774B1 KR1020157017465A KR20157017465A KR101693774B1 KR 101693774 B1 KR101693774 B1 KR 101693774B1 KR 1020157017465 A KR1020157017465 A KR 1020157017465A KR 20157017465 A KR20157017465 A KR 20157017465A KR 101693774 B1 KR101693774 B1 KR 10169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thin film
transparent
film
conductiv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583A (ko
Inventor
하이옌 하오
레이 다이
리페이 차이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어글레이어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어글레이어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어글레이어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66Electrodes made of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e.g. TCO, ITO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84Manufacture of transparent electrodes, e.g. TCO, I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탄소 나노튜브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2)을 전도성 기판으로, 전도성 고분자를 캐리어로 삼아 하나 또는 여러 층의 층상 구조를 형성한다. 형성된 투명 CNT 복합 박막(3)은 우수한 전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실온 조건 하에서 기계적 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경제적이고 단순한 방식에 의해 큰 면적의 탄소 나노튜브 투명 CNT 복합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투명 CNT 복합전극은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 부품, 태양전지, 액정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등 부품에 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PREPARATION METHOD FOR CARBON NANOTUBE TRANSPARENT COMPOSITE ELECTRODE}
본 발명은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전자 페이퍼, 태양전지 등 디스플레이 장치와 광발전 장치에 있어서 투명 전극은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종래의 투명 전극 성능 기준에는 주로 투과율과 전기저항률이 포함되었으며, 구체적으로 투과율은 80% 이상, 전기저항률은 500Ω/sqm 이하가 요구되었다. 그러나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수요가 늘어나면서, 투명 전극은 투과율과 전기저항률에 대한 요구 외에도 플렉시블, 커브드 측면에서의 니즈도 발생하게 되었다. 인듐 주석 산화물(ITO)은 유리기판에서 ITO 박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투광성과 전도성을 나타내며, 현재 상업화된 ITO 전극은 투명 전극의 응용 분야에서 주도적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투명 전극 응용 분야가 다원화됨에 따라 투명 전극은 반드시 면저항이 낮고 가시광 범위 내에서 우수한 투과율, 유연성을 갖추어야 하며, 또한 큰 면적 정밀 코팅 필름 형성의 간단한 조작이 가능한 공정 등의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것은 ITO 박막의 확장 응용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인데, 예를 들어 ITO 전극 고온의 제조 공정 조건(증착법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법), 쉽게 파손되는 점, 면저항을 감소시키기 어려운 점, 균일성이 떨어지는 점, 황색화 현상이 일어나는 점, 청색광은 투사하기 어려운 점 등이 있다. 또한 만약 ITO 박막을 녹는점이 낮은 플렉시블 기판에 장착하려면 저온에서만 증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한 ITO 전도 박막 전기저항률이 높고 투명도가 떨어지며, 플렉시블 기판과의 부착력이 떨어지고 구부렸을 때 부러지기 쉬워 부품의 기능을 구현할 수 없다. 자주 사용하는 고분자 플렉시블 기판 재료는 ITO의 열팽창 계수와 상반되어 부품 작업 중 열효과로 인하여 ITO 전도 박막이 탈락되어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ITO 박막에 사용하는 인듐 자원이 부족하여 ITO 박막 제조 원가가 높은데, 이로 인하여 새로운 투명 전도 전극 재료 개발에 대한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탄소 나노튜브는 전형적인 층상 중공(hollow) 구조 특성을 가진 탄소 재료로서, 탄소 나노튜브의 관체는 육각형 탄소 고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종의 특수한 구조(방사방향 사이즈는 나노급, 축방향 사이즈는 미크론급)의 일차원 양자 재료를 가지고 있다. 관벽 구조는 주로 몇 층에서 수십 층에 이르는 축이 같은 원통관으로 되어 있다. 층과 층 사이는 약 0.34nm의 고정된 거리를 유지하며 직경은 일반적으로 2 내지 20nm이다. 탄소 나노튜브 탄소 원자의 P 전자는 큰 범위의 비편재화 π사슬을 형성하고, 공액 효과(conjugation effect)가 뛰어나기 때문에 탄소 나노튜브가 일부 특수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탄소 나노튜브의 구조는 흑연의 편층 구조와 비슷하기 때문에 아주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탄소 나노튜브 재료는 높은 전자이동도, 낮은 전기저항률 및 높은 투명도로 인하여 과학 연구계 및 업계에서 이미 ITO를 대체할 수 있는 투명 전극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탄소 나노튜브 투명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은 비교적 많으며, 이는 대략적으로 습식법과 건식법 제조로 나뉜다.
습식법 합성은 주로 탄소 나노튜브 분말을 용액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박막 제조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진공 여과 전이법[Green A A, Hersam M C. Colored Semi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Consisting of Monodisperse Metallic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J]. Nano Lett., 2008, 8(5): 1417-1422.], 분사 코팅법[Kang S J, Song Y, Yi Y, et al. Work-Function Engineering of Carbon Nanotub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J].Carbon, 2010, 48(2):520-524.], 스핀 코팅법[Meitl M A, Zhou Y X, Gaur A, et al. Solution Casting and Transfer Print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Films [J]. Nano. Lett.,2004, 4(9):1643-1647.], 초크랄스키법(Czochralski method)[Ng M H A, Hartadi L T, Tan H , et al. Efficient Coating of Transparent and Conductive Carbon Nanotube Thin Films on Plastic Substrates[J]. Nanotechnology, 2008, 19: 205703.], LB법[Li X L, Zhang L, Wang X R, et al. Langmuir-Blodgett Assembly of Densely Align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rom Bulk Materials[J]. J. Am. Chem. Soc., 2007, 129(16): 4890-4891.], 전기영동법[Pei S F, Du J H, Zeng Y, et al. The Fabrication of a Carbon Nanotub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by Electrophoretic Deposition and Hot-Pressing Transfer[J]. Nanotechnology, 2009, 20:235707.] 등을 포함하고, 건식법 제조는 에어로졸 직접합성법[Fraser I S, Motta M S, Schmidt R K, et al. Continuous Production of Flexible Carbon Nanotube-Bas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s[J]. Sci. Technol. Adv. Mater., 2010, 11(4), 045004.], 슈퍼 어레이 초크랄스키법(super array Czochralski method)[Feng C, Liu K, Wu J S, et al. Flexible, Stretchabl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Made from Superaligned Carbon Nanotubes [J]. Adv. Funct. Mater., 2010, 20(6):885-891.] 등을 포함한다.
습식법으로 제조한 탄소 나노튜브 투명 전극은 탄소 나노튜브가 불균일하게 분산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조한 전극이 국부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전극 기능이 상실될 수 있으며, 종래의 연구가 실험실 연구로 국한되어 있어 큰 범위의 응용 측면에서는 아주 큰 기술적 도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건식법의 에어로졸 직접합성법을 이용한 탄소 나노튜브 투명 전극 공정은 기상증착로에서 생성된 탄소 나노튜브 에어로졸을 투명 중합 테이프에 증착시킨 후 주상(columnar)을 평탄한 막상(membranous)으로 와해시킨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탄소 나노튜브 투명 전극의 형상 및 질량은 반응 과정에서 화학 기상증착로의 온도, 기체 수소 운반 유속, 플렉시블 기판의 우회 속도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큰 면적의 탄소 나노튜브 투명 전극을 제조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슈퍼 어레이 초크랄스키법은 탄소 나노튜브의 연장가능성을 이용하여 탄소 나노튜브를 무한정 긴 박막으로 연장할 수 있다.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어레이는 열처리를 거친 후, CNT의 어레이 방향이 수직에서 수평으로 변한다. 연장할 때 이를 플렉시블 기판과 연장막 사이에 위치시키고, 두 개의 롤러를 통하여 이를 압축한다. 상기 슈퍼 어레이 초크랄스키법은 습식 합성법과 비교할 때, 공정이 간단하고 CNT 이용률이 높고 비용이 저렴하며 필름 형성 질량이 높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탄소 나노튜브와 플렉시블 기판의 구조는 기계적 압출 방법을 통해서만 플렉시블 기판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기 공정 조작 과정에서 탄소 나노튜브 막층의 견고하지 못한 특성이 전극 품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 방법은 동일한 기판에서 여러 차례 조작하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새로운 투명 탄소 나노튜브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Feng C, Liu K, Wu J S, et al. Flexible, Stretchabl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Made from Superaligned Carbon Nanotubes [J]. Adv. Funct. Mater., 2010, 20(6):885-891.]을 전도성 기판으로, 전도성 고분자를 캐리어로 삼아 일종의 한 층 또는 여러 층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고, 형성된 투명 CNT 복합전극 박막은 우수한 전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실온 조건 하에서 기계적 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큰 면적의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투명 CNT 복합전극은 플렉시블 OLED 디스플레이 부품, 태양전지, 액정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등 부품에 응용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은 투명 고분자 기판과 투명 기판 표면에 형성된 CNT 복합 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CNT 복합 박막은 CNT 박막과 전도성 고분자 막으로 구성되고, 그 제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투명 고분자 기판에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을 안착시키고, 필름 리드 파트에 의하여 Si편(slice)에 생장한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폭의 탄소 나노튜브 막층을 추출한 후, 상기 막층을 상기 투명 고분자 기판 표면에 필요한 모든 구역에 가득할 때까지 평평하게 펴고, 레이저 절단 방법 또는 에탄올 수축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을 절단하고; (2) 상기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이 안착되어 있는 기판은 한 쌍의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의 표면에 한 층의 전도성 고분자 막이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나 또는 두 개의 롤러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용액이 코팅되어 있다.
상기 롤러 표면 조도는 Ra0.02 내지 0.01μm이다.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 최소 간격이 기판 두께이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용액의 점도는 1-10×10-3PaS이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의 주요 구성성분은 1)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또는/ 및 폴리피롤(polypyrrole), 2) 공용매는 폴리(소듐-p-스티렌술포네이트)(Poly(sodium-p-styrenesulfonate), PSS), 캄포르를술폰산(camphorsulfonic acid), 도데실-벤젠술폰산(dodecyl-benzenesulfonic acid) 및 염, 헥사데실-벤젠술폰산(hexadecyl-benzenesulfonic acid) 및 염 또는/ 및 나프탈렌술폰산(naphthalenesulfonic acid) 및 염, 3) 개질 첨가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또는/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4) 나머지는 물이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은 1.8% PEDOT:PSS 수용액이고, 구체적인 조성은 아래와 같다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PEDOT 0.5 ~ 1%
폴리(소듐-p-스티렌술포네이트) PSS 0.8 ~ 1.3%
도데실-벤젠술폰산 0.01 ~ 0.05%
에틸렌글리콜 0.37 ~ 0.44%
물 100%까지 첨가
상기 롤러 내부에는 가열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탄소 나노튜브(CNT) 박막을 이용하여 투명 전도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투명 CNT 박막 전극은 투명 고분자 기판과 투명 기판의 표면에 형성한 CNT 복합 박막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CNT 전도성 박막은 CNT 박막과 전도성 고분자 막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과의 부착력이 우수한 탄소 나노튜브 어레이 박막을 이용하여 액체상의 전도성 고분자와 기계적 압출을 진행할 때 하나의 CNT 복합 박막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 CNT 복합전극은 우수한 전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실온에서 기계적 압출을 이용한 습식법 공정을 이용하여 투명한 CNT 복합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도막은 용액 상태로 탄소 나노튜브 박막 표면에 부착하는데, 상기 고분자 전도막과 탄소 나노튜브 연장막 및 기판 사이의 결합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여러 층의 공정 작업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막은 한 층 또는 여러 층의 박막이다. CNT 막층은 비교적 얇으며 단일 층 CNT 막층 두께가 몇 또는 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막층은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국부적으로 훼손될 수 있으므로, CNT 전도층의 평면 또는 3차원 전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여러 층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정 방법은 제조원가가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큰 면적의 투명 전극을 제조하는 데에 적합하다. 상기 투명 CNT 전극은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태양전지, 액정 디스플레이 부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부품(PDP), 이미지 센서, 터치스크린 패널 등과 같은 투명성과 전도성을 갖추어야 하는 각종 장치를 제조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CNT 복합전극은 플렉시블 OLED, 태양전지, 액정 디스플레이 부품, PDP, 이미지 센서, 터치스크린 패널 등과 같은 전극 재료를 제조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Si편(slice)의 탄소 나노튜브 박막의 제조에 관한 설명도;
도 2는 투명 기판의 탄소 나노튜브 박막에 관한 설명도;
도 3은 탄소 나노튜브 고분자 복합 박막의 제조에 관한 설명도;
도 4는 탄소 나노튜브 고분자 복합 박막에 관한 설명도;
도 5는 여러 층 탄소 나노튜브 고분자 복합 박막에 관한 설명도.
투명 탄소 나노튜브 복합전극의 제조에 있어서 주요 기술은 다음 두 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1) 탄소 나노튜브 박막과 기판 사이의 부착은 탄소 나노튜브 박막(2) 표면과 투명 기판(1) 사이의 표면 분자 간 결합을 이용한다. 구체적인 막 형성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탄소 나노튜브 박막(2)과 투명 기판(1) 사이의 부착력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소 나노튜브 박막(2)을 에탄올을 분무한 환경 속에 평평하게 놓고 수축을 진행시킬 수 있다. 1회 막 연장 후 형성되는 탄소 나노튜브 박막(2)은 에탄올의 증기 환경 속에서 자동으로 수축되어 안정된 선형의 탄소 나노튜브 묶음으로 조성된 구조를 형성한다. 에탄올 분자가 상기 표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표면 극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탄소 나노튜브 박막(2)와 투명 기판(1) 사이의 결합력도 강화시키기 때문에 탄소 나노튜브 박막(2)이 운송 및 방치되는 과정에서 쉽게 훼손되지 않는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착되어 있는 탄소 나노튜브 박막의 투명 기판(4)은 한 쌍의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롤러(5)를 통과한다. 롤러(5) 표면 조도 기준은 Ra0.02 내지 0.01μm이다. 롤러(5) 사이의 틈새 최소 거리는 투명 기판(1)의 두께와 같다. 롤러(5) 표면에는 점도 1-10×10-3PaS의 고분자 수용액을 도포한다. 필요한 경우 일정한 가열 부착물을 첨가하여 롤러 온도를 제어하면 고분자체의 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롤러(5) 상부에서 기판 표면 방향으로 탄소 나노튜브의 전도성 고분자 복합 박막(3)이 형성되는데, 도 3은 복합 박막(3)의 제조에 관한 설명도이다. 형성된 박막 구조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필요에 따라 도 4의 탄소 나노튜브 고분자 박막을 다시 1회 탄소 나노튜브 막을 안착시킨 후 전도성 고분자 층을 부착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차례 진행할 수도 있다.
도전성 고분자 수용액 성분은 1)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또는/ 및 폴리피롤(polypyrrole), 2) 공용매는 폴리(소듐-p-스티렌술포네이트)(Poly(sodium-p-styrenesulfonate), PSS), 캄포르를술폰산(camphorsulfonic acid), 도데실-벤젠술폰산(dodecyl-benzenesulfonic acid) 및 염, 헥사데실-벤젠술폰산(hexadecyl-benzenesulfonic acid) 및 염 또는/ 및 나프탈렌술폰산(naphthalenesulfonic acid) 및 염, 3) 개질 첨가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또는/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4) 나머지는 물이다.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든 구성성분을 비율에 따라 일정한 용매에 혼합 용해하고, 상기 농도는 물 또는 상응하는 용매를 첨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은 1.8% PEDOT:PSS 수용액이다.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PEDOT 0.5 ~ 1%
폴리(소듐-p-스티렌술포네이트) PSS 0.8 ~ 1.3%
도데실-벤젠술폰산 0.01 ~ 0.05%
에틸렌글리콜 0.37 ~ 0.44%
물 100%까지 첨가
제조하여 획득한 투명 탄소 나노튜브 복합전극에 있어서, 고분자 투명 기판(1)에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2)을 안착시키고, 필름 리드 파트(7)에 의하여 Si편(6)에 생장한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폭의 탄소 나노튜브 막층을 추출한 후, 상기 막층을 투명 고분자 기판(1) 표면에 필요한 모든 구역에 가득할 때까지 평평하게 펴고, 레이저 절단 방법 또는 에탄올 수축 방법을 이용하여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2)을 절단하고,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2)이 장착된 기판(4)은 한 쌍의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롤러(전도성 고분자 수용액을 롤러에 도포함)(5) 사이를 통과하여,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2)의 표면에 한 층의 전도성 고분자 막이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복합 박막(3)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1: 투명 기판
2: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
3: 탄소 나노튜브 복합 박막
4: 탄소 나노튜브 박막이 안착되어 있는 투명 기판
5: 롤러
6: Si편
7: 필름 리드 파트

Claims (7)

  1. 투명 고분자 기판과 상기 투명 고분자 기판 표면에 형성된 CNT 복합 박막을 포함하고, 상기 CNT 복합 박막은 CNT 박막과 전도성 고분자 막으로 구성되는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1) 투명 고분자 기판에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을 안착시키고, 필름 리드 파트에 의하여 Si편(slice)에 생장한 상기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폭의 탄소 나노튜브 막층을 추출한 후, 상기 막층을 상기 투명 고분자 기판 표면에 필요한 모든 구역에 가득할 때까지 평평하게 펴고, 레이저 절단 방법 또는 에탄올 수축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을 절단하고; (2) 상기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이 안착되어 있는 기판은 한 쌍의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초정렬 탄소 나노튜브 박막의 표면에 한 층의 전도성 고분자 막이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하나 또는 두 개의 롤러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이 코팅되어 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표면 조도가 Ra0.02 내지 0.01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 최소 간격이 기판 두께인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의 점도가 1-10×10-3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의 주요 구성성분은 1)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또는/ 및 폴리피롤(polypyrrole), 2) 공용매는 폴리(소듐-p-스티렌술포네이트)(Poly(sodium-p-styrenesulfonate), PSS), 캄포르를술폰산(camphorsulfonic acid), 도데실-벤젠술폰산(dodecyl-benzenesulfonic acid) 및 염, 헥사데실-벤젠술폰산(hexadecyl-benzenesulfonic acid) 및 염 또는/ 및 나프탈렌술폰산(naphthalenesulfonic acid) 및 염, 3) 개질 첨가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소르비톨(sorbitol),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또는/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4) 나머지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 수용액은 1.8% PEDOT:PSS 수용액이고, 구체적인 조성에 있어서,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PEDOT 0.5 ~ 1%
    폴리(소듐-p-스티렌술포네이트) PSS 0.8 ~ 1.3%
    도데실-벤젠술폰산 0.01 ~ 0.05%
    에틸렌글리콜 0.37 ~ 0.44%
    물 100%까지 첨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내부에 가열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KR1020157017465A 2013-01-14 2013-12-14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KR101693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12106.9A CN103928637B (zh) 2013-01-14 2013-01-14 碳纳米管透明复合电极的制备方法
CN201310012106.9 2013-01-14
PCT/CN2013/089463 WO2014108015A1 (zh) 2013-01-14 2013-12-14 碳纳米管透明复合电极的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83A KR20150118583A (ko) 2015-10-22
KR101693774B1 true KR101693774B1 (ko) 2017-01-06

Family

ID=5114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465A KR101693774B1 (ko) 2013-01-14 2013-12-14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965554B2 (ko)
KR (1) KR101693774B1 (ko)
CN (1) CN103928637B (ko)
DE (1) DE112013006416T5 (ko)
HK (1) HK1196996A1 (ko)
TW (1) TWI553662B (ko)
WO (1) WO2014108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1592B (zh) * 2014-08-01 2017-03-22 广东阿格蕾雅光电材料有限公司 碳纳米管‑高分子层状复合透明柔性电极及其制备方法
CN105361977B (zh) * 2014-08-26 2018-08-10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电阻式柔性透明关节部位电子皮肤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465993A (zh) * 2014-10-28 2015-03-25 南昌大学 一种碳基复合透明电极及制备方法
CN104576321A (zh) * 2015-01-30 2015-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极结构、其制作方法、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04616838B (zh) 2015-02-10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器件的制作方法及电子器件
TWI773640B (zh) * 2015-02-23 2022-08-11 美商美國琳得科股份有限公司 黏著薄片
CN105024015B (zh) * 2015-06-24 2017-12-22 复旦大学 一种可拼接的钙钛矿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CN106601329B (zh) * 2016-08-18 2019-04-16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一种柔性纳米摩擦发电机、制备方法及制成的传感器
CN106782774A (zh) * 2017-01-10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导电薄膜、其制备方法及装置
CN109427982B (zh) * 2017-08-30 2020-01-03 清华大学 有机发光二极管
CN109428006B (zh) 2017-08-30 2020-01-07 清华大学 有机发光二极管
CN109428009B (zh) 2017-08-30 2020-05-15 清华大学 有机发光二极管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6637A (ja) 2009-12-03 2011-06-16 Beijing Funate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異なる密度を有する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67483A (ja) 2013-09-30 2015-04-13 日立造船株式会社 繊維状カーボン材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154B1 (ko) * 2008-09-19 2010-1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전도성 박막 및 그 제조 방법
JP5554552B2 (ja) * 2009-12-09 2014-07-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透明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923912B (zh) * 2010-06-18 2013-12-11 北京富纳特创新科技有限公司 碳纳米管膜及基于该碳纳米管膜的复合膜
KR101272483B1 (ko) * 2010-12-09 2013-06-10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다층 구조의 투명 전도성 판재의 제조방법
CN102321323B (zh) * 2011-05-27 2013-08-28 清华大学 透明碳纳米管复合膜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6637A (ja) 2009-12-03 2011-06-16 Beijing Funate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異なる密度を有する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67483A (ja) 2013-09-30 2015-04-13 日立造船株式会社 繊維状カーボン材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28637A (zh) 2014-07-16
JP5965554B2 (ja) 2016-08-10
JP2016504738A (ja) 2016-02-12
TW201432718A (zh) 2014-08-16
DE112013006416T5 (de) 2015-10-15
HK1196996A1 (zh) 2014-12-24
TWI553662B (zh) 2016-10-11
CN103928637B (zh) 2016-05-04
WO2014108015A1 (zh) 2014-07-17
KR20150118583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774B1 (ko) 탄소 나노튜브 투명 복합전극의 제조 방법
Zhou et al. Continuously fabricated transparent conductive polycarbonate/carbon nanotube nanocomposite films for switchable thermochromic applications
JP5869627B2 (ja)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透明導電膜
Wang et al. Tannic acid modified graphene/CNT three-dimensional conductive network for preparing high-performance transparent flexible heaters
KR20160009544A (ko) 투명 탄소나노튜브 폴리머 복합 전도성 잉크 및 그 제조방법
Fuh et al. Pattern transfer of aligned metal nano/microwires as flexible transparent electrodes using an electrospun nanofiber template
Aleksandrova Specifics and challenges to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Cheong et al. Transparent film heaters with highly enhanced thermal efficiency using silver nanowires and metal/metal-oxide blankets
JP2013544904A (ja) 導電性透明フィルム用の新規組成物
CN102311681A (zh) Uv固化型银纳米线墨水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20150085523A (ko) 그래핀 소재와 전도성 중합체를 포함한 막 형성용 조성물
Yang et al. Facile fabrication of large-scale silver nanowire-PEDOT: PSS composite flexible transparent electrodes for flexible touch panels
Kim et al. Industrially feasible approach to transparent, flexible, and conductive carbon nanotube films: cellulose-assisted film deposition followed by solution and photonic processing
Gao et al. Modification of carbon nanotube transparent conducting films for electrodes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Feng et al. Cost-effective fabrication of uniformly aligned silver nanowire microgrid-based transparent electrodes with higher than 99% transmittance
Zhou et al. Polymer-embedded silver microgrids by particle-free reactive inks for flexible high-performance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KR20140074748A (ko)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투명 전기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214012530U (zh) 一种导电结构及电子设备
Cui et al. High conductivity and transparency metal network fabricated by acrylic colloidal self-cracking template for flexible thermochromic device
KR101818341B1 (ko) 금속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유연 투명 전극 및 그 저온 공정 제작법
Gan et al. Gallic acid-reduced graphene oxide deposited with carbon nanotubes for transparent film heaters
KR20180108219A (ko) 그래핀을 이용한 복합 전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1163940B1 (ko) 금속 나노 입자를 함유한 전도성 고분자 전극 형성 방법 및 전극 물질
KR102588564B1 (ko) 2개의 벤젠고리 및 아민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나노 박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나노 박막
KR20160059215A (ko) 이형상 투명전극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