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41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73417A KR20140073417A KR1020130137407A KR20130137407A KR20140073417A KR 20140073417 A KR20140073417 A KR 20140073417A KR 1020130137407 A KR1020130137407 A KR 1020130137407A KR 20130137407 A KR20130137407 A KR 20130137407A KR 20140073417 A KR20140073417 A KR 20140073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ing
- contact
- connector
- interface
- contac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는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제 1 상대측 커넥터 및 제 2 상대측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끼워맞춤 가능하다. 제 1 상대측 커넥터는 제 1 인터페이스와 2 개의 로크부를 갖고 있다. 제 2 상대측 커넥터는 제 2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커넥터는 쉘을 구비하고 있다. 쉘은 표준부와 변형부와 2 개의 연결부를 갖고 있다. 표준부는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의 쌍방에 대응된다. 변형부와 연결부는 제 1 인터페이스에는 대응되지 않고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된다. 변형부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표준부로부터 떨어져 있다. 연결부는 표준부와 변형부를 연결하고 있다. 쉘에는 2 개의 로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구멍은 표준부로부터 연결부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크 구멍은 커넥터와 제 1 상대측 커넥터가 끼워 맞춰졌을 때, 로크부를 수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USB (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타입의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51248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 (900) 는, 제 1 컨택트 (910) 와, 제 1 컨택트 (910) 와는 다른 제 2 컨택트 (920)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컨택트 (910) 는, 규격화된 USB 리셉터클의 표준 컨택트에 대응된다. 제 2 컨택트 (920) 는 부가적인 컨택트로, 규격화된 USB 플러그가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도달할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컨택트 (910) 는 표준 컨택트와 동일한 접점부를 갖고 있지만, 제 2 컨택트 (920) 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표준 컨택트보다 큰 사이즈를 갖고 있다. 제 1 컨택트 (910) 와 제 2 컨택트 (920) 는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 의 커넥터 (900) 는,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크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컨택트의 추가 등의 커넥터 변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상세하게는 상대측 커넥터의 표준적인 인터페이스와 표준적인 인터페이스를 변형하여 이루어지는 특수한 인터페이스의 쌍방에 대응 가능해지도록 커넥터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커넥터의 상기 서술한 인터페이스는, 상대측 커넥터와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규정한 규격에 준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서술한 규격은,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의 로크부 (로크 돌기) 가 커넥터의 쉘에 형성된 로크 구멍 내에 위치해야 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 규격은 로크부 사이의 거리도 정하고 있다. 로크 구멍은 로크부를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로크 구멍의 배치도 이 규격의 영향을 받는다.
커넥터의 인터페이스는 주로 쉘에 의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쉘은 금속판을 절곡 가공하여 형성된다. 이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변경은, 통상 쉘의 로크 구멍의 위치나 쉘의 굽힘 가공 마진에 따라 제약을 받는다. 예를 들어, 로크 구멍의 가장자리 근방에서 금속판을 절곡하는 경우, 쉘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는 로크 구멍의 위치적 요건 등과 같은 상기 서술한 규격을 만족하면서 인터페이스를 크게 변경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크 구멍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쉘의 굽힘 위치를 넘어 연장되도록 로크 구멍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쉘을 변형시키지 않고 금속판을 굽힘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로크 구멍은 규격에 준거하여 배치된 상대측 커넥터의 로크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 (제 1 측면) 은,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제 1 상대측 커넥터 및 제 2 상대측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상대측 커넥터는 제 1 인터페이스와 2 개의 로크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상대측 커넥터는 제 2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부분적으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는 컨택트와 유지 부재와 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쉘은 상기 유지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상기 쉘은 표준부와 변형부와 2 개의 연결부를 갖고 있다. 상기 표준부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쌍방에 대응된다. 상기 변형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된다. 상기 변형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준부로부터 떨어져 있다. 상기 연결부의 각각은 상기 표준부와 상기 변형부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쉘에는 2 개의 로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구멍은 상기 표준부로부터 상기 연결부까지 각각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구멍은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를 수용한다. 상기 로크부를 수용한 상기 로크 구멍은 상기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제 2 측면) 은, 상기 제 1 측면의 상기 제 1 커넥터로, 하기의 특징을 추가로 구비한 제 2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상대측 커넥터는 복수의 제 1 상대측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2 상대측 커넥터는 복수의 상기 제 1 상대측 컨택트와 복수의 제 2 상대측 컨택트와 2 개의 로크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부와 융기부를 갖고 있다. 상기 융기부는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으로 융기되어 있다. 상기 융기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 및 상기 소정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쉘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각각을 수용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변형부는 홈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가 상기 제 2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졌을 때, 상기 홈부는 상기 융기부를 수용한다. 상기 컨택트는 복수의 제 1 컨택트와 복수의 제 2 컨택트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제 1 상대측 컨택트와 각각 접속 가능하다.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상대측 컨택트와 각각 접속 가능하다. 상기 유지 부재에는 판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상부는 제 1 부위와 상기 제 1 부위의 뒷쪽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부위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향하고 있다.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제 1 부위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부위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판상부의 선단을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상기 선단에 있어서 시인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 (제 3 측면) 은, 상기 제 2 측면의 상기 제 2 커넥터와 끼워맞춤할 수 있는 제 2 상대측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상대측 커넥터는, 상대측 끼워맞춤단과 복수의 제 1 상대측 컨택트와 복수의 제 2 상대측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상대측 컨택트는 상기 제 1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제 1 상대측 접촉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상대측 컨택트는 상기 제 2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제 2 상대측 접촉부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상대측 접촉부와 상기 상대측 끼워맞춤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상대측 접촉부와 상기 상대측 끼워맞춤단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올바르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하여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을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리셉터클을 VI--V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3 의 리셉터클을 VII--VI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컨택트와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컨택트와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컨택트와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 의 리셉터클과 끼워맞춤 가능한 제 1 플러그 (제 1 상대측 커넥터)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제 1 플러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은, 도 1 의 리셉터클과 끼워맞춤 가능한 제 2 플러그 (제 2 상대측 커넥터)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제 2 플러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의 제 2 플러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은, 도 14 의 제 2 플러그를 XVI--XV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 의 리셉터클과 도 13 의 제 2 플러그를, 리셉터클과 제 2 플러그가 서로 끼워 맞춰진 맞춤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리셉터클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리셉터클을 VI--V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3 의 리셉터클을 VII--VI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리셉터클에 포함되는 컨택트와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컨택트와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컨택트와 유지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 의 리셉터클과 끼워맞춤 가능한 제 1 플러그 (제 1 상대측 커넥터)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제 1 플러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은, 도 1 의 리셉터클과 끼워맞춤 가능한 제 2 플러그 (제 2 상대측 커넥터)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제 2 플러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 는, 도 13 의 제 2 플러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은, 도 14 의 제 2 플러그를 XVI--XVI 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도 1 의 리셉터클과 도 13 의 제 2 플러그를, 리셉터클과 제 2 플러그가 서로 끼워 맞춰진 맞춤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하는 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100) 는 리셉터클 (100) 이다. 리셉터클 (100) 은,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제 1 플러그 (제 1 상대측 커넥터) (200)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6 에 나타내는 제 2 플러그 (제 2 상대측 커넥터) (300) 와 끼워맞춤 방향 (X 방향) 을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맞춤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100) 은, 부가적인 단자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USB (Universal Serial Bus) 2.0 기준에 준거한 Micro-B 리셉터클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200) 는 USB 2.0 기준에 준거한 Micro-B 플러그이다. 제 1 플러그 (200) 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리셉터클 (100) 뿐만 아니라, USB 2.0 기준에 준거한 Micro-B 리셉터클에도 끼워맞춤 가능하다. 제 2 플러그 (300) 는, 부가적인 단자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Micro-B 플러그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2 플러그 (300) 는 Micro-B 리셉터클에 끼워 맞출 수 없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플러그 (200) 는 USB 2.0 규격에 준거한 제 1 인터페이스 (210) 를 갖고 있다. 제 1 플러그 (200) 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상대측 유지 부재 (230) 와, 금속제의 제 1 상대측 쉘 (240) 과, 금속제의 2 개의 로크부 (로크 돌기) (250) 를 갖고 있다. 제 1 상대측 유지 부재 (230) 는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를 유지하고 있다. 제 1 플러그 (200) 는 USB 2.0 규격에 준거한 5 개의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를 갖고 있다.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는 Y 방향 (폭 방향 : 피치 방향) 으로 나열되어 있다. 제 1 상대측 쉘 (240) 은 제 1 상대측 유지 부재 (230) 를 덮고 있다. 제 1 인터페이스 (210) 는 주로 제 1 상대측 쉘 (240) 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 (250) 는 부하가 주어지지 않을 때, 상하 방향 (Z 방향 : 소정 방향) 에 있어서의 제 1 상대측 쉘 (240) 의 상부 (242) (+Z 측 부위) 로부터 상방 (+Z 방향) 으로 돌출되어 있다. 로크부 (250) 는 Z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로크부 (250) 는 Y 방향에 있어서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소정 거리는 USB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도 12 와 도 14 를 비교하면, 제 2 플러그 (300) 는 제 1 플러그 (200) 의 제 1 인터페이스 (210) 와 상이한 제 2 인터페이스 (310) 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인터페이스 (310) 는, X 방향 (끼워맞춤 방향) 과 직교하는 평면 (YZ 평면) 내에 있어서 제 1 인터페이스 (210) 와는 부분적으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인터페이스 (310) 는 주부 (主部) 와 융기부 (315) 를 갖고 있다. 주부는 제 1 인터페이스 (210) 의 일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융기부 (315) 는 제 1 인터페이스 (210) 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융기부 (315) 는 주부로부터 +Z 방향 (상방) 으로 융기되어 있다. 제 2 플러그 (300) 는 제 1 플러그 (200) 에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를 갖고 있다.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는 제 1 인터페이스 (210), 특히 그 외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3 내지 도 16 을 참조하면, 제 2 플러그 (300) 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상대측 유지 부재 (330) 와, 금속제의 제 2 상대측 쉘 (340) 과, 2 개의 로크부 (250) 를 갖고 있다. 제 2 플러그 (300) 는 X 방향 (끼워맞춤 방향) 에 있어서의 단부인 상대측 끼워맞춤단 (305) 을 갖고 있다.
제 2 상대측 유지 부재 (330) 는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와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를 유지하고 있다.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는 Y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는 Y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의 개수는 6 개이다.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의 각각은 제 1 상대측 접촉부 (225) 를 갖고 있으며,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의 각각은 제 2 상대측 접촉부 (325) 를 갖고 있다. 제 1 상대측 접촉부 (225) 및 제 2 상대측 접촉부 (325) 는 리셉터클 (100) 의 컨택트 (후술) 와 각각 접촉 가능하고, Z 방향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다. 도 16 에 가장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상대측 접촉부 (325) 는 X 방향 (끼워맞춤 방향) 에 있어서 제 1 상대측 접촉부 (225) 보다 제 2 플러그 (300) 의 +X 측 (안쪽) 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2 상대측 접촉부 (325) 와 상대측 끼워맞춤단 (305) 사이의 거리는 제 1 상대측 접촉부 (225) 와 상대측 끼워맞춤단 (305)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제 2 상대측 쉘 (340) 은 제 2 상대측 유지 부재 (330) 를 덮고 있다. 제 2 인터페이스 (310) 는 주로 제 2 상대측 쉘 (340) 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상대측 쉘 (340) 은 상부 (342) 를 갖고 있다. 융기부 (315) 는 상부 (342) 로부터 상방 (+Z 방향) 으로 융기되어 있다. 제 1 플러그 (200) 와 동일하게, 로크부 (250) 는 상부 (342) 로부터 상방 (+Z 방향) 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 에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융기부 (315) 는 Y 방향 (폭 방향) 에 있어서 로크부 (250) 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100) 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1 컨택트 (컨택트) (110) 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2 컨택트 (컨택트) (120) 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 (130) 와 금속제의 쉘 (170) 을 구비하고 있다. 즉, 리셉터클 (100) 의 컨택트 (110 및 120) 는 복수의 제 1 컨택트 (110) 와 복수의 제 2 컨택트 (12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컨택트 (110) 의 개수는 5 개이고, 제 2 컨택트 (120) 의 갯수는 6 개이다.
제 1 컨택트 (110) 는, 리셉터클 (100) 이 제 1 플러그 (200) 또는 제 2 플러그 (300) 와 끼워 맞춰진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와 각각 접속한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택트 (110) 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제 1 상대측 접촉부 (225) 와 각각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컨택트 (110) 는 USB 2.0 규격에 준거하고 있다. 제 2 컨택트 (120)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부가적인 컨택트이다. 제 2 컨택트 (120) 는 리셉터클 (100) 이 제 2 플러그 (300) 와 끼워 맞춰진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와 각각 접속한다. 상세하게는 제 2 컨택트 (120) 는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제 2 상대측 접촉부 (325) 와 각각 접촉한다.
도 8 내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30) 는 유지부 (140) 와 판상부 (150) 를 갖고 있다. 유지부 (140) (유지 부재 (130)) 는 제 1 컨택트 (110) 와 제 2 컨택트 (120) 를 유지하고 있다. 제 1 컨택트 (110) 는 유지 부재 (130) 에 대하여 후단 (-X 측 단부) 에서부터 압입되고 있다. 제 2 컨택트 (120) 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유지 부재 (130) 에 삽입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30) 를 -X 측 (후측) 에서 보면, 제 2 컨택트 (120) 는 2 개의 그룹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컨택트 (110) 는 제 2 컨택트 (120) 의 2 개의 그룹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단, 제 1 컨택트 (110) 와 제 2 컨택트 (120) 의 배치는 상기 서술한 배치와 상이해도 된다. 배치를 변경했을 경우, 제 1 컨택트 (110) 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유지 부재 (130) 에 삽입되어도 된다. 또, 제 2 컨택트 (120) 는 유지 부재 (130) 에 압입되어도 된다.
판상부 (150) 는 유지부 (140) 로부터 X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있다. 판상부 (150) 는 -Z 측 (하측) 에 위치하는 제 1 부위 (154) 와, +Z 측 (상측) 에 위치하는 제 2 부위 (156) 를 갖고 있다. 즉, 제 2 부위 (156) 는 제 1 부위 (154) 의 뒷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컨택트 (110) 는 제 1 부위 (154) 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컨택트 (120) 는 제 2 부위 (156) 에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컨택트 (120) 는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2 컨택트 (120) 의 각각은 선단부 (122) 를 갖고 있다. 선단부 (122) 의 각각은 선단 (152) 상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을 -X 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 제 2 컨택트 (120) 의 선단부 (122) 는 선단 (152) 에 있어서 시인 가능하다 (도 10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의 제 2 상대측 접촉부 (325) 는, 제 1 상대측 컨택트 (220) 의 제 1 상대측 접촉부 (225) 보다 X 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끼워맞춤단 (305) 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16 참조). 그 때문에, 제 2 컨택트 (120) 가 제 1 컨택트 (110) 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경우, 제 2 컨택트 (120) 의 접촉 유효 길이는 제 1 컨택트 (110) 의 접촉 유효 길이보다 짧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컨택트 (120) 는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상에 노출되도록 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컨택트 (120) 는 충분한 접촉 유효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부위 (156) 에는 2 개의 측부 (158) 와 복수의 격벽부 (160) 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 (158) 는 제 2 부위 (156) 의 Y 방향의 양측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격벽부 (160) 의 각각은 Y 방향에 있어서 제 2 컨택트 (120) 중 2 개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격벽부 (160) 는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격벽부 (160) 는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근방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2 부위 (156) 에는 추가로 복수의 소정 부위 (162) 가 형성되어 있다. 소정 부위 (162) 의 각각은 제 2 컨택트 (120) 중 2 개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소정 부위 (162) 는 Z 방향에 있어서 제 2 컨택트 (120) 를 넘어 돌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격벽부 (160) 는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근방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정 부위 (162) 의 표면은 제 2 컨택트 (120) 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격벽부 (160) 가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근방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판상부 (150) 의 선단 (152) 근방이 끼워맞춤 중에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와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9 및 도 10 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쉘 (170) 은 유지부 (140) 를 (즉, 유지 부재 (130) 를)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또, 쉘 (170) 은 YZ 평면 (X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판상부 (150) 를 둘러싸고 있다.
도 1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쉘 (170) 은 표준부 (172) 와 변형부 (174) 와 2 개의 연결부 (176) 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쉘 (170) 은, 제 1 플러그 (200) 의 제 1 인터페이스 (210) 와 제 2 플러그 (300) 의 제 2 인터페이스 (310) 의 각각을 수용 가능하다.
표준부 (172) 는 제 1 인터페이스 (210) 및 제 2 인터페이스 (310) 의 쌍방에 대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준부 (172) 는, 제 1 인터페이스 (210) 및 제 2 인터페이스 (310) 의 쌍방에 대응된 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표준부 (172) 는 제 1 인터페이스 (210) 를 수용 가능하다. 또, 표준부 (172) 는 융기부 (315) 를 제외하고 제 2 인터페이스 (310) 를 수용 가능하다. 변형부 (174) 는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변형부 (174) 는 Z 방향에 있어서 표준부 (172) 로부터 떨어져 있다. 연결부 (176) 의 각각은 표준부 (172) 와 변형부 (174) 를 연결하고 있다. 변형부 (174) 및 연결부 (176) 는,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되어 홈부 (178) 를 구성하고 있다. 홈부 (178) 는 Z 방향에 있어서 외측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측) 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홈부 (178) 는 리셉터클 (100) 을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폭 넓은 역 U 자 형상을 갖고 있다. 홈부 (178) 는 판상부 (150)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판상부 (150) 의 제 2 부위 (156) 는 Z 방향에 있어서 홈부 (178) 를 향하고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100) 이 제 2 플러그 (300) 와 끼워 맞춰졌을 때, 홈부 (178) 는 제 2 인터페이스 (310) 의 융기부 (315) 를 수용한다. 즉, 변형부 (174) 와 연결부 (176) 는 제 1 인터페이스 (210) 에 대응되지 않고 제 2 인터페이스 (310) 에 대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형부 (174) 와 연결부 (176) 로 형성된 홈부 (178) 는 제 2 인터페이스 (310) 에만 대응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 도 4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쉘 (170) 에는 2 개의 로크 구멍 (190) 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구멍 (190) 과 로크부 (250) 는 제 1 플러그 (200) 또는 제 2 플러그 (300) 가 리셉터클 (100) 과 끼워 맞춰졌을 때,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리셉터클 (100) 과 제 1 플러그 (200) 또는 제 2 플러그 (300) 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로크 구멍 (190) 은 로크부 (250) 를 각각 수용한다. 로크부 (250) 를 수용한 로크 구멍 (190) 은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한다.
홈부 (178) 의 사이즈는 제 2 컨택트 (120) 의 배치나 개수에 영향을 받는다. 가능한 한 많은 제 2 컨택트 (120) 를 가능한 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기 위해서는, 홈부 (178) 의 사이즈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로크 구멍 (190) 은 규격에 따라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로크부 (250) 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로크 구멍 (190) 의 위치도 규격에 제약을 받고 있다. 또, 쉘 (170) 은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중간 금속판을 타발한 후, 중간 금속판을 절곡하여 얻어진다. 중간 금속판을 로크 구멍 (190) 의 최내연 (最內緣) (192) 근방에서 절곡한 경우, 쉘 (170) 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로크 구멍 (190) 의 최내연 (192) 을 포함하는 부위에서 중간 금속판을 절곡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로크 구멍 (190) 은 홈부 (178) 까지 연장되어 있다. 로크 구멍 (190) 의 최내연 (192) 은 연결부 (176) 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 구멍 (190) 의 각각은 표준부 (172) 로부터 연결부 (176) 까지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 구멍 (190) 의 각각은 표준부 (172) 로부터 연결부 (176) 까지 연장되는 2 개의 측연을 갖고 있다. 로크 구멍 (190) 의 2 개의 측연은 도중에 절곡되어 있다. 측연의 절곡된 부분은 표준부 (172) 와 연결부 (176) 사이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로크 구멍 (190) 은 표준부 (172) 와 연결부 (176) 사이의 경계 부분을 가로질러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크 구멍 (190) 을 이와 같이 구성하면, 쉘 (170) 을 불필요하게 변형시키지 않고 홈부 (178) 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홈부 (178) 에 대응되는 융기부 (315) 의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2 컨택트 (120) 및 제 2 상대측 컨택트 (320) 의 개수나 배치에 관해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구멍 (190) 의 각각은 리셉터클 (100) 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는 전단 (+X 측단) 을 갖고 있다. 로크 구멍 (190) 의 각각의 전단에는 피로크부 (194) 가 형성되어 있다. 피로크부 (194) 는 로크 구멍 (190) 의 전단으로부터 로크 구멍 (190) 내를 구부러지면서 연장되어 있다. 피로크부 (194) 는 리셉터클 (100) 의 끼워맞춤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로크부 (194) 는, 로크 구멍 (190) 및 로크부 (로크 돌기) (250) 가 큰 걸어맞춤량을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로크부 (194) 는 둥그스름함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로크부 (로크 돌기) (250) 의 돌기는 리셉터클 (100) 과의 끼워맞춤 및 리셉터클 (100) 로부터의 이탈시에 잘 깎이지 않는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로크 구멍 (190) 의 최내연 (192) 은 연결부 (176)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로크 구멍 (190) 의 최내연 (192) 이 변형부 (174) 에 위치하도록 로크 구멍 (190) 의 사이즈를 더욱 크게 해도 된다. 단, 쉘 (170) 의 전자 차폐 효과를 고려하면, 로크 구멍 (190) 의 최내연 (192) 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연결부 (176) 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100) 은 인터페이스의 변형에 대하여 높은 자유도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를 변형함으로써 규격 외의 특수한 컨택트를 리셉터클 (100) 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수한 컨택트를 형성하는 경우에 리셉터클 (100) 의 끼워맞춤 방향의 사이즈가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100), 제 1 플러그 (제 1 상대측 커넥터) (200) 및 제 2 플러그 (제 2 상대측 커넥터) (300) 는,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넥터는 리셉터클이고, 제 1 및 제 2 상대측 커넥터는 플러그이다. 그러나, 커넥터가 플러그이고, 제 1 및 제 2 상대측 커넥터가 리셉터클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또는 제 2 상대측 커넥터인 리셉터클에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인 커넥터에 로크 구멍이 형성된다. 또, 로크 구멍은 제 1 인터페이스와 제 2 인터페이스의 쌍방에 대응되는 표준부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에만 대응되는 연결부까지 각각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변형부 및 연속부로부터 형성되는 부위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플러그 (200) 는 USB 규격에 준거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리셉터클 (100) 및 제 2 플러그 (300) 는 USB 규격에 준거한 커넥터의 변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커넥터와 상이한 다양한 커넥터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USB 규격 이외의 규격에 준거한 커넥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규격에도 준거하고 있지 않은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2 개의 로크 구멍이 형성된 쉘을 갖는 커넥터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USB 커넥터가 아니어도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표준 컨택트를 갖는 커넥터에 특수 컨택트를 추가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2012년 12월 6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267025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제 1 상대측 커넥터 및 제 2 상대측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상대측 커넥터는 제 1 인터페이스와 2 개의 로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상대측 커넥터는 제 2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부분적으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컨택트, 유지 부재 및 쉘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쉘은 상기 유지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으며, 상기 쉘은 표준부, 변형부 및 2 개의 연결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표준부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쌍방에 대응되며, 상기 변형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대응되지 않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며, 상기 변형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표준부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의 각각은 상기 표준부와 상기 변형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쉘에는 2 개의 로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구멍은 상기 표준부로부터 상기 연결부까지 각각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크 구멍은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 1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를 수용하고, 상기 로크부를 수용한 상기 로크 구멍은 상기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대측 커넥터는 2 개의 로크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는 상부와 융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융기부는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으로 융기되어 있으며,
상기 융기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 및 상기 소정 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쉘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의 각각을 수용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변형부는 홈부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홈부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제 2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춰졌을 때, 상기 홈부는 상기 융기부를 수용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대측 커넥터는 복수의 제 1 상대측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상대측 커넥터는 복수의 상기 제 1 상대측 컨택트와 복수의 제 2 상대측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상기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택트는 복수의 제 1 컨택트와 복수의 제 2 컨택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제 1 상대측 컨택트와 각각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상대측 컨택트와 각각 접속 가능하며,
상기 유지 부재에는 판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상부는 제 1 부위와 상기 제 1 부위의 뒷쪽에 위치하는 제 2 부위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부위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향하고 있고,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제 1 부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2 부위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위에는 상기 제 2 컨택트 중 2 개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판상부의 선단 근방에 위치하는 부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위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택트를 넘어 돌출되어 있지 않은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판상부의 선단을 상기 끼워맞춤 방향을 따라 보았을 경우에 상기 선단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커넥터. - 제 5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끼워맞춤할 수 있는 제 2 상대측 커넥터로서, 상대측 끼워맞춤단, 복수의 제 1 상대측 컨택트 및 복수의 제 2 상대측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상대측 컨택트의 각각은 상기 제 1 컨택트와 접촉할 수 있는 제 1 상대측 접촉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상대측 컨택트의 각각은 상기 제 2 컨택트와 접촉할 수 있는 제 2 상대측 접촉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상대측 접촉부와 상기 상대측 끼워맞춤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상대측 접촉부와 상기 상대측 끼워맞춤단 사이의 거리보다 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67025A JP5943823B2 (ja) | 2012-12-06 | 2012-12-06 | コネクタ |
JPJP-P-2012-267025 | 2012-12-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3417A true KR20140073417A (ko) | 2014-06-16 |
KR101560887B1 KR101560887B1 (ko) | 2015-10-15 |
Family
ID=5086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7407A KR101560887B1 (ko) | 2012-12-06 | 2013-11-13 |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136646B2 (ko) |
JP (1) | JP5943823B2 (ko) |
KR (1) | KR101560887B1 (ko) |
CN (1) | CN103855511B (ko) |
FI (1) | FI126806B (ko) |
TW (1) | TWI50991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56187B2 (en) * | 2013-04-18 | 2015-02-17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US9318858B2 (en) * | 2014-02-03 | 2016-04-19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Receptacle connector, plug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KR102609605B1 (ko) | 2015-02-06 | 2023-12-05 | 마시모 코오퍼레이션 | 광 프로브를 위한 폴드 플렉스 회로 |
CN107431301B (zh) * | 2015-02-06 | 2021-03-30 | 迈心诺公司 | 与医疗传感器一起使用的具有伸缩针的连接器组件 |
US9281615B1 (en) * | 2015-04-17 | 2016-03-08 | OSRAM SLYVANIA Inc. | Retainer clip for a wire harness |
US9306327B1 (en) * | 2015-04-17 | 2016-04-05 | Osram Sylvania Inc. | Clip for wire harness |
JP6703861B2 (ja) * | 2016-02-26 | 2020-06-0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840579B2 (ja) | 2017-03-13 | 2021-03-1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10011110A (zh) * | 2018-01-05 | 2019-07-12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插接式线对线连接器 |
USD1027868S1 (en) * | 2020-12-17 | 2024-05-21 | Realtek Semiconductor Corp. | Male connector |
JP1695896S (ko) * | 2021-03-29 | 2021-09-27 | ||
JP1725972S (ja) * | 2021-12-17 | 2022-09-29 | コネクタ | |
JP1725920S (ja) * | 2021-12-17 | 2022-09-29 | コネクタ | |
JP1725921S (ja) * | 2021-12-17 | 2022-09-29 | コネクタ | |
JP1725973S (ja) * | 2021-12-17 | 2022-09-29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5071A (ja) | 2001-04-09 | 2002-10-25 | Kenwood Corp | リモコン用ジャック、リモコンケーブル用プラグ、インターフェースケーブル用プラグ及びリモコン装置 |
CN2753007Y (zh) * | 2004-10-22 | 2006-01-18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4839984B2 (ja) | 2006-06-30 | 2011-12-21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プラグコネクタ |
TWI302048B (en) * | 2006-03-20 | 2008-10-11 | Hith Tech Computer Corp | Compatible connector for first and second joints having different pin counts |
CN200983449Y (zh) | 2006-11-24 | 2007-11-28 | 建舜电子制造股份有限公司 | 高密度多媒体接口的连接器插座 |
JP2008251248A (ja) | 2007-03-29 | 2008-10-16 | Mitsumi Electric Co Ltd | レセプタクル、プラグ及びコネクタ装置 |
JP5100449B2 (ja) * | 2008-03-05 | 2012-12-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複合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
US7485008B1 (en) * | 2008-04-17 | 2009-02-03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arrangement |
JP4977659B2 (ja) | 2008-07-18 | 2012-07-18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02290654B (zh) * | 2010-06-21 | 2014-02-19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201741836U (zh) | 2010-06-21 | 2011-02-09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102290655B (zh) | 2010-06-21 | 2013-12-04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201741958U (zh) | 2010-06-21 | 2011-02-09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8882528B2 (en) | 2010-12-15 | 2014-11-11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Connector |
US8152566B1 (en) | 2011-02-16 | 2012-04-10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silient arm configured in fixed ended beam manner formed on metal shell |
-
2012
- 2012-12-06 JP JP2012267025A patent/JP5943823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11-12 TW TW102140981A patent/TWI509917B/zh active
- 2013-11-13 KR KR1020130137407A patent/KR10156088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1-14 US US14/080,741 patent/US9136646B2/en active Active
- 2013-11-19 FI FI20136146A patent/FI126806B/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04 CN CN201310647829.6A patent/CN103855511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4116082A (ja) | 2014-06-26 |
US20140162484A1 (en) | 2014-06-12 |
CN103855511B (zh) | 2016-08-17 |
FI20136146A (fi) | 2014-06-07 |
FI126806B (en) | 2017-05-31 |
CN103855511A (zh) | 2014-06-11 |
TWI509917B (zh) | 2015-11-21 |
US9136646B2 (en) | 2015-09-15 |
KR101560887B1 (ko) | 2015-10-15 |
JP5943823B2 (ja) | 2016-07-05 |
TW201440345A (zh) | 2014-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0887B1 (ko) | 커넥터 | |
CN110994225B (zh) |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 | |
TWI416809B (zh) | 連接器 | |
JP6325505B2 (ja) | コネクタ | |
CN201018089Y (zh) | 电连接器组件 | |
EP1684386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8100724B2 (en) | Electrical connector featured USB/eSATA interfaces | |
JP5230711B2 (ja) | コネクタ | |
JP2011238593A (ja) | 電気コネクタ | |
US7878833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sulative housing configured with hermaphroditic halves | |
KR101485837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방법 | |
US7963777B2 (en) |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 |
US20180294602A1 (en) |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 |
US20100261384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12069354A (ja) | シールドケース、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
JP2024052802A (ja) | 可動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の製造方法 | |
US10276975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8052469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etallic shell with a mating opening divided into two different interfaces | |
JP2009193764A (ja) | 電気コネクタ、及び雌雄同形端子 | |
CN202308627U (zh) | 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 | |
KR101674792B1 (ko) | Usb 리셉터클 | |
JP2021093245A (ja) | コネクタ | |
US9240647B2 (en) |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connectable to the same | |
US9281583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insulative housing | |
JP7542397B2 (ja) |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