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887A -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887A
KR20140066887A KR1020120133592A KR20120133592A KR20140066887A KR 20140066887 A KR20140066887 A KR 20140066887A KR 1020120133592 A KR1020120133592 A KR 1020120133592A KR 20120133592 A KR20120133592 A KR 20120133592A KR 20140066887 A KR20140066887 A KR 20140066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ving
unit
serv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영
강태선
임병석
김주영
최우성
유지헌
임래수
김호경
허주호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887A/ko
Publication of KR2014006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센서부를 부착한 블록 지지대를 통하여 이동 대차 및 블록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렬로 위치한 복수 개의 블록 지지대를 따라서 레일 위를 주행하는 복수 개의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센서부를 구비하는 상기 블록 지지대;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지지대의 위치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DB 서버; 및 상기 센서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따른 상기 블록 지지대의 위치를 수신받고 그에 따른 이동 대차의 위치를 획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이동 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넓은 영역의 작업장에서 여러 대의 대차 중에서 해당 대차를 손쉽고 안전하게 찾을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Monitoring system using moving vehicle traveling on a rai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센서부를 부착한 블록 지지대를 통하여 이동 대차 및 블록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 조립 단계의 블록을 이동하는 방법으로는 크레인을 이용하는 방법, TP 또는 MT 등 특수 화물 운반 차량을 이용하는 방법, 트레일러를 이용해 이동하는 방법 그리고 레일 주행 대차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 중에서 레일 주행 대차를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레일 위를 주행하는 대차 위에 블록을 실어서 운반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이동식 리프트 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31528호(조선소용 이동식 리프트 장치)에 개시된다.
상기 조선소용 이동식 리프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를 갖는 이동 대차(10)의 상부에 조립식 레일 블록(20)이 배의 상단부까지 적층 구비되고, 상기 레일 블록(20)에 형성된 래크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구동 모터로 회전되어 상기 레일 블록(20)을 따라 승강되는 리프트(30)가 구비되며, 상기 리프트(30)의 내부에는 모터로 회전되는 턴테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턴테이블 상부에는 유압 발생기로 길이가 가변되는 출몰식 다단 아암이 구비되며, 상기 아암의 선단에는 배의 측면과 근접되는 작업대(43)가 구비되고, 상기 아암은 턴테이블과 힌지부로 연결되며 승강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측으로 회동되면서 출몰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한편, 블록의 베이스 판이 놓여지고 그 위에 크고 작은 부재들이 조립되는 이른 바, 소중조 작업이 진행된 후, 다음 대조 작업을 위해 블록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대차가 블록을 들어올린 후 레일을 따라 다음 작업 스테이지로 움직이거나 크레인에 의해 들어 올려져 중조 블록들끼리 합쳐지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작업 과정이 반복되면 레일 위에 블록을 놓을 수 있는 빈 공간이 순차적으로 발생하지 못하게 되고 작업 계획 담당자가 매번 작업장을 돌아보며 비어있는 공간과 작업 블록들을 파악해 둬야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대차의 모습으로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여러 개의 단위 대차들이 결합되어 열차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첫 번째와 마지막 대차를 제외하고는 각각의 대차마다 유압으로 동작하는 리프트가 부착되어 있어 이를 이용해 블록을 들었다 내렸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첫 번째와 마지막 대차의 앞부분에는 충돌에 대한 위험을 감지하고 알릴 수 있는 센서부와 알람부가 있고, 대차는 무선 리모컨에 의해 구동된다.
작업자는 이 무선 리모컨을 이용해 대차를 직진 또는 후진시키며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블록을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작업자가 리모컨을 이용하여 이동할 블록 하단의 적당한 위치로 대차를 이동시킨 후 대차의 리프트를 상승시켜 블록을 들어올린다.
그리고 해당 위치로 대차를 이동시킨 후 리프트를 하강시켜 블록을 내려놓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은 넓은 영역의 작업장에서 여러 대의 대차를 운용할 경우 블록 이동을 위해 가장 가까운 대차를 찾기가 힘들고 블록의 하단 부분을 주행하는 대차의 특성상 대차 윗부분에 블록이 적치되어 있으면 대차를 확인하기 위해 작업자가 허리를 굽혀야 하고 작업 중 대차끼리의 충돌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블록 간의 조립 및 반출 계획을 세우는 담당자가 하루에 한 번 현장에 있는 호선/블록을 확인하고 현황표를 작성하고 이 현황표를 참고하여 다음 작업 블록이 놓이게 될 위치 등을 계획해야하는 블록의 위치 파악이 불편하다.
또한, 블록 하나가 이동한 후에 작업자들이 실적 입력 및 현황판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하루치의 작업이 모두 종료된 후 실적 입력을 하고 현황판 업데이트는 다음날 조립 및 반출 계획 담당자에 의해 이루어져 원활한 작업을 위해서는 블록의 위치를 작업자가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DB 서버와 센서부를 부착한 블록 지지대를 이용하여 이동 대차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렬로 위치한 복수 개의 블록 지지대를 따라서 레일 위를 주행하는 복수 개의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센서부를 구비하는 상기 블록 지지대;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지지대의 위치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DB 서버; 및 상기 센서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따른 상기 블록 지지대의 위치를 수신받고 그에 따른 이동 대차의 위치를 획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이동 대차;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 무선 태그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 마커이다.
또한, 상기 이동 대차는 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의 센서 검출부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센서 검출부는 무선 태그 리더기 또는 마커 인식 수단이다.
또한, 상기 이동 대차는 리프트를 구비하지 않는 첫 번째와 끝 번째의 이동 대차의 상면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의 근접 센서를 설치하고 주행중 블록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블록 위치를 결정하며 근접 센서가 지나간 블록의 길이를 계산하여 블록의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부터 획득한다.
또한, 상기 DB 서버는 작업장에 고정되는 블록 지지대의 센서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위치 DB; 상기 블록 지지대 위에 적치된 블록 길이에 따른 블록의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 블록 DB 및 상기 작업장의 특정 블록의 중일정 정보를 저장하는 중일정 D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DB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확인부; 상기 DB 서버로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이동 대차 위치와 블록 위치를 연산하는 이동 대차 위치 확인부와 블록 위치 확인부; 상기 이동 대차에 적치되어 이동중인 블록의 정보를 결정하는 이동 블록 확인부; 상기 대차 위치 확인부, 블록 위치 확인부와 이동 블록 확인부로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또는 정지시의 대차 위치와 블록 위치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작업장의 특정 블록의 중일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조회하는 작업 일정 확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일렬로 위치한 복수 개의 블록 지지대를 따라서 레일 위를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대차가 출발하여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대차가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 후 블록을 들어올려서 목적지에 도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동 대차가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여 상기 블록을 내리고 센서 검출부와 DB 서버를 이용하여 블록 지지대, 이동 대차 및 블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b)는 이동 대차가 블록을 들어올려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에 센서 검출부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DB 서버에 매칭시켜 이동 대차의 실시간 이동 위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a)는 블록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위치로 이동 대차가 이동하면서 지나게 되는 블록들의 길이를 계산하고 DB 서버와의 매칭을 통해 블록을 확인하고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c)는 상기 목적지에 도착 후 상기 이동 대차의 리프트를 하강시키고 센서 검출부와 DB 서버를 이용하여 블록 위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고 DB 서버의 블록 현황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넓은 영역의 작업장에서 여러 대의 대차 중에서 해당 대차를 손쉽고 안전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수작업을 하지않고 블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대차와 블록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송 대차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대차와 블록 지지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에서 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대차의 제어 장치와 외부 DB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도 3에 따른 블록 지지대에 구비된 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대차가 진입하여 리프트를 들어올리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작업 순서도;
도 9은 도 8에 따른 상세 작업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대차와 블록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에서 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대차의 제어 장치와 외부 DB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3에 따른 블록 지지대에 구비된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대차가 진입하여 리프트를 들어올리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복수 개의 이동 대차(300a,300b,300c,---), 복수 개의 블록 지지대(400a,400b,400c,---) 및 DB 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일렬로 위치한 복수 개의 블록 지지대(400)를 따라서 레일(360) 위를 주행하는 복수 개의 이동 대차(300a,300b,---)를 이용한 이동 대차, 블록 지지대, 블록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블록 지지대(400)는 이동 대차(300)의 한 쌍의 센서 검출부(330)가 식별 정보 수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센서부(410)를 블록 지지대의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부착한다.
상기 센서부(410)는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 태그(RFID Tag) 또는 일정 간격 마다 다른 형상을 가진 조형물(410a,410b,410c,410d) 또는 마커(410a,410b,410c,410d)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형물(410a,410b,410c,410d) 또는 마커(410a,410b,410c,410d)는 각각 서로 다른 이미지를 식별 정보로 가진다.
상기 무선 태그는 하나의 블록 지지대(400a)에 복수 개(바람직하게는 2개~4개)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대차(300a)는 첫 번째 이동 대차로 제어 장치(350), 한 쌍의 센서 검출부(330) 및 한 쌍의 근접 센서(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 개의 이동 대차(300)는 센서부(4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블록 지지대(400)의 위치와 이에 따른 이동 대차(300)의 위치를 DB 서버(500)의 위치 DB(530)에 저장된 작업장 내 센서부(410) 위치 데이터 테이블과 매칭된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신호를 위치 좌표로 변환(연산)하여 획득(결정)한다.
즉, 이동 대차(300)는 센서부(4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DB 서버(500)에 송신하고 DB 서버(500)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블록 지지대(400)의 위치를 수신받고 그에 따른 이동 대차(300)의 위치를 획득한다.
상기 제어 장치(350)는 중앙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외부에 위치한 리모콘(미도시)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을 통신 확인부(351)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동 대차(300a)를 주행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상기 중앙 처리부는 근접 센서(310), 센서 검출부(330)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주행중 근접 센서(310)가 지나간 블록(420)의 길이를 계산한다.
한 쌍의 센서 검출부(330)는 이동 대차(300)의 한 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어 센서부(41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센서 검출부(330)는 무선 태그 리더기(RFID Reader) 또는 마커와 같은 이미지를 식별하도록 비젼 센서를 포함하는 비젼 센서 장치와 같은 마커 인식 수단이다.
또한 리프트를 구비하지 않는 첫 번째와 끝 번째의 이동 대차(300)는 이동 대차(300)의 상면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의 근접 센서(310)를 설치하고 주행중 근접 센서(310)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블록(420)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블록(420)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이동 대차(300)는 이동 블록 확인부(354)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310)가 지나간 블록의 길이를 계산하여 블록의 정보(예:블록 명칭, 블록 길이, 블록 높이, 두께 등)를 DB 서버(500)의 작업 블록 DB(520)로부터 획득한다.
상기 DB 서버(500)는 이동 대차(300)와 떨어져 외부에 설치되며 블록 지지대(400)의 위치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구비한다.
DB 서버(500)는 중일정 DB(510), 작업 블록 DB(520) 및 위치 DB(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 장치(350)의 통신 확인부(351)와 양 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 DB(530)는 작업장에 고정되는 블록 지지대(400)의 센서부(410)에 대응하는 위치를 저장하며, 상기 작업 블록 DB(520)는 블록 지지대(400) 위에 적치된 블록 길이에 따른 블록의 정보(예:블록 번호, 블록 명칭, 블록 길이, 블록 높이, 두께 등)을 저장하며, 상기 중일정 DB(510)는 작업장의 특정 블록의 중일정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 장치(350)는 통신 확인부(351), 대차 위치 확인부(352), 블록 위치 확인부(353), 이동 블록 확인부(354), 작업 일정 확인부(35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 확인부(351)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센서부(410)로부터 출력된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DB 서버(500)에 전송하며, 이동 대차 위치 확인부(352)와 블록 위치 확인부(353)는 DB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 위치와 이동 대차 위치를 연산하며, 상기 이동 블록 확인부(354)는 이동 대차(300a)에 적치되어 이동중인 블록의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는 이동 대차 위치 확인부(352), 블록 위치 확인부(353)와 이동 블록 확인부(354)로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또는 정지시의 이동 대차 위치와 블록 위치를 표시하며, 작업 일정 확인부(355)는 작업장의 특정 블록의 중일정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를 통하여 조회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는 이동 대차(300)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대차(300)가 이동할 블록(420)까지 진입하여 리프트(320)를 이용해 블록(420)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보여준다.
오른쪽 제일 앞에 장착된 근접 센서(310)가 온 되는 순간부터 오프되는 순간까지의 시간과 이동 대차(300)의 속도를 이용해 블록(420)의 길이를 계산하고 작업 블록 DB(520)에서 해당 블록(420)을 찾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리모컨으로 대차(300)의 리프트를 상승시키는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상에는 해당 블록이 이동 중이라고 표시가 뜨고 이동 대차는 목적지로 이송을 시작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작업 순서도이고, 도 9은 도 8에 따른 상세 작업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일렬로 위치한 복수 개의 블록 지지대(400)를 따라서 레일(360) 위로 주행하는 이동 대차(300)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으로 상기 이동 대차(300)가 출발하여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하는 단계(S100); 상기 이동 대차(300)가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 후 블록(420)을 들어올려서 목적지에 도착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이동 대차(300)가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여 블록(420)을 내리고 센서 검출부(330)와 DB 서버(500)를 이용하여 블록 지지대(400), 이동 대차(300) 및 블록(420)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 대차(300)가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 후 블록(420)을 들어올려서 목적지에 도착하는 단계(S200)는 이동 대차가 블록을 들어올려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에 센서 검출부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DB 서버에 매칭시켜 이동 대차의 실시간 이동 위치를 확인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서 이동 대차가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하는 단계(S100)는 블록 이동 이벤트 발생 단계(S110), 해당 위치로 대차 이동 단계(S120), 구역별 블록 존재 확인 단계(S130), 블록 길이 계산 단계(S140), DB 상의 블록 확인 단계(S150) 및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하는 단계(S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 대차가 블록을 들어올린 후 목적지에 도착하는 단계(S200)는 리프트 업 및 블록 이동 알림 단계(S210), 블록 이동 단계(S220) 및 목적지 도착 단계(S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동 대차가 블록을 내리고 블록 및 대차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300)는 리프트 다운 및 이동 완료 알림 단계(S310), 블록 및 대차 위치 전송 단계(S320), 블록 현황 갱신 단계(S330) 및 작업 완료 단계(S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블록 이동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이동 대차의 센서 검출부(330)와 DB 서버(500) 검색을 통해 이동 대차 및 블록의 위치와 블록의 정보를 확인하고 블록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에 표시되는 블록 현황을 업데이트하는 작업 순서로 아래와 같다.
우선, 이동 대차(300a)는 이동해야 할 블록(420)이 생긴 경우로 블록(420) 이동 이벤트가 발생(수신)하면(S110), 작업자에 의한 리모컨은 해당 위치로 이동 대차를 이동시키고(S120), 이 때 이동 대차(300a)는 이동하는 구간에 존재하는 다른 블록들의 존재를 근접 센서(310)를 이용해서 확인하고(S130), 이동 대차(300a)는 근접 센서(310)가 켜졌다가 다시 꺼지는 시간과 주행 대차의 속도를 이용해 블록의 길이를 계산하고(S140), DB 서버(500)의 작업 블록 DB(520)에 저장된 블록 길이 정보와 매칭된 블록을 확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에 표시하고(S150), 이동되어야할 해당 블록에 도착한다(S160).
단계(S100)는 해당 위치로 이동 대차가 이동하면서 지나게 되는 복수 개의 블록들의 길이를 계산하며, 상기 이동 대차가 이동하는 중에는 계속해서 센서 신호와 DB 서버(500)를 이용해 블록의 정보와 위치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에 갱신한다.
해당 블록에 도착 후 작업자의 조정에 의한 리모콘은 이동 대차를 해당 작업 위치로 이동 및 정지시키고 이동 대차의 리프트(320)를 상승시켜 이동할 블록을 들어올리고(S210), 이 때 리모컨에서 리프트를 상승시키는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확인하여 블록이 이동할 예정이라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에 표시되고(S210), 리프트(320)에 의해 들어 올려진 블록이 목적지에 도착한다(S220,S230).
또한, 단계(S220)에서, 이동 대차는 블록을 들어올려 이동 예정 블록으로부터 목적지 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센서 검출부(330)를 통하여 센서부(41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정보를 DB 서버(500)에 매칭시켜 이동 대차와 블록의 실시간 이동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에 표시 및 갱신한다.
이 때 DB 서버(500)도 자동적으로 갱신됨은 물론이다.
이동 대차는 목적지에 도착해서 리프트가 하강하게 되고 이 신호를 이용하여 블록 이동 작업이 완료됨을 확인하고(S310), 그리고 이 때 이동 대차의 측면에 부착된 센서 검출부(330)와 DB 서버(500)를 이용하여 이동한 블록이 어느 위치에 놓여졌는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6)에 표시하고(S320), DB 서버(500)는 블록 현황을 갱신하고(S330), 작업을 완료한다(S340).
300 : 이동 대차 310 : 근접 센서
320 : 리프트 330 : 센서 검출부
350 : 제어 장치 360 : 레일
400 : 블록 지지대 410 : 센서부
500 : DB 서버

Claims (9)

  1. 일렬로 위치한 복수 개의 블록 지지대를 따라서 레일 위를 주행하는 복수 개의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내벽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센서부를 구비하는 상기 블록 지지대;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 지지대의 위치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DB 서버; 및
    상기 센서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DB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DB 서버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 따른 상기 블록 지지대의 위치를 수신받고 그에 따른 이동 대차의 위치를 획득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이동 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 무선 태그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 마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는 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의 센서 검출부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센서 검출부는 무선 태그 리더기 또는 마커 인식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는 리프트를 구비하지 않는 첫 번째와 끝 번째의 이동 대차의 상면 전방과 후방에 한 쌍의 근접 센서를 설치하고 주행중 블록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블록 위치를 결정하며 근접 센서가 지나간 블록의 길이를 계산하여 블록의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B 서버는 작업장에 고정되는 블록 지지대의 센서부에 대응하는 위치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위치 DB; 상기 블록 지지대 위에 적치된 블록 길이에 따른 블록의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 블록 DB 및 상기 작업장의 특정 블록의 중일정 정보를 저장하는 중일정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DB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 확인부; 상기 DB 서버로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이동 대차 위치와 블록 위치를 연산하는 이동 대차 위치 확인부와 블록 위치 확인부; 상기 이동 대차에 적치되어 이동중인 블록의 정보를 결정하는 이동 블록 확인부; 상기 대차 위치 확인부, 블록 위치 확인부와 이동 블록 확인부로부터 전송된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또는 정지시의 대차 위치와 블록 위치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작업장의 특정 블록의 중일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조회하는 작업 일정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7. 일렬로 위치한 복수 개의 블록 지지대를 따라서 레일 위를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대차가 출발하여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대차가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 후 블록을 들어올려서 목적지에 도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동 대차가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여 상기 블록을 내리고 센서 검출부와 DB 서버를 이용하여 블록 지지대, 이동 대차 및 블록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b)는 이동 대차가 블록을 들어올려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에 센서 검출부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DB 서버에 매칭시켜 이동 대차의 실시간 이동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블록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위치로 이동 대차가 이동하면서 지나게 되는 블록들의 길이를 계산하고 DB 서버와의 매칭을 통해 블록을 확인하고 이동 예정 블록에 도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목적지에 도착 후 상기 이동 대차의 리프트를 하강시키고 센서 검출부와 DB 서버를 이용하여 블록 위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고 DB 서버의 블록 현황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1020120133592A 2012-11-23 2012-11-23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66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92A KR20140066887A (ko) 2012-11-23 2012-11-23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592A KR20140066887A (ko) 2012-11-23 2012-11-23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887A true KR20140066887A (ko) 2014-06-03

Family

ID=51123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592A KR20140066887A (ko) 2012-11-23 2012-11-23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8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3019A (zh) * 2016-10-13 2018-04-20 雷蒙德股份有限公司 物料搬运车辆的手柄位置感测系统和方法
CN109625170A (zh) * 2018-10-31 2019-04-1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平板车联动运输船舶总段的方法
KR20210065338A (ko) 2019-11-27 2021-06-0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대차 식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3019A (zh) * 2016-10-13 2018-04-20 雷蒙德股份有限公司 物料搬运车辆的手柄位置感测系统和方法
CN107943019B (zh) * 2016-10-13 2022-07-29 雷蒙德股份有限公司 物料搬运车辆的手柄位置感测系统和方法
CN109625170A (zh) * 2018-10-31 2019-04-16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平板车联动运输船舶总段的方法
KR20210065338A (ko) 2019-11-27 2021-06-04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대차 식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3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ving pallets via unmanned motorized unit-guided forklifts
US10919745B2 (en) Automating the operation of vehicle lifts
US9317037B2 (en) Warehouse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JP7486546B2 (ja) 遠隔操作式車両および車両が走行しているトラックに対する車両の位置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CN101269751B (zh) 用于集装箱装载设备的定位系统
KR101510250B1 (ko) 컨베이어와 연계된 무인반송대차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158432B2 (ja) 在庫管理システム
US11008201B2 (en) Automated rolling-jack for drive-on lifts
TW200932646A (en) Automatic load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JP6514360B2 (ja) 車両物流管理システム
CN108238460B (zh) 光缆自动装车系统和方法
JP2009015684A (ja) 配車システム及び方法
JP6840369B2 (ja) 無人搬送車およびそれを用いた搬送作業方法
JP6547211B2 (ja) コンテナヤードおよびコンテナヤードの制御方法
KR20140066887A (ko) 레일을 주행하는 이동 대차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3988A (ko) 레이저 감지센서를 이용한 크레인의 위치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707950B1 (ko) 차량 접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223616B1 (ko) 스마트 피킹 카트 및 이를 이용한 피킹 방법
JP2010195583A (ja) 現品置場管理システム
CN115319321B (zh) 一种货运列车车厢智能检修系统及检修方法
JP2009107736A (ja) コイルの積み込み方法及び装置
CN111960283A (zh) 视觉识别钢卷自动装车系统
KR102225263B1 (ko) 스마트 카트
JPH0331121A (ja) 金属板コイルの出荷設備
CN112645222A (zh) 自动化集装箱起重机、控制系统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