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648A - 벽면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648A
KR20140065648A KR1020120131046A KR20120131046A KR20140065648A KR 20140065648 A KR20140065648 A KR 20140065648A KR 1020120131046 A KR1020120131046 A KR 1020120131046A KR 20120131046 A KR20120131046 A KR 20120131046A KR 20140065648 A KR20140065648 A KR 20140065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wall
vegetation block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023B1 (ko
Inventor
한승원
정명일
김재순
장하경
송정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2013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0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전면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블록이 식물 뿌리가 외부로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식생블록이 벽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대가 식생블록과 벽면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인접한 식생블록의 식물 뿌리가 상호 결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벽면녹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벽면녹화 시스템에서는 설치대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 설치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생블록과 벽면 사이가 차단되지 않고 소통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식생블록에 식재된 식물의 증산작용에 의한 건물의 온도저감 효과가 제대로 발휘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벽면녹화 시스템{wall-greening system}
본 발명은 벽면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면을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녹화시키는 벽면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 벽면을 식물을 이용하여 녹화시킴으로써, 건물의 미관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790호에는 화분을 이용한 건물 벽면의 녹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건물 벽면을 녹화할 때는, 통상 다수개의 화분을 설치대를 이용하여 건물 벽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벽면의 녹화 구조에서는 화분과 화분 사이의 영역을 제대로 녹화시키기가 어려웠다.
[선행기술문헌]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790호
따라서 근래에는 전면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블록 다수개를 상호 인접된 상태로 벽체 전면에 배치시켜 건물 벽면을 녹화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식생블록은 전면으로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여 내부에 상토가 충진된 상태에서 전면에 식물이 식재되며, 이와 같은 식생블록은 건물 벽면에 설치된 설치대를 통해 고성된다. 설치대는 건물 벽면을 덮어 가리도록 형성되고, 설치대에는 식생블록 사이를 차단된 상태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칸이 형성되며, 식생블록은 이러한 수용칸에 서랍형태로 끼워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벽면 녹화 구조에서는 식생블록 사이를 차단시키고 건물 벽면을 덮도록 마련된 설치대가 크고 무거워지기 때문에, 설치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어렵게 된다.
또한 식물을 이용하여 건물 벽면을 녹화시키게 되면, 식물이 태양광을 막아주고, 증산작용을 통해 수증기를 내뿜으면서 주변 기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건물 내부 실내온도를 낮추는 에너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데, 종래 벽면 녹화 구조와 같이 식물과 벽면 사이가 식생블록의 본체와 설치대를 통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는 식생블록에 식재된 식물의 증산작용을 통한 건물의 온도저감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물의 벽면을 녹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물 벽면에 간단한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고 식물과 벽면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식물의 증산작용에 의한 건물의 온도저감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되도록 마련된 벽면녹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시스템은 전면에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식생블록이 설치대를 통해 건물 벽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식생블록은 전면을 통해 식재된 식물의 뿌리 또는 잎이 외부로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식생블록이 상기 벽면에 접촉이 가능하고, 인접한 상기 식생블록의 식물 뿌리가 상호 결착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블록을 지지하여 상기 식생블록 사이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식생블록은 상토더미와, 수태와 코코넛섬유가 혼합된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토더미를 감싸는 혼합재와, 상기 혼합재 외면을 박스형태가 되도록 감싸는 철망을 포함하는 블록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을 통해 삽목(揷木)된 식물 뿌리가 상기 토양더미 속에 발근(發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혼합재를 구성하는 수태와 코코넛섬유의 혼합비는 1:1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철망은 적어도 상기 혼합재의 상ㆍ하면과 전ㆍ후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치대는 복수의 연결대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식생블록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칸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식생블록과 벽면 사이 및 인접한 상기 식생블록 사이가 상호 통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식생블록이 전방으로부터 상기 삽입칸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칸은 전ㆍ후 좌ㆍ우 상ㆍ하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치대는 알루미늄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벽면 쪽 상기 설치대의 상부에는 물을 공급하도록 관수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면녹화 시스템은 전면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블록이 식물 뿌리가 외부로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다수의 식생블록이 벽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대는 식생블록과 벽면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인접한 식생블록의 식물 뿌리가 상호 결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벽면녹화 시스템에서는 설치대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 설치대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생블록과 벽면 사이가 차단되지 않고 소통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식생블록에 식재된 식물의 증산작용에 의한 건물의 온도저감 효과가 제대로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색생블록이 설치대에 설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시스템에서 식생블록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시스템에서 식생블록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벽면에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식물이 생장되어 이웃하는 식생블록 사이가 식물을 통해 결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녹화 시스템은 전면에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식생블록(100)과, 이러한 식생블록(100)을 건물 벽체(2)의 벽면(2a)을 덮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설치대(200)를 구비한다.
식생블록(100)은 전면을 통해 식재된 식물(1)의 뿌리(1a)가 외부로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설치대(200)는 식생블록(100)과 벽면(2a)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호 인접한 식생블록(100)들의 식물(1) 뿌리(1a)가 상호 결착될 수 있는 상태로 식생블록(1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벽면녹화 시스템에서는 먼저 설치대(200)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어 설치대(200)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치대(200)는 복수의 연결대(21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식생블록(100)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칸(200a)이 형성되도록 골조 형태로 마련되고, 각각의 삽입칸(200a)은 식생블록(100)과 벽면(2a) 사이 및 인접한 식생블록(100) 사이가 상호 통하도록 함과 동시에 식생블록(100)이 전방으로부터 삽입칸(200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전ㆍ후 좌ㆍ우 상ㆍ하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골조 형태의 설치대(200)는 무게가 가벼워 통상적인 걸이구조를 통해서도 벽면(2a)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각각이 연결대(210) 사이는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설치대(200)는 벽면(2a)에 지지되는 상단 쪽 연결대(210)로부터 벽면(2a)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대(220)와, 연장대(220) 끝단에 벽체(2) 상단에 걸리도록 절곡 연장된 걸림대(2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대(200)는 걸림대(230)가 벽체(2) 상단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벽면(2a)에 간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벽면(2a)에 대한 설치대(200)의 고정력을 더 크게 하기 위해 걸림대(230)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벽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 설치대(200)의 무게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설치대(200)를 형성하는 각각의 연결대(210) 및 상기 연장대(220)와 걸림대(230)는 알루미늄재질을 통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벽면(2a) 쪽으로 상기 설치대(200)의 상부에는 설치대(200)에 설치되는 식생블록(100)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라인(300)이 설치되며, 관수라인(300)에는 복수의 물공급홀(310)이 형성된다. 본 벽면녹화 시스템의 경우 설치대(200)에 설치되는 식생블록(100)이 인접한 것끼리 상호 소통 가능하도록 마련되므로, 이와 같은 벽면녹화 시스템에서는 상기 관수라인(300)을 이용하여 설치대(200)의 상부 쪽으로만 물을 공급하더라도 각 식생블록(100)의 식물 쪽으로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골조 형태의 설치대(200)는 개방된 전면을 통해서도 식생블록으로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전방에 추가적인 물공급 구조를 설치하기에도 유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벽면녹화 시스템은 복수의 식생블록이 상하 방향으로만 적층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식생블록은 설치대의 형태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도 상호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식재된 식물(1)의 뿌리(1a) 또는 잎이 외부로 확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식생블록(100)은 블록본체(10)와, 블록본체(10) 전면에 식재된 식물(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록본체(10)는 상토더미(20)와, 수태(31)와 코코넛섬유(32)가 혼합된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토더미(20)를 감싸는 혼합재(30)와, 혼합재(30) 외면을 박스형태가 되도록 감싸는 철망(40)을 통해 구성된다.
상기 혼합재(30)는 수태(31)와 코코넛섬유(32)가 상호 얽히고설킨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토더미(20)를 감싼 상태로 내부에 가두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블록본체(10)에 식재되는 상기 식물(1)의 근부활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수태(31)는 보습력이 탁월하여 식물(1) 주변에 수분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식물(1)의 뿌리(1a) 생장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코코넛섬유(32)는 코코넛 껍질을 분쇄하여 추출한 섬유질을 통해 마련된 것으로, 공극을 형성하여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1)의 뿌리(1a)가 보다 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수태(31)의 량이 과도하게 많아질 경우 과습으로 인해 식물(1)의 뿌리(1a)가 썩게 될 우려가 생기고, 코코넛섬유(32)의 량이 과도해지면 공극이 너무 커지게 되면서 토양의 유실을 저지시키는 혼합재(30)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혼합재(30)를 구성하는 수태(31)와 코코넛섬유(32)는 중량비 1: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철망(40)은 블록본체(10)가 상자형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블록본체(10) 외면을 통기성이 확보된 상태로 마감함으로써, 상기 식물(1) 뿌리(1a)가 블록본체(10) 외부로도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블록본체(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에 혼합재(30)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혼합재(30) 위에 상토를 쌓아 상토더미(20)를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펼쳐진 혼합재(30)를 접어 상토더미(20)를 감싸 도 2b에 도시되는 혼합재 덩이(30A)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는 형성하고자 하는 식생블록(100) 모양의 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식생블록(100) 모양으로 마련되어 상부로 개방된 틀(미도시) 내면에 혼합재(30)를 깔고, 그 안에 상토더미(20)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혼합재(30)로 상토더미를 감싸 혼합재 덩이(30A)를 형성하게 되면, 식생블록(100)의 모양에 보다 가까운 혼합재 덩이(30A)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섬유 성분의 혼합재(30)는 자체적으로 접착력을 구비하므로, 상토더미(20)를 감싼 상태에서 겹쳐진 단부 사이를 가압할 경우 쉽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는 혼합재(30)를 상토더미(20) 외면에 더욱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의 혼합재 덩이(30A) 외면을 철망(40)으로 감싸게 되면 블록본체(1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일정크기로 미리 재단된 철망(40)은 혼합재 덩이(30A)를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과정에서 다수회 절곡되도록 접혀 블록본체(10)가 박스모양을 이루도록 블록본체(10) 표면을 마감하게 되고, 이 상태의 블록본체(10) 형상은 철망(40)을 통해 유지된다. 박스 형태로 접힌 철망(40)의 양단 사이는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끈이나 철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철망(40)의 경우 혼합재 덩이(30A)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철망(40)은 혼합재 덩이(30A)의 상ㆍ하면과 전ㆍ후면 둘레만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경우 철망(40)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철망(40)을 통해 블록본체(10)의 기본적인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식생블록(100) 상호 간의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게 된다. 철망(40)이 없는 블록본체(10)의 측면은 다수의 식생블록(100)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다른 블록본체(10)의 측면을 통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블록본체(10)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블록본체(10)의 전면을 통해 상기 식물(1)을 삽목(揷木)하고 생장시켜 식물(1)의 뿌리(1a)가 상토더미(20) 속에 발근(發根)되도록 하며, 식생블록(100)의 제조공정은 이로써 완료된다. 상기 식물(1)로는 잔디나 담쟁이덩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개별 식생블록(1)은 벽면(2a)에 설치된 설치대(200) 상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삽입칸(200a)에 끼워져 고정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이때 설치대(200) 상의 각 삽입칸(200a)은 상ㆍ하 및 좌ㆍ우 방향과 후방이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삽입칸(200a)에 삽입된 식생블록(100)은 벽면(2a)은 물론 이웃하는 식생블록(100)과 소통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식생블록(100)이 설치대(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식생블록(100)의 식물(1)의 성장을 진척시키게 되면, 개별 식생블록(100)의 내부 상토더미(20) 속으로 발근되어 있던 뿌리(1a)는 혼합재(30)와 철망(40)을 통과하여 해당 식생블록(100) 외부로 확장되고, 이 상태에서는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식생블록(100)의 식물(1) 뿌리(1a) 사이가 상호 얽혀지면서 이웃하는 식생블록(100) 사이가 자연스럽게 상호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식물(1) 뿌리(1a)의 확장성을 고려했을 때, 식물(1)을 식생블록(100) 전면에 삽목할 때는 식물(1) 사이가 조밀하게 되도록 밀식(密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벽면녹화 시스템에서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식생불록(100) 사이가 상호 안정적인 상태에서 한 몸을 이루게 되어 식생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의 시공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 인접한 식생블록(100)의 식물 사이가 상호 결착되는 구조에서는 자연히 식생블록(100)에 대한 식물(1)의 결합력도 커지게 되므로, 식생블록(100)으로부터 식물(1)이 탈락되는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벽면녹화 시스템과 같이 식생블록(100)과 벽면(2a) 사이가 차단되지 않고 소통이 가능한 상태에서는 식생블록(100)에 식재된 식물(1)의 증산작용에 의한 건물의 온도저감 효과가 제대로 발휘될 수 있게 되므로, 이와 같은 벽면녹화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건물의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 식물 1a; 뿌리
2: 벽체 2a: 벽면
10: 블록본체 20: 상토더미
30: 혼합재 30A: 혼합재 덩이
40: 철망 100: 식생블록
200: 설치대 210: 연결대
220: 연장대 230: 걸이대
300: 관수라인

Claims (7)

  1. 전면에 식물이 식재된 복수의 식생블록이 설치대를 통해 건물 벽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벽면녹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은 전면을 통해 식재된 식물의 뿌리 또는 잎이 외부로 확장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설치대는 상기 식생블록이 상기 벽면에 접촉이 가능하고, 인접한 상기 식생블록의 식물 뿌리가 상호 결착될 수 있도록 상기 식생블록을 지지하여 상기 식생블록 사이가 연결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록은 상토더미와, 수태와 코코넛섬유가 혼합된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토더미를 감싸는 혼합재와, 상기 혼합재 외면을 박스형태가 되도록 감싸는 철망을 포함하는 블록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을 통해 삽목(揷木)된 식물 뿌리가 상기 토양더미 속에 발근(發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재를 구성하는 수태와 코코넛섬유의 혼합비는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은 적어도 상기 혼합재의 상ㆍ하면과 전ㆍ후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복수의 연결대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식생블록의 형태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칸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식생블록과 벽면 사이 및 인접한 상기 식생블록 사이가 상호 통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식생블록이 전방으로부터 상기 삽입칸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칸은 전ㆍ후 좌ㆍ우 상ㆍ하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알루미늄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쪽 상기 설치대의 상부에는 물을 공급하도록 관수라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시스템.





KR1020120131046A 2012-11-19 2012-11-19 벽면녹화 시스템 KR101472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46A KR101472023B1 (ko) 2012-11-19 2012-11-19 벽면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46A KR101472023B1 (ko) 2012-11-19 2012-11-19 벽면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48A true KR20140065648A (ko) 2014-05-30
KR101472023B1 KR101472023B1 (ko) 2014-12-12

Family

ID=5089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46A KR101472023B1 (ko) 2012-11-19 2012-11-19 벽면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0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46B1 (ko) * 2019-06-20 2020-12-21 주식회사 포이엔 응집성 상토를 이용한 입체 녹화용 식생기반재
KR102603083B1 (ko) * 2022-08-08 2023-11-17 조재우 발포 인공토양을 이용한 벽면 녹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016B1 (ko) 2019-02-26 2019-05-31 주식회사 나인포조경 미세먼지 저감과 재활용이 가능한 에코백 벽면녹화 시스템
KR102209896B1 (ko) 2020-08-05 2021-02-01 (주)도시농부 벽면녹화 공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744A (ja) * 2001-12-25 2003-07-08 Ryozo Takano 屋上緑化の金網ブロックユニット化工法並に金網ブロック
KR20040016003A (ko) * 2002-08-14 2004-02-21 (주)대우건설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벽면녹화방법
KR200335230Y1 (ko) * 2003-08-28 2003-12-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구조물 벽면녹화시스템
KR100906623B1 (ko) * 2008-05-30 2009-07-09 (주)이텍 벽면 녹화용 녹화블록을 이용한 벽면 녹화 구조 및 그 벽면녹화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446B1 (ko) * 2019-06-20 2020-12-21 주식회사 포이엔 응집성 상토를 이용한 입체 녹화용 식생기반재
KR102603083B1 (ko) * 2022-08-08 2023-11-17 조재우 발포 인공토양을 이용한 벽면 녹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023B1 (ko) 2014-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605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стенного цветник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337425B1 (ko) 녹화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448520Y1 (ko) 옥상 및 벽면녹화용 덩굴식물 화분 어셈블리
KR101472023B1 (ko) 벽면녹화 시스템
JP2004248533A (ja) 植栽緑化壁
CN109168942A (zh) 装配式屋顶绿化植物支撑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JP2008113577A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JP2002330631A (ja) 立体プランター
KR101465076B1 (ko)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203135B1 (ko)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및 공법
JP2004254559A (ja) 緑化パネル
EP1185159B1 (en) Plant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lant support
JP3260119B2 (ja) 法面の植栽棚併用緑化工法
JP6166570B2 (ja) 建造物における壁面緑化用苗床、壁面緑化用ユニットおよび壁面緑化装置
JP3157945U (ja) 緑化パネル
JP3825758B2 (ja) 斜面の緑化工法、並びに緑化防護柵および斜面の緑化構造
KR200449765Y1 (ko)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KR100938140B1 (ko)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7174919A (ja) ホールドバッグ植栽マットとそれを用いたtk植栽緑化工法
JP2014176321A (ja) 高設栽培装置及び高設栽培方法
JP5943268B2 (ja) 緑化装置
JP6333642B2 (ja) 緑化用プラン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緑化壁
KR100931643B1 (ko) 압축성형 식생 코이어상자
JP2936508B2 (ja) プランターボックス及びプラン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