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46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468A
KR20140073468A KR20140051537A KR20140051537A KR20140073468A KR 20140073468 A KR20140073468 A KR 20140073468A KR 20140051537 A KR20140051537 A KR 20140051537A KR 20140051537 A KR20140051537 A KR 20140051537A KR 20140073468 A KR20140073468 A KR 20140073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gonal sequence
index
sequence
terminal
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027B1 (ko
Inventor
고영조
노태균
이경석
서방원
정병장
이희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204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734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40073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04L1/0073Special arrangements for feedback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캐리어 집성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간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아래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기법은 복수의 캐리어 컴포넌트들을 병합하여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복수의 캐리어 컴포넌트를 할당받고, 할당 받은 복수의 캐리어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 또는 기지국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에 대한 수신 확인 정보(ACK/NACK) 및 무선 자원 할당정도가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의 일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캐리어 컴포넌트가 할당된 경우에, 복수의 캐리어 컴포넌트 중에서 어떤 캐리어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할지, 어떻게 제어 정보를 전송할 지 여부에 대해서는 연구가 필요하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일측은, 캐리어 컴포넌트 기법이 적용된 경우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일측은 복수의 하향 링크 캐리어 콤포넌트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하향 링크 캐리어 콤포넌트에 포함된 복수의 하향 링크 채널 엘레멘트들 중에서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된 채널 엘레멘트의 인덱스에 기반하여 상향 링크 캐리어 콤포넌트에 포함된 상향 링크 채널을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결정된 상향 링크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수신 확인 정보(ACK/NACK)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또 다른 일측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수신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수신 확인 정보 및 상기 기지국에 대한 스케쥴링 요청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상기 수신 확인 정보의 비트 수 및 상기 스케쥴링 요청의 비트 수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또 다른 일측은 단말기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데이터 수신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각각에 대한 전송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각각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 블록에 대한 수신 확인 정보(ACK/NACK)를 생성하는 수신 확인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또 다른 일측은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롯에 포함된 제1 시간축 시퀀스와 상기 제2 슬롯에 포함된 제2 시간축 시퀀스는 서로 상이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의 일측에 따르면, 캐리어 컴포넌트 기법이 적용된 경우에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간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하향 링크 그런트가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향 링크 그런트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채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채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DFT-S-OFDM에 기반한 전송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간의 대응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는 복수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10, 120, 130)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수개의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40, 150)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10, 120, 130)는 각각 제어 정보(111, 121, 131)와 데이터(112, 122, 132)를 포함하고,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40, 150)도 각각 제어 정보(141, 143, 151, 153) 및 데이터(142, 152)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는 구성 컴포넌트 캐리어의 집합(Set of configured Component Carrier)에 속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PCC: Primary Component Carrier)로 설정할 수 있다. 구성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에서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가 아닌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들은 하향 링크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SCC: Secondary Component Carrier)라고 할 수 있다.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는 단말기가 기지국과의 접속을 유지하는 동안 항상 단말기의 구성 컴포넌트 캐리어의 집합에 포함된다. 또한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컴포넌트 캐리어이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은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시스템 정보뿐만 아니라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시스템 정보도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를 단말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가 PUCCH ACK/NACK을 전송하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할 수 있다. 하향 링크 프리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와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는 소정의 연결관계에 의해 연결되어야 한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를 단말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는 각 단말기마다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Cross-Carrier Scheduling)의 사용여부를 단말기에게 알려줄 수 있다.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특정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PDSCH(112, 122, 132)의 할당정보 또는 스케쥴링 정보는 해당 햐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PDCCH(111, 121, 131)를 통해서만 전송된다. 즉, 제1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10)에 포함된 PDSCH(112)의 할당정보 또는 스케쥴링 정보는 제1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PDCCH(111)를 통해서만 전송되고, 제2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20)에 포함된 PDSCH(122)의 할당정보 또는 스케쥴링 정보는 제2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20)에 포함된 PDCCH(121)를 통해서만 전송된다.
상향 링크 스케쥴링을 고려하면,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PDCCH는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되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PUSCH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간의 대응관계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는 콤포넌트 캐리어들간의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PDCCH가 어느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PUSCH를 스케쥴링하는지 알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10)가 제1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40)에 대응되고, 제2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20)가 제2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150)에 대응된다. 이 경우에, 제1 PDCCH에 포함된 스케쥴링 정보는 제1 PUSCH에 대한 것이고, 제2 PDCCH에 포함된 스케쥴링 정보는 제2 PUSCH(152)에 관한 것이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은 컴포넌트들간의 대응관계를 시스템 정보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하향 링크 그런트가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향 링크 그런트는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며, 하향 링크 또는 상향 링크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크로스-캐리어 스케쥴링을 사용하면, 각 PDSCH(212, 222, 232)의 할당 정보 또는 스케쥴링 정보는 모두 특정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PDCCH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케쥴링 정보가 전송되는 PDCCH가 포함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210)를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할 수 있다.
하향링크 그랜트에 사용된 PDCCH를 구성하는 제어채널 엘레멘트 (Control Channel Element)들 중 첫 번째 엘레멘트의 인덱스 값에 따라서 상향링크 ACK/NAK 자원이 결정된다. 다수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컴포넌트 캐리어 개수와 같은 개수의 PDCCH 채널이 사용된다. 따라서, 총 N개의 PDCCH 채널이 사용되면 각 PDCCH의 첫 번째 채널 엘레멘트의 인덱스의 값에 의해 맵핑되는 총 N 개의 ACK/NAK 자원이 결정된다. 단말은 N개의 ACK/NAK 자원을 사용하여 ACK/NAK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수신 확인 정보 (ACK/NAK) 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기는 미리 결정된 하나의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서 N개의 ACK/NAK 신호를 전송한다. 도 2와같이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서만 PDCCH를 전송하면 종래 LTE Release 8/9의 비명시적 (implicit) 자원 맵핑 관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하향 링크 그런트가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PDCCH는 여러 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그러나 수신 확인 정보(ACK/NACK)은 한 개의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따라서, 각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존재하는 PDCCH에 대하여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수신 확인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단말기에 대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Cross-carrier scheduling)이 설정된 경우에, PDCCH내에 CIF 필드가 사용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서만 PDCCH를 전송 받는다면 단말기는 LTE-Release 8에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PDCCH의 가장 낮은 CCE 인덱스와 ACK/NAK 자원의 비명시적인 맵핑 관계에 따라서, 상향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 결정되는 PUCCH format 1a 혹은 format 1b ACK/NAK 자원들을 이용하여 자원 혹은 시퀀스 선택을 하여 ACK/NAK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가 2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도록 구성되고(즉 하향 링크 구성 컴포넌트 캐리어가 2개인 경우), 단말기에 대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이 설정되면 항상 도 2와 같이 하향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해서만 PDCCH를 전송받게 된다.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동적인 PDCCH 를 이용한 PDSCH할당이 없는 경우에도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SPS(Semi-Persistent Scheduling)할당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는 SPS 할당에 대응하는 Persistent ACK/NAK 자원을 자원 및 시퀀스 선택을 위한 ACK/NAK 채널들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가 하나의 동일한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단말기에 대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이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PDCCH의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CCE: 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와 ACK/NAK 자원의 비명시적인(Implicit) 맵핑 관계를 사용하여 확보되는 상향링크 ACK/NAK 채널을 사용하여 자원 및 시퀀스 선택을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방법으로 자원을 확보한 경우에도 ACK/NACK 전송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추가적인 자원의 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LTE Rel-8/9의 ACK/NAK 자원의 비명시적인 맵핑 관계를 사용하되 PDCCH의 두 번째로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를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 대신 대입하여 상향 링크 ACK/NAK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최소 두 개의 제어 채널 엘레멘트로 PDCCH를 구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 어떤 부프레임에 SPS가 할당된 경우, 해당 부프레임에서는 하향링크 할당 PDCCH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LTE 에서는 SPS할당에 대응하는 하나의 ACK/NAK 자원만이 확보되므로 추가적 자원확보를 위해 다른 할당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일측에 따르면, 추가적 자원은 명시적 시그널링 (Explicit Signaling)을 사용하여 확보 할 수 있다. 명세적 시그널링의 일예로서, RRC 시그널링 통하여 직접 알려주거나 혹은 하향 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DCI Format에 한 개 혹은 복수의 비트를 할당하여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자원할당 위치 일부를 알려주고 최종적으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DCI Format에 한 개 혹은 복수의 비트를 할당하여 단말에게 자원을 알려줄 수 있다.
단말기에 대하여 크로스 스케쥴링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PDCCH가 CIF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은 별개의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 ACK/NACK 자원을 할당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 링크 구성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수에 해당하는 ACK/NAK 자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즉, 하향 링크 구성 컴포넌트 캐리어들이 개수가 N개이면 N개의 PUCCH ACK/NACK 자원이 할당되어야 한다.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 에 동적인 PDCCH 를 이용한 PDSCH할당이 있다면, LTE-Release 8에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PDCCH의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와 ACK/NACK 자원의 비명시적인 맵핑 관계를 사용하여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 결정되는 ACK/NACK 자원을 자원 및 시퀀스 선택을 위한 ACK/NACK 채널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동적인 PDCCH를 이용한 PDSCH할당이 없는 경우에도,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SPS 할당이 있는 경우에는 SPS 할당에 대응하는 Persistent ACK/NAK 자원을 자원 및 시퀀스 선택을 위한 ACK/NACK 채널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방법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하나에 대해 각기 다른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가 연결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모든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가 동일한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단말에게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이 설정되었는지 여부와는 관계 없이 항상 LTE-Release 8/9에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PDCCH의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와 ACK/NACK 자원의 비명시적인 맵핑 관계를 사용하여 확보되는 상향링크 ACK/NACK 채널을 사용하여 자원 및 시퀀스 선택을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연결된 모든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 항상 LTE-Release 8/9에 규격에 정의된 비명시적인 맵핑 관계를 사용하여 확보되는 상향링크 ACK/NAK 채널을 사용하여 자원 및 시퀀스 선택을 위한 ACK/NAK 채널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연결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해 동적인 PDCCH 를 이용한 PDSCH할당이 없더라도 SPS 할당이 있는 경우에는, SPS 할당에 대응하는 Persistent ACK/NAK 자원을 자원 및 시퀀스 선택을 위한 ACK/NAK 채널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단말에 대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PDCCH가 CIF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자원을 더 확보하여 자원 및 시퀀스 선택을 위한 ACK/NAK 채널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 PDCCH가 전송되어 자원할당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LTE Rel-8/9의 ACK/NAK 자원의 비명시적인 맵핑 관계를 사용하되, PDCCH의 두 번째로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를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 대신 대입하여 상향링크 ACK/NAK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최소 두 개의 제어 채널 엘레멘트로 PDCCH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 어떤 부프레임에 SPS가 할당된 경우, 해당 부프레임에서는 하향 링크 할당 PDCCH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LTE 에서는 SPS할당에 대응하는 하나의 ACK/NAK 자원만이 확보되므로 추가적 자원확보를 위해 다른 할당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추가적 자원은 명시적 시그널링 (Explicit Signaling)을 사용하여 확보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RRC 시그널링 통하여 직접 알려주거나 혹은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DCI Format에 한 개 혹은 복수의 비트를 할당하여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자원할당 위치 일부를 알려주고 최종적으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DCI Format에 한 개 혹은 복수의 비트를 할당하여 단말에게 자원을 알려줄 수 있다
다음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채널 선택 방식을 사용하는 ACK/NAK 피드백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전송하는 ACK/NAK 비트에 따라 할당된 채널의 수가 하기 표 1와 같다고 가정하자
[표 1-전송하는 ACK/NAK 비트에 따라 할당된 채널의 수]
Figure pat00001

채널 선택을 위해서, PDCCH를 통해 PDSCH 할당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PDCCH를 구성하는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 혹은 ARI (ACK/NAK Resource Indication) 정보 등으로부터 최소 1개 이상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전송블럭의 수가 1개이면 1개 채널을 확보하고 전송블럭의 수가 2개 이면 2개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PDCCH가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송되어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 혹은 하향 링크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데이터 할당을 하는 경우에, 한 개 전송 블럭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PDCCH를 구성하는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 중에서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를 사용하여 Rel-8/9 자원 할당 방식으로 한 개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만약 두 개의 전송 블럭이 전송되는 경우는 PDCCH를 구성하는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 중에서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와 두 번째로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를 각각 사용하여 Rel-8/9 자원 할당 방식으로 두 개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PDCCH가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송되고 한 개 전송 블럭이 전송되는 경우.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이 SORTD(Spatial Orthogonal-Resource Transmit Diversity)를 사용하여 전송하기 위해 추가적 자원의 할당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PDCCH를 구성하는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 중에서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와 두 번째로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를 각각 사용하여 Rel-8/9 자원 할당 방식으로 두 개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PDCCH가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가 아닌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송되는 경우에는 다음의 방식으로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기지국은 파라메터
Figure pat00002
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알려준다. PDCCH가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가 아닌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송되는 경우 DCI Format 내의 2 bits을 자원할당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이 2 bits를 ARI (ACK/NACK Resource Indication) 라고 부르고 복수의 PDCCH가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송되는 경우 ARI는 모두 같은 값을 사용할 수 있다. ARI에 의해
Figure pat00003
값이 맵핑된다고 하고 아래와 같이
Figure pat00004
를 정의한다.
Figure pat00005
실시 예로 ARI bit 값에 따른
Figure pat00006
값은 하기 표 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는 규격에 미리 결정해 놓은 값을 쓰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 (higher-layer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값을 알려줄 수 있다.
[표 2-ARI bit 값에 따른
Figure pat00008
_값]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로 부터 단말은 Rel-8/9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한 개의 전송블럭이 전송되는 경우는 위의 방식으로 결정된 한 개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두 개의 전송블럭이 수신되는 경우는 한 가지 방법으로 단말은
Figure pat00011
에 해당하는 자원을 두 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향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담은 PDCCH가 전송되는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가 최대 2개 전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기지국은
Figure pat00012
의 후보 값 4개 쌍을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DCI에 포함된 ARI를 사용하여 4개 쌍 중에 한 쌍을 선택하고 실제 전송 불록의 수가 두 개이면 선택된 자원 쌍을 단말이 채널선택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실제 전송 블록의 수가 한 개이면 선택된 자원 쌍 중에서 첫 번째 자원을 단말이 채널선택을 위해 사용한다.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단말이 SORTD (Spatial Orthogonal-Resource Transmit Diversity)를 사용하여 전송하기 위해 한 개의 전송블럭이 전송되는 경우라도 추가적 자원의 할당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는
Figure pat00013
에 해당하는 채널 두 개를 채널선택을 위한 채널로 확보한다.
단말이 전송해야 하는 A/N 정보 비트의 수는 단말에게 구성화된 (Configured)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수와 각 구성화된 컴포넌트 캐리어의 전송 모드(TM: Transmission Mode) 에 의해 결정한다. 즉, 최대 두 개 운송블럭을 전송할 수 있는 TM으로 설정된 컴포넌트 캐리어에는 2 bits 가 사용되고 최대 한 개 운송블럭을 전송할 수 있는 TM으로 설정된 컴포넌트에는 1 bit가 사용된다.
Figure pat00014
을 단말이 전송해야 하는 A/N bits 총 수라고 하면
Figure pat00015
, 여기는
Figure pat00016
는 i번째 구성 컴포넌트 캐리어에(채Configured Component Carrier) 대한 A/N bits 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7
은 단말에게 구성(Configured) 된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수를 나타낸다.
2 bits A/N전송이 발생하는 경우는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 (혹은 PCell)와 한 개의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 (혹은 SCell)가 구성되고 각각이 최대 한 개 운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는 TM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표 3-2bits A/N 전송이 발생하는 경우의 비트 할당]
Figure pat00018

이 경우 단말기가 SORTD를 사용하지 않으면, 앞에서 언급한 방식을 통해서 필요한 A/N 채널이 확보되므로 이들을 채널선택에 사용할 수 있다. 단말기가 SORTD를 사용하면 앞에서 언급한 방식을 통해서 PDCCH가 발생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2개의 채널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채널 선택과 SORTD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3 bits A/N전송이 발생하는 경우는 아래 표 4와 같이 세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표 4-3 bits A/N전송이 발생하는 경우의 비트 할당]
Figure pat00019

단말기가 SORTD를 사용하면 앞에서 언급한 방식을 통해서 상기 표 4에서의 Case 1은 PDCCH가 발생한 컴포넌트 캐리어 마다 2개의 채널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채널 선택과 SORTD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표 4에서의 Case 2는 PCell에서만 PDCCH가 발생하면 총 2 개의 채널을 확보하므로 단말기가 SORT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2개 채널의 확보가 더 필요하다. 만일 PCell과 Scell에서 모두 PDCCH가 발생하면 총 4개의 채널이 확보되므로 나머지 하나를 SORTD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즉, 채널선택의 결과로 얻어진 채널 한 개와 나머지 채널 하나를 사용하여 SORTD 전송을 행할 수 있다. SCell에서만 PDCCH가 발생하면 총 2 개의 채널을 확보하므로 SORTD전송이 가능하다.
표 4에서의 Case 3는 Case 2와 비슷하다. 다만 PCell과 SCell의 위치만이 바뀐다.
4 bits A/N전송이 발생하는 경우는 아래 표 5와 같이 네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표 5-4 bits A/N전송이 발생하는 경우의 비트 할당]
Figure pat00020

단말기가 SORTD를 사용하면 앞에서 언급한 방식을 통해서 상기 표5 에서의Case 1은 PDCCH가 발생한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2개의 채널을 확보하므로 이들을 채널 선택과 SORTD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표5에서의 Case 2에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 PDCCH가 발생하면 총 6 개의 채널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 중에서 4개를 채널선택에 사용할 수 있다. 나머지 두 개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단말기는 SORTD를 수행할 수 있다. 채널선택의 결과로 얻어진 채널 한 개와 나머지 채널 두 개중 하나 (미리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SORTD 전송을 행하는 것이다.
표5에서의 Case 3에서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에 PDCCH가 발생하면 총 6 개의 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중에서 4개를 채널선택에 사용할 수 있다. 단말기는 나머지 두 개 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SORTD를 수행할 수 있다. 채널선택의 결과로 얻어진 채널 한 개와 나머지 채널 두 개중 하나 (미리 규격에 의해 정해져 있는) 채널을 사용하여 SORTD 전송을 행하는 것이다.
Case 4는 총 4개의 채널을 확보하므로 이를 사용하여 채널선택을 수행하고 SORTD는 허용하지 않는다.
DFT-S-OFDM 기반 전송방법을 사용하는 단말기는 LTE Rel-8/9에 정의된 PUCCH 자원을 사용하여 다른 단말들과 함께 같은 자원블럭 (RB)에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으로 멀티플렉싱 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 별도의 ACK/NAK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 자원을 CA PUCCH ACK/NAK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CA PUCCH ACK/NAK 자원이 할당되는 위치는 기존 Rel-8/9 PUCCH CQI, Persistent ACK/NAK, SR 자원영역 내이고, PDCCH의 가장 낮은 제어 채널 엘레멘트 인덱스에 의해 맵핑이 되는 동적 ACK/NAK 자원 (Dynamic A/C resource) 영역을 침범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동적 ACK/NAK 자원 영역을 침범하면 동적 ACK/NAK 자원을 사용하는 다른 단말과의 충돌이 발생한다. 기지국은 단말기가 사용하는 무선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의 위치와 시간축 시퀀스를 알려줄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자원할당 위치의 일부를 단말기에게 알려주고 최종적으로 하향링크 스케줄링을 위한 DCI Format에 한 개 혹은 복수의 비트를 할당하여 단말에게 무선 자원을 알려줄 수 있다.
다만, 위의 전송방식과 관계 없이 단말기가 어떤 부프레임에서 한 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서만 하향 링크 할당을 수신하고, 그 할당받은 컴포넌트 캐리어가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라면, 단말기는 LTE Rel-8/9와 동일한 방식으로 ACK/NAK 자원을 할당받고 LTE Rel-8/9 과 동일한 전송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동적인 PDCCH 를 이용한 PDSCH할당이 없는 경우에도,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SPS 할당이 있는 경우에는 단말기는 SPS 할당에 대응하는 Persistent ACK/NAK 자원을 사용하고 LTE Rel-8/9 과 동일한 전송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DFT-S-OFDM에 기반하여 ACK/NAK 피드백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한 자원할당에 대해 기술한다.
일반 사이클릭 프리픽스(Normal CP)를 사용하는 경우, 도 6의 (a)와 같이 슬롯당 두 개의 레퍼런스 시그날을 갖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Extended CP)를 사용하는 경우, 도 7의 (b)와 같이 슬롯당 한 개의 레퍼런스 시그날을 갖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레퍼런스 시그날의 위치는 BL#3가 될 수도 있다.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가 전송되지 않는 부프레임에서, 일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최대 5개 단말이 한 개 무선 자원 블록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고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 의 경우 최대 4개 단말이 한 개 무선 자원 블록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SRS가 전송되는 부프레임에서는 두 번째 슬롯의 마지막 심볼이 전송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SRS가 전송되는 부프레임에서, 일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최대 4개 단말이 한 개 RB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고 확장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최대 3개 단말이 한 개 RB에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기지국은 파라메터
Figure pat00021
를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PDCCH가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송되는 경우 DCI Format 내의 2 bits을 자원할당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이 2 bits를 ARI (A/N Resource Indication) 라고 부르고 복수의 PDCCH가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송되는 경우 ARI는 모두 같은 값을 사용한다. ARI에 의해
Figure pat00022
값이 맵핑된다고 하고 아래와 같이
Figure pat00023
를 정의 한다.
Figure pat00024

실시 예로 ARI bit 값에 따른
Figure pat00025
값은 하기 표 6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26
는 규격에 미리 결정해 놓은 값을 쓰거나 higher-layer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값을 알려줄 수 있다.
[표 6-ARI bit 값에 따른
Figure pat00027
값]
Figure pat00028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지국은
Figure pat00029
의 후보 값 4개를 단말에게 RRC 시그널링하고 DCI에 포함된 ARI를 사용하여 4개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기는
Figure pat00030
로 부터 물리 자원 블록(PRB: Physical Resource Blocl)의 위치와 사용할 시간축 직교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단말이 사용할 자원은 아래 두 개 자원 인덱스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31
: PRB 인덱스
Figure pat00032
: 시간축 직교 시퀀스 인덱스
Figure pat00033
는 Rel-8/9과 동일한 아래의 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34
1)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제1 방법.
먼저, 아래의 새로운 파라메터를 정의한다.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Figure pat00073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Figure pat00084
Figure pat00085
Figure pat00086
Figure pat00087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Figure pat00091
Figure pat00092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Figure pat00095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7
Figure pat00098
Figure pat00099
Figure pat00100
Figure pat00101
Figure pat00102
Figure pat00103
CP삽입부(540) 및 RF부(550)는 IFFT 변환된 심볼 블록을 전송한다.
PUSCH가 일반적인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슬롯당 7개의 심볼 블럭이 전송된다. 그 중 4번째 심볼 블럭이 레퍼런스 시그널로 사용된다. 반면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extended CP)를 사용하는 구조에서는 슬롯당 6개의 심볼 블럭이 전송되고 그 중 3번째 심볼 블럭이 레퍼런스 시그널로 사용된다. 레퍼런스 시그널에 해당하는 심볼 블럭들은 DFT를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각 반송파(subcarrier)에 미리 정의된 심볼을 하나씩 맵핑 한다.
슬롯당 한 개의 레퍼런스 시그널을 전송하는 구조는 단말이 높은 속도로 움직일 경우 채널추정 성능의 저하로 인해 수신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데이터 전송의 경우는 H-ARQ재전송을 통해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 블록을 단말이 다시 전송하게하여 수신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ACK/NACK과 같은 제어정보는 재전송이 허락되지 않으므로 한번 전송으로 수신 성공률을 높여야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ACK/NACK 채널은 주파수 다이버시티 (Diversity)를 얻기 위해서 슬롯 단위로 전송되는 주파수영역이 바뀌는 슬롯단위 주파수 호핑을 한다. 또한, 단말기는 한 개의 전송 안테나를 갖거나 혹은 복수개의 전송안테나를 가질 수 있는다. 단말기가 복수 개의 전송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리코딩을 통해 한 개 레이어만을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첫 번째 방법은 도 6과 같이 하나의 슬롯 당 두개의 레퍼런스 시그널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 6과 같이 슬롯 당 두개의 레퍼런스 시그널을 사용한다면, 단말기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도 기지국에서 채널 추정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여러 단말의 ACK/NACK 정보를 동일한 무선 자원에 멀티플렉싱 하는 것이다. 레퍼런스 시그날은 주파수축으로 시퀀스를 이용하여 스프레딩하고, ACK/NACK 정보는 시간축으로 스프레딩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단말기들이 전송한 정보를 구분하기 위하여 레퍼런스 시그널은 직교 주파수축 시퀀스를 할당하고, ACK/NACK 데이터 블록은 시간축으로 직교 시퀀스를 할당할 수 있다.
ACK/NACK 데이터 블록을 스프레딩하기 위한 시간축 직교 시퀀스로서 DFT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사이클릭 프리픽스인 경우에 하기 표 27와 같은 길이 5인 DFT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표 27- 길이 5인 DFT 시퀀스]
Figure pat00104
도 6의 (b)와 같이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 ACK/NACK 데이터 블록을 위하여 하기 표 28과 같이 길이가 4인 DFT 시퀀스 또는 하기 표 29과 같이 길이가 4인 왈시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표 28- 길이 4인 DFT 시퀀스]
Figure pat00105

[표 29- 길이 4인 Walsh 시퀀스]
Figure pat00106

셀의 채널 환경에 따라서는 시간축 시퀀스의 부분 집합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셀내의 단말기들이 고속으로 움직이는 환경에서는 상기 표 27중에서 시퀀스 인덱스가 (0, 2)인 시퀀스만을 사용하거나, (1, 3)인 시퀀스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4인 DFT 시퀀스의 경우, 표 28 중에서 시퀀스 인덱스가 (0, 2)인 시퀀스만을 사용하거나, (1, 3)인 시퀀스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4인 왈시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표 29 중에서 시퀀스 인덱스 (0, 1), (1, 2), (2, 3) 또는 (3, 1)을 사용하는 것이 고속 환경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는데 바람직하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 7의 (a)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한 개의 심볼 블록을 레퍼런스 시그널로 사용하고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영역의 시간축 시퀀스로 스프레딩 팩터 (Spreading Factor) = 3 혹은 6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레퍼런스 시그널의 경우는 직교 주파수축 시퀀스 할당을 하여 서로 다른 단말기들을 구별할 수 있다. 주파축으로 사용하는 시퀀스의 길이는 기존 PUCCH과 같은 길이 12혹은 12보다 큰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시간축 시퀀스의 길이가 3 혹은 6인 경우에 최대 3개 혹은 6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들을 같은 자원에 멀티플렉싱 할 수 있다.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영역의 시간축 시퀀스로 스프레딩 팩터가 2와 3인 시퀀스를 함께 사용하거나 스프레딩 팩터가 5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의 (b)에서 심볼블록들 BL#0, BL#1, BL#3, BL#4, BL#5 에 스프레딩 팩터가 5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고, 한 개의 RS를 사용하는 구조는 도 7의 (b)과 같이 RS의 위치가 BL#2가 바람직하다. 이는 단축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두 번째 슬롯의 마지막 블록이 전송될 수 없는데 BL#3에 RS가 있는 경우보다는 BL#2에 있을 때 ACK/NACK 데이터 블록들의 가운데에 RS가 위치하여 채널 추정의 정확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반적인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8의 (a)와 같이 세 개의 심볼블록을 레퍼런스 시그널로 사용하고 데이터 영역의 시간축 시퀀스로 스프레딩 팩터가 2 혹은 4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스프레딩 펙터가 2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BL#1, BL#2 에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적용하고 BL#4, BL#5 에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스프레딩 팩터가 4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BL#1, BL#2, BL#4, BL#5 에 길이가 4인 시퀀스를 적용할 수 있다. 레퍼런스 시그널의 경우 서로 다른 단말을 직교 주파수축 시퀀스 할당을 하여 구별할 수 있다. 주파축으로 사용하는 시퀀스의 길이는 기존 PUCCH과 같은 12혹은 12보다 큰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시간축 시퀀스의 길이가 2 혹은 4인 경우에 최대 2명 혹은 4명의 서로 다른 단말을 같은 자원에 멀티플렉싱 할 수 있다.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8의 (b)와 같이 길이 2인 시퀀스는 BL#0, BL#1 에 적용하고 또 BL#4, BL#5 에 길이2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길이 4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BL#0, BL#1, BL#4, BL#5 에 길이 4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따라서 사용하는 시간축 시퀀스의 길이가2 혹은 4인 경우에 최대 2명 혹은 4명의 서로 다른 단말을 같은 자원에 멀티플렉싱 할 수 있다.
하기의 표 30, 표 31, 표 32는 길이가 2인 왈시 시퀀스, 길이가 3인 DFT 시퀀스, 길이가 6인 DFT 시퀀스의 예를 각각 기재한 것이다.
[표 30]
Figure pat00107
[표 31]
Figure pat00108
[표 32]
Figure pat00109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반적인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BL#2, BL#3, BL#4의 세개의 심볼 블록을 레퍼런스 시그날로 사용하고, 데이터 영역의 시간축 시퀀스로 스프레딩 팩터가 2 혹은 4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딩 펙터가 2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BL#0, BL#1 에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적용하고 BL#5, BL#6 에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적용할 수 있다. 스프레딩 팩터가 4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BL#0, BL#1, BL#5, BL#6 에 길이가 4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레퍼런스 시그널의 경우 서로 다른 단말기들 직교 주파수축 시퀀스 할당을 하여 구별할 수 있다. 주파축으로 사용하는 시퀀스의 길이는 기존 PUCCH과 같은 12혹은 12보다 큰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시간축 시퀀스의 길이가 2 혹은 4인 경우에 최대 2명 혹은 4명의 서로 다른 단말기를 같은 자원에 멀티플렉싱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 7의 (a)와 같이 중앙에 위치한 한 개의 심볼 블록을 레퍼런스 시그널로 사용하고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영역의 시간축 시퀀스로 스프레딩 팩터 (Spreading Factor) = 3 혹은 6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레퍼런스 시그널의 경우는 직교 주파수축 시퀀스 할당을 하여 서로 다른 단말기들을 구별할 수 있다. 주파축으로 사용하는 시퀀스의 길이는 기존 PUCCH과 같은 길이 12혹은 12보다 큰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시간축 시퀀스의 길이가 3 혹은 6인 경우에 최대 3개 혹은 6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들을 같은 자원에 멀티플렉싱 할 수 있다.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 영역의 시간축 시퀀스로 스프레딩 팩터가 2와 3인 시퀀스를 함께 사용하거나 스프레딩 팩터가 5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의 (b)에서 심볼블록들 BL#0, BL#1, BL#3, BL#4, BL#5 에 스프레딩 팩터가 5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고, 한 개의 RS를 사용하는 구조는 도 7의 (b)과 같이 RS의 위치가 BL#2가 바람직하다. 이는 단축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두 번째 슬롯의 마지막 블록이 전송될 수 없는데 BL#3에 RS가 있는 경우보다는 BL#2에 있을 때 ACK/NACK 데이터 블록들의 가운데에 RS가 위치하여 채널 추정의 정확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반적인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8의 (a)와 같이 세 개의 심볼블록을 레퍼런스 시그널로 사용하고 데이터 영역의 시간축 시퀀스로 스프레딩 팩터가 2 혹은 4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스프레딩 펙터가 2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BL#1, BL#2 에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적용하고 BL#4, BL#5 에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스프레딩 팩터가 4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BL#1, BL#2, BL#4, BL#5 에 길이가 4인 시퀀스를 적용할 수 있다. 레퍼런스 시그널의 경우 서로 다른 단말을 직교 주파수축 시퀀스 할당을 하여 구별할 수 있다. 주파축으로 사용하는 시퀀스의 길이는 기존 PUCCH과 같은 12혹은 12보다 큰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시간축 시퀀스의 길이가 2 혹은 4인 경우에 최대 2명 혹은 4명의 서로 다른 단말을 같은 자원에 멀티플렉싱 할 수 있다.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8의 (b)와 같이 길이 2인 시퀀스는 BL#0, BL#1 에 적용하고 또 BL#4, BL#5 에 길이2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길이 4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BL#0, BL#1, BL#4, BL#5 에 길이 4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따라서 사용하는 시간축 시퀀스의 길이가2 혹은 4인 경우에 최대 2명 혹은 4명의 서로 다른 단말을 같은 자원에 멀티플렉싱 할 수 있다.
하기의 표 30, 표 31, 표 32는 길이가 2인 왈시 시퀀스, 길이가 3인 DFT 시퀀스, 길이가 6인 DFT 시퀀스의 예를 각각 기재한 것이다.
[표 30]
Figure pat00110
[표 31]
Figure pat00111
[표 32]
Figure pat00112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반적인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BL#2, BL#3, BL#4의 세개의 심볼 블록을 레퍼런스 시그날로 사용하고, 데이터 영역의 시간축 시퀀스로 스프레딩 팩터가 2 혹은 4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딩 펙터가 2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BL#0, BL#1 에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적용하고 BL#5, BL#6 에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적용할 수 있다. 스프레딩 팩터가 4인 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 BL#0, BL#1, BL#5, BL#6 에 길이가 4인 시퀀스를 적용한다.
레퍼런스 시그널의 경우 서로 다른 단말기들 직교 주파수축 시퀀스 할당을 하여 구별할 수 있다. 주파축으로 사용하는 시퀀스의 길이는 기존 PUCCH과 같은 12혹은 12보다 큰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시간축 시퀀스의 길이가 2 혹은 4인 경우에 최대 2명 혹은 4명의 서로 다른 단말기를 같은 자원에 멀티플렉싱 할 수 있다.
사운딩 레퍼런스 시그날 (Sounding Reference Signal)이 전송되는 부프레임에서는 A/N 채널의 두 번째 슬롯 맨 마지막 블록이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림 6의 (a)의 구조에서 두 번째 슬롯의 맨 마지막 블록인 BL#6가 전송되지 않는 것이다. A/N 데이터 블록의 수가 5개에서 4개로 줄어들기 때문에 직교 전송을 유지하면서 같은 무선 자원 블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수도 5개에서 4개로 감소한다. 시퀀스의 사용은 레퍼런스 시그날 블록의 경우 변화가 없고 A/N 데이터 블록의 경우 두 번째 슬롯에서만 다음의 변경을 가한다. 즉, 두 번째 슬롯의 A/N 데이터 블록에 적용하는 시간축 직교 시퀀스는 하기 표 33의 길이 4인 DFT 시퀀스 혹은 하기 표 34의 Walsh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표 33]
Figure pat00113

[표 34]
Figure pat00114

이하 앞에서 기술한 DFT-S-OFDM에 기반한 A/N 전송방법을 사용할 때 셀내 (intra-cell) 및 셀간 (inter-cell) 간섭을 무작위화(randomization)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 주파수축 시퀀스는 LTE Release 8의 PUCCH 채널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CAZAC (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를 사이클릭 쉬프트 를 해서 얻어진 시퀀스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1) 셀내 간섭의 무작위화 (intra-cell interference randomization)
일측에 따르면, 레퍼런스 시그날 블록과 A/N 데이터 블록에 적용되는 사이클릭 쉬프트와 시간축 시퀀스를 두 개 슬롯에서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셀 내 같은 자원을 사용하여 A/N을 전송하는 단말들 간의 간섭을 무작위화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레퍼런스 시그날 블록들에 대해 사용하는 사이클릭 쉬프트를, 첫번째 슬롯과 두번째 슬롯에서 서로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이클릭 쉬프트를 두 번째 슬롯에서 리맵핑 (remapping)을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A/N 데이터 블록 (Data Block)들에 대해 사용하는 시간축 시퀀스를 첫번째 슬롯과 두번째 슬롯에서 서로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시간축 시퀀스를 두 번째 슬롯에서 리맵핑 (remapping)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림 6의 (a) 구조에 대해 A/N 데이터 블록 (Data Block)들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시간축 시퀀스의 간섭을 무작위화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림 6의 (a)의 구조에서 BL#0, BL#2, BL#3, BL#4, BL#6에 대해 사용하는 길이 5인 시간축 시퀀스는 하기 표 35의 DFT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표 35]
Figure pat00115

표 35의 임의의 한 개 DFT 시퀀스를 Oi = [Di(0), Di(1), Di(2), Di(3), Di(4)] (i는 시퀀스 인덱스) 라고 표시하자. 슬롯단위 리맵핑은 첫번째 슬롯에서 사용한 DFT 시퀀스와 두번째 슬롯에서 사용하는 DFT 시퀀스를 서로 다르게 해 주는 것이므로 첫번째 슬롯에서 Oi를 사용하면 두번째 슬롯에서는 Oj (j≠i or j =i)를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116
Figure pat00117
Figure pat00118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Figure pat00121
Figure pat00122
Figure pat00123
Figure pat00124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30
Figure pat00131
Figure pat00132
Figure pat00133
Figure pat00134
Figure pat00135
Figure pat00136
Figure pat00137
Figure pat00138
Figure pat00139
Figure pat00140
Figure pat00141
Figure pat00142
Figure pat00143
수신부(1010)는 기지국(1060)으로부터 기지국(1060)과 단말기(1000)간의 통신에 사용 가능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1010)는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데이터 수신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수신한다.
기지국(1060)은 기지국(1060)이 이용 가능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configured component carrier)들 중에서 일부인 데이터 수신 컴포넌트 캐리어를 단말기(1000)에 할당하여 활성화(activate)시킨다. 기지국(1060)은 활성화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에서 일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선택하고, 선택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부(1010)는 기지국(1060)으로부터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 확인 정보 생성부(1020)는 단말기(1000)에 할당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 데이터 블록을 검출할 수 있다.
단말기(1000)에 할당되지 않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서, 수신 확인 정보 생성부(1020)는 'DTX'를 수신 확인 정보로서 생성한다. 또한, 수신 확인 정보 생성부(1020)는 단말기(1000)에 할당되었으나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가 담긴 PDCCH가 검출되지 않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단말기(1000)에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수신 확인 정보 생성부는 단말기(1000)에 할당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데이터 블록이 수신 성공하였으면 'ACK'를, 데이터 블록이 수신 성공하지 못했다면 'NACK'를 수신 확인 정보로서 생성한다.
즉, 수신 확인 정보 생성부는 기지국(1060)이 이용 가능한 모든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하여 수신 확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수신 확인 정보 생성부(1020)는 기지국(1060)의 전송 모드에 따라서 각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들의 개수를 판단하고, 각 데이터 블록에 대한 수신 확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1060)은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기법(Non-MIMO)을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을 전송할 수도 있고, MIMO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기지국(1060)을 MIMO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MIMO 전송 모드인 경우에, 수신부(1010)는 하나의 데이터 수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이용하여 두 개의 데이터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기지국(1060)이 일반 적인 데이터 전송 기법(Non-MIMO)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Non-MIMO 전송 모드인 경우에, 수신부(1010)는 하나의 데이터 수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이용하여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 단말기가 ACK/NACK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구체적을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은 단말이 ACK/NAK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를 기술한다.
[구성 (configuration)] 기지국은 단말 별로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에 사용될 하향링크 CC 및 상향링크를 알려준다. RRC 메시지를 사용한다. 기지국은 각 단말에게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구성화된 C들 각각의 전송모드 (Transmission Mode: TM)을 알려준다.
[활성화 (activation)] 기지국은 단말 별로 기지국과 단말의 통신에 바로 사용될 하향링크 CC 및 상향링크를 알려준다. MAC 메시지를 사용한다. 활성화 (activation)의 대상이 하향링크 CC는 구성 (configuration)으로 설정된 하향링크 CC의 부분 집합 (subset)이다. 기지국은 단말의 활성화 CC 집합에 속한 CC에 대해서만 하향링크 할당 (assignment)을 내려 준다.
[PDCCH 모니터링 (monitoring) 집합의 설정] 기지국은 CIF를 사용하는 단말의 경우, 단말이 특정 하향링크 CC만을 대상으로 PDCCH 검출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이 특정 PDCCH 검출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하향링크 CC들을 PDCCH 모니터링 집합이라고 부른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활성화된 하향링크 CC의 부분 집합이다.
단말이 ACK/NAK 정보를 생성하는 절차는 아래와 같다.
CIF를 사용하지 않는 단말은 모든 활성화된 하향링크 CC에서 PDCCH 검색영역 (search space)을 검출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PDCCH 채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CIF를 사용하는 단말은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설정된 경우 해당 하향링크 CC 만을 대상으로 PDCCH 검색영역을 검출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PDCCH 채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CIF를 사용하는 단말이더라도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는 모든 활성화된 하향링크 CC에서 PDCCH 검색영역 (search space)을 검출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PDCCH 채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활성화 CC 집합 S_activation 이 아래와 N개의 CC로 구성되었다고 하자.
S_activation = {CC0, CC1, ... CCN -1},
여기서 CCi 는 구성 CC 집합 S_configuration의 원소이어야 한다. 즉, CCi ∈ S_configuration (i = 0,1,... N-1).
1. 활성화 하향링크 CC 집합을 기준으로 단말 ACK/NAK 정보 생성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는 활성화된 하향링크 CC 집합을 기준으로 삼아 ACK/NAK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CCi에 대해 ACK/NAK 정보를 구성한 후에 이를 모아서 활성화된 하향링크 CC N개의 CC에 대한 ACK/NAK 정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수신하는 하향링크 할당정보는 활성화된 하향링크 집합의 구성 CC 모두 혹은 부분집합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단말이 생성하는 ACK/NAK 정보는 활성화된 하향링크 CC 모두를 대상으로 한다. 단말이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PDCCH 검출을 시도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M 개 (M >0)의 CC에 대해 하향링크 할당이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하자.
하향링크 할당 CC 집합, S_assignment = {DA0, .. DAM -1}
만일 특정 CCi 가 하향링크 할당 CC 집합에 속하면 즉, CCi ∈ S_assignment 이면 CCi 에 대한 ACK/NAK 신호 Signal_CCi를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CCi ∈ S_assignment 이면,
CCi 를 통해 한 개 운송 블록 (transport block)이 전송된 경우 Signal_CCi = ACK or NAK
CCi 를 통해 두 개 운송 블록이 전송된 경우 Signal_CCi = ACK_ACK, ACK_NAK, NAK_ACK or NAK_NAK
여기서 ACK은 해당 운송 블록의 성공적인 수신을 의미하고 NAK은 운송 블록 수신 실패를 의미한다. ACK_ACK, ACK_NAK, NAK_ACK, NAK_NAK 등은 각각 첫 번째 운송 블록과 두 번째 운송 블록의 수신 성공 및 실패 여부를 나타낸다.
만일 CCi 가 CCi ∈ S_assignment 가 아니라면, 아래와 같이 CCi 에 대한 ACK/NAK 신호 Signal_CCi에 할당정보가 없음을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
CCi ∈ S_assignment 가 아니라면 Signal_CC_i = DTX
단말은 결국 어느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할당 받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K 정보Signal은 아래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Signal = {Signal_CC0, ...Signal_CCN -1}
위에서 주의할 점은 단말은 어떤 서브프레임에서 PDCCH 검출을 시도하였는데 하향링크 할당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즉, M = 0) ACK/NAK 신호를 전송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모든 i = 0,1, ... N-1 에 대해 Signal_CCi = DTX 이면 단말은 ACK/NAK 신호자체를 전송하지 않는다.
위 방식의 특징은 단말이 임의의 한 서브프레임에서 할당 받지 못한 CC에 대해서도 해당 CC가 활성화 CC 집합에 속하면 ACK/NAK 신호에 할당이 없음 (DTX) 으로 표시하는데 있다.
단말이 할당 받은 CC에 대해서만 ACK/NAK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단말과 기지국 간의 혼선이 빚어질 수 있다. 기지국이 PDCCH를 전송하여 하향링크 할당 (assignment)를 하려고 시도하더라고 단말이 PDCCH 수신에 실패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단말은 PDCCH 수신에 실패할 경우 기지국이 PDCCH를 전송하였는지의 여부를 알 수가 없으므로 기지국이 PDCCH를 전송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이렇게 되면 단말이 보내는 ACK/NAK 정보는 PDCCH 수신에 성공한 CC만을 대상으로 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기지국은 단말이 보내는 ACK/NAK 정보가 기지국이 보낸 모든 PDCCH를 제대로 수신한 결과로 생성된 것인지 일부만을 제대로 수신하여 생성한 것인지를 제대로 판별 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이 보낸 ACK/NAK 정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반면 위에서 기술한 방식을 사용하면 단말과 기지국이 활성화된 CC 집합에 대해 서로 일치된 이해가 있다고 가정할 경우 단말은 항상 활성화된 모든 CC에 대해 ACK/NAK 정보를 생성하므로 기지국이 혼돈 없이 ACK/NAK 정보를 제대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Figure pat00144
단말이 ACK/NAK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방식으로 1.2 절에서 기술한 다양한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ACK/NAK 정보 Signal = {Signal_CC0, ..., Signal_CCN -1}가 표시 할 수 있는 모든 경우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경우가 서로 다른 전송형태로 맵핑이 되어 전송되면 기지국은 수신한 전송형태로부터 해당하는 ACK/NAK 정보를 알아 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MIMO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된 단말이 2개 CC에 대해 ACK/NAK 정보를 만든다고 할 때 가능한 ACK/NAK 정보의 가지 수는 아래 표와 같이 9 가지가 된다. 이 중에서 맨 마지막 행은 단말이 2개 CC 모두에 대해 단말이 할당을 검출되지 않는 경우로 이 경우에 단말은 아무런 ACK/NAK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은 신호를 보내는 8 가지 경우들에 대해 서로 다른 전송형태를 전송하여 기지국이 구별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일반적으로는 단말이 N 개의 CC에 대해 ACK/NAK 정보를 표시한다고 할 때, 한 개 CCi 에 대해 단말이 표현해야 하는 ACK/NAK 정보의 경우의 수가 Li 개라고 하면 단말이 신호전송을 통해 표현해야 하는 총 경우의 수는 (L0 x L1 x .. x LN -1 - 1)개가 된다. (-1)은 N개 CC 모두에 대해 할당을 받지 못한 경우를 제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은 (L0 x L1 x .. x LN -1 - 1)개의 ACK/NAK 정보의 경우들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전송형태들을 미리 약속해 놓아야 한다. 단일 운송 블럭의 경우 ACK, NAK, DTX 의 경우가 존재하므로 Li = 3, 두 개 운송 블럭의 경우 ACK_ACK, ACK_NAK, NAK_ACK, NAK_NAK, DTX 의 경우가 존재하므로 Li = 5가 된다.
앞에서 설명한 ACK/NACK 전송 방식에 따르면, 채널선택, 자원선택, 시퀀스 선택 등의 경우는 선택되는 채널, 자원, 시퀀스 등의 각 경우가 서로 다른 ACK/NAK 정보의 각 경우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야 한다. DFT-S OFDM 과 같이 ACK/NAK 정보를 bit로 표현하는 경우는
Figure pat00145
개의 bit로 표현가능 하다. 표 39는 ACK/NACK 정보의 값의 조합에 따른 ACK/NACK 정보의 가지수를 나타낸 표이다.
[표 39]
Figure pat00146

2. 구성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집합을 기준으로 ACK/NACK 정보를 생성
만일 활성화된 CC에 대해 단말과 기지국이 서로 일치된 이해를 갖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경우는 단말이 ACK/NAK 정보를 생성할 때 구성된 하향링크 CC 집합을 기준으로 삼아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할당 받은 CC에 대해서는 앞의 활성화 하향링크 CC 집합을 기준으로 단말 ACK/NAK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ACK/NAK 정보를 생성하고 다만 단말이 할당 받지 못한 CC에 대해서도 해당 CC가 구성 CC 집합에 속하면 ACK/NAK 신호에 할당이 없음으로 표시하게 된다.
단말의 구성 CC 집합 S_configuration이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고 하자.
S_configuration = {CC0, ..., CCK -1}
단말은 결국 어느 특정 서브프레임에서 할당 받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ACK/NAK 정보Signal은 아래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Signal = {Signal_CC0, ... ,Signal_CCK -1}
여기서 Singal_CCi는 하향링크 CC CCi에 대한 ACK/NAK 정보이다.
단말은 구성 CC 집합에 속하는 각 하향링크 CC의 전송모드 (Transmission Mode: TM)를 고려하여 ACK/NAK 정보 Signal을 생성하여야 한다.
CCi 를 통해 한 개 운송 블록 (transport block)이 전송된 경우 Signal_CCi = ACK or NAK
CCi 를 통해 두 개 운송 블록이 전송된 경우 Signal_CCi = ACK_ACK, ACK_NAK, NAK_ACK or NAK_NAK
만일 CCi 가 CCi ∈ S_assignment 가 아니라면 아래와 같이 CCi 에 대한 ACK/NAK 신호 Signal_CCi에 할당정보가 없음을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
CCi ∈ S_assignment 가 아니라면 Signal_CC_i = DTX
여기서 NAK 신호와 DTX를 구별하지 않는 다면 NAK와 DTX를 같은 상태로 보아서, CCi 를 통해 한 개 운송 블록 (transport block)이 전송된 경우 Signal_CCi = ACK or NAK/DTX 이고
CCi 를 통해 두 개 운송 블록이 전송된 경우 Signal_CCi = ACK_ACK, ACK_(NAK/DTX), (NAK/DTX)_ACK or (NAK/DTX)_(NAK/DTX) 가 된다.
DFT-S-OFDM 기반 ACK/NAK 전송방식에서, 채널 인코더의 입력 비트들은 A/N 정보 비트들 (information bits)이 된다. 아래에서는 A/N 정보 비트들의 생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방법 1. 컴포넌트 캐리어 별 전송 모드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방법
예를 들어 단말이 N 개의 구성 하향링크 CC를 갖도록 설정되었고 이 중 몇 개 CC는 최대 두 개의 운송 블록 (Transport Block) 전송이 가능한 MIMO 전송모드로 설정되었고 나머지CC들은 한 개 운송 블록 전송이 가능한 Non-MIMO 전송모드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자. NAK와 DTX 상태를 구별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실제 단말이 수신하는 하향링크 할당정보에 따라서 특정 부프레임 (subframe)에서 단말이 수신 가능한 운송 블록의 수는 CC 당 0개, 1개, 혹은 2개가 될 수 있다. 운송 블록의 수가 0개인 경우는 기지국이 하향링크 할당을 하지 않은 경우 혹은 할당을 하였더라도 단말이 할당정보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한다. 여기서 단말은 항상 모든 구성 CC에 대해 A/N 정보비트들을 생성하고 구성 CC별로 설정된 전송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상태를 표시한다. 즉, 운송 블록의 수가 0인 CC의 경우 해당 CC가 MIMO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2 bits를 사용하여 두 개 운송블록 각각에 대해 NAK/DTX로 표시하고 만일 해당 CC가 Non-MIMO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1 bit 사용하여 NAK/DTX라 표시한다. MIMO 전송모드를 갖는 CC에서 실제 해당 부프레임에 할당된 운송 블록의 수가 1개인 경우라도 해당 CC에서 수신이 가능한 최대 운송블록의 수를 기준으로 정보를 표시하므로 2 bits를 사용하여 두 개 운송 블록 각각에 대해 ACK 혹은 NAK/DTX 라고 표시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CCi에 대한 A/N 정보 비트들의 값은 설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표40 혹은 표41의 형태가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표에서 DTX는 단말이 해당 CC의 하향링크 할당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한다. 즉, 이는 기지국이 해당 CC에 할당을 아예 하지 않아서 단말이 할당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기지국이 PDCCH를 통해 할당정보를 전송하더라고 단말이 수신에 실패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단말은 할당정보 수신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구성 CC들에 대해 A/N 정보비트를 생성해야 하므로 구성 CC에 속하지만 할당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CC들은 모두 DTX로 표시한다. 하기 표 40은 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들의 생성을 나타낸 표이고, 하기 표 41는 Non-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들의 생성을 나타낸 표이다.
[표 40- 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들의 생성]
Figure pat00147

[표 41- Non-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들의 생성]
Figure pat00148
예를 들어 단말이 5개의 하향링크 구성 CC를 갖도록 설정 되었고 CC0, CC1, CC2는 MIMO 모드로 설정되고 CC3 와 CC4는 Non-MIMO 모드로 설정된 경우, 총 2 + 2 + 2 + 1 + 1 = 8 비트가 A/N 정보비트들이 된다.
위와 같이 단말이 구성 CC별로 설정된 전송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이유는 이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일치된 신호 송수신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이 특정 하향링크 CC에 PDCCH를 통해 할당정보를 내리더라도 단말이 이 할당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할당정보의 수신여부에 따라서 달라지는 정보를 전송한다면 기지국은 단말의 할당정보 수신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단말이 보낸 ACK/NAK 신호를 복조하여 올바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단말은 항상 할당정보 수신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설정된 전송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상태를 표시하여야 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의 ACK/NAK 정보비트 맵핑 방법을 사용하면 기지국이 NAK 상태와 DTX 상태를 구별할 수 없다. 단말이 MIMO 모드로 설정된 CC에서 기지국이 한 개의 운송블럭을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이 하향링크 그랜트 (PDCCH) 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하였는지 못하였지 여부를 기지국이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DTX 표시를 위한 ACK/NACK 정보 비트 맵핑을 달리 할 수 있다. SIMO 모드로 설정된 CC는 1개 bit를 사용하여 표41와 같이 ACK/NAK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이는 앞의 경우와 동일하다. MIMO 모드로 설정된 CC는 실제 수신한 운송블록의 수에 관계없이 2 bit로 ACK/NAK 정보를 표시하되 실제 단말이 한 개 운송블럭을 수신한 경우 표 45와 같이 ACK/NAK 정보 비트를 생성하고 실제 단말이 두 개 운송블럭을 수신한 경우 표 46와 같이 ACK/NAK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단말이 MIMO 모드로 설정된 CC에서 PDSCH 전송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표 47과 같이 ACK/NAK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이런 ACK/NAK 정보 비트 맵핑을 사용하면 기지국이 한 개 운송 블럭을 보내었을 때 ACK, NAK, DTX 의 세가지 상태를 모두 구별할 수 있다. 즉, 이 ACK/NAK 정보 비트 맵핑의 핵심은 MIMO 모드로 설정된 CC의 경우에 한 개 운송 블록의 경우에 ACK, NAK, DTX가 서로 다른 비트 값으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기지국은 자신이 한 개의 운송 블록을 전송하였는지 두 개의 운송 블록을 전송하였는지 알고 있으므로 표45와 표46 중에서 어떤 맵핑이 적용되는지를 알고 한 개 운송 블록을 전송한 경우에는 표 45와 표47로부터 ACK, NAK, DTX를 구별가능하게 된다.
방법 2 컴포넌트 캐리어 별 최대 운송 블록 모드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방법
만일 단말에게 설정된 CC별 전송모드가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바뀌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특정 구간의 시간동안 단말과 기지국이 전송모드에 대한 일치된 인식이 없을 수 있다. 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CC별로 항상 최대 가능한 최대 운송 블록 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상태를 표시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MIMO 수신이 가능한 단말이 5 개의 구성 하향링크 CC를 갖도록 설정되었고 그 중 몇 개 하향링크 CC가 최대 두 개 운송 블록 (Transport Block)의 전송이 가능한 MIMO 전송모드로 설정되었고 나머지 CC들은 최대 한 개 운송 블록 전송이 가능한 Non-MIMO 전송모드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자. NAK와 DTX를 구별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단말은 이 경우에 Non-MIMO 전송모드로 설정된 CC에 대해서도 항상 2 bit를 사용하여 수신상태를 표시한다. 즉 Non-MIMO 전송모드를 갖는 CC 임에도 표 40과 같이 2 bit를 사용하여 A/N 정보비트들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송 모드의 재설정 (Reconfiguration of Transmission Mode)에 의해 전송모드가 변경되는 시간구간 동안에도 단말과 기지국이 A/N정보의 구성이 바뀌지 않으므로 기지국이 ACK/NAK 신호를 복조하여 올바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의 설명을 요약하면 단말이 MIMO 수신능력이 있으면 (CC 당 최대 두 개 운송 블럭 수신이 가능하면) 위의 기준에서 구성 하향링크 CC들 각각에 대해 2 bit를 사용하여 ACK/NAK 정보비트를 생성한다. 따라서 구성 CC의 개수가 N이면 단말이 생성하는 A/N 정보 비트의 수는 총 2N이 된다. 단말이 MIMO 수신능력이 없고 오직 SIMO 수신능력만 있다면 (최대 한 개 운송 블록 수신이 가능하면) 위의 기준에 의해 구성 하향링크 CC들 각각에 대해 1 bit를 사용하여 ACK/NAK 정보비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성 CC의 개수가 N이면 단말이 생성하는 A/N 정보 비트의 수는 총 N이 된다.
다음은 구체적인 A/N 정보비트의 생성 방법들 기술한다.
1) 단말기가 MIMO 수신능력이 없는 경우
단말은 최대 한 개 운송블럭 수신만이 가능하므로 각 구성 CC의 최대 운송블럭은 모두 한 개로 동일하다.
(방법 A) 표 42와 같이 한 운송블럭의 ACK/NAK 정보를 1 bit으로 표현한다. 이 방법에서는 NAK 상태와 PDSCH 전송이 없는 상태가 같은 비트 값으로 맵핑되는 특징이 있다.
(방법 B) 표 43와 같이 한 운송블럭의 ACK/NAK 정보를 2 bit으로 표현한다. 이 방법에서는 NAK 상태와 PDSCH 전송이 없는 상태가 서로 다른 비트 값으로 맵핑되는 특징이 있다. 두 상태를 기지국이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표 42-방법A에서 최대 한 개 운송블록 수신의 경우 CCi 의 A/N 정보 비트 값 표시]
Figure pat00149

[표 43-방법 B에서 최대 한 개 운송블럭 수신의 경우 CCi 의 A/N 정보 비트 값 표시]
Figure pat00150

2) 단말기가 MIMO 수신 능력이 있는 경우
단말이 MIMO 수신능력이 있는 경우 단말은 각 구성 CC에서 최대 두 개의 운송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CC의 전송모드 (Transmission Mode)에 관계없이 CC 각각에 대해 2 bit로 ACK/NAK 정보를 표시한다. 표 44는 SIMO 모드 (최대 한 개 운송 블록 수신)로 설정된 CC에서 A/N 정보 표시의 예를 보여준다.
[표 44-S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 맵핑 예]
Figure pat00151

[표 45- 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 맵핑 예: 실제 단말이 한 개 운송블럭을 수신한 경우]
Figure pat00152

[표 46- 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 맵핑 예: 실제 단말이 두 개 운송블럭을 수신한 경우]
Figure pat00153

표 47은 단말이 MIMO 모드로 설정된 CC에서 PDSCH 전송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ACK/NAK 정보 비트 값을 보여준다.
[표 47- 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 값 맵핑 예: 단말이 SPS PDSCH 전송을 포함하여 하향링크 PDSCH 전송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Figure pat00154

위 방식에서 중요한 점은, 어떤 CCi 에 대해 단말이 PDSCH 할당이 없는 경우로 판단한 경우와 두 개 운송블럭을 수신했으나 모두 NAK으로 검출된 경우가 같은 비트 값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위 예에서는 (bi(0), bi(1)) = (0, 0) 으로 표현되었다. 위의 비트 값 맵핑은 한 가지 실시예이고 다른 형태의 비트 맵핑이 사용될 수 있지만 어떤 CCi 에 대해 단말이 PDSCH 할당이 없는 경우로 판단한 경우와 두 개 운송블럭을 수신했으나 모두 NAK으로 검출된 경우가 같은 비트 값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지국이 하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단말이 한 개 운송블럭을 수신하도록 전송하였으나 실제 단말이 하향링크 그랜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을 때 이를 기지국에서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PDCCH의 전력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단말이 구성 CC별로 설정된 전송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이유는 이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일치된 신호 송수신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이 특정 하향링크 CC에 PDCCH를 통해 할당정보를 내리더라도 단말이 이 할당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할당정보의 수신여부에 따라서 달라지는 정보를 전송한다면 기지국은 단말의 할당정보 수신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단말이 보낸 ACK/NAK 신호를 복조하여 올바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단말은 항상 할당정보 수신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설정된 전송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상태를 표시하여야 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의 ACK/NAK 정보비트 맵핑 방법을 사용하면 기지국이 NAK 상태와 DTX 상태를 구별할 수 없다. 단말이 MIMO 모드로 설정된 CC에서 기지국이 한 개의 운송블럭을 전송하는 경우에 단말이 하향링크 그랜트 (PDCCH) 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하였는지 못하였지 여부를 기지국이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DTX 표시를 위한 ACK/NACK 정보 비트 맵핑을 달리 할 수 있다. SIMO 모드로 설정된 CC는 1개 bit를 사용하여 표41와 같이 ACK/NAK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이는 앞의 경우와 동일하다. MIMO 모드로 설정된 CC는 실제 수신한 운송블록의 수에 관계없이 2 bit로 ACK/NAK 정보를 표시하되 실제 단말이 한 개 운송블럭을 수신한 경우 표 45와 같이 ACK/NAK 정보 비트를 생성하고 실제 단말이 두 개 운송블럭을 수신한 경우 표 46와 같이 ACK/NAK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단말이 MIMO 모드로 설정된 CC에서 PDSCH 전송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표 47과 같이 ACK/NAK 정보 비트를 생성한다. 이런 ACK/NAK 정보 비트 맵핑을 사용하면 기지국이 한 개 운송 블럭을 보내었을 때 ACK, NAK, DTX 의 세가지 상태를 모두 구별할 수 있다. 즉, 이 ACK/NAK 정보 비트 맵핑의 핵심은 MIMO 모드로 설정된 CC의 경우에 한 개 운송 블록의 경우에 ACK, NAK, DTX가 서로 다른 비트 값으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기지국은 자신이 한 개의 운송 블록을 전송하였는지 두 개의 운송 블록을 전송하였는지 알고 있으므로 표45와 표46 중에서 어떤 맵핑이 적용되는지를 알고 한 개 운송 블록을 전송한 경우에는 표 45와 표47로부터 ACK, NAK, DTX를 구별가능하게 된다.
방법 2 컴포넌트 캐리어 별 최대 운송 블록 모드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방법
만일 단말에게 설정된 CC별 전송모드가 RRC 시그널링에 의해 바뀌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특정 구간의 시간동안 단말과 기지국이 전송모드에 대한 일치된 인식이 없을 수 있다. 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CC별로 항상 최대 가능한 최대 운송 블록 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상태를 표시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MIMO 수신이 가능한 단말이 5 개의 구성 하향링크 CC를 갖도록 설정되었고 그 중 몇 개 하향링크 CC가 최대 두 개 운송 블록 (Transport Block)의 전송이 가능한 MIMO 전송모드로 설정되었고 나머지 CC들은 최대 한 개 운송 블록 전송이 가능한 Non-MIMO 전송모드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자. NAK와 DTX를 구별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단말은 이 경우에 Non-MIMO 전송모드로 설정된 CC에 대해서도 항상 2 bit를 사용하여 수신상태를 표시한다. 즉 Non-MIMO 전송모드를 갖는 CC 임에도 표 40과 같이 2 bit를 사용하여 A/N 정보비트들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송 모드의 재설정 (Reconfiguration of Transmission Mode)에 의해 전송모드가 변경되는 시간구간 동안에도 단말과 기지국이 A/N정보의 구성이 바뀌지 않으므로 기지국이 ACK/NAK 신호를 복조하여 올바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의 설명을 요약하면 단말이 MIMO 수신능력이 있으면 (CC 당 최대 두 개 운송 블럭 수신이 가능하면) 위의 기준에서 구성 하향링크 CC들 각각에 대해 2 bit를 사용하여 ACK/NAK 정보비트를 생성한다. 따라서 구성 CC의 개수가 N이면 단말이 생성하는 A/N 정보 비트의 수는 총 2N이 된다. 단말이 MIMO 수신능력이 없고 오직 SIMO 수신능력만 있다면 (최대 한 개 운송 블록 수신이 가능하면) 위의 기준에 의해 구성 하향링크 CC들 각각에 대해 1 bit를 사용하여 ACK/NAK 정보비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성 CC의 개수가 N이면 단말이 생성하는 A/N 정보 비트의 수는 총 N이 된다.
다음은 구체적인 A/N 정보비트의 생성 방법들 기술한다.
1) 단말기가 MIMO 수신능력이 없는 경우
단말은 최대 한 개 운송블럭 수신만이 가능하므로 각 구성 CC의 최대 운송블럭은 모두 한 개로 동일하다.
(방법 A) 표 42와 같이 한 운송블럭의 ACK/NAK 정보를 1 bit으로 표현한다. 이 방법에서는 NAK 상태와 PDSCH 전송이 없는 상태가 같은 비트 값으로 맵핑되는 특징이 있다.
(방법 B) 표 43와 같이 한 운송블럭의 ACK/NAK 정보를 2 bit으로 표현한다. 이 방법에서는 NAK 상태와 PDSCH 전송이 없는 상태가 서로 다른 비트 값으로 맵핑되는 특징이 있다. 두 상태를 기지국이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표 42-방법A에서 최대 한 개 운송블록 수신의 경우 CCi 의 A/N 정보 비트 값 표시]
Figure pat00155

[표 43-방법 B에서 최대 한 개 운송블럭 수신의 경우 CCi 의 A/N 정보 비트 값 표시]
Figure pat00156

2) 단말기가 MIMO 수신 능력이 있는 경우
단말이 MIMO 수신능력이 있는 경우 단말은 각 구성 CC에서 최대 두 개의 운송 블록을 수신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CC의 전송모드 (Transmission Mode)에 관계없이 CC 각각에 대해 2 bit로 ACK/NAK 정보를 표시한다. 표 44는 SIMO 모드 (최대 한 개 운송 블록 수신)로 설정된 CC에서 A/N 정보 표시의 예를 보여준다.
[표 44-S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 맵핑 예]
Figure pat00157

[표 45- 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 맵핑 예: 실제 단말이 한 개 운송블럭을 수신한 경우]
Figure pat00158

[표 46- 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 맵핑 예: 실제 단말이 두 개 운송블럭을 수신한 경우]
Figure pat00159

표 47은 단말이 MIMO 모드로 설정된 CC에서 PDSCH 전송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ACK/NAK 정보 비트 값을 보여준다.
[표 47- MIMO 모드로 설정된 CCi 의 A/N 정보 비트 값 맵핑 예: 단말이 SPS PDSCH 전송을 포함하여 하향링크 PDSCH 전송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Figure pat00160

위 방식에서 중요한 점은, 어떤 CCi 에 대해 단말이 PDSCH 할당이 없는 경우로 판단한 경우와 두 개 운송블럭을 수신했으나 모두 NAK으로 검출된 경우가 같은 비트 값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위 예에서는 (bi(0), bi(1)) = (0, 0) 으로 표현되었다. 위의 비트 값 맵핑은 한 가지 실시예이고 다른 형태의 비트 맵핑이 사용될 수 있지만 어떤 CCi 에 대해 단말이 PDSCH 할당이 없는 경우로 판단한 경우와 두 개 운송블럭을 수신했으나 모두 NAK으로 검출된 경우가 같은 비트 값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기지국이 하향링크 그랜트를 통해 단말이 한 개 운송블럭을 수신하도록 전송하였으나 실제 단말이 하향링크 그랜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했을 때 이를 기지국에서 알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PDCCH의 전력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전송모드 재설정이 자주 발생하지 않거나 혹은 재설정이 제한된다면 단말은 방식 1과 같이 항상 CC별로 설정된 전송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방식을 사용하여도 될 것이다.
위의 두 가지 방식에 있어서 단말이 어느 부프레임에서 한 개의 하향링크 CC에 대해서만 하향링크 할당을 수신하였고 그 할당받은 CC가 하향링크 PCC에 해당하면 LTE Rel-8/9과 동일한 방식으로 ACK/NAK 자원을 할당받고 LTE Rel-8/9 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방법 3. 컴포넌트 캐리어 별로 전송된 하향링크 할당을 위한 DCI Format을 기준으로 생성하는 방법
이 방법은 단말에게 전송된 DCI format이 MIMO 전송을 위한 format인지 SIMO (Sing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을 위한 format인지에 따라 단말이 생성하는 ACK/NAK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LTE Rel-8/9 에서는 단말이 MIMO 전송모드 (Transmission Mode)를 갖더라도 소위 "fall-back 모드"를 두어 SIMO 전송용 DCI format을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LTE Rel-8/9에서 fall-back을 위한 SIMO 전송용 DCI format은 DCI format 1A이다. 아래 표 48은 TS36.213 v9.10, Table 7.1-5를 나타낸 것이다.
[표 48- PDCCH and PDSCH configured by C-RNTI]
Figure pat00161

[표 48] 에서 Mode 3, Mode 4, Mode 8의 경우가 최대 두 개의 운송블럭 (Transport Block)을 전송할 수 있는 MIMO 모드이다. 이 MIMO 모드들은 MIMO용 DCI format외에 SIMO 전송용 DCI format인 DCI format 1A를 통해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LTE-Advanced에서도 LTE Rel-8/9과 비슷하게 fall-back을 위한 SIMO용 DCI format을 둘 수 있다.
이 방법에서 단말은 자신이 수신한 DCI format이 MIMO 전송용 format 인지 SIMO 전송용 format인지에 따라서 ACK/NAK 정보비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단말은 성공적으로 수신한 DCI format이 MIMO용 DCI format이면 2 비트를 사용하고 SIMO 전송용 format이면 1 비트를 사용한다.
이 방법은 기지국이 전송한 DCI를 단말이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단말이 ACK/NAK 비트 수를 결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예를 들어 어떤 CC에서 하향링크 할당정보를 받지 못한 경우에 단말은 이를 DTX/NAK을 의미하는 ACK/NAK 정보를 만들어야 하지만 1 비트로 표현을 해야 할지 2 비트로 표현해야 할지를 판단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단말기가 SR (Scheduling Request) 자원이 할당된 부프레임에서 ACK/NAK 정보를 송신할 경우에는 ACK/NACK 비트에 SR 여부를 표시하는 1 비트를 더하여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CK/NACK이 N 비트라고 하면 1 비트의 SR 정보를 더하여 총 (N+1) 비트를 입력으로 하여 RM (Reed-Muller) 코딩을 수행한 후에 이를 DFT-S-OFDM A/N 전송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가 어떤 부프레임에서 한 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서만 하향 링크 할당을 수신하였고 그 할당받은 컴포넌트 캐리어가 하향 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라면, 단말기는 LTE Rel-8/9와 동일한 방식으로 ACK/NACK 자원을 할당받고 LTE Rel-8/9 과 동일한 전송방식으로 ACK/NACK를 전송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동적인 PDCCH 를 이용한 PDSCH 할당이 없는 경우에도,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SPS 할당이 있는 경우에 단말기는 SPS 할당에 대응하는 Persistent ACK/NAK 자원을 사용하고 LTE Rel-8/9 과 동일한 자원할당과 전송 포맷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는 SR 자원이 할당된 부프레임에서, Negative SR의 경우는 위와 같이 DFT-S-OFDM A/N 의 Rel-8/9 fallback 방식으로 전송하고 Positive SR의 경우는 해당 A/N 정보를 할당되어 있는 SR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단일 캐리어를 사용하는 Rel-8/9 규격에서, 단말기가이 A/N과 Positive SR을 같은 부프레임에서 전송할 때 쓰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어부(1030)는 단말기(1000)에 특정 서브 프레임에 스케쥴링 요구를 위한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스케쥴링 요구를 위한 자원이 할당된 경우에, 인코딩부(1040)는 스케쥴링 요구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인코딩부(1040)는 스케쥴링 요구를 데이터 블록에 대한 수신 확인 정보와 함께 인코딩하고, 전송부(1050)는 인코딩된 스케쥴링 요구 및 수신 확인 정보를 기지국(106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셀 경계 단말 등 상대적으로 채널 환경이 좋지 않아 송신전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ACK/NAK 번들링 (Bundling)이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단말기에게 ACK/NAK 번들링을 설정할 수 있다. ACK/NAK 번들링을 설정받은 단말기는 ACK/NAK 번들링을 수행하여 ACK/NA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ACK/NAK 번들링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 링크의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속하는 무선 자원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자원을 ACK/NAK 번들링을 위한 무선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지국은 채널 엘레멘트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이 설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된 제어 정보 중에서 가장 낮은 채널 엘레멘트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이 할당된 경우에, 기지국은 SPS 할당에 대응하는 Persistent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ACK/NACK 번들링 신호르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하여 크로스 캐리어 스케쥴링이 설정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에 할당된 제어 정보 중에서 가장 낮은 채널 엘레멘트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수신된 제어 정보 중에서 가장 높은 채널 엘레멘트의 인덱스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기는 하향 링크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서브 프레임에서 PDSCH 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수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PDSCH 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의 개수에 기반하여 어느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이 성공적이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는 할당받은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내에 할당 받은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2개이면 ACK/NACK 번들링을 수행할 수 있다. ACK/NACK 번들링은 두개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 받은 경우, 각 데이터블록에 대한 ACK/NACK 비트를 논리연산 AND하여 얻을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말기(1100)는 전송부(1110)를 포함한다.
전송부(1110)는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기지국(1120)으로 전송한다.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은 각각 사이클릭 쉬프트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슬롯에 포함된 제1 사이클릭 쉬프트와 제2 슬롯에 포함된 제2 사이클릭 쉬프트는 서로 상이한 사이클릭 쉬프트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들간의 간섭이 무작위화(randomization)된다.
또한, 전송수(1110)는 매 서브 프레임 마다 제1 사이클릭 쉬프트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사이클릭 쉬프트가 변경되면, 제1 사이클릭 쉬프트와 제2 사이클릭 쉬프트가 상이하도록 제2 사이클릭 쉬프트도 변경된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1120)은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들은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단말기가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을 전송하고, 제2 단말기가 제3 슬롯 및 제4 슬롯을 전송하는 경우에, 제1 슬롯은 동시간대에 전송되는 제3 슬롯과 간섭을 일으키고, 제2 슬롯은 동시간대에 전송되는 제4 슬롯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슬롯에 포함된 제1 사이클릭 쉬프트와 제3 슬롯에 포함된 제3 사이클릭 쉬프트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제2 슬롯에 포함된 제2 사이클릭 쉬프트와 제4 슬롯에 포함된 제4 사이클릭 쉬프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FT 시퀀스를 사이클릭 쉬프트로 사용하는 경우에, 시퀀스 인덱스가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직교성이 더 잘 유지된다. 따라서 두개의 단말기 첫 번째 슬롯에서 서로 이웃한 시퀀스를 사이클릭 쉬프트로 이용한 경우에, 두번째 슬롯에서는 서로 이웃하지 않은 시퀀스를 사이클릭 쉬프트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장 간섭을 많이 주는 단말이 첫번째 슬롯과 두번째 슬롯에 적절히 분산되어 단말기들간에 주고받는 간섭의 양이 평준화 된다.
기지국은 다수 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사용하여 하나의 운송 블록 (Transport block)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지국은 셀 경계 등 상대적으로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단말에게도 보다 나은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해 줄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기지국은 복수 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에 똑 같은 전송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정확히 같은 크기의 자원과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등 전송 포맷을 사용하여 같은 운송 블록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레벨의 주파수 영역 반복 전송'이라고 할 수 있다.
단말기가 복수개의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결합하면 수신 전력의 증가 및 다이버시티 (diversity) 증가 효과가 생겨 수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단말기는 데이터를 결합하여 생성된 운송 블록을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 하여 CRC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한 개의 ACK/NAK 심볼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그 자신이 한 개의 부호어 (codeword)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한 개 컴포넌트 캐리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자체적으로 복호 가능(self-decodable)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레벨의 주파수 영역 반복 전송'을 포함한 모든 경우에 항상 한 개의 부호어는 한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맵핑시켜서 단말기과 기지국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 같은 운송 블록에 대한 다른 형태의 부호어를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영역에서 재전송 (retransmission)에 사용되는 전송방식을 주파수 영역의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은 H-ARQ의 재전송에 사용되는 모든 전송포맷을 컴포넌트 캐리어 레벨의 반복에서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법이다.
위의 동일 부호어 전송을 통한 컴포넌트 캐리어 레벨의 반복전송은 이 방법의 한 특별한 예일 수 있다.
단말기는 CIF를 사용하는 하향링크 그랜트 혹은 사용하지 않는 하향링크 그랜트 와 같은 형태로 하향링크의 그랜트를 수신한다. 전송받은 운송 블록에 대한 ACK/NAK은 하나의 심볼이므로 단말기는 하나의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LTE-Rel-8 에 의해 정의된 자원 중에서 특정 PDCCH에 해당하는 자원을 골라 전송할 수 있다.
제1 하향 링크 캐리어: 110
제2 하향 링크 캐리어: 120
제3 하향 링크 캐리어: 130
제1 상향 링크 캐리어: 140
제2 상향 링크 캐리어: 150

Claims (19)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슬롯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 심볼에 제1 직교 시퀀스(orthogonal sequence)를 곱하는 단계;
    제2 슬롯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 심볼에 제2 직교 시퀀스를 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슬롯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 심볼들 및 상기 제2 슬롯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교 시퀀스 및 상기 제2 직교 시퀀스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직교 시퀀스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는 하기 표 2에 따라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표 1]
    Figure pat00162

    [표 2]
    Figure pat0016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 2에서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들은,
    순환적으로(cyclically) 인접한 열(row)들간의 인덱스 차이가 '2'이고,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는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가 순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순환적으로 감소되도록 할당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 2의 제1 행(column)에서 순환적으로 인접한 열(row) 간의 인덱스 차이가 '1'이고, 제2 행에서 순환적으로 인접한 열 간의 인덱스 차이는 '2'인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가 순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는 순환적으로 감소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상기 단말기와 동일한 셀에 속하고 상기 단말기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슬롯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 심볼을 제3 직교 시퀀스로 곱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상기 제2 슬롯에 포함되는 복수의 데이터 심볼을 제4 직교 시퀀스로 곱하되,
    상기 제3 직교 시퀀스와 상기 제4 직교 시퀀스는 상기 표 1에 도시된 직교 시퀀스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4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는 상기 표 2에 따라서 상기 제3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와 상기 제3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간의 차이가 '1'인 경우,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와 상기 제4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 간의 차이는 '2'인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와 상기 제3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간의 차이가 '2'인 경우,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와 상기 제4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 간의 차이는 '1'인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을, 복소수의 집합(a set of complex numbers)에서 의사 랜덤하게 선택된 복수의 원소(element)들로 구성된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소수들은 복소 평면(complex plane) 상에서 동일한 크기 '1' 및 이웃 페이저(phasor)들 간에 동일한 각도 간격(angular interval)을 갖는 페이저들인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의 원소들 각각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서 결정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164

    여기서, N은 정수이고,
    ni는 0보다 같거나 크고 N보다는 작은 정수로서, 의사 랜덤(pseudo-random) 시퀀스 내의슬롯 번호와 DFT-S-ODFM 심볼 번호에 따라 변화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들은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통하여 전송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들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된 하향 링크 데이터에 응답하는 수신 확인 여부(ACK/NACK) 정보인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12. 기지국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제1 슬롯 및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서브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직교 시퀀스로 곱해져서, 상기 제1 슬롯으로부터 제1 데이터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제2 직교 시퀀스로 곱해져서, 상기 제2 슬롯으로부터 제2 데이터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와 상기 제2 직교 시퀀스는 하기 표 3에 도시된 직교 시퀀스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는 하기 표 4에 따라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기지국의 데이터 수신 방법.
    [표 3]
    Figure pat00165

    [표 4]
    Figure pat00166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 4에서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들은,
    순환적으로(cyclically) 인접한 열(row)들간의 인덱스 차이가 '2'이고,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는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가 순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순환적으로 감소되도록 할당되는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 4의 제1 행(column)에서 순환적으로 인접한 열(row) 간의 인덱스 차이가 '1'이고, 제2 행에서 순환적으로 인접한 열 간의 인덱스 차이는 '2'인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가 순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는 순환적으로 감소하는 기지국의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동일한 셀에 속하고 상기 단말기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제2 단말기로부터, 제3 슬롯 및 제4 슬롯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제3 직교 시퀀스로 곱해져서, 상기 제3 슬롯으로부터 제3 데이터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제4 직교 시퀀스로 곱해져서, 상기 제4 슬롯으로부터 제4 데이터 심볼을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직교 시퀀스와 상기 제4 직교 시퀀스는 상기 표 3에 도시된 상기 직교 시퀀스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4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는 상기 표 4에 따라서 상기 제3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기지국의 데이터 수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와 상기 제3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간의 차이가 '1'인 경우,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와 상기 제4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 간의 차이는 '2'인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와 상기 제3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간의 차이가 '2'인 경우, 상기 제2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와 상기 제4 직교 시퀀스의 인덱스 간의 차이는 '1'인 기지국의 데이터 수신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원소(element)들로 구성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서브프레임과 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원소는 복소수의 집합(a set of complex numbers)에서 의사 랜덤하게 선택되고, 상기 복소수들은 복소 평면(complex plane) 상에서 동일한 크기 '1' 및 이웃 페이저(phasor)들 간에 동일한 각도 간격(angular interval)을 갖는 페이저들인 기지국의 데이터 수신 방법.
KR1020140051537A 2010-01-11 2014-04-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KR101597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2231 2010-01-11
KR1020100002231 2010-01-11
KR20100009024 2010-02-01
KR1020100009024 2010-02-01
KR1020100013352 2010-02-12
KR20100013352 2010-02-12
KR1020100030515 2010-04-02
KR20100030515 2010-04-02
KR1020100032647 2010-04-09
KR20100032647 2010-04-09
KR1020100076337 2010-08-09
KR20100076337 2010-08-09
KR20100079742 2010-08-18
KR1020100079742 2010-08-18
KR20100083363 2010-08-27
KR1020100083363 2010-08-27
KR20100085528 2010-09-01
KR1020100085528 2010-09-01
KR1020100085888 2010-09-02
KR20100085888 2010-09-02
KR20100110258 2010-11-08
KR1020100110258 2010-11-08
KR20100111130 2010-11-09
KR1020100111130 2010-11-09
KR20100112531 2010-11-12
KR1020100112531 2010-11-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855A Division KR101596984B1 (ko) 2010-01-11 2011-0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468A true KR20140073468A (ko) 2014-06-16
KR101597027B1 KR101597027B1 (ko) 2016-03-07

Family

ID=4492049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855A KR101596984B1 (ko) 2010-01-11 2011-0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KR1020130128348A KR101597005B1 (ko) 2010-01-11 2013-10-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KR1020140051537A KR101597027B1 (ko) 2010-01-11 2014-04-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KR1020150053607A KR101597075B1 (ko) 2010-01-11 2015-04-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855A KR101596984B1 (ko) 2010-01-11 2011-01-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KR1020130128348A KR101597005B1 (ko) 2010-01-11 2013-10-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607A KR101597075B1 (ko) 2010-01-11 2015-04-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7) US8363537B2 (ko)
EP (5) EP2525515B1 (ko)
JP (4) JP5677465B2 (ko)
KR (4) KR101596984B1 (ko)
CN (3) CN103944703B (ko)
AU (1) AU2011204012A1 (ko)
CA (3) CA2897384C (ko)
ES (1) ES2841908T3 (ko)
PL (1) PL3041159T3 (ko)
WO (1) WO2011084038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7366B2 (en) 2015-01-30 2019-04-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unlicensed band in cellular system
US10439767B2 (en) 2015-08-13 2019-10-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unlicensed band
US10448420B2 (en) 2015-04-10 2019-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US11272541B2 (en) 2014-09-26 2022-03-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llocation and usage of radio resourc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unlicensed band chan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of radio resou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97384C (en) 2010-01-11 2019-10-15 Young Jo Ko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102325A1 (ja) * 2010-02-22 2011-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CN104052581B (zh) 2010-03-22 2018-04-27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物理数据信道中复用来自用户设备的控制和数据信息
MX2012011365A (es) * 2010-04-02 2012-11-12 Fujitsu Ltd Aparato y metodo para generacion de codigo de cubierta ortogonal y aparato y metodo para mapeo de codigo de cubierta ortogonal.
US9237583B2 (en) * 2010-05-03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vailability for PDSCH in relay backhaul transmissions
US8942199B2 (en) * 2010-05-06 2015-01-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apparatus and response signal mappiing method
KR101771550B1 (ko) * 2010-10-15 2017-08-29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Ack/nack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059756B2 (en) * 2010-11-09 2015-06-16 Qualcomm Incorporated Using precoding vector switching in uplink shared channel
US8934440B2 (en) * 2011-01-07 2015-01-13 Pantech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information, and resource allocation for response information transmiss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condi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595514B (zh) * 2011-01-12 2015-03-1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非周期性探测参考信号的配置方法
EP2673903B1 (en) 2011-03-18 2018-05-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WO2013023170A1 (en) * 2011-08-11 2013-02-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Orthogonal resource selection transmit diversity and resource assignment
JP5703169B2 (ja) * 2011-08-12 2015-04-15 Kddi株式会社 無線リソース割当装置、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プログラム
US8897187B2 (en) 2011-09-23 2014-1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KR101979848B1 (ko) 2011-09-23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058585A1 (ko) 2011-10-19 201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 다중점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US9439208B2 (en) 2011-11-04 2016-09-06 Intel Corporation Scheduling reques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running background applications
US9635660B2 (en) 2011-11-16 2017-04-25 Lg Electronics Inc. Data receiving method and wireless device
CN113541882B (zh) 2012-03-05 2024-04-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和基站的装置及其方法
CN103312467B (zh) * 2012-03-16 2018-11-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下行物理共享信道的传输方法
WO2014014254A1 (ko) * 2012-07-16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 전송 방법 및 장치
JP6035539B2 (ja) * 2012-09-07 2016-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14047911A1 (zh) * 2012-09-28 2014-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正确/非正确应答的反馈方法、用户设备及系统
CN110120864B (zh) 2012-09-28 2023-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公共搜索区的处理方法、装置和通信系统
BR112015009898B1 (pt) * 2012-11-02 2022-12-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de transmissão de informações, equipamento de usuário, estação base e mídia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CN105210403B (zh) 2013-01-10 2019-04-05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增强小小区的方法
EP2955870B1 (en) * 2013-02-06 2020-04-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receiving signals and apparatus for same
US10097315B2 (en) 2013-04-19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Group scheduling and acknowledgement for wireless transmission
KR102313943B1 (ko) 2013-07-16 2021-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반송파 집성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CN104426639A (zh) 2013-08-27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控制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JP6012588B2 (ja) * 2013-12-26 2016-10-2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5129797A1 (ja) * 2014-02-26 2015-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3122109A4 (en) * 2014-03-20 2018-02-28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user terminal
DK3192204T3 (da) * 2014-09-10 2020-03-23 Ericsson Telefon Ab L M Radioadgangsknude, kommunikationsterminal og fremgangsmåder, der udføres deri
KR101810633B1 (ko) 2014-12-19 2017-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807814B1 (ko) 2014-12-19 2017-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무선자원 관리 장치 및 그의 관리 방법
KR102467048B1 (ko) 2015-04-09 2022-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히든 노드 문제와 사용자 단말들의 채널 점유를 고려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JP6101311B2 (ja) * 2015-06-26 2017-03-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7925994B (zh) * 2015-08-07 2022-04-0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资源请求的方法和装置
ES2794399T3 (es) 2015-08-14 2020-11-18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transmisión y recepción de información, y dispositivo
CN106688300B (zh) 2015-08-21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网络设备、用户设备和系统
US10869302B2 (en) * 2015-11-16 2020-12-1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ownlink assignment index (DAI) management in carrier aggregation
WO2017116120A1 (en) 2015-12-27 2017-07-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ck/nack for nb-io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05300B2 (en) * 2016-02-04 2019-09-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ing and control channel structures for multiple services
EP3496487B1 (en) * 2016-08-10 2022-01-19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8152821A1 (zh) * 2017-02-25 2018-08-30 南通朗恒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设备、基站中的用于动态调度的方法和装置
TWI808623B (zh) * 2017-03-22 2023-07-1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下一代無線通訊系統參考訊號(rs)傳輸方法及裝置
US10749640B2 (en) 2017-03-24 2020-08-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233220B1 (ko) * 2017-04-28 2021-03-2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단말 장치 제어 방법
CN108989010B (zh) 2017-06-16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传输装置
US11184883B2 (en) * 2017-06-29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sequence configuration
CA3066927C (en) 2017-09-14 2022-06-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system for determining time-domain resource
CN117692118A (zh) 2017-11-16 2024-03-1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序列的信号处理方法及信号处理装置
CN108111285B (zh) * 2017-11-17 202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参考信号的方法及装置
CN111699664B (zh) * 2018-02-13 2023-05-02 高通股份有限公司 Papr和蜂窝小区间干扰减小
JP7013568B2 (ja) * 2018-02-14 2022-01-3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US10813054B2 (en) 2018-02-21 2020-10-20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transmission techniques in coordinated clusters of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WO2020003540A1 (ja) * 2018-06-29 2020-01-0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
WO2020003541A1 (ja) * 2018-06-29 2020-01-0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
JPWO2020003525A1 (ja) * 2018-06-29 2021-08-0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
US11528699B2 (en) * 2018-07-20 2022-12-13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EP3599748B1 (en) * 2018-07-26 2020-12-16 Mitsubishi Electric R&D Centre Europe B.V. Symbols incorporation scheme for dft-s-ofdm
US11509447B2 (en) * 2018-08-10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management
US20200092068A1 (en) * 2018-09-19 2020-03-19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codebook design for multiple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BR112021018755A2 (pt) * 2019-03-26 2021-11-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comunicação, dispositivo terminal e dispositivo de rede
KR102566970B1 (ko) 2021-12-14 2023-08-16 안희철 매쉬형 네트워크 사물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334A (ko) * 2007-04-27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송수신 방법
KR20090030242A (ko) * 2007-09-19 2009-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재매핑 및 재그룹핑 방법 및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5219B1 (en) * 1999-02-26 2003-09-23 Tioga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framing for modulated signals over impulsive channels
US6515980B1 (en) * 1999-09-22 2003-02-04 Ericsso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ing complex interference orthogonalization techniques
KR20030013287A (ko) * 2001-08-01 2003-02-14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인코포레이티드 회전된 qpsk 시퀀스를 이용한 cdma 역확산을 위한수신기 및 수신방법
JP3643366B2 (ja) * 2003-07-10 2005-04-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送信装置及びcdma受信装置
KR100612045B1 (ko) * 2004-12-08 2006-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접 셀 간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 방법
US8571120B2 (en) * 2006-09-22 2013-10-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acknowledge/not acknowledge (ACK/NACK) bits and their embedding in the reference signal
PT2068455E (pt) 2006-09-30 2011-08-17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DISTRIBUIÇÃO DE SEQUjNCIA, MÉTODO E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SEQUjNCIA EM SISTEMA DE COMUNICAÇÃO
CN104836644A (zh) * 2007-01-09 2015-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装置、移动台装置、控制信息发送方法、控制信息接收方法及程序
US9065714B2 (en) 2007-01-10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using cyclically shifted sequences
US8126076B2 (en) * 2007-02-27 2012-02-2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with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WO2008120925A1 (en) * 2007-03-29 2008-10-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81095B1 (ko) * 2007-04-26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08133449A1 (en) * 2007-04-27 200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hannel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67872B2 (en) * 2007-05-18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tructures for ACK and CQI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59735B2 (en) 2007-06-04 2011-11-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llocation of block spreading sequences
US8971305B2 (en) * 2007-06-05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Pseudo-random sequence map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08153367A1 (en) * 2007-06-15 200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acquiring ack/nack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8156348A1 (en) * 2007-06-21 2008-12-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548324B1 (ko) * 2007-08-08 2015-09-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형성방법 및 장치
KR100964697B1 (ko) * 2007-08-08 2010-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와 스케줄링 요청신호의 다중화 방법
KR101457685B1 (ko) * 2007-08-10 2014-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애크/내크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8289946B2 (en) 2007-08-14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gen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136696B (zh) * 2007-09-27 2012-1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共享信道单载波频分多址信号的生成方法
KR101516100B1 (ko) * 2007-10-29 2015-05-04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US8774156B2 (en) 2008-01-29 2014-07-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CKNAK and CQI channel mapping schemes in wireless networks
CN101505503A (zh) * 2008-02-05 2009-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高速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563000B1 (ko) * 2008-03-17 2015-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US8699426B2 (en) 2008-03-26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296513B (zh) * 2008-04-22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上行控制信道干扰随机化的方法
KR101488028B1 (ko) * 2008-07-17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참조신호 전송 방법
KR101027237B1 (ko) * 2008-07-30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603338B1 (ko) * 2008-08-1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4873001B2 (ja) * 2008-12-10 2012-02-0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並びに半導体装置
US20100172235A1 (en) * 2009-01-06 201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initialization of a scrambling sequence for a downlink reference signal
CN101873706A (zh) * 2009-04-24 2010-10-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多载波系统中反馈确认/未确认消息的方法
KR101946223B1 (ko) * 2009-06-15 2019-02-0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캐리어 집성을 위한 제어 채널 공유 시스템 및 방법
EP3223569A1 (en) * 2009-06-19 2017-09-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ignal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lte-a
US20100329200A1 (en) * 2009-06-24 2010-12-30 Industrial Te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KR101770208B1 (ko) * 2009-07-10 201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TWI628933B (zh) * 2009-10-01 2018-07-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傳輸上鏈控制資訊的方法及系統
WO2011055986A2 (en) * 2009-11-08 2011-05-12 Lg Electronics Inc. A method and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 csi-rs, and a method and a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the csi-rs
CA2897384C (en) * 2010-01-11 2019-10-15 Young Jo Ko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UE050957T2 (hu) 2010-01-18 2021-01-28 Ericsson Telefon Ab L M Rádiós bázisállomás, felhasználói berendezés és abban lévõ eljárások
KR101802756B1 (ko) 2010-04-05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517660B1 (ko) * 2010-05-04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8588252B2 (en) * 2010-05-07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on uplink channels
EP2750320B1 (en) * 2010-06-16 2021-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JP2012005075A (ja) * 2010-06-21 2012-01-05 Ntt Docomo Inc 移動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8509155B2 (en) 2010-07-16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xing acknowledgement signals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s
WO2012011773A2 (ko) 2010-07-23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2018228A2 (en) 2010-08-03 2012-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2020954A1 (en) * 2010-08-09 201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harq control information from a user equipment for downlink carrier aggregation
DK2849381T3 (en) * 2010-08-20 2017-07-03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PUCCH format 3 resources
EP2618516B1 (en) * 2010-09-19 2019-05-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US8885496B2 (en) * 2010-10-08 2014-11-11 Sharp Kabushiki Kaisha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on backward compatible PUCCH formats with carrier aggregation
EP3681067B1 (en) * 2010-11-02 2021-09-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74449A1 (en) * 2010-12-03 2012-06-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mitigating inter -cell interference on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WO2012081920A2 (ko) * 2010-12-15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098151B (zh) * 2010-12-28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正确/错误应答消息的发送方法及用户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334A (ko) * 2007-04-27 2008-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사운딩 레퍼런스 신호의송수신 방법
KR20090030242A (ko) * 2007-09-19 2009-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재매핑 및 재그룹핑 방법 및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2541B2 (en) 2014-09-26 2022-03-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llocation and usage of radio resourc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unlicensed band chann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of radio resouce
US10277366B2 (en) 2015-01-30 2019-04-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unlicensed band in cellular system
US10448420B2 (en) 2015-04-10 2019-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US11089624B2 (en) 2015-04-10 2021-08-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uplink resources
US10439767B2 (en) 2015-08-13 2019-10-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unlicensed band
US10756855B2 (en) 2015-08-13 2020-08-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unlicensed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3936B2 (en) 2013-11-26
JP2013516937A (ja) 2013-05-13
JP6087336B2 (ja) 2017-03-01
EP2525515B1 (en) 2015-03-18
CN103944703A (zh) 2014-07-23
WO2011084038A2 (ko) 2011-07-14
WO2011084038A3 (ko) 2011-12-08
CN103188049B (zh) 2016-02-17
KR20150047470A (ko) 2015-05-04
ES2841908T3 (es) 2021-07-12
CN102714569A (zh) 2012-10-03
EP3041159A1 (en) 2016-07-06
PL3041159T3 (pl) 2021-04-06
US20120195292A1 (en) 2012-08-02
CA2988938C (en) 2021-07-06
KR20130126885A (ko) 2013-11-21
CA2786896C (en) 2017-01-03
US8363537B2 (en) 2013-01-29
KR101597075B1 (ko) 2016-02-23
CA2786896A1 (en) 2011-07-14
US10938534B2 (en) 2021-03-02
KR101597005B1 (ko) 2016-02-23
JP6333717B2 (ja) 2018-05-30
EP2575281A3 (en) 2013-06-05
KR101597027B1 (ko) 2016-03-07
EP2525515A2 (en) 2012-11-21
JP2013179597A (ja) 2013-09-09
US20140043955A1 (en) 2014-02-13
AU2011204012A1 (en) 2012-08-16
CA2897384A1 (en) 2011-07-14
US20150124771A1 (en) 2015-05-07
JP5539558B2 (ja) 2014-07-02
CN103188049A (zh) 2013-07-03
CN102714569B (zh) 2016-04-13
EP3783823A1 (en) 2021-02-24
US8971168B2 (en) 2015-03-03
US20210119755A1 (en) 2021-04-22
JP5677465B2 (ja) 2015-02-25
EP2575281B1 (en) 2015-04-29
KR20110082489A (ko) 2011-07-19
US20190020458A1 (en) 2019-01-17
JP2015111847A (ja) 2015-06-18
EP3041159B1 (en) 2020-10-21
JP2015111846A (ja) 2015-06-18
KR101596984B1 (ko) 2016-02-23
CA2897384C (en) 2019-10-15
CA2988938A1 (en) 2011-07-14
US11804938B2 (en) 2023-10-31
EP2525515A4 (en) 2012-12-12
US20240097860A1 (en) 2024-03-21
EP2755346A1 (en) 2014-07-16
US10075276B2 (en) 2018-09-11
EP2575281A2 (en) 2013-04-03
CN103944703B (zh) 2017-05-31
EP2755346B1 (en) 2016-04-20
US20130121130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00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성
AU2017203750B2 (en) Carrier aggreg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