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421A -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421A
KR20140072421A KR1020120139563A KR20120139563A KR20140072421A KR 20140072421 A KR20140072421 A KR 20140072421A KR 1020120139563 A KR1020120139563 A KR 1020120139563A KR 20120139563 A KR20120139563 A KR 20120139563A KR 20140072421 A KR20140072421 A KR 20140072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fermented
stress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환
서인수
오좌섭
안은경
최경민
정미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2013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2421A/ko
Publication of KR2014007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4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속스트레스가 가해진 실험동물에 투여될 때, 스트레스의 지표물질인 코티졸(cortisol), 글루코오스(glucouse), 젖산(lactic acid) 및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creatine phosphokinase)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지닌 경단구슬모자반 (Sargassum muticum) 전초 추출물, 돈나무(Pittosporum tobira) 잎과 열매의 혼합 추출물,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잎 추출물, 우뭇가사리(Gelidiumamansii (Lamouroux) Lamouroux) 전초 추출물, 석창포(Acorus gramineus) 전초 추출물, 백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전초 추출물, 인삼(Panax giseng) 종자 추출물, 인삼 꽃 추출물, 인삼 누룩균 발효물, 인삼 효모 발효물, 인삼 고초균 발효물, 인삼 홍국균 발효물, 인삼 유산균 발효물, 홍삼 누룩균 발효물, 홍삼 효모 발효물, 홍삼 고초균 발효물, 홍삼 홍국균 발효물 및 홍삼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스트레스용 조성물{Anti-stress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경단구슬모자반 전초 추출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는 육체적·정신적 활동 능력이 감소된 상태로 정의되며, 정신적인 과부하로 인한 신체 리듬의 불균형을 의미하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운동 수행 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하는 육체적 스트레스(fatigue)로 구분된다(식약청 건강기능식품의 피로회복 관련 기능성 평가체계 구축, 연구결과보고서).
정신적 스트레스는 긴장성 두통, 편두통, 고혈압, 소화 불량, 피로, 통증, 갱년기 장해, 탈모, 피부 거칠어짐 등의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고, 만성적으로 지속될 경우 소화성 궤양, 고혈압, 당뇨병, 웨궤양 등을 비롯한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는 정서 불안을 일으키고 집중력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반응은 교감신경계인 뇌하수체-부신계(HPA)의 기능을 항진시키고 호르몬 분비를 유발함으로써 시작된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에 의해 자극된 부신은 무게가 증가되며, 비장은 면역 기능의 감퇴로 인하여 무게가 현저히 줄어든다. 또 부신은 다른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액 내에서 콜레스테롤, 혈당, 알카린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락테이트디하이드로게나제(lactate dehydrogenase; LDH), 아스파테이트트랜스아미노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or GOT), 알라닌트랜스아미나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r GPT) 등을 증가시킨다. 또한 스트레스에 의하여 높아진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이나 코티졸(cortisol) 등의 혈중 농도는 순환 중의 백혈구 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스트레스 반응은 궁극적으로 신체의 항상성을 저하시키고 신체의 면역력을 약화시켜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Friedman et al., Psychosom Med. 1963, 25:364-376; Snel J et al., J. Physiol. 1972, 65:Suppl:328A; Groth W et al., Zentralbl Veterinarmed A. 1975, 22(1):57-75; Gold et al., Psychoneuroendocrinology. 1985, 10(4):401-19; Bossert S et al., 1988, 20(1):36-42).
육체적 스트레스는 근육에 젖산을 축적시켜 피로를 야기하는데, 젖산의 축적에는 피루브산으로부터 젖산의 생성을 촉매하는 근세포질의 LDH(lactate dehydrogenase)가 관여한다. 육체적 스트레스는 LDH를 증가시켜 근육에 젖산의 축적을 유발한다(Fitts et al., Am J Physiol. 1976, 231(2):430-3; Savitski et al., Ukr Biokhim Zh. 1979, 51(1):45-9).
현재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g3 및 Rg2(한국 등록특허 제1120996호), 황기 추출물(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73462호), 수련 추출물(한국 등록특허 제876440호) 등이 항스트레스 활성을 가진다고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경단구슬모자반(Sargassum muticum) 전초 추출물, 돈나무(Pittosporum tobira) 잎과 열매의 혼합 추출물,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잎 추출물, 우뭇가사리(Gelidiumamansii (Lamouroux) Lamouroux) 전초 추출물, 석창포(Acorus gramineus) 전초 추출물, 백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전초 추출물, 인삼(Panax giseng) 종자 추출물, 인삼 꽃 추출물, 인삼 누룩균 발효물, 인삼 효모 발효물, 인삼 고초균 발효물, 인삼 홍국균 발효물, 인삼 유산균 발효물, 홍삼 누룩균 발효물, 홍삼 효모 발효물, 홍삼 고초균 발효물, 홍삼 홍국균 발효물 및 홍삼 유산균 발효물이 구속스트레스가 가해진 실험동물에 투여될 때, 스트레스의 지표물질인 코티졸(cortisol), 글루코오스(glucouse), 젖산(lactic acid) 및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creatine phosphokinase)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경단구슬모자반 전초 추출물, 돈나무 잎 추출물, 돈나무 열매 추출물,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 우뭇가사리 전초 추출물, 석창포 전초 추출물, 백도라지 전초 추출물, 인삼 종자 추출물, 인삼 꽃 추출물, 인삼 누룩균 발효물, 인삼 효모 발효물, 인삼 고초균 발효물, 인삼 홍국균 발효물, 인삼 유산균 발효물, 홍삼 누룩균 발효물, 홍삼 효모 발효물, 홍삼 고초균 발효물, 홍삼 홍국균 발효물 또는 홍삼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항스트레스"란 정신적 피로 회복 및 육체적 피로 회복의 의미로서 구체적으로는 긴장 완화, 불안 완화, 집중력 향상 및/또는 운동 능력 향상의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더 정제된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여기서 추출 방법은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방법과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로 증류시키는 방법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침지를 통한 추출 방법에는 냉침, 가온, 초음파, 환류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추출 대상을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침지 또는 증류)하여 얻어진 것을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7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는 부피 백분율에 의한 농도(v/v) 표현으로서,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일정 부피의 용액 중에 녹아 있는 일정 부피의 용질을 의미한다. 예컨대 30%(v/v)는 용액 100㎖에 용질 30㎖가 용해되어 있다는 것이 된다. 또 본 명세서의 "추출물"의 의미에는 여과 등을 통하여 정제된 형태의 추출물, 추출 용매가 제거된 액상의 농축된 추출물 그리고 추출 용매가 제거된 분말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발효물"은 그 발효 대상인 인삼 또는 홍삼에 탄소원을 첨가하고 누룩균 또는 홍국균를 접종하여 배양시켜 얻어진 배양물을 의미한다. 이 배양물은 그대로 이용되거나,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시켜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이용되거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접종되는 미생물의 탄소원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당밀, 덱스트로스,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탄소원은 의도한 발효 시간, 발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통상 발효 대상인 인삼 또는 홍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것이다.
또 상기에서 접종되는 미생물로서 누룩균, 효모, 고초균, 홍국균 및 유산균은 특별한 제한이 없다.
누룩균으로서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제(Aspergillus sojae)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초균은 청국장, 된장, 치즈 등 식품의 발효에 관여하는 바실러스속 미생물(Bacillus sp.)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리크네포르미스(B. lichne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낫토(B. natto), 바실러스 안스라시스(B. antharcis), 바실러스렌투스(B. lentus), 바실러스 퍼미러스(B. pumilus), 바실러스 더링지엔시스(B. thuringiensis), 바실러스 알베이(B. alvei), 바실러스 아조토픽산스(B. azotofixans), 바실러스 매세란스(B. macerans), 바실러스 포리믹사(B. polymyxa), 바실러스 파필리에(B. popilliae), 바실러스 코아글란스(B. coagulans), 바실러스 스테아로더모필러스(B.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파스퇴리(B. pasteurii), 바실러스 패리커스(B. sphaericus), 바실러스 패스티디오서스(B. fastidiosu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홍국균(Monascus sp.)으로서는 모나스쿠스 루버(Monascus ruber), 모나스쿠스 퍼퍼레우스(Monascus purpureus), 모나스쿠스 루버반(Monascus rubervan), 모나스쿠스 풀리기노서스(Monascus fuliginosus), 모나스쿠스 필로수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쿠스 안카(Monascus anka), 모나스쿠스 바리케리(Monascus barykery), 모나스쿠스 퍼퓨렌스(Monascus purpurens), 모나스쿠스 알비두스(Monascus albidus Sato)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젖산균의 경우는 락토바실러스 속 젖산균(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쿠스 속 젖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 속 젖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 속 젖산균(Leuconostoc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 젖산균(Bifidobacterium sp .)이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세(Pediococcus cerevisiae),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레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레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미생물의 접종 후의 배양은 접종되는 미생물을 고려하여 15℃~45℃의 온도 조건 특히 25℃~4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발효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또한 원하지 않는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으며,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도 발효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마찬가지로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다. 배양 시간의 경우는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를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종된 미생물이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은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미생물의 양 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당업자는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미생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이 어느 시점인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항스트레스용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0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항스트레스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식품의 형태는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산제, 정제, 캡슐제 등의 건강식품 제제류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 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국소형 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와 제제에 대해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단구슬모자반 전초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스트레스용 조성물은 식품 또는 약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 등의 시료의 제조
<실시예 1> 경단구슬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경단구슬모자반(전초)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산유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돈나무 잎과 열매 혼합 추출물의 제조
돈나무 잎 분말과 돈나무 열매 분말의 동량의 혼합물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형상의 산유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붉가시나무 잎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산유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우뭇가사리 추출물의 제조
우뭇가사리(전초)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5> 석창포 추출물의 제조
석창포(전초)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석창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6> 백도라지 추출물의 제조
백도라지(전초)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백도라지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7> 인삼 종자 추출물의 제조
인삼 종자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인삼 종자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8> 인삼 꽃 추출물의 제조
인삼 꽃 분말에 3배 중량의 70% 에탄올을 넣고 상온에서 48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인삼 꽃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9> 인삼 누룩균 발효물의 제조
수분 함량이 14% 이하인 백삼 분말에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200 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여기에 탄소원으로 당밀을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여기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준비한 누룩균(Aspergillus oryzae) 5%(v/v) 접종하여 30℃에서 4일 동안 발효시켜 백삼 누룩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백삼 누룩균 발효물을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0> 인삼 효모 발효물의 제조
수분 함량이 14% 이하인 백삼 분말에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200 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여기에 탄소원으로 당밀을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여기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준비한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배양액을 5%(v/v) 접종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백삼 효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백삼 효모 발효물을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인삼 고초균 발효물의 제조
수분 함량이 14% 이하인 백삼 분말에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200 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여기에 탄소원으로 당밀을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여기에 nutrient broth 배지에서 준비한 고초균(Bacillus subtilis) 2%(v/v) 접종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백삼 고초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인삼 홍국균 발효물의 제조
수분 함량이 14% 이하인 백삼 분말에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200 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여기에 탄소원으로 설탕과 텍스트로스(dextrose)의 1:1 중량비의 혼합물을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여기에 PDB(Potato Dextrose Broth)배지에서 준비한 모나스쿠스 필로수스(Monascus pilosus) 균주 배양액을 10%(v/v) 접종하여 30~35℃의 조건에서 15일간 배양하여 백삼 홍국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백삼 홍국균 발효물을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인삼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수분 함량이 14% 이하인 백삼 분말에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200 중량부의 물을 가하고 여기에 탄소원으로 당밀을 백삼 분말 100 중량부 기준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멸균기를 이용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였다. 여기에 MRS(DeMan, Rogosa, and Sharpe) broth에서 준비한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을 5%(v/v) 접종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백삼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백삼 유산균 발효물을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4> 홍삼 누룩균 발효물의 제조
백삼 분말 대신에 수분 함량이 15% 이하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발효 조건 및 발효 공정으로 홍삼 누룩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홍삼 효모 발효물의 제조
백삼 분말 대신에 수분 함량이 15% 이하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발효 조건 및 발효 공정으로 홍삼 효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6> 홍삼 고초균 발효물의 제조
백삼 분말 대신에 수분 함량이 15% 이하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발효 조건 및 발효 공정으로 홍삼 고초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홍삼 홍국균 발효물의 제조
백삼 분말 대신에 수분 함량이 15% 이하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발효 조건 및 발효 공정으로 홍삼 홍국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홍삼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백삼 분말 대신에 수분 함량이 15% 이하인 홍삼 분말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발효 조건 및 발효 공정으로 홍삼 유산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항스트레스 활성 실험
<1> 실험방법
실험동물은 생후 6주령된 Wister계 Rat 수컷(Shizuoka Laboratory Animal Center, JP)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 시작 전 1주일 동안 순화시킨 후 건강한 동물만을 이용하여 실험을 시작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2±1℃, 습도:50±10%, 조명:12hr/day로 조절하였다.
시료는 음용수에 혼합하여 200mg/kg씩 1일 1회씩 4주간 경구투여 하였으며, 기본식이는 AIN-93G를 자유급여하였다.
스트레스는 구속 스트레스를 가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주간의 시료 투여 후 5시간 동안 구속 케이지(대한바이오링크, 모델명 DH-SC03)에서 이루어졌다.
실험군은 1개 군의 비스트레스 유발군(정상군, n=5), 14개 군의 스트레스 유발군(1개 군의 시료 비투여군인 양성대조군과 13개 군의 시료 투여군, n=5)로 구성되었다.
항스트레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지표물질인 코티졸(cortisol), 글루코오스(glucouse), 젖산(lactic acid) 및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creatine phosphokinase)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항스트레스 활성에 대한 각 표지 인자의 혈중 농도에 대한 결과 값을 아래의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코티졸의 혈중 농도(㎍/㎗)
구분 코티졸의 혈중 농도(㎍/㎗)
음성 대조군(비스트레스 유발군) 5.98±3.42
양성 대조군 (스트레스 유발군) 38.27±4.86
경단구슬모자반 전초 추출물 27.43±1.35
돈나무 잎/열매 혼합 추출물 31.54±3.82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 29.69±1.10
우뭇가사리 전초 추출물 19.98±1.99
석창포 전초 추출물 23.67±5.16
백도라지 전초 추출물 21.56±7.32
인삼 종자 추출물 26.15±3.45
인삼 꽃 추출물 24.31±2.98
인삼 누룩균 발효물 28.11±6.37
인삼 효모 발효물 21.01±5.10
인삼 고초균 발효물 24.88±4.93
인삼 홍국균 발효물 30.02±1.31
인삼 유산균 발효물 29.44±2.32
홍삼 누룩균 발효물 22.21±5.74
홍삼 효모 발효물 17.01±1.12
홍삼 고초균 발효물 21.18±9.32
홍삼 홍국균 발효물 27.98±3.89
홍삼 유산균 발효물 18.11±5.57
글루코오스의 혈중 농도(㎍/㎗)
구분 글루코오스의 혈중 농도(㎍/㎗)
음성 대조군(비스트레스 유발군) 106.42±5.20
양성 대조군 (스트레스 유발군) 148.51±11.41
경단구슬모자반 전초 추출물 121.34±2.82
돈나무 잎/열매 혼합 추출물 118.91±7.31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 130.73±11.56
우뭇가사리 전초 추출물 108.00±3.90
석창포 전초 추출물 122.16±13.91
백도라지 전초 추출물 119.34±8.35
인삼 종자 추출물 126.27±12.45
인삼 꽃 추출물 119.62±8.20
인삼 누룩균 발효물 132.38±9.32
인삼 효모 발효물 122.09±7.76
인삼 고초균 발효물 112.27±9.12
인삼 홍국균 발효물 124.15±12.29
인삼 유산균 발효물 112.92±4.11
홍삼 누룩균 발효물 122.33±9.32
홍삼 효모 발효물 118.45±7.78
홍삼 고초균 발효물 121.02±12.92
홍삼 홍국균 발효물 109.17±10.17
홍삼 유산균 발효물 112.34±6.68
젖산의 혈중 농도(㎍/㎗)
구분 젖산의 혈중 농도(㎍/㎗)
음성 대조군(비스트레스 유발군) 11.23±0.85
양성 대조군 (스트레스 유발군) 26.21±7.13
경단구슬모자반 전초 추출물 14.75±1.20
돈나무 잎/열매 혼합 추출물 12.63±3.32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 19.85±5.04
우뭇가사리 전초 추출물 14.24±6.92
석창포 전초 추출물 17.79±8.11
백도라지 전초 추출물 12.64±3.22
인삼 종자 추출물 14.15±1.78
인삼 꽃 추출물 17.87±5.43
인삼 누룩균 발효물 16.41±8.31
인삼 효모 발효물 16.76±5.02
인삼 고초균 발효물 18.54±4.72
인삼 홍국균 발효물 19.92±2.19
인삼 유산균 발효물 18.71±4.56
홍삼 누룩균 발효물 20.52±7.32
홍삼 효모 발효물 15.28±9.91
홍삼 고초균 발효물 14.48±4.23
홍삼 홍국균 발효물 15.98±3.19
홍삼 유산균 발효물 17.42±1.37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의 혈중 농도(㎍/㎗)
구분 크레아틴 포스포키나아제의 혈중 농도(㎍/㎗)
음성 대조군(비스트레스 유발군) 43.74±9.49
양성 대조군 (스트레스 유발군) 92.18±10.52
경단구슬모자반 전초 추출물 75.01±9.29
돈나무 잎/열매 혼합 추출물 61.55±8.34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 69.41±3.18
우뭇가사리 전초 추출물 52.81±8.29
석창포 전초 추출물 57.88±10.62
백도라지 전초 추출물 49.64±2.22
인삼 종자 추출물 72.15±7.65
인삼 꽃 추출물 79.87±9.18
인삼 누룩균 발효물 62.41±10.10
인삼 효모 발효물 71.56±2.87
인삼 고초균 발효물 68.53±11.21
인삼 홍국균 발효물 75.19±9.77
인삼 유산균 발효물 71.10±5.12
홍삼 누룩균 발효물 60.32±10.12
홍삼 효모 발효물 54.51±12.98
홍삼 고초균 발효물 64.43±7.33
홍삼 홍국균 발효물 68.18±8.17
홍삼 유산균 발효물 59.31±2.45
상기 [표 1] 내지 [표 4]에서 확인되듯이, 스트레스 유발군의 경우 비스트레스 유발군에 비해 스트레스 관련 지표물질의 농도가 뚜렷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모든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이들 지표물질의 농도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경단구슬모자반 전초 추출물, 돈나무 잎 추출물, 돈나무 열매 추출물, 붉가시나무 잎 추출물, 우뭇가사리 전초 추출물, 석창포 전초 추출물, 백도라지 전초 추출물, 인삼 종자 추출물, 인삼 꽃 추출물, 인삼 누룩균 발효물, 인삼 효모 발효물, 인삼 고초균 발효물, 인삼 홍국균 발효물, 인삼 유산균 발효물, 홍삼 누룩균 발효물, 홍삼 효모 발효물, 홍삼 고초균 발효물, 홍삼 홍국균 발효물 또는 홍삼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20120139563A 2012-12-04 2012-12-04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20140072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563A KR20140072421A (ko) 2012-12-04 2012-12-04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563A KR20140072421A (ko) 2012-12-04 2012-12-04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421A true KR20140072421A (ko) 2014-06-13

Family

ID=5112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563A KR20140072421A (ko) 2012-12-04 2012-12-04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24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0792A1 (de) 2014-06-13 2015-12-17 Hyundai Motor Company Steuerknopf für eine elektrische 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KR20180084201A (ko)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더큰프라임 약용작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24178B1 (ko) * 2020-07-24 2021-03-08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 열매 또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력개선용 조성물
KR20230011620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고상발효 앉은뱅이밀 누룩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0792A1 (de) 2014-06-13 2015-12-17 Hyundai Motor Company Steuerknopf für eine elektrische 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KR20180084201A (ko)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더큰프라임 약용작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224178B1 (ko) * 2020-07-24 2021-03-08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 열매 또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력개선용 조성물
WO2022019424A1 (ko) * 2020-07-24 2022-01-27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 열매 또는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능력 또는 기억력개선용 조성물
KR20230011620A (ko) 2021-07-14 2023-01-25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고상발효 앉은뱅이밀 누룩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31436B (zh) 一种黑老虎醋酸饮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141732A (zh) 一种利用益生菌进行松花粉发酵的新工艺
KR20170074821A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20160058389A (ko) 항산화 물질이 증가된 유산균 배양 생성물의 제조 공법 및 이를 조성으로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화장품 및 식음료 조성물
KR20160130651A (ko) 아로니아와 오디를 이용한 항당뇨 및 시력 개선용 조성물
KR20140072421A (ko)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1368293B1 (ko) 참다래 과실 발효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및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1962570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기능성이 향상된 아로니아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0779B1 (ko) 홍삼농축분말 및 복분자완숙과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물
KR20100137242A (ko) 락토바실러스 속의 젖산균으로 발효된 버섯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126591A (ko) 인삼류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류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367961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JP2019103460A (ja) 乳酸菌、乳酸菌発酵食品及び血圧調整剤
KR101462160B1 (ko) 감귤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1943959B1 (ko) 대잎 발효물의 제조 방법
TWM590969U (zh) 具有仿生物間質系統的芸香科植物發酵液微粒結構
KR101999374B1 (ko) 감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083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케피어 그레인 배지 조성물 및 그 배지 조성물에 의한 발효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72616B1 (ko) 산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1890485B1 (ko) 죽순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24392B1 (ko) 요구르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얻어진 요구르트
KR20170077640A (ko) 홍삼 분말 등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 및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KR20150140194A (ko) 경단구슬모자반 분말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1696342B1 (ko) 항당뇨 조성물
KR101416174B1 (ko) 항암 효과를 가지는 포도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