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587A - 안전캡 - Google Patents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587A
KR20140071587A KR1020120139305A KR20120139305A KR20140071587A KR 20140071587 A KR20140071587 A KR 20140071587A KR 1020120139305 A KR1020120139305 A KR 1020120139305A KR 20120139305 A KR20120139305 A KR 20120139305A KR 20140071587 A KR20140071587 A KR 20140071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d
present
pressed
safet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987B1 (ko
Inventor
손수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2013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9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7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5/00Child-proof means
    • B65D2215/02Child-proof mea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은, 외캡의 측면 가압을 통해 내캡의 지지돌기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덮개부의 걸림돌기와 결합이 해체될 경우에만 덮개부를 회동하여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지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에 의해 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캡의 개방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전캡{A Safety Cap}
본 발명은 안전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캡의 측면 가압을 통해 내캡의 지지돌기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덮개부의 걸림돌기와 결합이 해체될 경우에만 덮개부를 회동하여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지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에 의해 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캡의 개방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와 함께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캡을 개폐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플립-탑 방식의 원터치캡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원터치캡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는데, 덮개부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캡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에 의해 캡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유출됨으로써 불필요한 내용물의 낭비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특히, 용기본체에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을 경우,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어린이가 내용물을 복용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어린이가 쉽게 캡을 개방하지 못하도록 다양한 안전캡의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캡은 캡의 개방이 용이한 플립-탑 방식이 아닌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캡을 개방함에 있어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사용자에게도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안전캡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캡의 개방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캡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캡의 측면 가압을 통해 내캡의 지지돌기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덮개부의 걸림돌기와 결합이 해체될 경우에만 덮개부를 회동하여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지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에 의해 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캡의 개방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캡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의 배출부를 개폐시키는 안전캡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단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가압시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부 일부가 절개되는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내캡; 상기 내캡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따라 상기 절개부를 가압하여 절개부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되, 상기 외캡의 가압에 따른 내캡의 절개부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절개부 외주면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개방을 방지하는 지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외캡의 가압에 따른 내캡의 절개부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에 지지돌기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캡의 양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부분을 식별하도록 가압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캡의 측면 가압을 통해 내캡의 지지돌기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덮개부의 걸림돌기와 결합이 해체될 경우에만 덮개부를 회동하여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지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에 의해 캡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캡의 개방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개방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다양한 용기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의 배출부(11)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내캡(100), 외캡(200), 덮개부(300)가 포함된다.
상기 내캡(100)은 용기본체(10)의 배출부(11)를 감싸며 결합되며, 그 상단에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11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내측에는 배출부(11)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결합부(140)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40)는 스냅온 결합 구조 또는 풀림방지용 나사결합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캡(100)의 양측면에는 외부 압력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부 일부가 절개되는 한 쌍의 절개부(120,12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한 쌍의 절개부(120,120') 외주면 상부에는 덮개부(300)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덮개부(300)의 걸림돌기(320,32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21,121')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돌기(121,121')는 평상시에는 걸림돌기(320,320')와 결합되어 걸림돌기(320,320')를 지지함으로써, 덮개부(300)가 상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차단하다가 사용자가 외캡(200)의 가압표시부(220,220')를 가압하여 절개부(120,120')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걸림돌기(320,320')로부터 이탈되며 걸림돌기(320,320')와의 결합이 해제되며 덮개부(300)의 상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내캡(100)에는 외캡(200)의 결합돌기(210)와 결합되어 외캡(2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주면 하부를 둘러싸며 고정돌기(130)가 형성된다.
상기 외캡(200)은 상기 내캡(100)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캡(200)은 사용자 가압에 따라 상기 절개부(120,120')를 가압하여 절개부(120,120')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캡(200)의 양 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부분을 식별하도록 가압표시부(220,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외캡(200)은 사용자가 가압표시부(220,220')를 가압시에 절개부(120,120')로 그 압력이 항상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캡(100)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캡(100)과 외캡(200)의 회전방지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외캡(200)의 내주면 하부에는 상기 고정돌기(130)에 결합되어 외캡(20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300)는 상기 외캡(20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홀(110)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그 내측에 상기 배출홀(110)을 개폐하는 배출홀개폐봉(3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0)는 상기 외캡(200)의 가압에 따른 내캡(100)의 절개부(120,120')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덮개부(300)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지지돌기(121,121')에 결합되는 걸림돌기(320,320')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돌기(320,320')는 평상시에는 지지돌기(121,121')와 결합되어 덮개부(300)가 상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외캡(200)의 가압에 따른 내캡(100)의 절개부(120,120')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에 지지돌기(121,121')로부터 이탈되며 덮개부(300)의 상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개방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의 개방과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은, 평상시에는 덮개부(300)의 걸림돌기(320,320')가 내캡(100)의 지지돌기(121,121')에 결합되어 덮개부(300)의 상방향 회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상태에서 덮개부(30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먼저, 외캡(2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압표시부(220,220')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가압표시부(220,220')를 가압하게 되면, 그 내측에 위치하는 절개부(120,120')에 압력이 전달되며, 이로 인하여, 절개부(120,120')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절개부(120,120')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절개부(120,120')의 외주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기(121,121')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지지돌기(121,121')로부터 걸림돌기(320,320')의 이탈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걸림돌기(320,320')가 지지돌기(121,121')로부터 이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덮개부(300)를 파지하여 상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덮개부(30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간단하게 개방이 가능한 플립-탑 방식의 원터치캡 구조에 있어서, 캡몸체를 내캡(100)과 외캡(200)으로 구성하고, 내캡(100)과 덮개부(300)에 각각 상호 결합되는 지지돌기(121,121') 및 걸림돌기(320,320')를 형성하여 외캡(200)의 가압표시부(220,220')를 가압시에 지지돌기(121,121')와 걸림돌기(320,320')의 결합이 해제되며 덮개부(300)가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함께 안전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캡이 오일용기, 튜브용기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안전캡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다양한 용기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7에 도시된 안전캡을 이루는 각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용기본체 11: 배출부
100: 내캡 110: 배출홀
120,120': 절개부 121,121': 지지돌기
130: 고정돌기 140: 결합부
200: 외캡 210: 결합돌기
220,220': 가압표시부 300: 덮개부
310: 배출홀개폐봉 320,320': 걸림돌기

Claims (4)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의 배출부를 개폐시키는 안전캡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단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홀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가압시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부 일부가 절개되는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내캡;
    상기 내캡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되어 사용자 가압에 따라 상기 절개부를 가압하여 절개부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캡; 및
    상기 외캡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폐하되, 상기 외캡의 가압에 따른 내캡의 절개부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에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절개부 외주면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의 개방을 방지하는 지지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외캡의 가압에 따른 내캡의 절개부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에 지지돌기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캡의 양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는 부분을 식별하도록 가압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캡.
KR1020120139305A 2012-12-04 2012-12-04 안전캡 KR101446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305A KR101446987B1 (ko) 2012-12-04 2012-12-04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305A KR101446987B1 (ko) 2012-12-04 2012-12-04 안전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587A true KR20140071587A (ko) 2014-06-12
KR101446987B1 KR101446987B1 (ko) 2014-10-07

Family

ID=5112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305A KR101446987B1 (ko) 2012-12-04 2012-12-04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9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604A (ko) 2017-11-24 2019-06-03 김지훈 정량 배출용 약통
KR102558379B1 (ko) * 2022-02-15 2023-07-24 주식회사 피앤지시스템 다양한 형태의 토출구가 구비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307U (ko) *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604A (ko) 2017-11-24 2019-06-03 김지훈 정량 배출용 약통
KR102558379B1 (ko) * 2022-02-15 2023-07-24 주식회사 피앤지시스템 다양한 형태의 토출구가 구비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987B1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JP2009046201A (ja) 流動食品の密封パッケージ用の閉栓可能な開口装置
KR101202811B1 (ko) 용기마개
JP2009509884A (ja) 閉止装置
JPH0236469B2 (ko)
JP2020109017A (ja) 容器用キャップ
JP2013539443A (ja) クロージャデバイス
KR101446987B1 (ko) 안전캡
KR101465886B1 (ko) 자동충전 스포이드형 용기캡
JP5172143B2 (ja) 密閉キャップ
JP2015105132A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14043258A (ja) 二物質混合用容器
EP2913278B1 (en) Capped spout
JP4980022B2 (ja) 密閉キャップ
JP2018193088A (ja) キャップ
WO2012090486A1 (ja) 複式容器
JP5294722B2 (ja) 容器
JP5439274B2 (ja) 混合容器
JP2020083451A (ja) 混合容器
ITMI20000743A1 (it) Coperchio con beccuccio erogatore particolarmente studiato per barattoli di vernice e simili
KR20100004811U (ko) 실링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5384000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JP4593237B2 (ja) 二種内容物混合容器
JP4684611B2 (ja) 二種内容物混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