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748A -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 Google Patents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748A
KR20140068748A KR1020130046152A KR20130046152A KR20140068748A KR 20140068748 A KR20140068748 A KR 20140068748A KR 1020130046152 A KR1020130046152 A KR 1020130046152A KR 20130046152 A KR20130046152 A KR 20130046152A KR 20140068748 A KR20140068748 A KR 20140068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chanism
belt
fixed
auxiliar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오히라
Original Assignee
시그노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노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그노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3/00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 F16G3/003Apparatus or tools for join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피체결 대상물을 체결할 때에 체결 기구를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부재(1)는 벨트 길이를 변경시켜 화물을 죄기 위한 체결 기구(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체결 기구(10)의 한 쪽의 단부에는 이 체결 기구(10)에 의해 화물을 죄도록 벨트 길이가 변경되고, 이 변경된 벨트 길이의 상태로 고정되는 조정측 벨트(20b)가 인도되어 있고, 다른 쪽의 단부에는 일정한 벨트 길이로 체결 기구(10)에 고정되는 고정측 벨트(20a)가 인도되도록 되어 있고, 고정측 벨트(20a)가 인도되는 측의 체결 기구(10)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멍(5)과 고정측 벨트(20a)를 감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배치된 원기둥 형상의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AUXILIARY MEMBER OF FASTENER}
본 발명은 화물의 고정 및 죔용 벨트(belt)인, 이른바 래싱벨트(lashing belt)에 장착되어 있는 체결 기구(緊締具)에 관한 것이다.
선박수송, 트럭수송 등에 있어서, 화물 등의 피체결 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래싱벨트가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다. 래싱벨트는 피체결 대상물을 체결하기 위한 벨트와, 그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버클(buckle)(체결 기구)이 장착되어 있다. 버클로서는, 예를 들면 손으로 벨트를 죄고, 토크(torque)를 가하여 고정하는 캠(cam) 식의 버클(캠 버클), 또는 본체부에 통과시킨 벨트를 그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장착된 레버(lever)에 의해 눌러서 고정하는 오버 센터 버클 등을 들 수 있다. 심지어, 권취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벨트를 차례로 권취하여 죄는 래칫(rachet) 기구의 버클(래칫버클) 등도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56-109931호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래싱벨트가 구비하는 체결 기구는 그 한 쪽의 단부에 소정 길이의 고정측 벨트가 장착되고, 다른 쪽의 단부에는 벨트 길이를 조절하여 피체결 대상물을 죄기 위한 조정측 벨트가 삽입 통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체결 기구에서는 한 쪽의 단부에 장착되는 고정측 벨트가 소정 길이이기 때문에, 피체결 대상물의 크기 또는 형상에 따라 체결 기구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래싱벨트에 있어서 고정측 벨트는 한 쪽의 단부가 체결 기구에 장착되고, 다른 쪽의 단부가 화물이 놓여지는 적재함 등에 고정된다. 이때, 적재함 등에 있어서 벨트의 고정 위치에서 체결 기구까지의 거리는 항상 일정해져버린다. 이와 같이 고정측 벨트에서는 그 벨트의 고정 위치에서 체결 기구까지의 거리가 항상 일정해지기 때문에, 소망하는 위치에 체결 기구를 배치시킬 수 없고 조정측 벨트를 사용한 죔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체결 대상물을 체결할 때에 체결 기구를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벨트 길이를 변경시켜 피체결 대상물을 죄기 위한 체결 기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이며, 상기 체결 기구의 한 쪽의 단부에는 그 체결 기구에 의해 피체결 대상물을 죄도록 벨트 길이가 변경되고, 그 변경된 벨트 길이의 상태로 고정되는 조정측 벨트가 인도되어 있고, 다른 쪽의 단부에는 일정한 벨트 길이로 상기 체결 기구에 고정되는 고정측 벨트가 인도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고정측 벨트를 장착하기 위한 기둥 형상의 고정축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벨트가 인도되는 측의 체결 기구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멍을 갖는 1쌍의 측판과, 상기 고정측 벨트를 감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1쌍의 측판 사이에 배치된 기둥 형상의 제1 보조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는 연결 구멍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 연결 구멍을 통하여 체결 기구에 연결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보조 고정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체결 기구의 고정축과의 사이에서 고정측 벨트를 감아서 고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고정측 벨트를 보조 고정부를 이용하여 감아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고정측 벨트를 체결 기구에 장착할 때에 고정측 벨트의 감는 위치, 감는 길이 등을 조정함으로써 고정측 벨트의 벨트 길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고정측 벨트의 벨트 길이가 일정해지지 않고 체결 기구의 위치에 따른 벨트 길이로 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는 피체결 대상물을 체결할 때에 체결 기구를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을 상기 연결 구멍에 관통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기구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체결 기구가 갖는 고정축을 연결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벨트를 상기 제1 보조 고정부와 상기 고정축의 사이에서 서로 감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해당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를 그 체결 기구에 장착할 때에 그 제1 보조 고정부가 그 고정축과 대향하며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원기둥 형상의 보조 고정부는 고정축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측 벨트를 고정측과 보조 고정부의 사이에 걸치고 서로 감아서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판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고정부와 서로 대향하며 평행하도록 배치된 기둥 형상의 제2 보조 고정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원기둥 형상의 제1 보조 고정부 및 제2 보조 고정부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평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고정측 벨트를 제1 보조 고정부와 제2 보조 고정부의 사이에 걸치고 서로 감아서 고정시킬 수가 있다.
특히, 제1 보조 고정부와 제2 보조 고정부의 사이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 없고, 이러한 제1 보조 고정부와 제2 보조 고정부는 동일한 측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보조 고정부와 제2 보조 고정부의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는 고정측 벨브를 큰 힘으로 끌어당겼다고 하여도 제1 보조 고정부와 제2 보조 고정부의 사이에서 절곡되거나 하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고정측 벨트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멍을 관통한 고정축을 회전축으로서 상기 체결 기구에 대하여 회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체결 기구에 장착된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는 체결 기구에 대하여 회동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체결 기구와 이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가 이루는 모서리를 소망하는 각도가 되도록 이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피체결 대상물의 모서리에 체결 기구가 위치할 경우이어도 이 모서리의 형상(각도)에 따르도록, 즉, 피체결 대상물의 형상에 맞도록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의 위치를 변경시켜 그 피체결 대상물을 체결할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는 피체결 대상물을 체결할 때에 체결 기구를 소망하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싱벨트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구에 보조 부재를 장착한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래싱벨트에 있어서, 체결 기구와 보조 부재의 연결 부분의 구조의 일예를 위쪽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래싱벨트에 있어서 고정측 벨트의 장착상태의 일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싱벨트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보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체결 기구(10)의 보조 부재(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그 보조 부재(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1)가 착탈되는 체결 기구(10) 및 이 체결 기구(10)를 갖는 래싱벨트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싱벨트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래싱벨트가 구비하는 체결 기구(10)로서 래칫버클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래싱벨트의 구성)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싱벨트는 벨트와 래칫버클인 체결 기구(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벨트는 인장 강도가 우수한 나일론계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측 벨트(20a) 및 조정측 벨트(20b)로 구성된다. 고정측 벨트(20a)는 한 쪽의 단부가 체결 기구(10)에 장착되고, 다른 쪽의 단부가 화물(피체결 대상)을 놓는 적재함의 측부 등(미도시)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측 벨트(20a)에 의해 체결 기구(10)의 적재함에서부터의 위치(거리)가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측 벨트(20a)에 있어서 체결 기구(10)가 장착되는 측의 단부는 접어서 겹쳐져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 모양 부분에 후술하는 체결 기구(10)의 고정축(7)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단부에 단말 금구(金具)(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말 금구에 의해 적재함의 측부 등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정측 벨트(20b)는 체결 기구(10)에 의해 권취됨에 따라 화물에 대한 죔을 행하는 벨트이다. 한 쪽의 단부 측에서 체결 기구(10)에 의해 귄취되고, 이에 따라 벨트 길이가 서서히 짧아져 화물을 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소망하는 죔 강도가 되면 그 상태로 조정측 벨트(20b)는 체결 기구(1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조정측 벨트(20b)에 있어서 체결 기구(10)에 의해 권취되는 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단부에는 단말 금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말 금구에 의해 고정측 벨트(20a)와 마찬가지로 적재함의 측부 등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체결 기구(10)는 조정측 벨트(20b)의 벨트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화물(피체결 대상물)을 죄고, 화물을 적재함 상에 단단히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벨트를 고정하는 것이다. 체결 기구(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기구 본체(11), 권취 레버(12), 권취축(13), 래칫 기구(14), 및 고정축(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체결 기구 본체(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바닥면(11b)과, 그 바닥면(11b)의 측부 각각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또한 이 측부 각각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속 설치된 박판 형상의 1쌍의 본체 측부(11a)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1쌍의 본체 측부(11a)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11b)에 있어서, 고정측 벨트(20a)가 배치되는 측의 선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받침면(11b1)이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 기구 본체(11)의 본체 측부(11a)의 한 쪽의 단부에서는 권취축(13)을 관통시키고 있고, 이 권취축(13)을 통하여 권취 레버(12)를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본체 측부(11a)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체결 기구 본체(11)의 1쌍의 본체 측부(11a)를 관통하여 가로지르도록 고정축(15)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15)은 고정측 벨트(20a)를 해당 체결 기구(10)에 장착하기 위한 축이다. 본체 측부(11a)에 있어서, 고정측 벨트(20a)가 배치되는 측의 단부에는 고정축(15)을 삽입 통과시키도록 관통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축(15)은 볼트(bolt)와 너트(nut)로 구성되어 있고, 한 쪽의 본체 측부(11a)의 관통 구멍에서 이 볼트를 삽입하고, 수나사가 잘려 있는 이 볼트의 선단을 다른 쪽의 본체 측부(11a)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체결 기구 본체(11)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측 벨트(20a)의 고리 모양으로 접어서 겹쳐진 부분(고리 모양 부분)을 1쌍의 본체 측부(11a) 사이에 배치하고, 한 쪽의 본체 측부(11a)에서 삽입한 고정축(15)을 고정측 벨트(20a)의 고리 모양 부분에 삽입시키고, 고정축(15)을 다른 쪽의 본체 측부(11a) 측에서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고정측 벨트(20a)를 체결 기구 본체(11)에 장착할 수가 있다.
한편, 본체 측부(11a)의 조정측 벨트(20b)가 배치되는 측의 단부에는 권취축(13)을 삽입 통과시키고, 이 권취축(13)을 유지하기 위한 본체측 유지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 기구 본체(1)의 1쌍의 본체 측부(11a) 각각에는 1쌍의 본체부 슬릿(slit)(11c)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 슬릿(11c)은 후술하는 래칫 기구(14)가 갖는 래칫 제1 조부(爪部)(14b)를 슬라이드(slide)시키기 위한 간극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체부 슬릿(11c)은 본체 측부(11a)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본체측 유지 구멍의 중심을 향하여 형성된 간극이고, 후술하는 래칫 제1 조부(14b)의 선단이 후술하는 1쌍의 래칫 기어(14a)의 오목부와 결합하도록 가이드(guide)한다. 또한, 래칫 제1 조부(14b)에 있어서, 래칫 기어(14a)와 결합하는 측의 단부를 래칫 제1 조부(14b)의 선단측 단부라고 부르고, 그 반대측의 단부를 래칫 제1 조부(14b)의 기단측 단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권취축(13)은 조정측 벨트(20b)를 권취하기 위한 것이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형성이 대략 반원형의 2개의 막대형 부재(제1 권취축(13a)과 제2 권취축(1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권취축(13a)과 제2 권취축(13b)은 후술하는 1쌍의 래칫 기어(14a)의 내부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미도시) 각각에 관통되고, 제1 권취축(13a) 및 제2 권취축(13b) 각각의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된 와이어(wire)형의 고정부(13c)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권취축(13a) 및 제2 권취축(13b)은 권취축(13)으로서 일체화될 수가 있다.
권취축(13)에서는 제1 권취축(13a)과 제2 권취축(13b)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에 조정측 벨트(20b)의 단부를 삽입하고, 그 단부를 삽입측을 향하여 접어서 겹치도록 하여 조정측 벨트(20b)가 장착된다.
다음에, 권취 레버(1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권취 레버(12)는 래칫 기구(14)의 래칫 기어(14a)를 통하여 권취축(13)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손잡이이다. 권취 레버(12)는 권취축(13)을 회전축으로서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권취 레버(12)는 권취축(13)을 통하여 체결 기구 본체(11)의 1쌍의 본체 측부(11a) 각각과 연결되는 1쌍의 권취 레버 측부(12a), 및 1쌍의 권취 레버 측부(12a) 사이에 걸쳐진 파지부(12b) 및 보조 막대(12c)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권취 레버 측부(12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판 형상의 부재이고, 체결 기구 본체(11)와 연결되는 측의 단부에는 권취축(13)을 관통시키기 위한 레버측 유지 구멍(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구(10)에서는 그 내측에서 차례로 외측을 향하여 체결 기구 본체(11)의 본체 측부(11a), 래칫 기어(14a), 권취 레버 측부(12a)의 차례가 되도록 각각의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재의 배치는 이 차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체결 기구(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체결 기구 본체(11)의 본체 측부(11a), 권취 레버 측부(12a), 래칫 기어(14a)의 차례로 배치되고, 이러한 부재가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파지부(12b)는 작업자가 권취 레버(12)를 움직일 때에 파지하는 부분이고, 파지하기 쉬운 외주 치수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파지부(12b)의 외주면에는, 그립(grip)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권취 레버 측부(12a) 각각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양자의 사이를 걸치도록 보조 막대(12c)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막대(12c)는 권취 레버(12)의 구조상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 부재이고,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권취 레버 측부(12a)에서는 보조 막대(12c)가 장착되어 있는 위치와 체결 기구 본체(11)와 연결하는 단부와의 사이에 1쌍의 레버부 슬릿(12e)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부 슬릿(12e)은 후술하는 래칫 기구(14)가 갖는 래칫 제2 조부(14c)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간극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레버부 슬릿(12e)은 래칫 제2 조부(14c)의 선단이 후술하는 래칫 기어(14a)의 오목부와 결합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래칫 제2 조부(14c)에 있어서, 래칫 기어(14a)와 결합하는 측의 단부를 래칫 제2 조부(14c)의 선단측 단부라고 부르고, 그 반대측의 단부를 래칫 제2 조부(14c)의 기단측 단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래칫 기구(14)에 대하여 설명한다. 래칫 기구(14)는 1쌍의 본체 측부(11a)와 1쌍의 권취 레버 측부(12a)의 연결 부분에 설치된 1쌍의 래칫 기어(14a)와, 이러한 래칫 기어(14a)와 결합하기 위해 체결 기구 본체(1)에 장착된 래칫 제1 조부(14b)와, 권취 레버(2)에 장착된 제2 조부(14c)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그리고 1쌍의 래칫 기어(14a) 사이를 걸치도록 권취축(1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권취축(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칫 기어(14a)의 내부에 형성된 2개의 관통 구멍(미도시) 각각에 제1 권취축(13a)과 제2 권취축(13b)을 관통시킬 수 있고, 이러한 제1 권취축(13a)과 제2 권취축(13b)이 고정부(13c)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었다. 이 때문에, 래칫 기어(14a)의 회전에 따라 권취축(13b)도 회전한다.
래칫 기어(14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니끝이 래칫 기어(14a)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즉, 도 1의 예에서는, 래칫 기어(14a)의 톱니의 형상은 지면 상측의 빗변이 가파르게 솟아오른 경사로 되어 있지만, 지면 우측의 빗변은 완만한 경사로 된 형상을 하고 있고, 톱니끝이 래칫 기어(14a)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지면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래칫 제1 조부(14b)는 래칫 기어(14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래칫 기어(14a)의 톱니를 쉽게 타고 넘어가지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톱니와 접촉하여 래칫 기어(14a) 각각의 회전을 방지한다.
요컨대, 래칫 제1 조부(14b)는 그 양측부가 각각 1쌍의 본체부 슬릿(1c) 내에 있어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고, 받침면(11b1)과 이 래칫 제1 조부(4b) 사이에 배치된 제1 스프링 부재(16a)에 의해 래칫 제1 조부(14b)는 래칫 기어(14a) 측을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프링 부재(16a)는 코일 스프링이고, 제1 스프링 부재(16a)의 내주 측에는 제1 조 부재(14b)의 돌출부(14b1)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래칫 제1 조부(14b)는 제1 스프링 부재(16a)에 의해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래칫 제1 조부(14b)의 선단측 단부를 래칫 기어(14a)에 단단히 접촉시킬 수가 있다.
한편, 래칫 제2 조부(14c)는 그 양측부가 각각 1쌍의 레버부 슬릿(12e) 내에 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고, 1쌍의 권취 레버 측부(12a) 중 한 쪽에 장착된 제2 스프링 부재(16b)에 의해 래칫 기어(4a) 측을 향하여 압압되어 있다. 또한, 제2 스프링 부재(16b)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축 주위의 힘인 모멘트(토크)에 의해 래칫 제2 조부(14c)를 래칫 기어(14a)를 향하여 압압하고, 래칫 제2 조부(14c)의 선단측 단부를 이 래칫 기어(14a)에 단단히 접촉시킬 수가 있다.
또한, 래칫 제2 조부(14c)는 그 래칫 제2 조부(4c)가 장착되어 있는 권취 레버(2)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 레버(2)를 도 1의 상태에서 체결 기구 본체(1) 측으로 넘어뜨리도록 이동시켰을 경우, 래칫 제2 조부(14c)는 도 1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래칫 기어(14a)의 외주를 미끄러져 이동하게 된다. 이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는, 래칫 제2 조부(14c)는 래칫 기어(4a)의 톱니를 쉽게 타고 넘어 래칫 제2 조부(14c)가 본체 측부(11a)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또한, 이때, 래칫 기어(14a)는 래칫 제1 조부(14b)와 결합하여 있고, 래칫 제2 조부(14c)의 이동에 아울러 함께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반대로, 권취 레버(12)를 체결 기구 본체(11) 측으로 넘어뜨린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내는 상태로 회전 이동시켰을 경우, 래칫 제2 조부(14c)는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래칫 기어(14a)의 외주를 이동하게 된다. 이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경우, 래칫 제2 조부(14c)는 래칫 기어(14a)의 톱니를 타고 넘을 수가 없고, 래칫 기어(14a)마다 회전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칫 기어(14a)가 이동하면, 이 래칫 기어(14a)에 장착되어 있는 권취축(13)도 그 래칫 기어(14a)와 같은 방향, 즉, 지면 도 1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권취 레버(12)를 체결 기구 본체(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켰을 경우, 권취축(3)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조정측 벨트(20b)를 권취할 수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체결 기구(10)에 대하여, 고정측 벨트(20a)는 고정축(15)으로 고정되는 구성이고, 고정측 벨트(20a)의 길이는 항상 일정해져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래싱벨트에서는 보조 부재(1)를 체결 기구(10)에 장착하고 고정측 벨트(20a)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이 체결 기구(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보조 부재의 구성)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1)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조 부재(1)는 체결 기구(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고정측 벨트(20a)의 벨트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시키는 부재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부재(1)는 1쌍의 측판(2)과, 이러한 1쌍의 측판(2)의 사이를 횡가하는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측판(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의 박판 형상을 하고 있고,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세우며 수평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1쌍의 측판(2) 사이의 내측 치수가 체결 기구(10)의 1쌍의 본체 측부(11a) 사이의 외측 치수와 일치하는 간격이 되도록 측판(2) 각각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측판(2)의 사이에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 각각이 가로지르도록 되어 있다.
제2 보조 고정부(4)는 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1쌍의 측판(2) 각각의 대략 중앙 부분에 있어서 가로지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1 보조 고정부(3)는 제2 보조 고정부(4)와 같은 직경을 갖는 기둥 형상을 하고 있고, 1쌍의 측판(2) 중 한 쪽의 단부 근방에 있어서 가로지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는 각각 1쌍의 측판(2)을 관통하고, 양 단부를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 각각의 양 단부를 측판(2)에,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1쌍의 측판(2)에 있어서, 제1 보조 고정부(3)가 배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되는 측이 되는 단부에는 연결 구멍(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보조 부재(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구(10)에 장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기구(10)에 보조 부재(1)를 장착한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래싱벨트에 있어서 체결 기구(10)와 보조 부재(1)의 연결 부분의 구조의 일예를 위쪽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측판(2)의 단부를 체결 기구(10)의 본체 측부(11a)의 단부(고정측 벨트(20a)가 배치되는 측의 단부)와 겹치도록 배치한다. 즉, 1쌍의 본체 측부(11a)가 1쌍의 측판(2)의 내측에 접하도록 겹친다. 그리고 1쌍의 본체 측부(11a) 각각에 형성된 고정축(15)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구멍(미도시)과 측판(2)의 연결 구멍(5)을 위치 맞춤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멍을 관통시켜 1쌍의 측판(2)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고정축(15)을 배치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축(15)에 의해 보조 부재(1)와 체결 기구(10)를 연결할 수 있다. 요컨대, 고정축(15)이 보조 부재(1)와 체결 기구(10)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로서도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조 부재(1)를 체결 기구(10)에 장착하기 위한 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줄일 수가 있다.
더욱이, 고정축(15)을 사용하여 보조 부재(1)와 체결 기구(10)의 연결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체결 기구가 고정축만 구비하고 있으면 본 발명의 보조 부재(1)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조 부재(1)는 체결 기구(10)에 대하여, 고정축(15)을 회전축으로서 회전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조 부재(1)는 체결 기구(10)의 본체 측부(11a)에 대하여 소망하는 각도가 되도록 절곡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피체결 대상물의 모서리에 체결 기구(10)가 위치하는 경우이어도 이 모서리의 형상에 따르도록 보조 부재(1)를 체결 기구(10)에 대하여 절곡하여 피체결 대상물의 형상에 따르도록 체결할 수가 있다.
또한, 체결 기구(10)에 보조 부재(1)를 장착하였을 때의 고정측 벨트(20a)의 장착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에 고정측 벨트(20a)를 권취하여 행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래싱벨트에 있어서, 고정측 벨트(20a)의 장착 상태의 일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래싱벨트에 있어서 고정측 벨트(20a)의 장착 부분을 앞쪽에서 바라본 단면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측 벨트(20a)의 단부는 제1 보조 고정부(3) 측에서 제2 보조 고정부(4)를 향하고, 이것들의 아래쪽을 통과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측 벨트(20a)의 단부는 제2 보조 고정부(4)에 이르면, 기둥 형상인 이 제2 보조 고정부(4)의 외주를 따르도록 접어서 겹쳐진다.
그리고 접어서 겹쳐진 단부는 제2 보조 고정부(4) 측에서 제1 보조 고정부(3)를 향하고, 이것들의 위쪽을 통과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측 벨트(20a)의 단부는 제1 보조 고정부(3)에 이르면, 기둥 형상인 이 제1 보조 고정부(3)의 외주를 따르도록 접어서 겹쳐진다. 접어서 겹쳐진 이 단부는 제1 보조 고정부(3)의 아래쪽에서 제2 보조 고정부(4)의 위쪽을 향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단부가 다시 제2 보조 고정부(4)에 이르면, 이 제2 보조 고정부(4)의 외주를 따르도록 하여 접어서 겹쳐진다. 이때, 고정측 벨트(20a)는 제1 보조 고정부(3)와 제2 보조 고정부(4)의 사이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치 S자를 그리도록 감긴다. 제2 보조 고정부(4)에서 접어서 겹쳐진 단부는 제1 보조 고정부(3)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보조 부재(1)의 외부를 향하여 빠지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고정측 벨트(20a)를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에 감음으로써 체결 기구(10)에 장착할 수가 있기 때문에, 고정측 벨트(20a)를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에 어느 정도 감을 것인지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래싱벨트가 구비하는 체결 기구(10)로서 래칫버클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1)가 장착되는 체결 기구(1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예를 들면, 체결 기구(1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센터 버클이어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싱벨트의 구성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체결 기구(10)가 센터 버클일 경우이어도 이 체결 기구(10)의 고정측 벨트(20a)가 배치되는 측의 단부에 보조 부재(1)를 고정축(15)을 통하여 연결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보조 부재(1)의 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에 고정측 벨트(20a)를 감고, 그 고정측 벨트(20a)의 길이를 적당한 길이로 조절하여 장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보조 부재(1)는 체결 기구(10)의 1쌍의 본체 측부(11a)가 이 보조 부재(1)의 1쌍의 측판(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겹쳐지는 구성이었지만, 1쌍의 본체 측부(11a)와 1쌍의 측판(2)의 배치 관계를 반대로 하고 1쌍의 본체 측부(11a)가 1쌍의 측판(2)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겹쳐져도 좋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체결 기구(10)의 고정측 벨트(20a)의 벨트 폭은 1쌍의 본체 측부(11a)의 간격 폭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측부(11a)의 내측면에 측판(2)이 배치되는 구성의 경우, 고정측 벨트(20a)의 폭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들어가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본체 측부(11a)의 외측면에 측판(2)이 배치되는 구성의 쪽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측판(2)의 사이를 2개의 고정부(제1 보조 고정부(3) 및 제2 보조 고정부(4))가 가로지르는 구조이었다. 하지만, 고정부의 개수는 이 2개에 한정되지 아니 한다. 이하에 있어서, 보조 부재(1)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에 따른 보조 부재(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측판(2)의 사이에 있어서, 1개의 고정부(제1 보조 고정부(3))만이 가로지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보조 부재(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 변형예에 따른 보조 부재(1)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고정부(3)가 1쌍의 측판(2)을 관통하도록 가로지르도록 되어 있고, 그 양 단부를 볼트 체결함으로써 이 제1 보조 고정부(3)는 측판(2)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하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보조 고정부(3)의 양단부가 측부(2)에 각각,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1 보조 고정부(3)가 설치되어 있는 단부와는 반대측이 되는 측판(2)의 단부에 연결 구멍(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 구멍(5)에 고정축(15)을 관통시켜 고정함으로써 변형예에 따른 보조 부재(1)는 체결 기구(1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보조 부재(1)에 대하여, 고정측 벨트(20a)는 이하와 같이 하여 고정시킬 수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1)를 구비한 체결 기구(10)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부재(1)에 있어서 제1 보조 고정부(3)와 제2 보조 고정부(4)에 고정측 벨트(20a)를 감아서 고정하는 구성이었다.
하지만, 변형예에 따른 보조 부재(1)를 구비한 체결 기구(10)에서는 보조 부재(1)에 있어서 제1 보조 고정부(3)와 고정축(15)에 고정측 벨트(20a)를 감아서 고정시킨다. 즉, 제2 보조 고정부(4) 대신에 고정축(15)을 이용하여 고정측 벨트(20a)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 변형예에 따른 보조 부재(1)의 경우,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재(1)와 비교하여 측판(2)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는 점 및 제2 보조 고정부(4)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변형예에 따른 보조 부재(1)에서는 보조 부재(1)와 체결 기구(10)의 사이를 고정축(15)을 통하여 회전 움직임이 자유로워지도록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라, 고정축(15)에 의해 보조 부재(1)와 체결 기구(10)를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연결하는 구성의 쪽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많은 개량이나 다른 실시예가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실행하는 가장 좋은 양태를 당업자에게 개시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부재(1)를 체결 기구(10)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고정측 벨트(20a)의 길이를 쉽게 조절하여 이 체결 기구(10)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이 효과의 의의를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체결 기구(버클) 등에 널리 적용하면 유익하다.
1: 보조 부재
2: 측판
3: 제1 보조 고정부
4: 제2 보조 고정부
5: 연결 구멍
10: 체결 기구
11: 체결 기구 본체
11a: 본체 측부
11b: 바닥면
11b1: 받침면
11c: 본체부 슬릿
12: 권취 레버
12a: 권취 레버 측부
12b: 파지부
12c: 보조 막대
12d: 레버측 유지 구멍
12e: 레버부 슬릿
13: 권취축
13a: 제1 권취축
13b: 제2 권취축
13c: 고정부
14: 래칫 기구
14a: 래칫 기어
14b: 래칫 제1 조부(爪部)
14c: 래칫 제2 조부(爪部)
15: 고정축
16a: 제1 스프링 부재
16b: 제1 스프링 부재
20a: 고정측 벨트
20b: 조정측 벨트

Claims (5)

  1. 벨트 길이를 변경시켜 피체결 대상물을 죄기 위한 체결 기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로서,
    상기 체결 기구의 한 쪽의 단부에는 그 체결 기구에 의해 피체결 대상물을 죄도록 벨트 길이가 변경되고, 그 변경된 벨트 길이의 상태로 고정되는 조정측 벨트가 인도되어 있고, 다른 쪽의 단부는 일정한 벨트 길이로 상기 체결 기구에 고정되는 고정측 벨트가 인도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고정측 벨트를 장착하기 위한 기둥 형상의 고정축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측 벨트가 인도되는 측의 체결 기구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멍을 갖는 1쌍의 측판과,
    상기 고정측 벨트를 감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1쌍의 측판의 사이에 배치된 기둥 형상의 제1 보조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을 상기 연결 구멍에 관통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체결 기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벨트를 상기 제1 보조 고정부와 상기 고정축의 사이에서 서로 감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제1 보조 고정부는 해당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를 그 체결 기구에 장착할 때에 그 고정축과 대향하며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측판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고정부와 서로 대향하며 평행하도록 배치된 기둥 형상의 제2 보조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멍을 관통한 고정축을 회전축으로서 상기 체결 기구에 대하여 회전 움직임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KR1020130046152A 2012-11-28 2013-04-25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KR20140068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2-007208 2012-11-28
JP2012007208U JP3181551U (ja) 2012-11-28 2012-11-28 緊締具の補助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748A true KR20140068748A (ko) 2014-06-09

Family

ID=5042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152A KR20140068748A (ko) 2012-11-28 2013-04-25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81551U (ko)
KR (1) KR201400687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851B1 (ko) * 2020-09-08 2021-02-17 주식회사 주영피앤에스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용 벨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물 보호를 위한 개량된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장치
WO2021167251A1 (ko) * 2020-02-21 2021-08-26 주식회사 주영피앤에스 적재물 보호를 위한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장치 및 벨트 장력조절장치
KR102630648B1 (ko) 2022-08-09 2024-01-29 주식회사 타이가드코리아 래싱벨트 조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30955A1 (de) * 2017-12-21 2019-06-27 Lampuga Gmbh Aufblasbares surfboard mit antriebseinheit
CN112498994B (zh) * 2020-12-09 2023-02-17 连云港中远海运特种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卧式运输用立式低温绝热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251A1 (ko) * 2020-02-21 2021-08-26 주식회사 주영피앤에스 적재물 보호를 위한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장치 및 벨트 장력조절장치
KR102215851B1 (ko) * 2020-09-08 2021-02-17 주식회사 주영피앤에스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용 벨트 장력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재물 보호를 위한 개량된 팔레트용 적재물 고정장치
KR102630648B1 (ko) 2022-08-09 2024-01-29 주식회사 타이가드코리아 래싱벨트 조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1551U (ja)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8748A (ko) 체결 기구의 보조 부재
US9061622B2 (en) Strap tensioning system
US8973222B2 (en) Retractable ratcheting tie down
JP4634446B2 (ja) ベルト締具
US7909745B2 (en) Adjusta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5271606A (en) Tensioning ratchet for a lashing strap
DE102014004062B4 (de) Führungsstangen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Kettensäge
KR101312561B1 (ko) 웨빙 권취 장치
US5779176A (en) Webbing take-up device
US9610883B1 (en) Tensioning device
JP2840230B2 (ja) ラチェットバックル装置
KR101527485B1 (ko) 접이식 자전거
US8163988B2 (en) Snare tension device
EP3135447B1 (en) Chainsaw and method for tensioning a chain thereof
US6799751B1 (en) Quick adjusting choke winch
US9855863B2 (en) Lock device
WO2007133229A1 (en) Ratchet cap for winch
JP2015208831A (ja) 携帯型帯鋸盤
US5692269A (en) Tightening ratchet
US20120227223A1 (en) Strap tensioning system
US10471610B2 (en) Robot arm having weight compensation mechanism
US8967595B2 (en) Ratchet adapter for strap tensioner
EP2240396B1 (en) Device at a winch
EP3629436A1 (en) Flat cable winding device and flat cable routing structure
EP0634305A1 (en) Strap clas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