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508A -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508A
KR20140072508A KR1020120140109A KR20120140109A KR20140072508A KR 20140072508 A KR20140072508 A KR 20140072508A KR 1020120140109 A KR1020120140109 A KR 1020120140109A KR 20120140109 A KR20120140109 A KR 20120140109A KR 20140072508 A KR20140072508 A KR 20140072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wire
electrode region
substrate
nanowire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4260B1 (ko
Inventor
이정수
정윤하
김성호
김기현
임태욱
백창기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260B1/ko
Priority to US14/648,969 priority patent/US9461157B2/en
Priority to PCT/KR2013/010655 priority patent/WO2014088244A1/ko
Publication of KR2014007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one dimensional charge carrier gas channel, e.g. quantum wire F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6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involving nanosized elements, e.g. nanotubes, nano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3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 one- or zero-dimensional channel, e.g. quantum wire FET, in-plane gate transistor [IPG], single electron transistor [SET], striped channel transistor, Coulomb blockade trans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14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 G01N27/4145Ion-sensitive or chemical field-effect transistors, i.e. ISFETS or CHEMFETS specially adapted for biomolecules, e.g. gate electrode with immobilised rece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나노선의 적층으로 3차원 구조로 형성하여 직선형 나노선 센서에 비하여 넓은 노출 표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질이 나노선에 부착되는 확률을 높이고 이를 통해 측정 감도를 향상할 수 있는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센서를 제공하여 나노선의 전기전도도(conductance 또는 resistance)의 변화를 더욱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어서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층부 나노선의 경우 매질이 나노선의 상부 및 측면부 뿐 아니라 하부에도 차게 되어 소자의 동작이 GAA(Gate-all-around) 와 같이 되어, 나노선의 게이트 제어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감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병렬로 배치된 나노선의 영향으로 높은 전도도를 갖는 나노선이 전체 소자의 전도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소자의 켜짐 특성이 병렬 연결된 나노선 중 우수한 성능의 나노선에 의하여 주요한 영향을 받아 평균적인 소자의 켜짐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Nanowire Field-Effect Sensors having a 3-Dimensional Stacked Nanowir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나노선을 이용한 전계효과 센서에 관한 것으로, 나노선을 기판에 수직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한정된 기판 면적에서 더욱 넓은 감지 면적을 얻을 수 있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에 관한 것이다.
전기화학적 센서는 감지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이다. 전기 화학적 센서는 대상물질의 종류에 따라 바이오센서 및 화학센서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소자이다.
전기화학적 센서를 이용한 대상물질의 검출 및 분석을 위해서는 대상 물질이 가지는 미세한 전기화학적 특성에도 신호의 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도록 높은 감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감지 대상 물질이 부착될 수 있는 면적을 최대화하여 더욱 많은 대상 물질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경제성과 실용성을 위하여 대량생산이 쉬운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의 탑다운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는 상기 된 전기화학적 센서의 요건에 가장 적합하다. 그중에서도 나노선 채널은 1차원 구조로 높은 게이트 제어능력과 평판 채널에 비하여 높은 부피 대 면적비로 높은 감도를 얻을 수 있는 구조로 제안되고 있다.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나노선의 상부에 탐지 물질을 부착하고 대상 물질을 선택적으로 결합해 대상물질의 전하를 이용하여 감지를 수행한다. 이때, 대상물질의 전하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대상물질의 포획 면적이 넓어야 하므로 나노선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야 한다. 그러나 나노선 채널이 1차원 구조이므로 나노선 내부 및 나노선을 감싸고 있는 게이트 절연층에 존재하는 트랩에 민감하게 영향 받아 나노선간의 특성 편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며 이는 나노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심화한다.
또한, 나노선의 높은 채널 저항 때문에 병렬 연결된 나노선의 개수가 적으면 구동 전류량이 낮아지게 되어 감지를 위한 측정 회로 구성할 때 높은 측정해상도를 요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나노선을 이용한 나노선 센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나노선 센서는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 사이에 형성된 나노선(20) 상부의 게이트 절연층에 탐지물질을 부착한다. 그 이후 탐지물질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대상물질이 가지고 있는 전하량을 이용하여 나노선 채널 영역의 전기전도도를 변화시켜 감지를 수행한다. 이때 별도의 수중 게이트 전극(31)을 제작하여 용액의 전위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구조의 나노선 센서는 직선형의 나노선이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에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나노선의 감지 면적은 나노선의 상부 및 측면부에 국한되고, 그 크기가 불과 수 제곱 마이크론에서 수 제곱 나노미터밖에 되지 않는다.
나노선의 감지 면적을 늘리기 위해서는 나노선의 개수를 늘려야 하며, 소자가 차지하는 기판면적도 넓어지게 된다. 이는 기판 면적 대비 소자의 개수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나노선의 적층으로 3차원 구조로 형성하여 직선형 나노선 센서에 비하여 넓은 노출 표면적을 갖도록 함으로써 대상물질이 나노선에 부착되는 확률을 높이고 이를 통해 측정 감도를 향상할 수 있는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의 일실시예는,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으로 형성된, 상기 반도체 채널층(12) 및 상기 희생층(13)으로 형성된 드레인 전극 영역(D), 상기 에 반도체 채널층(12)의 일측과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에 반도체 채널층(13)의 일측이 연결되는 나노선 및 상기 나노선의 측면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대상물질(41)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탐지물질(40)을 구비한느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기판 상부에 각각 적어도 한층 이상 반복적으로 형성된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 상기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에서 패턴 된 부분의 채널층(12)과 희생층(13)을 일괄적으로 식각한 후, 패턴 외의 부분의 하부 지지층 및 희생층(13)을 선택적으로 식각하고 남은 나노선, 상기 나노선과 일측이 연결된 상기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에 형성된, 상기 나노선과 다른 일측이 연결된 상기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상기 나노선의 또 다른 측면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대상물질(41)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탐지물질(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센서는 기존의 2차원 구조의 나노선을 이용한 나노선 센서에 비해 넓은 감지 면적을 가져 대상물질이 나노선에 부착될 확률을 높이고, 이를 통해 부착된 대상물질에 의한 나노선의 전기전도도(conductance 또는 resistance)의 변화를 더욱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어서 센서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층부 나노선의 경우 매질이 나노선의 상부 및 측면부 뿐 아니라 하부에도 차게 되어 소자의 동작이 GAA(Gate-all-around) 와 같이 되어, 나노선의 게이트 제어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감도가 증가하게 된다.
GAA(Gate-all-around)는 나노선의 네 개의 면 모두를 게이트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병렬로 배치된 나노선의 영향으로 높은 전도도를 갖는 나노선이 전체 소자의 전도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소자의 켜짐 특성이 병렬 연결된 나노선 중 우수한 성능의 나노선에 의하여 주요한 영향을 받아 평균적인 소자의 켜짐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나노선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병렬 연결된 나노선 소자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와 나노선 개수에 따른 전달특성곡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기판의 상부에 채널층과 절연물질 혹은 채널층과 선택적 식각이 가능한 반도체물질을 이용한 희생층(Sacrificial layer)을 다층으로 차례대로 형성하는 반도체 적층 형성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 영역(S),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나노선 패턴을 형성하는 나노선 패턴 형성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습식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나노선의 하부 지지층 및 희생층을 제거하는 지지층 제거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상기 소스 전극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에 이온을 주입하는 이온주입단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상기 소스 전극 영역(S),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상기 나노선의 외부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게이트 절연층 형성단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희생층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이 절연층인 경우 금속 via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상기 소스 전극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의 상부에 금속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형성단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금속전극 연결선 상부에 용액과 금속 전극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노출된 나노선 게이트 절연층과 수중 게이트 전극을 별도의 물질을 이용하여 용액이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상기 노출된 나노선 패턴에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대상물질과 반응할 탐지물질을 고정하는 탐지물질 고정단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센서는 반도체 채널층(12)과 절연체 혹은 채널층과 선택적 식각이 가능한 반도체로 이루어진 희생층(13)의 반도체 적층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반도체 적층에서 나노선 패턴 된 부분의 채널층(12)과 희생층(13)을 일괄적으로 식각한 후, 나노선 부분의 희생층(13)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나노선 간에 층간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이때,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 영역은 각 층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희생층(13)의 물질이 절연체일 때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에서 별도의 도체인 via(32)를 이용하여 각 층을 연결하도록 하고, 채널층이 실리콘이고 희생층(13)의 물질이 실리콘 게르마늄 화합물과 같은 실리콘과 선택적 식각이 가능한 반도체 물질인 경우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의 선택적인 불순물의 주입으로 전도도를 높여 각 층을 연결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센서는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나노선 센서와 비교하여 다른 구성 요소는 모두 같으며, 나노선이 기판(10)에 수직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따라서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의 경우 기존의 나노선에 비하여 더욱 많은 수의 나노선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병렬 연결된 나노선 소자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와 나노선 개수에 따른 전달특성곡선이다.
도 3의 측정 결과를 참조하면, 나노선의 개수가 10개인 소자에 비하여 나노선의 개수가 20개인 소자가 더욱 낮은 문턱전압과 SS(Sub-threshold Swing)를 보이며, 더욱 높은 켜진 상태에서의 전류량을 보인다. 나노선의 개수가 10개인 소자와 20개인 소자를 각각 13개, 19개의 문턱전압, SS 및 켜진 상태에서의 전류의 평균을 구한 결과 나노선의 개수가 10개인 소자에서 문턱전압이 80mV 낮았고, SS는 140mV/dec에서 123mV/dec로 개선되었으며, 2배의 전류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즉, 각각의 특성이 다른 나노선 다수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병렬연결의 특성으로 연결된 채널 중 높은 전도도를 가진 채널이 전체 회로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연결된 나노선 중 소자의 켜짐 특성이 좋은 소자가 주요한 영향을 주어 전체 소자의 켜짐 특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단일 소자에서 병렬로 연결된 나노선의 개수가 증가할 때 대상 물질(41)이 부착되어 전도도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감지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대상 물질(41)이 부착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나노선이 병렬로 연결됨에 따라 전체 채널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전류량이 증가하게 되어 측정 장치의 측정 해상도를 높일 필요가 없으므로 실제 구현에 유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기판(10)의 상부에 채널층과 절연물질 혹은 채널층과 선택적 식각이 가능한 반도체물질을 이용한 희생층(Sacrificial layer,13)을 다층으로 차례대로 형성하는 반도체 적층 형성단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기판(10) 상부에 실리콘 산화막 혹은 실리콘 질화막을 이용한 절연층(11)과 그 상부에는 저농도로 도핑 된 반도체 채널층(12)과 절연체 혹은 채널층과 선택적 식각이 가능한 반도체로 구성된 희생층(13)이 교차로 형성된 구조이며 반도체 적층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 영역(S),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나노선 패턴을 형성하는 나노선 패턴 형성단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리소그라피 공정을 이용하여 상부 채널층(12)에 소스 전극 영역(S), 드레인 전극 영역(D) 그리고 나노선 영역을 포함한 활성 영역을 패턴 된 후 식각공정을 통하여 형성한다. 나노선 영역은 소스 전극 영역(S) 및 드레인 전극 영역(D) 형성 공정을 통하여 한 번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스 전극 영역(S) 및 드레인 전극 영역(D)을 먼저 패턴하고 나노선 부분만을 별도로 패턴 하여 두 번의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습식식각 공정을 통해 상기 나노선의 하부 지지층 및 희생층(13)을 제거하는 지지층 제거단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습식식각 공정을 통해 나노선 채널 영역의 희생층(21)을 제거한다. 이때, 식각은 비등방성 습식 식각을 이용하되, 채널층은 식각하지 아니하고 희생층만을 선택적으로 식각하기 위하여 희생층 물질과 채널층 물질간의 식각 선택비가 높은 식각 용액을 선택하여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상기 소스 전극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에 이온을 주입하는 이온주입단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길게 형성된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의 전기전도도를 높이고, 채널층(12)이 실리콘이고 희생층(13)이 실리콘 게르마늄 화합물과 같이 실리콘과 선택적으로 식각이 가능한 반도체일 때 각 실리콘층의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온주입을 수행한다. 이때, 주입된 이온은 나노선 영역의 채널층(20)을 이온주입 방지막(14)을 이용하여 나노선 영역에 침범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상기 소스 전극 영역(S),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상기 나노선의 외부에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게이트 절연층 형성단계이다.
도 8을 살펴보면, 나노선의 외부에 게이트 절연층(15)을 형성하여 나노선 외부의 용액으로부터 나노선과 유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게이트 절연층 표면에는 이후 탐지물질의 부착에 필요한 화학기가 노출되도록 하며 별도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된 나노선 형성공정, 이온 주입공정, 하부지지층 제거 공정 및 게이트 절연층 형성 공정은 나노선 센서의 감도를 높이고 신호 대 잡음비를 줄이기 위한 목적에 맞게 그 순서를 바꾸어 시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희생층(13)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이 절연층인 경우 금속 via(3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희생층(13)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이 절연층인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을 연결하기 위하여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에 금속 via(32)를 형성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상기 소스 전극 영역(S) 및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의 상부에 금속전극을 형성하는 전극 형성단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13)이 채널층(12)과 선택적으로 식각이 가능한 반도체일 때 도 7의 공정에서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에서 각 채널층(12)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였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전극 영역(S) 및 드레인 전극 영역(D) 상부에 금속 전극층(30)을 형성한다. 이때,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드레인 전극 영역(D) 상부에 게이트 절연층(15)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절연층을 제거하는 공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더하여, 하부 절연층(11) 위에 별도의 수중 게이트 전극(31)을 추가로 형성하여 용액에 노출해 용액에 직접 전위를 인가하는 수중 게이트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소스 전극 영역(S)과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금속전극 연결선 상부에 용액과 금속 전극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전극 영역(S) 와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금속전극 연결선 상부에 용액과 금속 전극층(30)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16)을 추가로 형성한다. 이때 감지가 일어나는 나노선의 게이트 절연층과 수중 게이트 전극 부분을 노출해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노출된 나노선 게이트 절연층과 수중 게이트 전극을 별도의 물질을 이용하여 용액이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나노선 게이트 절연층과 수중 게이트 전극을 유체 채널층(17)을 이용하여 용액이 흐를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로부터 용액을 보호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3차원 적층구조 나노선 센서에서 상기 노출된 나노선 패턴에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대상 물질(41)과 반응할 탐지물질(40)을 고정하는 탐지물질 고정단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선의 표면 화학기를 이용하여 탐지물질(40)을 부착하고 그 위에 대상 물질(41)을 부착하여 대상 물질(41)의 전하가 나노선 채널의 전기전도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선은 대상 물질(41)이 가지고 있는 전기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동작하는 소자로 대상 물질(41)의 종류 및 전기화학적 특성에 따라 n형, p형으로 도핑하거나 혹은 도핑하지 않은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기판 11 : 하부 절연층
12 : 반도체 채널층 13 : 희생층
14 : 이온 주입 방지층 15 : 게이트 절연층
16 : 상부 절연층 17 : 유체 채널층
20 : 나노선 영역의 채널층 21 : 나노선 영역의 희생층
30 : 금속 전극층 31 : 수중 게이트 전극
32 : via 40 : 탐지 물질
41 : 대상 물질

Claims (14)

  1.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에 있어서,
    상기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를 형성하기 위한 기판;
    상기 기판 상부의 일측에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으로 형성된 소스 전극 영역(S);
    상기 기판 상부의 또 다른 일측에 상기 반도체 채널층(12) 및 상기 희생층(13)으로 형성된 드레인 전극 영역(D);
    상기 소스 전극 영역(S)인 반도체 채널층(12)의 일측과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인 반도체 채널층(13)의 일측이 연결되는 나노선; 및
    상기 나노선의 측면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대상물질(41)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탐지물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선의 폭은 5nm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선의 상부, 하부 및 양 측면에서 상기 탐지물질과 대상물질 간의 선택적인 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부에 수중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되,
    상기 수중게이트 전극은 상기 대상물질이 포함된 용액에 직접 전위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부에 수중 게이트 전극을 추가하여 상기 나노선의 전도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게이트로 이용하여 상기 나노선의 전도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이용한 게이트와 상기 기판 상부의 수중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나노선의 전도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반도체, 폴리머 또는 부도체 소재의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9.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에 있어서,
    상기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를 형성하기 위한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각각 적어도 한층 이상 반복적으로 형성된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
    상기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에서 패턴 된 부분의 채널층(12)과 희생층(13)을 일괄적으로 식각한 후, 패턴 외의 부분의 하부 지지층 및 희생층(13)을 선택적으로 식각하고 남은 나노선;
    상기 나노선과 일측이 연결된 상기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에 형성된 소스 전극 영역(S);
    상기 나노선과 다른 일측이 연결된 상기 반도체 채널층(12) 및 희생층(13)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상기 나노선의 또 다른 측면에 고정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대상물질(41)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탐지물질(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맞추어 상기 소스 전극 영역(S),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상기 나노선을 p형으로 도핑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선의 하부가 상기 기판에 부착되지 아니하고 유체가 상기 나노선의 하부에도 존재하여 상기 나노선을 감쌀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의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맞추어 상기 소스 전극 영역(S), 상기 드레인 전극 영역(D) 및 상기 나노선을 n형으로 도핑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의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선은
    패턴 된 이후 식각을 통한 형성 이후,
    고온 산화과정과 산화막 제거 과정을 시행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의 제조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선은
    패턴 된 이후 식각을 통한 형성 이후,
    하부에 선택적 습식 식각 과정을 시행하여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120140109A 2012-12-05 2012-12-05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4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09A KR101444260B1 (ko) 2012-12-05 2012-12-05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4/648,969 US9461157B2 (en) 2012-12-05 2013-11-22 Nanowire electric field effect sensor having three-dimensional stacking structure nano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3/010655 WO2014088244A1 (ko) 2012-12-05 2013-11-22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09A KR101444260B1 (ko) 2012-12-05 2012-12-05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08A true KR20140072508A (ko) 2014-06-13
KR101444260B1 KR101444260B1 (ko) 2014-09-26

Family

ID=5088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109A KR101444260B1 (ko) 2012-12-05 2012-12-05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61157B2 (ko)
KR (1) KR101444260B1 (ko)
WO (1) WO20140882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602A (ko) * 2014-08-20 2016-03-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미세유체 제어 장치를 이용한 나노 그물망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91809B (zh) * 2015-08-04 2017-07-11 國立交通大學 光感測裝置及其應用
FR3046243B1 (fr) * 2015-12-24 2017-12-2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apteur nw-fet comportant au moins deux detecteurs distincts a nanofil de semi-conducteur
WO2018169528A1 (en) * 2017-03-15 2018-09-20 Intel Corporation Direct self assembly (dsa) processing of vertically stacked devices with self-aligned regions
CN109427908A (zh) * 2017-08-24 2019-03-05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三维硅纳米线阵列场效应晶体管、生物传感器及制备方法
CN108318533A (zh) * 2017-11-30 2018-07-24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生化传感器与其制作方法
CN109950157A (zh) * 2017-12-21 2019-06-28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基于纳米片堆叠结构的生化传感器及其制作方法
JP2022129253A (ja) * 2021-02-24 2022-09-05 キオクシア株式会社 記憶装置
CN114623777B (zh) * 2022-02-21 2022-11-18 武汉大学 一种堆叠纳米片结构的测量模型构建方法、测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7164C2 (de) * 1999-02-19 2002-10-24 Micronas Gmbh Meß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015498B1 (ko) * 2003-06-14 2011-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직 카본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35949A1 (en) * 2006-12-08 2008-06-12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Stacked silicon-germanium nanowir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858325B1 (ko) * 2007-03-09 2008-09-17 한국화학연구원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이용한 미생물 검출센서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검출방법
KR101375833B1 (ko) * 2007-05-03 201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게르마늄 나노로드를 구비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KR101058369B1 (ko) * 2007-12-10 2011-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점을 이용한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TW201107749A (en) * 2009-08-24 2011-03-01 Nat Applied Res Laboratories Field-effect-transistor-based bio-sensor and the bio-signal amplification method thereof
KR101263188B1 (ko) * 2011-04-14 2013-05-1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선을 구비한 나노선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602A (ko) * 2014-08-20 2016-03-0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 미세유체 제어 장치를 이용한 나노 그물망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3289A1 (en) 2015-10-22
WO2014088244A1 (ko) 2014-06-12
KR101444260B1 (ko) 2014-09-26
US9461157B2 (en)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260B1 (ko) 3차원 적층 구조의 나노선을 갖춘 나노선 전계효과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1307200B2 (en)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including the transistor,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same
US90346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lecule detection using nanopores
US9151740B2 (en) Nanopore device with improved sensitivit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940548B2 (en) Sensor for biomolecules
US10261067B2 (en) Method of forming a field effect based nanopore device
KR101263188B1 (ko)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선을 구비한 나노선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101332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lecule detection using nanopores
WO2013032914A1 (en) Nanogrid channel fin-fet transistor and biosensor
KR101927415B1 (ko) 나노갭 소자 및 이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US9846139B2 (en) Nanowire field-effect sensor including nanowires having network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2007389B2 (en)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 including the transistor,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same
RU2539677C2 (ru) Зонд на основе полевого транзистора с наноразмерным каналом
CN114137377A (zh) 一种目标分子检测晶体管传感器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