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476A -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476A
KR20140073476A KR1020140065136A KR20140065136A KR20140073476A KR 20140073476 A KR20140073476 A KR 20140073476A KR 1020140065136 A KR1020140065136 A KR 1020140065136A KR 20140065136 A KR20140065136 A KR 20140065136A KR 20140073476 A KR20140073476 A KR 20140073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image
pattern
slide oper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6256B1 (ko
Inventor
데쓰야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터치 조작에 따라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풍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는 터치 센서(8) 상에서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판별하고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이, 최초에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패턴 이면, 최초의 이동 방향과 그 후에 계속되는 이동 방향의 조합에 따라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에 대한 제어로서 화상 스크롤을 행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터치 입력 수단과 표시 수단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가락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커맨드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한 전자 기기(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터치 패널은, 소프트웨어 키 이외에도, 그 위에서 행해지는 제스처(gesture) 조작에 따라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경우에도 이용되도록 되었다. 예를 들면, 종래, 일본 특표 2003-338975호 공보와 같이, 터치 패널 상에서의 "덧그리기 조작"에 의해, 동작 모드에 따라, 덧그리기 조작의 패턴에 기초하여 표시내용을 제어하여, 화상 스크롤이나 확대 화상의 화면 스크롤 등의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 기술에서는, "덧그리기 조작"의 패턴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그 패턴의 종류에 따라 표시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복수 종류의 패턴의 각각에 표시 제어를 대응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표시 제어의 종류는 패턴의 종류의 수에 한정되는 외에, 같은 종류 내에서의 상세한 제어나 미세한 제어도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터치 조작에 따라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풍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전자 기기는,
터치 조작을 검지하는 터치 입력 수단,
표시 수단,
상기 터치 입력 수단 상에서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이동 검출 수단,
상기 검출된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을 판별하는 패턴 판별 수단, 및
상기 판별된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이, (i)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ii)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순으로 터치 조작되는 패턴인 경우에,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조합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기억 매체는,
컴퓨터에 대하여,
터치 입력 수단 상에서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기능,
상기 검출된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을 판별하는 기능, 및
상기 판별된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이, (i)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ii)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순으로 터치 조작되는 패턴인 경우에,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의 조합에 따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조작에 따라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풍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어, 편리성이나 조작성이 향상되어 실용성이 많은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 그리고 새로운 특징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도면과 함께 읽을 때 더욱 완전하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전자 기기로서 적용한 디지털 카메라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터치 센서(8) 상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화상을 스크롤하는 경우에, 화상 스크롤이 가능한 종류의 슬라이드 조작 패턴을 열거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a 및 도 2b에 계속되는, 터치 센서(8) 상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화상을 스크롤하는 경우에, 화상 스크롤이 가능한 종류의 슬라이드 조작 패턴을 열거한 도면이다.
도 4a는 테이블 기억부(M3) 내의 제어 테이블(T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테이블 기억부(M3) 내의 슬라이드 테이블(T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테이블 기억부(M3) 내의 설정 테이블(T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기억부(3) 내의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터치 센서(8)로의 터치 조작에 따라 실행 개시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슬라이드 조작 판별 처리(도 6의 단계 A4)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작에 계속되는 슬라이드 조작 판별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전자 기기로서 적용한 디지털 카메라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지털 카메라(촬상 장치)는 정지 화상 이외에 동화상의 촬영도 가능한 컴팩트 카메라(compact camera)로, 터치 조작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터치 입력 기능을 가지고, 제어부(1)를 중핵으로 한다. 제어부(1)는 전원부(2차 전지)(2)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동작하고, 기억부(3) 내의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이 디지털 카메라(이하, 카메라와 약칭함)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이 제어부(1)에는 도시하지 않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나 메모리 등이 설치되어 있다.
기억부(3)는, 예를 들면,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을 가지는 구성이며, 후술하는 도 6∼도 8에 나타낸 동작 순서에 따라 본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기억부(M1)와 촬상이 끝난 화상(정지 화상, 동화상)을 폴더 단위 등으로 분류하여 기억 보존하는 화상 기억부(M2), 각종 테이블을 기억하는 테이블 기억부(M3)를 가지는 외에, 이 카메라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 타이머 등)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작업 영역(work area)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테이블 기억부(M3)는 터치 센서(8) 상에서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터치 조작(슬라이드 조작)을 했을 때,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에 대한 제어(표시 제어)로서, 그 슬라이드 상태(슬라이드 조작 패턴, 이동 방향, 이동량, 이동 속도 등)에 따라 어떠한 표시 제어를 행할 것인지를 기억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어 테이블(T1), 슬라이드 테이블(T2), 설정 테이블(T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억부(3)는,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 카드,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등 탈착 가능한 휴대형 메모리(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지만, 통신 기능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소정의 외부 서버 측의 기억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된다.
조작부(4)는, 도시하지 않지만, 셔터 조작, 동영상 촬영 조작, 노출이나 셔터 스피드 등의 촬영 조건의 설정 조작, 촬영이 끝난 화상의 재생을 지시하는 재생 조작 등을 행하는 푸시 버튼식(press-button-type)의 각종 키를 구비한 것이며, 제어부(1)는 이 조작부(4)로부터의 입력 조작 신호에 따른 처리로서, 예를 들면, 촬영 처리, 촬영 조건의 설정, 재생 처리, 데이터 입력 처리 등을 행한다. 촬상부(5)는,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렌즈로부터의 피사체 상이 촬상 소자(CCD나 CMOS 등)에 결상됨으로써 피사체를 고정밀도에 촬영 가능한 카메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정지 화상 이외에 동화상의 촬영 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터치 패널(6)은 전술한 터치 입력 기능으로서, 손가락 등으로 터치 조작된 위치를 검지하여 그 좌표 데이터를 입력하는 터치 입력 수단(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것으로, 표시부(7)와 터치 센서(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8)로서는, 정전 용량 방식, 저항 피막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압전 방식 중에서, 경량화, 광투과성, 내구성 등이 우수한 정전 용량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그 외의 방식이라도 된다. 표시부(7)는, 예를 들면, 종횡비(횡 4: 종 3)가 상이한 화면을 가진 고정밀도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로, 소프트웨어 키로서의 기능 이름을 표시하는 외에, 촬상된 화상(스루 화상(through-image): 라이브 뷰 화상(live-view image)을 표시하는 파인더 화면(모니터 화면)으로서도 기능하고, 저장이 완료된 화상을 표시하는 재생 화면으로서도 기능한다.
터치 패널(6)을 구성하는 터치 센서(8)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터치면에 터치(접근 또는 접촉)된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 투명한 터치 센서(8)가 표시부(7)의 표시면 전체에 적층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는 터치 센서(8) 상에서 손가락 등을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터치 조작(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어떠한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슬라이드 상태(슬라이드 조작 패턴, 슬라이드 각각의 이동 방향, 이동량, 이동 속도 등)를 구하고,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을 그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에 대한 제어(표시 제어)로서 화상 스크롤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2a 내지 도 3b는,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화상)을 터치 센서(8) 상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화상을 스크롤하는 경우에, 화상 스크롤이 가능한 종류의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을 열거한 도면이다.
*즉, 화상 스크롤이 가능한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패턴이다. 여기서, 대략 직선형이란, 슬라이드 도중에 이동 방향이 약간 변경되었더라도 전체로서 직선적인 이동이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일단 정지"란, 터치한 상태에서 이동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이란, 최초의 이동(최초의 슬라이드)으로부터 일단 정지한 후에 방향 전환해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나중의 슬라이드)을 의미한다.
도 2a는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을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화상 스크롤을 지시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3종류의 조작 패턴이 행해진 것을 조건으로 화상 스크롤이 가능해진다. 먼저, 첫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화상 스크롤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 도시한 예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화상 스크롤 방향: 순방향: 도시한 예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두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화상 이송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방향: 역회전 방향: 도시한 예에서는 상측 방향)에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화상 이송 방향: 도시한 예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세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화상 이송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한 방향: 정회전 방향: 도시한 예에서는 하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화상 이송 방향: 도시한 예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도 2b는 표시부(7)의 표시 내용을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화상 스크롤을 지시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3종류의 조작 패턴이 행해진 것을 조건으로 화상 스크롤이 가능해진다. 먼저, 첫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역방향: 우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좌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두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90°정회전 방향: 상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좌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세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90°역회전 방향: 하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우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마찬가지로, 도 3a는 표시부(7)의 표시 내용을 도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화상 스크롤을 지시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3종류의 조작 패턴이 행해진 것을 조건으로 화상 스크롤이 가능해진다. 먼저, 첫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역방향: 하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상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두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90°역회전 방향: 좌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상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세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90°정회전 방향: 우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상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도 3b는 표시부(7)의 표시 내용을 도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화상 스크롤을 지시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이하에 나타내는 3종류의 조작 패턴이 행해진 것을 조건으로 화상 스크롤이 가능해진다. 먼저, 첫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역방향: 상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하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두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90°정회전 방향: 좌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하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세 번째 종류의 조작 패턴은, 최초에 한 방향(90°역회전 방향: 우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순방향: 하측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는 조작 패턴이다.
도 4a 및 도 4b는 테이블 기억부(M3) 내의 제어 테이블(T1) 및 슬라이드 테이블(T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어 테이블(T1)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제어 테이블(T1)은, 어떠한 표시 제어를 행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제어의 내용을 기억하는 것으로, 표시 제어의 종류별로 그 제어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어 테이블(T1)은 "ID", "종류", "내용"의 항목을 가지고, 이 "종류"에는 그 "ID", "1"∼"4"에 대응하여 "스크롤 화상 수를 변경", "스크롤 속도를 변경", "스크롤 전환 시의 효과를 변경", "스크롤 단위를 변경"이 기억되어 있다. "스크롤 화상 수를 변경"은,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조작 패턴 1회당 스크롤 화상 수를 어떻게 변경할 것인지를 나타낸 것이며, 그 "내용"의 "A", "B", "C", "D"에 대응하여, "1 화상", "2 화상", "3 화상", "4 화상"이 기억되어 있다.
"스크롤 속도를 변경"은,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화상 스크롤의 속도를 어떻게 변경할 것인지를 나타낸 것이며, 그 "내용"의 "A", "B", "C", "D"에 대응하여, "1초/화상", "2초/화상", "3초/화상", "4초/화상"이 기억되어 있다. "스크롤 전환 시의 효과를 변경"은,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화상 스크롤 전환 시에 삽입 부가되는 표시 효과를 어떻게 변경할 것인지를 나타낸 것이며, 그 "내용"의 "A", "B", "C", "D"에 대응하여, "없음", "슬라이드인(slide-in)", "체커 보드(checkerboard)", "블라인드(blind)"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없음"은, 표시 효과를 부가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스크롤 단위를 변경"은,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화상 스크롤의 단위의 종류를 어떻게 변경할 것인지를 나타낸 것이며, 그 "내용"의 "A", "B", "C", "D"에 대응하여, "전체 화상", "전체 화상", "폴더의 선두만", "1 일의 선두 타임스탬프만"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롤 단위란, 1 화상, 1 폴더, 1 일 등을 단위로 하여 화상 스크롤을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전체 화상"은, 일련의 화상을 그 선두로부터 1 화상 단위마다 순차적으로 화상 스크롤을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폴더의 선두만"은, 일련의 화상이 복수의 폴더에 분산되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각 폴더로부터 소정의 화상으로서, 폴더의 선두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만을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화상 스크롤을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1 일의 선두 타임스탬프만"은, 날 단위로 관리되어 있는 일련의 화상 중, 날 단위로 선두 타임(가장 빠른 시각)의 화상만을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화상 스크롤을 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b는, 슬라이드 테이블(T2)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슬라이드 테이블(T2)은 슬라이드 상태를 기억하는 것으로, "종류", "내용"의 항목을 가진다. "종류"에는, 슬라이드 상태의 종류로서 "이동량", "이동 속도", "정지 시간"이 기억되고, "내용"에는, 슬라이드 상태의 내용으로서 "A", "B", "C", "D"가 기억되어 있다. 즉, "이동량"은,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최초의 슬라이드 또는 나중의 슬라이드 시에서의 이동량을, 화면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것이며, "내용"의 "A", "B", "C", "D"에 대응하여, "화면의 1/3 미만", "화면의 1/3∼1/2", "화면의 1/2∼2/3", "화면의 2/3 초과"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량은, 가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의 경우에는 화면의 가로 방향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고, 세로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의 경우에는 화면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슬라이드에 상관 없이, 동일한 길이를 기준으로 해도 된다.
"이동 속도"는, 최초의 슬라이드 조작 또는 나중의 슬라이드에서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고, 단위 이동량 당 시간으로 나타낸 것이며, "내용"의 "A", "B", "C", "D"에 대응하여, "0.33초 미만/이동량", "0.33∼0.66초/이동량", "0.66∼1초/이동량", "1초 초과/이동량"이 기억되어 있다. "정지 시간"은, 최초의 슬라이드를 행하여 일단 정지한 다음 이후의 슬라이드를 개시하기까지의 정지 시간(터치한 상태로 슬라이드를 정지하고 있는 시간)을 초 단위로 나타낸 것이며, "내용"의 "A", "B", "C", "D"에 대응하여, "0.5초 미만", "0.5∼1초", "1∼1.5초", "1.5초 초과"가 기억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설정 테이블(T3) 및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설정 테이블(T3)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설정 테이블(T3)은 어떠한 슬라이드 조작으로 어떠한 화상 스크롤을 행할 것인지를 기억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설정 테이블(T3)은 "종류", "설정 ID"의 항목을 가진다. "종류"에는, 최초의 슬라이드 시에 있어서 원하는 화상 스크롤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이동량과 이동 속도로서,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기억되고, 또, "종류"에는, 최초의 슬라이드 시에 있어서 원하는 화상 스크롤 방향(순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이동량과 이동 속도로서,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량",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종류"에는, 최초의 슬라이드를 행하여 일단 정지하고 나서 이후의 슬라이드를 개시하기까지의 정지 시간으로서, "방향 전환시의 정지 시간"이 기억되어 있다. 또 "종류"에는, 최초의 슬라이드 시에 있어서 원하는 화상 스크롤 방향에 대하여 90°정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이동량과 이동 속도로서, "최초의 90°정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 "최초의 90°정회전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기억되어 있다. 또, "종류"에는, 나중의 슬라이드 시에 있어서 원하는 화상 스크롤 방향에 대하여 90°역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이동량과 이동 속도로서, "최초의 90°역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 "최초의 90°역회전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기억되어 있다. "설정 ID"는, 어떠한 종류의 화상 스크롤을 지시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제어 테이블(T1)의 "ID"가 기억되는 것이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임의의 "ID"가 설정되어 있다.
즉, 도시한 설정예(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설정 ID"에는 "1"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 "A"∼"D"에 따라 스크롤 화상 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가 행해짐을 나타내고, 또,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여 "설정 ID"에는 "2"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 속도"A"∼"D"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가 행해짐을 나타낸다. 또, "방향 전환 시의 정지 시간"에 대응하여 "설정 ID"에는 "3"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방향 전환시의 정지 시간 "A"∼"D"에 따라 스크롤 전환 시의 효과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가 행해짐을 나타내고, 또한 "최초의 90°정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설정 ID"에는 "4"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최초의 90°정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 "A"∼"D"에 따라 스크롤 단위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가 행해짐을 나타낸다. 그리고, "설정 ID"에 "1"∼"4"중 어느 것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항목은, 제어 테이블(T1)의 내용에 따른 표시 제어가 행해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 도시한 설정예(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설정 ID"에는 "1"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 "A"∼"D"에 따라 스크롤 화상 수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가 행해짐을 나타내고, 또,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설정 ID"에는 "2"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량"A"∼"D"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가 행해짐을 나타낸다. 또, 도시한 설정예(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방향 전환시의 정지 시간"에 대응하여 "설정 ID"에는 "3"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방향 전환시의 정지 시간 "A"∼"D"에 따라 스크롤 전환 시의 효과를 변경하는는 표시 제어가 행해짐을 나타내고, 또, "최초의 90°역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설정 ID"에는 "4"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최초의 90°역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 "A"∼"D"에 따라 스크롤 단위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가 행해짐을 나타낸다.
도 5b는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의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는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현재의 슬라이드 상태를 나타낸 플래그를 기억하는 것으로, 그 값은 슬라이드 상태에 따라 "0", "1", "2", "3"중 어느 하나로 변화한다.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의 값이 "1"일 때는, 최초의 슬라이드를 행하고 있는 슬라이드 중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2"일 때는, 최초의 슬라이드로부터 일단 정지하고 있는 정지 중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의 값이 "3"일 때는, 일단 정지에 계속되는 나중의 슬라이드를 행하고 있는 슬라이드 중의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0"은 그 외의 상태(터치 해제 상태 등)인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 개념을 도 6∼도 8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 흐름도에 기술되어 있는 각 기능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이 순차 실행된다. 또, 네트워크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전송되어 온 전술한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순차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기록 매체 이외에, 전송 매체를 통하여 외부 공급된 프로그램/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 특유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터치 패널(6)을 구성하는 터치 센서(8)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 실행 개시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 동작 중, 본 실시예의 특징 부분의 동작 개요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이 도 6의 흐름에서 빠져나간 때는 전체 동작의 주 흐름(도시하지 않음)으로 돌아간다.
먼저, 제어부(1)는 터치 조작이 행해지면, 그 터치의 종류로서,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를 조사한다(단계 A1), 터치 센서(8)를 1회 탭(tap)하는 싱글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를 조사한다(단계 A2). 지금, 싱글 터치 조작이 행해졌을 때는(단계 A2에서 YES), 그 조작에 따라 처리를 행한다(단계 A3), 또, 슬라이드 조작, 싱글 터치 조작 이외의 기타 조작(예를 들면, 더블 터치 조작)을 했을 때도(단계 A2에서 NO), 그 조작에 따라 처리를 행한다(단계 A3). 그 후, 도 6의 흐름에서 빠져나간다.
한편,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는(단계 A1에서 YES), 그 슬라이드 상태를 판별하는 슬라이드 조작 판별 처리로 이동한긴다(단계 A4).
도 7 및 도 8은 슬라이드 조작 판별 처리(도 6의 단계 A4)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는 슬라이드 조작을 검출하면, 최초의 슬라이드 중에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에 "1"을 기억시키는 처리(단계 B1)를 행한 후, 터치 센서(8)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따라 슬라이드 중에 있는지를 조사하여(단계 B2), 슬라이드 중이 아니면(단계 B2에서 NO), 터치 센서(8)에 터치한 상태로 슬라이드가 정지된 것인지를 조사한다(단계 B7). 여기서, 슬라이드 중이면(단계 B2에서 YES),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는 "1"인지, 즉 최초의 슬라이드 중에 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B3).
지금, 최초의 슬라이드 중에 있으면(단계 B3에서 YES), 현재의 터치 위치와 이동 방향을 구하여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시킨다(단계 B4). 그리고, 이 이동 방향에 따라 대략 직선형의 슬라이드인지를 조사하여(단계 B5), 대략 직선형의 슬라이드가 아니면(단계 B5에서 NO),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하지 않는 슬라이드 조작이므로, 다음의 단계 B6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의 값을 "0"으로 한다. 그리고, 도 8의 단계 B28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조작 판별 처리의 판별 결과로서,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 후, 도 7 및 도 8의 흐름에서 빠져나간다.
또, 최초의 슬라이드가 대략 직선형의 슬라이드이면(도 7의 단계 B5에서 YES), 전술한 단계 B2로 복귀하고, 이하,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가 "1"인 상태에서 슬라이드 중이면, 전술한 단계 B4, 단계 B5를 반복한다. 여기서, 슬라이드가 정지되면(단계 B7에서 YES),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가 "1"인지를 조사하지만(단계 B8), 최초의 슬라이드를 한 후, 슬라이드가 일단 정지되었을 때는,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가 "1"이므로(단계 B8에서 YES),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최초의 슬라이드 중의 각 터치 위치로부터 최초의 슬라이드의 이동량을 산출하여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B9).
그리고, 최초의 슬라이드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시키는 처리(단계 B10)를 행한 후, 일단 정지 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정지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의 계측 동작을 개시시킨다(단계 B11). 그리고,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를 "2"로 하는 처리(단계 B12)를 행한 후, 전술한 단계 B2로 복귀한다. 여기서, 정지 중인 채로 있으면(단계 B2에서 NO, 단계 B7에서 YES), 전술한 단계 B8로 이동하지만, 이 경우,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는 "2"이므로(단계 B8에서 NO), 그대로 전술한 단계 B2로 복귀하고, 정지 타이머의 계측 동작을 계속시킨다.
여기서, 일단 정지로부터 다시 슬라이드가 개시되었을 때는(단계 B2에서 YES), 전술한 단계 B3에서 NO와 판단되어 다음의 단계 B13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가 "2"인지를 조사한다. 지금, 슬라이드의 일단 정지 중으로부터 다시 슬라이드가 개시된 경우이며,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는 "2"이므로(단계 B13에서 YES), 전술한 정지 타이머의 계측 동작을 정지시켜, 그 계측 시간을 정지 시간으로서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시킨다(단계 B14).
그리고, 나중의 슬라이드가 개시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를 "3"으로 하는 처리(단계 B15)를 행한 후, 전술한 단계 B2로 복귀하지만, 계속 슬라이드 중이면(단계 B2에서 YES), 전술한 단계 B3에서 NO로 판단되어 전술한 단계 B13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가 "2"는 아니기 때문에(단계 B13에서 NO), 다음의 단계 B16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가 "3"인지를 조사하여, "3"이 아니면(단계 B16에서 NO), 도 8의 단계 B28로 이동하고, 슬라이드 조작 판별 처리의 판별 결과로서,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다.
지금,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는 "3"이므로(단계 B16에서 YES), 현재의 터치 위치와 이동 방향을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시킨다(단계 B17). 그리고, 이 이동 방향에 따라 대략 직선형의 슬라이드 인지를 조사하여(단계 B18), 대략 직선형의 슬라이드가 아니면(단계 B18에서 NO),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하지 않는 슬라이드 조작이므로, 단계 B19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의 값을 "0"으로 한다. 그 후, 도 8의 단계 B28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조작 판별의 처리 결과로서,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다. 또, 나중의 슬라이드가 대략 직선형의 슬라이드 이면(단계 B18에서 YES), 전술한 단계 B2로 복귀한다.
여기서, 터치 센서(8)로부터 손가락 등이 떨어져 슬라이드 종료를 검출했을 때는(단계 B2에서 NO, 단계 B7에서 NO), 도 8의 단계 B20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가 "3"인지를 조사하여,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가 "3"이 아니면(단계 B20에서 NO), 단계 B28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조작 판별의 처리 결과로서,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다. 지금, 나중의 슬라이드 후에 터치 종료되었을 때는, 슬라이드 조작 플래그(F)는 "3"이므로(단계 B20에서 YES),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나중의 슬라이드 중의 각 터치 위치로부터 나중의 슬라이드의 이동량을 산출하여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시키는 처리(단계 B21)를 행하는 동시에, 나중의 슬라이드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여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B22).
그리고, 이번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은,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의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최초의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과 나중의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을 비교함으로써, 역방향의 관계에 있는지 조사하고(단계 B23), 90°정회전 방향의 관계에 있는지 조사하고(단계 B24), 90°역회전 방향의 관계에 있는지 조사한다(단계 B 25).
여기서, 최초로 나중의 이동 방향이 역방향의 관계에 있는 경우(단계 B23에서 YES), 90°정회전 방향의 관계에 있는 경우(단계 B24에서 YES), 90°역회전 방향의 관계에 있는 경우(단계 B25에서 YES) 중 어느 하나이면, 단계 B26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조작 패턴의 종류를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조작 판별의 처리 결과로서,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한다고 판별한다(단계 B27) 또, 어떠한 관계도 아나면(단계 B23∼B25에서 NO),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은 아니기 때문에,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한다(단계 B28).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조작 판별 처리가 종료하면(도 6의 단계 A4), 제어부(1)는 그 판별 처리 결과에 따라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소정 패턴의 슬라이드 조작에 해당하는 조작인지 여부를 조사하여(단계 A5), 해당하는 조작이 아니면(단계 A5에서 NO), 화상 스크롤 이외의 처리로서, 그 조작에 따른 처리로 이동하든지(단계 A3), 해당하는 조작이면(단계 A5에서 YES), 그 슬라이드 상태(슬라이드 조작 패턴, 슬라이드 마다의 이동량 및 이동 속도, 일단 정지 시간)를 기억부(3) 내의 작업 영역으로부터 취득한다(단계 A6).
그리고, 설정 테이블(T3)을 참조하여(단계 A7), 그 슬라이드 상태에 해당하는 설정이 있는지를 조사하고(단계 A8), 해당하는 설정이 없으면(단계 A8에서 NO), 화상 스크롤 이외의 처리로서, 그 조작에 따른 처리로 이동하지만(단계 A3), 해당하는 설정이 있으면(단계 A8에서 YES), 그 설정에 기초하여 제어 테이블(T1)을 액세스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상태의 종류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테이블(T2)로부터 판독한 "내용""A"∼"D"에 기초하여 제어 테이블(T1)을 액세스하여, 해당하는 표시 제어 처리를 행한다(단계 A9).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낸 설정 테이블(T3)의 설정예(1)의 경우에 있어, 최초로 나중의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이 역방향의 관계에 있는 슬라이드 조작 패턴 이면,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설정 ID"에는 "1"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이 "C"라고 하면, 스크롤 화상 수는 "3화상"이 된다. 또,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설정 ID"에는 "2"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B"라고 하면, 스크롤 속도는"2초/화상"이 된다. 또, "방향 전환시의 정지 시간"에 대응하는 "설정 ID"에는 "3"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방향 전환시의 정지 시간이 "B"라고 하면, 스크롤 전환 시의 효과는 "슬라이드 인"이 된다. 또, 90°정회전 방향의 관계에 있는 슬라이드 조작 패턴이면, "최초의 90°정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설정 ID"에는 "4"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최초의 90°정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C"라고 하면, 스크롤 단위는 "폴더의 선두만"이 된다.
또, 설정예(2)의 경우에 있어,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설정 ID"에는 "(1)"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최초의 역방향으로의 이동량이 "A"이면, 스크롤 화상 수는 "1화상"이 되고, 또,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설정 ID"에는 "2"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나중의 순방향으로의 이동량이 "B"이면, 스크롤 속도는 "2초/화상"이 된다. 또, "방향 전환시의 정지 시간"에 대응하는 "설정 ID"에는 "3"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방향 전환시의 정지 시간이 "A"라고 하면, 스크롤 전환 시의 효과는 "없음"이 된다.
또, "최초의 90°역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대응하는 "설정 ID"에는 "4"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최초의 90°역회전 방향으로의 이동량이 "D"이면, 스크롤 단위는 "1일의 선두 타임스탬프만"이 된다. 이 경우, 날(day) 단위로 관리되어 있는 일련의 화상 중, 날마다 선두 타임(가장 빠른 시각)의 화상만을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화상 스크롤을 행한다. 또, 스크롤 단위가 "폴더의 선두만"이면, 일련의 화상이 복수의 폴더에 분산되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각 폴더로부터 소정의 화상으로서, 폴더의 선두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만을 판독하여 순차적으로 화상 스크롤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 제어부(1)는 터치 센서(8) 상에서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이동 방향에 따라 판별한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이, 최초에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패턴이면, 최초의 이동 방향과 그 후에 계속되는 이동 방향의 조합에 따라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에 대한 제어를 행하도록 했으므로, 터치 조작에 따라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풍부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어 편리성이나 조작성이 향상되어 실용성이 많은 것이 된다.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으로서, 최초에 한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으로 대략 직선형으로 이동하도록 했으므로, 슬라이드 조작은 직선이라는 알기 쉬운 간단한 조작이 된다.
최초의 이동 방향은,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에 대한 제어시킬 방향(표시 제어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며, 그 후에 계속되는 이동 방향은 표시 내용을 제어시키는 방향이므로, 슬라이드 조작은 표시 제어 방향을 반영한 알기 쉬운 간단한 조작이 된다.
최초의 이동 방향은, 표시 제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며, 그 후에 계속되는 이동 방향은 표시 제어 방향이므로, 슬라이드 조작은 표시 제어 방향을 반영한 알기 쉬운 간단한 조작이 된다. 여기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란 슬라이드 도중에 이동 방향이 약간 변경되더라도 전체로서 표시 제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면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당업자가 대략 직교라고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의 오차나 동작중의 흔들림을 포함해도 상관없다.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으로서, 최초에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패턴인 경우에, 또한 최초의 이동량 또는 그 후에 계속되는 이동량에 따라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슬라이드 상태로서 이동량을 요소에 포함할 수 있어 그만큼 풍부한 표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으로서, 최초에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패턴인 경우에, 또한 최초의 이동 속도 또는 그 후에 계속되는 이동 속도에 따라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슬라이드 상태로서 이동 속도를 요소에 포함할 수 있어 그만큼 풍부한 표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최초에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나서 일단 정지한 후에 계속하여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정지 시간에 따라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슬라이드 상태로서 일단 정지 시의 정지 시간을 요소에 포함할 수 있어 그만큼 풍부한 표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슬라이드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화상 스크롤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화상 스크롤의 방향을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슬라이드 조작에 따른 화상 수 단위의 화상 스크롤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화상 스크롤의 화상 수를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슬라이드 조작에 따른 속도로 화상 스크롤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화상 스크롤의 속도를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화상 스크롤을 행하는 경우에, 그 스크롤 사이에 삽입하는 표시 효과를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스크롤 사이에 삽입하는 효과의 종류를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화상 스크롤 단위의 종류를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스크롤 단위의 종류를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복수의 폴더에 분산되어 기억되어 있는 일련의 화상 중에서, 각 폴더로부터 소정의 화상(선두 화상)만을 판독하여 화상 스크롤 단위의 종류를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스크롤 단위의 종류를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타임 스탬프가 부가되어 기억되어 있는 일련의 화상 중에서, 소정의 타임 스탬프(선두 타임)가 부가되어 있는 화상만을 판독하여 화상 스크롤 단위의 종류를 변경하도록 하였으므로, 스크롤 단위의 종류를 간단한 조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제어로서 화상 스크롤을 예시했지만, 텍스트 데이터 등을 페이지 단위로 스크롤하는 페이지 스크롤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테이블(T1)내의"1 화상", "2 화상", "3 화상", "4 화상"을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4 페이지"로 하고, "1초/화상", "2초/화상", "3초/화상", "4초/화상"을 "1초/페이지", "2초/페이지", "3초/페이지", "4초/페이지"로 하면 된다. 또, 표시 제어로서는, 화상 스크롤이나 페이지 스크롤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의 확대나 축소, 화면의 스크롤 등의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 제어가 가능한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으로서는,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조작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이며, 또 대략 직선형의 이동에 한정되지 않고, 원호 등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작이어도 된다. 또, 최초의 슬라이드와 나중의 슬라이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의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조작이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터치 패널(6)을 구성하는 표시부(7)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을 제어하도록 했지만, 이와는 별개로 설치한 표시부 또는 외부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기 등에 접속하여 그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냈으나, 휴대 전화기·PDA·음악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 외에,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장치"나 "부"는, 기능 별도로 복수의 하우징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되고, 단일의 하우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전술한 흐름도에 기술한 각 단계는, 시계열적인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처리하거나, 별개 독립적으로 처리하거나 해도 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설명한 세부사항 중 어떤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Claims (1)

  1. 터치 입력 수단 상에서 터치하면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해졌을 때, 그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이동 검출 단계,
    상기 검출된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조작의 패턴을 판별하는 패턴 판별 단계로서, 상기 패턴 판별 단계는, (i)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ii)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순으로 터치 조작되는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복수의 조합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는 패턴 판별 단계, 및
    상기 패턴 판별 단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합 중 하나에 해당한다고 판별된 경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내용을 상기 조합에 따라 상이하게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조합에 따라, 상기 표시 제어 단계의 표시 제어의 내용을 임의로 설정 가능한, 전자 기기.
KR1020140065136A 2011-01-13 2014-05-29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KR101526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4547A JP5418508B2 (ja) 2011-01-13 2011-01-13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1-004547 2011-01-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05A Division KR20120082360A (ko) 2011-01-13 2012-01-11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476A true KR20140073476A (ko) 2014-06-16
KR101526256B1 KR101526256B1 (ko) 2015-06-09

Family

ID=456075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05A KR20120082360A (ko) 2011-01-13 2012-01-11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KR1020140065136A KR101526256B1 (ko) 2011-01-13 2014-05-29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05A KR20120082360A (ko) 2011-01-13 2012-01-11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64675B2 (ko)
EP (1) EP2477106B1 (ko)
JP (1) JP5418508B2 (ko)
KR (2) KR20120082360A (ko)
CN (1) CN1025915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2279A1 (ja) * 2012-06-29 2014-01-03 楽天Edy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40071171A1 (en) * 2012-09-12 2014-03-13 Alcatel-Lucent Usa Inc. Pinch-and-zoom, zoom-and-pinch gesture control
CN102929527A (zh) * 2012-09-27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图片切换功能的装置及图片切换方法
CN103927033B (zh) * 2013-01-11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获取方法、触屏及电子设备
JP5761216B2 (ja) * 2013-01-22 2015-08-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78375B2 (ja) 2013-02-22 2017-02-0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の動作方法
JP6112985B2 (ja) * 2013-06-17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8108100B (zh) * 2013-10-28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调节播放的方法及装置
CN103744599B (zh) * 2013-12-26 2018-01-23 广东明创软件科技有限公司 背部触控方法及其移动终端
JP6299245B2 (ja) * 2014-02-05 2018-03-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装置、制御プログラム、スクロール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US9537805B2 (en) 2014-03-27 2017-01-03 Dropbox, Inc. Activation of dynamic filter generation for message management systems through gesture-based input
US9197590B2 (en) 2014-03-27 2015-11-24 Dropbox, Inc. Dynamic filter generation for message management systems
JP6298538B2 (ja) * 2014-03-27 2018-03-20 ドロップボ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ェスチャに基づく入力を介したメッセージ管理システムのための動的なフィルタ生成の有効化
US9628747B2 (en) 2014-05-09 2017-04-18 Lyve Minds, Inc. Image scrolling on a photo sharing device display
EP3182692B1 (en) * 2014-08-12 2023-12-20 Sony Group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162516B2 (en) * 2015-05-22 2018-12-25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JP2016218963A (ja) 2015-05-26 2016-12-2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入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入力制御方法
CN105094548A (zh) * 2015-07-20 2015-11-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399791B1 (ko) * 2015-08-18 2022-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탐색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90026286A1 (en) * 2017-07-19 2019-0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erarchical data structure
CN107422979A (zh) * 2017-09-29 2017-12-01 深圳市云中飞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页面滑动控制方法、系统及终端设备
JP6951940B2 (ja) * 2017-10-26 2021-10-2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724259B2 (ja) * 2017-10-31 2020-07-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操作装置、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CN109828811B (zh) * 2018-12-28 2020-12-29 北京城市网邻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卡片对象的展示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7819A (ja) 1991-10-31 1993-05-25 Nec Corp ストロークコマンド支援方式
US6995745B2 (en) 2001-09-13 2006-02-07 E-Book Systems Pte Ltd. Electromechanical information browsing device
US7466307B2 (en) * 2002-04-11 2008-12-16 Synaptics Incorporated Closed-loop sensor on a solid-state object position detector
JP3977684B2 (ja) 2002-05-21 2007-09-19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4104594A (ja) 2002-09-11 2004-04-02 Toshib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及びユーザ指示入力方法
WO2005008444A2 (en) * 2003-07-14 2005-01-27 Matt Pallakoff System and method for a portbale multimedia client
JP2005044036A (ja) 2003-07-24 2005-02-17 Ricoh Co Ltd スクロール制御方法、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5234291A (ja) * 2004-02-20 2005-09-02 Nissan Motor Co Ltd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4137069B2 (ja) 2005-03-15 2008-08-20 株式会社リコー 制御装置
JP2006277314A (ja) * 2005-03-29 2006-10-12 Nec Saitama Ltd アドレス入力装置、そのアドレス入力方法およびそのアドレス入力装置をもつ電子機器
KR100828017B1 (ko) 2006-02-10 2008-05-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래픽 객체의디스플레이 방법
DE202007018940U1 (de) * 2006-08-15 2009-12-10 N-Trig Ltd. Bewegungserkennung für einen Digitalisierer
US8842074B2 (en) 2006-09-06 2014-09-23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similar operations for different gestures
KR20080040930A (ko) * 2006-11-06 200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694579B2 (ja) * 2007-04-11 2011-06-08 株式会社フェイビー 文字入力システム
JP5168991B2 (ja) * 2007-04-12 2013-03-27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08161A1 (en) * 2007-07-04 2009-01-08 Jones Christopher W Capacitive sensor array and gesture recognition
KR101588036B1 (ko) * 2007-11-28 2016-01-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감지 디바이스 및 방법
CN101162420B (zh) * 2007-11-29 2010-12-15 天津津科电子系统工程有限公司 基于触摸屏的旋转式连续变速浏览与检索方法
US9767681B2 (en) * 2007-12-12 2017-09-19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and gesture recognition
KR101467766B1 (ko) * 2008-03-2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8375336B2 (en) * 2008-05-23 2013-02-12 Microsoft Corporation Panning content utilizing a drag operation
CN101639739A (zh) * 2008-08-01 2010-02-03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可触控式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00027686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1676851B (zh) * 2008-09-17 2012-04-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输入方法和输入装置
JP2010086230A (ja) * 2008-09-30 2010-04-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33138B2 (en) * 2008-10-29 2013-04-30 Nokia Corporation Interaction using touch and non-touch gestures
JP5387582B2 (ja) * 2008-11-11 2014-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の頁送り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11452B2 (ja) * 2008-11-19 2011-11-0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8074880B2 (en) * 2008-12-01 2011-12-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employing enhanced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8499251B2 (en) * 2009-01-07 2013-07-30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page turn
CN101504585B (zh) * 2009-03-09 2011-04-06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触摸屏的滑动式输入方法
CN101510141A (zh) * 2009-03-24 2009-08-19 无锡迈思奇科技有限公司 触摸屏信息显示方法
KR101646922B1 (ko) * 2009-05-19 2016-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신 관련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619029B2 (en) * 2009-05-22 2013-12-3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preting consecutive gestures
US8543946B2 (en) 2009-06-29 2013-09-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Gesture-based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9563350B2 (en) * 2009-08-11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39602A1 (en) * 2009-08-13 2011-02-17 Mcnamara Justi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On A Mobile Device
KR101132598B1 (ko) 2009-09-10 2012-04-06 문준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8624925B2 (en) * 2009-10-16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 boundary signaling techniques
US8839128B2 (en) * 2009-11-25 2014-09-16 Cooliris, Inc. Gallery application for content viewing
KR101478416B1 (ko) * 2009-12-28 2014-12-31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입력 제스처들을 사용해서 터치 스크린에서 객체들을 연관시키는 방법들
CN101776968A (zh) * 2010-01-18 2010-07-14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控方法和装置
JP5937572B2 (ja) * 2010-04-30 2016-06-2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動的uiフレームワークを介した主画面ビューの制御
US20110302518A1 (en) * 2010-06-07 2011-12-08 Google Inc.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US20110320978A1 (en) * 2010-06-29 2011-12-29 Horodezky Samuel J Method and apparatus for touchscreen gesture recognition overlay
US8972903B2 (en) * 2010-07-08 2015-03-03 Apple Inc. Using gesture to navigate hierarchically ordered user interface screens
US8723819B2 (en) * 2010-09-27 2014-05-13 Sentelic Corporation Method for analyzing two-dimensional track to generate at least one non-linear index and touch control module using the same
JP5968337B2 (ja) * 2010-12-22 2016-08-10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Thomson Licensing メディア推薦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0444979B2 (en) * 2011-01-31 2019-10-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based sear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91583B (zh) 2016-03-30
EP2477106A2 (en) 2012-07-18
JP2012146160A (ja) 2012-08-02
JP5418508B2 (ja) 2014-02-19
CN102591583A (zh) 2012-07-18
KR20120082360A (ko) 2012-07-23
US9164675B2 (en) 2015-10-20
KR101526256B1 (ko) 2015-06-09
US20120182325A1 (en) 2012-07-19
EP2477106B1 (en) 2019-04-10
EP2477106A3 (en)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256B1 (ko) 전자 기기 및 기억 매체
US8068121B2 (en) Manipulation of graphical objects on a display or a proxy device
KR101217934B1 (ko) 단일 포인터 터치 센시티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
US9438789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401650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zooming method thereof
JP2013105272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RU2613739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мещением интерфейса приложения
JP2014010494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2010003940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viewing displayable medias
CN105824404A (zh) 一种手势操控方法及移动终端
KR20150019370A (ko) 휴대 장치에서 3차원 방식의 페이지 탐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US11354031B2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croll speed of a display screen
JP6143023B2 (ja) 電子機器、タッチ操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746922A2 (en) Touch control method and handheld device utilizing the same
JP5765551B2 (ja) 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タッチ制御方法
JP201322501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91511B2 (ja) 電子機器
TWI457822B (zh) 資訊顯示方法及其系統與儲存媒體
JP6548068B2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03395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783494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6362110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70040763A (ko) 표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477101B2 (en) Reading device for electronic document and operation method of reading electronic document
TWI376630B (en) Electronic device and picture view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