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019A -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019A
KR20140069019A KR1020147007755A KR20147007755A KR20140069019A KR 20140069019 A KR20140069019 A KR 20140069019A KR 1020147007755 A KR1020147007755 A KR 1020147007755A KR 20147007755 A KR20147007755 A KR 20147007755A KR 20140069019 A KR20140069019 A KR 20140069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mulsifier
phosphate ester
resveratrol
ester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717B1 (ko
Inventor
캔디아 후아나 루시아 플로레스
카리나 헤커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6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9Solubiliser, Solubilis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 및 임의적으로 공-유화제로 구성된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및 물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성물{NOVEL COMPOSITIONS}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 및 임의적으로 공(co)-유화제로 구성된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및 물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관리(skin care) 시장은, 소비자들이 균일하고 더 밝은 피부색을 얻는데 대한 강한 관심을 표명함에 따라 향상된 피부 미백(whitening) 특성을 갖는 화장품용 조성물을 위해 발전하고 있다. 일광성 흑점, 염증후 과색소침착 및 기미는 인구에 널리 분포된 피부 질환이다. 더욱이, 피부 라이트닝(lightening) 시장은 가장 큰 성장을 보이는 화장품 시장 분야중 하나로서, 아시아 시장의 팽창, 뿐만 아니라 특정 소비자 계층(즉, 남성 관리)에 대한 피부 미백 제품의 팽창에 의해 크게 주도된다.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상이한 제품들이 시판되지만[예를 들어 아스코빌 글루코사이드, 알부틴(arbutin), 식물 추출물, 코지산(kojic acid), 비타민 C 유도체], 이들은 종종 제형화 또는 침투에 제약을 나타내고, 낮은 생체내 효능을 갖고/갖거나 안전성 염려를 일으킨다. 소비자들이 이들 미백 제제중 몇몇에 관련된 독성 문제를 점점 더 깨닫게 됨에 따라, "천연"으로 고려되고 큰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미백 활성물질에 대한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3,4',5-트리하이드록시스틸벤으로도 지칭되는 레스베라트롤은 적색 포도, 및 이에 따른 적색 와인, 땅콩, 마디풀(knotweed), 라스베리, 블루베리, 및 다른 특정 산딸기류 식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발생 분자이다. 이 화합물은 최근 몇년 동안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과학적 보고에 의해 레스베라트롤의 복합-기능적 이점이 점점 더 입증되고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극히 강력한 항산화제, 신호 변환을 통한 유전적 발현의 조절자, 및 염증 중재자의 저해자이고, 식물호르몬의 이점을 가지며, 멜라닌의 합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생물학적 기능 및 화장품용 효과의 이러한 조합으로 인해, 레스베라트롤은 개인용 관리 제품을 위한 특별한 활성 성분이 된다.
모든 상기 생물학적 특성 및 그의 탁월한 피부 미백 효과에도 불구하고, 레스베라트롤을 화장품용 조성물로 제형화하는 데는 일련의 어려움들이 있다. 레스베라트롤이 갖는 한 문제점은, 이것이 유화액에서 상 분리를 유도하고 백색에서 황색빛-갈색으로의 색상 변화를 촉진시키므로, 화장품용 조성물(예컨대 O/W 또는 W/O 유화액)에서 일반적으로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까지는 화장품용 제형에서의 이의 사용이 매우 소량으로 제한되었다. 더욱이, 레스베라트롤은 물을 포함한 화장품용 조성물에서 침전(결정화)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개략된 이유로 인하여, 높은 함량의 레스베라트롤의 혼입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화장품용 조성물에서만 실현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O/W 또는 W/O 유화액에 첨가되기 이전에, 상이한 비-수성 극성 유기 용매, 예컨대 PEG-용매가 레스베라트롤을 가용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보고된 용매의 양은 극히 많다(예를 들어 US 제2007/0225360호, EP 제123457호, US 제2002/0173472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높은 수준의 용매는 손상되거나 민감한 피부에 적용될 경우 피부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게다가, 높은 용매 수준은 촉각적 특성, 예컨대 피부 감촉에 있어서 심미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레스베라트롤을 위한 허용가능한 가용화제, 뿐만 아니라 견고하고 안정한 유화액 시스템을 발견하려는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놀랍게도, 레스베라트롤이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에 가용화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더욱이,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과 조합된 이와 같은 가용화된 레스베라트롤은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로서 작용할 수 있고, 즉 물에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를 첨가함은 유화액의 자발적 형성을 유도하여, 많은 양의 가용화된 레스베라트롤이 유체 조성물내로 혼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 및 임의적으로 공-유화제로 구성된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및 물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어 "자가-유화"는 화장품용 베이스가 물과 접촉될 때 제자리에서 유화액/마이크로유화액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용어 "유체"는 그 자체의 중량하에 유동하고, 특히 편평한 표면 상에 놓일 경우 퍼지는 능력을 특징으로 하는, 물과 유사한 점조도(consistency)를 지칭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을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에, 임의적으로 공-유화제의 존재하에(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함) 용해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생성된 용액을 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의 제조를 위한 온도는 중요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레스베라트롤의 가용화를 위한 온도는 20 내지 60℃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를 물에 첨가하는 단계는 제조 직후에, 또는 열이 적용된다면 냉각 이후에 실행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을 위한 가용화제로서의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체 조성물은 20 내지 80 중량%의 물, 20 내지 80 중량%의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및 10 중량% 이하의 나머지 성분들로 구성되고, 여기서 모든 성분들의 양의 합은 1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중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합계]은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중량%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합계]은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 내지 30 중량%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가
(i) 5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ii) 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 중량%의 공-유화제,
(iii) 4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5 중량%의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 및
(iv) 0.01 내지 7 중량%의 레스베라트롤(여기서 모든 성분들의 양의 합은 100 중량%임)로 구성된다면 더욱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중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합계]은 15 중량% 이상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합계]은 20 내지 5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의 양은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합계]은 25 내지 35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의 양은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75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레스베라트롤[CAS501-36-0, CA 명칭: 5-[(1E)-2-(4-하이드록시페닐)에테닐]-1,3-벤젠디올]은 예를 들어 디에스엠 뉴트리셔날 프로덕츠 리미티드(DSM Nutritional Products Ltd)에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레스베라트롤의 양은 주변 온도(즉, 20℃)에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화장품용 오일, 및 존재할 경우 공-유화제중에 완전히 가용화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로 혼입될 수 있는 레스베라트롤의 최대량은 사용되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공-유화제 및 화장품용 오일에 따라 좌우되지만, 당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유체 조성물중 레스베라트롤의 양은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5 중량%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용어 "공-유화제"는 주변 온도(20℃)에서 액체이거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에서 가용성인 임의의 유화제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공-유화제는 주변 온도(20℃)에서 액체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특히 적합한 공-유화제는 액체 비이온성 유화제,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기제 유화제, 예컨대 가장 바람직하게는 라우레쓰-7이다.
존재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에서 공-유화제의 양은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중량%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화장품용 오일은 화장품용 유체 조성물에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화장품용 오일, 예컨대 특히 카프릭/카프릴릭(capric/caprylic)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뿐만 아니라 이의 혼합물이다. 추가로 적합한 오일은 천연 극성 오일이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에서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의 양은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70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5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용어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는 주변 온도(20℃)에서 액체인 임의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특히 적합한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는 트리라우레쓰-4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호스타파트(Hostaphat) KL 340D 또는 실라포스(SILAPHOS: 등록상표) TE 340으로서 입수가능함], C8-C10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Crodafos: 상표) 810A로서 입수가능함], PPG-5-세테쓰-10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C10/5A로서 입수가능함], 세톨레쓰(Cetoleth)-5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C05A로서 입수가능함], 데세쓰-4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D4A로서 입수가능함], 글리세레쓰(Glycereth)-26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G26A로서 입수가능함], 올레쓰(Oleth)-5 포스페이트 및 디올레일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HCE로서 입수가능함], 칼륨 C12-12 알킬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1213K로서 입수가능함], TEA C12-13 알킬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1213T로서 입수가능함], C9-15 알킬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M915A로서 입수가능함], 올레쓰-10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010A로서 입수가능함], DEA 올레쓰-10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010D로서 입수가능함], 올레쓰-3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03A로서 입수가능함], DEA 올레쓰-3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03D로서 입수가능함], 트리데세쓰-10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T10A로서 입수가능함], 트리데세쓰-5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T5A로서 입수가능함] 또는 트리데세쓰-6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크로다포스(상표) T6A로서 입수가능함]이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는 트리라우레쓰-4 포스페이트[CAS 31800-90-5]이다.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에 상기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중량% 범위의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예컨대 트리라우레쓰-4 포스페이트 대 레스베라트롤의 비(중량/중량)는 유리하게는 200:1 내지 1:1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1 내지 2:1의 범위, 예컨대 10:1 내지 2.5:1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공-유화제(존재할 경우) 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의 비(중량/중량)는 유리하게는 10:1 내지 1:10,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은
(i) 20 내지 80 중량%의 물,
(ii) 1 내지 45 중량%의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iii) 15 내지 55 중량%의 화장품용 오일,
(iv) 0 내지 20 중량%의 액체 비이온성 공-유화제,
(v) 0.05 내지 5 중량%의 레스베라트롤, 및 임의적으로
(vi) 5 중량% 이하의 나머지 성분들로 구성되고, 여기서 모든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이고,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은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중량% 이상이다.
하나의 특히 유리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은 공-유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의 양은 7 내지 30 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특히 유리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은 공-유화제를 포함하고,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합계]은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 내지 3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공-유화제 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의 비는 10:1 내지 1:10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합계]은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5 내지 25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고, 공-유화제 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의 비는 5:1 내지 1: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태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는 트리라우레쓰-4 포스페이트이고, 화장품용 오일은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이고, 존재할 경우, 공-유화제는 라우레쓰-7이다.
용어 "유체 조성물"은 본원에 사용될 경우 유체이고 포유동물의 케라틴성(keratinous) 조직, 예컨대 인간 피부 또는 모발, 특히 인간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화장품용 조성물을 특히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나머지 성분들은 피부 활성 성분들, 예컨대 피부 라이트닝; 태닝(tanning) 방지; 과색소침착의 처리; 여드름의 방지 또는 감소; 주름 및/또는 주름살의 방지 또는 감소; 위축 및/또는 염증의 방지 또는 감소; 뿐만 아니라 탄성 및 피부 장벽을 개선시키기 위한 성분들을 포함한다. 추가로 적합한 나머지 성분들은 일반적 화장품용 보조제 및 첨가제, 예컨대 보존제/항산화제, UV-필터 물질, 킬레이터, 유기 용매, 실리콘, 증점제, 연화제, 소포제, 보습제, 심미적 성분, 예컨대 방향제, 계면활성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 제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 추진제, 산성화 작용제 또는 염기성화 작용제, 염료, 채색/착색제, 연마제, 흡수제, 정유(essential oil), 스킨 센세이트(skin sensate), 수렴제, 또는 화장품용 조성물내로 일반적으로 배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들이다. 본 발명의 유체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피부 관리 산업에 흔히 사용되는 이러한 화장품용 성분은 예를 들어 CTFA 화장품 원료집(Cosmetic ingredient Handbook), 제2판(1992)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머지 성분들의 필수적인 양은 원하는 제품에 기초하여 당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피부 활성 성분들의 바람직한 예는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디에스엠 뉴트리셔날 프로덕츠 리미티드로부터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예컨대 스테이(Stay) C(나트륨 아스코빌 모노포스페이트)], 비타민 A 및/또는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레티노이드 유도체, 예컨대 레티닐 팔미테이트 또는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비타민 E 및/또는 그의 유도체(예를 들어,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오틴, 코엔자임(co-enzyme) Q10, EGCG, 하이드록시티로솔 및/또는 올리브 추출물, 시아 버터(shea butter), 해조류 추출물, 코코아 버터, 알로에 추출물, 호호바 오일(jojoba oil), 에키내시아(echinacea) 추출물, 카모마일(chamomile) 추출물, 글리시르헤틴산(Glycyrrhetinic Acid), 글리시리카 글라브라(Glycyryca Glabra) 추출물, 특히 비타민 E 및/또는 그의 유도체, 시아 버터, 해조류 추출물, 코코아 버터, 알로에 추출물 및/또는 비타민 A 및/또는 그의 유도체, 디에스엠 뉴트리셔날 프로덕츠에 의한 알파플로(Alpaflor) 식물 추출물이다. 추가의 화장품용 활성 성분은 전형적으로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약 0.001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양의 추가의 화장품용 활성 성분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비타민 E 유도체는 토코페릴 아세테이트이다.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는 약 0.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유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흥미로운 또 다른 비타민 E 유도체는 토코페릴 리놀레이트이다. 토코페릴 리놀레이트는 유체 조성물에 약 0.05 중량% 내지 약 25 중량%, 특히 0.05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비타민 A 및/또는 그의 유도체, 특히 레티노이드 유도체, 예컨대 레티닐 팔미테이트 또는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에 0.01 내지 5 중량%, 특히 0.01 내지 0.3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에 혼입된 적합한 UV-필터 물질은 국소 조성물, 예컨대 화장품용 또는 피부학적 일광 관리(sun care) 제품에 첨가되는 것으로 공지된 종래의 UVA 및/또는 UVB 및/또는 광역 스펙트럼 UV-필터 물질이다. 이러한 UV-필터 물질은 400 nm 내지 320 nm(UVA) 및 320 nm 내지 280 nm(UVB) 범위, 또는 더 짧은 파장(UVC)의 범위에서 빛을 흡수하고, 화장품용으로 허용가능한 UV-필터 물질로서 사용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모든 군을 포함한다. 이러한 UV-필터 물질은 예를 들어 CTFA 화장품 원료집 또는 나딤 에이 샤쓰(Nadim A. Shaath)의 문헌["The Encyclopedia of Ultraviolet Filters" (ISBN: 978-1-932633-25-2)]에 열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보존제는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이다.
물론, 당분야의 숙련가는 상기 언급된 임의적인 추가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 및/또는 이들의 양을 선택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서, 본 발명에 따른 조합물과 고유적으로 결합된 유리한 특성이 구상된 첨가 또는 첨가들에 의해 해롭게 영향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영향받지 않도록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조성물은 3 내지 1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의 범위의 pH를 갖는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효과를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표 1에 개략화된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는 모든 성분들을 적당한 온도(30 내지 40℃)에서 혼합하여, 투명한 용액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I II III IV V
중량%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트리라우레쓰-4-포스페이트 5 10 15 20 25
공-유화제: 라우레쓰-7 25 20 15 10 5
화장품용 오일: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68 68 68 68 68
레스베라트롤 2 2 2 2 2
이후, 자가 유화 시스템을 물에 1 대 3 및 3 대 1의 비(중량/중량)로 첨가하였다. 두 경우 모두 자발적으로 수성 유화액이 형성되었고, 이는 분리시(1주가 지난 후) 간단한 진탕에 의해 쉽게 재형성될 수 있었다.
실시예 2
적당한 온도(30 내지 40℃)에서 연속 혼합에 의해 레스베라트롤을 트리라우레쓰-4 포스페이트에 용해시킴으로써 공-유화제가 없는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투명한 용액을 화장품용 오일에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이러한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를 표 3에 제시된 비로 물에 첨가하였다. 모든 경우에 자발적으로 수성 유화액이 형성되었고, 이는 분리시(1주가 지난 후) 간단한 진탕에 의해 쉽게 재형성될 수 있었다.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성분 중량%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트리라우레쓰-4-포스페이트 30.0
레스베라트롤 2.0
화장품용 오일: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68.0
유체 조성물
I II III IV
자가 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30 중량% 40 중량% 50 중량% 60 중량%
70 중량% 60 중량% 50 중량% 40 중량%

Claims (15)

  1.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 및 임의적으로 공(co)-유화제로 구성된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및 물을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체 조성물이 20 내지 80 중량%의 물, 20 내지 80 중량%의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 및 10 중량% 이하의 나머지 성분들로 구성되되 모든 성분들의 양의 합은 10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이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 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공-유화제의 총량이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7 내지 3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가-유화 화장품용 베이스가 5 내지 60 중량%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0 내지 40 중량%의 공-유화제, 40 내지 90 중량%의 화장품용 오일 및 0.01 내지 7 중량%의 레스베라트롤로 구성되되 모든 성분들의 양의 합은 10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가 트리라우레쓰-4-포스페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유화제가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유화제가 액체 비이온성 공-유화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유화제가 폴리에틸렌 글리콜-기제 유화제, 바람직하게는 라우레쓰-7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이 카프릭/카프릴릭(capric/caprylic)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스베라트롤의 양이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유화제 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의 비(중량/중량)가 10:1 내지 1:10의 범위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대 레스베라트롤의 비(중량/중량)가 200:1 내지 1:1의 범위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성물.
  14. 레스베라트롤을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화장품용 오일에, 임의적으로 공-유화제의 존재하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생성된 용액을 물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레스베라트롤을 위한 가용화제로서의 액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계면활성제의 용도.





KR1020147007755A 2011-09-26 2012-09-24 조성물 KR102038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2714 2011-09-26
EP11182714.3 2011-09-26
PCT/EP2012/068748 WO2013045384A1 (en) 2011-09-26 2012-09-24 Novel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019A true KR20140069019A (ko) 2014-06-09
KR102038717B1 KR102038717B1 (ko) 2019-10-30

Family

ID=4688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755A KR102038717B1 (ko) 2011-09-26 2012-09-24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83161B2 (ko)
JP (1) JP6198279B2 (ko)
KR (1) KR102038717B1 (ko)
CN (1) CN103826596B (ko)
WO (1) WO20130453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2436B2 (en) 2015-08-10 2020-07-2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1173B2 (ja) * 2014-02-28 2019-10-16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外用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6527347B2 (ja) * 2014-03-27 2019-06-05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透明ないし半透明の化粧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9494A1 (en) * 2005-05-27 2006-11-30 Gupta Shyam K New Ubiquitin-Proteasome Regulating Compounds and Their Application i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KR20080022739A (ko) * 2006-09-07 2008-03-12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자기유화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268077A1 (en) * 2004-10-14 2008-10-30 Symrise Gmbh & Co. Kg Process for Strengthening the Barrier Function of Undamaged Skin
JP2011504467A (ja) * 2007-11-15 2011-02-10 コーダリー スチルベンポリフェノール誘導体を含む組成物、並びに生体の老化及び老化に影響を及ぼす疾患に対抗す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401386A (pt) 1983-03-30 1984-11-06 Du Pont Conector de filtro
US6414037B1 (en) * 1998-01-09 2002-07-02 Pharmascience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resveratro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008260A (en) * 1998-01-09 1999-12-28 Pharmascience Cancer chemopreventative composition and method
FR2777183B1 (fr) * 1998-04-10 2001-03-02 Oreal Utilisation d'au moins un hydroxystilbene dans une composition destinee a favoriser la desquamation de la peau et composition le comprenant
FR2820975B1 (fr) * 2001-02-21 2004-03-12 Oreal Composition pour application topique comprenant au moins un hydroxystilbene et au moins un polyol pour solubiliser l'hydroxystilbene
US20040175347A1 (en) * 2003-03-04 2004-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hexamidine compositions
US20060204526A1 (en) * 2003-08-13 2006-09-14 Lathrop Robert W Emulsive composition containing Dapsone
US20070225360A1 (en) 2006-03-22 2007-09-27 L'oreal Anti-aging composition containing phloretin
DE102006027138A1 (de) * 2006-06-08 2007-12-13 Beiersdorf Ag O/W Emulsion zur Pflege der Hand
US8703161B2 (en) * 2007-08-13 2014-04-22 Elc Management, Llc Skin repair compositions comprising circadian gene activators and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Sirt1 gene activators
KR101362619B1 (ko) * 2008-02-20 2014-02-13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피부 미백용 국소 조성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8077A1 (en) * 2004-10-14 2008-10-30 Symrise Gmbh & Co. Kg Process for Strengthening the Barrier Function of Undamaged Skin
US20060269494A1 (en) * 2005-05-27 2006-11-30 Gupta Shyam K New Ubiquitin-Proteasome Regulating Compounds and Their Application i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KR20080022739A (ko) * 2006-09-07 2008-03-12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자기유화 전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504467A (ja) * 2007-11-15 2011-02-10 コーダリー スチルベンポリフェノール誘導体を含む組成物、並びに生体の老化及び老化に影響を及ぼす疾患に対抗するためのそれらの使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2436B2 (en) 2015-08-10 2020-07-28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US11179305B2 (en) 2015-08-10 2021-11-23 Mary Kay Inc. Topica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26596B (zh) 2017-05-24
US20140235731A1 (en) 2014-08-21
JP6198279B2 (ja) 2017-09-20
KR102038717B1 (ko) 2019-10-30
JP2014526544A (ja) 2014-10-06
CN103826596A (zh) 2014-05-28
US9283161B2 (en) 2016-03-15
WO2013045384A1 (en)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88433A (zh) 高效维生素c局部制剂
US11207256B2 (en) Method for solubilizing poorly water-soluble cosmetic agents
US20100092412A1 (en) Self tanning compositions containing dihydroxyacetone, a retinoid and ascorbic acid glucoside as a stabilizer
KR20180094964A (ko) 피부 라이트닝을 위한 니아신아미드 및 알파-알부틴을 포함하는 조성물
US20100158963A1 (en) Topical Composition for Influencing Skin Color
US20230057927A1 (en) Stabilizing vitamin c topical formulations
EP1607097B1 (en)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oxygen-labile agent retinol
CN107496181B (zh) 含有白藜芦醇的增溶体系
KR102038717B1 (ko) 조성물
KR102066979B1 (ko)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JP5856761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96104B1 (ko) 조성물
LU102317B1 (en) Sun protection topical compositions
JP2005289843A (ja) 美白用外用剤
KR100517728B1 (ko) 토코페롤 3중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57634A (ko) Egcg의 안정화 방법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20050042233A1 (en)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ygen-labile active agent and a fungal extract
US20210023000A1 (en) Topical compositions
JP5856766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43217A1 (en)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ygen-labile active agent and lactoglobulin
US20130261093A1 (en)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US20050042309A1 (en)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ygen-labile active agent and a plant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