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529A -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 - Google Patents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529A
KR20140066529A KR1020120133891A KR20120133891A KR20140066529A KR 20140066529 A KR20140066529 A KR 20140066529A KR 1020120133891 A KR1020120133891 A KR 1020120133891A KR 20120133891 A KR20120133891 A KR 20120133891A KR 20140066529 A KR20140066529 A KR 20140066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unit
metering
dyeing
weig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국
정의욱
Original Assignee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정의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정의욱 filed Critical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529A/ko
Publication of KR2014006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35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with pulling or pushing means on either stacking crane or stac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65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with self propell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387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combinatorial weighing, i.e. selecting a combination of articles whose total weight or number is closest to a desired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387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combinatorial weighing, i.e. selecting a combination of articles whose total weight or number is closest to a desired value
    • G01G19/39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combinatorial weighing, i.e. selecting a combination of articles whose total weight or number is closest to a desired value using two or more weighing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1Testing or calibrating of weigh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염료상자를 보관하는 염료적치대를 2줄로 나란히 마주보게 위치하고 그 사이에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복동식 스테커크레인이 설치된 염료적재부와, 상기 염료적치대 중 내측에 위치한 염료적치대의 중앙에 형성되며, 다수의 계량적치대가 나란히 순차적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염료계량작업시 상기 계량적치대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염료의 계량이 이루어지는 염료계량대기부와, 상기 염료계량대기부의 외측에는 염료를 계량하기 위한 대용량저울 및 소용량저울과 제어컴퓨터로 구성된 염료계량기와, 상기 염료계량기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로 이루어지는 염료계량부로 구성되는 염료계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료계량기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의 말단에 상용(常用)되는 색의 3원색을 상시 비치(備置)하기 위한 상용염료적재부가 더 구비된 구성이다.
따라서, 염료의 계량에 상시(常時) 상용(常用)되는 색의 3원색을 염료계량기의 근거리에 비치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염료의 계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염료계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염료의 계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The continuous measuring apparatus of dye}
본 발명은 염료의 연속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직물의 염색공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염료를 신속하게 계량할 수 있도록 한 염료의 연속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염료의 계량에 상시(常時) 상용(常用)되는 색의 3원색을 염료계량기의 근거리에 비치함으로써 염료계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염료의 계량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 염료의 연속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염색가공 산업은 많은 고용 인력의 창출과 함께 부가가치 측면에서도 많은 이익을 발생하고 있는 전통산업이었으나, 최근 인력부족, 인건비 상승, 생산기지의 해외 이전으로 인한 공동화 현상 등으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 요인은 염색가공 현장의 분진 발생과 단순반복 성격의 작업 및 중량물의 이송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실험실과는 달리 대량의 염색물을 취급하는 염색 현장의 경우 많은 양의 염료를 계량해야 하며, 이때 바가지로 염료를 퍼서 옮기는 과정에서 정확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하여 비위생적인 작업환경이 조장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국내외적으로 자동화 설비 도입이 서둘러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축비용이 매우 고가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장비들은 완전 자동화이며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데, 5g 이하의 염료를 계량할 경우가 많을 경우, 사람의 손으로 저울 계량을 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므로, 고가의 완전 자동화 설비보다는 저비용의 반자동 계량 장치에 대한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또한, 염료를 계량시에 염료 비산 등의 문제가 매우 심각하고, 또한 계량을 위해서는 염료창고에서 염료박스를 인력으로 이송하거나, 일정한 양을 계량해야 하므로, 반복적인 노동과 중량물 이송에 따른 직무기피 요인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로봇을 이용한 염료입출고 데크의 자동계량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염색과정에서 여러 색상의 염색처방이 동시에 주어질 경우 로봇이동레일을 따라 염료선반로봇이 이동하여 염료통 보관선반에 보관된 원하는 색상의 염료통을 필요한 색상의 수량만큼 염료계량부로 이송시킨 다음 작업자가 계량 저울을 이용하여 염료를 계량하고, 계량완료된 염료박스는 다시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켜 1회의 염색공정에 필요한 염료의 계량이 완료되나, 이러한 1회의 염색분량의 염료계량이 완료되면 다시 2회의 염색공정에 필요한 염료를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계량하여야 함으로 염료선반로봇이 로봇이동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횟수가 염료의 색상별로 2회 반복되어야 함으로서 계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렇듯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2731호는 염료의 연속계량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한 바 있으나, 염료를 계량하기 위하여 대기시키는 계량대기부를 전방계량부와 후방계량부로 나누어 따로 두어 1회의 염료 계량이 종료된 다음 2회의 염료 계량이 필요한 염료를 대기시킴으로써 계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계량대기부를 전방 및 후방으로 나누어 분리함으로써 염료보관함은 줄인채 대기함만 늘리는 장치 및 위치변경에 해당되어 혼란만 가중시키는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염료를 계량함에 있어 염료의 사용빈도 등의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염료 계량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2731호(2011년 09월 06일 공고)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염료계량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염료의 계량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염료계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료상자를 보관하는 염료적치대를 2줄로 나란히 마주보게 위치하고 그 사이에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복동식 스테커크레인이 설치된 염료적재부와, 상기 염료적치대 중 내측에 위치한 염료적치대의 중앙에 형성되며, 다수의 계량적치대가 나란히 순차적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염료계량작업시 상기 계량적치대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염료의 계량이 이루어지는 염료계량대기부와, 상기 염료계량대기부의 외측에는 염료를 계량하기 위한 대용량저울 및 소용량저울과 제어컴퓨터로 구성된 염료계량기와, 상기 염료계량기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로 이루어지는 염료계량부로 구성되는 염료계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료계량기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의 말단부에 상용(常用)되는 색의 3원색을 상시 비치(備置)하기 위한 상용염료적재부가 더 구비된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염료의 계량에 상시(常時), 상용(常用)되는 색의 3원색을 염료계량기의 근거리에 비치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염료의 계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염료계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염료의 계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측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료상자를 보관하는 염료적치대를 2줄로 나란히 마주보게 위치하고 그 사이에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복동식 스테커크레인이 설치된 염료적재부와, 상기 염료적치대 중 내측에 위치한 염료적치대의 중앙에 형성되며, 다수의 계량적치대가 나란히 순차적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염료계량작업시 상기 계량적치대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염료의 계량이 이루어지는 염료계량대기부와, 상기 염료계량대기부의 외측에는 염료를 계량하기 위한 대용량저울 및 소용량저울과 제어컴퓨터로 구성된 염료계량기와, 상기 염료계량기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로 이루어지는 염료계량부로 구성되는 염료계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료계량기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의 말단부에 상용(常用)되는 색의 3원색을 상시 비치(備置)하기 위한 상용염료적재부가 더 구비된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측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는 염료적재부(100)와, 염료계량대기부(200)와, 염료계량부(300)와, 상용염료적재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염료적재부(100)는 염료상자(10)를 보관할 수 있는 다열, 다층의 수납실로 된 염료적치대(110)(111)를 2줄로 나란히 마주보게 설치하고, 상기 염료적치대(110)(111) 사이에는 주행레일(121)을 따라 주행하는 복동식 스테커크레인(120)이 설치하여 염료적치대(110)(111)에 보관된 염료상자(10)를 선택적으로 출고 및 입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염료계량대기부(200)는 상기 염료적치대(110)(111) 중 내측에 위치한 염료적치대(111)의 중앙에 형성되며, 다수의 계량적치대(210)가 나란히 순차적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염료계량작업시 상기 계량적치대(210)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염료의 계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계량장치에는 총 4개의 계량적치대(210)를 구성한다.
상기 염료계량대기부(200)의 외측에는 염료계량부(300)를 구성하되, 상기 염료계량부(300)는 염료를 계량하기 위한 대용량저울(311) 및 소용량저울(312)과 제어컴퓨터(313)로 구성된 염료계량기(310)를 구성하고, 상기 염료계량기(310)는 이동레일(320)을 따라 수동조작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염료계량대기부(200)에는 총 4개의 계량적치대(210)를 구비하여 계량작업 시 4가지 색상의 염료가 항상 대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계량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소계량장치는 상용염료적재부(400)의 구성이 포함되며, 상기 상용염료적재부(400)는 상기 염료계량기(310)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320)의 말단부에 위치하여, 항시 염료의 제조 및 계량에 많이 사용되는 색의 3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상시 비치(備置)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염료의 계량에 많이 사용되는 색인 만큼 항상 계량기의 근거리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계량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상용염료적재부(400)는 2단 2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색의 3원색 중 더욱 사용량이 많은 색은 하나 더 적재함으로써 염료의 색이 완전 소진시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염료의 연소계량장치에는 염료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손잡이(510)와 바퀴(520) 및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대차(5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대차(500)를 통해 부족한 염료를 이송하여 상기 염료적재부(100)의 염료적치대(110)(111)에 적재하거나 상기 상용염료적재대(400)에 적재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연속계량장치를 이용한 염료계량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염료계량을 위한 작업지시가 내려지면 염료계량부(300)에 설치된 제어컴퓨터(313)의 제어프로그램에 여러 개의 작업지시 즉 처방이 동시에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컴퓨터(313)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처방 중 하나의 처방을 검색한 다음 작동시키면 통상의 방법과 같이 염료적재부(100)에 설치된 복동식 스테커크레인(120)이 이동하여 염료적치대(110)(111)에 보관된 특정 색상의 염료상자(10)와 다른 색상의 염료상자(10)를 염료계량대기부(200)인 계량적치대(210)에 차례대로 올려놓는다. 이때 이미 상용염료적재대(400)에는 많이 사용되는 색의 3원색에 해당하는 염료가 적재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처방의 내용으로 3가지 색상의 염료를 수동으로 계량한다.
만약, 상용염료적재대(400)에 적재되어 있는 색이 필요없다면, 첫 번째 처방을 위한 또 다른 색상의 염료상자(10)를 염료계량대기부(200)의 계량적치대(210)에 대기시킨다.
그러나, 염료의 처방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색의 3원색은 상기 상용염료적재대(400)에는 상시 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계량적치대(210)에 올려진 염료와 더불어 작업자가 처방의 내용으로 색상의 염료를 수동으로 계량하게 된다.
이때 염료의 량에 따라 대용량저울(311)과 소용량저울(312)을 선택사용한다.
상기 첫 번째 처방의 염료계량 중에 두 번째 처방에 해당하는 색상 중 계량적치대(210)와 상용염료적치대(400)에 이미 적재되어 있는 색상을 제외한 색상을 계량적치대(210)의 나머지 한 칸 또는 두 칸에 적재하여 대기시킨 후 작업자가 두 번째 처방의 내용으로 염료를 수동으로 계량하게 되며, 이때 복동식 스테커크레인(120)을 이용하여 두 번째 처방에서 필요하지 않은 염료를 계량적치대(210)에서 빼내어 염료적재부(100)의 염료적치대(110)(111)에 염료상자(10)를 다시 복귀하여 적재시킨다.
두 번째 처방에서 작업자가 수동 계량 중 제어컴퓨터(313)에서 세 번째 처방이 내려지면, 다시 복동식 스테커크레인(120)은 상기 염료적재부(100)의 염료적치대(110)(111)로부터 필요한 염료상자(10)를 출고하여 비어있는 상기 염료계량대기부(200)의 계량적치대(210)에 채워 넣음으로써 연속적으로 염료의 계량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염료계량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염료의 계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염료계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염료의 계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 : 염료상자 100 : 염료적재부
110, 111 : 염료적치대 120 : 스테커크레인
121 : 주행레일 200 : 염료계량대기부
210 : 계량적치대 300 : 염료계량부
310 : 염료계량기 311 : 대용량저울
312 : 소용량저울 313 : 제어컴퓨터
320 : 이동레일 400 : 상용염료적재부
500 : 대차 510 : 손잡이
520 : 바퀴

Claims (3)

  1. 염료상자(10)를 보관하는 염료적치대(110)(111)를 2줄로 나란히 마주보게 위치하고 그 사이에 주행레일(121)을 따라 주행하는 복동식 스테커크레인(120)이 설치된 염료적재부(100);와, 상기 염료적치대(110)(111) 중 내측에 위치한 염료적치대(111)의 중앙에 형성되며, 다수의 계량적치대(210)가 나란히 순차적으로 구성되게 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염료계량작업시 상기 계량적치대(210)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염료의 계량이 이루어지는 염료계량대기부(200);와, 상기 염료계량대기부(200)의 외측에는 염료를 계량하기 위한 대용량저울(311) 및 소용량저울(312)과 제어컴퓨터(313)로 구성된 염료계량기(310)와, 상기 염료계량기(310)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320)로 이루어지는 염료계량부(300);로 구성되는 염료계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염료계량기(310)를 수동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레일(320)의 말단부에 상용(常用)되는 색의 3원색을 상시 비치(備置)하기 위한 상용염료적재부(4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의 연속계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계량장치에는 염료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손잡이(510)와 바퀴(520) 및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대차(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의 연속계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염료적재부(400)는 2단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의 연속계량장치
KR1020120133891A 2012-11-23 2012-11-23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 KR20140066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891A KR20140066529A (ko) 2012-11-23 2012-11-23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891A KR20140066529A (ko) 2012-11-23 2012-11-23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529A true KR20140066529A (ko) 2014-06-02

Family

ID=5112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891A KR20140066529A (ko) 2012-11-23 2012-11-23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5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789A (ko) 2014-09-04 2016-03-14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염료의 연속계량장치
US10479602B2 (en) 2014-09-18 2019-11-19 Carmine Alexandre Cifelli Modular base for forming installations and method for storage by means of stacking and movement of ca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789A (ko) 2014-09-04 2016-03-14 대림스타릿 주식회사 염료의 연속계량장치
US10479602B2 (en) 2014-09-18 2019-11-19 Carmine Alexandre Cifelli Modular base for forming installations and method for storage by means of stacking and movement of ca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hsen et al. A framework for selection of material handling equipment in manufacturing and logistics facilities
KR102005035B1 (ko) 계량 시스템 및 계량 작업 방법
CN105417057B (zh) 一种实现货到人拣选、包装一体化的系统及方法
KR100214429B1 (ko) 조합 측정방법 및 조합 저울
ITMI932470A1 (it) Apparecchiatura per l'erogazione di sostanze fluide da miscelare
KR20140066529A (ko) 염료의 연속계량장치법
CN103489092A (zh) 电力系统电能表仓储和检定的自动化作业装置及作业方法
CN103552798B (zh) 片烟烟包穿梭式密集库的入库存储方法
CN204368538U (zh) 一种用于流水线上的钞捆称重剔除机构
CN109131963A (zh) 一种混合坚果包装设备
CN205381665U (zh) 一种实现货到人拣选、包装一体化的系统
KR101431510B1 (ko) 염료의 연속계량 시스템
KR101635869B1 (ko) 염료의 연속계량장치
CN205010513U (zh) 一种自动配方机
CN112478553A (zh) 一种紧致化机器人自动存取系统货物合箱方法
CN105151349A (zh) 一种自动配方机及其配方工艺
CN110949800A (zh) 一种混合坚果自动包装工艺
CN206295121U (zh) 一种新型智能书立
KR101062731B1 (ko) 염료의 연속계량장치 및 방법
CN208842651U (zh) 一种混合坚果包装设备
JP3174113U (ja) 半自動式組合せ秤
CN216094919U (zh) 一种双层筒纱输送称重装置
CN204388994U (zh) 磅秤结构
CN104973555B (zh) 液体肥料散装售肥系统及其散装液体肥料的配制方法
JP5766080B2 (ja) 組合せ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