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199B1 -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199B1
KR101359199B1 KR1020130011143A KR20130011143A KR101359199B1 KR 101359199 B1 KR101359199 B1 KR 101359199B1 KR 1020130011143 A KR1020130011143 A KR 1020130011143A KR 20130011143 A KR20130011143 A KR 20130011143A KR 101359199 B1 KR101359199 B1 KR 101359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schizandra
schisandra chinensis
fram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철
Original Assignee
원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철 filed Critical 원종철
Priority to KR102013001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06Trellis-wor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 줄기를 복층으로 유인하여 기존의 아치형상의 단층시설에서 재배하는 것보다 단위면적당 오미자 생산량을 2배 내지 4배 정도 늘일 수 있게 한 구조의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미자 줄기를 유인하는 유인와이어를 복층으로 설치하되, 상층 자리에는 1년차 오미자 줄기를 배치시켜 성장과 화아 형성에 필요한 햇빛을 받을 수 있게 하고, 하층 자리에는 2년차의 오미자 줄기를 배치시켜 오미자의 개화 결실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오미자가 수확된 줄기는 제거하고, 새줄기로 대치하여 계속해서 젊음을 유지도록 관리하여 격년격실 없이 해마다 오미자의 생산량을 다수확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Duplex House Type The stem guide-frame of schisandra cultivation and method for schisandra cultivation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오미자 줄기를 복층으로 유인하여 기존의 아치형상의 단층시설에서 재배하는 것보다 단위면적당 오미자 생산량을 2배 내지 4배 정도 늘일 수 있게 한 구조의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미자 줄기를 유인하는 유인와이어를 복층으로 설치하되, 상층 자리에는 1년차 오미자 줄기를 배치시켜 성장과 화아 형성에 필요한 햇빛을 받을 수 있게 하고, 하층 자리에는 2년차의 오미자 줄기를 배치시켜 오미자의 개화 결실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 오미자의 생산량을 기존보다 2배 내지 4배 정도 늘일 수 있게 구성된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미자는 다년생 만목 식물로 줄기를 유인하여 재배해야 한다.
종래의 오미자 유인틀은 도 11과 같이 아치형 형의 단층시설의 외측에 네트를 설치하여 오미자를 재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오미자 유인틀은 간격이 약 6m ~ 7m 정도로 넓어 유휴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또한 단층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묵은 줄기를 갱신할 때 대체할 새줄기의 육성이 어렵기 때문에 4년 이후에는 수확량이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묵은 줄기를 갱신할 수 없어 조기 노화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미자 유인틀은 프레임의 외측에 네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오미자 줄기가 서로 엉켜 햇빛을 못받은 일부 줄기가 발생되어 수확량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오미자 줄기를 복층으로 유인하여 기존의 아치형상의 단층시설에서 재배하는 것보다, 격년격실 없이 단위면적당 오미자 생산량을 2배 내지 4배 정도 늘일 수 있게 한 구조의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오미자 줄기를 유인하는 유인와이어를 복층으로 설치하되, 상층 자리에는 1년차 오미자 줄기를 배치시켜 성장과 화아 형성에 필요한 햇빛을 받을 수 있게 하고, 하층 자리에는 2년차의 오미자 줄기를 배치시켜 오미자의 개화 결실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 오미자의 생산량을 기존보다 2배 내지 4배 정도 늘일 수 있게 구성된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지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양측이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부가 삼각 지붕 형태로 절곡된 하우스 형태의 제 1연결프레임(10);과,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을 상호 연결시켜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의 하부 양측과, 절곡된 상단 꼭지점 및 절곡된 중단 양측 3개소에 배치되는 봉형태의 제 2연결프레임(20);과, 상기 제 1연결프레임(10)의 상단 꼭지점 및 절곡된 중단 양측 3개소에 각각 연결된 제 2연결프레임(20)과 연결와이어(50)를 통해 내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봉형태의 제 3연결프레임(30);과, 생장하는 오미자 줄기를 복층으로 유인하여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각 제 2연결프레임(20) 및 상기 각 제 3연결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제 1연결프레임(10)의 형상과 같은 형태로 결속되는 유인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연결프레임(20)과 제 3연결프레임(30)에 복층으로 연결되는 유인와이어(40)의 양측 하부는 상기 각 제 2연결프레임(20)의 양측 하부에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로써, 상기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은 병렬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의 양측 하부가 상호 결속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4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오미자는 오미자 줄기가 양측방향으로 유인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의 사이에서 재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5발명은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설치된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과,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의 사이에 오미자 1년생 묘목을 심는는 단계;(S10)와, 1년차로 생장된 오미자 줄기는 각각 선택되는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의 제 2연결프레임에 연결된 유인와이어에 감아 유인시켜 육성하는 단계;(S20)와, 육성된 2년차 오미자 줄기가 감긴 유인와이어를 제 2연결프레임에서 탈거하여 제 3연결프레임에 연결시켜 육성하는 단계;(S30)와, 새롭게 자란 1년차의 오미자 줄기는 제 2연결프레임에서 자리가 빈 자리에 새로운 유인와이어를 상기 제 2연결프레임에 결속시켜 유인하여 육성하는 단계;(S40)와, 2년차 가을에는 제 3연결프레임에 결속된 유인와이어에서 결실된 오미자 열매를 수확후 하부에서 2 ~ 3개의 눈만 남기고 잘라내는 단계;(S50) 및 제 3연결프레임에 결속된 유인와이어에 제 2연결프레임과 결속된 유인와이어에서 육성된 2년차 오미자 줄기 중 충실한 줄기만 골라 옮기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에 따르면, 적은 토지의 사용량으로 오미자 생산량을 2배 내지 4배 정도 늘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을 다수 설치할 경우, 일부의 프레임을 서로 공유하여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미자 줄기를 유인하는 유인와이어를 복층으로 설치하되, 상층 자리에는 1년차 오미자 줄기를 배치시켜 성장과 화아 형성에 필요한 햇빛을 받을 수 있게 하고, 하층 자리에는 2년차의 오미자 줄기를 배치시켜 오미자의 개화 결실에 지장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을 병렬로 설치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의 순서도,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순서도에 따른 단계별 사용상태도,
도 11은 종래의 오미자 유인틀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을 병렬로 설치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위면적당 오미자 생산량을 2배 내지 4배 정도 늘일 수 있도록 오미자를 줄기를 유인하는 유인와이어를 복층으로 한 구조의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은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제 1연결프레임(10)과, 제 2연결프레임(20)과, 제 3연결프레임(30) 및 유인와이어(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연결프레임(10)은 약 3m ~ 4m 정도의 아치형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지면에서 일정간격으로 양측이 매립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부가 삼각 지봉 형태로 절곡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연결프레임(20)은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을 상호 연결시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선형의 봉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연결프레임(20)은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의 하부 양측 2개소와, 절곡된 상단 꼭지점 및 절곡된 중단 양측 3개소에 배치되어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과 상호 연결되어 기초적인 골격을 이루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 3연결프레임(30) 역시 선형의 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각 제 2연결프레임(20)의 내측 방향에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제 3연결프레임(30)은 상기 유인와이어(40)를 복층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연결프레임(10)의 상단 꼭지점 및 절곡된 중단 양측 3개소에 각각 연결된 제 2연결프레임(20)과 연결와이어(50)를 통해 연결되어 내측 골격을 이루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유인와이어(40)는 생장하는 오미자 줄기를 복층으로 유인하여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각 제 2연결프레임(20) 및 상기 각 제 3연결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제 1연결프레임(10)의 형상과 같은 형태로 결속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각 유인와이어(40)의 양측 하부는 상기 각 제 2연결프레임(20)의 양측 하부에 결속된다.
상술된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병렬로 다수 설치되는 구조이며, 이 때 상기 각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은 각 제 1연결프레임(10)의 양측 하부가 상호 결속구조이다.
그리고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과,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의 사이에는 제 1연결프레임(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2연결프레임(20)이 상호 공유되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도 4 및 도 5에 도시)
또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각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은 보강을 위해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의 하부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결속되는 보강프레임(60)이 결속된다. 특히 유인틀(100)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되는 보강프레임(60)은 인접한 유인틀(100)과 공유되어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오미자는 오미자 줄기가 양측방향으로 유인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의 사이에서 재배되며, 재배되는 오미자 줄기는 각각의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에 연결되는 유인와이어(40)에 복층으로 유인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오미자 줄기를 복층으로 유인하여 기존의 아치형상을 갖는 단층시설에서 재배하는 것보다, 격년격실 없이 단위면적당 오미자 생산량을 2배 내지 4배 정도 늘일 수 있게 한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의 설치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연결프레임(10)의 양측을 지면에 매설하여 고정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 제 2연결프레임(20)을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의 하부 양측 2개소와, 절곡된 상단 꼭지점 및 절곡된 중단 양측 3개소에 배치시켜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과 조리개 또는 케이블 타이와 같은 연결수단으로 상호 연결시켜 기초적인 골격을 형성한다.
이 후 제 3연결프레임(30)을 상기 제 1연결프레임(10)의 상단 꼭지점 및 절곡된 중단 양측 3개소에 각각 연결된 제 2연결프레임(20)과 각각 연결와이어(50)를 통해 연결시켜 제 1연결프레임(10)의 내측 3개소에 각각 배치시킨다.
이 후 유인와이어(40)를 제 2연결프레임(20)에 결속시키고 오미자줄기를 유인와이어(40)에 감아 유인시킨다.(도 8참조)
그리고 육성된 오미자 줄기가 감긴 상기 유인와이어(40)를 제 2연결프레임(20)에서 탈거하여 제 3연결프레임(30)에 연결시킨다.(도 9참조)
이 후 자리가 빈 유인와이어(40)의 자리에 새롭게 자란 오미자 줄기를 유인시킬 수 있도록 새로운 유인와이어(40)를 제 2연결프레임(20)에 결속시켜 완성한다.(도 10참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순서도에 따른 단계별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은 하기와 같다.
S10: 먼저 설치된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과,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의 사이에 오미자 묘목을 심는다.(도 7에 도시)
S20: 그리고 1년차로 생장된 오미자 줄기는 각각 선택되는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의 제 2연결프레임(20)에 연결된 유인와이어(40)에 감아 유인시켜 육성한다.(도 8에 도시)
S30: 육성된 2년차 오미자 줄기가 감긴 유인와이어(40)를 제 2연결프레임(20)에서 탈거하여 제 3연결프레임(30)에 연결시켜 육성한다.(도 9에 도시)
S40: 새롭게 자란 1년차의 오미자 줄기는 제 2연결프레임(20)에서 자리가 빈 자리에 새로운 유인와이어(40)를 상기 제 2연결프레임(20)에 결속시켜 유인하여 육성한다.(도 5의 (a) 및 도 9참조)
S50: 2년차 가을에는 제 3연결프레임(30)에 결속된 유인와이어(40)에서 결실된 오미자 열매를 수확 후 하부에서 2 ~ 3개의 눈만 남기고 잘라낸다.(도 5의 (b) 및 도 10참조)
S60: 그리고 제 3연결프레임(30)에 결속된 유인와이어(40)에 제 2연결프레임(20)에 결속된 유인와이어에서 육성된 2년차 오미자 줄기 중 충실한 줄기만 골라 옮겨준다.
이와 같이, 제 3연결프레임에 결속된 유인와이어에서 한번 수확한 줄기는 2 ~ 3개의 눈만 남기고 도태시키고, 해 마다 새줄기로 교체하여 오미자 줄기의 젊은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여 오미자 수확량을 해마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S30 단계에서 2년차 오미자 줄기를 하층인 제 3연결프레임에 연결시켜 육성한다 하더라도 개화 결실에 지장이 없고, S40 단계에서 상층 자리에 새로운 1년차 오미자 줄기의 육성할 때 성장과 화아 형성에 필요한 햇빛을 받을 수 있게 되어 오미자의 복층 육성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제 1연결프레임 20: 제 2연결프레임
30: 제 3연결프레임 40: 유인와이어
50: 연결와이어 60: 보강프레임
100: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Claims (5)

  1.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지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양측이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부가 삼각 지붕 형태로 절곡된 하우스 형태의 제 1연결프레임(10);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을 상호 연결시켜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의 하부 양측과, 절곡된 상단 꼭지점 및 절곡된 중단 양측 3개소에 배치되는 봉형태의 제 2연결프레임(20);
    상기 제 1연결프레임(10)의 상단 꼭지점 및 절곡된 중단 양측 3개소에 각각 연결된 제 2연결프레임(20)과 연결와이어(50)를 통해 내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봉형태의 제 3연결프레임(30);
    생장하는 오미자 줄기를 복층으로 유인하여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각 제 2연결프레임(20) 및 상기 각 제 3연결프레임(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제 1연결프레임(10)의 형상과 같은 형태로 결속되는 유인와이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연결프레임(20)과 제 3연결프레임(30)에 복층으로 연결되는 유인와이어(40)의 양측 하부는 상기 각 제 2연결프레임(20)의 양측 하부에 결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로써,
    상기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은 병렬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각 제 1연결프레임(10)의 양측 하부가 상호 결속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는 오미자 줄기가 양측방향으로 유인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의 사이에서 재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5.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에 있어서,
    설치된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과,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의 사이에 오미자 묘목을 심는 단계;(S10)
    1년차로 생장된 오미자 줄기는 각각 선택되는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100)의 제 2연결프레임(20)에 연결된 유인와이어(40)에 감아 유인시켜 육성하는 단계;(S20)
    육성된 2년차 오미자 줄기가 감긴 유인와이어(40)를 제 2연결프레임(20)에서 탈거하여 제 3연결프레임(30)에 연결시켜 육성하는 단계;(S30)
    새롭게 자란 1년차의 오미자 줄기는 제 2연결프레임(20)에서 자리가 빈 자리에 새로운 유인와이어(40)를 상기 제 2연결프레임(20)에 결속시켜 유인하여 육성하는 단계;(S40)
    2년차 가을에는 제 3연결프레임(30)에 결속된 유인와이어(40)에서 결실된 오미자 열매를 수확 후 하부에서 2 ~ 3개의 눈만 남기고 잘라내는 단계;(S50) 및
    제 3연결프레임(30)에 결속된 유인와이어(40)에 제 2연결프레임(20)과 결속된 유인와이어(40)에서 육성된 2년차 오미자 줄기 중 충실한 줄기만 골라 옮기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을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KR1020130011143A 2013-01-31 2013-01-31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KR101359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143A KR101359199B1 (ko) 2013-01-31 2013-01-31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143A KR101359199B1 (ko) 2013-01-31 2013-01-31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199B1 true KR101359199B1 (ko) 2014-02-06

Family

ID=5027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143A KR101359199B1 (ko) 2013-01-31 2013-01-31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0629A (zh) * 2014-08-21 2014-12-03 江苏三维园艺有限公司 可移动拱门型花架
KR20230048953A (ko) 2021-10-05 2023-04-1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친환경 덩굴 절단 파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49A (ja) * 1992-12-10 1994-06-21 Jiyatsuto:Kk 果菜類のつるの誘引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器具
JPH07303416A (ja) * 1994-05-13 1995-11-21 Akihiko Jikuhara うり科つる草の栽培床
KR20040083196A (ko) * 2003-03-21 2004-10-01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강관트러스형 비닐하우스 구조물
JP2009011296A (ja) 2007-06-04 2009-01-22 Shojiro Iwai ぶどう棚及びぶどう棚を使用したぶどうの栽培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49A (ja) * 1992-12-10 1994-06-21 Jiyatsuto:Kk 果菜類のつるの誘引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器具
JPH07303416A (ja) * 1994-05-13 1995-11-21 Akihiko Jikuhara うり科つる草の栽培床
KR20040083196A (ko) * 2003-03-21 2004-10-01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강관트러스형 비닐하우스 구조물
JP2009011296A (ja) 2007-06-04 2009-01-22 Shojiro Iwai ぶどう棚及びぶどう棚を使用したぶどうの栽培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0629A (zh) * 2014-08-21 2014-12-03 江苏三维园艺有限公司 可移动拱门型花架
KR20230048953A (ko) 2021-10-05 2023-04-1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친환경 덩굴 절단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283B2 (en) Plant with differential altitude and distributed root system, elevating facade including a plant with distributed root system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plant and facade
JP6388349B2 (ja) イチゴ栽培装置及びイチゴ栽培方法
KR101359199B1 (ko) 오미자 재배용 복층 하우스형 줄기 유인틀 및 이를 이용한 오미자 재배방법
KR101320889B1 (ko) 유인줄을 이용한 줄기식물 장기 재배방법
KR100489434B1 (ko) 자동 개폐식 과수 비가림 하우스
JP5590537B1 (ja) 蔓植物栽培装置
JP2008079519A (ja) 壁面緑化構造
JP2010233512A (ja) 果菜植物栽培方法
KR101472023B1 (ko) 벽면녹화 시스템
RU2303347C2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RU138217U1 (ru) V-образная двухплоскостная шпалера для виноградника
KR200477741Y1 (ko) 적층식 작물재배기
CN210352338U (zh) 种植床以及种植装置
JP6426874B1 (ja) 作物栽培装置及び作物栽培方法
KR20140065647A (ko) 식생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0100666B (zh) 一种番茄“f”形整枝方法
JP4150735B2 (ja) ホワイトアスパラガスの生産方法
KR20060035658A (ko) 농작물 지주대
JP3143683U (ja) アリアム植物の栽培装置
KR100905800B1 (ko) 연결프레임을 이용한 관상용 유실수 재배방법
KR102471354B1 (ko)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또는 넝쿨식물 지지용 화분
RU2580161C1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ого куста
KR101393713B1 (ko) 속성 녹화용 마삭줄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속성 녹화방법
JP5805502B2 (ja) トマトの一段密植栽培方法及び装置
CN219536960U (zh) 一种屋面种植模块用攀缘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