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524A -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524A
KR20140069524A KR1020120136870A KR20120136870A KR20140069524A KR 20140069524 A KR20140069524 A KR 20140069524A KR 1020120136870 A KR1020120136870 A KR 1020120136870A KR 20120136870 A KR20120136870 A KR 20120136870A KR 20140069524 A KR20140069524 A KR 20140069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ilter
air
doo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740B1 (ko
Inventor
박찬명
Original Assignee
박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명 filed Critical 박찬명
Priority to KR102012013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7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19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lowering or raising the frying bas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에 대한 것으로서, 하부영역에 기름수용조가 형성되며 필터도어와 튀김기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결합되어 튀김바구니를 상기 기름수용조 내부로 승강시키는 튀김바구니승강부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기름냄새를 걸러주는 냄새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필터부는,상기 케이싱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상부 일측면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필터케이싱과;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결합되며 숯을 수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숯필터를 포함하며,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기름수용조의 둘레를 감싸도록 단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부재는,부직포, 면 및 종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부재를 특수물질로 코팅한 후 건조한 것이며, 상기 특수물질은, 겔실리카, 침강성 실리카, 흄드실리카, 에어로겔실리카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10 내지 40 중량부와, 소디움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및 콜로이달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 9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AUTO FRIER HAVING AN ENHANCED INSULATION FUCTION}
본 발명은 자동 튀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튀김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성분과 기름성분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가열된 열량에 대한 단열효과가 향상된 자동 튀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요리는 바삭바삭하면서 지방 특유의 고소한 맛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음식이다.
이러한 튀김요리는 고온의 기름을 이용하게 되므로 가정에서 대량으로 조리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식당과 같은 튀김요리 전문점에서는 튀김요리를 위해 자동튀김기가 이용되고 있다.
자동튀김기는 등록실용 20-0391045호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자동튀김기는 튀김요리를 할 때 180℃ 이상의 고온으로 기름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기름냄새, 튀김재료가 탄화되면서 발생되는 재료 특유의 냄새, 그리고 유해 가스 등이 발생되게 된다. 종래 자동튀김기는 이러한 각종 냄새와 유해 가스를 덕트를 이용해 실외로 배기하였다.
그런데, 종래 자동튀김기는 덕트와 같은 냄새 배기 장치가 실내에 모두 노출되어 있어 각종 냄새와 유해 가스의 일부만 외부로 배기되고 나머지는 실내로 확산되어 냄새 제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 자동튀김기는 가열된 기름에 대한 열량이 케이스에 쉽게 전달되어 외부공기로 단시간에 빠져나가기 때문에, 조금만 쉬었다가 튀김기를 가동하더라도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이고 전기료가 많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기름성분과 각종 냄새를 걸러낸 후 외부로 방출하여 실내는 물론이고 실외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단열효과가 향상된 자동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된 구조로 형성되어 고온의 기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방하고, 튀김재료가 담긴 튀김바구니를 자동으로 기름 내부로 승강시킬 수 있는 자동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된 내부로 외기를 효율적으로 공급 및 배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자동 튀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튀김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튀김기는, 하부영역에 기름수용조가 형성되며 필터도어와 튀김기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결합되어 튀김바구니를 상기 기름수용조 내부로 승강시키는 튀김바구니승강부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기름냄새를 걸러주는 냄새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필터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상부 일측면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필터케이싱과;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결합되며 숯을 수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숯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기름수용조의 둘레를 감싸도록 단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부재는,부직포, 면 및 종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부재를 특수물질로 코팅한 후 건조한 것이며, 상기 특수물질은 겔실리카, 침강성 실리카, 흄드실리카, 에어로겔실리카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10 내지 40 중량부와, 소디움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및 콜로이달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 9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튀김바구니승강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결합되며, 구동원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플라이휠과; 튀김바구니가 결합되는 바구니지지프레임과; 일단부는 상기 플라이휠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구니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플라이휠의 정역회전시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바구니지지프레임이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와이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튀김기도어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며 내부에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전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도어공기유입구와; 상기 도어본체의 배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을 경유한 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도어공기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는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기름필터부를 경유하며 2차례에 걸쳐서 기름성분이 제거되고, 냄새필터부를 경유하며 숯의 강력한 흡착력으로 냄새성분이 제거되게 될 뿐만 아니라 케이싱 내부에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특수물질로 코팅된 부직포등의 단열부재가 설치되어 있어서 기름에 가해진 열량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오랫동안 보온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로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기되게 되어 실내 공기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환경 오염도 방지할 수 있고, 튀김기의 사용을 간헐적으로 하더라도 빠른시간에 적은 열량의 공급으로 튀김용 기름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는 지지와이어의 승강에 연동하여 튀김바구니가 자동으로 승강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개입없이 튀김요리의 전 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안전하고 깨끗하게 튀김요리를 즐길 수 있다.
특히, 외부케이싱과 내부케이싱에 의해 밀페된 구조를 유지하게 되므로 기름의 외부 노출이 없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는 튀김기도어에 공기유입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공기는 유입되고 오염된 내부 공기는 외부로 배기 되지 않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단열부재가 설치된 본 발명에 다른 자동 튀김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의 튀김바구니승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의 필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10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단열부재가 포함된 자동 튀김기(100)의 필터도어(115)와 튀김기도어(117)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100)는 기름수용조(112a)가 형성되는 밀폐구조의 케이싱부(110)와, 튀김재료가 수용되는 튀김바구니(130)와, 튀김바구니(130)를 기름수용조(112a) 내부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튀김바구니승강부(140)와, 기름수용조(112a)에서 발생된 공기 중의 기름성분을 걸러주는 기름필터부(150)와, 기름필터부(150)를 경유한 공기 중의 냄새성분을 걸러주는 냄새필터부(160)를 포함한다.
케이싱부(110)는 내부에 수용된 기름(O)과, 기름(O)에서 발생된 유해한 공기 및 냄새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케이싱부(110)는 밀폐된 구조를 갖는다.
케이싱부(110)는 함체 형상의 외부케이싱(111)과, 외부케이싱(111)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하부에 기름수용조(112a)가 형성되는 내부케이싱(112)과, 외부케이싱(111)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도어(115)와, 필터도어(115)의 하부영역에 외부케이싱(111)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튀김기도어(117)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싱(111)은 전면에 필터도어(115)가 결합되는 필터도어결합공(111a)과, 튀김기도어(117)가 결합되는 튀김기도어결합공(111b)이 형성된다. 필터도어결합공(111a)과 튀김기도어결합공(111b)의 일측에는 현재 자동 튀김기(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118)이 구비된다. 표시창(118)의 아래에는 전원버튼(118a)와, 비상정지버튼(118b)이 구비된다.
내부케이싱(112)은 외부케이싱(111)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내부케이싱(112)과 외부케이싱(111)의 이격공간에는 공기가 유동하게 되므로 기름수용조(112a)의 뜨거운 열기가 외부케이싱(111)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케이싱(112)은 외부케이싱(11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외부케이싱(111)과 내부케이싱(112)은 위생에 유리한 서스(SUS)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케이싱(112)과 외부케이싱(111) 사이의 측면 공간에는 전자적인 제어기기들을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고, 배면 공간에는 튀김바구니승강부(14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149)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팬(미도시)이 구비된다.
내부케이싱(112)의 하부영역에는 경사지게 함몰 형성된 기름수용조(112a)가 형성되고, 기름수용조(112a)의 하부영역에는 폐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112b)와 드레인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기름수용조(112a)의 내부에는 기름을 가열하는 히터(112c)가 구비된다.히터(112c)는 전원버튼(118a)의 동작상태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구동된다.
내부케이싱(112)과 외부케이싱(111) 사이에는 기름수용조(112a) 둘레를 감쌀있도록 측면 4개의 면의 내부케이싱과 외부케이싱 사이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단열부재(601,602,603,604)와 하면에 설치된 제 5 단열부재(605)로 구성되어 총 5개의 면을 둘러싸는 단열부재들이 설치된다.
상기 단열부재들은,부직포, 면, 종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부재를 특수물질로 코팅한 후 건조되는데, 특수물질은, 겔실리카, 침강성 실리카, 흄드실리카, 에어로겔실리카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10 내지 40 중량부와, 소디움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및 콜로이달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 9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 물질이다.
겔실리카, 침강성 실리카, 흄드실리카, 에어로겔실리카 및 제올라이트이 부직포, 면, 종이등의 표면에 첨착되면 열전달율이 상당히 낮아지며, 소디움실리케이트, 포타슘실리케이트 및 콜로이달실리카는 바인드로서 겔실리카, 침강성 실리카, 흄드실리카, 에어로겔실리카 및 제올라이트 물질이 부직포, 종이, 면 등의 표면에 잘 첨착되고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겔실리카 40 중량부와 소디움실리케이트 60 중량부를 혼합한 퍼티상태의 특수물질을 만든 다음, 부직포, 면 및 종이 중의 어느 하나를 상기 특수물질에 침지시킨다. 침지시간은 5-10분 정도면 충분하고 침지후 이를 꺼내어 상온에서는 2 -3시간 건조한다. 마이크로웨이브 건조를 할 수 있으며 이때는 5-7분 건조하면 된다.
단열부재로서 일반 부직포와 본 발명과 같이 특수물질로 코팅된 단열처리 부직포의 내열성과 단열성에 대한 실험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일반부직포 단열처리부직표
내열성(온도) 80℃ 500℃
단열성(R값_두께 1인치 기준, 값이클수록 단열성능높음) 0.1 3.5
즉, 일반부직포의 경우 80℃ 온도까지만 열을 견디지만, 본 발명의 단열처리 부직포의 경우 500℃ 즉 500℃까지 견디고, 단열성 테스트에서도 두께 1인치 기준으로 했을 때 일반부직포는 R값이 0.1이지만, 단열부직포의 경우는 3.5 의 값을 가져 높은 단열성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
참고적으로 유리의 경우 R값은 1.88이고, 알루미늄은 0.0032이며, 철판은 0.1117, 콘크리트는 0.2, 목재는 1.25이기 때문에, 값이 높은 유리 보다도 단열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기름수용조(112a)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온도감지센서(미도시)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히터(112c)의 구동여부를 제어한다.
내부케이싱(112)의 상부영역에는 내부케이싱(112) 내부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필터지지프레임(113)이 구비된다. 필터지지프레임(113)은 횡방향으로 내부케이싱(112)에 결합된다. 필터지지프레임(113)의 판면에는 냄새필터부(160)가 결합되는 필터결합공(113a)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내부케이싱(112)의 측벽에는 냄새필터부(160)를 경유한 공기를 배기케이싱(120)으로 배기하는 내부공기배출구(114)가 관통 형성된다. 내부공기배출구(114)는 냄새필터부(160)의 상부필터케이싱(161)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63)와 형합된다.
필터도어(115)는 냄새필터부(160)의 위치에 대응되게 외부케이싱(111)에 결합된다. 필터도어(115)는 외부케이싱(111)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냄새필터부(160)를 청소하거나 교환할 수 있게 한다.
튀김기도어(117)는 필터도어(115)의 하부에 구비된다. 튀김기도어(117)는 외부케이싱(111)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튀김바구니(130)를 내부케이싱(112) 내부로 삽입하거나 튀김요리가 완료된 튀김바구니(130)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도어(115)와 튀김기도어(117)는 외부케이싱(111)에 자력에 의해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튀김기도어(117)는 내부케이싱(112)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튀김기도어(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도어공기유입구(117a)이 복수개 형성되고, 배면에는 공기를 내부케이싱(112)으로 공급하는 도어공기배출구(117c)이 형성된다.
도어공기유입구(117a)을 통해 튀김기도어(117) 내부로 이동된 공기는 공기유동공간(117b)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 후 도어공기배출구(117c)을 통해 내부케이싱(112)으로 공급된다. 이 때, 도어공기유입구(117a)은 튀김기도어(117)의 전면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도어공기배출구(117c)는 배면의 하부영역에 형성된다. 이에 의해 외부공기는 튀김기도어(117)를 통해 내부로 공급될 수 있으나, 내부케이싱(112) 내부의 공기는 튀김기도어(1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외부케이싱(111)의 측면에는 케이싱부(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케이싱(120)이 구비된다. 배기케이싱(120)은 기름필터부(150)와 냄새필터부(160)를 경유하여 정화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서는 별도의 배기케이싱(120)을 통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외부케이싱(111)에 배기구가 직접 관통형성되어 외기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튀김바구니(130)는 내부에 튀김재료를 수용한다. 튀김바구니(130)는 튀김재료가 수용되는 바구니본체(131)와, 바구니본체(131)의 선단에 절곡 형성되어 바구니지지프레임(141)에 고정되는 고정고리(133)와, 바구니본체(131)의 후단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135)를 포함한다.
고정고리(133)는 바구니본체(131)로부터 하부영역으로 일정 길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의 고리결합공(141a)에 삽입고정된다.
도 4는 튀김바구니승강부(14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튀김바구니승강부(140)는 튀김기도어(117)를 통해 공급된 튀김바구니(130)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튀김바구니승강부(140)는 튀김바구니(130)가 튀김기도어(117)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위치와, 대기위치로부터 하강되어 튀김바구니(130)가 기름 내부에 잠기는 튀김위치(도 5의 위치) 간을 상하로 승강시킨다.
튀김바구니승강부(140)는 튀김바구니(130)가 결합되는 바구니지지프레임(141)과, 내부케이싱(112)의 내측벽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라이휠(143)과, 일단부는 바구니지지프레임(14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플라이휠(143)에 결합되어 플라이휠(143)과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을 연결하는 지지와이어(145)와,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이 안정적으로 상하로 승강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된 승강안내축(147)과, 플라이휠(143)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149)를 포함한다.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은 일정 두께를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구니지지프레임의 전면에는 튀김바구니(130)의 고정고리(133)가 삽입되는 고리결합공(141a)이 형성된다.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의 상부영역에는 지지와이어(145)가 고정되어 지지와이어(145)의 길이 변화에 따라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이 상하로 승강된다.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의 배면에는 승강안내축(147)이 나란하게 구비된다. 승강안내축(147)은 대기위치와 튀김위치 간의 길이에 대응되게 수직하게 연장형성되어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을 지지한다.
플라이휠(143)은 내부케이싱(112)의 벽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플라이휠(143)은 회전축(143a)이 내부케이싱(112)을 관통하여 구동모터(149)의 구동축과 연결된다. 구동모터(149)의 정역회전에 연동하여 플라이휠(143)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플라이휠(143)의 외주연으로 지지와이어(145)가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지지와이어(145)는 일단부는 플라이휠(14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바구니지지프레임(141)에 고정된다. 지지와이어(145)는 플라이휠(143)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길이가 가변된다. 지지와이어(145)의 길이변화에 대응하여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이 승강되게 된다.
도 5는 기름필터부(150)와 냄새필터부(160)의 결합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기름필터부(150)는 내부케이싱(112)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걸러낸다. 기름필터부(150)는 냄새필터부(160)의 하부영역에 결합된다.
기름필터부(150)는 물리적인 구조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기름성분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기름필터본체(151)와, 불규칙한 미세 망상 구조에 의해 기름성분을 흡착하여 2차적으로 걸러내는 부직포필터(155)와, 부직포필터(155)를 기름필터본체(151)에 지지하는 필터지지판(157)을 포함한다.
기름필터본체(151)는 평판 형태로 구비되며, 하부방향으로 "ㄴ"자 형태로 절곡 돌출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동로를 형성하는 절곡안내면(153)이 구비된다.
기름필터본체(151)는 냄새필터부(160)의 크기에 대응하는 판상 재질로 구비된다. 기름필터본체(151)는 테두리영역이 냄새필터부(160)이 하부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절곡안내면(153)은 일측면에 공기흡입구(153a)가 개방 형성된다. 절곡안내면(153)의 절곡형상에 의해 공기흡입구(153a)를 통해 수평하게 유입된 공기(M)는 유입된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절곡면(153b)에 부딪치게 된다. 이렇게 공기(M)가 절곡면(153b)에 물리적으로 부딪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탈락되며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기름성분이 1차적으로 걸러진 공기(M)는 상부방향으로 이동방향이 변경된 상태로 부직포필터(155)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절곡안내면(153)은 공기흡입구(153a)의 방향이 가운데 영역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부직포필터(155)는 직조되지 않고 불규칙한 방향으로 섬유가 결합된 재질 특성상 공기 중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미세 구멍을 통과하며 흡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 중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부직포필터(155)는 한 겹으로 형성되거나, 복수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지지판(157)은 기름필터본체(151) 상에 적재되며 상면에 부직포필터(155)가 안착된다. 필터지지판(157)은 기름필터본체(151)와 부직포필터(155)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공기가 이동하며 기름성분이 제거되도록 한다. 필터지지판(157)은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망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냄새필터부(160)는 기름필터부(150)를 경유한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숯을 이용해 걸러낸다. 냄새필터부(160)는 필터지지프레임(113)에 결합되는 상부필터케이싱(161)과, 하부필터케이싱(163) 및 숯을 수용하는 숯필터(165)를 포함한다. 상부필터케이싱(161)과 하부필터케이싱(163)은 서로 체결부재(161b,163a)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필터케이싱(161)은 측면에 일정 길이 연장형성된 내부케이싱결합부(162)가 구비되다. 내부케이싱결합부(162)는 내부케이싱(112)의 내측벽면에 형성된 내부공기배출구(114)에 결합된다. 내부케이싱결합부(162)는 가스켓 형태로 테두리영역이 일정면적 넓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배기되는 필터공기배출공(162a)이 구비된다.
상부필터케이싱(161)은 상면은 밀폐되고 하부는 개방형성된다. 하부필터케이싱(163)은 상면이 개방형성되어 상부필터케이싱(161)의 하부에 결합되고, 바닥면에는 공기유입공(163b)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숯필터(165)는 내부에 숯이 수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필터케이싱(163) 내부에 수용된다. 숯필터(165)는 부직포로 형성된 필터박스 내부에 숯이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공기유입공(163b)을 통해 기름필터부(150)를 경유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고 부직포와 숯과 접촉되며 공기 내부에 포함된 냄새성분이 제거된다.
숯은 표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가 이를 경유하며 냄새 성분이 흡착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100)의 사용방법과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냄새필터부(160)의 상부필터케이싱(161)과 하부필터케이싱(163)을 분리하고 내부에 숯필터(165)를 삽입한다. 숯필터(165)가 삽입되면 상부필터케이싱(161)과 하부필터케이싱(163)을 조립한다.
그리고, 기름필터부(150)를 하부필터케이싱(163)의 개방된 하부영역에 결합시킨다. 기름필터본체(151)의 테두리영역을 하부필터케이싱(163)의 하부영역 내측에 결합시켜 기름필터부(150)를 냄새필터부(160)에 고정시킨다.
외부케이싱(111)의 필터도어(115)를 개방하고 필터지지프레임(113)에 냄새필터부(160)를 장착한다. 필터지지프레임(113)에 형성된 필터결합공(113a)은 하부필터케이싱(163)의 크기와 대응되므로 하부필터케이싱(163)을 필터결합공(113a)에 형합시킨다.
냄새필터부(160)와 기름필터부(150)의 조립이 완료되면 필터도어(115)를 닫고 튀김기도어(117)를 개방한다. 튀김기도어(117)를 개방하고 기름수용조(112a)에 기름을 공급한다.
사용자는 튀김바구니(130)에 튀김재료를 수용하고 튀김기도어(117)를 개방하여 튀김바구니(130)를 바구니지지프레임(141)에 고정시킨다. 튀김바구니(130)의 고정고리(133)를 바구니지지프레임(141) 전면의 고리결합공(141a)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전원버튼(118a)를 가압하면 제어부(미도시)는 히터(112c)가 기름을 가열하도록 한다. 튀김재료에 적절한 희망온도로 기름이 가열되면 제어부(미도시)는 구동모터(149)를 정방향 구동하여 튀김바구니(130)가 기름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다.
구동모터(149)가 구동되면서 플라이휠(143)이 회전되고 지지와이어(145)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이 승강안내축(147)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튀김바구니(130)가 기름에 잠기면서 튀김요리가 진행된다.
튀김재료에 대응되는 튀김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49)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지지와이어(145)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바구니지지프레임(141)이 상승하고 대기위치로 이동한다.
대기위치에서 일정 시간 머물면서 튀김에 포함된 기름이 분리되면 알림음을 알리거나 알림메시지를 표시창(118)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튀김이 완료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 때, 튀김기도어(117)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내부케이싱(112) 내부로 유입되면서 튀김시에 발생된 냄새와 기름을 함유하게 된다. 오염된 내부 공기는 온도가 뜨거워지므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기름필터부(150)로 유입된다.
기름필터본체(151)의 판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절곡안내면(153)의 공기흡입구(153a)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고, 절곡안내면(153)의 절곡면(153b)에 접촉되면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기름성분이 탈락되며 1차적으로 제거된다.
상부방향으로 이동된 오염된 공기는 부직포필터(155)를 경유하며 내부에 포함된 기름성분이 부직포에 흡착되면서 2차적으로 제거된다.
기름성분이 제거된 오염된 공기는 상부로 이동되며 냄새필터부(160)로 공급된다. 냄새필터부(160)의 숯필터(165)와 접촉되며 공기 중에 함유된 냄새성분이 숯과 부직포에 흡착되며 제거된다. 이렇게 냄새성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부필터케이싱(161)의 필터공기배출공(162a)을 통해 내부공기배출구(114)로 이동되고, 배기케이싱(12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는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기름필터부를 경유하며 2차례에 걸쳐서 기름성분이 제거되고, 냄새필터부를 경유하며 숯의 강력한 흡착력으로 냄새성분이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기되게 된다. 이에 자동튀김기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 공기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환경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는 지지와이어의 승강에 연동하여 튀김바구니가 자동으로 승강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개입없이 튀김요리가 진행되게 된다.
특히, 외부케이싱과 내부케이싱에 의해 밀페된 구조를 유지하게 되므로 기름의 외부 노출이 없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튀김기는 튀김기도어에 공기유입구조를 형성하여 외부 공기는 유입되고 오염된 내부 공기는 외부로 배기 되지 않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자동 튀김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자동 튀김기 110 : 케이싱부
111 : 외부케이싱 111a : 필터도어결합공
111b : 튀김기도어결합공 111c : 외부공기배출구
112 : 내부케이싱 112a : 기름수용조
112b: 드레인밸브 112c: 히터
113 : 필터지지프레임 113a : 필터결합공
114 : 내부공기배출구 115 : 필터도어
117 : 튀김기도어 117a : 도어공기유입공
117b : 도어공기유동공간 117c : 도어공기배출구
118 : LCD 창 118a : 전원버튼
118b : 비상정지버튼 120 : 배기케이싱
130 : 튀김바구니 131 : 바구니본체
133 : 고정고리 135 : 손잡이
140 : 튀김바구니승강부 141 : 바구니지지프레임
141a : 고리결합공 143 : 플라이휠
145 : 지지와이어 147 : 승강안내축
149 : 구동모터 150 : 기름필터부
151 : 기름필터본체 153 : 절곡안내면
153a : 공기흡입구 153b : 절곡면
155 : 부직포필터 157 : 필터지지판
160 : 냄새필터부 161 : 상부필터케이싱 162 : 내부케이싱결합부 162a : 필터공기배출공
163 : 하부필터케이싱 163a : 체결부재
163b : 필터공기유입공 165 : 숯필터
601 - 605: 단열부재

Claims (3)

  1. 자동 튀김기에 있어서,
    하부영역에 기름수용조가 형성되며 필터도어와 튀김기도어가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결합되어 튀김바구니를 상기 기름수용조 내부로 승강시키는 튀김바구니승강부와;
    상기 케이싱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내부에서 발생된 기름냄새를 걸러주는 냄새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냄새필터부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상부 일측면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필터케이싱과;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결합되며 숯을 수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숯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기름수용조의 둘레를 감싸도록 단열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단열부재는,부직포, 면 및 종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부재를 특수물질로 코팅한 후 건조한 것이며,
    상기 특수물질은, 겔실리카(silica gel), 침강성 실리카(silica), 흄드실리카(fumed silica), 에어로겔실리카(aerogel silica) 및 제올라이트(zeloit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10 내지 40 중량부와, 소디움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포타슘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 및 콜로이달실리카(colloidal silica)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 90 내지 60 중량부가 혼합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바구니승강부는,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결합되며, 구동원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플라이휠과;
    튀김바구니가 결합되는 바구니지지프레임과;
    일단부는 상기 플라이휠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구니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플라이휠의 정역회전시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바구니지지프레임이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기도어는,
    상기 케이싱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며 내부에 공기유동공간이 형성되는 도어본체와;
    상기 도어본체의 전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도어공기유입구와;
    상기 도어본체의 배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공기유동공간을 경유한 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도어공기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튀김기.
KR1020120136870A 2012-11-29 2012-11-29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 KR10143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70A KR101437740B1 (ko) 2012-11-29 2012-11-29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870A KR101437740B1 (ko) 2012-11-29 2012-11-29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524A true KR20140069524A (ko) 2014-06-10
KR101437740B1 KR101437740B1 (ko) 2014-09-03

Family

ID=5112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870A KR101437740B1 (ko) 2012-11-29 2012-11-29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7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876B1 (ko) 2015-10-07 2016-02-22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장치
CN112352804A (zh) * 2020-10-27 2021-02-12 塔里木大学 一种节能环保型花生油炸加工装置
KR20210050075A (ko) * 2019-10-28 2021-05-07 조선훈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 연기 및 유해 물질 차단 시스템
KR20220078981A (ko) * 2020-12-04 2022-06-13 미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튀김 열효율을 향상시킨 전기 튀김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378A (ko) * 2005-10-27 2005-11-11 정원진 유지의 산화방지와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튀김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876B1 (ko) 2015-10-07 2016-02-22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장치
KR20210050075A (ko) * 2019-10-28 2021-05-07 조선훈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 연기 및 유해 물질 차단 시스템
CN112352804A (zh) * 2020-10-27 2021-02-12 塔里木大学 一种节能环保型花生油炸加工装置
KR20220078981A (ko) * 2020-12-04 2022-06-13 미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튀김 열효율을 향상시킨 전기 튀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740B1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439Y1 (ko) 자동 튀김기
KR200473034Y1 (ko) 튀김기의 승강유닛
WO2016052843A1 (ko) 급배기 겸용 인덕션 환기시스템
WO2011047601A1 (zh) 烹饪装置
KR101437740B1 (ko) 단열기능이 향상된 자동 튀김기
JP5827197B2 (ja) 加熱調理器
KR200394656Y1 (ko) 휴대용 집진장치
KR200473030Y1 (ko) 자동 튀김기용 필터장치
CN108523692B (zh) 一种带净味功能的电烤箱
KR20100009984U (ko) 휴대용 제연장치
KR100946802B1 (ko) 렌지후드 조립체
KR20220135461A (ko) 자동 튀김 장치
JP6214739B2 (ja) 加熱調理器
JP2004290379A (ja) 煙循環式焼肉器
EP2110611A2 (en) househol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suspended unit
JP2002045240A (ja) 可搬式テーブル
JP3204529U (ja) 調理テーブルの排煙装置
JP2013257119A (ja) 加熱調理器
JP6198888B2 (ja) 加熱調理器
KR101530762B1 (ko) 항균기능과 탈취기능이 향상된 요리기기용 필터장치
KR20170022606A (ko) 자동튀김기
JP6002305B2 (ja) 加熱調理器
CN213909854U (zh) 一种烘烤装置
CN204240449U (zh) 一种可移动的小型吸油烟机
CN211582043U (zh) 餐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