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572A -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572A
KR20140065572A KR1020120130205A KR20120130205A KR20140065572A KR 20140065572 A KR20140065572 A KR 20140065572A KR 1020120130205 A KR1020120130205 A KR 1020120130205A KR 20120130205 A KR20120130205 A KR 20120130205A KR 20140065572 A KR20140065572 A KR 20140065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turned
transistor
battery
w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685B1 (ko
Inventor
오종국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6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되면, 바디 캔 네트워크 상의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켜 발생시킨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는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대용량 전해 커피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ECU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동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컨트롤 유닛에 배터리 전원 이외에 대체 전류원을 구비하어 그 구비된 대체 전류원을 충전시킨 후 모터에 급격한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체 전류원에서 전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로는 유압 펌프의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조향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사용되고 있지만, 1990년대 이후 전동 모터를 이용한 전동식 조향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점차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기존의 유압식 조향장치는 동력을 보조해 주는 동력원인 유압 펌프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조향 휠의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데 비해서 전동식 조향장치는 조향 휠이 회전하여 토크가 발생되면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는 모터가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전동식 조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유압식 조향장치에 비해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전동식 조향장치가 상시 구동 및 초기 동작 시 급조타 및 끝단치기 등의 큰 전류가 필요한 시점에 해당 전류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한 프리차지(pre-charge) 회로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리차지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R1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를 모터 구동전압 및 릴레이 뒷단 전압 VLINK단에 연결시켜 그 VLINK단에 연결된 대용량 커패시터 C1, C2에 전압을 충전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모터 구동전압 VLINK단에 필요한 전류를 대용량 커패시터 C1, C2에 상시 충전함으로써, 초기 운전자의 급격한 구동시 필요한 최대 전류를 보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릴레이 양단 전압차이를 줄여 소음저감 및 수명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전자 컨트롤 유닛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 상태 및 운전자의 의도와는 관련 없이 프리차지회로에 의한 누설전류는 항시 발생한다. 장기간 방치시, 배터리의 방전에 주요한 원인이 된다. 또한 배터리와 상시연결된 LOOP는 배터리 비정상 써지 및 과도전압에 노출되어 해당 컨트롤러가 소손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컨트롤 유닛에 배터리 전원 이외에 대체 전류원을 구비하어 그 구비된 대체 전류원을 충전시킨 후 모터에 급격한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체 전류원에서 전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되면, 바디 캔 네트워크 상의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켜 발생시킨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는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대용량 전해 커피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는 상기 CAN 통신부로부터 출력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온 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에 의해 상기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도록 온 되는 FET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 온 되어 상기 FET의 온을 유지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온 되면, 상기 FET 스위치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면, 오프 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은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도록 온 되는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 방법은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부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되면, 바디 캔 네트워크 상의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켜 발생시킨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는 단계; 및 대용량 전해 커피시터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 받는 단계는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내 제1 트랜지스터가 상기 CAN 통신부로부터 출력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온 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내 FET 스위치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에 의해 상기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도록 온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내 제2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상기 FET의 온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 릴레이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도록 온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면,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가 오프 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자 컨트롤 유닛에 배터리 전원 이외에 대체 전류원을 구비하어 그 구비된 대체 전류원을 충전시킨 후 모터에 급격한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체 전류원에서 전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상시 연결에 따른 비동작시 전원 써지 및 과도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컨트롤 유닛에 배터리 전원 이외에 대체 전류원을 구비하어 그 구비된 대체 전류원을 충전시킨 후 모터에 급격한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체 전류원에서 전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누설 전류를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컨트롤 유닛에 배터리 전원 이외에 대체 전류원을 구비하어 그 구비된 대체 전류원을 충전시킨 후 모터에 급격한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체 전류원에서 전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전동식 조향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자동차 배터리 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리차지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전자 컨트롤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컨트롤 유닛을 운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4는 프리차지 회로를 동작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컨트롤 유닛을 운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6은 프리차지 회로를 동작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자 컨트롤 유닛에 배터리 전원 이외에 대체 전류원을 구비하어 그 구비된 대체 전류원을 충전시킨 후 모터에 급격한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체 전류원에서 전류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전자 컨트롤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조향장치의 전자 컨트롤 유닛은 MCU(Micro Control Unit)(110), 레귤레이터(regulator)(120), 릴레이(relay)(130), 제1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부(141), 제2 CAN 통신부(142), 프리차지 회로(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CU(110)는 전자 컨트롤 유닛 내의 각종 장치와 통신하여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120)는 MCU(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레귤레이터(120)는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서 인가되는 IGN 신호(Ignition signal)에 따라 MCU(110)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예컨대, 5V의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릴레이(130)는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릴레이(130)는 MCU(110)로부터 릴레이 제어 신호를 입력 받으면 그 입력 받은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제1 CAN 통신부(141)는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되며 바디 캔 네트워크(body CAN network) 상의 웨이크-업 신호를 프리차지 회로(150)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바디 캔 네트워크에서는 웨이크-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데, 웨이크-업 기능은 차량 시동 오프 후에 캔 네트워크가 더 이상 통신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리모콘 컨트롤 키 등의 외부 조작 신호에 의해 시동 온 전에 캔 네트워크 상에서 도미넌트(dominant) 역할을 하는 타 부품 ECU가 동일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다른 넌-도미넌트(non-dominant) ECU를 깨워서 구동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일컫는다.
다시 말해,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더라도 도미넌트 역할을 하는 ECU는 항상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나머지 넌-도미넌트 ECU의 경우는 배터리 방전을 막기 위해 최소의 전류를 소비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도미넌트 ECU가 외부 조작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이 도미넌트 ECU는 같은 캔 네트워크 상으로 물려있는 논-도미넌트 ECU에 신호를 보내서 운전자의 조작 전에 구동 준비를 완료한다.
이러한 제1 CAN 통신부(141)는 바디 캔 라인(body-CAN line)을 통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 송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MCU(1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CAN 통신부(142)는 섀시 캔 라인(chassis-CAN line)을 통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 송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MCU(11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리차지 회로(150)는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151), 대용량 전해 커패시터(152)로 구성되어 전동식 조향장치가 동작할 때에는 해당 전류를 원활하게 공급하고 전동시 조향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한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151)는 하나의 FET 스위치와 두 개의 트랜지스터 TR1, TR2로 구성될 수 있다. FET 스위치는 IGN 오프 또는 시동 오프 시 프리차지 회로의 연결을 차단하게 된다. 트랜지스터 TR1은 전동식 조향장치의 작동시 프로차지 회로의 연결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트랜지스터 TR2는 IGN 오프 또는 시동 오프 중 바디 캔 웨이크-업 신호의 발생에 따라 프리차지 회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2개의 트랜지스터 TR1, TR2를 OR 형태로 구성하게 되는데, 2개의 트랜지스터 TR1, TR2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하는 경우에 FET 스위치가 온 되도록 한다.
이는 바디 캔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트랜지스터 TR2 하나로 FET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경우, 전동식 주향장치의 전자 컨트롤 유닛이 구동 중임에도 FET 스위치가 오프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컨트롤 유닛이 동작되고 있는 중에는 반드시 stack-short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컨트롤 유닛은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151)의 FET 스위치를 외란의 영향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 TR1, TR2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컨트롤 유닛을 운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고, 도 4는 프리차지 회로를 동작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동식 조향장치의 전자 컨트롤 유닛에 대한 동작이 불필요한 경우는 차량 시동이 오프되고(S310), 별도의 차량 바디 캔 측에서 인가되는 신호가 없을 때로 정의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자 컨트롤 유닛은 동작하지 않는 상태이며, 프리차지 회로부 또는 단속되어 오픈(open)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먼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되면(S320), 제1 CAN 통신부(141)는 바디 캔 네트워크 상의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켜 발생시킨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330).
이때, 운전자의 조작 감지는 차량도어 오픈을 감지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때 바디 캔 네트워크의 도미넌트 ECU 예컨대, 도어 오픈 감지를 하는 ECU에서 바디 캔 네트워크를 공유나는 비-도미넌트(Non-dominant) ECU 예컨대, 프리차지 회로가 적용된 전동식 조향장치의 ECU 등을 깨우는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한다. 이 웨이크-업 신호는 도미넌트 ECU가 동작되는 동안 계속해서 유지된다.
다음으로,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프리차지 회로부 내의 트랜지스터 TR2가 온 될 수 있다(S340).
다음으로, 프리차지 회로부 내의 트랜지스터 TR2의 온에 의해 FET 스위치가 온 될 수 있다(S350).
다음으로, FET 스위치가 온 되면 배터리에 의해 대전류 공급을 위한 대용량 전해 커패시터가 충전을 시작함으로써(S360), 모터의 원활한 구동 및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컨트롤 유닛을 운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고, 도 6은 프리차지 회로를 동작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프리차지 회로의 구동에 따라 대전류 공급을 위한 대용량 전해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중 IGN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510).
다음으로, IGN 신호가 인가되면, ECU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TR3이 온 되고 프리차지 회로부 내의 트랜지스터 TR1의 온 될 수 있다(S520). 즉, 프리차지 회로부 내의 트랜지스터 TR1의 온에 의해 연결을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트랜지스터 TR3의 온에 의해 레귤레이터가 5V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S530).
다음으로, MCU가 출력된 전원을 공급 받으면, 공급 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릴레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릴레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540).
다음으로, 릴레이 제어 신호에 의해 릴레이가 온 되어 배터리 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S550).
다음으로, ECU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 TR4가 온 됨으로써(S560), 전동식 조향장치의 전자 컨트롤 유닛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MCU
120: 레귤레이터
130: 릴레이
141: 제1 CAN 통신부
142: 제2 CAN 통신부
150: 프리차리 회로
151: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152: 대용량 전해 커패시터

Claims (11)

  1.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되면, 바디 캔 네트워크 상의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켜 발생시킨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는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대용량 전해 커피시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는,
    상기 CAN 통신부로부터 출력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온 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에 의해 상기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도록 온 되는 FET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 온 되어 상기 FET의 온을 유지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중 어느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온 되면, 상기 FET 스위치가 온 되도록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면, 오프 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6. 제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도록 온 되는 릴레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7. CAN(Control Area Network) 통신부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게 되면, 바디 캔 네트워크 상의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시켜 발생시킨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가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는 단계; 및
    대용량 전해 커피시터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받는 단계는,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내 제1 트랜지스터가 상기 CAN 통신부로부터 출력된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온 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내 FET 스위치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에 의해 상기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공급 받도록 온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 내 제2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상기 FET의 온을 유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온 되면, 릴레이가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도록 온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면, 상기 프리차지 회로 제어부가 오프 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의 운영방법.
KR1020120130205A 2012-11-16 2012-11-16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 KR102004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205A KR102004685B1 (ko) 2012-11-16 2012-11-16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205A KR102004685B1 (ko) 2012-11-16 2012-11-16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72A true KR20140065572A (ko) 2014-05-30
KR102004685B1 KR102004685B1 (ko) 2019-07-30

Family

ID=5089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205A KR102004685B1 (ko) 2012-11-16 2012-11-16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445B1 (ko) * 2021-07-06 2023-09-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bw 시스템의 조향휠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345A (ja) * 1993-10-01 1995-04-18 Aisin Seiki Co Ltd 電気モ−タ駆動機器の電源リレ−故障防止装置
JP2010193663A (ja) * 2009-02-19 2010-09-02 Nsk Ltd モータ制御装置
JP4882467B2 (ja) * 2006-04-10 2012-02-22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4899668B2 (ja) * 2006-07-04 2012-03-21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1345A (ja) * 1993-10-01 1995-04-18 Aisin Seiki Co Ltd 電気モ−タ駆動機器の電源リレ−故障防止装置
JP4882467B2 (ja) * 2006-04-10 2012-02-22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4899668B2 (ja) * 2006-07-04 2012-03-21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2010193663A (ja) * 2009-02-19 2010-09-02 Nsk Ltd モ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685B1 (ko)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318849A (ja) 電気自動車の電気システム
EP2261100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3067292A2 (en) A dual energy storage system for micro hybrid vehicles
JP2005229756A (ja) 電圧発生装置、自動車、電圧発生装置の制御方法、自動車の制御方法、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CN113415166A (zh) 一种增程式混合动力汽车上电、下电控制方法及系统
JP2008290513A (ja) 電力制御装置及び車載電子機器システム
CN112622870A (zh) 一种发动机起机方法、车辆电气系统及储存介质
CN102267454B (zh) 混合动力汽车冷启动控制系统和方法以及混合动力汽车
WO2021051636A1 (zh) 一种断电保护电路与方法、数据保护方法及电子产品
KR102004685B1 (ko) 전동식 조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컨트롤 유닛 및 그 운영 방법
US8365852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 vehicle
CN210591735U (zh) 降低车载电子设备静态功耗的系统及开关电路
JP548754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モータ制御装置
CN114655016B (zh) 唤醒电路、整车控制器、上下电控制方法及装置
JP2009171779A (ja) 車両用電源装置
WO2018098795A1 (zh) 引擎启动系统
CN209571965U (zh) 一种新型智能逆变器
CN104802653B (zh) 稳压控制系统
CN114123423A (zh) 一种控制电路和控制方法
CN101790629B (zh) 预测内燃发动机的临时力矩表现的方法以及具有该临时力矩表现的汽车的车载电网
JP5018063B2 (ja) 車両用電源装置
JP6231752B2 (ja) デバイス制御装置およびデバイス制御方法
JP200904019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モータ制御装置
US11766952B2 (en) Power supply circuit, power supply method, and storage medium
CN217396456U (zh) 车辆供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