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076B1 -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076B1
KR101465076B1 KR1020120131045A KR20120131045A KR101465076B1 KR 101465076 B1 KR101465076 B1 KR 101465076B1 KR 1020120131045 A KR1020120131045 A KR 1020120131045A KR 20120131045 A KR20120131045 A KR 20120131045A KR 101465076 B1 KR101465076 B1 KR 10146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block
vegetation
plant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647A (ko
Inventor
한승원
정명일
김재순
장하경
송정섭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31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0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Abstract

상토더미와, 수태와 코코넛섬유가 혼합된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토더미를 감싸는 혼합재와, 상기 혼합재 외면을 박스형태가 되도록 감싸는 철망을 포함하는 블록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을 통해 삽목(揷木)된 식물 뿌리가 상기 상토더미 속에 발근(發根)되도록 마련된 식생블록의 구조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식생블록은 전면에 식재어 토양더미에 발근된 식물의 뿌리가 성장 과정에서 혼합재와 철망을 통해 외부로 식생블록 외부로 확장될 수 있게 되므로, 인접한 식생블록 사이가 식물 뿌리를 통해 상호 결착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간편해지고, 식생블록에 대한 식물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식생블록으로부터 식물의 탈력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vegetation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녹화를 위해 이용되는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 벽면을 식물을 이용하여 녹화시킴으로써, 에너지가 절감효과가 발휘되도록 하면서도 건물의 미관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790호에는 화분을 이용한 건물 벽면의 녹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건물 벽면을 녹화할 때는, 통상 다수개의 화분을 설치대를 이용하여 건물 벽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벽면의 녹화 구조에서는 수직 조건에서 식물을 고정하기 위해 화분 구조의 비중이 커지고 수직면 식재로 인해 토양이 유실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화분과 화분 사이의 영역을 제대로 녹화시키가 힘들고, 벽면의 전면 피복이 어려웠다.
[선행기술문헌]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3790호
따라서 근래에는 전면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블록 다수개를 상호 인접된 상태로 벽체 전면에 배치시켜 건물 벽면을 녹화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식생블록은 전면으로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에 상토를 충진시키고, 상토가 충진된 본체 전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마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식생블록을 이용하여 벽면을 녹화시키는 과정에서는 벽면 전면에 적층되도록 설치된 식생블록들이 전방으로 전도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식생블록을 벽면에 고정시키거나 인접한 식생블록 사이를 고정시키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전면이 개방된 통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는 식생블록은 개방된 본체 전면을 통해 상토가 유실되면서 식생블록에 식재된 식물이 쉽게 탈락될 수 있기 때문에, 벽면에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자주 보수를 해주어야만 하는 문제점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물의 벽면을 녹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물 벽면에 간단한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함은 물론 식재된 식물이 탈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은 상토더미와, 수태와 코코넛섬유가 혼합된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토더미를 감싸는 혼합재와, 상기 혼합재 외면을 박스형태가 되도록 감싸는 철망을 포함하는 블록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을 통해 삽목(揷木)된 식물 뿌리가 상기 상토더미 속에 발근(發根)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혼합재를 구성하는 수태와 코코넛섬유의 혼합비는 1:1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철망은 적어도 상기 혼합재의 상ㆍ하면과 전ㆍ후면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수태와 코코넛섬유가 혼합된 그물형태의 혼합재로 상토더미를 감싸고, 상기 상토더미를 감싼 상기 혼합재 외면을 박스형태가 되도록 철망으로 감싸 블록본체를 제작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전면을 통해 식물을 삽목(揷木) 번식시킨 후 생장시켜 상기 상토더미 속에 상기 식물 뿌리가 발근(發根)되도록 하여 식생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합재는 상기 수태와 코코넛섬유의 혼합비가 1:1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철망은 적어도 상기 혼합재의 상ㆍ하면과 전ㆍ후면 둘레를 감싸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생블록은 내부 상토더미에 발근되도록 식재된 식물의 뿌리와 잎이 혼합재와 철망을 통해 외부로 확장될 수 있도록 유도된다. 따라서 본 식생블록을 적층하여 벽면을 녹화 시공하게 되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한 식생블록 사이가 식물 뿌리를 통해 상호 결착된 상태로 한 몸을 이루게 되므로 식생블록을 이용한 벽면의 시공성이 향상된다. 또 표면이 철망으로 마감된 식생블록은 걸림성이 우수하여 단순한 형태의 걸이나 설치대를 통해서도 벽면에 쉽게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시 벽면에 대한 고정작업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벽면에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접한 식생블록의 식물 사이가 상호 결착된 상태에서는 자연히 식생블록에 대한 식물의 결합력도 커지게 되므로, 상기 식생블록을 통해 벽면을 녹화 시공하게 되면, 식생블록으로부터 식물이 탈락되는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전면에 식재된 식물 뿌리가 외부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의 구조가 도시되며, 도 2에는 식생블록()의 제조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100)은 블록본체(10)와, 블록본체(10)에 식재된 식물(1)을 구비한다.
이중 먼저 블록본체(10)는 상토더미(20)와, 수태(31)와 코코넛섬유(32)가 혼합된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토더미(20)를 감싸는 혼합재(30)와, 혼합재(30) 외면을 박스형태가 되도록 감싸는 철망(40)을 통해 구성된다.
이중 상기 혼합재(30)는 수태(31)와 코코넛섬유(32)가 상호 얽히고설킨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토더미(20)를 감싼 상태로 내부에 가두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블록본체(10)에 식재되는 상기 식물(1)의 근부활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수태(31)는 보습력이 탁월하여 식물(1) 주변에 수분이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식물(1)의 뿌리(1a)나 잎의 생장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코코넛섬유(32)는 코코넛 껍질을 분쇄하여 추출한 섬유질을 통해 마련된 것으로, 공극을 형성하여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함과 동시에 식물(1)의 뿌리(1a)가 보다 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수태(31)의 량이 과도하게 많아질 경우 과습으로 인해 식물(1)의 뿌리(1a)가 썩게 될 우려가 생기고, 코코넛섬유(32)의 량이 과도해지면 공극이 너무 커지게 되면서 토양의 유실을 저지시키는 혼합재(30)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혼합재(30)를 구성하는 수태(31)와 코코넛섬유(32)는 중량비 1: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철망(40)은 블록본체(10)가 상자형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블록본체(10) 외면을 통기성이 확보된 상태로 마감함으로써, 상기 식물(1)의 뿌리(1a)나 잎이 블록본체(10) 외부로도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블록본체(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에 혼합재(30)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혼합재(30) 위에 상토를 쌓아 상토더미(20)를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펼쳐진 혼합재(30)를 접어 상토더미(20)를 감싸 혼합재 덩이(30A)를 형성하게 된다. 도 2b에는 형성된 혼합재 덩이(30A)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때는 형성하고자 하는 식생블록(100) 모양의 틀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식생블록(100) 모양으로 마련되어 상부로 개방된 틀(미도시) 내면에 혼합재(30)를 깔고, 그 안에 상토더미(20)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혼합재(30)로 상토더미(20)를 감싸 혼합재 덩이(30A)를 형성하게 되면, 식생블록(100)의 모양에 보다 가까운 혼합재 덩이(30A)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섬유 성분의 혼합재(30)는 자체적으로 접착력을 구비하므로, 상토더미(20)를 감싼 상태에서 겹쳐진 단부 사이를 가압할 경우 쉽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는 혼합재(30)를 상토더미(20) 외면에 더욱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의 혼합재 덩이(30A) 외면을 철망(40)으로 감싸게 되면 블록본체(10)의 제작이 완료된다. 일정크기로 미리 재단된 철망(40)은 혼합재 덩이(30a)를 밀착된 상태로 감싸는 과정에서 다수회 절곡되도록 접혀 블록본체(10)가 박스모양을 이루도록 블록본체(10) 표면을 마감하게 되고, 이 상태의 블록본체(10) 형상은 철망(40)을 통해 유지된다. 박스 형태로 접힌 철망(40)의 양단 사이는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끈이나 철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철망(40)의 경우 혼합재 덩이(30A)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철망(40)은 혼합재 덩이(30A)의 상ㆍ하면과 전ㆍ후면 둘레만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경우 철망(40)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철망(40)을 통해 블록본체(10)의 기본적인 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식생블록(100) 상호 간의 안정적인 적층이 가능하게 된다. 철망(40)이 없는 블록본체(10)의 측면은 다수의 식생블록(100)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다른 식생블록(100)의 블록본체(10)의 측면을 통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10)의 제작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블록본체(10)의 전면을 통해 상기 식물(1)을 삽목(揷木)하고 생장시켜 식물(1)의 뿌리(1a)가 상토더미(20) 속에 발근(發根)되도록 하며, 식생블록(100)의 제조공정은 이로써 완료된다. 상기 식물(1)로는 잔디나 담쟁이덩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식생블록(100)은 시공과정에서 식물(1)의 생장을 더욱 진척시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상토더미(20) 속에 발근된 뿌리(1a)가 혼합재(30)와 철망(40)을 통과하여 외부로 쉽게 확장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식생블록(100)을 적층시켜 건물 벽면을 녹화시키게 되면, 인접한 식생블록(100)의 식물(1) 뿌리(1a) 사이가 상호 얽혀지면서 이웃하는 식생블록(100) 사이가 자연스럽게 상호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식물(1) 뿌리(1a)의 확장성을 고려했을 때, 식물(1)을 식생블록(100) 전면에 삽목할 때는 식물(1) 사이가 조밀하게 되도록 밀식(密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식생블록(100)을 적층하여 벽면을 녹화 시공하게 되면,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식생불록(100) 사이가 상호 안정적인 상태에서 한 몸을 이루게 되어 식생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의 시공성이 향상된다. 또 표면이 철망(40)으로 마감된 식생블록(100)은 걸림성이 우수하여 단순한 형태의 걸이나 설치대를 통해서도 벽면에 쉽게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시 벽면에 대한 고정작업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벽면에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접한 식생블록(100)의 식물(1) 사이가 상호 결착된 상태에서는 자연히 식생블록(100)에 대한 식물(1)의 결합력도 커지게 되므로, 상기 식생블록(100)을 통해 벽면을 녹화 시공하게 되면, 식생블록(100)으로부터 식물(1)이 탈락되는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식물 1a: 뿌리
10: 블록본체 20: 상토더미
30: 혼합재 30A: 혼합재 덩이
40: 철망 100: 식생블록

Claims (6)

  1. 벽면의 녹화를 위해 다수개가 벽면 전방에 수평 및 수직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식생블록에 있어서,
    상토더미와, 수태와 코코넛섬유가 혼합된 그물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토더미를 감싸는 혼합재와, 상기 혼합재 외면의 적어도 4면을 감싸는 철망을 포함하는 블록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 전면의 상기 철망을 통해 삽목(揷木)된 식물 뿌리가 상기 상토더미 속에 발근(發根)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적층시 상하로 인접하는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철망이 감싸진 부분끼리 이웃하고, 좌우로 인접하는 상기 블록본체는 상기 철망이 감싸지지 아니한 부분끼리 이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재를 구성하는 수태와 코코넛섬유의 혼합비는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
  3. 삭제
  4. 상토더미를 마련하고,
    상기 상토더미를 수태와 코코넛섬유가 혼합된 그물형태의 혼합재로 감싸고, 상기 상토더미를 감싼 상기 혼합재 외면의 적어도 4면을 철망으로 감싸 블록본체를 제작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상기 철망이 감싸진 면을 통해 식물을 삽목(揷木) 번식시킨 후 생장시켜 상기 상토더미 속에 상기 식물 뿌리가 발근(發根)되도록 하는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재는 상기 수태와 코코넛섬유의 혼합비가 1:1인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철망은 적어도 상기 혼합재의 상ㆍ하면과 전ㆍ후면 둘레를 감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20131045A 2012-11-19 2012-11-19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45A KR101465076B1 (ko) 2012-11-19 2012-11-19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45A KR101465076B1 (ko) 2012-11-19 2012-11-19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47A KR20140065647A (ko) 2014-05-30
KR101465076B1 true KR101465076B1 (ko) 2014-11-26

Family

ID=5089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45A KR101465076B1 (ko) 2012-11-19 2012-11-19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17Y1 (ko) 2017-07-25 2018-05-04 주식회사 에코피아 에코 식생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206A (ko) 2015-03-09 2016-09-21 곽선경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102193446B1 (ko) * 2019-06-20 2020-12-21 주식회사 포이엔 응집성 상토를 이용한 입체 녹화용 식생기반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744A (ja) * 2001-12-25 2003-07-08 Ryozo Takano 屋上緑化の金網ブロックユニット化工法並に金網ブロック
KR200339590Y1 (ko) * 2003-10-10 2004-01-24 오세권 착생난류 식재용 화분
KR101111970B1 (ko) 2009-02-25 2012-02-14 차응섭 친환경 배양토 유실방지용 경사면 식생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744A (ja) * 2001-12-25 2003-07-08 Ryozo Takano 屋上緑化の金網ブロックユニット化工法並に金網ブロック
KR200339590Y1 (ko) * 2003-10-10 2004-01-24 오세권 착생난류 식재용 화분
KR101111970B1 (ko) 2009-02-25 2012-02-14 차응섭 친환경 배양토 유실방지용 경사면 식생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17Y1 (ko) 2017-07-25 2018-05-04 주식회사 에코피아 에코 식생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47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111B1 (ko) 습지식물의 근경을 이용한 부유형 매트의 제조방법 및 조성방법
JP2009095241A (ja) 接木苗の生産方法
KR101465076B1 (ko)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472023B1 (ko) 벽면녹화 시스템
JP5291730B2 (ja) 防草マット
KR20160048614A (ko) 철망 녹화블록
CN103477902B (zh) 一种压条蔸包的制作方法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JP2010242422A (ja) 緑化用石詰篭構造体及び緑化用擁壁
KR101187777B1 (ko) 인공지반녹화에 적용가능한 식생블럭
KR101321473B1 (ko) 식생토낭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식생토낭을 이용한 옹벽 축조 구조
JP2016171771A (ja) 挿し木苗を製造するための資材及び挿し木苗の製造方法
KR100859853B1 (ko) 식생매트리스의 제조 및 시공 방법
KR101359199B1 (ko)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JP2000054343A (ja) 護岸緑化用植生土のう蛇籠工法
JP3157945U (ja) 緑化パネル
JP2008289425A (ja) 取木用ポット
KR100880162B1 (ko) 사면 녹화공법
JP3825758B2 (ja) 斜面の緑化工法、並びに緑化防護柵および斜面の緑化構造
KR101688778B1 (ko) 에코매트가 포함된 식생용 개비온
KR101352043B1 (ko) 식생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93317B1 (ko) 조개형 화분
US20170233964A1 (en) Highly compacted leaf bales for use as erosion control berm and methods of using same
JP3156014U (ja) 積層段ボール製着生植物用植え込み材
JP5943268B2 (ja) 緑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